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787A - 팽이 완구 - Google Patents

팽이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787A
KR20180042787A KR1020170050288A KR20170050288A KR20180042787A KR 20180042787 A KR20180042787 A KR 20180042787A KR 1020170050288 A KR1020170050288 A KR 1020170050288A KR 20170050288 A KR20170050288 A KR 20170050288A KR 20180042787 A KR20180042787 A KR 20180042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state
top toy
rotat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707B1 (ko
Inventor
마코토 무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까라토미
Publication of KR20180042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6Tops with integral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16Spinning-top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몸통체에 2개의 회동 부품을 구비하고, 흥취성이 높은 팽이 완구를 제공한다.
팽이 완구(1)는 몸통체(40)와 축부(10)를 구비한다. 몸통체(40)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동 부품을 갖는다. 이들 복수의 회동 부품 중 적어도 2개의 회동 부품(50, 60)은 서로 접촉하여 당해 2개의 회동 부품(50, 6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접촉부(58, 64)를 각각 가짐과 함께, 서로의 접촉부(58, 64)가 상기 2개의 회동 부품(50, 60)의 상대 회동에 수반하는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점차로 접촉 강도가 가벼워지고, 결국에는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는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결과, 회동 범위가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팽이 완구{SPINNING TOP TOY}
본 발명은 팽이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팽이 완구의 이동 형태를 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축부의 상측에, 대전 상대의 팽이 완구를 공격하는 기능을 구비한 몸통체가 설치된 구조의 팽이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이러한 종류의 팽이 완구로서, 몸통체가 상하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이 2개 층 부재의 각 외주에 돌출 설치된 날부가 서로의 주위 방향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또한 당해 2개의 층 부재가 주위 방향으로 가압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 참조).
실용 신안 등록 제3151700호 공보
http://www.beach.jp/circleboard/ac43609/topic/1100025965113
상기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팽이 완구는, 가압된 2개 층 부재의 상대 회동에 의해 새로운 공격 형태가 부가되어 있지만, 이 2개 층 부재의 상대 회동은 아무리 팽이 완구를 익숙하게 사용해도 변화가 없고, 그러한 점에서 흥취가 결여된 부분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몸통체에 2개의 회동 부품을 구비하는 것이며 흥취성이 높은 팽이 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수단은,
몸통체와 축부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이며,
상기 몸통체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회동 부품을 갖고,
상기 복수의 회동 부품 중 적어도 2개의 회동 부품은,
서로 접촉하여 당해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접촉부를 각각 가짐과 함께,
서로의 상기 접촉부가, 당해 2개 회동 부품의 상대 회동에 수반하는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점차로 접촉 강도가 가벼워지고, 결국에는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는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결과, 상기 회동 범위가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회동 부품 중 한쪽 회동 부품을 다른쪽 회동 부품과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면서, 당해 다른쪽 회동 부품에 고정된 다른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부품은 부속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부를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가 넓어지기 전의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한쪽 회동 부품에 폐색되어 있고, 당해 회동 범위가 넓어진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이 상대 회동하여 당해 구멍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2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을 상기 다른쪽 회동 부품에 대하여 하나의 회동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품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이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나의 회동 방향과는 반대인 다른 회동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3 수단에 있어서,
상기 한쪽 회동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품의 상기 구멍부를 폐색시킴과 함께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구멍부보다도 상기 다른 회동 방향측까지 이동하여 상기 구멍부를 개방시키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부가 상기 다른 부품의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어, 당해 설치부가 상기 한쪽 회동 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맞닿아있음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한쪽 회동 부재의 회동이 규제되어 당해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통체에 2개 회동 부품의 각각에 설치된 접촉부가, 이들 2개 회동 부품의 상대 회동에 수반하여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점차로 접촉 강도가 가벼워지고, 결국에는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당해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유희자가 당해 팽이 완구를 익숙하게 사용함으로써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흥취성이 높은 팽이 완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a) 사시도이며, (b)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가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a) 하층 부재의 상면도이며, (b) 상층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하층 부재와 상층 부재와의 상대 회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제2 식별용 부품의 (a)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b) 팽이 완구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에서의 축부, 성능 가변 링 및 몸통체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의 하층 부재와 상층 부재와의 상대 회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팽이 완구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 도 1의 (b)는 그 놀이 방법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하, 좌우 및 전후는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는 소위 팽이 배틀 게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팽이 완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팽이 완구(1)는 서로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으로 상대방 팽이 완구(1)를 도 1의 (b)와 같이 분해시켜 승리로 하도록 하는 배틀 게임에 사용할 수 있다.
