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947A -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947A
KR20180037947A KR1020187001379A KR20187001379A KR20180037947A KR 20180037947 A KR20180037947 A KR 20180037947A KR 1020187001379 A KR1020187001379 A KR 1020187001379A KR 20187001379 A KR20187001379 A KR 20187001379A KR 20180037947 A KR20180037947 A KR 20180037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pyrronium
fatty acid
acid
product
bro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븐 에이. 리치
에머리치 에이센레이치
쉐쥔 칼 류
빙이디미 이투테 모벨
새티쉬 고드 퍼팰리
Original Assignee
캄 파마슈티컬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 파마슈티컬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캄 파마슈티컬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37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2Oxygen or 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3/00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hydrogen
    • C07C53/126Acid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 C07C57/03Monocarboxylic acids
    • C07C57/12Straight chain carboxylic acids containing eighteen carbon at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9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using ion-ex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 G01N2030/885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involving hydrocarb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6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elemental analysis, e.g. isotope dilution analysis

Abstract

신규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개발했다. 2상(biphasic) 반응 조건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지방산 염 사이의 원하는 짝이온 교환 반응을 가능케 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반응 혼합물 중의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안정화하고, 불순물인 산 A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0.1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략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Description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발명의 명칭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인, 2015년 6월 15일 출원된 가특허출원 번호 제62/175,737호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발명에 대한 이익을 주장한다. 미국 가특허출원의 35 USC § 119(e)하에서의 이익이 본원에서 주장되며, 상기 특허출원은 이의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글리코피로늄 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신규한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 관한 것이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로도 알려진) 글리코피롤레이트는 3-[사이클로펜틸(하이드록시)페닐아세톡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의 화학명, C19H28BrN03의 분자식, 및 398.34의 분자량을 갖는, 4급 암모늄 짝이온을 갖는 브로마이드 염이다. 이의 화학 구조는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트로스퓸 클로라이드는 화학명, 3-(2-하이드록시-2,2 디페닐아세톡시)스피로[바이사이클로[3.2.1]옥탄-8,1' 피롤리딘]-1'-윰 클로라이드를 갖는 4급 암모늄 염이다. 트로스퓸 클로라이드의 분자식은 C25H30ClNO3이고, 이의 분자량은 427.97이다. 트로스퓸 클로라이드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4급 암모늄 항무스카린 약물(QAAM)은 특히 유용한데, 이는 이들이 과도한 아세틸콜린 생산 기간 동안 내인성 아세틸콜린에 길항하거나, 또는 생리적 및 약리적 이유로 아세틸콜린 효과가 장기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중추신경계(CNS)를 눈에 띄게 관통하지 않는다는 성질들을 공유하며, 글리코피롤레이트 및 트로스퓸 클로라이드는 항무스카린 수용체 상에서의 말초 항콜린성 효과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CNS 분포의 예방에 있어서 유리한 것과 동일한 생화학적 성질은 또한 장 흡수를 제한하여, 음식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의약의 현재 가능한 제형을 필요로 하고, 환자에서의 불완전하고 다양한 생체이용률을 야기한다.
2상(biphasic) 반응 조건은 원하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지방산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염과의 짝이온 교환 반응을 가능케 한다.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기 상으로의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의 바람직한 분할 및 수성 상으로의 브로마이드의 분할은,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한다. 상기 반응조건하에서의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가수분해에 대해 불안정한 동시에, 유성(oily) 생성물로 단리되지만, 반응 혼합물 중의 과량의 지방산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안정화하고 가수분해 부산물 불순물인 산 A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몰 과량의 지방산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0.2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0.6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0.6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약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1.1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형을 안정화하기 때문에, 이는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의 향상된 생체이용률을 야기할 수 있다.
도 1은, 브로마이드 면적에 의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한 HPLC 조정 커브를 도시한다.
도 2는, "글리코피로늄" 피크에 의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한 HPLC 조정 커브를 도시한다.
도 3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스테아르산칼륨의 교환 반응의 HPLC 결과를 도시한다.
도 4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팔미트산칼륨의 교환 반응의 HPLC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디메틸 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의 메틸화를 도시한다.
도 6은,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에 대한 HPLC 조정 커브를 도시한다.
도 7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EE-008-008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8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EE-008-001-3B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9는,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8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0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1-3B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1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8의 전체 스펙트럼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2a는, 도 11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2b는, 도 11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2c는, 도 11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3a는, 산 A 부산물의 전체 스펙트럼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3a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3c는, 도 13a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a는, 글리코피로늄 가수분해 부산물, 4급 아미노 알콜(QAA), DMSO-d6 중의 물, 4.7ppm에서의 s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4a의 스펙트럼의 일부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c는, 4급 아미노 알콜에 대한 탄소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4d는, 4급 아미노 알콜에 대한 탄소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5a는,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5b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5a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5c는,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 샘플의 또 다른 시행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5d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5c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6a는, 글리코피로늄 팔미테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6b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6a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6c는, 글리코피로늄 팔미테이트 샘플의 또 다른 시행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6d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6c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7a는, 글리코피로늄 리놀레에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7b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7a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7c는, 글리코피로늄 리놀레에이트 샘플의 또 다른 시행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7d는, 면적% 보고서를 포함하는, 도 17c의 데이터의 확장된 보기를 도시한다.
도 18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3.33ppm에서의 DMSO-d6 중의 잔류 물, 싱글렛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9는,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0은, 글리코피로늄 팔미테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1은, 글리코피로늄 리놀레에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2는, 글리코피로늄 농도 대 글리코피로늄 피크 면적을 도시한다.
도 23은, 블랭크(blank)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도 24는, 분별 용액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도 25는, 브로마이드 표준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6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브로마이드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7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칼륨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28은, 스테아르산에 대한 표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도 29는,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스테아르산 분석에 대한 샘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현재 입수가능한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은 4급 암모늄 양이온 및 비유기질(nonorganic) 음이온과의 염으로서 발생한다.
"인지 장애 또는 급성 섬망에 대하여 치료되는 환자에서의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용도"라는 명칭의 2012년 1월 17일 등록된 미국 특허 제8,097,633호, 및 "인지 장애 또는 급성 섬망에 대하여 치료되는 환자에서의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신규한 용도"라는 명칭의 2012년 4월 12일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088785호는, 글리코피롤레이트 또는 트로스퓸과 같은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의 부작용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하며, 상기 문서 둘 다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인지 질환의 진행을 변경하기 위한 결합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4급 암모늄 항무스카린 치료요법"라는 명칭의 2015년 3월 3일 등록된 미국 특허 제8,969,402호, 및 "인지 질환의 진행을 변경하기 위한 결합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 및 4급 암모늄 항무스카린 치료요법"라는 명칭의 2013년 7월 4일 공개되 미국 특허 공개 제2013/0172398호는, 인지 장애 또는 급성 섬망을 치료하기 위해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와 함께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를 투여하는 것을 개시하며, 상기 문서 둘 다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이러한 치료요법은 인지 장애 또는 질환의 변형, 즉 질환 진행의 감속을 초래한다.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에 대한 새로운 제형도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는, 염의 음이온성 성분으로서 유기 친지성 음이온을 포함하는 염을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의 친지성 음이온은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탄소 분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을 포함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는 글리코피롤레이트 또는 트로스퓸이다.
4급 암모늄 항무스카린 약물(QAAM)은 과도한 아세틸콜린 생산 기간 동안 내인성 아세틸콜린에 길항하거나, 또는 생리적 및 약리적 이유로 아세틸콜린 효과가 장기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중추신경계(CNS)를 눈에 띄게 관통하지 않는다는 성질들을 공유하며, 글리코피롤레이트 브로마이드 및 트로스퓸 클로라이드는 항무스카린 수용체 상에서의 말초 항콜린성 효과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치료에 특히 유용하다.
CNS 분포의 예방에 있어서 유리한 것과 동일한 생화학적 성질은 또한 장 흡수를 제한하여, 음식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의약의 현재 가능한 제형을 필요로 하고, 환자에서의 불완전하고 다양한 생체이용률을 야기한다.
글리코피롤레이트, 트로스퓸 및 기타 QAAM의 경구 생체이용률의 향상은 음식에 관계 없이 의약을 투여할 수 있으며, 다른 의약은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환자간 변동성 정도는 의약을 흡수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의약의 효과에 있어 개체간 변동성을 감소시키고 약물 흡수에 대한 위장 운동성의 변화 효과를 감소시킨다. 또한, 음식에 근접하여 의약을 복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약 복용에 대한 환자의 집착이 개선될 수 있다.
QAAM은 염의 음이온 성분으로서 친지성 음이온을 가지고 생성된다. 구조 활성 분석(SAR)은 최적의 친지성 음이온이 8개 이상의 탄소 분자의 지방산으로서, 분자의 소수성 테일(tail)이 이온화된 양이온성 QAAM 분자의 양전하를 방해하는 향상된 지질 용해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적절한 염은 아라키딘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에루스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라우르산, 카프르산, 리놀레산, 또는 미리스트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중쇄 및 장쇄 지방산류로부터 유래한다.
QAAM의 염(양이온) 및 지방산(음이온)은 "이온 스와핑(swapping)", "짝이온 교환" 또는 "염 복분해"으로 나타내는 유기 화학 반응들을 통해 샌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서, 현재의 원소 염(글리코피롤레이트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트로퓸 클로라이드)으로서의 QAAM화합물은 α-리놀렌산과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의 원소 염을 갖는 2상 용액에 배치된다. 상기 용액은 온도, pH 및 진탕의 변화로 처리되어 선택적으로 유기 상으로 추출되는 염을 생성한다. 추출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염을 단리하고, 정성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확인한 다음, 동물에게 화학양론적으로 투여한다. 정량적인 혈청 및/또는 소변 검사는 식품의 존재 및 부재 둘 다에서 QAAM의 원소 염과의 비교에 사용된다. 정량적인 혈청 및/또는 소변 검사를 사용하는 QAAM(예: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정맥내 투여는, 100% 생체이용률에 대한 참조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 화합물과 합성 염 둘 다를 비교하여 식품 및 기타 일반적으로 공동-투여되는 의약의 존재 및 부재와 관련된 이들의 생체이용률을 확립한다.
상기 방법 동안 QAAM 분자의 가수분해가 없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 동안 상기 언급된 생체이용률 연구 이외에 정성적 연구가 완료된 필요가 있다.
합성된 지방산/QAAM 염은 병리학적 과정 또는 의약의 사용에 의해 유발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인간 및 동물에서의 과도한 아세틸콜린 활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과활동성 방광, 침흘림증, 설사, 서맥, 다한증, 과활동성 위선 분비, 덤핑 증후군, 기관지 연축, 혈관운동 비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치료하기 위한 개별 제품으로서 유용하다. 향상된 생체이용률 QAAM은 중대한 중추신경계 항콜린성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증상을 개선할 있어야 한다. 향상된 생체이용률은 식품에 관계없이 투여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본 생성물의 경피 제형이 실용적일 수 있는 수준으로 경피 흡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 약물 또는 아세틸콜린 긴장도(tone)를 증가시키는 임의의 다른 약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2상 반응 조건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지방산 염과의 바람직한 교환 반응을 가능케 하여,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를 (지방산과 함께) 유기 상으로 바람직하게 분할하고 상기 브로마이드를 수성 상으로 분할하는 것은 물 및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사용한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상기 반응 조건하에서의 가수분해와 관련하여 중간 정도로 불안정하고 유성 생성물로서 단리되는 반면, 반응 혼합물 중의 과량의 지방산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안정화시키고 가수분해 부산물인 산 A 및 4급 암모늄 분해물(QAA)의 형성을 감소시킨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과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혼합물을 서로 단리하여 일관되고 명확한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잠재적으로 글리코피로늄 생체이용률의 바람직한 증가를 제공한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본원에 개시된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의 생체이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제조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확장가능한 합성 공정이 개발되었다. 우선,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지방산 칼륨 염으로부터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는 유기 용매(무수 조건) 또는 2상(수성 상/유기 상) 조건에서 실시되는데, 이는 적절한 제조 절차를 신속히 식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출발 물질 및 생성물의 용해도는 이러한 옵션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2상(용매/물)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제한한다.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는 주로 라우르산, 팔미트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칼륨)을 사용했다. 이러한 공정은 지방산의 Na, K 및 Ca 염을 포함하는 상이한 염들을 사용했다. 다른 양태에서, 지방산의 Mg 또는 Ba 염이 사용된다.
