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262A -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262A
KR20180044262A KR1020187002107A KR20187002107A KR20180044262A KR 20180044262 A KR20180044262 A KR 20180044262A KR 1020187002107 A KR1020187002107 A KR 1020187002107A KR 20187002107 A KR20187002107 A KR 20187002107A KR 20180044262 A KR20180044262 A KR 2018004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ater vapo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585B1 (ko
Inventor
나오 쿠스모토
세이치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A) 성분과,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Description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ADHESIVE WATER VAPOR BARRIER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와 관련된다.
근래, 유기 EL 장치 등의 화상 표시장치나, 유기 박막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구성 부재를 맞붙이게 할 때에 점착제 조성물이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장치를 구성하는 유기 막은 수분에 약하기 때문에, 해당 유기층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수증기의 투과를 막는 조치를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특허 문헌 1). 따라서, 수증기를 비롯한, 기체 배리어성을 가지는 점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04-9395호 공보
한편, 수증기의 투과를 막기 위해, 구성 부재끼리를 아크릴계 점착제로 접착한 경우, 아크릴계 점착제는 수증기 배리어성이 낮기 때문에, 점착제층의 단면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침수를 막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자는, 화상 표시장치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에 대해서 열심히 검토한 결과, 특정의 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이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밀착성, 내후성, 유연성, 단차 추종성, 투명성, 내습열백화성, 광누출 방지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내구성, 밀착성, 내후성, 유연성, 단차 추종성, 투명성, 내습열백화성, 광누출 방지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A) 성분과,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A) 성분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가지고,
상기 (B) 성분은, 브롬가가 10g/100g 이하이고 또한 연화점이 100℃ 이상인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이며,
상기 (C) 성분은,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는 성질을 가지고, 상온(23℃)에 있어서 액체이며,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이하인 수지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막두께가 5μm 이상 300μm 이하이며, 또한, 해당 점착제층의 막두께를 50μm로 한 경우의 해당 점착제층의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이다.
2. 상기 1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25g/m2ㆍday 미만일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A)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이중 결합의 수소 첨가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의 상기 (B) 성분과, 상기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의 상기 (C)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일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와 관련되는 화상 표시장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과, 상기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을 가지기 때문에, 높은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우수한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밀착성, 내후성, 유연성, 단차 추종성, 투명성, 내습열백화성, 광누출 방지성 및 가요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 표시장치는,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밀착성, 유연성, 내후성, 단차 추종성, 투명성, 내습열백화성, 광누출 방지성 또는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부정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부"를 의미하고, "%"는 "질량%"를 의미한다.
1.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이하, 단순히 "적층체"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음)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이다. 상기 점착제층은, (A) 성분과,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1.1. 적층체의 구체적인 예
도 1,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10은, 기재 1과, 기재 1의 상(기재 1의 표면)에 마련된 점착제층 2를 포함한다. 기재 1의 재질은, 유리 등의 무기 재료,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유기 재료일 수 있다. 덧붙여, 도 1에서는, 기재 1이 단층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혹은, 기재 1은, 무기 재료(예를 들면, Si, Al, In, Sn, Zn 및 Ti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1종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의 층)일 수 있다.
도 2에서 나타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20은, 기재 11과, 기재 11의 표면상에 마련된 점착제층 2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기재 11이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즉,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기재 11은, 제1 층 21과, 제1 층 21의 표면에 마련된 다른층(제2 층 22)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층 22의 상에 점착제층 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층 21의 재질은, 유리 등의 무기 재료, 기재 1로서 상기에서 예시되는 플라스틱 등의 유기 재료일 수 있다. 제2 층 22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고, 금속, 또는 산화 실리콘, 산질화 실리콘, 질화 실리콘 등의 세라믹 등의 무기계 배리어성 재료일 수도 있고, 기재 1로서 상기에서 예시되는 플라스틱 등의 유기 재료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층 21 또는 제2 층 22는 무기 재료(예를 들면, Si, Al, In, Sn, Zn 및 Ti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 질화물의층(예를 들면, 유기 필름상에 증착한 증착 필름 등)일 수 있다.
