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109A - 건축용 빔 바디 - Google Patents

건축용 빔 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109A
KR20180041109A KR1020180043930A KR20180043930A KR20180041109A KR 20180041109 A KR20180041109 A KR 20180041109A KR 1020180043930 A KR1020180043930 A KR 1020180043930A KR 20180043930 A KR20180043930 A KR 20180043930A KR 20180041109 A KR20180041109 A KR 2018004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pright
wall
walls
bea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룽칭 스
Original Assignee
스쿠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쿠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스쿠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83Honeycomb girders; Girders with apertured soli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빔 바디에 관한 것으로서, 긴 형상의 메인바디를 포함하고 있고, 두 개의 직립 벽 및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꼭대기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나의 꼭대기 벽,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바닥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바닥 벽막 및 상기 두 개 바닥 벽막의 자유로운 가장자리가 각각 상부 방향을 향하여 적절한 높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직립 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두 개 직립 벽 사이에는 다수 개의 간격 부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동일한 간격 부품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이 고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재 조각을 상기 빔 바디에 세워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빔 바디는 하나의 고정 부품과 매칭시켜 목재 조각을 고정함으로써 폼보드를 설치할 수 있다. 두 개의 빔 바디 사이에는 하나의 연결 부품을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빔 바디의 길이를 연장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빔 바디 {A BEAM BODY FOR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용 빔 바디에 관한 것이다.
건축 작업은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건축물을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다양한 건축 장소에서 콘크리트 주입 작업을 진행할 때, 빔 바디 지지 목재 조각으로 폼보드(formboard)를 지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중량 또는 압력을 견디는 건축 방법이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빔 바디에는 목재 및 금속재가 주로 사용된다. 목재의 경우에는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지 않아 일단 훼손되면 폐기해야 하며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오늘날과 같은 친환경 시대에는 적합한 소재가 아니다.
한편, 금속재의 경우에는 단면 구조가 상당히 단순하기 때문에 견딜 수 있는 압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압력이 약간 커지면 빔 바디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폼보드는 목재 조각으로 지탱하고, 목재 조각은 빔 바디를 지탱하나, 목재 또는 금속재 빔을 불문하고 모두 목재 조각을 고정시킬 수 있는 설계 방법이 없어, 콘크리트 주입 압력이 비교적 큰 경우 목재 조각에 진동이 일어나 한 쪽으로 이동하면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심지어는 빔 바디에서 탈락하여 폼보드가 붕괴되고 콘크리트가 땅에 떨어지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빔 바디는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기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적절한 설계 방법이 없어 빔 바디를 비교적 길게 연결하게 된다. 콘크리트 주입 구역이 빔 바디보다 길 경우 많은 작업자들이 빔 바디를 임의로 설치하기 때문에 빔 바디가 폼보드와 엇갈리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폼보드의 각 부위가 받는 지지력이 불균일해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시킬 수 있는 목재 조각 및 다른 빔 바디와 연결할 수 있는 빔 바디 설계에 대한 발명이 시급하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용 빔 바디를 제안함으로써 빔 바디의 압력 내성을 향상시켜 더욱 견고하고 내구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건축용 빔 바디를 제안함으로써 상기 빔 바디가 목재 조각이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된 부품과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폼보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건축용 빔 바디를 제안함으로써 상기 빔 바디가 연결 부품과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매칭하여 길이가 더욱 긴 지지 빔을 조립함으로써 콘크리트 주입 면적 기준에 부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빔 바디는 메인 바디, 다수 개의 간격 부품 및 다수 개의 투과공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는 길이가 길고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직립 벽 및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꼭대기 가장자리에 연결된 하나의 꼭대기 벽,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바닥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바닥 벽막 및 상기 두 개 바닥 벽막의 자유로운 가장자리가 각각 상부 방향을 향하여 적절한 높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직립 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다수 개의 간격 부품은 상기 메인 바디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직립 벽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간격 부품의 양단은 각각 상기 두 개 직립 벽을 구속한다.