평가에는 복수의 단계들이 포함됐다. 첫번째 단계는 라우르산을 이용하는 친지성 염 제조의 스크리닝 및 평가였다. 후속적인 공정 개발 및 분석 방법 개발은 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제조를 사용하여 실시됐다. 이어서, 스테아르산을 사용하여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5g 이상 생성했다. 3g 이상의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염의 3개의 추가적이고 상이한 샘플들을 추가의 지방산(팔미트산, 라우르산, 리놀레산 및 스테아르산 - 하기 표 23b 참조)과 함께 합성했다. 그 결과 얻어진 4개의 샘플을 특성확인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 대한 분석 방법도 개발됐다. 이러한 방법들은 향후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개발 샘플의 품질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일반적인 합성을 위한 보다 정제된 공정 또한 개발됐다.
분석 방법 적용 중 일부는, 무기 브로롬화물 염(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성 세척의 최적 수와 양을 결정하여 반응이 >95 % 전환되도록 밀어붙이는(push) 것을 보장하는 염 교환 효과의 평가, 활성 약제 성분(API)을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최적 량의 결정(적합한 몰 당량을 평가함), 및 (예를 들어, 적절한 용매/항용매(solvent/antisolvent) 조합으로 침전을 통하여) 반응 생성물의 순도를 평가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의 분리 및 정제의 개선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수성 세척의 최적 수는 3 내지 4회 세척이다. 다른 양태에서, 바람직한 세척 횟수는 적어도 3회 세척이다.
분석 방법 개발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색성 출발 물질, 생성물 및 분해물의 정량화 방법, 약성(weakly) 또는 비발색성 출발 물질 및 분해물(지방산 및 유도된 염, 디메틸하이드록시피롤리디늄 분해물)의 정량화 방법, 출발 물질 및 생성물 중의 브로마이드 이온의 정량화 방법, 및 생성물 중의 칼륨 (또는 나트륨) 이온의 정량화 방법을 포함한다. 개별적으로, 이들 방법만으로는 염 교환 공정의 효과와 유도된 생성물의 순도를 평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지만, 이들 직교 분석 방법의 조합은 이들 목적 둘 다를 달성한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사용된 일부 약어를 표 1에 기재하고, 화학식을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2
[표 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적화된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1에 대한 일반적인 화학식을 하기 표 3a에 나타낸다.
[표 3a]
Figure pct00005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일부 바람직한 예에 대한 화학식이 여기에 개시된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하기 표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바람직한 출발 물질(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2 및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 3)이 존재한다.
[표 3b]
Figure pct00009
글리코피로늄 염의 합성
지방산의 글리코피로늄 염의 실용적이고 규모확장가능한 합성이 개발됐다. 지방산의 글리코피로늄 염의 일반적인 화학식은 표 3a에 화합물 1로 나타낸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합물 2, "글리코피롤레이트"로도 알려짐) 또는 본원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화합물 3)로 명명된 합성 전구체로부터 출발하는 세 가지 상이한 접근법을 고려했다. 세 가지 접근법은 a)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합물 2)로부터 출발하는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염 복분해, b)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합물 2)로부터 출발하는 직접 염 복분해, 및 c)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화합물 3)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는 글리코피로늄 메틸 카보네이트를 통한 합성이었다.
물/Me-THF 시스템에서 지방산 염 및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갖는 제제에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안정화하고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시킨다.
본원에서 정의된 "유리 지방산"은 이온화된 형태(염 형태)의 지방산과는 상이한 유리 형태의 지방산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0.2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고,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0.6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0.6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약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고, 또 다른 양태에서는, 1.1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은 유입비에 비해 (글리코피로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방산의 풍부함(enrichment)을 갖는다.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을 사용하는 양태에서, 단리된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2:1 FA:GP 이상의 유입비를 갖는다. 이러한 양태들 중 일부에서, 상기 비율은 약 2.25:1 내지 3.00:1이다. 이러한 양태들 중 일부에서, 상기 비율은 약 2.29:1 내지 2.87:1이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라우르산칼륨의 반응 혼합물은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첨가함으로써 부산물(산 A)의 형성에 대해 안정화된다. 일부 바람직한 지방산은 아라키드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에루스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라우르산, 카프르산, 리놀렌산 또는 미리스트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산 염에 대한 일부 바람직한 염은 Na, K 또는 Ca 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태에서, Mg 또는 Ba 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사용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지방산 염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칼륨과의 라우르산 반응의 경우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라우르산칼륨에 비해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이 사용된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반응 혼합물을 안정화시킨다. 보다 큰 유리 지방산(0.6 내지 1.2몰 과량)의 초과분은, 상 분리를 개선시키고, 유기 추출물 용액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단리된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과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혼합물을 단리하여 일관되고 명확한 생성물을 보장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처음부터,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합성 접근법은 pH 5.6을 초과하는 pH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공지된 가수분해 불안정성으로 인해(예를 들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문헌[G Gupta, V.D., " Stability of Oral Liquid Dosage Forms of Glycopyrrolate Prepared With the Use of Powder",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Compounding, 2003, 7(5), 386-388] 참조), 그리고 필요한 기술의 복잡성 및 비용으로 인해 어려웠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수용액은 주위 온도에서 pH 5.6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한 반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는 수지를 사용하는 염 교환 공정에서 요구되는 pH값에서 에스테르 결합에서 신속하게 가수분해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학식 2)로부터 출발하여, 상응하는 지방산 염(표 3a의 화학식 1)은 원칙적으로 음이온성 이온 교환 수지의 사용을 통해 유도될 수 있다. 표 4는 이것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는 이온 교환 흐름도를 제공한다.
[표 4]
Figure pct00010
하지만, 수지를 사용하는 이온 교환 접근법은 표준 합성 방법론 이상의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적합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공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파라미터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이온 교환에서 흡착-탈착 등온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수지에 대한 기질의 상대 비율, 용매 시스템(용리액), 온도, 및 기질 농도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지와 지방산 주쇄 사이의 소수성 상호작용은 (극성 그룹의 정전 기적 인력 외에) 결합 효율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수지 선택 그 자체가 중요한 고려사항일 수 있다(예를 들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문헌[Hiara, Y. "Adsorption of Fatty Acid Sodium Salts on Ion Exchange Resin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986, 32(6), 5665-5667] 참조). Hiara의 문헌에서는, 중합체(IRA94)에 소수성 페닐 그룹을 갖는 약염기성 수지가 소수성이 적은 수지(IRA68)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지방산 나트륨 염의 흡착 효율은 C-6으로부터 C-12 지방산 염으로 갈수록 극적으로 증가했다.
이온 교환 방법론에 대한 또 다른 문제점은 에스테르 가수분해로 인한 수용액의 상승된 pH에서의 글리코피롤레이트의 불안정성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주위 온도에서 pH 5.6 이하에서 비교적 안정하지만(Gupta, 2003), (pH값이 pH 5.6보다 실질적으로 높기 때문에) 가공 조건하에서 에스테르의 가수분해가 쉬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두 가지 접근법은 친지성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에 대해 평가됐다.
라우르산이 초기 작업을 위한 모델 지방산으로 선택되었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라우르산칼륨의 교환 반응을 다양한 용매 시스템에서 스크리닝했다.
최상의 용매 시스템은 물/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Me-THF)이었으며, 원하는 생성물인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를 제공했다. 불행하게도, 단리된 유성 생성물은 불안정했으며, 부산물인 산 A로 분해됐다. 산 A 및 산 A의 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디메틸 카보네이트로의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의 메틸화 시도로부터의 분해 생성물을 표 5에 나타냈다.
[표 5]
Figure pct00011
표적 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고형의 표적 물질을 얻기 위한 시도에서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도 Me-THF/물 시스템에서 조사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고체 생성물(들)을 제공하지 못했고, 공정 동안 산 A에 대해 부분 가수분해를 나타냈다.
직접 염 복분해 (짝이온 교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지방산 염의 반응은 유기 용매(무수 조건) 및 2상(수상/유기 상) 조건에서 실시됐다. 유기 용매에서의 반응은 반응 혼합물로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는 2상 조건을 사용했지만, 어떠한 생성물도 형성하지 않았다.
이러한 과정의 일반적인 화학작용(chemistry)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00012
본 과정에서의 화학작용의 예는 아래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13
추출 과정을 사용하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대표적인 지방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 사이의 직접 염 복분해("이온 스왑")가 성공적으로 개발됐다. 이러한 공정에서, 지방산의 카복실레이트 짝염기와의 브로마이드 교환으로부터 유도된 수용성 무기 염은 수성 상에 분배되고, 교환 공정을 유도하기 위해 반응 매질로부터 제거된다.
이후,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적합한 지방산 염 사이의 직접적인 짝이온 교환을 평가했다. 전형적인 염분 복분해 반응의 원동력은 용액에서 침전 배출되는 불용성 염의 생성이다. 지방산 염의 경우, 가장 가능성이 있는 출발 물질은 상응하는 은 염일 것이다. 예를 들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아세트산은과 반응시켜 글리코피로늄 클로라이드를 제조하여, 글리코피로늄 아세테이트의 생성을 개시하며(브롬화은이 침전 배출됨),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2011년 12월 15일자로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1/0306650호를 참조. 이후 아세테이트 염은 HC1과 반응하여 (아세트산과 함께) 글리코피로늄 클로라이드를 생성한다.
글리코피로늄 설페이트는 황산은을 사용하는 염 복분해에 의해 유사하게 생성된다. 이러한 출발 물질은, 원하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바람직하게는 금속 회수를 통해) 대량으로 침전된 은 염에 대한 특별한 폐기물 처분을 요구하기 때문에, 약물 물질 중 중금속 잔류물에 대한 우려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과 같은 무해한 금속의 지방산 염과 함께 적합한 용매 선택은, 유도된 브로마이드 염(브롬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또는 브롬화칼슘)의 침전을 통한 짝이온 교환의 평가를 위해 고려됐다. 다르게는, 수성 상에 고도의 가용성 무기 염을 추출함으로써 짝이온 교환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반응 용매를 선택하기 위해, HPLC 조정 커브를 사용하여 다양한 용매에서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GPBr 화학식 2)의 용해도를 결정했다(도면 1 및 2 참조). 실온에서의 다양한 용매에서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용해도 결과를 하기 표 6에 요약했다. 실험은 대다수의 경우 50mg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1mL의 용매를 사용하여 수행됐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투명한 여과물을 수득했다. 여과물을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고 HPLC로 확인했다.
[표 6]
Figure pct00014
3개의 라우르산 염(Na, K, 및 Ca)을 모델 염으로 제조했다. 이들 염은 Zacharie 등의 절차("A Simple and Efficient Large-Scale Synthesis of Metal Salts of Medium-Chain Fatty Acids",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09, 13, 581-583)에 따라 제조됐으며, 이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라우르산나트륨의 제조
라우르산(50.08g, 1.0당량)을 실온에서 에탄올(500mL, 10vol., 95% 변성됨)에 용해시키고, 에탄올(500mL, 10vol., 95% 변성됨) 중의 NaHCO3(18.9g, 0.9당량)와 환류 온도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현탁액)을 환류 온도(-77℃)에서 밤새 교반했다. 밤새 침전된 일부 고체(문헌에 보고된 용액 대비) 및 혼합물을 추가의 에탄올(-1.5L)로 희석시켰다. 용액을 따라내고 4시간에 걸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고체 생성물은 ~55℃에서 침전됐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생성물을 MTBE(3x200mL)로 세척하여 과량의 미반응된 유리 라우르산을 제거했다. 백색 습윤 케이크를 공기 중에서 주말에 걸쳐 그리고 50±5℃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27.2g의 백색 고체(54.4% 수율)를 수득했다. 수율이 종래 기술 문헌의 수율보다 낮지만, 이 절차는 보다 나은 수율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몇몇 방법은, 결정화 공정 동안 농도를 최적화하거나, 생성물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고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라우르산칼륨의 제조
두 번째 실험은 에탄올(250mL) 중의 25g(1.0당량)의 라우르산 및 11.25g의 KHCO3(0.9당량)을 환류하에 사용하여 실시했다. 생성물을 에탄올/MTBE(1/1)로부터 결정화시켜 공기 중에서 주말 동안 그리고 50±5℃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킨 후, 22.1g(82.5% 수율)의 라우르산칼륨을 수득했다.
반응 용매 및 이들의 최적화 된 용적을 선택하기 위해, 용매를 첨가하여 초음파처리하에 고체를 용해시킴으로써 다양한 용매에서의 라우르산칼륨의 용해도를 확인했다. 바이알에 라우르산칼륨(~100mg)을 충전한 후, 초음파처리하에 용매를 적가했다. 라우르산칼륨은 대부분의 용매(200vol.)에서 용해될 수 없었다. 다양한 용매에서의 라우르산칼륨의 용해도 결과를 하기 표 7에 요약했다.