덧붙여, 도 2에서는, 점착제층 2가 기재 11의 제2 층 22의 상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기재 11의 제1 층 21에서, 제2 층 22가 마련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 2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제1 층 21과 제2 층 22 사이에서 점착제층 2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화상 표시장치인 적층체 30이 유기 EL 소자 3을 포함하는 예를 나타낸다. 즉, 도 3에서 나타낸 적층체 30은, 기재 1과, 기재 1의 상에 마련된 유기 EL 소자 3과, 기재 1의 상에 유기 EL 소자 3을 덮도록 마련된 점착제층 2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나타낸 적층체 30에 의하면, 점착제층 2가, 유기 EL 소자 3을 가리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유기 EL 소자 3이 밀봉되고 있기 위해, 유기 EL 소자 3에 수증기의 침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적층체 10, 20, 30에 의하면, 점착제층 2의 단면(도 1, 도 2, 도 3의 지면 횡방향)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침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 10, 20, 3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적층체의 제조 공정의 도중과 같이, 점착제층 2의 표면상에 다른층이 마련되지 않는 상태에서, 점착제층 2의 표면과 수직 방향(도 1, 도 2, 도 3의 지면 종방향)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침수도 차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의 점착제층 2는,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박리성 필름상에 형성한 점착제층 2를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에 의해,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점착제층 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수증기 투과율은, JIS Z0208, 40℃×90%RH(컵법)(1976년판)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일 수 있고, 10g/m2ㆍda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g/m2ㆍday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보통, 1×10-6g/m2ㆍday 이상임). 예를 들면, 기재 1, 11의 수증기 투과율이, 점착제층 2의 수증기 투과율 보다도 낮은 경우(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1, 11이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단면으로부터의 물의 침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적층체 10, 20, 30의 수증기 투과율은 실질적으로, 기재 1, 11의 수증기 투과율으로 될 수 있다.
점착제층 2의 막두께가 50μm인 경우의 점착제층 2의 수증기 투과율은,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이며, 25g/m2ㆍda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2g/m2ㆍday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보통, 1×10-4g/m2ㆍday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 50μm 근처의 수증기 투과율"이라는 것은, 막두께 50μm으로 조정한 점착제 단층의 Z0208, 40℃×90%RH에 있어서의 수증기 투과율의 측정 값(g/m2ㆍday)을 의미한다.
기재 1, 11의 막두께는, 보통 1μm 이상 500μm 이하이며, 5μm 이상 2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가 투명성을 가지는 경우(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의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이, JIS K7361 법(1997년판)에 있어서 85% 이상인 경우), 기재 1, 11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 법에 있어서 85% 이상(보통인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2. 수증기 배리어성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이며, 10g/m2ㆍda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g/m2ㆍday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증기 배리어성"이라는 것은, 수증기의 침수를 차단하는 성능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인 것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의하면, 상기 점착제층은 소수성이 우수하여, 해당 점착제층의 단면으로부터의 수증기의 침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수증기 배리어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3. 내구성, 광누출 방지성 및 점착성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우수한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광누출 방지성 및 점착성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의 내구성, 광누출 방지성 및 점착성은 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B) 성분에서 기인한다.
덧붙여, 광누출 방지성의 발현 기구로서는 이하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점착제층의 피착체가 편광판인 때, 점착제의 구성요소로서 특히 정(正)의 복굴절성을 가지는 수소 미첨가의 방향족 점착 부여제를 이용하면, 편광판의 수축에 따라 점착제층이 변형하여, 광학적 일그러짐이 발생한다. 여기서, 점착제의 구성요소로서, 정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B) 성분을 이용하면, 만약 수소 미첨가의 방향족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광학적 일그러짐이 억제되는 결과, 광누출 방지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1.4. 가요성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우수한 가요성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의 가요성은 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C) 성분에서 기인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가, 우수한 가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유연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 예를 들면, 만곡한 화상 표시장치와 접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의 우수한 가요성은, 해당 적층체에 포함되는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에 의해 규정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5℃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5×105Pa 이상 2.0×106Pa 이하인 것에 의해 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시판의 레오 미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1.5. 내습열백화성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소수성이 높은 것으로 해당 점착제층의 단면으로부터의 수증기가 침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횡방향(즉, 점착제층의 단면에 수직인 방향)로부터의 물의 침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소수성이 높기 때문에, 고온ㆍ고습 하에서도 흡습되기가 어려우므로, 점착제층의 백화가 억제되어 있다.
