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678A -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678A
KR20180046678A KR1020160142150A KR20160142150A KR20180046678A KR 20180046678 A KR20180046678 A KR 20180046678A KR 1020160142150 A KR1020160142150 A KR 1020160142150A KR 20160142150 A KR20160142150 A KR 20160142150A KR 20180046678 A KR20180046678 A KR 2018004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rts
photosensitive layer
binder resi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타카무라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6678A/ko
Priority to US15/597,727 priority patent/US10012916B2/en
Publication of KR2018004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03G5/0614Amines
    • G03G5/06142Amines arylamine
    • G03G5/06147Amines arylamine alkenylarylamine
    • G03G5/061473Amines arylamine alkenylarylamine plural alkenyl groups linked directly to the same aryl grou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03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alog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66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 G03G5/0672Dyes containing a methine or polymethine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methine or polymethine grou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2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the charg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03G5/047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 transport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5Coat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32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42Polyvinylalcohol, polyallylalcoh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vinylesters, polyvinylethers, polyvinylam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8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 G03G5/0557Macromolecular bonding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ed bonds
    • G03G5/0564Polycarbonat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01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G03G5/0612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03G5/0614Amines
    • G03G5/06149Amines enami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03G5/0664Dyes
    • G03G5/0696Phthalocyan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0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0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 G03G5/102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me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개시에서는, 높은 감도 및 고속 응답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잔류전위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감광체를 채용하는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and photorecepto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사진기술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기술은 빠른 속도로 고품질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자사진기술은, 예를 들어, 복사기 및 프린터와 같은 이미지 형성 장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사진기술은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체를 필요로 한다. 감광체로서는, 무기 감광체 또는 유기 감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유기 감광체는 유기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유기 감광층(organic photosensitive layer)을 구비한다. 유기 감광층은, 유기 재료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무공해성 제조 공정을 사용하여 매우 쉽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유기 감광체는 매우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최근 이미지 형성 장치의 용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 게다가, 더욱 더 높은 품질의 이미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더 적은 결함, 더 높은 선명도 및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고성능 이미지 형성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고성능 및 저가격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이미지 형성 장치를 얻기 위해서는, 높은 감도를 갖는 감광체를 저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감광체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전하발생물질이 요구되며, 이와 더불어, 전하발생물질과 잘 어울리는 전하수송물질이 요구된다. 감광체의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더 적은 사용량에서도 우수한 전하 이동도를 발휘할 수 있는 전하수송물질이 요구된다.
종래의 전하수송물질로서, 저분자량을 갖는 에나민(enamine)계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에나민계 전하수송물질은, 양호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유기 감광체를 얻기 위해서는, 감광층에 많은 양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에나민계 전하수송물질을 함유하는 유기 감광체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면, 현저하게 축적된 잔류전위(residual potential)를 갖게 된다.
본 개시에서는, 높은 감도 및 고속 응답 성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잔류전위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감광체를 채용하는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일 구현예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구현예들은 높은 감도 및 고속 응답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구현예들은,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잔류전위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적층형 감광층을 채용한 감광체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이미지 형성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일 구현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용 감광체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구현예에 있어서, 전자사진용 감광체(100)는, 전도성 지지체(110), 및 전도성 지지체(110) 상에 배치된 감광층(120)을 포함한다.