[표 7]
Figure pct00015
라우르산칼슘의 제조
세 번째 실험은 환류하에 4시간 동안 에탄올(450mL) 중의 라우르산 15.6g(1.0당량)과 Ca(OH)2(0.9당량) 2.6g으로 실시했다. 생성물은 환류 온도에서 침전됐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메탄올(500mL)로 추가로 희석시켰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생성물을 MTBE 세척으로 세정했다. 고체를 공기 중에서 주말에 걸쳐 그리고 50±5℃의 진공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10.4g의 백색 고체(67.7% 수율)를 수득했다. 이 절차는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몇몇 방법은, 결정화 공정 동안 농도를 최적화하거나, 생성물의 용해도를 감소시키고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유기 용매에서의 반응
용매로서 아세톤, 메탄올 및 디클로로메탄과 조합하여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을 사용하여 침전을 통한 염 복분해를 시도했다.
라우르산칼륨을 이러한 접근법에 대한 모델 지방산 염으로 선택했다. 첫 번째 시도한 반응은 무수 아세톤에서 실시됐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0.508g, 1.0당량)에 이어 아세톤(50mL)을 250mL 플라스크에 충전했다. 라우르산칼륨(1.1당량)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고 추가의 아세톤(100mL)을 첨가하여 고체를 용해시켰다. 고체는 완전히 용해되지 않았다. 상기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잔류물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EtOAc, 100mL)를 사용하여 조악한 잔류물을 추출했다. 상기 추출물을 농축하여 48mg(10wt% 미만의 회수율)만의 유성 잔류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의 HPLC 분석은 몇 개의 피크가 존재함을 나타냈다. 양성자 NMR 분석은 복잡한 혼합물이 얻어졌음을 보였다.
상기 반응은 원하는 생성물을 제공하지 못했는데, 이는 대부분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라우르산칼륨의 낮은 용해도에 기인한다.
출발 화합물들 둘 다가 메탄올에 용해되기 때문에, 다음 반응을 메탄올에서 시도했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1.036g, 1.0당량), 이어서 메탄올(5mL)을 20mL 바이알에 충전하여 모든 고체를 용해시켰다. 메탄올 중 라우르산칼륨 용액(0.691g, 1.1당량, 메탄올 10mL)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주말 동안 주위 온도에서 교반한 후, 상기 용액을 HPLC로 확인하여 HPLC AUC ~47%에서 하나의 새로운 피크(RRT=1.37)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냈다. 상기 용액을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한 후, EtOAc(3x100mL)로 추출했다. EtOAc 추출물을 합치고 유성 잔류물(0.8g)로 농축시켰다. HPLC 분석은 새로운 피크가 61% AUC로 풍부화되었음을 나타냈다. 양성자 NMR 분석은 3.77ppm에서 메틸 에스테르 피크가 형성되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부산물에 대한 제안된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6
EtOAc 추출 후 남아있는 고체(0.87g)를 HPLC로 검사하여 주 피크가 ~91%의 AUC를 갖는 "브로마이드"임을 나타냈다. 그러나, 양성자 NMR 분석은 상기 고체가 하기 표 8에 열거된 가능한 3가지 이상의 화합물들의 혼합물임을 나타냈다.
[표 8]
Figure pct00017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메탄올성 반응 혼합물에서 불안정했다. 그러나, 다른 성분의 부재하의, 출발 물질인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학식 2)는 메탄올에서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무수 조건하에서의 교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DCM)에 현탁시키고 실온에서 90시간 동안 교반하여, 4가지 지방산 염(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을 시험했다. 브롬화칼륨(또는 브롬화나트륨)의 모든 침전은 여과된 DCM 용액의 HPLC 분석에서 브로마이드 피크에 비해 글리코피로늄 피크의 풍부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됐다. 반응 혼합물(DCM, 1.0mL)을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생성된 고형 잔류물을 이동상에 용해시키고, HPLC로 분석했다. 무수 DCM 시스템에서의 교환 반응의 HPLC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pct00018
브로마이드/글리코피로늄 비는, 브로마이드에 비한 글리코피로늄의 풍부화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분명하게 나타냈다. 라우르산칼륨, 라우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또는 팔미트산칼륨과 함께 무수 조건(DCM)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시도는 용해도 문제(아세톤에서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낮은 용해도), 불안정성(메탄올에서의 에스테르교환 반응) 및 불충분한 용해도 차이(디클로로 메탄에서의)로 인해 성공적이지 못했다.
2상 조건에서의 반응
교환 과정이 2상 용매 혼합물에서 실시되는 다른 접근법이 보다 성공적이었다. 선택적 추출을 통한 짝이온 교환을 표 10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pct00019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MeTHF), 메틸 3급-부틸 에테르(MTBE),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IPAc),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톨루엔, 및 디클로로메탄(DCM)의 6가지 용매를 추출 절차에서 평가했다. 라우르산나트륨을 모델 지방산 염으로 사용하여 MeTHF를 최상의 용매로 결정하여,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가 고도로 풍부화된 유기 상을 얻었다.
라우르산칼륨, 팔미트산칼륨, 및 스테아르산칼륨을 사용하는 추가 실험은 이러한 방법론의 보편성을 입증했다. 반응 생성물은 양성자 NMR 분석으로 특성확인하여 지방산 염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개발 중인 HPLC 방법을 사용하는 HPLC 분석은 MeTHF 추출물의 3 내지 4회의 수성 세척 후 최대 96% 면적/면적의 풍부화를 나타냈다.
가수분해 부반응은 현저한 pH(8.0 내지 8.3)에서의 짝이온 교환 과정에서 중요한 문제로 관찰됐다. 이러한 문제는 과량의 유리 지방산을 사용하여 매질을 "완충"하고 가수분해 반응을 최소화하고, 상온에서 물질을 교환하고 추가 처리함으로써 해결됐다.
출발 화합물들 둘 다 매우 수용성이기 때문에, 반응은 물/Me-THF에서 시도됐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학식 2)(1.0당량)에 이어 물(2mL)을 20mL 바이알에 충전하여 모든 고체를 용해시켰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용액을 20mL 바이알의 물 중의 라우르산칼륨(1.1당량, 물 5mL) 용액으로 옮겼다. 상기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바이알을 물(3x1mL)로 세정하고, 세정액을 상기 반응 바이알로 옮겼다. HPLC 분석은 "브로마이드" 피크와 "글리코피로늄" 피크의 면적비는 20/80이었다. Me-THF(10mL)를 반응 용액에 첨가했다. 상기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상 분리를 위해 침전시켰다. 두 층 모두를 HPLC로 확인한 결과, "브로마이드" 피크와 "글리코피로늄" 피크의 면적비는 두 층들(XL-007-071-1 및 XL-007-071-2, 하기 표 11) 사이에서 유의하게 상이했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재혼합 한 다음, 1시간 동안 정치시켜 2개의 층(XL-007-071-3 및 XL-007-071-4)을 수득했다. HPLC 분석은 2개의 피크의 비율은 변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결과는 수성 층에 보다 많은 "브로마이드"가 함유되어 있고 "글리코피로늄"이 Me-THF층으로 추출되었음을 나타냈다. 수성 층을 제거하고, 새로운(fresh) 물로 대체하고, 혼합한 후 침전시켜 2개의 층(XL-007-071-5 및 XL-007-071-6)을 수득했다. HPLC 분석은 Me-THF 층이 93면적%의 "글리코피로늄"을 함유함을 나타냈다. Me-THF 층을 추가로 2회 물로 세척하고, Me-THF층의 생성물을 96면적%로 풍부화됐다(XL-007-071-10). 반응 혼합물의 수성 층 및 유기층에 대한 HPLC 결과를 표 11에 나타냈다.
[표 11]
Figure pct00020
세척된 Me-THF 층(XL-007-071-10)으로부터의 하나의 분액 샘플을 취하여 오일로 농축시키고, 출발 용매와 비교하기 위해 상이한 용매(CDCl3, DMSO-d6, 및 D2O)에서 양성자 NMR로 분석했다. 양성자 NMR 스펙트럼은 원하는 생성물의 예상되는 스펙트럼과 일치한다.
Figure pct00021
선택적인 용해도 및 수성 층과 용매 층 사이에서 브로마이드와 지방산 염의 분배를 개선하기 위해,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화학식 2)와 라우르산나트륨의 반응을 다음 6가지 용매 중에서 스크리닝했다: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Me-THF), 메틸 3급-부틸 에테르(MTBE),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IPAc), 4-메틸-2-펜타논(MIBK), 톨루엔, 및 디클로로메탄(DCM).
반응을 실온에서 7mL의 물 및 7mL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여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100mg, 1.0당량) 및 라우르산나트륨(61mg, 1.1당량)으로 실시했다. 반응 혼합물을 4일 동안 교반한 후 침전시켰다. 두 층을 HPLC로 검사하고, 라우르산나트륨/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교환에 대한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2에 요약했다.
[표 12]
Figure pct00022
이러한 6가지 실험으로부터, Me-THF가 선택적인 생성물 분할 및 추출을 위한 최상의 용매였다. 불행하게도, 분해 생성물(산 A, RRT=0.74)이 유기층과 수성 층 둘 다에서 관찰됐다.
Figure pct00023
Me-THF를 용매 스크리닝의 결과에 따라 추가 조사를 위해 선택했다. 라우르산칼륨 및 Me-THF를 사용하는 반응을, 실온에서 25mL의 물 및 53mL의 메틸 THF 중에서 라우르산칼륨(3.07g, 1.05당량)과 함께 4.89g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로 규모 확대(scale up)했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상 분리를 위해 침전시켰다. 3개의 층이 형성되고, 각각을 HPLC로 확인하고, 물/Me-THF 중에서의 규모 확대 반응의 결과를 표 13에 요약했다. 추가적인 피크(tR≥5.29분, RRT=0.74)가 검출되고 이러한 피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피크는 산 A의 별도의 제조 및 단리와 비교하여 부산물인 산 A로 확인됐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화학식 3)의 가수분해 생성물을 단리하고 HPLC 및 NMR(1H 및 13C)로 특성확인했다.
하부 층(수성)을 제거하고 상부 2개의 층을 물(3x20 mL)로 세척했다. 제1 상 분리 후 2개의 층만이 형성된 것이 관찰됐다. 최종 유기층(XL-007-080-4A)을 회전 증발기에서 60℃에서 농축시켜 메틸 THF(100mL)로 재용해시킨 잔류물을 얻었다. 불용성 고체(KBr 및 라우르산칼륨)를 여과하고 물로 용해시킨 후, HPLC로 확인했다(XL-007-080-P1). 여과물을 농축하고 건조시켜 오일(6.12g, XL-007-080-P2)을 수득했고, HPLC 분석은 브로마이드 피크가 1.34면적%로 감소되었음을 나타냈다. 생성물을 50℃의 진공 오븐에서 주말 동안 건조시켰다. 건조된 생성물의 NMR 분석은 약간의 분해를 나타냈다. 건조된 유성 생성물을 MTBE(100mL)로 용해시키고, n-헵탄을 첨가하여 침전시켜 2개의 액상 층을 생성했다. 두 층(상부 층: XL-007-082-1 및 하부 층: XL-007-082-2)을 HPLC로 확인했고, 높은 수준의 부산물인 산 A를 나타냈다.
[표 13]
Figure pct00024
단리된 유성 생성물이 부분적으로 분해되었음이 확인됐다. 대부분의 경우,이러한 분해는 승온 및 상승된 pH에서 촉진되는 가수분해 반응과 일치한다. 제안 된 분해 반응 절차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5
강한 발색단을 갖는 성분 및 약한 발색단을 갖는 성분(모든 의도 및 목적을 위해 본원에서 "UV 비활성"으로 표지됨)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의 성질은, 혼합물 내의 모든 성분의 정확한 분석 및 정량화를 매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반응의 과정-중(in-process) 분석과 단리된 반응 생성물의 순도 및 조성 둘 다의 평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직교 및 상호보완 분석 방법이 개발됐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라우르산칼륨의 수용액으로부터 Me-THF 추출에 의해 원하는 생성물인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를 단리했다.
불행하게도, 단리된 생성물은 단리 과정 동안 불안정하여 산 A의 수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다. 단리된 생성물은 50℃에서 주말 동안 ~94면적%로부터 83 내지 86면적%로 분해됐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자체는 주위 온도에서 HPLC 희석 용액(ACN/물)에서 2주간 안정했다(HPLC에 의함).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의 제조를 5.0g 규모(GPBr)로 반복했다. 물/Me-THF에서의 반복된 규모 확대 반응의 HPLC 결과를 하기 표 14에 요약했다. HPLC에 의해 분해 생성물인 산 A가 후처리 및 단리 동안 형성되었음을 확인했다.
