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838A -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 Google Patents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838A
KR20180044838A KR1020177025943A KR20177025943A KR20180044838A KR 20180044838 A KR20180044838 A KR 20180044838A KR 1020177025943 A KR1020177025943 A KR 1020177025943A KR 20177025943 A KR20177025943 A KR 20177025943A KR 20180044838 A KR20180044838 A KR 2018004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end ring
peripheral portion
reinforcing member
conduct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133B1 (ko
Inventor
히로아키 모리야
요시하루 다카시마
신지로 야마네
요시키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 H02K17/168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having single-cag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02K1/30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using intermediate parts, e.g. spi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6Rotor cores with slots fo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16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 H02K17/165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internally short-circuited windings, e.g. cage rotors characterised by the squirrel-cage or other short-circui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arranged in slots

Abstract

유도 전동기(300)의 회전자(100)는, 회전자 철심(1)의 단부에 마련되며, 회전자 철심(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에 접속된 고리 모양의 엔드 링(3-1, 3-2)과, 회전자 철심(1) 및 엔드 링(3-1, 3-2)의 사이에 마련되고, 엔드 링(3-1, 3-2)에 접하는 고리 모양의 제1 보강 부재(4-1, 4-2)를 구비하며, 제1 보강 부재(4-1, 4-2)에는, 회전자 철심(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4a)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본 발명은 유도(誘導)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작 기계용 유도 전동기에 대한 고속 회전화의 니즈(needs)가 높아지고 있다. 회전자가 고속 회전하고 있을 때,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마련된 엔드 링은 원심력에 의해 변형한다. 그 때문에, 유도 전동기의 기동(起動) 및 정지가 반복될 때마다, 또는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변화할 때마다, 엔드 링 및 도체 바(bar)의 접속점에는 응력이 가해져, 회전자의 피로 수명이 저하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는, 성층(成層) 철심인 회전자 철심과, 회전자 철심에 관통하는 축과, 회전자 철심에 관통하는 바구니형 도체 바와, 회전자 철심의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는 고리 모양의 단락(短絡) 링인 엔드 링(end ring)과, 엔드 링과 축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고리 모양의 지지 링인 제1 보강 부재와, 엔드 링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고리 모양의 수축 끼움(shrink fitting) 링인 제2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엔드 링에 제2 보강 부재가 수축 끼움되기 때문에, 엔드 링에는 제2 보강 부재로부터의 압축력이 부가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의 회전시에서의 엔드 링의 변형이 억제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9-10305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서는, 회전자가 회전했을 때에 회전자 철심의 단부와 엔드 링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도체 바가 변형되기 때문에, 도체 바에 접속된 엔드 링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설계 수명 보다도 짧은 기간에 회전자의 교환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명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는, 회전자 철심과, 회전자 철심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으로 회전자 철심을 관통하는 도체 바(bar)와, 회전자 철심의 단부에 마련되며, 회전자 철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에 접속된 고리 모양의 엔드 링(end ring)과, 회전자 철심 및 엔드 링의 사이에 마련되며, 엔드 링에 접하는 고리 모양의 제1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제1 보강 부재에는, 회전자 철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는, 회전자의 수명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엔드 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제2 보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의 회전자 철심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VII-V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에 대한 비교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IX-I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의 제1 보강 부재를 이용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가 회전했을 때에 엔드 링이 변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서 회전 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엔드 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서 회전 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엔드 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가 구비하는 제1 보강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III-I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엔드 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내는 제2 보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의 회전자 철심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VII-VII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도 전동기(300)는, 고정자(200)와, 고정자(200)의 내측에 마련되는 회전자(100)를 구비한다. 고정자(200)는, 통 모양의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측에 마련되는 고정자 철심(220)을 구비한다. 고정자 철심(220)은, 미도시의 전자 강판 모재로부터 고리 모양으로 타발된 복수의 박판을, 회전자 철심(1)의 중심축(AX)의 축선 방향(D1)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박판은, 코킹(caulking),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고정자 철심(220)에는 복수의 코일(230)이 배치되어 있다. 축선 방향(D1)에서의 코일(230)의 일단측의 코일 엔드는, 고정자 철심(220)의 일단면으로부터 축선 방향(D1)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선 방향(D1)에서의 코일(230)의 타단측의 코일 엔드는, 고정자 철심(220)의 타단면으로부터 축선 방향(D1)으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자(100)는, 통 모양의 회전자 철심(1)과, 회전자 철심(1)의 관통 구멍(1a)에 관통하는 샤프트(2)를 구비한다. 회전자 철심(1)은, 회전자 철심(1)의 외주면 근처에 마련되며, 회전자 철심(1)의 중심축(AX)의 축선 둘레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코어 슬롯(5)과, 복수의 코어 슬롯(5)의 각각에 마련되어 축선 방향(D1)으로 회전자 철심(1)을 관통하는 도체 바(6)를 가진다.
