KR102317045B1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7045B1 KR102317045B1 KR1020170033623A KR20170033623A KR102317045B1 KR 102317045 B1 KR102317045 B1 KR 102317045B1 KR 1020170033623 A KR1020170033623 A KR 1020170033623A KR 20170033623 A KR20170033623 A KR 20170033623A KR 102317045 B1 KR102317045 B1 KR 102317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drum
- tub
- execution
- stirr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 D06F220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드럼과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어느 하나만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모션,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모두 회전시키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2모션, 및 상기 교반부만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3모션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터브 내부에 발생하는 수류, 교반부에 의해 드럼 내부에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비되었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드럼이나 교반부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가 의류처리장치의 세탁 성능이나 헹굼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였다.
본 발명은 드럼과 교반부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와 물의 마찰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쉽게 분리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와 물의 마찰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형성시켜 세제가 의류에 흡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부,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간과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세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어느 하나만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모션;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모두 회전시키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2모션; 및 상기 교반부만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3모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 상기 제2모션, 및 상기 제3모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3모션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모션의 실행시간은 상기 제1모션의 실행시간 및 상기 제2모션의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에 설정된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의 내주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드럼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회전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3모션의 실행이 완료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제3모션의 실행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입력부를 통해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3모션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모션 및 상기 제3모션을 순차적으로 재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입력부를 통해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과 교반부의 회전을 통해 다양한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는 수류를 형성시키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와 물의 마찰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을 쉽게 분리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와 물의 마찰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형성시켜 세제가 의류에 흡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2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모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3), 상기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5),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터브(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바디(11), 상기 캐비닛 바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캐비닛 커버(1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캐비닛 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는 캐비닛 커버(12)에 구비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커버(12)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17),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표시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지지부(33)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지지부(33)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 가능한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31)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5)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5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 바디(51)의 상부면에는 드럼 투입구(5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투입구(53)는 상기 터브 투입구(35) 및 캐비닛 투입구(121)에 연통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드럼 바디(51)의 원주면과 바닥면에는 드럼 바디(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55)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의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상기 터브 바디(31)로 이동하고, 상기 터브 바디(31)로 공급된 물은 상기 관통홀(55)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 바디(51)는 제1구동부(7A)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1구동부(7A)는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 바디(3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1스테이터(71), 상기 제1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72), 상기 터브 바디(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51)의 바닥면과 제1로터(72)을 연결하는 제1회전축(7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73)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73)이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한다는 것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 대한 상기 제1회전축(73)의 각도가 오차범위(조립공차) 내에서 90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상기 교반부(6)는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6)는 회전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수류를 형성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부(6)는 제2구동부(7B)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7B)는 전류를 공급받아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75), 상기 제2스테이터가 제공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76), 상기 교반부(6)와 제2로터(76)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7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77)은 제1회전축(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관통홀(74, 제1회전축(7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교반부(6)와 제2로터(76)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7B)가 제1구동부(7A)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 바디(3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스테이터(75)가 고정되는 브라켓(7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드럼 바디(51)와 교반부(6)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도 있고, 드럼 바디(51)와 교반부(6)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제1구동부(7A)와 제2구동부(7B)는 도 1과 달리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구동부(7A)와 제2구동부(7B)는 태양기어, 유성기어, 링기어, 및 유성기어를 지지하는 케이지를 포함하는 기어장치를 통해 하나의 모터에서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상기 드럼과 교반부에 각각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세제공급부(9)를 통해 터브(3)에 세제를 공급하고, 급수부를 통해 터브(3)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세제공급부(9)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저장부(91), 