상기 다수 개의 투과공은 상기 메인 바디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직립 벽을 관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두 개 직립 벽에 다수 개의 간격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간격 부품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을 구속하여 상기 두 개 직립 벽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만들어, 상기 압력으로 인하여 쉽게 움푹 들어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빔 바디의 투과공은 관통하는 연결 부품과 매칭되어 하나의 고정 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품은 목재 조각을 고정하여 목재 조각이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폼보드를 잘 지탱하여 시공 작업을 순조롭도록 해준다.
상기 빔 바디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연결 부품을 이용하여 연결 부품의 일단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품의 다른 일단은 다른 빔 바디와 연결함으로써 빔 바디가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필요한 길이의 지지 빔을 조립하여 시공 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면적에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폼보드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지지 빔이 폼보드를 지지할 때,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폼보드의 각 부위가 균일하게 지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두 개 직립 벽에 다수 개의 간격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간격 부품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을 구속하여 상기 두 개 직립 벽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만들어, 상기 압력으로 인하여 쉽게 움푹 들어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빔 바디의 투과공은 관통하는 연결 부품과 매칭되어 하나의 고정 부품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 부품은 목재 조각을 고정하여 목재 조각이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폼보드를 잘 지탱하여 시공 작업을 순조롭도록 해 준다.
상기 빔 바디의 일단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 연결 부품을 이용하여 연결 부품의 일단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 부품의 다른 일단은 다른 빔 바디와 연결함으로써 빔 바디가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필요한 길이의 지지 빔을 조립하여 시공 시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면적에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폼보드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지지 빔이 폼보드를 지지할 때, 규칙적으로 배열할 수 있기 때문에 폼보드의 각 부위가 균일하게 지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1의 입체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빔 바디의 분해 입체도;
도 3a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3-3 빗금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1의 또 다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고정 부품의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빔 바이와 고정 부품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똑바로 설치한 목재 조각의 설명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두 개의 빔 바디와 하나의 연결 부품의 입체도;
도 9는 빔 바디와 연결 부품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10-10 빗금의 단면도;
도 11은 두 개의 빔 바디를 축방향으로 연결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2의 빔 바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빔 바디와 4가지 유형의 종래의 빔 바디를 비교한 곡선도;
도 14는 본 발명의 빔 바디와 4가지 유형의 종래의 빔 바디를 비교한 도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건축용 빔 바디(10)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1은 다음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20)는 길이가 긴 금속재로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면 구조는 적절한 간격으로 평행하도록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직립 벽(21),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 꼭대기 가장자리에 가로로 연결된 하나의 꼭대기 벽(22),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 바닥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두 개의 바닥 벽막(23) 및 상기 두 개 바닥 벽막(23)의 자유로운 가장자리가 각각 상부 방향을 향하여 적절한 높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직립 벽(24)을 가지고 있다. 다수 개의 투과공(25)은 상기 메인 바디(20)를 따라 세로 방향을 향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을 관통하고,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꼭대기 가장자리에 인접하다.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공(27)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을 관통하고, 상기 메인 바디(20)의 양단에 각각 인접하다. 상기 메인 바디(20)의 각 일단에는 모두 두 개의 연결공(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연결공(27)은 상기 메인 바디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한다. 예정된 수량의 보강부(211)는 스탬핑 성형(stamping forming)한 울퉁불퉁한 부위로서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211)의 중심은 공동을 형성한다. 다수 개의 관통공(28)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을 관통한다.
메인 바디(20)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직립 벽(21), 바닥 벽막(23) 및 직립 벽막(24) 사이는 지지 공간(26)을 형성한다.