또 회전자(100)는, 축선 방향(D1)에서의 회전자 철심(1)의 일방의 단부인 일단부(1b1)에 마련된 고리 모양의 엔드 링(3-1)과, 회전자 철심(1) 및 엔드 링(3-1)의 사이에 마련되며, 엔드 링(3-1)에 접하는 고리 모양의 제1 보강 부재(4-1)와, 축선 방향(D1)에서의 회전자 철심(1)의 타방의 단부인 타단부(1b2)에 마련된 고리 모양의 엔드 링(3-1)과, 회전자 철심(1) 및 엔드 링(3-2)의 사이에 마련되며, 엔드 링(3-2)에 접하는 고리 모양의 제1 보강 부재(4-2)를 구비한다.
엔드 링(3-1)에는,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의 일단부(6a)가 접속된다. 엔드 링(3-1)의 내주부(3a)는 제1 보강 부재(4-1)에 접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드 링(3-1)의 내주부(3a)에는, 엔드 링(3-1)의 회전자 철심(1)과는 반대측의 단부(3d) 근처의 부분에 경사면(3e)이 형성된다. 엔드 링(3-1)의 경사면(3e)은, 축선 방향(D1)에서 회전자 철심(1)으로부터 엔드 링(3-1)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다. 엔드 링(3-2)에는, 회전자 철심(1)의 타단부(1b2)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의 타단부(6b)가 접속된다. 엔드 링(3-2)의 내주부(3a)는 제1 보강 부재(4-2)에 접한다. 엔드 링(3-2)의 내주부(3a)에는, 엔드 링(3-2)의 회전자 철심(1)과는 반대측의 단부(3d) 근처의 부분에 경사면(3e)이 형성된다. 엔드 링(3-2)의 경사면(3e)은, 축선 방향(D1)에서 회전자 철심(1)으로부터 엔드 링(3-2)을 향해 넓어지는 형상이다. 즉, 엔드 링(3-1, 3-2)은, 축선 방향(D1)에서, 제1 보강 부재(4-1, 4-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넓어지도록 경사면(3e)을 가진다. 엔드 링(3-1) 및 엔드 링(3-2)에 경사면(3e)이 형성되는 이유는 후술한다.
제1 보강 부재(4-1)에는,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4a)이 형성되고, 제1 보강 부재(4-2)에는, 회전자 철심(1)의 타단부(1b2)로부터 돌출되는 도체 바(6)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4a)이 형성된다. 제1 보강 부재(4-1) 및 제1 보강 부재(4-2)의 각각에 형성된 삽입 구멍(4a)의 내경은, 도체 바(6)의 외경과 동일하다. 제1 보강 부재(4-1) 및 제1 보강 부재(4-2)의 각각의 중심부에는 관통 구멍(4b)이 형성된다. 샤프트(2)는, 제1 보강 부재(4-1) 및 제1 보강 부재(4-2)의 각각의 관통 구멍(4b)과 회전자 철심(1)의 관통 구멍(1a)에 관통하고 있다.
또 회전자(100)는, 엔드 링(3-1)의 외주부(3b)에 마련된 제2 보강 부재(5-1)와, 엔드 링(3-2)의 외주부(3b)에 마련된 제2 보강 부재(5-2)를 구비한다. 제2 보강 부재(5-1)의 내주부(5a)는 엔드 링(3-1)의 외주부(3b)에 접하고 있고, 제2 보강 부재(5-2)의 내주부(5a)는 엔드 링(3-2)의 외주부(3b)에 접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엔드 링(3-1) 및 엔드 링(3-2)을 간단히 엔드 링(3-1, 3-2)으로 칭하고, 제1 보강 부재(4-1) 및 제1 보강 부재(4-2)를 간단히 제1 보강 부재(4-1, 4-2)로 칭하며, 제2 보강 부재(5-1) 및 제2 보강 부재(5-2)를 간단히 제2 보강 부재(5-1, 5-2)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 부재(4-1, 4-2), 제2 보강 부재(5-1, 5-2) 및 회전자 철심(1)의 각각의 외경은 동일한 치수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4-1, 4-2)의 외주부로부터 삽입 구멍(4a)까지의 사이의 폭(RDW1)은, 제2 보강 부재(5-1, 5-2)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5a)까지의 폭(RDW2) 보다도 좁다. 제1 보강 부재(4-1, 4-2)의 폭(RDW1)이 넓어질수록, 회전자 철심(1)의 지름 방향(D3)에서의 도체 바(6)의 일단부(6a) 및 타단부(6b)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도체 바(6)의 저항값은 증가하지만, 제1 보강 부재(4-1, 4-2)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1 보강 부재(4-1, 4-2)에 의한 엔드 링(3-1, 3-2)의 보강 효과는 향상된다. 보강 효과는, 원심력 및 열팽창에 기인한 엔드 링(3-1, 3-2)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이다. 보강 효과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 제2 보강 부재(5-1, 5-2)의 폭(RDW2)이 넓어질수록, 엔드 링(3-1, 3-2)의 직경이 작아지고, 엔드 링(3-1, 3-2) 및 도체 바(6)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엔드 링(3-1, 3-2) 및 도체 바(6)의 접속점에서의 저항값은 증가하지만, 제2 보강 부재(5-1, 5-2)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2 보강 부재(5-1, 5-2)에 의한 엔드 링(3-1, 3-2)의 보강 효과는 향상된다. 그 때문에 제1 보강 부재(4-1, 4-2)의 폭(RDW1) 및 제2 보강 부재(5-1, 5-2)의 폭(RDW2)은, 엔드 링(3-1, 3-2) 및 도체 바(6)의 사이의 저항값과, 엔드 링(3-1, 3-2)의 보강 효과를 감안하여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보강 부재(4-1, 4-2), 제2 보강 부재(5-1, 5-2) 및 회전자 철심(1)의 외형을 동일한 치수로 했지만, 각각의 외경을 다른 치수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제2 보강 부재(5-1, 5-2)의 내주부(5a)가 제1 보강 부재(4-1, 4-2)의 삽입 구멍(4a)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2 보강 부재(5-1, 5-2)에 의해, 제1 보강 부재(4-1, 4-2)를 억제하도록 배치하면 좋다.