이 팽이 완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구조를 구성하며 드라이버가 되는 축부(10)와, 상부 구조를 구성하는 레이어가 되는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세부 구성》
1. 축부(10)에 대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0)는 하단부에 회전축(11), 상하 방향 중간부에 플랜지(12), 상부에 원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플랜지(12)와 원통부(13)는 일체로 형성되어 축부 상부를 구성하고, 이 플랜지(12) 및 원통부(13)는 축부 하부에 대하여 비스(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축부 하부는, 플랜지(12)측으로부터 회전축(11)의 선단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대략 역원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2) 및 원통부(13)에는, 상하 방향에 따른 팽이 완구(1) 전체의 축선과 일치하는 회전축(11)의 축선(Ax)(이하, 간단히 「축선(Ax)」이라 함)을 사이에 놓고, 전후 방향에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부 하부에는, 플랜지(12)의 구멍(14)에 대응한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a)는 플랜지(12)의 구멍(14)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돌기(11a)의 상면은 후술하는 좌부를 구성한다.
또한, 원통부(13)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의 외면은 플랜지(12)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부 하부에는, 돌출부(15)에 대응한 위치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15, 11b) 개소에서 축부 하부에 플랜지(12) 및 원통부(13)이 비스(도시 생략)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3)의 내측에는 원기둥체(16)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상면만 도시). 이 원기둥체(16)의 기단부는 축부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은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원통부(13)의 상단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 원기둥체(16)의 상단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제2 갈고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0)는 원통 형상의 가압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 부재(18)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제이어도 된다. 이 가압 부재(18)는 원통부(13)의 내측에 원기둥체(16)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8)는 원통부(18a)와, 천장부(18b)와, 다리부(18c)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부(18a)의 상단에 천장부(18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천장부(18b)에는, 원기둥체(16)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18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통부(18a)의 외주 하단부에 다리부(1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다리부(18c)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전후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부(18c)는 원통부(18a)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부(180c), 수평부(180c)의 선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직부(181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가압 부재(1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18c)가 상기 구멍(14)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구멍(14)은, 상하 방향의 치수가 다리부(18c)의 길이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압 부재(18)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가압 부재(18)는, 다리부(18c)가 구멍(14)의 상부 에지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정상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18)의 상단은 원통부(13)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다.
또한, 가압 부재(18)의 천장부(18b)의 상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2. 성능 가변 링(30)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능 가변 링(30)으로서 플라이휠이 사용되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은 대략 원환판상을 이루고 있다. 이 성능 가변 링(30)의 저면에는 축부(10)의 플랜지(12)가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환상 단차부(도시 생략)가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2)의 하측 부분에는,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성능 가변 링(30)의 상면에는, 각 돌출부(32)의 바로 외측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설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설편(34)은 돌출부(32)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성능 가변 링(30)으로서는, 플라이휠 대신에 또는 플라이휠과 일체적이며, 외주면에 돌출부가 있어서 상대방 팽이 완구(1)를 공격하기 쉽게 한 것, 또는 외주면에 오목부가 있어서 상대방 팽이 완구(1)로부터의 공격을 받기 어려운 것을 사용해도 된다.
3. 몸통체(40)에 대하여
도 4의 (a)는 후술하는 몸통체(40)의 하층 부재(50)의 평면도(상면도)이며, 도 4의 (b)는 후술하는 몸통체(40)의 상층 부재(60)의 하면도이다.
몸통체(40)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몸통체(40)는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와, 투명 커버체(7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이 하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통체(40)는 하층 부재(50)와 투명 커버체(70)가, 상층 부재(60)를 축선(Ax) 주위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하에 끼움 지지하면서, 서로 고정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중 하층 부재(50)는, 도 2 및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층 부재(50)의 외주면에는, 3개의 하측 날부(51)가 주상(周上) 등배(等配)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하측 날부(51)는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을 향해 외주측에 완만하게 팽출하면서 선단이 예각으로 뾰족한 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층 부재(50)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 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 구멍(52)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갈고리(제1 갈고리)(5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층 부재(50)의 하단면 중, 원 구멍(52)에 이어지는 중앙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좌우 방향에서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요철이 연속해서 형성되고, 축부(10)의 상기 볼록조(21)에 교합하는 기복부(59)(도 7에 그 범위만 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층 부재(50)에는,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하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호상 슬릿(54)이, 원 구멍(52)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54)의 주위 방향 길이는 설편(34)이 충분히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하층 부재(50) 중, 이 호상 슬릿(54)을 피한 주위 방향 위치이며 원 구멍(52)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층 부재(50)의 상면 중 호상 슬릿(54)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에는, 후술하는 상층 부재(60)의 호상 가이드(63)가 상방으로부터 감합되는 환상 단차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단차부(56)의 내면에는, 하층 부재(50)에 대한 상층 부재(6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복수개의 규제벽(56a)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층 부재(50)의 상면 중, 평면에서 보아 후방 약간 반시계 방향측의 주위 방향 위치에는, 후술하는 가압 스프링(4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벽부(57)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층 부재(50)의 상면 중, 환상 단차부(56)의 바로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연부에는, 상층 부재(60)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12개의 하측 돌기(58)가 주상 등배로 형성되어 있다.