다수 개의 간격 부품(3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20) 내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한 네 개의 간격 부품(30)이고, 각 하나의 간격 부품(30)은 하나의 간격 파트(31) 및 하나의 위치제한 조립부품으로 구성된다. 각 상기 간격 파트(31)는 하나의 튜브(tube) 형태로 관통홀(32)을 가지고 있고, 각 간격 파트(31)는 상기 메인 바디(2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양단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 내벽면에 맞물리면서 연결되며,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32)은 상기 메인 바디의 관통공(28)에 대응한다. 각 위치제한 조립부품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나사 연결 조립부품이고, 각각 수나사(36)와 나사구멍(37)을 가지고 있으며, 각 위치제한 조립부품의 수나사(36)의 몸체를 각 간격 파트(31)의 관통홀(32) 및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의 관통공(28)에 설치한 후 상기 나사구멍(37)과 연결하면, 각 간격 파트(31)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 사이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 파트(31)의 양단은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의 두 개의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33)를 형성하여 각각 두 개 직립 벽(21)의 내벽면과 맞물리면서 지탱하고, 상기 수나사(36)의 머리부 및 상기 나사구멍(37)은 각각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의 두 개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34)를 형성하여 각각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의 외벽면과 맞물리면서 지탱하고, 이로써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의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서로 붙거나 또는 외부로 확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의 강성과 강도를 보장해 준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각 위치제한 조립부품도 하나의 리벳(rivet)(38)이고,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벳(38)은 각 간격 파트(31)의 관통홀(32) 및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관통공(28)을 관통하고, 상기 양단은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34)를 형성하여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외벽면과 맞물리면서 지탱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두 개 직립 벽(21) 사이 간격이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품(40)은 하나의 판체(41), 두 개의 직립 벽(43) 및 두 개의 볼록 벽(45)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판체(41)는 직사각형이고, 네 개의 측면(42)을 가지고 있다. 상기 두 개의 직립 벽(43)은 상기 판체(41)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42)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볼록 벽(45)은 사이 판체의 또 다른 쌍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판체(41) 및 상기 두 개 직립 벽(43) 사이는 하나의 수용 공간(47)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 부품(40)은 상기 빔 바디(10) 상을 뛰어넘으면서 설치되고, 상기 판체(20)는 상기 꼭대기 벽(22)과 접촉하고, 상기 두 개의 돌출 벽(45)은 각각 상기 메인 바디(20)의 두 개 직립 벽(21)과 접촉한다. 하나의 크로스 연결 파트(48)는 상기 두 개 돌출 벽(45)의 고정 연결공(46) 및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투과공(25)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크로스 연결 파트(48)의 일단에는 하나의 저지부(481)가 있고, 다른 일단에는 하나의 저지 파트(482)가 핀 조인트(pin joint)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스 연결 파트(48)는 상기 두 개의 돌출 벽(45) 및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을 통과한 후, 상기 저지 파트(482)가 자동으로 아래를 향하여 회전하고, 도 4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연결 파트(48)은 상기 고정 부품에서 쉽게 탈락되지 않는다. 