회전자 철심(1)은, 미도시의 전자 강판 모재로부터 고리 모양으로 타발된 복수의 박판을 축선 방향(D1)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박판은, 코킹,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복수의 코어 슬롯(5)의 각각은, 축선 방향(D1)으로 연장되고,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로부터 타단부(1b2)로 관통하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어 슬롯(5)의 각각은, 축선 둘레 방향(D2)으로 스큐(skew)되어 있다.
엔드 링(3-1), 엔드 링(3-2) 및 도체 바(6)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의 도체 재료를 예시할 수 있다. 도체 재료를 이용한 다이캐스트 또는 납땜에 의해, 엔드 링(3-1, 3-2) 및 도체 바(6)가 형성된다.
물체에 작용하는 원심력은, 물체의 반경 및 각속도 뿐만 아니라 물체의 질량에도 의존한다. 제1 보강 부재(4-1, 4-2) 및 제2 보강 부재(5-1, 5-2)는, 원심력 및 열팽창에 기인한 엔드 링(3-1, 3-2)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 원심력에 대해서 변형되기 어렵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보강 부재(4-1, 4-2) 및 제2 보강 부재(5-1, 5-2)에는, 엔드 링(3-1, 3-2)의 재료 보다도 단위 질량당 인장 강도가 높은 재료가 이용된다. 제1 보강 부재(4-1, 4-2) 및 제2 보강 부재(5-1, 5-2)의 재료로서는, 철, 티탄 또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예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4-1)는, 제1 보강 부재(4-1)의 내주부 근처에 마련된 제1 고리 모양부(41)와, 제1 보강 부재(4-1)의 외주부 근처에 마련되며, 제1 고리 모양부(41)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제2 고리 모양부(42)를 구비한다. 제2 고리 모양부(42)의 외경(OD2)은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경(OD1) 보다도 크다. 또, 제1 고리 모양부(41)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은, 제2 고리 모양부(42)의 축선 방향에서의 폭 보다도 크다. 즉, 제1 보강 부재(4-1)에는, 제1 고리 모양부(41)와 제2 고리 모양부(42)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형성된다. 제2 고리 모양부(42)에는, 제2 고리 모양부(42)의 외주부 근처에,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내어지는 삽입 구멍(4a)이 마련된다. 제1 고리 모양부(41) 및 제2 고리 모양부(42)가 일체 성형되는 것에 의해 제1 보강 부재(4-1)가 형성되지만, 제1 보강 부재(4-1)는, 개별로 제작된 제1 고리 모양부(41) 및 제2 고리 모양부(42)를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다. 또, 제1 보강 부재(4-2)는 제1 보강 부재(4-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회전자(100)의 제작시에는, 먼저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에 제1 보강 부재(4-1)가, 타단부(1b2)에 제1 보강 부재(4-2)가 장착된다. 그 후, 전술한 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다이캐스트에 의해 도체 바(6) 및 엔드 링(3-1, 3-2)가 일체 성형된다.
엔드 링(3-1, 3-2)의 내주부(3a)는, 도 7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에 접한다. 또 엔드 링(3-1, 3-2)의 회전자 철심(1)측의 단부(3c)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 고리 모양부(42)의 회전자 철심(1)과는 반대측의 단부(42a)에 접한다. 즉, 엔드 링(3-1, 3-2)은, 제1 보강 부재(4-1, 4-2)의 단차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엔드 링(3-1, 3-2)의 각각의 외주부(3b)에 절삭 가공이 실시되고, 도 5에서 나타내는 제2 보강 부재(5-1, 5-2)에 절삭 가공 후의 엔드 링(3-1, 3-2)의 외주부(3b)가 조여 끼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강 부재(5-1)에 엔드 링(3-1)이 수축 끼움되고, 제2 보강 부재(5-2)에 엔드 링(3-2)이 수축 끼움된다. 마지막으로 제1 보강 부재(4-1, 4-2)의 각각의 관통 구멍(4b)과 회전자 철심(1)의 관통 구멍(1a)이 동일 치수로 마무리 가공되며, 관통 구멍(4b) 및 관통 구멍(1a)의 내측에 샤프트(2)가 수축 끼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4b) 및 관통 구멍(1a)의 내측에 샤프트(2)가 수축 끼움된다.