상기 제1저장부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며 세제가 저장 가능한 제2저장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91) 및 상기 제2저장부(93)는 상기 터브 바디(31)에서 터브 투입구(35)를 향해 인출 가능한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91)에는 사이펀 현상(siphon)을 이용하여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31)에 공급하는 제1배출구(9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배출부(92)는 제1저장부(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부(91) 내부를 터브 바디(31) 내부와 연통시키는 배출관(921), 상기 배출관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저장부 내부의 액체를 상기 배출관으로 안내하는 캡(9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921)의 외주면과 상기 캡(923)의 내주면을 따라 n자 형상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921)에는 상기 배출관(921)의 외주면과 상기 캡(923)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9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93) 역시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저장부 내부의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31)로 이동시키는 제2배출부(9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배출부(94)는 상술한 제1배출부(92)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1저장부(91)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81), 상기 제2저장부(93)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2급수관(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81)은 제1밸브(8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상기 제2급수관(83)은 제2밸브(84)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제1저장부(91)에 저장된 세제는 상기 제1저장부(91) 내부의 수위가 상기 배출관(921)의 자유단보다 높아지면 사이펀 현상에 의해 터브 바디(31)로 공급될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터브(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3)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급수단계 및 세제공급단계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제1밸브(82)와 제2밸브(84)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제1저장부(91)나 제2저장부(93)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3)에 공급하는 단계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단계 및 세제공급단계가 의류에 음이온 계면활성제(세탁 시 필요한 세제)를 의류에 공급하는 행정(세탁행정)에 구비된 단계라면, 상기 급수단계(S10) 및 세제공급단계(S20)는 상기 제1밸브(82)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저장부(91)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3)에 공급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단계(S10) 및 세제공급단계(S20)가 의류에 섬유유연제와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공급하는 행정(헹굼행정)에 구비된 단계라면, 상기 급수단계(S10) 및 세제공급단계(S20)는 제2밸브(84)를 제어하여 상기 제2저장부(93)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3)에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제1밸브(82)를 제어하여 제1급수관(81)을 개방하는 상기 급수단계(S10) 및 세제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20), 강화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강화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모션실행단계(S40)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제어부가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모션실행단계(S40)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 및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는 상기 드럼(5)과 교반부(6) 중 어느 하나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도 4는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가 상기 드럼(5)만을 회전시키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는 상기 드럼(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는 상기 터브(3) 내부에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의류를 드럼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고 상기 터브(3)에 공급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에서 진행되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드럼(5)을 1회전 이상 회전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드럼(5) 및 교반부(6)를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에서 상기 터브 바디(31) 내부의 물은 상기 터브 바디(31)의 내주면을 따라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으로 상승한 후 상기 드럼 투입구(53)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로 유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드럼(5) 및 교반부(6)의 회전수는 상기 터브 바디(31)에 저장된 물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터브 바디(31)의 내주면을 따라 터브 바디(31)의 상부면으로 상승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는 의류와 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드럼 바디(51) 내부에 형성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제2모션을 통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용해를 촉진시키고,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의류에 흡수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며, 이물질을 의류에서 분리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는 상기 드럼(5)과 교반부(6)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단시간에 물에 큰 원심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구동부(7A)나 제2구동부(7B)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는 상기 교반부(6)만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단계로, 도 6은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가 교반부(6)만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는 상기 드럼 바디(51) 내부에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와 물의 마찰력을 높이는 단계이다.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는 적어도 2회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션실행단계(S40)는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의 완료 후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와 물의 마찰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의류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 역시 의류와 물의 마찰력을 극대화시키는 단계이기 때문에 상기 모션실행단계(S40)는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의 완료 후 상기 제2모션을 재실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모션은 제3모션보다 더 많은 양의 전류를 소비하는 모션이므로, 소비전류를 최소화하면서 세탁력을 높이려면, 상기 모션실행단계(S40)는 제3모션을 반복(S45, S49)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이유에서 상기 제3모션을 실행(S45, S49)하는 시간은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시간 및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실행단계(S40)가 제3모션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는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가 완료된 후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뒤 개시됨이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의류에 흡수될 수 있는 시간을 줌으로써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에서 이물질이 의류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모션실행단계(S40)의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제3모션의 실행에 필요한 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션실행단계(S4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펌프(89)를 통해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배수단계(S50)의 진행 중 또는 상기 배수단계(S50)의 완료 후 본 발명은 상기 드럼과 교반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60)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모션실행단계(S40)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은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 및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만을 수행한 뒤 배수단계(S50) 및 탈수단계(S60)를 실행한다.