고정 부품(40)은 상기 크로스 연결 파트(48)에서 빔 바디(10)와 연결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사용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 개의 빔 바디(10)를 적절한 간격으로 평행으로 나열하고, 각 빔 바디에 몇 개의 고정 부품(40)을 설치하고, 다수 개의 목재 조각(70)은 상기 빔 바디(10)의 고정 부품(40)의 수용 공간(47) 내를 횡단하면서 설치하고, 하나의 클램핑 파트(49)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부품 직립 벽(43)의 고정홀(44)(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음)을 통과하여 상기 목재 조각(70)을 고정하고, 상기 클램핑 파트(49)는 수나사, 셀프 태핑 나사(self tapping screw) 또는 못 등으로 물체를 고정하거나 맞물리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목재 조각(70)과 고정 부품(40)을 연결한 후, 다시 목재 조각(70) 상에 하나의 폼보드(71)를 설치하며, 이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콘크리트를 주입할 때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상기 폼보드(71) 상부에서 주입하고, 콘크리트의 중량은 상기 폼보드(71) 상부에 고루 압력을 가하고, 상기 폼보드(71) 역시 중량이 각 목재 조각(70)로 분산되고, 각 목재 조각(70)은 다시 중량을 각 빔 바디(10)로 분산하고, 각 목재 조각(70)은 상기 고정 부품(40)의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콘크리트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임의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비교적 우수한 압력 내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각 빔 바디(10)의 직립 벽(21) 및 직립 벽막(24)은 콘크리트의 중량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빔 바디가 적절한 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해 준다. 각 빔 바디(10)의 두 개 직립 벽(21) 사이에 설치하는 간격 파트(31)도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데, 각 상기 간격 파트(31) 양단에 형성된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33)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을 지탱하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내부 수축으로 인한 홈이 생기지 않는다. 위치제한 조립부품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34)(즉, 수나사(36)의 머리부와 나사구멍(37)을 말함)가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외벽면을 맞물려 지탱하고,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를 제한함으로써 이것이 외부로 확장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각 빔 바디(10)가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그 외, 상기 빔 바디(10)의 보강부(211)는 빔 바디의 압력 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빔 바디의 두 개 직립 벽(21) 및 두 개 직립 벽막(24)은 같은 방향으로 직립해 있고, 콘크리트의 압력 방향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각 빔 바디(1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더욱 큰 정방향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해 준다.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구역이 비교적 커서 상대적으로 빔 바디(10)의 길이가 짧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연결 부품(50)은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빔 바디(10)가 하나의 연결 부품(50)에서 축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때문에, 빔 바디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 폼보드의 길이에 맞도록 연결시키므로, 상기 두 개의 빔 바디(10)의 압력 내성이 더욱 강화된다.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빔 바디(10)가 포함하는 부품은 실시에 1과 동일한 것으로서, 동일한 부품과 동일한 부품 기호를 사용하였으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연결 부품(50)은 금속 부품으로서 하나의 몸체(51)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51)는 속이 빈 긴 형상으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하나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4개의 통공(53)은 상기 몸체(51)의 두 측면(52)을 가로로 관통하고, 각각 상기 몸체(51)의 양단에 근접하고, 상기 몸체(51)의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두 개의 결합 파트(55)에 있어서, 상기 두 개 결합 파트(55)의 단면은 Π형상이고, 적절한 간격으로 평행 나열된 두 개의 직립 다리부(56) 및 상기 두 개의 다리부(56) 꼭대기 가장자리에 가로로 연결된 하나의 꼭대기 판(57)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결합 파트(55)는 상기 꼭대기 판(57)으로 상기 몸체(51)의 바닥 벽(54)을 고정 연결한다. 상기 두 개의 다리부(56)는 상기 몸체(51)의 바닥 측면에 형성된다.
4개의 나사연결 조립부품(60)은 각각 하나의 수나사(62) 및 하나의 나사구멍(64)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빔 바디(10)를 축방향으로 연결할 경우, 상기 2의 빔 바디(10)의 일단은 각각 상기 연결 부품(50)의 일단을 관통하면서 씌우고, 상기 결합 파트(55)의 두 개 다리부(56)는 각각 상기 두 개 지지 공간(26) 내에 설치되며, 상기 두 개 빔 바디(10) 일단의 연결공(27)은 각각 상기 연결 부품(50) 일단의 통공(53)에 대응한다. 이어서, 상기 4개의 나사연결 조립부품(60)의 수나사(62)는 각각 빔 바디(10)의 연결공(27) 및 상기 연결 부품(50)의 통공(53)에 관통하면서 설치되고, 다시 상기 나사구멍(64)과 나사 연결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빔 바디(10)와 상기 연결 부품(50)이 고정 연결된다다.