또한 엔드 링(3-1, 3-2)은, 제2 보강 부재(5-1, 5-2)에 수축 끼움되기 전에, 엔드 링(3-1, 3-2)의 외주부(3b)측으로부터 X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탐상(探像) 검사가 행하여진다. 이 타이밍에서 탐상 검사가 행하여지는 것은, 제2 보강 부재(5-1, 5-2) 및 엔드 링(3-1, 3-2)의 각각을 구성하는 재료의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엔드 링(3-1, 3-2) 및 제2 보강 부재(5-1, 5-2)에 수축 끼움된 상태에서는, 엔드 링(3-1, 3-2)의 검사에 적절한 에너지의 X선이 제2 보강 부재(5-1, 5-2)를 투과 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2 보강 부재(5-1, 5-2)에 수축 끼움되기 전에 엔드 링(3-1, 3-2)의 외주부(3b)측으로부터 X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엔드 링(3-1, 3-2)의 내부를 정밀도 좋게 검사할 수 있다.
엔드 링(3-1, 3-2)에는, 회전시에 원심력에 의해 지름 방향(D3)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로부터 돌출된 도체 바(6)의 일단부(6a)가 제1 보강 부재(4-1)의 삽입 구멍(4a)에 삽입됨과 아울러, 회전자 철심(1)의 타단부(1b2)로부터 돌출된 도체 바(6)의 타단부(6b)가 제1 보강 부재(4-2)의 삽입 구멍(4a)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엔드 링(3-1, 3-2)에 원심력이 작용했을 때, 회전자 철심(1)으로부터 돌출된 도체 바(6)의 양단부는, 제1 보강 부재(4-1, 4-2)의 삽입 구멍(4a)에 접한다. 이것에 의해 도체 바(6)의 양단부의 변형이 억제되고, 엔드 링(3-1, 3-2)의 변형도 억제된다. 따라서, 회전자(100)의 기동 및 정지가 반복될 때마다 엔드 링(3-1, 3-2)에 생기는 응력 진폭이 저감되고, 또는 회전자(100)의 회전 속도가 변화할 때마다 엔드 링(3-1, 3-2)에 생기는 응력 진폭이 저감되기 때문에, 엔드 링(3-1, 3-2)의 피로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보강 부재(4-1, 4-2)에 의한 엔드 링(3-1, 3-2)의 보강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에 대한 비교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IX-IX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 4-2)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A, 4-2A)와의 차이점은 이하와 같다.
(1) 제1 보강 부재(4-1A, 4-2A)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 고리 모양부(42) 대신에 제2 고리 모양부(42A)를 구비한다.
(2) 제2 고리 모양부(42A)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삽입 구멍(4a)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2 고리 모양부(42A)의 외경 치수(OD3)는, 도 7에 나타내는 제2 고리 모양부(42)의 외경(OD2) 보다도 작고, 또한,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경(OD1) 보다도 크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관한 제1 보강 부재를 이용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가 회전했을 때에 엔드 링이 변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100A)는, 회전자 철심(1), 도체 바(6), 엔드 링(3-1) 및 제2 보강 부재(5-1)를 구비함과 아울러,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A)를 구비한다.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2 고리 모양부(42A)의 외주부는 도체 바(6)에 접한다. 즉, 복수의 도체 바(6)는 제1 보강 부재(4-1A, 4-2A)의 외주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도 10에는, 회전자(100A)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서의 도체 바(6), 엔드 링(3-1) 및 제2 보강 부재(5-1)의 외형이 실선으로 나타내어지고,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100A)가 고속 회전하고 있을 때에 변형한 도체 바(6), 엔드 링(3-1) 및 제2 보강 부재(5-1)의 외형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진다.
회전자(100A)의 정지시에서의 엔드 링(3-1)의 내주부(3a)는,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에 접한다. 엔드 링(3-1)에는 제2 보강 부재(5-1)가 수축 끼움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보강 부재(5-1)로부터의 압축력이 엔드 링(3-1)에 부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의 내주부(3a)와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생긴다. 이 마찰력은, 회전자(100A)의 회전시 및 열팽창시에서의 엔드 링(3-1)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자(100A)의 회전시에서의 엔드 링(3-1)에는, 원심력에 의해 지름 방향(D3)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회전자(100A)의 회전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엔드 링(3-1)은, 도체 바(6)와의 접속점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변형한다. 이 때 엔드 링(3-1)은, 엔드 링(3-1)의 내주부(3a)와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와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에 저항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D3)의 외측으로 벌어진다.
회전자(100A)의 회전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엔드 링(3-1)의 위치 변형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회전자(100A)의 회전 속도가 낮을 때에 비해 엔드 링(3-1)에 생기는 응력 진폭, 즉 회전시와 정지시의 위치 변형량이 커진다. 회전자(100A)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될 때마다, 또는 회전자(100A)의 회전 속도가 변화할 때마다, 엔드 링(3-1)의 내경 및 외경이 확대와 축소를 반복하기 때문에, 엔드 링(3-1)에서의 금속 피로가 진행된다. 한편, 엔드 링(3-1)의 위치 변형에 따라, 엔드 링(3-1)에 접속되는 도체 바(6)의 일단부(6a)는,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를 지점으로 하여 지름 방향(D3)의 외측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회전자(100A)의 회전 및 정지가 반복될 때마다, 또는 회전자(100A)의 회전 속도가 변화할 때마다, 도체 바(6)의 일단부(6a)에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도체 바(6)의 일단부(6a)에서의 금속 피로가 진행된다. 그 결과, 회전자(100A)에서는, 설계 수명 보다도 짧은 기간에 회전자(100A)의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자(100)에서는, 도체 바(6)의 일단부(6a)가 제1 보강 부재(4-1)의 삽입 구멍(4a)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에는, 회전자 철심(1)의 일단부(1b1)로부터 돌출된 도체 바(6)의 지름 방향(D3) 외측으로의 변형은, 제1 보강 부재(4-1)에 의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회전자(100A)에 비해 도체 바(6)의 일단부(6a)의 변형이 억제되고, 도체 바(6)에 접속되는 엔드 링(3-1)의 보강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회전자(100)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회전자(100A)에 비해, 엔드 링(3-1)에 생기는 응력 진폭이 저감되어, 엔드 링(3-1)의 피로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자(100)의 수명의 저하가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자(100)의 엔드 링(3-1, 3-2)의 내주부(3a) 중,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에 접하는 부분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3)이, 엔드 링(3-1, 3-2)의 외주부(3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5) 보다도 좁은 이유를 설명한다.