[표 14]
Figure pct00026
Me-THF 용액은 주말 동안 실온에서 그리고 50℃에서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포함하여 그리고 포함하지 않고 스트레스 시험했다. 스트레스 시험의 결과를 표 15에 기재한다. 실온 용액이 가열된 샘플보다 훨씬 적은 분해를 보인 반면, 분해는 여전히 상당했다.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으로 생성물을 안정화하려는 시도는,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포함하지 않는 이에 상응하는 샘플에서 관찰되는 것보다 적은 분해가 관찰됐다. Me-THF 용액은 50℃에서 2개의 층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열 시 혼합물에서의 물의 용해도 한계의 감소로 인한 것 같다.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포함하지 않으면, 생성물은 Me-THF 용액 중 90.67면적%의 생성물 함량으로부터 87.72%로 주위 온도에서 천천히 분해된다. 50℃에서, 생성물은 상부 층에 57면적%만으로 그리고 하부 층에 ~50%로 현저하게 분해됐다. 주위 온도에서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이 존재할 때, 생성물은 약간의 분해를 나타낸 반면(실험 2A), 50℃에서 생성물은 분해되어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의 존재를 포함하더라도 ~65 내지 70면적%만을 남겼다.
[표 15]
Figure pct00027
Me-THF 중의 원하는 생성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된다. 상기 생성물은 50℃에서 상당히 더 빠르게 분해된다.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약 1.0몰 당량 초과)이 존재하면, 특히 주위 온도에서 생성물 분해가 느려졌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라우르산칼륨의 수용액을 Me-THF 추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생성했지만, 상기 원하는 생성물은 실온에서의 추출 과정 동안 불안정했다. 관찰된 분해 생성물은 독립적인 제조 및 단리에 의해 가수분해 생성물(산 A)로 확인됐다. 50℃에서 생성물이 상당히 더 빠르게 분해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단리된 조악한 생성물은 유성이며, 헵탄 및 다른 용매(MTBE, IPAc 및 EtOAc)로부터 침전되지 않았다.
라우르산칼륨으로부터 수득한 유성 생성물은 불안정했기 때문에, 보다 긴 쇄를 가진 지방산이 잠재적으로 개선된 안정성을 가진 견고한 생성물을 얻기 위한 시도고 시험됐다.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을 제조하고, Me-THF/물 시스템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시험했다.
스테아르산 및 팔미트산을 칼륨 염으로서 사용했다.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의 제조는 문헌[Zacharie et al. ("A Simple and Efficient Large-Scale Synthesis of Metal Salts of Medium-Chain Fatty Acids",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09, 13, 581-583)]으로부터의 절차에 따라 실시됐으며, 하기에 요약된다.
스테아르산칼륨을 제조하기 위해, 스테아르산(25.0g, 1.0당량)을 2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45℃에서 에탄올(500mL, 20vol., 95% 변성됨)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KHCO3(7.88g, 0.9당량)을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켰다(~77℃). 상기 반응을 환류하에 밤새(21시간) 교반했다. 65℃에서 MTBE(500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했다. 약간의 거품이 발생했고 상기 거품을 없애기 위해 격렬한 교반이 필요했다. 이후, MTBE(500mL)의 제2 분획을 50℃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약 3시간 동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슬러리를 여과하고, 습윤 케이크를 MTBE(3x125mL)로 세척했다. 백색 습윤 케이크를 ~50℃에서 밤새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 생성물(25.4g, 정량적 수율)을 수득했다.
팔미트산칼륨을 제조하기 위해, 1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40℃에서 에탄올(200mL, 95% 변성됨)에 팔미트산(15.0g, 1.0당량)을 용해시켰다. 고형 KHCO3(5.27g, 0.9당량)를 상기 용액에 첨가 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여 환류시켰다(~77℃). 상기 반응물을 환류하에 밤새(20시간) 교반했다. 65℃에서 MTBE(100mL)를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고형 생성물이 침전됐다. 이어서, MTBE(100mL)의 제2 분획을 첨가하고, 생성된 슬러리를 약 3시간 동안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기 슬러리를 여과하고, 습윤 케이크를 MTBE(3x100mL)로 세척했다. 백색 습윤 케이크를 ~50℃에서 밤새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 생성물(14.7g, 94.8% 수율)을 수득했다.
교환 반응은 지방산 염을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함께 Me-THF/물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5.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들을 분리하고 물로 유기 상을 세척함으로써 실시했다. Me-THF 층 및 수 층 둘 다의 HPLC 분석 결과를 도 3(스테아르산칼륨) 및 도 4(팔미트산칼륨)에 도시한다. 스테아르산칼륨 및 팔미트산칼륨과의 교환 반응은 산 A 불순물이 없는 원하는 생산물을 제공하지 못했다. 추출물의 농축 후, 두 반응 모두 단리하기 어려운 끈적한 유성 잔류물을 생성했다. 또한, 라우르산칼륨의 결과에 비해 이점을 제공하지 못했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 첨가에 의한 교환 반응의 안정화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 생산물을 안정화시키고 글리코피로늄의 산 A 로의 분해를 피하기 위해, Me-THF/물 반응 시스템을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비해 1.1몰 당량 과량)으로 시험했다.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두 가지 실험은, 물(5mL) 중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1.04g, 1.0당량) 및 Me-THF(20mL)와 물(5mL) 중의 라우르산칼륨(1.1 당량)의 2개의 용액을 과량의 라우르산(1.1당량)과 함께 또는 포함하지 않고 실온에서 밤새 혼합하여 실시했다. 각 반응에 대해, 두 층 모두를 하기 표 16에 요약된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과의 교환 반응에 대한 HPLC 결과와 함께 HPLC로 확인했다.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과의 반응은 밤새 혼합한 후에 부산물인 산 A의 형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포함하지 않는 실험은 두 층 모두에서 산 A를 가졌다.
[표 16]
Figure pct00028
물/Me-THF 시스템에서 라우르산칼륨 및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포함하는 제제에 1.1몰 당량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안정화했다.
2상 반응 조건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지방산의 알칼리 및 알칼리 토금속 염과의 바람직한 교환 반응을 가능케 했다.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의 (지방산과 함께) 유기 상으로의 유리한 분할 및 상기 브로마이드의 수성 상으로 분배할을, 물 및 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달성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반응 조건하에서 가수분해에 대해 불안정했고, 단리된 유성 생성물로서 불안정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순물인 산 A의 생성이 확인됐다. 반응 혼합물 중의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안정화시키고 불순물인 산 A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메틸 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선행 기술에서, 디메틸 카보네이트 화학물질은 주로 계면활성제 및 세제 산업뿐만 아니라 할라이드와는 상이한 짝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에 사용되어왔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와 메틸 카보네이트와의 반응 및 후속적인 지방산으로의 처리는 원하는 생성물(들)을 제공하지 못했고,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로부터의 분해 생성물만을 생산했다.
이러한 과정과 관련된 화학물질의 한 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9
메틸 카보네이트를 통한 합성 접근법은, 디메틸 카보네이트와의 성공적인 4급화 반응에 대해 요구되는 고온 및 압력 조건하에서 출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17의 화합물 3) 및 이의 4급화 반응 생성물(글리코피로늄 메틸 카보네이트, 표 17의 화합물 4)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성공적이지 못했다.
글리코피로늄의 요구되는 메틸 카보네이트화된 염의 깔끔한 합성이 완수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접근법은 중단되었으며 후속적인 연구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사용하는 직접적인 염 복분해에 집중되었다.
3급 아민은 디메틸 카보네이트로 알킬화되어 상응하는 4급 메틸 암모늄 카보네이트 염을 양호한 수율 내지 고수율로 생성할 수 있다.
후속적인 양성자 공급원과의 반응은 메틸 카보네이트 짝이온의 CO2 및 메탄올로의 분해를 통한 깔끔한 이온 복분해 반응을 유도하며, 이는 반응 혼합물로부터 쉽게 제거되어 고순도의 생성물을 수득한다.
[표 17]
Figure pct00030
표 17은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로부터 메틸 카보네이트를 통해 지방산의 글리코피로늄 염을 합성하기 위한 단계의 순서를 나타낸다.
알킬화 반응은 고온(3급 아민의 반응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80 내지 150℃)을 필요로 하며, 디메틸 카보네이트는 90℃의 비점을 가지므로 압력하에서 실시한다. 헤테로 사이 클릭 3급 아민은 입체적으로 군집된 지방족 3급 아민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보다 빠르게 반응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1990년 1월 9일자로 발행된 모리(Mori) 등의 미국 특허 제4,892,944호는 N-메틸 피롤리딘(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 3에 가장 가까운 구조 모티브)은 120℃에서 6시간 반응 후에 97% 단리된 수율로 상응하는 메틸 카보네이트 염을 수득한다. 브리지헤드(bridgehead)에서 질소 원자를 갖고, 보다 더 친핵성인 것으로 알려진 바이사이클릭 아민은, 환류 조건(80 내지 90℃)하에서 대기압에서 쉽게 반응하여 높은 수율로 메틸 카보네이트를 제공한다(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2012년 12월 20일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2/0321969호 참조).
4급화 반응은 무용매 디메틸 카보네이트에서, 그리고 2개의 비친핵성 용매인 t-아밀 알콜 및 디메틸 아세트아미드에서, 출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에 대해 비반응성일 것으로 예상되는 것으로 평가됐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인 화합물 3은 공개된 절차(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문헌[Allmendinger et al., "Carry Over of Impurities: A Detailed Exemplification for Glycopyrrolate (NVA237)", Organic Process Research & Development 2012, 16, 1754-1769] 참조)에 따라 Shanghai Chempartner(중국)에 의해 맞춤 제조됐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화학식 3)와 디메틸 카보네이트(표 18에 나타냄)와의 4가지 반응을 시도했다. 일반적인 절차를 위해,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화학식 3)에 이어서 메틸 카보네이트 및 용매를 피셔-포터(Fisher-Porter) 압력 병에 충전했다. 상기 용액을 약간의 진공하에 3회 질소로 퍼징한 다음, 반응기를 밀봉했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오일욕으로 가열했다. 상세한 반응 조건 및 결과를 도 5에 요약한다.
[표 18]
Figure pct00031
4개의 실험 모두에서(도 5 참조),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 3은 반응 조건하에서 분해되어 사이클로펜틸 만델산 유도체("산 A") 및 상응하는 메틸 에스테르(표 5)를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분석 결과는 모든 반응 혼합물에서 원하는 생성물이 관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출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글리코피로늄 메틸 카보네이트 염을 통한 염 복분해 접근법은 포기했다.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위한 HPLC 조정 커브의 제조
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보고서에 따라, HPLC 방법을 설정하고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표 3b의 구조 3) 및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표 3b의 구조 2)에 대한 3가지 HPLC 조정 커브를 제작했다. 이들은 표 19와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에 요약되어 있다.
[표 19]
Figure pct00032
추가적인 합성 및 분석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 대한 분석 방법도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샘플의 품질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평가한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일반적인 합성을 위한보다 정제된 공정 또한 개발되었다.
분석에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합성 개선 및 이의 염을 분석하는 방법 개발 둘 다가 포함된다.
합성 과정은 별도의 단계에서 제조된 지방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사용하는 것보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으로의 지방산의 처리를 통해) 필요한 지방산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을 동일 반응계 생성함으로써 개선되고 단순화되었다. 가수분해를 최소화하여 생성물을 안정화할 수 있는 과량의 유리 지방산을 적당량으로 한정하는 것은 물론, 일부 경우에서 매우 심각한 에멀젼의 형성을 최소화하여 추출 과정을 촉진하는 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상기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에서 대부분의 개발 작업은 스테아르산으로 실시됐다. 또한, 모두 포화 지방산인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외에, 리놀레산(시스,시스-9,12 이중 결합을 갖는 C-18 불포화 지방산)도 글리코피로늄 염으로 성공적으로 전환되었고, 추가로 상기 방법의 보편성을 입증했다.
분석 방법 개발은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성분의 성질에 기인하는 난제를 다루었는데, 이는 염의 복분해 과정 및 생성물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보완적인 분석 방법의 사용을 필요로 했다. 개발된 방법으로, 본 발명에 이르러 염 복분해 과정을 잘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수득된 지방산 염의 품질을 신뢰할 수 있게 평가할 수 있다. 개발된 과정은 대규모 생산이 가능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분석 방법 적용의 일부는 무기 브로마이드 염(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성 세척 수의 최적 수와 양을 결정하여 반응이 >95%로 전환되도록 밀어붙이는 것을 보장하는 염 교환 효과의 평가, 활성 약제 성분(API)을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최적 량의 결정(적합한 몰 당량을 평가함), 및 (예를 들어, 적절한 용매/항용매 조합으로 침전을 통하여) 반응 생성물의 순도를 평가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의 분리 및 정제의 개선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수성 세척의 최적 수는 3 내지 4회 세척이다. 다른 양태에서, 바람직한 세척 횟수는 적어도 3회 세척이다.