연결 부품(50)을 이용하여 두 개 이상의 빔 바디(10)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빔 바디(10)와 연결 부품(50) 사이에 안정적인 결합성을 만들어 준다.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다리부(56)는 상기 메인 바디(20)의 바닥 벽막(23)을 맞물리면서 지탱하고,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부품(50)의 꼭대기단은 상기 메인 바디(20)의 꼭대기 벽(22)에 맞물려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연결 부품(50)이 상기 메인 바디(20)의 압력 내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빔 바디(10) 지지 폼보드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두 개 이상의 빔 바디(10)를 축방향으로 연결한 후, 다수 개의 고정 부품(40)과 매칭시킴으로써 더 많은 목재 조각(7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길이가 비교적 긴 폼보드를 지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빔 바디(10)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 2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품과 동일한 부품 기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간격 부품(30)은 긴 형상(튜브 또는 막대 형상)의 간격 파트(39)이고, 메인 바디(20)의 상기 두 개 직립 벽(21)의 관통공(28)을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간격 파트(39) 양단의 외주면에는 각각 하나의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33)와 하나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34)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내외부 맞물림 가장자리(33, 34)는 각각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의 내외벽을 맞물리면서 지탱하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직립 벽(21)의 간격이 고정적으로 유지되어 빔 바디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빔 바디는 시판되는 기타 빔 바디보다 우수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빔 바디와 기타 네 종류의 종래의 빔 바디(A, B, C, D)의 모멘트(moment) 및 단가를 기반으로 생산 효용성을 비교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과 종래 네 종류의 빔 바디를 비교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주입하려는 바닥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각종 빔 바디 사이의 병렬 간격이 좁아지고, 빔 바디의 간격이 클수록 빔 바디의 압력 내성이 강해지면서 쉽게 파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모멘트가 큰 빔 바디일수록 비교적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고 빔 바디 사이의 병렬 간격이 비교적 크다. 모멘트(M)의 계산 공식은 항복 강도(Fy)와 단면 계수(Z)의 곱이다.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의 빔 바디(Top Beam으로 칭하기로 함)는 Q390의 철강재로 제작하고, 상기 항복 강도(Fy)는 4000㎏f/㎠이고, 단면 계수(Z)는 26.2㎤이고, 계산한 본 발명의 빔 바디 모멘트(M)는 4000 X 26.2 = 104800㎏f-cm이다. 본 발명의 빔 바디 중량은 6㎏/m이고, 1㎏당 가격은 45대만달러/㎏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에서 산출할 수 있는 효용성은 104800(6㎏/m X 45대만달러/㎏) = 388.15㎏f-cm/대만달러이다.
A 빔 바디(EFCO E-beam)의 단면은 계단형이고, 상기 항복 강도(Fy)는 3600㎏f/㎠이고, 단면 계수(Z)는 28.6㎤이고, 계산한 A 빔 바디의 모멘트(M)는 3600 X 28.6 = 102960㎏f-cm이다. A 빔 바디의 중량은 5.5㎏/m이고, 1㎏당 가격은 106.7대만달러/㎏이기 때문에, A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에서 산출할 수 있는 효용성은 102960(5.5㎏/m X 106.7대만달러/㎏) = 175.40㎏f-cm/대만달러이다.
B 빔 바디(경량 홈형강(channel steel) 두 개)의 단면은 工자 형상이고, 상기 항복 강도(Fy)는 2500㎏f/㎠이고, 단면 계수(Z)는 33.6㎤이고, 계산한 B 빔 바디의 모멘트(M)는 2500 X 33.6 = 84000㎏f-cm이다. B 빔 바디의 중량은 8.2㎏/m이고, 1㎏당 가격은 28대만달러/㎏이기 때문에, B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에서 산출할 수 있는 효용성은 84000(8.2㎏/m X 28대만달러/㎏) = 365.85㎏f-cm/대만달러이다.
C 빔 바디(H20 목재 빔)은 목재 빔으로 검사한 결과 상기 모멘트는 50968㎏f-cm이다. C 빔 바디의 중량은 4.7㎏/m이고, 1㎏당 가격은 83대만달러/㎏이기 때문에, C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에서 산출할 수 있는 효용성은 50968(4.7㎏/m X 83대만달러/㎏) = 130.65㎏f-cm/대만달러이다.
