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029B1 - 고강성의 형강 - Google Patents

고강성의 형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029B1
KR102115029B1 KR1020200008624A KR20200008624A KR102115029B1 KR 102115029 B1 KR102115029 B1 KR 102115029B1 KR 1020200008624 A KR1020200008624 A KR 1020200008624A KR 20200008624 A KR20200008624 A KR 20200008624A KR 102115029 B1 KR102115029 B1 KR 10211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buffer
reinforcing
groove
secti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원
Original Assignee
채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원 filed Critical 채상원
Priority to KR102020000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8Connections between open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형의 전면부(110)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120)에 보강편(150)과 보강홈부(140)를 형성하여 압축, 휨강도를 보강하면서 전면부(110)에 요철형의 형상부(130)가 배열됨으로 전면부(110)의 강도를 보강하며, 서로 형강(100)이 연결시 연결부위에 연결부재(200a)(200b)(200c)를 결합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압축 및 굽힘강성을 보강함으로서 전체적인 형강(100)의 강성이 보강 및 향상된 고강성의 형강(100)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된 판재형의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120)와, 상기 날개부(120)의 단부를 가로방향 길이로 전면부(110) 하측으로 절곡된 보강편(150)과, 상기 날개부(120) 중앙의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140) 및, 상기 전면부(110)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면서 전통무늬를 모티브로 한 문양각을 반복적 배열로 전면부(110)의 상면에 문양각이 내측으로 오목형의 보강요부(130-1)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문양각의 보강요부(130-1)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하면의 위치로 문양각이 돌출된 보강철부(130-2)가 형성되는 형상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강성의 형강{SECTION SHAPE STEEL OF HIGH-RIGIDITY}
본 발명은 고강성의 형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형의 전면부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에 보강편과 보강홈부를 형성하여 압축, 휨강도를 보강하면서 전면부에 요철형의 형상부가 배열됨으로 전면부의 강도를 보강하며, 서로 형강이 연결시 연결부위에 연결부재를 결합함으로서 연결부위의 압축 및 굽힘강성을 보강함으로서 전체적인 형강의 강성이 보강 및 향상된 고강성의 형강에 관한 것이다.
형강은 각종 단면형상을 가진 봉 형태의 압연제 및 롤 포밍제품 가리키는 것으로서, 주로 건물 외벽 고정프레임 등 철골 구조용으로 사용된다.
용강은 각주 형태의 형에 주입해서 강괴를 만들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치밀하게 하는 공정을 거친 후 가열로에서 재가열하여 압연기에 걸고 여러 단계의 형붙이 롤러를 통해서 각종 단면형상의 것으로 다듬질한다. 이후 단면형상에 따라 등변 ㄱ 형강, 부등변 ㄱ 형강, H 형강, I 형강, ㄷ 형강, Z 형강, T 형강, C 형강 등의 종류로 구분된다.
