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833A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833A
KR20180037833A KR1020160128552A KR20160128552A KR20180037833A KR 20180037833 A KR20180037833 A KR 20180037833A KR 1020160128552 A KR1020160128552 A KR 1020160128552A KR 20160128552 A KR20160128552 A KR 20160128552A KR 20180037833 A KR20180037833 A KR 20180037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ner tank
dispenser
tank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675B1 (ko
Inventor
이상준
김영종
장형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675B1/ko
Priority to US16/340,021 priority patent/US11359318B2/en
Priority to CN201780075556.9A priority patent/CN110050095B/zh
Priority to PCT/KR2017/011105 priority patent/WO2018066972A2/ko
Priority to AU2017338585A priority patent/AU2017338585B2/en
Publication of KR20180037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0Pres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06F2105/04Water supply from separate hot and cold water inl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02/065
    • D06F2202/085
    • D06F2202/10
    • D06F2204/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외조와,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내조 내로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포적심 속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조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내조 내에 의류나 침구 등의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이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코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이 실행됨으로써, 급배수, 세탁, 헹굼, 탈수 등이 실시된다.
통상의 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일련의 행정들을 차례로 실시하여 세탁물을 처리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진행 중인 행정에 따라, 물과 함께 세탁용 세제, 헹굼용 린스, 표백제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세탁기는 세탁행정을 실시하기 전에, 세제를 물과 함께 공급한 후, 세제가 물에 고르게 용해되도록 내조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디스펜서를 통해 물과 함께 세제가 공급하여, 정해진 수위까지 외조가 채워진 이후에 급수를 종료하고, 내조를 회전시켜 세제를 용해시키고, 그 이후에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행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급수와 세제의 용해가 이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탁행정에 진입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수 과정에서 세제가 고르게 용해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 비해 전체 세탁 시간을 단축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세탁 시간은 단축하면서도, 세탁성능은 종래와 균등하거나, 개선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이 담기는 외조와,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하고, 이렇게 상기 내조 내로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포적심 속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급수 과정에서 세제가 고르게 용해됨으로써, 또한, 종래에 비해 전체 세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세탁 시간은 단축하면서도, 세탁성능은 종래와 균등하거나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커버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부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이 기재된 표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방법에 따른 주요 구성들의 동작 제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이 기재된 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커버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주요부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1), 탑 커버(2), 리드(4), 베이스(9) 및 컨트롤 패널(3)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베이스(9)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으로 외조(6)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9)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전면, 양 측면,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는 세탁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바닥에 대응하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캐비닛(1)의 네모서리 부근에 설치된 4개의 지지다리(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캐비닛(1)의 상단에는 탑 커버(2)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탑 커버(2)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리드(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 내에는 물을 담기 위한 외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외조(6)는 헹거(8)에 의해 캐비닛(1) 내에 매달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8)는 상단이 탑 커버(2)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로드(8a)와, 지지로드(8a)에 설치되어 외조(6)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8b)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8b)은 외조(5)를 지지하며, 외조(6)가 진동함에 따라 지지로드(8a)을 따라 이동되는 외조 지지부재와, 지지로드(8a)의 하단부에 고정배치되어, 상기 외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헹거(8)는 캐비닛(1)의 네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외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에는 외조 커버(7)가 구비될 수 있다. 외조 커버(7)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해 중앙부가 개구된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조(6)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5)가 배치될 수 있다. 내조(5)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멍을 통해 내조(5)와 외조(6)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다.
외조(6)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21)와, 배수 밸로우즈(21)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22)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21)는 펌프(24)와 연결되며, 배수 밸브(22)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21)를 통해 펌프(24)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펌프(24)는 배수 밸로우즈(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내조(5)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15)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15)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15)가 회전될 시,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 내에는 내조(5)와 펄세이터(15)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세탁 모터(41)가 배치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는 외조(6)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조(6)와 함께 캐비닛(1)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의 회전축은 펄세이터(15)와는 항시 결합되어 있으며, 내조(5)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모터(41)가 회전축이 내조(5)와 결합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펄세이터(15)와 내조(5)가 일체로 회전되며, 회전축이 내조(5)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내조(5)가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만(15)이 회전된다.