D 빔 바디(경량 홈형강 1개)는 C형의 빔 바디이고, 상기 항복 강도(Fy)는 2500㎏f/㎠이고, 단면 계수(Z)는 16.8㎤이고, 계산한 D 빔 바디의 모멘트(M)는 2500 X 16.8 = 42000㎏f-cm이다. D 빔 바디의 중량은 4.1㎏/m이고, 1㎏당 가격은 28대만달러/㎏이기 때문에, D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에서 산출할 수 있는 효용성은 42000(4.1㎏/m X 28대만달러/㎏) = 365.85㎏f-cm/대만달러이다.
각종 빔 바디의 모멘트(M)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빔 바디(Top Beam) > A 빔 바디(EFCO E-beam) > B 빔 바디(경량 홈형강 2개) > C 빔 바디(H20 목재 빔) > D 빔 바디(경량 홈형강 1개) 순서였다. 본 발명의 빔 바디 모멘트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이는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빔 바디의 중력 내성이 가장 강하여 지탱하는 작용력이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위당 단가를 기반으로 산출한 생산효율성은 본 발명의 빔 바디(Top Beam) > B 빔 바디(경량 홈형강 2개) = D 빔 바디(경량 홈형강 1개) > A 빔 바디(EFCO E-beam) > C 빔 바디(H20 목재 빔) 순서였다. 본 발명의 빔 바디가 1위였는데, 이것은 동일한 비용을 투입할 경우 본 발명의 빔 바디가 더욱 우수한 지지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빔 바디는 단위당 가격이 심지어 2위인 A 빔 바디의 절반에도 못 미쳤는데, 이것은 하나의 A 빔 바디를 구매할 수 있는 가격으로 본 발명의 빔 바디 두 개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빔 바디 두 개를 평행하게 병렬 나열하는 방식으로 조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모멘트가 A 빔 바디의 모멘트보다 훨씬 높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여전히 A 빔 바디 가격 절반에도 못 미친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빔 바디는 구조적 강도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가성비도 상당히 우수하다.
또한 통계에 따르면, 사람이 한 번에 운반하면서 견딜 수 있는 중량이 평균 25㎏을 넘지 않는데, 본 발명의 빔 바디에 있어서 세 개의 빔 바디로 하나의 비교적 긴 빔 바디를 조합하고, 여기에 연결 부품의 중량을 더한다 하더라도 중량이 23㎏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이 운반할 수 있는 평균 중량보다 낮다. 따라서 신체가 비교적 왜소한 사람도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빔 바디는 구조적 강도가 우수하고 가성비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중량도 적당하며 건축 종사자들의 부담을 크게 줄여 준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0)

  1. 건축용 빔 바디에 있어서,
    길이가 길며 하나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길이가 길고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적절한 간격으로 평행으로 병렬하는 두 개의 직립 벽;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꼭대기 가장자리에 가로로 연결하는 하나의 꼭대기 벽;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바닥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두 개의 바닥 벽막; 각각 상기 두 개의 바닥 벽막의 자유로운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하여 적절한 높이로 연장되는 두 개의 직립 벽막을 포함하는 하나의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두 개 직립 벽을 관통하여 설치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두 개 직립 벽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하고, 상기 간격 부품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와 하나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간격 부품의 상기 두 개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가 상기 두 개 직립 벽의 내벽면을 지지하고, 상기 두 개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두 개 직립 벽의 외벽면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간격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부품은 하나의 긴 형상의 간격 부품이고, 상기 두 개의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 및 상기 두 개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간격 부품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간격 부품은 하나의 간격 파트 및 하나의 위치제한 조립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파트는 하나의 튜브 형상으로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고 있고, 각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에는 양단이 있으며, 상기 두 개 직립 벽의 관통공 및 상기 부품 파트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간격 파트의 양단은 상기 두 개의 내부 맞물림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의 양단은 상기 두 개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은 하나의 수나사와 하나의 나사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나사는 하나의 머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수나사의 머리부와 상기 나사구멍은 상기 두 개의 외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한 조립부품은 하나의 못이고, 상기 못의 양단은 상기 두 개의 외부 맞물림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투과공은 메인 바디의 세로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하고, 상기 동일한 투과공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꼭대기 가장자리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7. 제 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투과공은 메인 바디의 세로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면서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을 관통하고,