상층 부재(60)는, 도 2 및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층 부재(60)는,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 형상 및 크기가 하층 부재(50)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와 대략 동일한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으로 형성된 3개의 상측 날부(61)가 주상 등배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층 부재(60)의 상면에는, 투명 커버체(70)가 상방으로부터 감합 가능한 환상 단차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층 부재(60)의 하면에는, 4개의 호상 가이드(63)가 당해 하면의 내주연에 주상 부등배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호상 가이드(63)는, 하층 부재(50) 상면의 환상 단차부(56)에 대하여 주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당해 호상 가이드(63)가 환상 단차부(56)에 안내됨으로써, 상층 부재(60)가 하층 부재(50)에 대하여 축선(Ax) 주위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층 부재(60)의 하면 중, 4개의 호상 가이드(63)보다도 반경 방향 외측의 외주연에는, 주위 방향으로 약간 긴 3개의 상측 돌기(64)가 주상 등배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돌기(64)는,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와 주위 방향으로 접촉함으로써,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의 축선(Ax) 주위의 상대 회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상측 돌기(64)와 하측 돌기(58)는, 접촉을 반복함에 따라서 적어도 한쪽이 마모 또는 변형되고, 결국에는 서로 겹쳐져 회동 규제 기능이 상실되도록, 그 접촉 높이가 미리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층 부재(60)의 내주면 후방 위치에는, 가압 스프링(코일 스프링)(4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6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지지 돌기(65)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측면에는 막대 형상부(65a)가 기립 설치되어 있고, 이 막대 형상부(65a)가 가압 스프링(4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가압 스프링(41)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가 하층 부재(50)의 벽부(57)에 맞닿은 상태에서 대략 주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하층 부재(50)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상층 부재(60)를 가압하고 있다(도 5의 (a) 참조).
여기서,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의 상대 회동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 상대 회동의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는, 정상 상태에서 상층 부재(60)의 상측 날부(61)를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보다도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에 위치시키면서, 이들 서로의 날부를 상하에 겹친 상태(범위)에서 상대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부재(50) 및 상층 부재(60)에 거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하, 「초기 상태」라 함)에서는, 가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해 상층 부재(60)가 하층 부재(50)에 대하여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상층 부재(60)의 각 상측 돌기(64)의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에 접촉하고, 및/또는 상층 부재(60)의 각 호상 가이드(63)의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규제벽(56a)에 접촉함으로써, 이 회동이 규제된다. 상층 부재(60)의 호상 가이드(63)와 하층 부재(50)의 규제벽(56a)과의 접촉은, 상층 부재(60)와 하층 부재(50)의 상대 회동을 보다 확실하게 규제하기 위한 것이고, 상측 돌기(64)와 하측 돌기(58)에 비해 보다 강하게 접촉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상층 부재(60)의 상측 날부(61)의 선단과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의 선단이 이루는 각도(축선(Ax)을 중심으로 하는 중심각) α=α1이 되어 있고, 상측 날부(61)의 선단이 하측 날부(51)의 주위 방향 길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팽이 완구(1)가 회전 중에 상대방 팽이 완구(1)와 접촉하거나 하여, 상층 부재(60)에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의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부재(60)의 각 상측 돌기(64)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에 접촉할 때까지, 상층 부재(60)가 가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동한 상태(이하, 「제1 회동 상태」라 함)가 된다.
이 제1 회동 상태에서는, 상층 부재(60)의 상측 날부(61)의 선단과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의 선단이 이루는 각도 α=α2(<α1)가 된다. 즉, 상층 부재(60)는 기본적으로는, 하층 부재(50)에 대하여 α1-α2의 각도 범위(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10°)에서 상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단,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층 부재(60)의 상측 돌기(64)의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에 반복 접촉함으로써, 결국 상측 돌기(64)가 하측 돌기(58)를 타고 넘도록 되어 있다. 이 때에는, 상층 부재(60)가 제1 회동 상태로부터 더욱 상대 회동하고, 상층 부재(60)의 각 호상 가이드(63)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규제벽(56a)에 접촉할 때까지 상층 부재(60)가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동한 상태(이하, 「제2 회동 상태」라 함. 도 9의 (b) 참조)로 이행 가능하게 된다.