감광층(120)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나민(enamine)계 전하수송물질은, 감광층이 개선된 광감도, 응답 성능 및 잔류 전위를 나타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나민(enamine)계 전하수송물질은, 감광체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때, 감광층에 잔류 전위가 축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나민(enamine)계 전하수송물질은, 출발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CAS No.49678-04-8)을 사용하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3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group)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4
여기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f 및 g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감광층(120)은, 화학식 1의 전하수송물질 이외에, 추가 전하수송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전하수송물질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카바졸(carbazole) 유도체, 히드라존(hydrazone) 유도체, 방향족 아민(aromatic amine) 유도체, 스틸벤(stilbene) 유도체, 부타디엔(butadiene)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전하발생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들 들어, 셀레늄, 셀레늄 함유 합금 또는 카드뮴 술피드(Cadmium sulfide)와 같은 무기 전하발생물질; 예를 들어, 프탈로시아닌 안료(Phthalocyanine pigment), 아조 안료(Azo pigment), 디티오케토-피롤로-피롤 안료(dithioketo-pyrrolo-pyrrole pigment), 스쿠알렌(스쿠알리륨) 안료(squalene(Squalirium) pigment), 퀴나크리돈 안료(Quinacridone pigment), 인디고 안료(Indigo pigment), 페릴렌 안료(Perylene pigment), 폴리사이클릭 퀴논 안료(Polycyclic quinone pigment), 안탄트론 안료(Anthanthrone pigment), 또는 벤즈이미다졸 안료(Benzimidazole pigment)와 같은 유기 전하발생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탈로시아닌 안료(Phthalocyanine pigment)는 비교적 장파장 레이저광에 대해 높은 감도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아조 안료(Azo pigment)는 백색광 또는 비교적 단파장 레이저에 대해 충분한 감도를 발휘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금속-무함유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예를 들어, 금속(예를 들면, 구리, 인듐, 갈륨, 주석, 티타늄, 아연, 바나듐, 실리콘, 게르마늄),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수산화물, 또는 금속 알콕사이드로 배위된 결정성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결정성 X형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τ형 금속-무함유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A형(별칭 β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Titanyl phthalocyanine; 별칭:Oxytitanium phthalocyanine), B형(별칭 α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D형(별칭 Y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바나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Vanadyl phthalocyanine), 클로로인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Chloroindium phthalocyanine), II형 클로로갈륨 프탈로시아닌 화합물(Chlorogallium phthalocyanine), V형 히드록시 갈륨 프탈로시아닌 화합물(Hydroxy gallium phthalocyanine), G형 μ-옥소-갈륨 프탈로시아닌 이합체(μ-Oxo-gallium phthalocyanine dimer), I형 μ-옥소-갈륨 프탈로시아닌 이합체(μ-Oxo-gallium phthalocyanine dimer), II형 μ-옥소-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 이합체(μ-Oxo-aluminum phthalocyanine dimer),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특히, A형(β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B형(α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D형(Y형) 티타닐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II형 클로로갈륨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V형 히드록시 갈륨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G형 μ-옥소-갈륨 프탈로시아닌 이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더욱 특별하게는: CuKα특성 X선을 사용하여 얻은 X선 회절스펙트럼에서, 27.2°의 브래그각(Bragg angle)(2θ±0.2°)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보이는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Oxytitanium phthalocyanine); 9.3°, 13.2°, 26.2° 및 27.1°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보이는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Oxytitanium phthalocyanine); 8.5°, 12.2°, 13.8°, 16.9°, 22.4°, 28.4° 및 30.1°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보이는 디클로로틴 프탈로시아닌(Dichlorotin phthalocyanine); 7.5°, 9.9°, 12.5°, 16.3°, 18.6°, 25.1° 및 28.3°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보이는 히드록시 갈륨 프탈로시아닌(Hydroxy gallium phthalocyanine); 7.4°, 16.6°, 25.5° 및 28.3°에서 회절 피크를 보이는 클로로갈륨 프탈로시아닌(Chlorogallium phthalocyanin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더더욱 특별하게는: 27.2°에서 주된 회절피크를 보이는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Oxytitanium phthalocyanine)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더더욱 특별하게는: 9.5°, 24.1° 및 27.2°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보이는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Oxytitanium phthalocyanine)을 포함할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단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일 수 있다. 또는,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여러가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는,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여러가지 결정상태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아조 안료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모노아조 안료, 디아조 안료, 트리아조 안료, 폴리아조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아조 안료는, 디아조 안료, 트리아조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감광체(100)는 충분한 감도를 얻을 수 없다. 