도 11은 제1 변형예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서 회전 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엔드 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서 회전 속도가 변화했을 때의 엔드 링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자(100)에 대해서, 도 11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회전자(100)의 제1 변형예인 회전자(100B)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는, 위로부터 순서대로, 정지 상태일 때, 고속 회전 상태일 때, 고속 회전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되돌아왔을 때에서의 회전자가 나타내어진다.
또, 도 11의 회전자(100B)를 이용해도, 도체 바(6)가 제1 보강 부재(4-1B)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에서의 원심력에 의한 엔드 링(3-1A) 및 도체 바(6)의 지름 방향(D3) 외측으로의 위치 변형을 억제한다고 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와 도 12에 나타내는 회전자(100)와의 차이점은 이하와 같다.
(1)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는, 도 12에 나타내는 엔드 링(3-1) 대신에 엔드 링(3-1A)을 구비하며, 도 12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 대신에 제1 보강 부재(4-1B)를 구비한다.
(2) 제1 보강 부재(4-1B)는, 도 12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 대신에 제1 고리 모양부(41A)를 구비한다.
(3) 도 12에서 나타내는 회전자(100)는, 열팽창에 의한 도체 바(6)의 변형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에 비해 회전자의 수명의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에서는, 엔드 링(3-1A)의 내주부(3a) 전체가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에 접하고 있고,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1)이, 엔드 링(3-1A)의 외주부(3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과 동일하다. 또 회전자(100B)에서는,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2)이,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의 폭(ADW1)과 동일하다.
이것에 대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회전자(100)에서는, 엔드 링(3-1)의 내주부(3a) 중,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에 접하는 부분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3)이,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5) 보다도 좁다. 또 회전자(100)에서는,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ADW4)은,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폭(ADW5) 보다도 좁고, 또, 엔드 링(3-1)의 내주부(3a)의 폭(ADW3)과 동일하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엔드 링(3-1)의 내주부(3a)의 폭(ADW3)은, 도 11에 나타내는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의 폭(ADW1) 보다도 좁고, 도 12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의 폭(ADW4)은, 도 11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의 폭(ADW2) 보다도 좁다.
도 11의 위로부터 1번째에 나타내는 정지 상태의 회전자(100B)에서는, 엔드 링(3-1A)이 제2 고리 모양부(42)의 단부(42a)에 접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자가 회전 구동될 때, 발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회전자 부재가 열팽창한다. 엔드 링(3-1, 3-2)이나 도체 바(6)는 열팽창율이 높은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형상 변형이 생긴다. 회전자가 정지하면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열 사이클(cycle)에 의한 형상 변화에 의해, 회전자의 수명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열팽창의 영향을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열팽창의 영향이 큰 축선 방향(D1)의 변형에 주목한다.
회전자(100B)는 회전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도체 바(6)가 축선 방향(D1)으로 열팽창하고, 엔드 링(3-1A)은, 도 11의 위로부터 2번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축선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엔드 링(3-1A)이 제2 고리 모양부(42)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2 고리 모양부(42)의 단부(42a) 및 엔드 링(3-1A)의 사이에는 간극(G1)이 생긴다.
그 후, 회전자(100B)의 회전 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온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엔드 링(3-1A)은, 도체 바(6)의 열수축에 의해 도 11의 위로부터 3번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D1)으로 이동하여 제2 고리 모양부(42)에 가까워진다. 이 때 도체 바(6)가 수축하는 힘이,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 및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의 사이의 마찰력과 균형을 이룸으로써, 엔드 링(3-1A)의 이동이 정지한다. 따라서, 제2 고리 모양부(42) 및 엔드 링(3-1A)의 사이에는, 간극(G1) 보다도 좁은 간극(G2)이 생긴다. 간극(G2)에 존재하는 도체 바(6)는, 제2 고리 모양부(42)에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간극(G2)이 없을 때에 비해, 엔드 링(3-1A)의 원심력에 의한 지름 방향(D3)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보강 효과가 저하된다.