이 제2 회동 상태에서는, 상층 부재(60)의 상측 날부(61)의 선단과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의 선단이 이루는 각도(α)가 거의 제로가 되고, 상측 날부(61)와 하측 날부(51)가 서로의 선단 주위 방향 위치를 대략 일치시킨다.
투명 커버체(7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투명 커버체(70)는 상층 부재(60)의 환상 단차부(62)과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환상의 상층 부재(60)의 내주측을 덮도록 하여 당해 환상 단차부(62)에 상방으로부터 감합되어 있다.
투명 커버체(70)의 하면 중, 하층 부재(50)의 2개 구멍부(5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개의 보스(71)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보스(71)에는 하방에 개구되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하층 부재(50)의 각 구멍부(55)에 하방으로부터 삽입 관통시킨 비스(42)를 보스(71)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하층 부재(50)와 투명 커버체(70)가 고정되어 있다.
투명 커버체(70)의 중앙에는, 축선(Ax)을 중심축으로 하고, 하층 부재(50)의 원 구멍(52)과 대략 동일한 내경의 원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 구멍(72)의 내주면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7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투명 커버체(70)에는, 원 구멍(72)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호상 슬릿(74)이 형성되어 있다. 각 호상 슬릿(74)은, 하층 부재(50)의 호상 슬릿(54)과 대응하는 주위 방향 위치 및 주위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커버체(70)에는, 후술하는 제2 식별용 부품(44)을 설치하기 위한 걸림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구멍(75)은 호상 슬릿(74)과 동일한 정도의 반경 방향 위치이며, 후방 약간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주위 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 구멍(75)은, 하층 부재(50) 및 상층 부재(60)가 초기 상태나 제1 회동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층 부재(60)의 지지 돌기(65) 또는 가압 스프링(41)에 의해 하측이 폐색되어 있고, 제2 회동 상태로 이행하여 상층 부재(60)가 상대 회동함으로써 하측이 개방되며, 제2 식별용 부품(44)을 걸림 가능하게 된다(도 9 참조).
투명 커버체(70)의 원 구멍(72)에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식별용 부품(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식별용 부품(43)은 팽이 완구(1)의 식별이나 플레이어의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이 식별을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다른 모양 및/또는 색 등을 갖는 복수개의 식별용 부품이 준비되고, 그 중에서 플레이어가 선택한 1개의 식별용 부품이 원 구멍(72)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의 팽이 완구(1)에 있어서는, 제1 식별용 부품(43)을 설치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제2 회동 상태가 되었을 때에, 제1 식별용 부품(43)과는 형상 등이 다른 제2 식별용 부품(44)을 설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 식별용 부품(43)은 전체적으로 대략 짧은 원주형을 갖고 있다. 이 제1 식별용 부품(43)의 상면 중앙부는 유발 형상으로 오목해져 있고, 이 오목부를 둘러싸는 에지부에는, 축선(Ax)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형성된 조작용 오목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오목부(431)에는 상기 축부(10)의 플랜지(12)가 삽입 가능하고, 조작용 오목부(431)에 삽입한 축부(10)를 움직이게 하여 제1 식별용 부품(43)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1 식별용 부품(43)의 외주에는, 그 축선을 사이에 놓고 대치하는 부위 2개소 각각에, 투명 커버체(70)의 원 구멍(72)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돌기(73)가 들어가는 홈(4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3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식별용 부품(43)의 하측에 개구된 부분과, 이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주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홈(432)에 따라서 원 구멍(72)의 돌기(73)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제1 식별용 부품(43)을 상방으로부터 투명 커버체(70)의 원 구멍(72)에 삽입한 후에 회전시킴으로써, 제1 식별용 부품(43)이 투명 커버체(70)의 원 구멍(72)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은 제2 식별용 부품(4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a)가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 (b)가 팽이 완구(1)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 식별용 부품(44)은 팽이 완구(1)(몸통체(40))가 상기 제2 회동 상태가 되었을 때에 제1 식별용 부품(43) 대신에 팽이 완구(1)에 설치 가능한 것이며, 단지 식별용이었던 제1 식별용 부품(43)에 대하여, 상대방 팽이 완구에 대한 무기(공격) 용도나 팽이 완구(1)의 장식 용도 등에도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식별용 부품(44)은 대략 평판 형상의 기판부(441)와, 원 구멍(72)에 삽입되어 당해 제2 식별용 부품(44)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42)를 갖고 있다.