감광층(120)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감광체(100)의 대전성 및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감광층(120)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예를 들면, 약 0.5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감광층(120)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예를 들면, 약 50 중량부 이하, 또는, 약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전하발생물질은, 예를 들면, 약 1 ㎛ 이하의, 또는 약 0.5 ㎛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감광층(120)의 바인더 수지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부타디엔(butadiene) 수지; 스티렌(styrene)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아크릴산에스테르(acrylic acid ester)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methacrylic acid ester) 수지; 비닐알코올(Vinyl alcohol) 수지; PVB(Polyvinyl butylal); PVF(Polyvinyl fluoride); 부분 변성 폴리비닐아세탈(polyvinyl ac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셀룰로스 에스테르(Cellulose esther) 수지; 페녹시(phenoxy) 수지; 실리콘(silicon) 수지; 에폭시(epoxy) 수지; 폴리N-비닐카바졸(Poly(N-vinylcarbazol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바인더 수지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바인더 수지는 경화제로 경화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층(120)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단층형 감광층일 수 있다. 단층형 감광층에 있어서,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의 하한치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약 20 중량부 또는 약 30 중량부일 수 있다.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30 중량부 이상인 경우, 감광체에서의 잔류전위의 축적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30 중량부 이상인 경우, 반복 사용에 대한 감광체의 안정성; 및 감광체의 전하 이동도;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단층형 감광층에 있어서,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의 상한치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약 150 중량부, 약 110 중량부, 약 70 중량부, 또는 약 50 중량부일 수 있다.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5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열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전하수송물질과 바인더 수지의 상용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7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감광층(120)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5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내긁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전하수송물질 함량 하한치의 예들의 각각은, 전하수송물질 함량 상한치의 예들의 각각과 조합되어, 다양한 함량 범위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5 ㎛ 이상, 또는 약 10 ㎛ 이상일 수 있다. 감광층(120)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100 ㎛ 이하, 또는 약 50 ㎛ 이하일 수 있다. 두께 하한치의 예들의 각각은, 두께 상한치의 예들의 각각과 조합되어, 다양한 두께 범위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45 ㎛인 경우, 감광체(100)의 수명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30 ㎛인 경우, 더욱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층(120)은, 바인더 수지 및 전하발생물질을 포함하는 전하발생층(121); 및 바인더 수지 및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수송층(122);을 포함하는 적층형 감광층일 수 있다. 도 2는 적층형 감광층을 채용한 감광체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의 하한치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약 20 중량부 또는 약 30 중량부일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30 중량부 이상인 경우, 감광체(100)에서의 잔류전위의 축적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30 중량부 이상인 경우, 반복 사용에 대한 감광체(100)의 안정성; 및 감광체(100)의 전하 이동도;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의 상한치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약 150 중량부, 약 110 중량부, 약 70 중량부, 또는 약 50 중량부일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5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열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110 중량부 이하인 경우, 전하수송물질과 바인더 수지의 상용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7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내마모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이,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약 50 중량부 이하인 경우, 감광층(120)의 내긁힘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에 있어서, 전하수송물질 함량 하한치의 예들의 각각은, 전하수송물질 함량 상한치의 예들의 각각과 조합되어, 다양한 함량 범위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의 구현예에 있어서는, 전하발생층(121)이 전도성 지지체(110)와 전하수송층(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나, 다른 구현예들에 있어서는, 전하수송층(122)이 전도성 지지체(110)와 전하발생층(121)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전하수송층(122)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50 ㎛일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45 ㎛인 경우, 감광체(100)의 수명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증가할 수 있다. 전하수송층(122)의 두께가 약 10 ㎛ 내지 약 30 ㎛인 경우, 더욱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전하발생층(121)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예를 들면, 약 0.5 중량부 이상, 또는 1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전하발생층(121)의 전하발생물질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하여, 예를 들면, 약 50 중량부 이하, 또는, 약 20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전하발생층(1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50 ㎛일 수 있다.
전하발생층(121) 또는 전하수송층(122)의 바인더 수지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부타디엔(butadiene) 수지; 스티렌(styrene)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아크릴산에스테르(acrylic acid ester)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methacrylic acid ester) 수지; 비닐알코올(Vinyl alcohol) 수지; PVB(Polyvinyl butylal); PVF(Polyvinyl fluoride); 부분 변성 폴리비닐아세탈(polyvinyl ac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셀룰로스 에스테르(Cellulose esther) 수지; 페녹시(phenoxy) 수지; 실리콘(silicon) 수지; 에폭시(epoxy) 수지; 폴리N-비닐카바졸(Poly(N-vinylcarbazol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감광층(120)의 바인더 수지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하발생층(121) 또는 전하수송층(122)의 바인더 수지는 경화제로 경화될 수도 있다.