인장강도는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로서 약 40∼60kg/㎟의 것이 사용되며, 시중에 판매하고 있는 것의 길이는 보통 10∼15m이며, 통상 사용되는 씨형강은 폭이 비교적 넓고 평면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양쪽 측부면을 절곡하여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양쪽 측부면의 하측에서 안쪽으로 공간의 양쪽에 절곡날개가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씨형강은 그와 결합되는 패널과 합하여 건축 내장용 및 구조용으로 사용되는데, 주로 벽체의 칸막이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씨형강은 정규격의 폭과 두께 코일(Skelp)을 공급하여 단순한 ㄷ자 형태로 내구성이 취약하여 건물 외벽에 설치 후 결합된 패널의 무게 및 외부충격에 의해 내외측으로 휘게 되는 등 하자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씨형강의 바닥면과 양측면에, 설치된 패널의 무게 및 외부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보강용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켜 판넬의 무게 및 외부충격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씨형강은 롤포밍 가공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요철형태로 보강용 홈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서 한 방향으로의 하중에만 효과적일 뿐 모든 방향에서의 하중에 효과적이지 못하고 원소재 사용량이 많아져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에 취약하며, 반대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 중 다른 일예로 웨브 부재를 성형한 후 하측으로 하부 플랜지 부재를 용접하는 단계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종래보다 플랜지 부재를 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재의 사용량이 너무 많아 경제성이 없는 결점과,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차라리 웨브 부재를 더 두꺼운 것을 사용하는 편이 훨씬 경제적이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결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씨형강은 규격에 속하는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서 폭이 100mm인 규격제품의 경우 소재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전개 폭이 240mm인데 일반적으로 203∼208mm의 폭이 되도록 슬로팅하여 생산하게 되고 소재의 두께(t)가 2mm 인데 1.6∼1.75mm까지 내려가게 생산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정상 규격제품이 생산되지 못하게 되는 결점과 함께 두께가 얇아져서 강성이 규격에 해당되지 않는 불량제품으로 생산되며, 규격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개 폭과 두께를 정상적으로 유지해야 하지만 이 경우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므로 생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두께와 전개폭 및 정상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두께를 1.6mm 이하를 갖도록 생산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원자재 가격이 고가이므로 1톤당 단가가 상승하게 되므로 더 얇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4871호(발명의 명칭 : 판넬 체결구멍을 갖는 씨형강 제조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5350호(발명의 명칭 : 다단 조립식 구조용 형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길이방향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단을 가로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부를 가로길이방향으로 전면부 후측으로 절곡된 보강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형강구조에서 날개부의 중앙 가로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요청형의 형상부가 배열됨으로서 전면부 및 날개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강이 복수 개로 배열되어 상호 결합시 서로 결합된 연결부위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강도를 보강하면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된 판재형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부를 가로방향 길이로 전면부 하측으로 절곡된 보강편과,
상기 날개부 중앙의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와,
상기 전면부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펀칭되어 연결되는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강성의 형강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과 타측 형강 사이에 제1연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 단부와 타측 형강 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에 제1연결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는, 좌측 및 우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강성의 형강에 형성된 보강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면에 각각 “V”형의 인장홈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홈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된 한 쌍의 제1볼트공이 형성되면서 제1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형강 보강홈부에 제1체결공이 형성되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강성의 형강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과 타측 형강 사이에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 단부 중앙 및 타측 형강 단부 중앙에서 소정 길이로 양측단이 절개되어 전면부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형강의 전면부 세로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양측 형강의 전면부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이음부에 면접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결 절곡되면서 절곡된 중앙에 형강의 체결편이 면접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면서 보강홈부 하측의 날개부 내측면에 면접 체결되는 결합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강성의 형강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과 타측 형강 사이에 제3연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 단부와 타측 형강 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에 제3연결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는, 중앙의 제1완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2완충부가 배열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양측이 서로 좌우대칭된 경사면을 형성하는 완충브라켓가 설치되되,