도 3에 도시된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제2밸브(84)를 제어하여 상기 제2급수관(83)을 개방하는 급수단계(S10), 섬유유연제와 같은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20),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강화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강화모드가 선택된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모션실행단계(S40)를 진행하는데, 본 실시예에 구비된 모션실행단계(S40)는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 제1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7), 및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는 터브 내부에 난류를 형성시키기 때문에 터브에 공급된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용해를 촉진한다.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와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는 의류와 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는 수류를 드럼 바디(51) 내부에 형성시킴으로써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의류에 흡수되는 것을 촉진한다.
상기 제3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5)가 완료된 후 제1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7)를 진행하는 것은 제3모션에 의해 엉킨 의류를 드럼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는 상기 제1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7)를 통해 의류가 드럼 바디(51) 내부에 분산된 뒤 게시된다. 따라서, 제1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7)와 제3모션을 재실행하는 단계(S49)를 통해 본 발명은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에 흡수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모션실행단계(S40)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3)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S50), 상기 드럼 및 교반부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60)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강화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에서 모션실행단계(S40)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은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1) 및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S43)만을 수행한 뒤 배수단계(S50) 및 탈수단계(S60)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캐비닛 바디
12: 캐비닛 커버 12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7: 입력부 3: 터브 31: 터브 바디
35: 터브 투입구 5: 드럼 6: 교반부
81: 제1급수관 83: 제2급수관 82: 제1밸브
84: 제2밸브 9: 세제공급부
12: 캐비닛 커버 121: 캐비닛 투입구 13: 도어
17: 입력부 3: 터브 31: 터브 바디
35: 터브 투입구 5: 드럼 6: 교반부
81: 제1급수관 83: 제2급수관 82: 제1밸브
84: 제2밸브 9: 세제공급부
Claims (13)
-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교반부, 상기 제1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간과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저장되는 공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 세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 중 어느 하나만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모션;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부를 모두 회전시키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2모션;
상기 교반부만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3모션을 포함하며,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투입될 경우 상기 제3모션의 실행이 완료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3모션을 재실행하고,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투입될 경우 상기 제3모션의 실행이 완료된 후 상기 제1모션 및 상기 제3모션을 순차적으로 재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 상기 제2모션, 및 상기 제3모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3모션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모션의 실행시간은 상기 제1모션의 실행시간 및 상기 제2모션의 실행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션에 설정된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부의 회전수는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터브의 내주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한 후 상기 드럼 투입구를 통해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회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시간은 상기 제3모션의 실행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실행단계는 입력부를 통해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실행단계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모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모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23A KR102317045B1 (ko) | 2017-03-17 | 2017-03-17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623A KR102317045B1 (ko) | 2017-03-17 | 2017-03-17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059A KR20180106059A (ko) | 2018-10-01 |
KR102317045B1 true KR102317045B1 (ko) | 2021-10-25 |
Family
ID=6387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623A KR102317045B1 (ko) | 2017-03-17 | 2017-03-17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704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252B1 (ko) * | 1998-08-28 | 2007-07-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자동 세탁기의 콘트롤패널 |
KR100653767B1 (ko) * | 2003-05-28 | 2006-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세탁방법 |
IL166012A0 (en) * | 2004-12-27 | 2006-01-15 | Aqua Solutions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laundering |
KR102253314B1 (ko) * | 2014-02-19 | 2021-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방법 |
-
2017
- 2017-03-17 KR KR1020170033623A patent/KR102317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6059A (ko)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93156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US9732461B2 (en) | Detergent mixer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
JP2005328873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CN108138419B (zh) | 洗衣机 | |
WO2016170726A1 (ja) | 洗濯機 | |
WO2017054760A1 (zh) | 洗衣机 | |
CN102102284A (zh) | 用于洗衣机的洗衣方法 | |
JP2018000856A (ja) | 洗濯機 | |
KR102287517B1 (ko) |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 |
CN107700149B (zh) |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 |
KR10231704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170094648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JP2012170680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KR102536866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20220290352A1 (en) | Washer appliance article movement mechanism | |
JP2007236441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US9228281B2 (en) | Wash basket for use with a washing machine appliance | |
KR10256066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JP5395580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6225337B2 (ja) | 洗濯機 | |
JP2019187571A (ja) | 洗濯機 | |
KR102493159B1 (ko)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JP7128606B2 (ja) | 洗濯機 | |
KR102253314B1 (ko) | 세탁방법 | |
KR102493158B1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