여기서, 엔드 링(3-1)과 제1 보강 부재(4-1)와의 사이에서의 마찰력에 관해서, 하중과 마찰력과의 사이에는 실제로는 비선형성이 있기 때문에, 2개의 물체 사이의 접촉 면적이 좁아질수록 마찰력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도 12의 엔드 링(3-1)의 내주부(3a)의 폭(ADW3)은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폭(ADW5) 보다도 좁기 때문에, 도 12의 제1 고리 모양부(41) 및 엔드 링(3-1)의 접촉 면적은, 도 11의 제1 고리 모양부(41A) 및 엔드 링(3-1A)의 접촉 면적 보다도 좁다. 따라서,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도 11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 보다도 작게 된다. 이하에서는,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간단히 '제1 마찰력'이라고 칭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A)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A)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간단히 '제2 마찰력'이라고 칭한다.
도 12의 위로부터 1번째에 나타내는 정지 상태의 회전자(100)에서는, 엔드 링(3-1)이 제2 고리 모양부(42)의 단부(42a)에 접하고 있다.
회전자(100)의 회전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도체 바(6)의 열팽창에 기인하여, 엔드 링(3-1)은, 도 12의 위로부터 2번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와 엔드 링(3-1)의 내주부(3a)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저항하여 축선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엔드 링(3-1)이 제2 고리 모양부(42)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제2 고리 모양부(42)의 단부(42a) 및 엔드 링(3-1)의 사이에는, 간극(G3)이 생김과 아울러, 도체 바(6)의 일단부(6a)가 잡아 늘려져 탄성 변형된다.
그 후, 회전자(100)의 회전 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엔드 링(3-1)은, 도체 바(6)의 수축력에 의해, 도 12의 위로부터 3번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D1)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100)에서의 제1 마찰력은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에서의 제2 마찰력 보다도 작기 때문에, 회전자(100)에서는, 제2 고리 모양부(42)의 단부(42a) 및 엔드 링(3-1)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도 11에 나타내는 간극(G2) 보다도 좁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자(100)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에 비해 회전시의 원심력에 의한 지름 방향(D3) 외측으로의 엔드 링(3-1)의 변형을 억제하는 보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엔드 링(3-1)의 내주부(3a)의 폭(ADW3)이,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폭(ADW5)과 동일한 경우에도,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의 폭(ADW4)을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폭(ADW5) 보다도 좁게 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100)에서의 제1 마찰력은 도 11에 나타내는 회전자(100B)에서의 제2 마찰력 보다도 작게 된다. 단, 엔드 링(3-1, 3-2)의 열화(劣化)의 진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전술한 경사면(3e)을 엔드 링(3-1, 3-2)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엔드 링(3-1)의 내주부(3a)의 폭(ADW3)을 엔드 링(3-1)의 외주부(3b)의 폭(ADW5) 보다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변형예에 관한 회전자(100C)의 부분 확대도가 나타내어진다. 회전자(100C)와 도 2에 나타내는 회전자(100)와의 차이점은 이하와 같다.
(1) 회전자(100C)는, 도 2에 나타내는 엔드 링(3-1) 대신에 엔드 링(3-1B)을 구비한다.
(2) 엔드 링(3-1B)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경사면(3e)이 생략되고, 엔드 링(3-1B)의 내주부(3a)는 평탄한 면 형상이며, 엔드 링(3-1B)의 내주부(3a)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은, 엔드 링(3-1B)의 외주부(3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제1 고리 모양부(41)의 외주부(41a)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은, 엔드 링(3-1B)의 외주부(3b)의 축선 방향(D1)에서의 폭 보다도 좁다.
도 13에는, 회전자(100C)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서의 도체 바(6), 엔드 링(3-1B) 및 제2 보강 부재(5-1)의 외형이 실선으로 나타내어지고, 회전자(100C)가 고속 회전하고 있을 때에 변형한 도체 바(6), 엔드 링(3-1B) 및 제2 보강 부재(5-1)의 외형이 점선으로 나타내어진다.
엔드 링(3-1B)은, 회전자 철심(1)의 외주면 근처에 마련된 도체 바(6)의 일단부(6a)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100C)가 회전하고 있을 때의 엔드 링(3-1B)은, 도체 바(6)의 일단부(6a)와의 접속점을 지점으로 하여 변형한다. 그 때문에 엔드 링(3-1B)의 내주부(3a) 및 단부(3d)의 사이의 각부(角部)(3f)에는, 각부(3f) 이외의 부분에 생기는 응력 진폭 보다도 훨씬 큰 응력 진폭이 생긴다.
구체적으로는, 엔드 링(3-1B)의 내주부(3a) 근처의 부분에 생기는 응력 진폭은, 엔드 링(3-1B)의 외주부(3b) 근처의 부분에 생기는 응력 진폭 보다도 크게 된다. 또 엔드 링(3-1B)의 회전자 철심(1)과는 반대측의 단부(3d) 근처의 부분에 생기는 응력 진폭은, 엔드 링(3-1B)의 회전자 철심(1)측의 단부(3c) 근처의 부분에 생기는 응력 진폭 보다도 크게 된다. 따라서, 회전시의 지점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엔드 링(3-1B)의 내주부(3a) 및 단부(3d)의 사이의 각부(角部)(3f)에는, 엔드 링(3-1B)전체 중에서 가장 큰 응력 진폭이 생기기 때문에, 각부(3f)는, 엔드 링(3-1B)전체 중에서도 가장 빨리 열화하여, 각부(3f)를 기점으로 하여 엔드 링(3-1B)의 열화가 진행된다.