세탁 모터(41)의 속도(또는, 회전수)를 변속하여 펄세이터(15)로 전달하는 변속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에 의해 내조(5)가 세탁 모터(41)의 회전축과 분리된 상태(즉, 펄세이터(15)만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변속기에 기 설정된 감속비(n)로 감속된 속도로 펄세이터(15)가 회전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의 회전 속도를 n이라고 할 때, 펄세이터(15)는 1의 속도로 회전되며, 이때의 "n"을 감속비라고 정의한다. 이하, 감속비(n)는 3인 것으로 예를 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세탁 모터(41)는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통상의 세탁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BL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모터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모터의 입력 전류를 벡터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방법들이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세탁 모터(41)의 속도 제어는 모터의 종류와 그에 대응하는 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탑 커버(2)에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내조(5) 내로 물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0)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 등이 있다.
외조(6) 내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펌프(24)가 구비될 수 있다. 펌프(24)는 외조(6)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21)와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24)에 의해 압송된 물은 배수 호스(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디스펜서(30)는 탑 커버(2)의 내측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32)과, 첨가제가 담기며 디스펜서 하우징(32)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로워(31)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2)에는 드로워(31)가 통과되는 드로워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출입구에 대응하여 디스펜서 하우징(32)에는 상기 드로워 출입구를 대향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31)는 세탁용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31a)와, 헹굼용 린스를 수용하는 린스 수용부(31b)로 구획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31a)와 리스 수용부(31b)는 리브, 파티션 등의 구조물로 구획되어 있으며, 따라서, 세제 수용부(31a)로 급수가 이루어질 시 물과 함께 세제만 내조(5)로 투입되고, 반대로, 린스 수용부(31b)로 급수가 이루어질 시에는 물과 함께 린스만 내조(5)로 투입된다.
세탁기는 내조(5)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50)은 탑 커버(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드로워(31)의 옆에 배치된다.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호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 호스(11)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냉수 호스(미도시)와,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 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급수 호스(11)를 통해 공급된 물을 단속하는 밸브 어셈블리(12)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2)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 밸브(121, 122, 123,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호스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디스펜서(30)를 경유하여 내조(5) 내로 급수될 수 있다. 이때, 온수는 드로워(31)의 세제 수용부(31a)를 경유한다. 상기 온수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세제 수용부(31a)로 안내하는 온수 유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밸브 어셈블리(12)는 제어부(57)의 제어하에 상기 온수 유로를 단속하는 온수 밸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수 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디스펜서(30) 또는 분사노즐(50)로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펜서(30)로 공급된 냉수는 다시 드로워(31)의 세제 수용부(31a) 또는 린스 수용부(31b)를 선택적으로 경유한 후, 내조(5)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세제 수용부(31a)로 안내하는 제 1 냉수 유로(미도시)와, 린스 수용부(31b)로 안내하는 제 2 냉수 유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2)는 상기 제 1 냉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1 냉수 밸브(121)와, 상기 제 2 냉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2 냉수 밸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냉수 밸브(121)와 제 2 냉수 밸브(122)는 제어부(57)의 제어하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냉수 호스를 통해 공급된 냉수를 분사노즐(50)로 안내하는 제 3 냉수 유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2)는 제어부(57)의 제어하에 상기 제 3 냉수 유로를 단속하는 제 3 밸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은 세탁기가 제공하는 각종 운전 모드를 설정, 선택, 조정할 수 있는 키, 버튼, 터치 패널 등의 입력수단과, 세탁기의 운전 상태, 상기 운전 모드 선택에 따른 응답, 경고, 알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LCD 패널, 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센서(59)는 외조(6) 내의 수위를 감지한다. 