상기 제1완충부의 내측에 형성된 제1완충홈이 상향으로 개방된다면 각각의 제2완충부는 하향으로 개방된 제2완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완충부 각각의 외측판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이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부의 외측판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한 쌍의 제3볼트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3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측 형강의 보강홈부에 각각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완충브라켓의 제2완충부 각각의 외측판에 형성된 끼움편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보강판이 배치되면서 보강판의 상면 중앙에 면접되는 제1완충부의 지지면이 상호 면접되어 체결수단으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완충브라켓 제2완충부 각각의 외측판에 형성된 제3볼트공이 제1완충홈 및 제2완충홈으로 상호 관통되어 양측 외측판의 제3볼트공이 연계되며, 상기 제3볼트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홈부 각각에 형성된 제2체결공을 상호 연결하면서 완충브라켓의 제3볼트공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이 포함되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홈부의 일면에 상하 관통된 고정공이 형성되면서 전면부의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가 형성되는 고강성의 형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홈부의 고정공은 원형 또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고강성의 형강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강성 형강에 따르면, 가로길이방향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양단을 가로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단부를 가로길이방향으로 전면부 후측으로 절곡된 보강편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형강구조에서 날개부의 중앙 가로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 중앙의 가로길이방향으로 전통 무늬각의 연속적인 배열로 요철형태의 형상부가 배열됨으로서 전면부 및 날개부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상기 날개부에 형성된 보강홈부의 양측 경사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면서 상호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휨강성을 보강하여 날개부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의 정면 사시도(a)와 배면 사시도(b).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강성홈이 형성된 형강의 정면 사시도(a)와 배면 사시도(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들 사이에 제1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 사시도(a)와 배면 사시도(b).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과 형강 사이에 제1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제1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들 사이에 제2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 사시도(a)와 배면 사시도(b).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과 형강 사이에 제2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제2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들 사이에 제3연결부재가 설치된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형강과 형강 사이에 제3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제3연결부재의 완충브라켓과 보강판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리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완충브라켓의 사시도(a)와 완충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b).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강성 형강에서 완충브라켓에 보강빔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된 판재형의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120)와, 상기 날개부(120)의 단부를 가로방향 길이로 전면부(110) 하측으로 절곡된 보강편(150)과, 상기 날개부(120) 중앙의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140) 및, 상기 전면부(110)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펀칭되어 연결되는 형상부(130)로 이루어지는 고강성의 형강(100)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형강(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110), 상기 전면부(110) 양단에 절곡된 날개부(120), 상기 날개부(120)의 단부가 전면부(110) 하측으로 절곡된 보강편(150), 상기 날개부(120) 중앙의 길이방향에서 내측으로 오목형태로 형성된 보강홈부(140) 및, 상기 전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면부 상면으로 보강요부(130-1) 및 상기 보강요부(130-1)에 대응되는 전면부(110) 하면으로 보강철부(130-2)의 요철형태로 형성된 형상부(130)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면부(110)는 