이 중 기판부(441)는, 평면에서 보아 팽이 완구(1)의 중앙부에서 주연부에 걸친 약간 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부(441)의 하면에는, 투명 커버체(70)의 걸림 구멍(75)에 상방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걸림 돌기(441a)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441a)는 기판부(441)의 하면 중, 팽이 완구(1) 설치 상태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단부 근방이며,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쪽이 높아지도록 하단부가 2단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442)는 제1 식별용 부품(4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조작용 오목부(431)나 홈(432)을 갖고 있으며, 기판부(441) 중 걸림 돌기(441a)와는 반대측 단부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식별용 부품(44)은 걸림 돌기(441a)를 걸림 구멍(75)에 삽입하면서 고정부(442)를 원 구멍(72)에 삽입하도록 하여 상방으로부터 투명 커버체(70)에 씌운 후에 고정부(442)를 회전시킴으로써, 투명 커버체(70)에 설치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몸통체(40))가 상기 제2 회동 상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 돌기(441a)를 걸림 구멍(75)의 하방에까지 삽입할 수 없고, 당해 제2 식별용 부품(44)을 투명 커버체(70)에 설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조립 방법》
이어서, 팽이 완구(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7은 축부(10),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축부(10)와 몸통체(40) 각각의 조립은 이미 종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몸통체(40)의 투명 커버체(70)에는 제1 식별용 부품(43)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축부(10)의 돌출부(15)를 하방으로부터 성능 가변 링(30)의 오목부(33)에 합치시키도록 하여,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을 감합 상태로 조립한다. 이어서, 이 조립체를 몸통체(40)에 하방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 때, 상기 조립체의 성능 가변 링(30)의 설편(34)을 몸통체(40)의 호상 슬릿(54), (74)의 소정의 단부에 합치시킨다(도 7의 (a)). 이 상태는,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53)가 상하 방향에서 겹쳐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가 결합 해제 상태이다. 그 후, 상기 조립체의 축부(10)를 몸통체(40)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먼저 성능 가변 링(30)이 몸통체(40)의 하면에 압박된다. 또한, 축부(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이 수축되고, 축부(10)의 갈고리(17)가 몸통체(40)의 갈고리(53)보다도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축부(10)를 성능 가변 링(30)과 일체적으로 몸통체(40)에 대하여 설편(34)이 상기 소정의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까지 이동될 때까지 회전시킨다(도 7의 (b)). 이 경우의 회전은, 몸통체(40)와 성능 가변 링(30) 및 축부(10)의 상대적인 회전이며, 도 7의 (b)에서는, 성능 가변 링(30) 및 축부(10)에 대하여 몸통체(40)측을 도 7의 (a)의 상태로부터 회전시킨 상태가 나타나 있다. 그러면, 축부(10)의 갈고리(17)와 몸통체(40)의 갈고리(53)가 상하에서 겹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축부(10)로부터 손을 떼면, 축부(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축부(10)의 갈고리(17)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53) 상면이 맞닿는다.
축부(10)의 갈고리(17) 하면과 몸통체(40)의 갈고리(53) 상면이 맞닿은 상태가 결합 상태이다. 이에 의해, 축부(10)와, 성능 가변 링(30) 및 몸통체(40)가 결합되고, 팽이 완구(1)가 조립된다.
《놀이 방법》
계속해서, 이 팽이 완구(1)를 사용한 놀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팽이 완구(1)를 회전 구동시키는 런처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의 상대 회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팽이 완구(1)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제1 식별용 부품(4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놀이 방법 중 일례에서는, 팽이 완구(1)를 회전시켜 상대방 팽이 완구(1)와 싸움을 한다.