상하로 길게 연장된 연통관(19)이 외조(6)와 연통되어 있다. 수위센서(59)는 외조(6) 내의 수위에 따라 변화하는 연통관(19) 내의 공기압을 감지하여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며, 제어부(57)는 상기 주파수 신호에 따라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수위센서(59)는 기 공지된 다른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이 기재된 표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방법에 따른 주요 구성들의 동작 제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내조(5)는 세탁 모터(41)와 같은 속도로 회전되고, 내조(5)와 펄세이터(15)의 속도비는 3:1인 것으로 예를 들며, 도면에 표시된 그래프의 왼쪽 세로축(rpm 축)은 세탁 모터(41)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오른쪽 세로축(수량 축)은 외조(6) 내로 공급된 물의 양(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그래프에서 제 1 냉수 밸브(121), 제 3 냉수 밸브(123), 온수밸브(124)가 작동되는 구간은 블록으로 표시하고, 냉수량 변화는 (a)로, 온수량 변화는 (b)로 표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펜서(30)를 통해 급수를 하여, 내조(5) 내로 물과 세제를 공급하는 단계(S2, S3, S4)와, 이렇게 물이 공급되는 중에 분사노즐(50)을 통해 내조(5) 내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S4단계, 제 3 냉수 밸브(123) ON)와, 분사노즐(50)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중에, 내조(5) 내의 세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내조(5)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속도(V2, 이하, "포적심 속도"라고도 함.)로 내조(5)를 회전시키는 단계(S41, S43, S4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S1 내지 S7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단계(제 1 포량감지단계)는 급수가 이루어지기 전에 내조(5) 내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이하, "포량"이라고 함.)을 감지하는 단계이며, 통상 물에 젖지 않은 상태의 세탁물(이하, "건포"라고 함.)의 양이 감지된다. 세탁 모터(41)가 기 설정된 건포량 감지속도(Vd)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 펄세이터(15)가 회전될 수 있다. 포량에 따라 세탁 모터(41)에 가해지는 부하가 다르기 때문에, 세탁 모터(41)의 출력 전류가 변동되며, 제어부(57)는 상기 출력 전류를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S1단계에서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포량이 감지될 수 있다.
S2단계(냉수 급수단계)에서는, 디스펜서(30)를 통해 내조(5) 내로 냉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제 1 냉수 밸브(121)가 개방되어, 드로워(31)의 세제 수용부(31a)로 공급된다. 세제 수용부(31a)에 담긴 세제가 냉수와 함께 내조(5) 내로 투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냉수급수시간은 3초로 설정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2단계에서 냉수가 급수되는 동안, 내조(5)가 제 1 속도(V1, 이하, "포분산 속도"라고도 함.)로 회전될 수 있다. 제 1 속도(V1)는 내조(5) 내에서 적어도 일부의 포가 위치 변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다. 내조(5)의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원심력이 증가하여 세탁물이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게되며, 이 때, 포는 내조(5)와 일체로 회전되기 때문에 내조(5)에 대한 위치는 고정이다. 포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크기는 내조(5)의 회전속도 뿐만 아니라, 내조(5) 내에서의 포의 위치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내조(5) 내에 투입된 포가 소량인 경우와 다량인 경우에 있어서, 같은 속도로 내조(5)를 회전시킨다고 가정할 시, 소량인 경우에는 전량의 포가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을 수 있으나, 다량인 경우에는 포들 간의 간섭으로 인해 포들의 위치 변동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포들 중에서 내조(5)의 회전 중심과 가까운 포들은 충분한 원심력을 받지 못하여 내조(5)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내조(5) 내에서 적어도 일부의 포들의 위치 변동을 허용하는 내조(5)의 회전 속도는 포량에 따라 다르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속도(V1)는 제 1 포량감지단계(S1)에서 감지된 포량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즉, 감지된 포량이 큰 경우(또는, 포량을 몇 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감지된 포량이 속하는 구간이 큰 경우), 제 1 속도(V1)가 더 큰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속도(V1)는 30rpm 내지 120rpm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다.