가로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형이며, 상기 전면부(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수직 절곡된 날개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120)는 전면부(110)의 양단 가로길이에 대응된 가로길이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보강편(150)은 각각의 날개부(120) 단부에 전면부(110) 하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양측 날개부(120)의 보강편(150) 단부가 이격되면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보강편(150)은 날개부(120)의 단부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가로길이로 형성되어 전면부(110) 하측으로 수평 절곡되며, 이때 보강편(150)의 수평길이는 후술되는 전면부(110) 상면에 형성된 형상부(130) 끝단에서 전면부(110)의 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는 형상부(130)가 전면부(110)의 중앙을 보강한다면 외력에 의해 형상부(130)의 변형으로 전면부(110)의 양측으로 외압에 의한 변형력을 전면부(110) 후측에 위치한 보강편(150)이 이를 보강하여 전면부(110)의 잠재적 보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10) 단부에서 날개부(120) 단부를 연결하는 절곡부위에 “ㄱ"자형의 강성홈(111)이 더 형성되며, 이때 상기 강성홈(111)은 펀칭된 형태로서 외측에 오목형태이면서 내측에 볼록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형강(100)의 전면부(110) 양단인 날개부(120)가 연결되는 위치인 절곡 위치의 전면부(110) 전단 및 후단의 길이방향으로 전면부(110) 일부와 날개부(120) 일부를 이음형태의 “ㄱ”자형의 강성홈(111)이 다수 개로 이격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강성홈(111)의 수평길이홈(111-1)은 전면부(110)에 강성홈(111)의 수직길이홈(111-2)은 날개부(120)에 형성되며, 상기 강성홈(111)이 형성됨으로서 형강(100)의 전면부(110) 양단에 절곡되어 형성된 날개부(120)의 휨강도 및 압축강도를 증대하여 형강(100)의 자체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홈부(140)는 날개부(120) 중앙의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날개부(120)의 굽힘 및 휨의 강도를 보강하여 견고한 날개부(120)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날개부(120)에 형성된 보강홈부(140)는 중앙의 수평면(141)과 상기 수평면(141) 양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제1경사면(142)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경사면(142)은 30~60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양측 제1경사면(142)이 상호 좌우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홈부(140)는 중앙의 수평면(141)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142)으로 형성되며, 이때 양측 제1경사면(142)이 서로 마주하면서 상호 대칭구조로 형성되어 날개부(120)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외압에 대하여 날개부(12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여 변형률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1경사면(142)의 가로방향의 길이로 하나 이상의 제1돌출탭(미도시)이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수평면(141)에 제1돌출탭(미도시)의 가로길이에 대칭되는 세로길이를 가진 제2돌출탭(미도시)이 하나 이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경사면(142)과 수평면(141)의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즉, 제1경사면(142)에 가로길이로 제1돌출탭이 형성된다면 수평면(·141)에는 세로길이의 제2돌출탭이 수평면(141) 가로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강홈부(140)의 일면에 상하 관통된 고정공(141)이 원형 또는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타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보강홈부(140)의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가 형성되어 형강(100)이 다른 구조물에 체결수단(5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형상부(130)는 전통무늬를 모티브로 한 문양각을 반복적 배열로 형강(100)의 가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전면부(110)의 상면에 문양각이 내측으로 오목형의 보강요부(130-1)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문양각의 보강요부(130-1)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하면의 위치로 문양각이 돌출된 보강철부(130-2)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0) 상면의 보강요부(130-1)가 음각이라면 전면부(110) 하면은 보강요부(130-1)에 대응되는 형태의 보강철부(130-2)가 양각으로 형성되어 구조물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면서 형강(100) 자체 강도를 증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형강(100)이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상호 연결부위가 견고한 고정으로 체결되도록 다음과 같은 결합구조가 포함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100)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1연결부재(200a)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와 타측 형강(100) 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에 제1연결부재(200a)가 배치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200a)는, 좌측 및 우측이 개방되어 내부에 빈 공간의 완충공간(201)이 형성되며,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에 형성된 보강홈부(140)에 대응되는 위치의 양측면에 각각 “V”형의 인장홈(221)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인장홈(221)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된 한 쌍의 제1볼트공(222)이 형성되면서 제1볼트공(222)에 대응되는 위치의 형강(100) 보강홈부(140)에 제1체결공(144)이 형성되는 형강(100)을 제공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a)는 일측 