전도성 지지체(110)의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강철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예를 들어, 금속, 탄소 또는 산화주석과 같은 전도성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그 표면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니켈 또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전도성 물질이 부착 또는 도포되어 있는 수지, 유리 또는 종이. 전도성 지지체(110)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드럼, 시트 또는 벨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에는,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의 전기전도도 또는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의 기타 표면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또는,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에 결함 피복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전기 저항값을 갖는 전도성 재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 전도성 지지체(110)로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는 경우,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은 양극산화처리될 수도 있다. 양극산화처리된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은 봉공처리(sealing treatment)될 수도 있다.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의 양극산화피막은,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약 20 ㎛ 이하의, 또는 약 7 ㎛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은 평활(smooth)할 수 있다. 또는, 전도성 지지체(110)의 표면은, 절삭 또는 연마에 의하여, 거칠(rough) 수도 있다. 낮은 가격의 전도성 지지체(110)를 얻기 위하여, 절삭처리되지 않은 인발관(drawn tube)을, "인발된 그대로(as drawn)",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인발가공(drawing process), 임팩트 가공(impact process) 또는 아이어닝 가공(ironing process)에 의하여 제작된 전도성 지지체(110)는, 표면의 이물질의 제거 또는 표면의 결함의 제거를 위하여, 절삭처리(cutting)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감광체(100)는, 전도성 지지체(110)와 감광층(120)의 사이에 배치된 언더코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은 전도성 지지체(110)와 감광층(120)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언더코팅층은 전도성 지지체(110)와 감광층(120) 사이의 전하이동을 차단(blocking)할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은, 예를 들면, 바인더 수지; 또는, 금속산화물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바인더 수지;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에 사용되는 금속산화물 입자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티타늄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또는, 철 옥사이드와 같은 1종의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금속산화물 입자일 수 있다. 또는, 언더코팅층에 사용되는 금속산화물 입자는,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칼슘 티타네이트,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또는 바륨 티타네이트와 같은 2종 이상의 금속원소를 함유하는 금속산화물 입자일 수도 있다. 언더코팅층에 사용되는 금속산화물 입자는 1종의 입자이거나, 또는 2종 이상의 입자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금속산화물 입자(예를 들어, 티타늄 옥사이드 입자, 징크 옥사이드 입자, 등)의 표면은: 예를 들어, 틴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안티몬 옥사이드, 지르코늄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와 같은 무기물; 또는, 스테아르산, 폴리올, 또는 폴리실리콘과 같은 유기물;로 코팅될 수도 있다. 티타늄 옥사이드 입자는, 예를 들어, 루타일(Rutile) 결정 입자, 아나타제(Anatase) 결정 입자, 브루카이트(Brookite) 결정 입자, 비결정성(Amorphous)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면, 약 1 nm 이상, 또는 약 10nm 이상일 수 있다. 금속산화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면, 약 100 nm 이하, 또는 약 25 nm 이하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 수지는, 예를 들면, 페녹시(Phenoxy)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카제인(Casein),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셀룰로스(cellulose), 젤라틴(Gelatin), 전분(Strarch),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경화제로 경화될 수도 있다. 경화된 알킬멜라민(Alkylmelamine) 수지 또는 경화된 알키드 멜라민(alkyd melamine) 수지는 매우 우수한 내압성을 가질 수 있다. 언더코팅층의 금속산화물 입자의 양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약 10 중량부 내지 약 500 중량부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약 0.1 ㎛ 내지 약 20 ㎛일 수 있다. 언더코팅층은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감광층(120)은, 예를 들면, 성막성, 가요성, 도포성, 내오염성, 내가스성, 내광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화방지제, 가소제, 자외선흡수제, 전자흡인성 화합물,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감광층(단층형 감광층 및 적층형 감광층을 포함)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대전기에서 발생하는 방전 생성물에 의한 감광층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체는 감광층 위에 배치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감광체의 최외곽층에 배치되는 층은, 감광체 표면의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또는 감광체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광체의 각 층은, 해당 층의 구성 성분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해서 얻은 도포액을, 전도성 지지체 위에, 예를 들어, 침지 도포, 스프레이 도포, 노즐 도포, 바 코팅, 롤 코팅, 블레이드 도포 등의 방법으로,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포액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 또는 분산매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2-메톡시에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4-디옥산 또는 디메톡시에탄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메틸 