1.6. 그 외의 특성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투명성이 높은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전광선 투과율이, JIS K7361 법에 있어서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7. 점착제 조성물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포함되는 점착제층은, 후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직접 도포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박리성 필름상에 형성한 점착제층 2를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에 의해,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점착제층 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재 또는 박리 필름의 표면에 해당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것에 의해, 점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한다.
1.7.1. (A) 성분
(A) 성분인 수소 첨가(수소 첨가: hydrogenated)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가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공액(conjugate)디엔 단량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을 포함하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과 비교해, 수증기 배리어성에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A) 성분은, ABA형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트리블록체), AB형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디블록체), 또는 이러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BA형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및 AB형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의 "A"는 하드 세그먼트를 나타내고, "B"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A)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EPS)(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IS)의 부분 수소 첨가물),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B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BS)의 부분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E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BS)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형 블록 공중합체(SEP)(스티렌-이소프렌형 블록 공중합체(SI)의 부분 수소 첨가물), 스티렌-(에틸렌-부틸렌)형 블록 공중합체(SEB)(스티렌-부타디엔형 블록 공중합체(SB)의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B) 성분과의 상용성에 우수한 관점에서, (A) 성분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형 블록 공중합체(SEP), 스티렌-(에틸렌-부틸렌)형 블록 공중합체(SEB) 및 스티렌-(이소프렌-부타디엔)형 블록 공중합체(SEEPS)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A) 성분이, 트리블록체 및 디블록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트리블록체의 함유량은, 해당 혼합물에 대해 2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 디블록체의 함유량은, 해당 혼합물에 대해 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상용성을 가진다(compatible)" 또는 "상용한다(compatibilizing)"는 것은, 다른 2개의 성분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에 있어서, 혼탁 또는 상 분리가 눈으로 확인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B) 성분이 (C) 성분에 상용하는지 아닌지는, (B) 성분과, (C) 성분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과 (C)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해 얻어지는 혼합물에 있어서 혼탁의 발생, 또는, (B) 성분을 함유하는 상과 (C) 성분을 함유하는 상의 상 분리가 눈으로 보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B) 성분은 (C) 성분에 상용하는 것으로 하고, 한편, 상술한 혼탁 또는 상 분리가 눈으로 보여지는 경우, (B) 성분은 (C) 성분에 상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A) 성분으로서는, 시판의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면, SEP형의 셉톤 1001 및 1020, SEPS형의 셉톤 2002, 2004, 2005, 2006, 2007, 2063 및 2104, SEBS형의 셉톤 8004, 8006, 8007, 8076 및 8104(상기의 셉톤시리즈는 어느 것도 쿠라레사 제조), SEBS형의 터프텍 H1221, H1662, H1052, H1053, H1041, H1051, H1517, H1043, H1272 및 N504, SBBS형의 터프텍 P1500, P2000 및 JT83X(상기의 터프텍 시리즈는 어느 것도 아사히화성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내열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A) 성분에 있어서의 하드 세그먼트(예를 들면, 스티렌)의 함유비율은 5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A) 성분에 있어서의 하드 세그먼트의 함유비율이 5 질량% 미만이면 내열성에 열등해지며, 한편으로, 70 질량%를 넘으면, 점착제층이 지나치게 단단해져,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열등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C) 성분과의 상용성에 우수한 관점에서, (A) 성분을 구성하는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이중 결합의 수소 첨가율(수소 첨가율)(이하, 단지 "수소 첨가율"이라고도 말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덧붙여, 수소 첨가율은 10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흔적량(예를 들면, 0.001% 이상 0.1% 이하)의 이중 결합이 잔존해도 문제없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이중 결합의 수소 첨가율은,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이중 결합 중, 수소 첨가에 의해 포화되고 있는 것의 비율을 말한다.
여기서, (C) 성분이(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는지 아닌지, (A) 성분의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당하는 성분, 즉, 공액디엔 단량체만으로부터 합성되는 집합체와, (C) 성분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액디엔 단량체만으로부터 중합되는 집합체와 (C)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해 얻어지는 혼합물에 있어서 혼탁의 발생, 또는 해당 중합 물체를 함유하는 상과 (C) 성분을 함유하는 상 사이에서 상 분리의 발생이 눈으로 보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C) 성분은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는 것으로 하고, 한편으로, 상술의 혼탁 또는 상 분리가 눈으로 보여지는 경우, (C) 성분은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덧붙여, 후술하는 (C) 성분과,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와의 상용에 대해서도 이와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점착제층에 적당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 30만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 이상 30만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만 이상 25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성분이, 상술한 트리블록체 및 디블록체의 혼합물인 경우, (A)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해당 혼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한다.