형강(100)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에 마주하는 타측 형강(100) 단부가 상호 면접되는 이음부(202)인 형강(100) 전면부(110) 하면에 배치되어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을 상호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200a)는 좌측 및 우측으로 개방된 내부의 완충공간(201)을 형성하도록 형강 전면부(110) 하면에 마주하는 판재형의 제1커버면(210a)과 상기 제1커버면(210a)에 이격 마주하는 제2커버면(210b)을 형성하며, 즉 상기 제1커버면(210a)과 제2커버면(210b) 사이에 완충공간(20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200a)의 전면 및 후면인 형강(100)의 보강홈부(140)에 대응되는 각각의 위치에 “V”형의 인장홈(221)이 형성된 인장면(220)이 형성되며, 즉 상기 인장면(220) 각각에 형성된 인장홈(221)은 전면 및 후면의 인장면(220)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200a)는 좌/우측으로 관통되면서 내부에 완충공간(201)이 형성된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제1, 2커버면(210a)(210b)과, 상기 완충공간(20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 인장면(220)이 형성하되, 상기 인장면(220)의 가로길이로 “V”형의 인장홈(221)이 형성하면서 양측 인장면(220)의 인장홈(221)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인장면(220)에 “V”형의 인장홈(221)이 완충공간(201)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서 양측 형강(100)이 상호 결합된 이음부(202)으로부터 외력이 발생시 제1연결부재(200a)의 인장면(220)에 형성된 인장홈(221)로 인해 휨강도가 증가하면서 완충력을 증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이 상호 면접되는 이음부(202)가 제1연결부재(200a)의 중앙에 위치하며, 이때 상기 인장홈(221)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된 한 쌍의 제1볼트공(222)이 형성되면서 제1볼트공(222)에 대응되는 위치의 형강 보강홈부(140)에 제1체결공(144)이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 제1볼트공(222)과 제1체결공(144)을 통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50)으로 체결하여 양측 형강(100) 이음부(202)에 제1연결부재(200a)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200a)의 전측 인장홈(221) 중앙에 이격된 한 쌍의 제1볼트공(222)이 형성되면서 후측 인장홈(221) 중앙에 상기 한 쌍의 제1볼트공(222)에 대응되는 후측 인장홈(221) 중앙 위치에 제1볼트공(222)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인장홈(221)의 제1볼트공(222) 각각 마주하는 일측 및 타측 형강의 보강홈부(140)에 제1체결공(144)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형강(100)이 복수 개로 배열되면서 상호 연결부위가 견고한 고정으로 체결되도록 다음과 같은 다른 결합구조가 포함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100)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2연결부재(200b)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 중앙 및 타측 형강(100) 단부 중앙에서 소정 길이로 양측단이 절개되어 전면부(110)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편(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200b)는, 상기 형강(100)의 전면부(110) 세로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양측 형강(100)의 전면부(110)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이음부(202)에 면접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결 절곡되면서 절곡된 중앙에 형강(100)의 체결편(112)이 면접 체결되는 체결부(240) 및 상기 체결부(240)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면서 보강홈부(140) 하측의 날개부(120) 내측면에 면접 체결되는 결합편(2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고강성의 형강(100)을 제공한다.
먼저,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각각의 단부가 서로 면접하면서 면접된 부위에 이음부(202)가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202)에 위치한 일측 형강(100) 단부의 전면부 단부 중앙에서 내측의 소정 길이로 양단이 절개되면서 전면부(110) 하측으로 절곡된 체결편(112)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편(112)이 위치한 전면부(110) 단부 중앙에 체결편(112)의 절곡에 의해 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와 타측 형강(100) 단부가 서로 마주하며,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에 형성된 체결편(11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칭형태로 타측 형강(100) 단부 중앙에 체결편(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00b)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형강(100)이 면접되는 이음부(202)에 중앙이 위치하여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이음부(202)의 양측을 마주하여 양측 형강(100)을 상호 결합 고정하며, 그 구조에서 지지부(230), 체결부(240) 및 결합편(2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230)는 양측 형강(100)이 면접된 이음부인 양측 형강(100)의 전면부(110) 하면에 면접되는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00b)의 체결부(240)는 지지부(230) 양측단에서 각각 연결 및 절곡되며, 이때 체결부(240) 각각의 중앙에 양측 형강(100)의 체결편(112)이 면접하면서 상호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하게 되며, 상기 체결부(240) 중앙과 체결편(112)이 상호에 관통된 구멍(241)(112-1)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00b)의 결합편(250)은 양측 체결부(240) 각각의 양단에 연결 및 절곡되며, 이때 상기 날개부(120)의 내측 일면에 면접되면서 상호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하게 되며, 상기 결합편(250)과 날개부(120) 내측 일면에 상호 관통된 구멍(251)(121)이 형성되어 체결수단을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100)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3연결부재(200c)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와 타측 형강(100) 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에 제3연결부재(200c)가 배치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200c)는, 중앙의 제1완충부(26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2완충부(262)가 배열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양측이 서로 좌우대칭된 제2경사면(263)을 형성하는 완충브라켓(260)가 설치되되,