포르메이트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과 같은 케톤계 용매;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1,2-디클로로에탄, 1,1,2-트리클로로에탄, 1,1,1-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1,2-디클로로프로판 또는 트리클로로에틸렌과 같은 염소화 탄화수소계 용매; 예를 들어, n-부틸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또는 트리에틸렌디아민과 같은 함질소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술폭사이드와 같은 비프론톤성 극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용매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층형 감광층용 도포액, 또는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수송층용 도포액의 고형분 함량(용매를 제외한 구성 성분들의 함량)은, 예를 들면, 약 1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단층형 감광층용 도포액, 또는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수송층용 도포액의 고형분 함량은, 예를 들면, 약 40 중량% 이하, 또는 약 3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단층형 감광층용 도포액, 또는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수송층용 도포액의 점도는, 예를 들면, 약 50 mPa·s 내지 약 400 mPa·s일 수 있다.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발생층용 도포액의 고형분 함량은, 예를 들면, 약 1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발생층용 도포액의 고형분 함량은, 예를 들면, 약 15 중량% 이하, 또는 약 1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적층형 감광층의 전하발생층용 도포액의 점도는 약 0.1 mPa·s 내지 약 10 mPa·s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미지 형성 장치의 일 구현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대해 노광을 행하여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상 노광 수단;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 및 상기 토너상을 전사재에 전사한 후의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남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도 3은 이미지 형성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이미지 형성 장치(10)는, 상 노광 수단으로서 반도체 레이저(상 노광 장치)(11)를 구비한다. 제어 회로(20)에 의해 화상 정보에 의해 신호 변조된 레이저 광은, 방출 후에 보정 광학계(12)를 통해 평행화되고, 회전 다면경(13)에 의해 반사되어 주사 운동을 행한다. 레이저 광은, f-θ 렌즈(14)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체(100)의 표면 상에 집광되어 화상 정보의 노광을 행한다. 전자사진 감광체(100)는 미리 대전 수단인 대전 장치(15)에 의해 대전되어 있으므로, 이 노광에 의해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다음에, 현상 수단인 현상 장치(16)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체(100)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함으로써 가시 화상화가 행해진다. 이 가시 화상은, 전사 수단인 전사 장치(17)에 의해 종이와 같은 화상 수용체(21)에 전사되고, 정착 수단인 정착 장치(19)로 정착되어 프린트물로서 제공된다. 전자사진 감광체(100)는, 표면에 잔존하는 토너나 토너의 성분을 클리닝 수단인 클리닝 장치(18)에 의해 제거하여 반복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드럼 형상의 전자사진 감광체(100)는,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둘레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전자사진 감광체(100)는, 회전 과정에 있어서 대전 수단에 의해 그 둘레면에 정 또는 부의 소정 전위의 균일 대전을 받는다. 인가되는 전압으로서는, 예를 들어 직류 전압에 교류 전압을 중첩한 진동 전압이다. 여기서는 드럼 형상의 전자사진 감광체를 설명하였지만, 시트 형상 또는 벨트 형상의 전자사진 감광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대전 장치(15)는, 대전 롤러, 대전 브러시 등의 대전 부재를 감광체에 접촉시켜 전하를 부여하는 접촉 대전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전 장치(15)뿐만 아니라 비접촉 방식의 대전 롤러,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스코로트론 대전기나 코로트론 대전기 등을 대전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의 전자사진 감광체,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등의 구성요소 중에서 복수의 것을 일체로 결합하여 감광체 카트리지를 구성하고, 이 감광체 카트리지를 복사기나 레이저 빔 프린터 등의 이미지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해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따라,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감광체 카트리지의 일 구현예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6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표면이 소수화 처리된 산화아연 분말(입수처: 일본 사카이케미칼, 제품명: MZY-303S) 80 중량부, 멜라민 수지(입수처: 일본 DIC, 제품명: G-821-60) 16 중량부, 및 아크릴 수지(입수처: 일본 DIC, 제품명: AA-804) 4 중량부를, 메틸 에틸 케톤 용매에, 볼밀을 사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고형분 함량 43 중량%의 언더코팅층 형성용 도포액을 얻었다.
언더코팅층 형성용 도포액을, 외경 30 mm, 길이 255 mm, 벽 두께 0.75 mm의 알루미늄제 실린더에, 침지방식으로 도포한 후, 60 분 동안, 145 ℃에서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5.0 ㎛의 언더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별도로, 전하발생층 형성용 도포액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갈륨 프탈로시아닌 이합체(Gallium Phthalocyanine Dimer)(입수처: Orient Chemical Industries, 제품명: OPTRON GPL-G) 56 중량부; CuKα특성 X선에 대한 X선 회절 스펙트럼의 브랙각(Bragg Angle, 2θ± 0.2°) 27.2°에서 주된 회절 피크를 갖는 Y형 옥시티타늄 프탈로시아닌(oxytitanium phthalocyanine) 44 중량부; 고중합도 타입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입수처: Sekisui Chemical, 제품명: BX-5) 23 중량부; 및, 중중합도 타입의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입수처: Sekisui Chemical, 제품명: BM-2) 23 중량부;를,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용매에, 페인트 쉐이커를 사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고형분 함량 4.0 중량%의 전하발생층 형성용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전하발생층 형성용 도포액을, 언더코팅층 위에, 침지방식으로 도포한 후, 30 분 동안, 100 ℃에서 건조함으로써, 두께 0.4 ㎛의 전하발생층을 형성하였다.