1.7.2. (B) 성분
(B) 성분은, 브롬가가 10g/100g 이하이고 또한, 연화점(softening point)가 100 이상인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이다. (B) 성분은, 정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이,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B)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해당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에게 수증기 배리어성 및 적당한 경도를 부여하고, 또한, 해당 점착제층의 내구성, 내후성, 내열성, 광누출 방지성 및 점착력을 높일 수 있다. (B) 성분의 브롬가는, 수소 첨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보통, (B) 성분의 브롬가가 작을수록, (B) 성분의 수소 첨가율이 높은 것을 의미하며, (B) 성분의 수소 첨가율을 높이는 것에 의해, 내후성 및, (A) 성분 및 (C) 성분과의 상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의 브롬가는 8g/10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B) 성분의 브롬가는 예를 들면, JIS K2605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고, (B) 성분의 연화점은 예를 들면, JIS K2207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B) 성분은,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 및 (C) 성분에 상용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B) 성분은 예를 들면,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일 수 있다.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는, 예를 들면, 방향족 공중합체인 석유 수지의 수소 첨가물일 수 있다. (B) 성분으로서는, 양호한 상용성 및 점착성의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상 5,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한 수소 첨가 석유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시판의 디시클로펜타디엔/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아이마브 P-140(연화점 140℃, 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아이마브 P-125(연화점 125℃, 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아이마브 P-100(연화점 100℃, 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아이마브 S-110(연화점 110℃, 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아이마브 S-100(연화점 100℃, 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지환족포화탄화수소 수지인 아르콘 M135(연화점 135℃,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르콘 M115(연화점 115℃,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르콘 M100(연화점 100℃,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르콘 P140(연화점 140℃,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르콘 P115(연화점 115℃,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 아르콘 P100(연화점 100℃, 아라카와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조)를 들 수 있다. (B) 성분으로서,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내구성 및 점착력을 높일 수 있는 관점에서, (B) 성분의 연화점은 100℃ 이상일 수 있고,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20℃ 초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A) 성분과의 상용성을 조정하여, 시간에 따른(經時) 성능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B)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예를 들면, 5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를 초과하는 것도 좋음), 한편, 3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7.3. (C) 성분
(C) 성분은,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는 성질을 가지고, 상온(23℃)에 있어서 액체이며,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이하인 수지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액체"라는 것은, 점조성의 점탄성(viscoelastic) 액체와, 그 외 저점도의 액체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이 (C)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해당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적당한 유연성을 주어, 특히 요철이나 단차가 있는 피착체에 대한 단차 추종성(단순히 "단차 추종성"이라고 말하는 곳도 있음)을 높일 수 있다. 또한, (C) 성분이 (A) 성분을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 및 (B) 성분에 상용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C) 성분은 예를 들면, 폴리부텐계 화합물, 폴리이소부티렌계 화합물,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연화제일 수 있다. (C) 성분으로서 사용 가능한 연화제로서는, 시판의 연화제, 예를 들면, 폴리부텐계 화합물, 폴리이소부티렌계 화합물로서 닛세키(日石) 폴리부텐 LV-7, LV-50, LV-100, HV-15, HV-35, HV-50, HV-100, HV-300, HV-1900 및 SV-7000(어느 것도 JX 닛코닛세키 에너지사 제조), 테트락스 3T, 4T, 5T 및 6T, 하이몰 4H, 5H, 5. 5H 및 6H(어느 것도 JX 닛코닛세키 에너지사 제조), 폴리이소프렌계 화합물로서 쿠라프렌 LIR-290(쿠라레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 성분으로서,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더 단차 추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 관점에서, (C)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 성분의 수평균 분자량은 보통, 150 이상이다.