도 2에 나타내는 회전자(100)의 엔드 링(3-1)에는, 엔드 링(3-1)의 내주부(3a) 및 단부(3d)의 사이에 경사면(3e)이 형성된다. 경사면(3e)이 형성된 엔드 링(3-1)에서는, 엔드 링(3-1) 전체 중에서도 가장 빨리 열화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회전자(100)는, 도 13에 나타내는 회전자(100C)에 비해, 엔드 링(3-1)의 피로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엔드 링(3-1, 3-2)의 경사면(3e)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만곡 형상이라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가 구비하는 제1 보강 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 4-2)와 도 14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C, 4-2C)와의 차이점은 이하와 같다.
(1) 제1 보강 부재(4-1C, 4-2C)는, 도 6에 나타내는 제1 고리 모양부(41) 대신에 제1 고리 모양부(41B)를 구비한다.
(2) 제1 고리 모양부(41B)의 회전자 철심(1)과는 반대측의 단부(41b)에는, 축선 둘레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사 구멍(41c)이 형성된다.
제2 고리 모양부(42)에는 복수의 삽입 구멍(4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구멍(4a)의 위치 및 크기에 의해, 회전자(100)의 중량에 언밸런스(unbalance)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언밸런스란, 축선 둘레 방향(D2)에 인접하는 삽입 구멍(4a)끼리의 간격이 균일하지 않고, 또 축선 둘레 방향(D2)으로 배열된 복수의 삽입 구멍(4a)의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중심축(AX)까지의 거리가 균일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이 언밸런스에 의해 회전자(100)가 회전했을 때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제1 보강 부재(4-1C, 4-2C)를 구비한 회전자(100)에서는, 제1 고리 모양부(41B)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 구멍(41c) 중, 일부의 나사 구멍(41c)에 미도시의 나사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중량의 언밸런스가 개선된다. 중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하는 방법으로서는, 나사 구멍(41c)을 마련하는 것 이외에도, 제1 보강 부재(4-1C, 4-2C)의 일부를 노치함으로써 중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하는 방법과, 에폭시 수지로 대표되는 밸러스트재(ballast材)를 제1 보강 부재(4-1C, 4-2C)에 도포함으로써 중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단 도 14에 나타내는 제1 보강 부재(4-1C, 4-2C)에서는, 미도시의 나사를 나사 구멍(41c)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중량의 언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의 언밸런스의 수정 작업이 용이화되되어, 회전자(100)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보강 부재(5-1, 5-2)를 구비한 회전자(100)를 설명했지만, 제2 보강 부재(5-1, 5-2)는 생략해도 괜찮다. 제2 보강 부재(5-1, 5-2)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회전자(100)에는 제1 보강 부재(4-1, 4-2)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회전 속도 이하에서는 엔드 링(3-1, 3-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보강 부재(5-1, 5-2)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일정한 회전 속도보다 높은 속도역에서도 엔드 링(3-1, 3-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제작된 제1 보강 부재(4-1, 4-2)에 다이캐스트에 의해 도체 바(6)를 형성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1 보강 부재(4-1, 4-2)는, 납땜에 의해 도체 바(6)를 형성한 후, 수축 끼움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제1 보강 부재(4-1, 4-2)를 도체 바(6)에 수축 끼움하는 경우, 복수의 도체 바(6) 중, 일부의 도체 바(6)가 제1 보강 부재(4-1, 4-2)에 접하는 것에 의해 팽창하여, 끼워 넣음 도중의 제1 보강 부재(4-1, 4-2)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서 머물 가능성이 있다. 다이캐스트에 의해 제1 보강 부재(4-1, 4-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보강 부재(4-1, 4-2)의 제조 작업의 실패에 기인한 수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회전자 철심 1a, 4b : 관통 구멍
1b1, 6a : 일단부 1b2, 6b : 타단부
2 : 샤프트 3-1, 3-1A, 3-1B, 3-2 : 엔드 링
3a, 5a : 내주부 3b, 41a : 외주부
3c, 3d, 41b, 42a : 단부 3e : 경사면
3f : 각부(角部)
4-1, 4-1A, 4-1B, 4-1C, 4-2 : 제1 보강 부재
4a : 삽입 구멍 5 : 코어 슬롯
5-1, 5-2 : 제2 보강 부재 6 : 도체 바
41, 41A, 41B : 제1 고리 모양부
41c : 나사 구멍 42, 42A : 제2 고리 모양부
100, 100A, 100B, 100C : 회전자
200 : 고정자 210 : 하우징
220 : 고정자 철심 230 : 코일
300 : 유도 전동기

Claims (7)

  1. 회전자 철심과,
    상기 회전자 철심의 중심축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회전자 철심을 관통하는 도체 바(bar)와,
    상기 회전자 철심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도체 바에 접속된 고리 모양의 엔드 링(end ring)과,
    상기 회전자 철심 및 상기 엔드 링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엔드 링에 접하는 고리 모양의 제1 보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보강 부재에는, 상기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도체 바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드 링의 외주부에 마련되며, 내주부가 상기 엔드 링의 외주부에 접하는 제2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는,
    제1 고리 모양부와,
    상기 제1 고리 모양부의 외주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고리 모양부 보다도 상기 축선 방향의 폭이 작은 제2 고리 모양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 구멍은, 상기 제2 고리 모양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엔드 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제1 고리 모양부의 외주부에 접하는 부분의 폭이,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상기 엔드 링의 외주부의 폭 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링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와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에는, 상기 회전자 철심의 중심축의 축선 둘레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전동기.