별도로, 하기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 30 중량부, 및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고형분 함량 20 중량%의 전하수송층 형성용 도포액을 얻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전하수송층 형성용 도포액을, 전하발생층 위에, 침지방식으로 도포한 후, 30 분 동안, 125 ℃에서 건조함으로써, 두께 20 ㎛의 전하수송층을 형성하였다. 그에 따라, 알루미늄 실린더 위에, 언더코팅층, 전하발생층 및 전하수송층이 순차적으로 코팅되어 있는 실시예 1의 감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2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 대신에, 하기 화학식 5의 전하수송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2의 감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8
실시예 3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 대신에, 하기 화학식 6의 전하수송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3의 감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9
실시예 4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을 30 중량부 대신에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4의 감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화학식 5의 전하수송물질을 30 중량부 대신에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5의 감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화학식 6의 전하수송물질을 30 중량부 대신에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6의 감광체를 얻었다.
비교예 1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 대신에, 하기 화학식 7의 전하수송물질 3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1의 감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0
비교예 2
화학식 4의 전하수송물질 대신에, 하기 화학식 8의 전하수송물질 3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2의 감광체를 얻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1
비교예 3
화학식 7의 전하수송물질을 30 중량부 대신에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3의 감광체를 얻었다
비교예 4
화학식 8의 전하수송물질을 30 중량부 대신에 4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 4의 감광체를 얻었다:
<감광체의 전기 특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감광체를, 전자사진 특성평가 장치(GENTEC사 제작 CYNTHIA 56KSS)에 장착하여, 대전, 노광, 전위 측정, 제전의 사이클을 가함으로써, 이들의 전기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요약하였다.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조건하에서, 회전수 100 rpm으로 회전하는 감광체를 대전시켜서, 감광체가 600V의 초기 표면 전위를 갖도록 하였다. 할로겐 램프로부터 방출된 빛을 간섭 필터로 필터링하여 얻은 780 nm 단색빛을, 감광체에 조사하였다. 조사 에너지가 1.5 μJ/cm2 일 때의 감광체의 표면 전위인 VL1을 측정하였다. 노광 시점으로부터 전위 계측 시점 까지의 시간(응답 시간)은 67 msec이었다.
감광체의 회전수를 190 rpm으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사 에너지가 1.5 μJ/cm2 일 때의 감광체의 표면 전위인 VL2를 측정하였다. 이 때, 노광 시점으로부터 전위 계측 시점 까지의 시간(응답 시간)은 35 msec이었다.
그 다음, 제전광(660nm의 LED광)을 사용하여 감광체를 제전시킨 후, 감광체의 잔류 표면 전위 Vr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 감광체의 회전수를 190 rpm으로 설정하고, 대전, 노광 및 제전 사이클을 6,000회 반복한 후, 감광체의 잔류 표면 전위 Vr6000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CTM CTM 중량부 VL1(-V) VL2(-V) Vr(-V) Vr6000(-V)
실시예 1 화학식 4 30 50 63 25 30
실시예 2 화학식 5 30 47 61 24 31
실시예 3 화학식 6 30 51 65 25 33
실시예 4 화학식 4 40 42 48 20 23
실시예 5 화학식 5 40 41 47 20 23
실시예 6 화학식 6 40 44 51 21 26
비교예 1 화학식 7 30 60 85 26 70
비교예 2 화학식 8 30 62 88 27 95
비교예 3 화학식 7 40 48 68 23 55
비교예 4 화학식 8 40 50 71 22 72
<화상 평가>
실시예 1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4개의 컬러 카트리지를 장착한 컬러 레이저프린터(삼성전자 CLX-8650ND)를 사용하여 하프톤(halftone) 화상을 인쇄한 결과, 균일하며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의 감광체를 구비하는 4개의 컬러 카트리지를 장착한 컬러 레이저프린터(삼성전자 CLX-8650ND)를 사용하여 하프톤(halftone) 화상을 인쇄한 결과, 균일하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개시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감광체는 양호한 전기 특성을 가지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교예의 감광체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감광체는, 응답 시간이 짧은 VL2 측정 조건 하에서도, 충분히 낮은 표면 전위를 나타냈다. 이와 동시에, 비교예의 감광체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감광체는, 반복 사용에 따른 잔류 표면 전위의 축적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Claims (15)

  1. 전자사진용 감광체로서,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화학식 1>
    Figure pat00012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group)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화학식 3>
    Figure pat00013

    여기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f 및 g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단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감광층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발생물질을 포함하는 전하발생층; 및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전자사진용 감광체.