이 경우, 팽이 완구(1)의 회전력의 충전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런처(80)에 의해 행해진다. 이 런처(8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원판을 구비하고, 그 원판을 도시하지 않은 태엽 스프링으로써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원판 주위에 권회시킨 도시하지 않은 끈을 핸들(81)로 당기면, 원판이 회전되고, 팽이 홀더(83)가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팽이 홀더(83)의 회전은, 하방에 돌출 설치된 포크(84)에 의해 팽이 완구(1)에 전달되어, 팽이 완구(1)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포크(84)는 몸통체(40)의 호상 슬릿(54, 74)에 삽입된다. 그리고, 런처(80)의 핸들(81)을 끝까지 당기면, 원판 나아가서는 팽이 홀더(83)의 회전이 정지되는 한편, 팽이 완구(1)는 관성력에 의해 더욱 더 회전하므로, 포크(84)의 경사면(84a)에 따라서 팽이 완구(1)가 팽이 홀더(83)로부터 빠진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부호 82는 팽이 홀더(83)에 대하여 출몰 가능한 로드이다. 이 로드(82)는 팽이 홀더(83)에 팽이 완구(1)를 장착했을 때에 팽이 완구(1)의 상면에 눌려 팽이 홀더(83) 내에 묻힌다. 이 로드(82)는 예를 들어 팽이 완구(1)의 착탈 검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사된 팽이 완구(1)는 소정의 필드에서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대방 팽이 완구(1)에 충돌하면,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나 마찰 등에 의해, 몸통체(40)에는,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하며, 그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 및 성능 가변 링(3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몸통체(40)(하층 부재(50)) 하면의 기복부(59)에 볼록조(21)가 교합한다(도 7 참조). 이 경우, 볼록조(21)에는 축부(10) 내의 스프링 가압력이 작용하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할 때마다, 몸통체(40)에 대하여 축부(10)가 상대 회전하여 교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걸림 해제 위치에 도달하면, 몸통체(40)의 갈고리(53)가 축부(10)의 갈고리(17)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축부(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몸통체(40)가 축부(10)로부터 이반한다. 그리고,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이 완구(1)는 분해된다.
또한, 회전 중인 팽이 완구(1)가 상대방 팽이 완구(1)와 충돌했을 때에는, 초기 상태에 있는 몸통체(40)에서는, 하층 부재(50)의 하측 날부(51)보다도 회전 방향 상류측(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에 위치하는 상층 부재(60)의 상측 날부(61)가, 상대방 팽이 완구(1)와 접촉한다(도 5의 (a) 참조). 이 접촉에 의한 충격력은, 상층 부재(60)를 가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층 부재(5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동시키고,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부재(60)의 각 상측 돌기(64)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이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에 접촉한 제1 회동 상태가 된다. 그리고, 충격력이 소실됨에 따라서,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는 가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상대방 팽이 완구(1)와의 충돌이 반복되어,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가 초기 상태와 제1 회동 상태를 교대로 이행함으로써, 상층 부재(60)의 각 상측 돌기(64)의 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측의 단부면측과 하층 부재(50)의 하측 돌기(58)의 접촉이 반복되어, 이들 중 적어도 한쪽이 점차 마모 또는 변형된다. 그로 인해, 이들 상측 돌기(64)와 하측 돌기(58)의 접촉 정도가 점차 가벼워지고, 결국에는 제1 회동 상태에서의 상대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는 강하게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결과,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의 회동 범위가 넓어진다.
이에 의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가, 상층 부재(60)가 제1 회동 상태로부터 또한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층 부재(60)의 각 호상 가이드(63)의 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측의 단부면과 하층 부재(50)의 규제벽(56a)이 접촉하는 제2 회동 상태까지 이행 가능하게 된다.
이 제2 회동 상태에서는, 상층 부재(60)의 지지 돌기(65)나 가압 스프링(41)에 의해 폐색되어 있던 투명 커버체(70)의 걸림 구멍(75)이 개방된다. 그로 인해, 이 걸림 구멍(75)에 제2 식별용 부품(44)의 걸림 돌기(441a)를 삽입 가능하게 되고, 제1 식별용 부품(43) 대신에 제2 식별용 부품(44)을 팽이 완구(1)(투명 커버체(70))에 설치 가능하게 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제2 회동 상태에 있어서, 투명 커버체(70)에 제2 식별용 부품(44)을 설치하여 걸림 구멍(75)에 걸림 돌기(441a)를 삽입시키면, 이 걸림 돌기(441a)가 상층 부재(60)의 지지 돌기(65)와 맞닿음으로써, 가압 스프링(41)의 가압력에 의한 상층 부재(60)의 회동이 규제되어, 상기 제2 회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커버체(70)에 대하여 제1 식별용 부품(43) 대신에 제2 식별용 부품(44)을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러한 제2 식별용 부품(44)으로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중량이나 형상에 변화를 갖게 하여 회전 특성이나 공격 특성을 변화시키는 성능 가변 부품이나, 장식 효과만을 목적으로 한 장식 부품 등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투명 커버체(70)에 대한 제1 식별용 부품(43) 및 제2 식별용 부품(44)의 고정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나사 체결 등 이어도 된다.