분석 방법 개발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발색성 출발 물질, 생성물 및 분해물의 정량화 방법, 약성 또는 비발색성 출발 물질 및 분해물(지방산 및 유도된 염, 디메틸하이드록시피롤리디늄 분해물)의 정량화 방법, 출발 물질 및 생성물 중의 브로마이드 이온의 정량화 방법, 및 생성물 중의 칼륨 (또는 나트륨) 이온의 정량화 방법을 포함한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GPFA)은, 무기 염을 수성 상으로 선택적으로 분할하고 분리된 유기 상으로부터 친지성 유기 염(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단리하기 위해 2상(유기/수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지방산 염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제조되었다. 하지만,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반응 혼합물은 가수분해에 불안정하고 또한 지방산 염은 메탄올 용액(에스테르교환 부산물 형성) 중에서 불안정했다.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GPF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형성되는 분해물인 "산 A"(CAS 427-49-6, α-사이클로펜틸-α-하이드록시-벤젠 아세트산)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반응 혼합물을 안정화하고 가수분해 속도를 현저히 감소시켰다("산 A"의 형성을 제한함). 합성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모든 성분을 정확하게 정량화하는 것 또한 난제였다.
추가 실험은 단리된 생성물의 안정성이 개선됐음을 확인하고 단리된 물질을 특성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GPFA)의 과량의 유리 지방산과의 단리를 탐구했다. 이러한 실험은 분석 방법 개발을 위한 샘플 제조,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생성물의 특성확인, 단리된 생성물의 적절한 제조 절차 및 특성확인, 넓은 범위의 GPFA 샘플 제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력은 성공적이었으며, 단리된 생성물을 분석하고 특성확인하기 위한 적절한 제조 절차 및 분석 방법을 만들었다.
개발된 분석 방법은 지방산의 개별 글리코피로늄 염(사용된 각 지방산에 대한 GC 방법 조건의 예상되는 사소한 수정을 포함함)에 대해 조정하기에 충분히 신뢰할만하고 간단하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에서 단 하나의 접근법(2상 수성/유기 용매 시스템에서의 선택적 분할을 통한 짝이온 교환 또는 염 복분해)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됐다. 승온에서 메틸 카보네이트로의 4급화를 통해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로부터 합성을 시도하고, 메틸화 조건하에서 글리코피롤레이트 염기의 분해로 인해 예상되는 4급 메틸암모늄 카보네이트 염을 지방산으로 후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무수 조건하에서 유기 용매 중에서의 염 교환은, 평가된 유기 용매(아세톤 및 디클로로메탄)에서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지방산 염의 불량한 용해성으로 인해 실패했다. 관찰된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의 가수분해 불안정성은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는 수성 이온 교환을 고려하지 못하게 했다.
선택적인 2상 분할 접근법을 사용하더라도, 시험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심한 에멀젼 및 빈약한 분할이 관찰됐다. 브로마이드를 수성 상으로 그리고 글리코피로늄을 유기 상으로 선택적으로 분할하는 것은 쉽게 달성되지 않았다. 스크리닝된 용매 시스템들(2-Me-THF, MTBE, IPAc, 톨루엔, MIBK 및 DCM) 중에서 2-Me-THF만이 원하는 분할을 위한 적절한 선택성을 제공했다. 또한, 가수분해 불안정성은 추출된 용액과 단리된 제품 둘 다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 A"의 형성으로 후처리 및 단리 과정에서 나타났다.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혼합물은 점성 오일부터 경질 왁스질 고체인 페이스트까지 일관된 범위였다.
초기 합성 실험은 라우르산(C-12 쇄), 스테아르산(C-18 쇄) 및 팔미트산(C-15 쇄)을 시험했다. 추가의 합성 및 분석 실험은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리놀레산(C-18 다중불포화됨, 시스,시스-9,12-옥타데카디엔산)을 시험했다.
본 방법은, 2상 반응 혼합물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지방산 염과 반응시키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을 포함하여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합성하고,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일부 바람직한 양태에서, 0.2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0.6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0.6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혼합물에 첨가되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형성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약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1.1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반응 혼합물에 첨가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사용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지방산 염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라우르산 반응의 경우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라우르산칼륨에 비해 과량의 유리 라우르산이 사용된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반응 혼합물을 안정화한다. 유리 지방산의 초과분(0.6몰 과량 내지 1.2몰 과량)은 상 분리를 개선했고, 유기 추출물 용액의 안정성을 개선했고, 단리된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했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필요한 지방산의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 염은,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을 사용하는 처리보다 지방산을 금속 수산화물로 처리함으로써 동일 반응계 생성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모든 고체가 용해되어 지방산 염을 형성 할 때까지 지방산을 2상 반응 혼합물(바람직하게는 물 및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의 금속 수산화물과 혼합한다. 금속 수산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칼슘)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첨가 단계 및 고체들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반응 혼합물의 하부 수성 상을 제거하면서 상부 유기 상을 보유한다. 이후 상부 유기 상을 물로 세척했다. 상부 유기 상을 보유하고 하부 수성 상을 제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반복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들 두 단계를 3회 이상 반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들 두 단계는 3 내지 4회 반복한다.
상부 유기 상에 진공 증류를 실시하고 새로운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증류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증류물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미량의 잔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한번(총 2회) 반복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를 첨가하여 불용성 성분을 침전시키고, 이를 여과 제거한다. 이후, 여과물을 감압하에 추가로 증류하여 고체를 얻는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는 n-헵탄 또는 헵탄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이다. 다른 양태에서, n-헥산, 이소옥탄 또는 석유 에테르가 헵탄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단리된 생성물의 조성과 순도를 특성확인하기에 충분하고 추가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어떠한 단일 방법도 모든 성분에 대해 적합하지 않았으며, 단리된 제품을 적절히 특성확인하기 위한 보완 (직교) 방법이 필요하지 않았다.
순도 및 검정 방법의 개발은 지방산 성분 및 임의의 3-하이드록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 분해물에 대한 발색단의 부족에 의해 방해받았다. HPLC에 의한 브로마이드과 3-하이드록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 분해물의 유지/분리 또한 부족했다. 글리코피롤레이트 혼합물의 용해도 특성의 난제, 샘플 침전, 컬럼 막힘(plugging). 및 컬럼 성능의 가속화된 손실 또한 방법 개발을 방해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난제들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특성확인을 위해 하기에 개시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극복했다.
마주하는 난제에 따라, 목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는 사소하지 않았고, API 생성물로서 더 개발하기에 적합한 안정하고 잘 특성확인된 생성물의 제조를 달성하기 위한 독창성을 필요로 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방법
2상 반응 조건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지방산의 나트륨 염 및 칼륨 염과의 원하는 교환 반응을 가능케 한다.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를 (지방산과 함께) 유기 상으로 유리하게 분할하고 브로마이드을 수성 상으로 분할하는 것은 물 및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달성됐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은 반응 조건 하에서, 그리고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부재하에 단리된 유성 생성물로서 가수분해에 대해 불안정했다. 불순물인 "산 A"의 생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주목되었다. 반응 혼합물 중의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안정화하고 불순물인 "산 A"의 형성을 감소시켰다. 안정화에 대한 한 원인은 소수성 지방산 쇄는 에스테르 결합을 차폐하고 물의 접근으로부터 보호하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과 과량의 유리 지방산 사이의 응집체 일 수 있다. 잘 한정된 생성물의 단리는 난제였지만, 달성되었다.
제조 절차를 추가로 정의하고 단리된 생성물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특성확인했다. 또한,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글리코피로늄 팔미 테이트, 및 글리코피로늄 리놀 레이트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샘플을 제조했다.
우선, 알칼리 금속 지방산 염을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전에 제조하고 단리했다. 지방산 금속염의 단리없이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혼합물에 대한 보다 단순한 제조 절차가 바람직하다. 지방산 금속염, 과량의 유리 지방산, 및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가 2-Me-THF/물 혼합물로 혼합됐기 때문에, 개질된 절차는 용액 중의 지방산 금속 염을 제조했다. 지방산 및 금속 수산화물의 목표량은 물과 2-Me-THF의 혼합물에 쉽게 용해되어 지방산 염 및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원하는 용액을 직접 제공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물(50mL)과 2-Me-THF(50mL)의 혼합물에 스테아르산(6.26g, 22mmol, 2.2당량) 및 수산화칼륨(0.726g, 11mmol, 1.1당량)을 용해시켰다. 본 실시예에서 유리 스테아르산의 몰 과량은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하여)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 및 수산화칼륨에 대하여 1.1몰 당량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이었으며, 수산화 칼륨의 순도는 100%로 가정한다(드문 경우임). 기계적 교반은 약 30분에 걸쳐 완전한 용해를 제공했다. 교반하지 않고서, 혼합물은 약 30분 후에 에멀전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2개의 명확한 상들로 정착됐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3.98g, 10mmol, 1.0eq.)를 첨가하고, 혼합하고, 용해시켰다(즉시 완전히 용해됨). 혼합을 멈추고 상 분리가 3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하부 수성 상(pH=7)을 제거하고 상부 유기 상을 20mL의 물로 3회 세척했다. 각 상 분리에는 1시간 미만이 소요됐다. 마지막 물 세척을 제거한 후, 풍부한 유기 상을 20 내지 25℃/25 내지 30Torr에서 진한 페이스트로 진공 농축시켰다. 2-Me-THF(30mL)를 첨가하고 진공 농축을 반복했다. 헵탄(50mL)을 첨가하여 얇은 슬러리를 얻었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 및 스테아르산칼륨 둘 다 헵탄에 불용성이기 때문에, 헵탄에서의 용해는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친지성 성질을 확인했다. 헵탄 용액을 빙욕에서 냉각시키면, 두꺼운 슬러리가 형성됐지만, 이는 주위 온도로 재가온할 때 얇은 슬러리가 되었다. 빙욕에서 약 30분 동안 냉각시킨 후, 냉각된 슬러리를 유리-프릿(glass-frit) 깔대기상에서 여과했으나, 여과는 매우 느리고 여과 동안 내용물은 실온으로 가온됐다. 스테아르산으로 확인된 단리된 고체를 질소 블랭킷하에서 건조시키고 건조된 고체를 0.9g으로 칭량했다. 여과물을 20 내지 25℃/25 내지 30Torr에서 유성 페이스트로 농축시켰다. 여과물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및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샘플들은 분석 방법 개발에 사용됐다. 분석 방법 개발 과정 동안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EE-008-001-3B)은 초기 실행 가능성 작업 단계(보다 느린 "산 A"형성 속도) 동안 제조된 이전 샘플보다 상당히 안정적인 것이 관찰됐다. 그러나, 샘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분해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방법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4개월) 샘플을 최종 방법으로 분석했을 때 "산 A"의 형성이 나타났다(2.44% w/w, 글리코피로늄 함량 대비 9.29% AUC HPLC 산 A).
추가 실험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의 변화를 시험했다. 이 실험은 상기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실시예(EE-008-001-3B)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한 일반 절차를 사용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몰 당량의 스테아르산을 0.2몰 당량의 증분으로 1.2몰 당량부터 2.0몰 당량까지(0.2 내지 1.0몰 당량) 시험했다. 시험된 유리 지방산 과량의 상이한 변형을 표 20에 나타낸다. 샘플은 3회의 물 세척 후에 메틸-THF/GPBr/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 칼륨 혼합물로부터 왁스질 고체였다.
[표 20]
Figure pct00033
샘플 A 및 B는 반응 혼합물의 초기 상 분리 후 물 세척에 대해 (매우 느린) 상 분리를 가졌다. 대조적으로, 샘플 C, D 및 E에 대한 모든 상 분리는 대략 1시간 이내에 완료됐다. 2.2몰 당량의 스테아르산을 사용한 EE-008-001-3B의 초기 제조와는 대조적으로, 최종 헵탄 용해로부터 여과 가능한 고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유성 상의 일부 분리만이 주목됐고, 이는 단리 동안 유지됐다. 샘플을 분석했고, 가변성 지방산 유입으로부터의 비교 분석 결과를 표 21에 요약한다. 비교를 위해 샘플 EE-008-001-3B를 포함시켰다.
[표 21]
Figure pct00034
효과적인 브로마이드의 퍼지가 입증되고 잔류 칼륨이 낮은 반면, 샘플에 걸친 글리코피로늄 또는 스테아레이트 함량에 대한 결과에서 명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글리코피로늄에 비해) 2.2몰 당량 미만의 스테아르산을 사용하는 것이 이점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다음 실험은 EE-008-001-3B의 조건(2.2당량의 스테아르산)을 반복했다.