상기 제1완충부(261)의 내측에 형성된 제1완충홈(261-1)이 상향으로 개방된다면 각각의 제2완충부(262)는 하향으로 개방된 제2완충홈(26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262-4)이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부(262)의 외측판(262-2)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한 쌍의 제3볼트공(262-3)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측 형강(100)의 보강홈부(140)에 각각 제2체결공(145)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끼움편(262-4)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보강판(270)이 배치되면서 보강판(270)의 상면 중앙에 면접되는 제1완충부(261)의 지지면(261-2)이 상호 면접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고강성의 형강(100)을 제공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200c)는 완충브라켓(260)과 보강판(270)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한 이음부(202)에 결합되어 일측 형강(100) 및 타측 형강(100)을 결합 고정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브라켓(260)은 중앙의 제1완충부(26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2완충부(262)가 배열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완충부(261)는 양측면이 밀폐되면서 상부가 개방 및 하부가 밀폐된 형태로 내부에 제1완충홈(261-1)이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1완충부(261)를 양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제1완충부(261) 양측으로 각각 제2완충부(262)가 형성하되, 양측면이 밀폐되면서 상부가 밀폐 및 하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내부에 제2완충홈(262-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즉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1완충부(261)의 제1완충홈(261-1)이 상향 개방된다면 양측 제2완충부(262)의 제2완충홈(262-1)은 하향 개방되는 대칭형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완충브라켓(260)이 제1완충부(261) 및 제2완충부(262)로 구획되면서 대칭형의 1, 2완충홈(261-1)(262-1)을 형성함으로서 이음부(202)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외력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전달시 충격에너지의 분산 및 완충을 효과적으로 증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26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2완충부(262)가 연결되면서 완충브라켓(260)의 양측면이 각각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면(263)이 상호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양측 제2경사면(263)의 형상으로 인해 완충브라켓(260)의 상면 면적이 하면 면접에 비해 더 큰 면적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상면 면접이 형강의 전면부(110) 내측면에 면접되어 일/타측 형상(100)의 이음부(202)의 지지력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262-4)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끼움편(262-4)은 형강(100)의 보강편(150)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한 쌍의 제3볼트공(262-3)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측 형강(100)의 보강홈부(140)에 각각 제2체결공(145)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된다.
즉,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2완충부(262)는 형강(100)의 날개부(120) 내측면과 마주하면서 날개부(120)의 보강홈부(140)에 위치한 제2완충부(162)의 외측판(262-2)에 제3볼트공(262-3) 그리고 상기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보강홈부(140)의 위치에 제2체결공(145)이 형성되어 상기 제3볼트공(262-3)과 제2체결공(145_으로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70)은 완충브라켓(26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끼움편(262-4) 내측으로 보강판(270)이 끼움결합되면서 보강판(270)의 상면 중앙에 면접되는 제1완충부(261)의 지지면(261-2)이 상호 면접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된다. 즉, 상기 제1완충부(261)의 지지면(261-2)인 제1완충홈(261-1)의 밀폐면과 면접하는 보강판(270)에 상호 관통된 구멍(261-3)(271)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을 통해 상호 체결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판(270)이 완충브라켓(260)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형강(100)의 보강편(150)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판(270) 양측이 보강편(150) 외측면에 면접되면서 보강판(270)의 중앙 일면과 제1완충부(261)의 지지면(261-2)에 각각 대응 관통된 구멍(271)(261-3)으로 체결수단(50)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1완충부(261) 양측에 형성된 제2완충부(262)의 제2완충홈(262-1)으로 상기 제2완충홈(262-1)의 내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보강빔(280)이 결속되면서 제2완충부(262)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빔(280)에 제4볼트공(28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빔(280)은 