또한, (A) 성분과의 상용성을 조정하여,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C) 성분의 함유량은,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3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게다가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50 질량부 이상 1,0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부 이상 7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질량부 이상 60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해당 점착제 조성물 전체에 대해 6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7.4. 및 그 외의 성분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 이외의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 외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층상 점토 광물 등의 첨가제,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 및 용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BHT(분자량 220), 아데카스탭 AO-330(분자량 775)(ADEKA 제조), 이르가녹스 1076(분자량 531)(BASF사 제조)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트옥실란, 비닐트리에트옥실란 및 메타크릴로옥시프로필트리메트옥실란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규소 화합물; 3-글리시드옥시프로필트리메트옥실란, 3-글리시드옥시프로필메틸디메트옥실란 및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트옥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트옥실란, N-(2-아미노 에틸)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트옥실란 및 N-(2-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트옥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및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트옥실란; 올리고머형 실란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층상 점토 광물로서는 예를 들면, 스멕타이트(예를 들면, 루센타이트 SAN316, SAN, STN, SPN(코프케미칼사 제조) 등의 친유성 스멕타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8. 용도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수증기 배리어성을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유기 EL 장치 등의 화상 표시장치와, 유기 막을 가지는 태양전지 및 방수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1.9. 산가
게다가 피착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은 각각 산가가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산가는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 작용 효과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우수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상기 점착제층을 얻을 때에 사용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전체의 (B) 성분에서 기인하여, 우수한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광누출 방지성 및 점착성을 가지고, 또한, 상기 점착제층을 얻을 때에 사용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전체의 (C) 성분에서 기인하여, 우수한 유연성 및 가요성을 가진다. 또한, 유연성 및 가요성에서 기인하여 단차 추종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구성 부재끼리를 맞붙도록 할 때에, 맞붙이는 부분에 요철, 단차를 가지는 경우라도, 해당 요철, 단차를 공극 없어 충전할 수 있어, 해당 구성 부재끼리를 확실히 맞붙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가요성에서 기인하여, 접어서 구부림이 가능하거나 또는 감아 두는 것이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 내의 구성 부재의 맞붙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우수한 투명성 및 내습열백화성을 가진다.
게다가, 상기 점착제층을 얻을 때에 사용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B) 성분이 (C) 성분에 상용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연화점이 100℃ 이상인 (B)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내구성(내열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를 높일 수 있고, 또한, (C) 성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유연성 및 단차 추종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에서 기인하는, 연화점이 높은 성분에 의한 내열성 및 점착력의 향상 및, 브롬가가 10g/100g 이하인 것에 의한 광누출 방지성의 향상과, (C) 성분에서 기인하는, 유연성 및 단차 추종성의 향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고, 또한, 해당 (B) 성분과 (C) 성분이 상용하는 것으로, 점착제층에서 혼탁을 발생하게 하는 것도 없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예를 들면 유기 EL 장치) 및 태양전지는, 피착체에 적당한 정도의 점착력으로 첩착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다.
2. 점착제층(점착 시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점착 시트)는, (A) 성분과,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에서, (A) 성분, (B) 성분, (C) 성분의 합계 함유량은, 해당 점착제층의 전체를 100 질량%로 한 경우, 6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막두께가 5μm 이상 300μm 이하(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200μm 이하)이며, 또한, 해당 점착제층의 막두께를 50μm로 한 경우의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컵법)에서 30g/m2ㆍday 미만(바람직하게는, 25g/m2ㆍday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2g/m2ㆍday 미만)이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1 또는 기재 11의 표면에 직접 도포할 수 있지만, 박리성 필름상에 형성한 점착제층 2를 기재 11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에 의해, 기재 11의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 또는 박리성 필름상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 메이어바 코터, 에어나이프 코터, 롤 코터 등에 의해 도포하고, 도포된 해당 점착제 조성물을 상온 또는 가열에 의해 건조시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층을 제작할 수도 있다.
3. 화상 표시장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화상 표시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화상 표시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EL 장치(예를 들면, 도 3에서 나타낸 적층체 30), 액정 표시장치를 들 수 있다.
4.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4.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안전 깔때기 및 교반 장치를 갖춘 반응 용기에, 표 1 내에 기재된, (A) 성분 또는 비교 성분, (B) 성분, (C) 성분 또는 비교 성분 및 톨루엔 150 중량부를 놓고, 40℃로 5시간 교반하고,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조제했다.
4.2. 평가용 점착 시트(점착제층)의 제조
탈포 처리 후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에, 실시예 1 내지 10 및 비교예 1 내지 6의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90℃에서 3분 건조하고, 건조 막두께 50μm의 도막을 형성했다. 도막의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첩부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더 맞붙여, 2장의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끼워진 두께 50μm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를 얻었다.