    하나의 판체, 두 개의 직립 벽 및 두 개의 돌출 벽을 가진 하나의 고정 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체는 적어도 네 개의 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직립 벽은 상기 판체의 한 쌍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판체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판체와 상기 두 개의 직립 벽 사이는 하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두 개의 돌출 벽은 상기 판체의 또 다른 쌍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판체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하고, 상기 돌출 벽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연결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부품은 상기 메인 바디의 꼭대기 벽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 부품의 두 개 돌출 벽의 고정 연결공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두 개 직립 벽의 투과공은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연결 파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한 쪽의 직립 벽, 바닥 벽막 및 직립 벽막 사이는 하나의 지지 공간을 형성하고, 하나의 연결 부품을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중간이 빈 긴 형상의 하나의 몸체, 상기 몸체 바닥면에 설치하는 두 개의 직립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품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 내를 관통하여 들어가며, 상기 두 개 다리부는 각각 상기 두 개 지지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상기 두 개 직립 벽을 관통하고, 각각 상기 메인 바디의 양단에 근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공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와 동일한 측의 직립 벽, 바닥 벽막 및 직립 벽막 사이는 지지 공간을 형성하고, 하나의 연결 부품을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중간이 빈 긴 형상의 하나의 몸체, 두 개의 직립 다리부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파트, 상기 두 개의 다리부에 연결하는 하나의 꼭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파트는 상기 몸체 바닥면에 설치되며, 적어도 두 개의 통공은 상기 연결 부품의 양측면을 가로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각각 연결 부품의 양단에 근접하며, 상기 연결 부품의 일단은 상기 메인 바디 내에 관통하여 진입하고, 상기 연결 부품의 일단의 통공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의 연결공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연결 조립부품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품의 통공이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빔 바디.
KR1020180043930A 2014-05-09 2018-04-16 건축용 빔 바디 KR20180041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208176U TWM491702U (zh) 2014-05-09 2014-05-09 建築用之樑體
TW103208176 2014-05-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960A Division KR20150128576A (ko) 2014-05-09 2015-05-06 건축용 빔 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09A true KR20180041109A (ko) 2018-04-23

Family

ID=525767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960A KR20150128576A (ko) 2014-05-09 2015-05-06 건축용 빔 바디
KR1020180043930A KR20180041109A (ko) 2014-05-09 2018-04-16 건축용 빔 바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960A KR20150128576A (ko) 2014-05-09 2015-05-06 건축용 빔 바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50322675A1 (ko)
JP (1) JP5944469B2 (ko)
KR (2) KR20150128576A (ko)
CN (1) CN105089265A (ko)
AU (1) AU2015202492A1 (ko)
CA (1) CA2887970A1 (ko)
DE (1) DE102014118584A1 (ko)
ES (1) ES2550529B1 (ko)
FR (1) FR3020825B1 (ko)
GB (1) GB2526199B (ko)
SG (1) SG10201503591YA (ko)
TW (1) TWM4917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7625B (zh) * 2014-07-07 2023-01-03 岩石屋国际有限公司 用于建筑结构的框架系统