제2완충홈(262-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어 제2완충홈(262-1)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빔(280)이 완충브라켓(260)에 결합됨으로서 양측 형강(100)의 이음부(202)에 대한 인장력을 보강 및 지지력을 더욱 증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형강(100)과 완충브라켓(260)이 상호 하나의 체결수단(50)을 통해 체결 고정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브라켓(260)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제3볼트공(262-3)이 제1완충홈(261-1) 및 제2완충홈(272-1)으로 상호 관통되어 양측 외측판(262-2)의 제3볼트공(262-3)이 연계되며, 상기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홈부(140) 각각에 형성된 제2체결공(145)을 상호 연결하면서 완충브라켓(260)의 제3볼트공(262-3)을 통과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수단(50)이 포함되는 형강(100)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형강 100 전면부 110 날개부 120
체결편 112 형상부 130 보강홈부 140
보강편 150 제1연결부재 200a 제2연결부제 200b
제3연결부재 200c 완충공간 201 제1커버면 210a
제2커버면 210b 인장면 220 인장홈 221
지지부 230 체결부 240 결합편 250
완충브라켓 260 제1완충부 261 제1완충홈 261-1
제2완충부 262 제2완충홈 262-1 외측판 262-2
끼움편 262-4 보강판 270 보강빔 280

Claims (6)

  1.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된 판재형의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110) 양단을 각각 가로방향 길이로 절곡된 날개부(120)와, 상기 날개부(120)의 단부를 가로방향 길이로 전면부(110) 하측으로 절곡된 보강편(150)과, 상기 날개부(120) 중앙의 가로방향 길이로 형성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된 보강홈부(140) 및, 상기 전면부(110)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배열 형성되면서 전통무늬를 모티브로 한 문양각을 반복적 배열로 전면부(110)의 상면에 문양각이 내측으로 오목형의 보강요부(130-1)를 형성하며, 상기 전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문양각의 보강요부(130-1) 형성 위치에 대응되는 하면의 위치로 문양각이 돌출된 보강철부(130-2)가 형성되는 형상부(130)로 이루어지는 고강성의 형강(100)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100)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2연결부재(200b)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 중앙 및 타측 형강(100) 단부 중앙에서 소정 길이로 양측단이 절개되어 전면부(110) 내측으로 절곡된 체결편(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200b)는, 상기 형강(100)의 전면부(110) 세로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양측 형강(100)의 전면부(110) 단부가 서로 면접하는 이음부(202)에 면접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의 양측단에서 각각 연결 절곡되면서 절곡된 중앙에 형강(100)의 체결편(112)이 면접 체결되는 체결부(240) 및 상기 체결부(240) 각각의 양단에 연결되어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면서 보강홈부(140) 하측의 날개부(120) 내측면에 면접 체결되는 결합편(25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의 형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 단부에서 날개부(120) 단부를 연결하는 절곡부위에 “ㄱ"자형의 강성홈(111)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강성홈(111)의 수평길이홈(111-1)은 전면부(110)에 강성홈(111)의 수직길이홈(111-2)은 날개부(12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의 형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 중앙 및 타측 형강(100) 단부 중앙에 각각 체결편(112)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2연결부재(200b)가 결합되지 않고,
    상기 고강성의 형강(100)이 복수 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형강(100) 중 서로 이웃하는 일측 형강(100)과 타측 형강(100) 사이에 제3연결부재(200c)가 결합되되,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와 상기 일측 형강(100)의 단부에 이웃하는 타측 형강(100)의 단부가 서로 면접되면서 상기 일측 형강(100) 단부와 타측 형강(100) 단부가 면접되는 위치에 제3연결부재(200c)가 배치되며,
    상기 제3연결부재(200c)는, 중앙의 제1완충부(261)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2완충부(262)가 배열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양측이 서로 좌우대칭된 제2경사면(263)을 형성하는 완충브라켓(260);이 설치되되,
    상기 제1완충부(261)의 내측에 형성된 제1완충홈(261-1)이 상향으로 개방된다면 각각의 제2완충부(262)는 하향으로 개방된 제2완충홈(26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끼움편(262-4)이 형성하며,
    상기 제2완충부(262)의 외측판(262-2) 각각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된 한 쌍의 제3볼트공(262-3)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양측 형강(100)의 보강홈부(140)에 각각 제2체결공(145)이 형성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2완충부(262) 각각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끼움편(262-4)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는 보강판(270);이 배치되면서 보강판(270)의 상면 중앙에 면접되는 제1완충부(261)의 지지면(261-2)이 상호 면접되어 체결수단(50)으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의 형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브라켓(260)의 제1완충부(261) 양측에 형성된 제2완충부(262)의 제2완충홈(262-1)으로 상기 제2완충홈(262-1)의 내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보강빔(280)이 결속되면서 제2완충부(262)의 외측판(262-2)에 형성된 제3볼트공(262-3)에 대응되는 위치의 보강빔(280)에 제4볼트공(28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성의 형강.