KR1020177025943A 2016-09-21 2016-09-21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KR101958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7862 WO2018055701A1 (ja) 2016-09-21 2016-09-21 誘導電動機の回転子及び誘導電動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38A true KR20180044838A (ko) 2018-05-03
KR101958133B1 KR101958133B1 (ko) 2019-03-13

Family

ID=5972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43A KR101958133B1 (ko) 2016-09-21 2016-09-21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78106A1 (ko)
JP (1) JP6189001B1 (ko)
KR (1) KR101958133B1 (ko)
CN (1) CN108141119A (ko)
DE (1) DE112016001455T5 (ko)
TW (1) TWI650920B (ko)
WO (1) WO2018055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511A (ko) 2022-03-11 2023-09-19 이권식 비닐장갑과 파지 자동 취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77B1 (ko) * 2017-06-29 2018-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기의 로터
EP3540923A1 (de) * 2018-03-12 2019-09-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äfigläufers
WO2022180784A1 (ja) * 2021-02-26 2022-09-01 株式会社日立インダストリアルプロダクツ 回転電機
CN114309543B (zh) * 2021-12-07 2023-12-05 卧龙电气驱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感应电机铸铝转子的生产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81U (ja) * 1991-12-13 1993-07-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速誘導電動機の回転子
JPH09103054A (ja) 1995-06-14 1997-04-15 Abb Daimler Benz Transport Schweiz Ag 非同期機のためのかご形ロータ
DE102005030377A1 (de) * 2005-06-29 2007-01-11 Siemens Ag Asynchronmaschine
JP2015159696A (ja) * 2014-02-25 2015-09-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端絡環を備える回転子、および電動機
WO2015151362A1 (ja) * 2014-03-31 2015-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籠型モータの回転子および籠型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714U (ko) * 1977-06-27 1979-01-27
JPS55106062A (en) * 1979-02-07 1980-08-14 Hitachi Ltd Squirrel-cage rotor having two end rings at both ends
JPS55127869A (en) * 1979-03-22 1980-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Ro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JPS57199460A (en) * 1981-05-29 1982-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Cage type induction motor
CN88202908U (zh) * 1988-04-06 1988-12-21 王常春 高速笼型转子端部结构
JPH06284608A (ja) * 1993-03-29 1994-10-07 Mitsubishi Electric Corp 交流回転機
JP3219642B2 (ja) * 1995-06-15 2001-10-15 株式会社東芝 かご形回転子の製造方法
JP3300200B2 (ja) * 1995-06-20 2002-07-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電機及び電動車両
CN101557149B (zh) * 2008-04-10 2011-09-07 何君 一种高速感应电动机的转子
CN201378782Y (zh) * 2009-04-03 2010-01-06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高转速异步电机鼠笼式转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981U (ja) * 1991-12-13 1993-07-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高速誘導電動機の回転子
JPH09103054A (ja) 1995-06-14 1997-04-15 Abb Daimler Benz Transport Schweiz Ag 非同期機のためのかご形ロータ
DE102005030377A1 (de) * 2005-06-29 2007-01-11 Siemens Ag Asynchronmaschine
JP2015159696A (ja) * 2014-02-25 2015-09-0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端絡環を備える回転子、および電動機
WO2015151362A1 (ja) * 2014-03-31 2015-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籠型モータの回転子および籠型モ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511A (ko) 2022-03-11 2023-09-19 이권식 비닐장갑과 파지 자동 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78106A1 (en) 2018-09-27
CN108141119A (zh) 2018-06-08
JP6189001B1 (ja) 2017-08-30
DE112016001455T5 (de) 2018-06-07
TW201815023A (zh) 2018-04-16
TWI650920B (zh) 2019-02-11
KR101958133B1 (ko) 2019-03-13
JPWO2018055701A1 (ja) 2018-09-27
WO2018055701A1 (ja)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133B1 (ko)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 및 유도 전동기
US8970077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JP6072395B1 (ja) 回転電機の回転子部材、回転電機の回転子及び回転電機
KR101908266B1 (ko) 전동기
KR101905370B1 (ko) 전동기
EP3402053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11502589B2 (en) Rotor of an induction machine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age winding of the rotor
EP2787607A2 (en) Electric machine rotor
JP6165385B1 (ja) 誘導電動機の回転子及び誘導電動機
JP2020092571A (ja) 磁石を押圧する補強部材を有する同期電動機の回転子
WO2017122289A1 (ja) 回転電機および加振装置
JP2020115730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US20220263363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rotor
WO2011114758A1 (ja) ステータおよび回転電機
JPWO2018078779A1 (ja) ローラ
JP2020202655A (ja) 固定子及び回転電機
JP2022118308A (ja) ローター、ローターを使用した回転電機、ローターのバランス調整方法、ロー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2019213281A (ja) 回転電機のロータ、及び回転電機
JP2015231304A (ja) 誘導機の回転子及び誘導機の回転子の製造方法
JP2021078330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JP2014183630A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96800A (ja) 永久磁石形回転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