4.3. 점착제층의 평가 방법
4.3.1. 수증기 투과율
수증기 투과율의 평가는, JIS Z0208에 준해 실시했다. 즉, 상기 4.2. 란에서 어진 평가용 점착 시트의 양면의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부직포를 맞붙인 후, 염화 칼슘 약10g을 넣은 투습 컵(내경 60mm)의 상에, 부직포로 사이에 기워진 평가용 점착 시트를 씌우고 주위를 봉지했다. 그 후, 투습 컵을 40℃×90%RH 환경 하에서 정치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4.3.2. 전광선 투과율
전광선 투과율의 평가는,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1mm의 유리판에 맞붙이고, 또 다른 한쪽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JIS K7361 법에 따라 23℃×50%RH 환경 하에서 실시했다.
4.3.3. 내후성(황변성)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를, 크세논 웨더미터를 이용하여 60W/m2의 조사 강도에서 600시간 조사한 시험 전후의 두께 50μm의 점착제층의 색상을 23℃×50% RH 환경하에서 비교 측정했다. Δb*가 2.0 이하인 경우,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고, Δb*가 2.0을 넘는 경우, 내후성이 열등한 것으로 판정한다.
4.3.4. 내습열백화성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 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맞붙여, 50mm 사방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다른 한쪽의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여, 시험편을 유리에 맞붙이게 하고 오트클레이브 처리한(50℃, 5atm, 20분) 후, 적층체의 헤이즈를 헤이즈 미터(형명 "HM-150",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초기 헤이즈). 계속하여 시료를 85℃×85%RH의 건조기에 24시간 넣고, 23℃×50%RH 환경 하에서 꺼내 1시간 방치한 후, 적층체의 헤이즈를 재차 측정했다(습열 후 헤이즈). 습열 후 헤이즈-초기 헤이즈를 Δ 헤이즈로 하고, Δ 헤이즈가 1.0 이하인 경우, 내습열백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하고, Δ 헤이즈가 1.0을 넘는 경우, 내습열백화성이 열등한 것으로 판정한다.
4.3.5. 단차 추종성
상기 4.2. 란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를, 막두께 100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전사하고, 50mm×50mm으로 재단하고 평가 시험편을 얻었다. 이어서, 15mm×15mm으로 재단한 막두께 25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유리판상에 두고, 유리판 위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15mm×15mm)의 전면에 점착제층이 덮히도록, 시험편(50mm×50mm)를 붙이고, 오토클레이브 처리(50℃, 5atm, 20분) 한 후, 상온 하에서 1시간 방치하고, 단차 부분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했다.
상기 내용에 입각하여,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단차 추종성을 이하의 평가 기준에서 평가했다.
(평가)
○: 눈으로, 맞붙임 단차 부분에 공극과 기포가 확인되지 않는다.
×: 눈으로, 맞붙임 단차 부분에 공극과 기포가 확인되었다.
4.3.6. 내구성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 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100μm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맞붙이고, 50mm 사방의 시험편을 제작했다. 다른 한쪽의 박리 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시험편을 유리에 맞붙여 오트클레이브 처리한(50℃, 5atm, 20분) 후, 시료를 85℃×85%RH의 건조기에 24시간 넣고, 23℃×50%RH 환경 하에서 꺼낸 후, 점착제층에서 발포와, 유리로부터의 들뜸ㆍ벗겨짐의 유무를 평가했다.
(평가)
○: 눈으로 발포와 들뜸ㆍ벗겨짐이 확인되지 않는다.
×: 눈으로 발포와 들뜸ㆍ벗겨짐이 확인되었다.
4.4. 적층체의 평가 방법
4.4.1. 수증기 투과율
수증기 투과율의 평가는,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 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50μm의 PET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기재(하이배리어 필름: 수증기 투과율: 1g/m2ㆍday 미만)에 맞붙이고, JIS Z0208(1976년판)에 따라, 40℃×90%RH 환경 하에서 실시했다.
4.4.2. 점착력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 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50μm의 PET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기재(상기 하이 배리어 필름)에 맞붙이고, 폭 25mm로 재단하여 시험편을 제작했다.
상기 시험편의 기재와 반대측의 면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 도공 면을 2kg의 롤러를 이용하여 유리에 압착했다. 첩부로부터 20분 후에 유리판으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23, 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300mm/분), 점착력(초기)을 23℃×50%RH 환경 하에서 측정했다.