ES2676603T3 (es) * 2016-02-02 2018-07-23 ULMA C y E. S. Coop Encofrado horizontal
USD956268S1 (en) 2019-08-01 2022-06-28 Hunter Douglas Industries B.V. Ceiling panel
CN110552459B (zh) * 2019-09-26 2022-01-07 武汉卡特激光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高强度横梁结构
KR102115029B1 (ko) * 2020-01-22 2020-05-25 채상원 고강성의 형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2195A (en) * 1928-10-08 1931-06-30 Pittsburgh Steel Co Building structure
GB1442891A (en) * 1974-01-04 1976-07-14 Morris H R Beam
GB1468266A (en) * 1975-05-15 1977-03-23 Pratt J Construction arrangements for building and the like structures
JPS5323122U (ko) * 1976-08-06 1978-02-27
GB2215752A (en) * 1988-03-18 1989-09-27 Pilecon Engineering Berhad Space frame
JP2566036Y2 (ja) * 1991-10-18 1998-03-25 伸光企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用補強材
US5682678A (en) * 1995-11-13 1997-11-04 The Nordam Group, Inc. Mechanical repair for a honeycomb panel
US5685663A (en) * 1996-06-21 1997-11-11 Huck International, Inc. Fastener construction with internal support for spaced portions of structural member
CA2273573A1 (en) * 1999-05-27 2000-11-27 Giuseppe Montanaro Versatile metal truss assembly
TWM255290U (en) * 2003-10-28 2005-01-11 Sucoot Ind Co Ltd Shoring beam of form
US20050257486A1 (en) * 2004-04-28 2005-11-24 Ching Shih L Moldboard support beam
WO2006053368A1 (en) * 2004-11-17 2006-05-26 Jr Consulting & Drafting Pty Limited Framing members and their inter-connection
AU2005209605A1 (en) * 2005-09-08 2007-03-22 Vlaeberg Pty Ltd Metal Roof Truss Connector Assembly
CN201050189Y (zh) * 2007-05-11 2008-04-23 王克俭 模板支梁
CN201092700Y (zh) * 2007-09-03 2008-07-30 刘立民 几字型钢梁
EP2572058B1 (en) * 2010-05-19 2014-09-03 J. van Walraven Holding B.V. Fastening system comprising a profile element and a faste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576A (ko) 2015-11-18
AU2015202492A1 (en) 2015-11-26
GB201506479D0 (en) 2015-06-03
US20150322675A1 (en) 2015-11-12
ES2550529B1 (es) 2016-12-27
JP5944469B2 (ja) 2016-07-05
CN105089265A (zh) 2015-11-25
DE102014118584A1 (de) 2015-11-12
JP2015214880A (ja) 2015-12-03
ES2550529R1 (es) 2016-03-15
SG10201503591YA (en) 2015-12-30
GB2526199A (en) 2015-11-18
ES2550529A2 (es) 2015-11-10
CA2887970A1 (en) 2015-11-09
TWM491702U (zh) 2014-12-11
GB2526199B (en) 2016-06-15
FR3020825B1 (fr) 2021-04-23
FR3020825A1 (fr) 2015-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1109A (ko) 건축용 빔 바디
KR101391455B1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JP3218606U (ja) フック体を有する組み立て式ラックフレーム構造
DK2649328T3 (en)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components to pipes
DE29823749U1 (de) Anordnung mit Bauteilen oder Bauteile
AU2014227308B2 (en) Coupling member and ready-to-assemble shelving that uses same
JP2017040156A (ja) 調整式フェンス
CN204059958U (zh) 斜向变截面型柱模板装置
KR200473592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JP2007218043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金具,柱脚構造とその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とその金具
JP2012067519A (ja)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70058415A (ko) 거푸집용 단면 판넬
KR100785414B1 (ko) 판재와 프레임이 반복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거푸집 판넬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CN209817584U (zh) 用于连接护栏横杆和立柱的连接件
KR200291526Y1 (ko) 거푸집용 판넬
JP2017141542A (ja) 枠構造体、および枠構造体組立方法
KR200430908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거푸집 판넬
JP2021071127A (ja) プレート状治具、足場構築セット、及び足場を構築する方法
JP2016098493A (ja) 掛止金具
KR102117153B1 (ko) 가설구조물용 발판
JP2018178684A5 (ko)
JP5559854B2 (ja) 柱脚部構造及び柱脚部と横架材との連結装置
JP1718181S (ja) 鉄筋用スペーサー
JP6883836B2 (ja) 床下地構造および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