또한, 상대 회동하는 회동 부품이 2층(하층 부재(50)와 상층 부재(60))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팽이 완구는, 적어도 2개의 회동 부품이 그 상대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 범위가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3개 이상의 복수의 회동 부품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 팽이 완구
10 축부
30 성능 가변 링
40 몸통체
41 가압 스프링
43 제1 식별용 부품
44 제2 식별용 부품
441a 걸림 돌기
50 하층 부재
56 환상 단차부
56a 규제벽
58 하측 돌기
60 상층 부재
64 상측 돌기
65 지지 돌기
70 투명 커버체
75 걸림 구멍

Claims (4)

  1. 몸통체와 축부를 구비하는 팽이 완구이며,
    상기 몸통체는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동 부품을 갖고,
    상기 복수의 회동 부품 중 적어도 2개의 회동 부품은,
    서로 접촉하여 당해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접촉부를 각각 가짐과 함께,
    서로의 상기 접촉부가, 당해 2개 회동 부품의 상대 회동에 수반하는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점차로 접촉 강도가 가벼워지고, 결국에는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정도로는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결과, 상기 회동 범위가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회동 부품 중 한쪽 회동 부품을 다른쪽 회동 부품과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당해 다른쪽 회동 부품에 고정된 다른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부품은 부속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부를 갖고,
    상기 구멍부는, 상기 2개 회동 부품의 회동 범위가 넓어지기 전의 제1 상태에서는 상기 한쪽 회동 부품에 폐색되어 있고, 당해 회동 범위가 넓어진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이 상대 회동하여 당해 구멍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을 상기 다른쪽 회동 부품에 대하여 하나의 회동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품은,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한쪽 회동 부품이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나의 회동 방향과는 반대인 다른 회동 방향으로 상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회동 부재는, 상기 가압 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품의 상기 구멍부를 폐색시킴과 함께 상기 제2 상태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구멍부보다도 상기 다른 회동 방향측까지 이동하여 상기 구멍부를 개방시키는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속 부품의 설치부가 상기 다른 부품의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고, 당해 설치부가 상기 한쪽 회동 부재의 상기 지지부와 맞닿아있음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한쪽 회동 부재의 회동이 규제되어 당해 제2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이 완구.
KR1020170050288A 2016-10-18 2017-04-19 팽이 완구 KR102332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04634 2016-10-18
JP2016204634A JP6232112B1 (ja) 2016-10-18 2016-10-18 コマ玩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787A true KR20180042787A (ko) 2018-04-26
KR102332707B1 KR102332707B1 (ko) 2021-11-30

Family

ID=6013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88A KR102332707B1 (ko) 2016-10-18 2017-04-19 팽이 완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18103B2 (ko)
EP (1) EP3323481B1 (ko)
JP (1) JP6232112B1 (ko)
KR (1) KR102332707B1 (ko)
CN (1) CN2069651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8541B1 (ja) * 2017-04-28 2018-01-10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1590452S (ko) * 2017-06-29 2018-05-14
JP1590453S (ko) * 2017-06-30 2018-05-14
JP1596082S (ko) * 2017-07-06 2018-01-29
JP1596084S (ko) * 2017-07-07 2018-01-29
JP1596083S (ko) * 2017-07-07 2018-01-29
JP1596554S (ko) * 2017-08-30 2018-05-28
JP1602453S (ko) * 2017-10-02 2018-04-23
JP1602454S (ko) * 2017-10-02 2018-04-23
JP1602930S (ko) * 2017-10-06 2018-10-22
JP1602931S (ko) * 2017-10-11 2018-10-22
JP1602970S (ko) * 2017-10-20 2019-01-21
JP1609633S (ko) * 2018-02-23 2018-07-23
JP1623081S (ko) * 2018-07-03 2019-01-28
JP6644338B1 (ja) * 2018-10-12 2020-02-1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554649B1 (ja) * 2018-10-16 2019-08-0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10960316B2 (en) 2019-04-12 2021-03-30 Mechanical Design Labs, Inc. Gyroscopic desk curios
JP6845455B1 (ja) * 2020-07-14 2021-03-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7453950B2 (ja) * 2021-10-22 2024-03-2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セッ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5445A (en) * 1946-04-26 1948-02-03 Kerezi Joseph Flying top