4.4.3. 전광선 투과율
상기 4.2. 란에서 얻어지는 평가용 점착 시트의 한쪽 편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두께 50μm의 PET 수지를 베이스로 하는 기재(상기 하이 배리어 필름)에 맞붙이고, 다른 한쪽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더 박리하여 시험편을 제작했다. 전광선 투과율의 평가는, JIS K7361 법(1997년판)에 따라, 23℃×50% RH 환경 하에서 실시했다.
4.4.4. 도막 외관
적층체 내의 점착제층(도막)의 외관을, 눈으로 관찰했다.
[표 1]
Figure pct00001
덧붙여, 표 1에 있어서의 약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SEPS 수소 첨가 고무계 폴리머 1: SEPS 50 질량%와 SEP 50 질량%의 혼합물(스티렌 함유비율 15%, 중량 평균 분자량 13만, 수소 첨가율 90% 이상)
SEPS 수소 첨가 고무계 폴리머 2: SEPS 30 질량%와 SEB 70 질량%의 혼합물(스티렌 함유비율 30%, 중량 평균 분자량 10만, 수소 첨가율 90% 이상)
SEEPS 수소 첨가 고무계 폴리머 1: 스티렌, 이소프렌, 부타디엔 공중합체(스티렌 함유비율 13%, 중량 평균 분자량 13만)
SIS 폴리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비수소 첨가물) 아이마브 P-140: 연화점 140℃의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900, 브롬가: 2g/100g)
아이마브 S-110: 연화점 110℃의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이데미쓰고산 주식회사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760, 브롬가: 6g/100g)
LV-100: 폴리부텐(수평균 분자량 = 500)(JX 닛코닛세키 에너지 주식회사 제조) HV-300: 폴리부텐(수평균 분자량 = 1,400)(JX 닛코닛세키 에너지 주식회사 제조) TETRAX 3T: 폴리이소부텐 (중량 평균 분자량: 49,000)(JX 닛코닛세키 에너지 주식회사 제조) 오파놀 50SF: 폴리이소부티렌 수지(BASF사 제조, 수평균 분자량: 68,000, 중량 평균 분자량: 340,000)
FMR-0150: 연화점 145℃의 방향족계 점착 부여 수지(수소 비첨가물)(미쓰이 화학사제, 중량 평균 분자량: 2,040)
아데카스탭 AO-330: 페놀계 산화 방지제(주식회사 ADEKA 제조)
기재: 막두께 100μm, 전광선 투과율 90.0%, 수증기 투과율 4.8×10-4g/m2ㆍday의 투명한 배리어 필름
4.5. 평가 결과
표 1의 결과로부터, 본원 실시예 1 내지 10의 적층체는, 상기 점착제층은 (A)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와,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점착제층이 우수한 수증기 배리어성을 가지고, 또한, 내구성, 내후성, 투명성, 점착력, 단차 추종성 및 내습열백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실시예 1 내지 10의 적층체는 광누출 방지성, 유연성 및 가요성이 우수했다.
또한, 본원 실시예 10의 적층체는, 정의 복굴절성을 가지는 수소 미첨가의 방향족 점착 부여 수지를 (C)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본원 실시예 10의 적층체는, 정의 복굴절성을 갖지 않는 (B)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해당 점착제 조성물이 수소 미첨가의 방향족 점착 부여 수지인 (C) 성분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해당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적층체는 광학적 일그러짐이 억제되는 결과, 광누출 방지성을 가진다.