KR1020200008624A 2020-01-22 2020-01-22 고강성의 형강 KR10211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24A KR102115029B1 (ko) 2020-01-22 2020-01-22 고강성의 형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24A KR102115029B1 (ko) 2020-01-22 2020-01-22 고강성의 형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029B1 true KR102115029B1 (ko) 2020-05-25

Family

ID=7091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24A KR102115029B1 (ko) 2020-01-22 2020-01-22 고강성의 형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0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24B1 (en) * 1998-04-25 2002-05-21 Daimlerchrysler Ag Connecting element
JP2007534868A (ja) * 2004-04-29 2007-11-29 マルティネス−セペダ,フェデリコ 溝付き補強形材
KR101202385B1 (ko) * 2012-08-22 2012-11-16 주식회사 대동강업 형상구조 굽힘 강성 향상을 위한 씨형강과 그 제조방법
JP2015214880A (ja) * 2014-05-09 2015-12-03 実固股▲ふん▼有限公司 建築用梁
KR101654871B1 (ko) 2015-03-17 2016-09-07 조성오 판넬 체결구멍을 갖는 씨형강 제조장치
KR101855350B1 (ko) 2016-05-27 2018-05-08 김성도 다단 조립식 구조용 형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724B1 (en) * 1998-04-25 2002-05-21 Daimlerchrysler Ag Connecting element
JP2007534868A (ja) * 2004-04-29 2007-11-29 マルティネス−セペダ,フェデリコ 溝付き補強形材
KR101202385B1 (ko) * 2012-08-22 2012-11-16 주식회사 대동강업 형상구조 굽힘 강성 향상을 위한 씨형강과 그 제조방법
JP2015214880A (ja) * 2014-05-09 2015-12-03 実固股▲ふん▼有限公司 建築用梁
KR101654871B1 (ko) 2015-03-17 2016-09-07 조성오 판넬 체결구멍을 갖는 씨형강 제조장치
KR101855350B1 (ko) 2016-05-27 2018-05-08 김성도 다단 조립식 구조용 형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579B2 (en) Semi-butterfly connecting clamp and building steel framework joint structure
KR102085915B1 (ko) 고강성의 형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7355002B (zh) 震后可修复式钢梁柱单边连接节点和钢结构建筑
KR101011220B1 (ko) 내하성능 및 사용성능이 개선된 강거더
JP3890515B2 (ja) 耐震型柱・梁接合構造
AU2016316135B2 (en) Longitudinal joint structure for hat-type steel sheet piles, longitudinal joint hat-type steel sheet pile unit, and steel wall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CN1786362B (zh) 建筑钢框架节点结构
KR102115029B1 (ko) 고강성의 형강
KR102522194B1 (ko) 트러스거더 보강부를 갖는 거푸집, 및 이를 조립한 거푸집 조립체
US5118218A (en) Box culvert without rib stiffeners
CN216109901U (zh) 一种托换承重墙的钢结构后置墙梁
CN213015377U (zh) 预埋件压力免拆模板
Asada et al. Proposal for seismic retrofit of beam-to-column connection by the addition of H-section haunches to beams using bolt connection
CN205475801U (zh) 一种用于剪力墙结构的金属阻尼器
JP312963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の鉄筋付着力補強構造
KR102529053B1 (ko) 화재 이후 재사용이 가능한 합성보
CN217808181U (zh) 一种双层块式可拼接货梯轿厢底结构
KR20220035520A (ko) 강판으로 제조되는 플랜지강도가 보강된 조립식 에이치빔
CN214423620U (zh) 一种分离式构件组成的耗能装配式梁柱节点
CN216688976U (zh) 一种钢箱梁结构
CN217949432U (zh) 一种组合钢板剪力墙
US20110047933A1 (en) Profiled steel deck
KR102543968B1 (ko) 토류판
CN108385883B (zh) 一种预应力楼板组合式平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