JPH03151700A (ja) 1989-11-08 1991-06-27 Sanyo Electric Co Ltd ワーク搬送装置
JP2003062354A (ja) * 2001-08-28 2003-03-04 Bandai Co Ltd コマ玩具
JP2005328976A (ja) * 2004-05-19 2005-12-02 Takara Co Ltd コマ玩具
US20090253344A1 (en) * 2008-04-04 2009-10-08 Tomy Company, Ltd. Toy top
US20110006479A1 (en) * 2009-07-10 2011-01-13 Tomy Company, Ltd. Jumping toy top
US20110256796A1 (en) * 2010-04-20 2011-10-20 Tomy Company, Ltd. Toy top
JP2014533594A (ja) *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081A (en) * 1971-08-20 1974-01-15 Ohio Art Co Toy spinning top
JP3151700B2 (ja) 1995-08-07 2001-04-03 富士変速機株式会社 立体格納塔の搬送装置
US5941753A (en) * 1998-01-02 1999-08-24 4 Kidz Inc. Spinning toplet assembly
US6364734B1 (en) * 2000-04-14 2002-04-02 Ricky Ng Toy top structure and system
JP3083443U (ja) * 2001-07-16 2002-01-31 株式会社タカラ コマ玩具
JP2004201979A (ja) * 2002-12-25 2004-07-22 Takara Co Ltd コマ玩具
JP3881994B2 (ja) 2004-08-19 2007-02-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US8210895B2 (en) * 2008-12-22 2012-07-03 Mega Brands International Magnetic top system and method
JP3151700U (ja) 2009-04-20 2009-07-0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51712U (ja) 2009-04-21 2009-07-0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58299U (ja) * 2010-01-12 2010-03-2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3160638U (ja) * 2010-04-19 2010-07-01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CN102371071B (zh) * 2011-10-31 2013-04-17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CN104174168B (zh) * 2014-08-16 2016-09-21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由组装的组合式玩具陀螺
CN104174169B (zh) * 2014-08-16 2016-09-14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动分体的组合式玩具陀螺
CN104174167B (zh) * 2014-08-16 2017-04-05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陀螺环可两面组装的玩具陀螺
CN104623900B (zh) * 2015-01-31 2016-09-28 广东奥飞动漫文化股份有限公司 一种感应控制分离的组合式玩具陀螺
JP5793631B1 (ja) * 2015-03-27 2015-10-1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59773B1 (ja) * 2016-01-19 2016-08-0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5969151B1 (ja) * 2016-02-09 2016-08-1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JP6232113B1 (ja) * 2016-10-18 2017-11-15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及びコマ玩具の部品の取付け方法
JP6184576B1 (ja) * 2016-10-18 2017-08-23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コマ玩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5445A (en) * 1946-04-26 1948-02-03 Kerezi Joseph Flying top
JPH03151700A (ja) 1989-11-08 1991-06-27 Sanyo Electric Co Ltd ワーク搬送装置
JP2003062354A (ja) * 2001-08-28 2003-03-04 Bandai Co Ltd コマ玩具
JP2005328976A (ja) * 2004-05-19 2005-12-02 Takara Co Ltd コマ玩具
US20090253344A1 (en) * 2008-04-04 2009-10-08 Tomy Company, Ltd. Toy top
US20110006479A1 (en) * 2009-07-10 2011-01-13 Tomy Company, Ltd. Jumping toy top
US20110256796A1 (en) * 2010-04-20 2011-10-20 Tomy Company, Ltd. Toy top
JP2014533594A (ja) * 2011-11-30 2014-12-15 グワーンドーン アルファ アニメーション アンド カルチ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離脱可能な合体コマ玩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beach.jp/circleboard/ac43609/topic/11000259651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07B1 (ko) 2021-11-30
EP3323481B1 (en) 2019-07-24
US10118103B2 (en) 2018-11-06
JP6232112B1 (ja) 2017-11-15
CN206965114U (zh) 2018-02-06
EP3323481A1 (en) 2018-05-23
US20180104603A1 (en) 2018-04-19
JP2018064724A (ja)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2787A (ko) 팽이 완구
JP6250202B1 (ja) コマ玩具
JP5990354B1 (ja) コマ玩具
JP6431629B1 (ja) コマ玩具
KR101675722B1 (ko) 코마 완구
JP5793631B1 (ja) コマ玩具
JP6184576B1 (ja) コマ玩具
JP5969151B1 (ja) コマ玩具
KR102360685B1 (ko) 팽이 완구 및 팽이 완구의 부품의 설치 방법
JP6618970B2 (ja) コマ玩具
US20190255450A1 (en) Spinning top toy
JP6570019B1 (ja) コマ玩具
JP6232153B1 (ja) コマ玩具
JP6236177B1 (ja) コマ玩具
JP6516587B2 (ja) コマ玩具
JP6334757B1 (ja) コマ玩具
JP6346976B1 (ja) コマ玩具
JP2017108994A (ja) コマ玩具
CN210229121U (zh) 陀螺玩具
JP6491780B1 (ja) コマ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