2.2당량의 스테아르산을 사용하여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를 반복 제조하여 얻어진 샘플인 EE-008-008을 분석하고 EE-008-001-3B와 비교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표 22]
Figure pct00035
분해물인 "산 A"의 수준은 새롭게 단리된 생성물에서 일반적으로 낮았던 반면, 이러한 불순물은 주위 조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약 4개월) 증가했다.
EE-008-008의 경우, 유입물은 (22mmol의 스테아르산 및 11mmol의 KOH와 함께) 3.98g(10mmol)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이었다. 유출물은 5.35g의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혼합물이었다. 질량 회수율은 56.7%이었다. 글리코피로 늄 회수율은 54.2%(H1 NMR에 의함) 및 52.8%(HPLC 분석에 의함)이었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EE-008-008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7에 도시한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EE-008-001-3B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8에 도시한다. EE-008-008에서 87.6482% 및 008-001-3B에서 96.0360%를 갖는 가장 넓은 피크인 피크 1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이다. 산 A 피크는 약 17.6분의 체류 시간에서 발생한다(도 7의 피크 5 및 도 8의 피크 8).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8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 9에 도시한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1-3B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 10에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의 가장 왼쪽 피크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미량(trace)의 용매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샘플 중의 스테아르산(EE-008-008에서 19.827에서의 피크 및 EE-008-001-3B에서 19.836에서의 피크)의 총량을 나타낸다. 스테아르산의 총량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스테아르산뿐만 아니라, 샘플 중에 여전히 존재하는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의 양은 얼마나 많은 스테아르산이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에 화학양론적으로 혼입되었는지를 측정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모든 NMR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란(TMS)에 대한 ppm으로 제공된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8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36
산 A 부산물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37
글리코피로늄 가수분해 부산물인 4급 아미노 알콜(QAA)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38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가 가수분해되면, 산 A 및 QAA가 생성된다. QAA는 강한 발색단을 갖지 않고 HPLC 분석에서 초기에 빠져나오기 때문에 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수성 세척에 대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손실은 원하는 것보다 높았지 만, 이 절차는 샘플을 제조에서 실행가능하다. 염 회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에는 역 추출, 염분 추출, 또는 다른 추출 용매 선택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글리코피로늄 모이어티와 스테아르산 둘 다는 수성 세척으로 손실되지만, 단리된 생성물 중의 스테아르산 대 글리코피로늄의 비율은 유입 수준에 비해 풍부화된다(유입물 2.2:1, 단리 후 2.35:1). 최종 비율은 유리 지방산 유입량을 조정하여 추가로 조정될 수 있다.
후처리 및 단리 동안 브로마이드을 효과적으로 퍼지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처리 및 단리 절차는 일관되게 매우 낮은 수준(<0.1%)의 브로마이드을 제공했다. 이는 잔류 브로마이드을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조절하면서 과정에서 글리코피로늄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척의 최적화를 허용할 수 있다.
생성된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을 HPLC 및 GC에 의해 특성확인하고 NMR 결과와 일치시켰다. 개별적이고 보완적인 분석 방법으로 확인된 결과는 상기 결과를 입증했다. 샘플 안정성은 초기 연구보다 개선됐다. 보다 많은 과량의 유리 지방산으로 단리된 샘플은 주위 조건에서 수개월 후에만 분해가 관찰되는, 안정성을 개선했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완충액으로서 작용하여 원하는 지방산 염의 분해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제조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제조하기 위한 보다 일반적인 설명으로서, 계산 된 목표량의 지방산(FA)을 물(약 8mL/g FA 유입량),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Me-THF, 약 8mL/g FA 유입량)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과 같은 금속 수산화물(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KOH, 1.1몰 당량)과 혼합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계산된 목표량은 2.2몰 당량(1.2몰 당량 초과)이다. 다른 양태에서, 계산된 양은 1.2몰 당량(0.2몰 당량 초과) 이상이다. 모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한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GPBr", 1.0몰 당량)를 첨가하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혼합했다. 혼합을 중단하고 상들을 분리되게 한다. 하부 수성 상(pH 약 7)을 제거하고 상부 유기 상을 보유한다. 상부 유기 상을 물로 3회 세척한다(각 세척은 ~3.2mL/g 지방산 유입량). 각각의 하부 수성 상(pH ~7)을 제거하고 상부 유기 상을 보유한다.
풍부한 상부 유기 상을 최소한의 가열(20 내지 25℃/25 내지 30Torr)을 사용하여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하여 무른(mushy) 페이스트를 얻는다. 새로운 2-Me-THF(약 4.8mL/g FA 유입량)를 첨가하고 더 이상의 증류물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진공 농축(20 내지 25℃/25 내지 30Torr)을 실시한다.
헵탄(약 8mL/g 지방산 유입량)을 첨가하고 고체들의 대부분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한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일부는 얇은 슬러리로 남을 수 있으며, 이는 나머지 고체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통과시킨다. 풍부 여과된 헵탄 용액은 최소한의 가열(20 내지 25℃/25 내지 30Torr)을 사용하는 진공 증류에 의해 농축하여 왁스질 고체를 수득한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제조하기 위해 추가의 지방산을 사용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개시된 스테아르산(샘플 EE-008-008) 샘플 이외에, 라우르산(샘플 PSG-008-002), 팔미트산(샘플 PSG-008-204), 및 리놀레산(샘플 PSG-008-206)을 출발 물질로 사용했다. 그 결과를 표 23a 및 표 23b에 나타낸다. 이론상의 최대 회수율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및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총 회수율로서 계산되었다.
[표 23a]
Figure pct00039
[표 23b]
Figure pct00040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다.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15a 내지 15d에 도시한다. 피크 1은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를 나타내고, 각각 2회 시행에서의 90.8652 및 90.8662의 면적%를 포함한다. 피크 7은 부산물인 산 A를 나타내며, 이는 2회 시행에서의 5.7508%의 면적 및 5.758%의 면적을 포함한다. 다른 작은 피크들은 확인되지 않은 불순물 또는 인공물이다.
글리코피로 늄 팔미 테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한다. 피크 1은 글리코피로늄 팔미 테이트를 나타내고, 각각 2회 시행에서의 91.2525 및 91.3890의 면적%를 포함한다. 피크 5는 부산물인 산 A를 나타내며, 이는 각각 2회 시행에서의 4.1180%의 면적 및 4.0100%의 면적을 포함한다. 다른 작은 피크들은 확인되지 않은 불순물 또는 인공물이다.
글리코피로늄 리놀 레에이트에 대한 HPLC 데이터를 도 17a 내지 17d에 도시한다. 피크 1은 글리코피로늄 리놀 레에이트를 나타내고, 각각 2회 시행에서의 39.7889 및 39.5620의 면적%를 포함한다. 피크 4는 첫 번째 시행(도 17a 내지 도 17b)에서의 부산물인 산 A를 나타내고, 피크 5는 두 번째 시행(도 17c 내지 17d)에서의 부산물인 산 A를 나타내고, 각각 2회 시행에서의 2.4126%의 면적 및 2.4171%의 면적을 포함한다. 피크 15(도 17a 내지 도 17b) 및 피크 17(도 17c 및 도 17d)는 실제로 가장 큰 면적 백분율(각각 55.1974 및 55.4318)을 가졌다. 이들 피크는, 접합된(conjugated) C=C 이중 결합 발색단으로 인해 이러한 HPLC에서 검출되는, 반응에서 사용된 과량의 유리 리놀레산과 일치한다. 시험된 지방산 중 리놀레산만이 UV 검출기에 대해 유의한 반응을 보였다. 다른 작은 피크들은 미확인된 불순물 또는 인공물이다. 유리 리놀레산의 양의 보다 정확한 평가는, 스테아르산의 분석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소규모(minor) 최적화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분석 도구로서 HPLC는 샘플 중의 원하는 생성물(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 글리코피로늄 팔미 테이트, 및 글리코피로늄 리놀 레에이트) 및 산 A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약 및 생성물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지방산(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원하는 생성물 및 부산물(NMR), 및 샘플의 잔류 브로마이드 및 칼륨(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을 확인하는 데에 다른 방법이 필요했다.
모든 NMR 화학적 이동은 테트라메틸실란(TMS)에 대한 ppm으로 제공된다.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한 NMR 데이터는 도 18에 도시된다.
Figure pct00041
상기 논의된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는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다.
글리코피로늄 라우레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19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42
글리코피로늄 팔미 테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20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43
글리코피로늄 리놀 레에이트에 대한 NMR 데이터를 도 21에 도시한다.
Figure pct00044
NMR 분석은 지방산 성분(즉, 화학양론적으로 결합된 지방산 음이온 및 유리 지방산)의 총량에 대한 글리코피로늄의 몰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샘플에 대한 H1 NMR 결과의 비교를 표 24에 나타낸다. 스테아르산 샘플에 대한 방향족 영역에 간섭 피크가 나타났지만, 글리코피로늄 멀티플렛은 간섭없이 샤프한(sharp) 것이었다.
[표 24]
Figure pct00045
글리코피로늄 HPLC 분석(GPwt% 함량)은 다양한 지방산 염에 적용가능하다. HPLC 방법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로 개발되었지만,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리놀레산으로부터 제조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의 분석에서 간섭 피크 또는 다른 문제가 관찰되지 않았고 이들 혼합물에서 글리코피로늄 함량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유사하게는, NMR은 다수의 상이한 지방산 기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지방산 염을 효과적으로 특성확인한다. 지방산 쇄의 말단 메틸기(3H)는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라우르산, 팔미트산, 및 리놀레산으로부터 제조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 대하여 단리된 물질에 존재하는 몰비(GP:FA) 계산을 위해 글리코피로늄(GP) 멀티플렛(총 4H, 3.5 내지 4.2 ppm)과 비교하기 위한 적합한 적분값을 제공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샘플은 비교적 안정했다. 분해물 "산 A"의 수준은 초기 단리시 모든 샘플에서 낮았지만, 시간에 따른(달(month)) 안정성 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에 대해서만 조사되었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경우, 주위 조건에서 ~4개월에 걸쳐 분해가 관찰되었다.
질량 회수율은 상이한 지방산들에서 다양했다. 질량 회수율은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샘플들을 가로질러 보다 나빴던 것부터 보다 좋았던 것으로 다양했다(팔미트산<스테아르산<라우르산<리놀레산). 이는 글리코피로늄 염 활성의 유지 및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서의 회수율을 추가로 개선함으로써 추가적인 절차의 최적화를 위한 기회를 강조한다. 염 회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에는 역 추출, 염 추출, 또는 다른 추출 용매 선택이 포함되지만 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낮은 수준의 잔류 n-헵탄(NMR로 검출할 수 없는 헵탄까지 건조)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확장된 건조가 필요하며, 특히 라우르산 및 팔미트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조건을 더윽 최적화하면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 조건의 진공 및/또는 온도는 열화를 피하면서 공정을 개선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최종 생성물에서 지방산:글리코피로늄(FA:GP)에 대해 유사한 몰비가 나타났다. 모든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은 유입비에 비해 (글리코피로늄에 대해 상대적으로) 지방산의 약간의 풍부함을 보였다. 단리된 생성물 모두 2.2:1보다 높은 FA:GP 유입비를 가졌다.
지방산은 GRAS(일반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됨) 상태를 향유하며, 약물 제제에 널리 사용되며, 현재 소비되는 다수의 식품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중의 매우 과량의 유리 지방산은 약물 개발에서의 글리코피로늄 지방산의 사용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현재의 제조 및 분석 방법은 다른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탄소 분자를 갖는 지방산에 적용될 수 있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이루기 위한 일부 예로는 아라키드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에루스산, 아라키돈산, 라우르산, 카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또는 미리스트산을 포함하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생성물 및 분해물 분석
분석 방법은 추가 개발을 가능케 하는 규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조성 및 순도를 특성확인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지방산 성분 및 3-하이드록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 분해물에 대한 발색단의 부족은 HPLC/UV의 대체물 개발을 필요로 했다. HPLC에 의한 브로마이드과 3-하이드록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의 유지/분리의 부족은 이들 성분들을 정량화하기 위한 별도의 보완적인 방법의 개발과 사용을 필요로 했다.
활성 제약 성분 혼합물의 난제 용해성 성질(샘플 침전, 컬럼 막힘, 컬럼 성능의 가속화된 손실)은 방법 개발을 방해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은 궁극적으로 극복되었다. 분석의 모든 구성 요소에 적합한 단일 방법이 없으므로, 보완 (직교) 방법이 필요하고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조악한 생성물 혼합물 및 각각의 주요 가수분해 부산물의 샘플을 제조하고, 방법 개발을 가능케 하는 출발 물질의 샘플과 함께 분석했다. 제조된 샘플을 표 25에 나타낸다.