  6. 이미지 형성 장치로서,
    상기 이미지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 수단;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에 대해 노광을 행하여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상 노광 수단;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수단; 및 상기 토너상을 전사재에 전사한 후의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상에 남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이미지 형성 장치:
    <화학식 1>
    Figure pat00014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인, 이미지 형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group)인, 이미지 형성 장치:
    <화학식 3>
    Figure pat00015

    여기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f 및 g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단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감광층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이미지 형성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발생물질을 포함하는 전하발생층; 및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이미지 형성 장치.
  11. 감광체 카트리지로서,
    상기 감광체 카트리지는, 전자사진용 감광체; 및, 대전 수단 및 현상 수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사진용 감광체는, 전도성 지지체; 및 상기 전도성 지지체 상에 위치하는 감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전하발생물질;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감광체 카트리지:
    <화학식 1>
    Figure pat00016

    여기서, Ar1 및 A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이고, R1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a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b 내지 e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페닐기인, 감광체 카트리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Ar1 및 Ar2 중의 적어도 하나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기(group)인, 감광체 카트리지:
    <화학식 3>
    Figure pat00017

    여기서,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f 및 g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단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감광층 내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감광체 카트리지.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은,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발생물질을 포함하는 전하발생층; 및 바인더 수지 및 상기 전하수송물질을 포함하는 전하수송층;을 포함하는 적층형 감광층이고,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전하수송물질의 함량은, 상기 전하수송층 내의 상기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인,
    감광체 카트리지.
KR1020160142150A 2016-10-28 2016-10-28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KR20180046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50A KR20180046678A (ko) 2016-10-28 2016-10-28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US15/597,727 US10012916B2 (en) 2016-10-28 2017-05-17 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and photorecepto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150A KR20180046678A (ko) 2016-10-28 2016-10-28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678A true KR20180046678A (ko) 2018-05-09

Family

ID=6202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150A KR20180046678A (ko) 2016-10-28 2016-10-28 전자사진 감광체, 이를 채용한 감광체 카트리지 및 이미지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2916B2 (ko)
KR (1) KR201800466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75713B2 (ja) * 2018-10-25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3148B2 (ja) 1993-05-21 1999-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ビスエナ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電子写真感光体
JPH08202056A (ja) 1995-01-23 1996-08-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電子写真感光体
JP2003012629A (ja) 2001-07-02 2003-01-15 Sharp Corp エナミン化合物、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90391B2 (ja) 2004-08-09 2007-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32401B2 (ja) 2008-08-27 2013-11-06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50077290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대칭 부타디엔계 전하 수송성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전자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2916B2 (en) 2018-07-03
US20180120716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495B2 (ja) 電子写真感光体、該電子写真感光体を有する電子写真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8568946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ation device comprising same
TWI599860B (zh) 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4838749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4740794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489824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JP5077441B2 (ja) 電子写真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9169023A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6099A (ja) 積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662111B2 (ja) 正帯電用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503832B2 (ja)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41165B2 (ja) 電子写真用感光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5353078B2 (ja) エナミン骨格を有する化合物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24734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907878B2 (ja) 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6195476A (ja)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の形成装置
US10012916B2 (en) Photoreceptor for electrophotography, and photorecepto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5608410B2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JP4779850B2 (ja)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55490B2 (ja) 電子写真感光体、該感光体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子写真カートリッジ
JP5957888B2 (ja) 新規な結晶型を有するガリウムフタロシアニンダイマー結晶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783384B (zh) 电子照相感光体、图像形成装置及处理盒
JP2005292821A (ja) 電子写真感光体、該感光体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658664B2 (ja)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49863A (ja) 電子写真感光体用電荷輸送物質、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