이것에 대해, 표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원 비교예 1의 조성물은 (C)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단차 추종성이 열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조성물은, (B) 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내구성 및 점착력이 열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의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수증기 배리어성이 열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의 조성물은, (B) 성분 대신에, (A) 성분과의 상용성이 열등한 방향족계 점착 부여 수지(수소 비첨가물)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투명성이 열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5의 조성물은, (C) 성분 대신에, 수평균 분자량이 50,000을 넘는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단차 추종성 및 점착력에 열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6의 조성물은, (A) 성분 대신에, 수소가 첨가되지 않은 블록 집합체(SIS 폴리머)를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층은 내후성이 뒤떨어지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상기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는, 수증기 배리어성, 내구성(특히, 고온 및/또는 고습 환경 하 등의 가혹한 환경 하에서의 내구성), 밀착성, 내후성, 유연성, 단차 추종성, 투명성, 내습열백화성 및 가요성을 필요로 하는 환경 하에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기재와, 상기 기재상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A) 성분과, (B) 성분과,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A) 성분인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가지고,
    상기 (B) 성분은, 브롬(臭素)가가 10g/100g 이하이고 또한 연화점이 100℃ 이상인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이며,
    상기 (C) 성분은,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에 상용하는 성질을 가지고, 상온(23℃)에 있어서 액체이며,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이하인 수지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막두께가 5μm 이상 300μm 이하이며, 또한, 해당 점착제층의 막두께를 50μm로 한 경우의 해당 점착제층의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25g/m2ㆍday 미만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공액디엔 단량체의 집합체 성분에 포함되는 이중 결합의 수소 첨가율이 90% 이상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방향족 공중합계의 수소 첨가 석유 수지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의 상기 (B) 성분과, 상기 (A) 성분 100 질량부에 대해 20 질량부 이상 500 질량부 이하의 상기 (C)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수증기 투과율이, JIS Z0208, 40℃×90%RH에 있어서 30g/m2ㆍday 미만인,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의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장치.
KR1020187002107A 2015-08-27 2016-08-18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223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8039 2015-08-27
JP2015168039 2015-08-27
PCT/JP2016/074085 WO2017033824A1 (ja) 2015-08-27 2016-08-18 粘着性水蒸気バリア性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262A true KR20180044262A (ko) 2018-05-02
KR102223585B1 KR102223585B1 (ko) 2021-03-04

Family

ID=5810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07A KR102223585B1 (ko) 2015-08-27 2016-08-18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24697B2 (ko)
KR (1) KR102223585B1 (ko)
CN (1) CN108138009B (ko)
TW (1) TWI806818B (ko)
WO (1) WO2017033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8528A4 (en) * 2017-03-17 2021-03-31 Zeon Corporation COMPOSITION FOR FUNCTIONAL LAYER IN A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FUNCTIONAL LAYER FOR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AQUEOUS RECHARGEABLE BATTERY
US10640277B2 (en) 2017-06-01 2020-05-05 Chef Pack, Llc Packaging for a food item
WO2023182493A1 (ja) * 2022-03-25 2023-09-28 味の素株式会社 樹脂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351A1 (ja) * 2012-11-30 2014-06-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471A (ja) * 2008-09-19 2010-04-0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透明粘着シート、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5416316B2 (ja) * 2011-06-28 2014-02-1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及び粘着性シート
WO2013183570A1 (ja) * 2012-06-08 2013-12-12 株式会社クラレ 水添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28239B1 (ko) * 2012-10-29 2020-06-30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CN105051141B (zh) * 2013-02-28 2018-01-30 综研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接剂组合物、光学用粘接片、图像显示装置和输入输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351A1 (ja) * 2012-11-30 2014-06-0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150092092A (ko) * 2012-11-30 2015-08-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접착 시트 및 전자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585B1 (ko) 2021-03-04
JPWO2017033824A1 (ja) 2018-06-14
TWI806818B (zh) 2023-07-01
WO2017033824A1 (ja) 2017-03-02
TW201714746A (zh) 2017-05-01
CN108138009B (zh) 2021-01-05
JP6924697B2 (ja) 2021-08-25
CN108138009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6870B2 (ja) 粘着性水蒸気バリア性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10795B1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입출력 장치
JP6374793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TWI732784B (zh) 黏著劑組成物、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光學薄膜、光學構件及影像顯示裝置
KR101876112B1 (ko) 유기 전자 디바이스 소자 밀봉용 수지 조성물, 유기 전자 디바이스 소자 밀봉용 수지 시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및 화상 표시장치
TW201029077A (en) Method for encapsulating an electronic arrangement
TWI669364B (zh) 黏著劑組成物、黏著片、積層體、畫像顯示裝置及輸出輸入裝置
KR101894741B1 (ko) 점착 시트
WO2015182369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粘着剤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23585B1 (ko) 점착성 수증기 배리어성 적층체 및 화상 표시장치
KR102166386B1 (ko) 특히 스트립퍼블 접착 스트립을 위한 접착제 매스 및 코팅된 우드칩 벽지에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
TW201313870A (zh) 黏著帶
WO2017047703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光学部材、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