[표 25]
Figure pct00046
부산물(분해물) 샘플 제조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의 가수분해 및 부산물의 단리를 실시했다. 3.98g의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10mmol, 1.0당량), 0.80g의 수산화 나트륨(20mmol, 2.0당량), 및 20mL의 물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했다. 생성된 용액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미량의 점착성 고체를 제거한 다음, 4.78g의 48% 수용성 브롬산(28.35mmol, 2.835당량)을 적가하여 산성화했다. 이후, 형성된 두꺼운 백색 슬러리를 여과하고 ~5mL의 물로 세척했다. 단리된 백색 고체를 공기 건조시켜 2.025g의 "산 A"(CAS 427-49-6, α-사이클로펜틸-α-하이드록시-벤젠 아세트산)를 수득했다. 합쳐진 여과물 및 헹굼물을 40℃/9Torr에서 진공 농축시켜, 4급 아미노 알콜 부산물(CAS 51052-74-5, 3-하이드록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뿐만 아니라 ~0.95/1 w/w 비율의 NaBr도 함유하는 3.87g의 유성 페이스트를 제공했다.
Figure pct00047
HPLC 방법
고유한 HPLC 방법이 반응 생성물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표 26은 HPLC 방법 조건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나타낸다.
[표 26]
Figure pct00048
나열된 스크리닝 외에도 글리코피롤레이트에 대한 USP 방법이 평가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Kinetex C18, 4.6x100mm, 2.6μ, 이동상 A: 0.025M의 KH2PO4 DI H20 중의 H3PO4와 함께 pH 2.5, 및 이동상 B: 100% CAN을 사용했다. USP 방법에 따라, 희석액은 0.5mg/mL 샘플 농도에서 1:1 이동상 A 및 B였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제1 샘플(EE-008-001-3b, GPBr/스테아르산/스테아르산칼륨의 왁스질 고체, 표 25)은 USP 희석제에 용해성인 것처럼 보였으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스크리닝된 조건에서 메탄올이 사용됐고, 모든 샘플이 MeOH 중의 0.5mg/mL로 제조됐다.
USP 방법의 경우, 기저선이 양호하지 않았다(매우 불규칙한 기저선). 또한, 무수한 작은 피크들이 반복 주입에서 관찰되었다. 컬럼상의 침전이 문제의 원인으로 의심되었으므로, 이동상 혼합물의 침전 여부에 대해 확인했다. 구배의 상부 말단(15% 이동상 A 및 85% 이동상 B)에서, KH2PO4 완충액이 침전된 것으로 밝혀졌다. 대부분의 C18 컬럼은 글리코피롤레이트(GP)를 적절하게 유지했다. 피크 형상(GP)은 보다 낮은 pH(인산)에서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리닝된 조건들로부터, Agilent사의, ZORBAX Eclipse XDB-C18, 4.6x150mm, 5㎛, P/N: 993967-902 및 H2O/아세토니트릴 용매 시스템 중의 0.1% H3PO4로 최상의 성능(기저선 및 피크 형상)을 제공했다. 그러나, 분해물 "QAA"(표 2에 항목 8, 샘플 EE-008-001-4b로 나타냄)는 브로마이드 피크와 함께 공용리되었다.
광범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브로마이드 및 QAA 피크의 유지 및 분리를 개선할 수 없었다.
글리코피로늄 및 "산 A" 분해물은 다른 성분들로부터 용이하게 분할되고, HPLC에 의해 정량화되고, 글리코피로늄 함량에 대한 wt% 분석이 개발되었다. HPLC로 QAA 함량을 직접 정량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별도의 방법(IC)으로 브로마이드을 결정한 뒤 브로마이드 함량을 빼는 계산을 사용하여 HPLC로 QAA 함량을 평가했다. HPLC 방법 개발 과정 동안, 사용 첫 달 동안 "산 A"가 샘플 EE-008-001-3b에서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개발된 하나의 분석 방법은 발색성 출발 물질, 생성물 및 분해물을 정량화하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PDA)을 사용하는 HPLC를 사용했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HPLC 방법이 개발되어 글리코피로늄 또는 3[(사이클로펜틸하이드록시페닐아세톡시)-1,1-디메틸 피롤리디늄(GP) 스테아레이트 분석 및 HPLC에 의한 불순물 프로파일에 대한 절차를 제공한다.
Agilent, ZORBAX Eclipse XDB-C18, 4.6x150mm, 5㎛, P/N: 993967-902 컬럼에 대한 HPLC 조작 조건을 표 27에 나타내고, 이동상 구배를 표 28에 나타낸다. 0.1%의 0.25mg/mL의 GPBr, 평균 S/N=11.2. 25%로부터 120%까지의 0.25mg/mL GPBr의 선형성은 선형이다. 상관 계수=1.000.
[표 27]
Figure pct00049
[표 28]
Figure pct00050
도 22는 클리코피로늄 농도 대 글리코피로늄 피크 면적을 도시한다. 도 23은 블랭크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하고, 도 24는 분별 용액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방법의 정확성을 표 29에 나타낸다.
[표 29]
Figure pct00051
브로마이드 함량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또 다른 방법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음이온 모드)를 사용하여 생성물 중의 잔류 브로마이드 이온을 정량화했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샘플 EE-008-001-3b(19페이지의 표 10)의 첫 번째 개략적인 확인은 <1% w/w 브로마이드(한계 시험)를 나타냈다. 전체 조정 순서 및 분석을 실시했다. 모든 결과는 브로마이드의 효과적인 제거를 나타냈다. 최종 브로마이드 검정 방법은 잔류 브로마이드 이온을 <0.1%로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스테아르산 혼합물 중의 미량의 잔류 브로마이드 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분석 방법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스테아르산 혼합물 중의 잔류 브롬화물 이온의 정량화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0.5mg/mL 샘플 농도의 브로마이드 이온에 대한 0.1%(1000ppm) 한계에 상응한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파라미터 및 조건들을 표 30에 나타낸다.
[표 30]
Figure pct00052
브로마이드 표준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 25에 도시한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브로마이드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를 도 26에 도시한다. 도 26의 비표지된 피크는 샘플 매트릭스에 존재하는 비-브로마이드 대전된 종이다(인공물, 브로마이드 표준 미량과 비교).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 내에 소량의 브롬화물이 잔류하여, 반응이 원하는 결과인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를 성공적으로 생성했음을 나타낸다.
칼륨 함량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또 다른 방법은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양이온 모드)를 사용하여 생성물 중의 잔류 칼륨(또는 나트륨) 이온을 정량화했다. 주요 과제는 적절한 희석제에서의 샘플의 제한된 용해도와 칼륨 체류 시간 부근의 간섭 피크의 초기 관찰이었다. 이들과제는 해결되었고, 상기 방법은 0.5mg/mL API 샘플에 대해 0.1% 수준의 정량화 한계까지 칼륨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 중의 칼륨에 대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데이터는 도 27에 도시된다. 피크 1은 샘플에 여전히 존재하는 칼륨을 나타낸다. 피크 2는 알 수 없지만 블랭크 샘플에도 존재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에 칼륨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반응이 원하는 결과인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를 성공적으로 생성했음을 나타낸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결과의 조합은 함께 성공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지방산 함량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개발된 또 다른 분석 방법은 약성 또는 비발색성 출발 물질 및 분해물(지방산 및 유도된 염, 디메틸하이드록시피롤리디늄 분해물)에 대한 정량화 방법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스테아르산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GC(FID) 방법을 사용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스테아르산 함량을 측정했다. 직접 주입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스테아르산에 대한 wt% 분석을 위해 개발됐다.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를 THF에 용해시키고 빙초산으로 산성화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잠재적으로 (온도 구배에 대한 개질과 함께) 다른 지방산에 적용가능하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의 다른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하지만, 따라서 간섭하지도 않는다). 샘플 분석 결과는 표 31에 나타낸다.
[표 31]
Figure pct00053
과량의 유리 지방산을 염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다소 어렵다.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혼합물 중에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글리코피로늄에 결합 된 양을 뺄 수 있다(화학양론적 계산을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음). 표 31의 여과가능한 고체는 침전 배출된 것을 나타내며, 이는 주로 유리 지방산(표에서 스테아르산)이다. 상당히 순수한 이러한 여과가능한 고체(98.3wt%의 스테아르산)가 폐기된다. 원하는 생성물(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은 왁스질 고체이다. 과량의 일부가 여과가능한 고체로 여과 제거되는 동안, 왁스질 고체로 측정된 스테아르산은 글리코피로늄 스테아레이트의 일부인 스테아르산 및 과량의 유리 스테아르산 둘 다이다.
도 9 및 도 10 및 표 31은 스테아르산 함량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만을 나타내지만,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약간 개질하여 다른 지방산을 정량화하기 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개질될 수 있는 일부 파라미터에는 유지 시간, 주입 온도, 주입 농도, 및 온도 상승 시간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르게는, NMR 결과를 사용하여 지방산의 양을 정량화할 수 있다. 결합된 지방산의 양은 화학양론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지방산의 길이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이 지방산의 양과 글리코피로늄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를 결정한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조작을 표 32에 나타낸다.
[표 32]
Figure pct00054
도 28은 표준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하고, 도 29는 샘플 크로마토그램을 도시한다. 스테아르산에 대한 피크 ID의 대략적인 체류 시간은 20.1분이었다.
흥미있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만들기 위한 화학 반응으로부터 기인 한 복합 혼합물은 직접적인 분석을 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이들은 유리 지방산과의 유성 혼합물을 포함했다. 대부분의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화합물 검출을 사용하지만, 개별 방법은 (출발 물질, 분해물, 및 최종 생성물을 포함하는) 모든 물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UV는 출발 물질 및 최종 생성물을 확인할 수 있지만 분해물 QAA는 확인할 수 없다. 최종 생성물은 발색단을 포함하여 UV로 검출할 수 있지만, 발색단이 없는 분해 생성물은 UV 검출 방법으로는 검출할 수 없다. 개별 구성 요소의 화학적 성질로 인해 여러 복수의 분석 전략을 필요로 했다. 출발 물질, 최종 생성물, 및 분해 생성물을 정량화하기 위해 복수의 방법을 협력하여 사용했다. 분석은 반응에 사용된 지방산 각각에 대해 최적화할 수 있다.
절차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에 대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절차는 다양한 지방산으로부터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지방산 염의 분석은 다양한 절차를 포함한다. 이러한 절차에는 광다이오드 어레이 검출을 이용하는 HPLC, 스테아르산에 대한 GC(FID) 방법,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음이온 모드)에 의한 브로마이드 함량 검출,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양이온 모드)에 의한 칼륨 함량 검출이 포함된다. 이들 방법 외에도, (d6-DMSO 중에서의) NMR에 의한 분석은 단리된 물질의 특성확인에 유용한 것이 밝혀졌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주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다른 4급 암모늄 항콜린성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예를 들어 트리스퓸 클로라이드는 4급 암모늄 지방산 염(예를 들어 트로스퓸 지방산 염)을 생성하기 위한 반응에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대체 할 수있다.
이러한 염을 제조하는 한 방법에서, 트로스퓸 클로라이드를 2상 반응 혼합물 중의 지방산 염과 반응시키고, 0.2몰 당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다. 상기 방법은 지방산을 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또는 다른 적당한 용매),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수산화물과, 모든 고체들이 용해되어 지방산 염을 형성할 때까지 때 혼합한다.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과 관련하여 개시된 모든 단계 및 변형은 트로스퓸 지방산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인용된 참조문헌은 본원에서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양태들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을 예시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 예시된 양태들의 세부 사항에 대한 언급은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특징임을 나타낸다.

Claims (25)

  1. 하나 이상의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생성물의 합성 방법으로서,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와 지방산 염을 2상(biphasic) 반응 혼합물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i) 지방산과 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수산화물을, 모든 고체들이 용해되어 상기 지방산 염을 형성할 때까지 혼합하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ii) 글리코피로늄 브로마이드를 첨가하고, 고체들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
    iii) 상기 반응 혼합물의 하부 수성 상을 제거하고, 상부 유기 상을 유지하는 단계;
    iv) 상기 상부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는 단계;
    v) 단계 iii) 및 iv)를 1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
    vi) 상기 상부 유기 상 상에서 진공 증류를 실시하는 단계;
    vii) 새로운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는 단계;
    viii) 단계 vi)을 증류물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는 단계;
    ix)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를 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모든 현탁된 고체를 제거하는 단계; 및
    x) 단계 ix)로부터의 여과물의 진공 증류를 실시하여 생성물을 제공하는 하위단계들을 포함하는, 합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단계 v)에서, 하위단계 iii) 및 iv)가 2회 이상 반복되는, 합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탄화수소 용매가, n-헵탄, 헵탄 이성체들의 혼합물, n-헥산, 이소옥탄, 및 석유 에테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이 오일, 유성(oily) 고체, 및 왁스질(waxy) 고체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염의 양이온이 Na, K, 및 Ca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아라키드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에루스산, 리놀레산, 아라키돈산, 라우르산, 카프르산, 리놀레산, α-리놀렌산, γ-리놀렌산, 및 미리스트산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8개 이상의 탄소 분자를 포함하는, 합성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이, 유입비에 비해 글리코피로늄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지방산의 풍부함(enrichment)을 갖는, 합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0.6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약 0.6몰 당량 과량 내지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1.1몰 당량 과량 이상의 지방산 염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약 1.2몰 당량 과량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 중의 상기 지방산 대 글리코피로늄의 비율이 약 2.25:1 내지 3.00:1인, 합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단리된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혼합물 중의 상기 지방산 대 글리코피로늄의 비율이 약 2.29:1 내지 2.87:1인, 합성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상 반응 혼합물이 물 및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포함하는, 합성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생성물의 분석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러한 분석 단계는 하기 하위 단계들:
    i) 고압(high presure)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글리코피로늄 성분 및 가수분해 분해물, 산 A를 정량화하는 단계;
    ii)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총 지방산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iii) 음이온 모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브로마이드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iv) 양이온 모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칼륨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v) 하위단계들 i), ii), iii), 및 iv)로부터의 결과들을 조합하는 화학양론적 계산을 실시하여,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양 및 4급 아미노 알콜 분해물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vi) 핵 자기 공명을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글리코피로늄의 몰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방법.
  19. 제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을 갖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Figure pct00055

    상기 화학식에서, R은 8개 이상의 탄소 분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쇄이다.
  20. 제19항에 있어서, R이 다음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C11H23(라우르산);
    C17H35(스테아르산);
    C17H33(올레산);
    C15H31(팔미트산);
    C9H19(카프르산);
    C19H31(아카리돈산);
    C19H39(아라키드산);
    C21H41(에루스산);
    C17H31(리놀레산);
    C17H29(리놀렌산); 및
    C13H27(미리스트산).
  21. 트로스퓸 지방산 염의 합성 방법으로서, 트로스퓸 클로라이드와 지방산 염을 2상 반응 혼합물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0.2몰 당량 과량 이상의 유리 지방산이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되는, 합성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가,
    i) 지방산과 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및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수산화물을, 모든 고체들이 용해되어 상기 지방산 염을 형성할 때까지 혼합하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방법.
  23. 하기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
    Figure pct00056

    상기 화학식에서, R은 8개 이상의 탄소 분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쇄이다.
  24. 제23항에 있어서, R이 다음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C11H23(라우르산);
    C17H35(스테아르산);
    C17H33(올레산);
    C15H31(팔미트산);
    C9H19(카프르산);
    C19H31(아라키돈산);
    C19H39(아라키드산);
    C21H41(에루스산);
    C17H31(리놀레산);
    C17H29(리놀렌산); 및
    C13H27(미리스트산).
  25.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생성물의 분석 방법으로서,
    a)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글리코피로늄 성분 및 가수분해 분해물, 산 A를 정량화하는 단계;
    b)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총 지방산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c) 음이온 모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브로마이드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d) 양이온 모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칼륨 성분을 정량화하는 단계;
    e) 상기 단계들 a), b), c), 및 d)로부터의 결과들을 조합하여 화학양론적 계산을 실시하여, 과량의 유리 지방산의 양 및 4급 아미노 알콜 분해물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핵 자기 공명을 실시하여, 상기 생성물 중의 글리코피로늄의 몰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석 방법.
KR1020187001379A 2015-06-15 2016-06-06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7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5737P 2015-06-15 2015-06-15
US62/175,737 2015-06-15
PCT/US2016/035967 WO2016204998A1 (en) 2015-06-15 2016-06-06 Glycopyrronium fatty acid sal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947A true KR20180037947A (ko) 2018-04-13

Family

ID=5754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379A KR20180037947A (ko) 2015-06-15 2016-06-06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19109B2 (ko)
EP (1) EP3307250B1 (ko)
JP (1) JP6910069B2 (ko)
KR (1) KR20180037947A (ko)
CN (1) CN108024967B (ko)
AU (1) AU2016279798B2 (ko)
CA (1) CA2989579A1 (ko)
ES (1) ES2942176T3 (ko)
MA (1) MA43047A (ko)
MX (1) MX2017016331A (ko)
WO (1) WO2016204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95A (ko) 2019-05-10 2020-11-18 오남주 스마트 태양광 파고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776A1 (en) 2017-03-12 2018-09-20 Sol-Gel Technologies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lycopyrrolate tosylate
CN109884205A (zh) * 2019-03-12 2019-06-14 康诚科瑞医药研发(武汉)有限公司 一种血浆中曲司氯铵的定量检测方法
TW202245748A (zh) 2021-02-05 2022-12-01 日商三和化學研究所股份有限公司 包含吡咯醣・水楊酸鹽之藥品
KR20230142699A (ko) 2021-02-05 2023-10-11 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켄큐쇼 글리코피로니움ㆍ살리실산염을 포함하는 의약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2944A (en) 1987-05-13 1990-01-09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quaternary salts
CA2022886A1 (en) 1989-08-08 1991-02-09 Raymond Baker Substituted pyridines, their preparation, formulations and use in dementia
US5861431A (en) 1995-06-07 1999-01-19 Iotek, Inc. Incontinence treatment
WO1998000133A1 (en) 1996-07-01 1998-01-08 Sepraco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s,s)-glycopyrrolate
WO1998000016A1 (en) 1996-07-01 1998-01-08 Sepraco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ing enantiomerically enriched (r,r)-glycopyrrolate
CA2257860A1 (en) 1996-07-11 1998-01-22 Farmarc Nederland B.V. Inclusion complex containing indole selective serotonin agonist
EP1235818A4 (en) * 1999-10-15 2005-01-19 Danisco Cultor America Inc DIRECT ESTERIFICATION PROCESS OF SORBITOL WITH FATTY ACIDS
GB0008660D0 (en) * 2000-04-07 2000-05-31 Arakis Ltd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ES2708961T3 (es) * 2000-11-30 2019-04-12 Vectura Ltd Composiciones farmacéuticas para inhalación
AU2003298514A1 (en) 2002-05-17 2004-05-04 Eisai Co.,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cholinesterase inhibitors
JP2004083456A (ja) * 2002-08-26 2004-03-18 Fuji Photo Film Co Ltd ジアゾニウム塩の製造方法
US7635709B2 (en) 2002-09-26 2009-12-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owel car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EP2172463B1 (en) * 2003-07-01 2015-06-17 Otsuka Chemical Co., Ltd. Quaternary ammonium salt, electrolytic solution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7091236B1 (en) 2003-08-20 2006-08-15 Sciele Pharma, Inc. Method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glycopyrrolate
EP1616567A1 (en) * 2004-07-16 2006-01-1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KG Medicaments for inhalation comprising PDE IV inhibitors and glycopyrrolate salts
EP2255812A1 (en) 2004-11-01 2010-12-01 Seo Hong Yoo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ducing neurodegeneration in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O2006069998A2 (de) 2004-12-27 2006-07-06 Beiersdorf Ag Glycopyrrolat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EP1861361A1 (en) * 2005-03-24 2007-12-05 Sosei R&D Ltd. Glycopyrronium salts and their therapeutic use
JP2007090557A (ja) * 2005-09-27 2007-04-12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KR20090054434A (ko) * 2006-07-28 2009-05-29 바이오그레이드 (홍콩) 피티와이 리미티드 마스터배치 및 폴리머 조성물
WO2008019070A2 (en) * 2006-08-04 2008-02-14 Ebrahim Versi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rospium for treating smooth muscle hyperactivity disorders
US8969402B2 (en) 2006-11-15 2015-03-03 Steven A. Rich Combin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nd quaternary ammonium antimuscarinic therapy to alter progression of cognitive diseases
US9034890B2 (en) 2006-11-15 2015-05-19 Steven A. Rich Combine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and quaternary ammonium antimuscarinic therapy to alter progression of cognitive diseases
US8097633B2 (en) 2006-11-15 2012-01-17 Rich Steven A Uses for quaternary ammonium anticholinergic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in patients being treated for cognitive impairment or acute delirium
WO2009052353A2 (en) * 2007-10-17 2009-04-23 Dr. Reddy's Laboratories Ltd. Trospium pharmaceutical formulations
EP3178477A1 (en) 2008-03-27 2017-06-14 Chase Pharmaceuticals Corporation Combination of a nspacha (peripheral anticholinergic agent) like solifenacin and an achei (acetyl choline esterase inhibitor) like donepezil for treating dementia
US20110201597A1 (en) 2008-03-27 2011-08-18 Chase Thomas 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lzheimer-type dementia
JP4621783B2 (ja) * 2008-03-31 2011-01-26 株式会社日本触媒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97455B2 (ja) * 2008-06-20 2013-09-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α−ヒドロキシ酸の製造方法
KR101955863B1 (ko) * 2009-03-20 2019-03-07 버텍스 파마슈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낭성 섬유증 막횡단 전도도 조절자의 조정자의 제조 방법
JP2011246429A (ja) * 2009-06-26 2011-12-08 Idemitsu Kosan Co Ltd アダマンチル基を有する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AU2010296044B2 (en) 2009-09-18 2015-05-14 Chase Pharmaceuticals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lzheimer-type dementia
WO2011157536A1 (en) * 2010-06-14 2011-12-22 Chiesi Farmaceutici S.P.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lycopyrronium chloride
ES2702487T3 (es) 2011-06-17 2019-03-01 Nantenergy Inc Líquido iónico que contiene iones sulfonato
JP5885459B2 (ja) * 2011-10-21 2016-03-15 Kjケミカルズ株式会社 非水溶性イオン性ビニルモノマー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帯電防止剤と帯電防止組成物
JP2013227247A (ja) * 2012-04-25 2013-11-07 Kohjin Holdings Co Ltd 非水溶性イオン性ビニルモノマー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帯電防止剤と帯電防止組成物
WO2014091384A2 (en) 2012-12-12 2014-06-19 Mahesh Kandula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cosit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895A (ko) 2019-05-10 2020-11-18 오남주 스마트 태양광 파고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79798A1 (en) 2018-01-18
CA2989579A1 (en) 2016-12-22
CN108024967B (zh) 2021-12-21
EP3307250A1 (en) 2018-04-18
US20180179156A1 (en) 2018-06-28
MX2017016331A (es) 2018-09-05
EP3307250A4 (en) 2018-08-08
JP6910069B2 (ja) 2021-07-28
ES2942176T3 (es) 2023-05-30
MA43047A (fr) 2018-08-08
US10519109B2 (en) 2019-12-31
EP3307250B1 (en) 2022-11-23
WO2016204998A1 (en) 2016-12-22
AU2016279798B2 (en) 2021-07-08
CN108024967A (zh) 2018-05-11
JP2018519289A (ja)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7947A (ko) 글리코피로늄 지방산 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470975B (zh) 多环氨基甲酰基吡啶酮化合物的合成
KR101284202B1 (ko) 아고멜라틴 할로겐산염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621329B2 (ja) 新規化合物、それらの合成及びそれらの使用
Rodríguez‐Vázquez et al. Synthesis of Cyclic γ‐Amino Acids for Foldamers and Peptide Nanotubes
WO2011083304A1 (en) Prodrugs of opioids and uses thereof
TW202102233A (zh) 用於hiv治療之化合物
JP6605157B2 (ja) デゾシンの類似体
AU2022283638A1 (en) Co-crystal forms of a novobiocin analog and proline
CN109879934B (zh) 一种苯基丙酰胺类衍生物的盐及其制备方法
CN108164521B (zh) 一种帕瑞昔布钠降解杂质及其制备、检测方法和应用
AU2011246707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alfinamide methanesulfonate salts or their R-enantiomers
WO2020118564A1 (en) Novel thyromimetics
CA2784933A1 (en) Processes for the purification of lubiprostone
EP2809156A2 (en) Allosteric modulators of 5-hydroxytryptamine 2c receptor (5-ht2cr)
EP3722286A1 (en) Salt of phenylpropionamide derivat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JP2005501819A (ja) ピンク色化合物の形成を制限する塩酸パロキセチン調製プロセス
KR20230008047A (ko) 니트록솔린 전구약물의 결정 형태,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N115151553A (zh) 硼酸衍生物
TW202134248A (zh) Sstr5拮抗劑
EA015600B1 (ru) Агенты, усиливающие действие амра-рецепторов
KR20210039416A (ko) 신경변성 장애의 치료를 위한 술포프로판산 유도체
US20220204449A1 (en) Biased agonists of opioid receptors
JP2019531260A (ja) テトラヒドロイソキノリンカッパーオピオイドアンタゴニスト
RU2776749C2 (ru) Соль производного фенилпропионамид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