S3단계(냉온수 급수단계)에서는, 디스펜서(30)를 통해 냉수와 온수가 함께 내조(5) 내로 공급될 수 있다. S2단계에서의 제 1 냉수 밸브(121)의 개방이 S3단계에서도 유지되고, 온수밸브(124)가 더 개방될 수 있다.
수위센서(59)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이하, "포적심 수위"라고 함.)에 이르면, 제어부(57)는 온수 밸브(124)를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제어부(57)는 온수 밸브(124)가 개방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이르면, 온수 밸브(124)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S3단계에서 급수가 이루어지는 동안, 내조(5)가 제 1 속도(V1)로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2단계에서의 내조(5)의 회전이 S3단계에 이르러서도 계속된다.
S4단계(포적심 단계)에서는 온수 밸브(124)는 차단된 상태이고, 제 1 냉수 밸브(121)는 계속하여 개방된 상태이다. S4단계에서는 내조(5)가 제 2 속도(V2, 이하, "포적심 속도"라고도 함.)로 회전될 수 있다. S2 내지 S3단계에서 디스펜서(30)를 통해 공급된 세제의 용해 또는 희석 작용이 S4단계에서 촉진된다. S4단계에서는 분사노즐(50)을 통한 급수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S4단계는 내조(5)를 제 2 속도(V2)로 회전시키며, 분사노즐(50)을 통해 물을 공급(또는, 분사)하는 단계(S41)를 포함할 수 있고,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복적으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S41(1), S41(2), S41(3))
또한, S4단계는 내조(5)를 제 1 속도(V1, 예를 들어, 30rpm)로 회전시키며, 분사노즐(50)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단계(S42)를 포함할 수 있다.
S41단계와 S42단계는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S41단계에서는 내조(5)는, 세탁물 중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전부)가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내조(5)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속도(V2)로 회전된다. 속도(V2)는 포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80 내지 120rpm에 이르는 상당히 높은 범위에서 설정된다. 실시예에서는 100rpm이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속도 범위에서는, 세제가 용해된 물(이하, "세제수"라고 함.)이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은 세탁물을 투과하는 수류가 형성되고, 수위가 충분한 경우에는, 세제수가 외조(6)와 내조(5) 사이를 따라 상승한 후, 내조(5)의 상단을 넘어 내조(5) 내로 쏟아질 수 있다. 즉, S4단계에서는 세제로 인한 거품이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연속하게 내조(5)를 제 2 속도(V2)로 회전시키지 않고, 제 1 속도(V1)로 감속 회전하였다가, 다시 제 2 속도(V2)로 회전함으로써, 거품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S4단계에서, 분사노즐(50)을 통한 급수는 기 설정된 시간(이하, "포적심 분사 시간"이라고 함.)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제어부(57)는 제 3 냉수 밸브(123)가 개방된 후, 포적심 분사 시간이 경과하면, 제 3 냉수 밸브(123)를 차단할 수 있다.
S4단계가 실시되는 동안, 수위센서(59)에 의해 수위가 감지될 수 있다. 수위센서(59)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이하, "포적심 완료 수위"라고 함.)에 이르면, 제 1 냉수 밸브(121)를 차단할 수 있다.
S4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외조(6) 내의 수위가 포적심 완료 수위에 이르기 전에 제 3 냉수 밸브(123)가 먼저 차단되고, 이후, 수위가 포적심 완료 수위에 이르면 제 1 냉수 밸브(121)가 차단된다.
S4단계가 완료된 후, S5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S5단계는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내조(5)가 기 설정된 습포량 감지 속도(Vw)로 회전될 수 있다. 습포량 감지 속도(Vw)는 제 2 속도(V2)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7)는 내조(5)가 습포량 감지 속도(Vw)로 회전되는 동안, 세탁 모터(41)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바탕으로 습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않고, 습포량은 공지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여 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와 같은 탑 로드(tom load)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기의 운전이 실시되는 중에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S1단계에서 구한 건포량은 최종 포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S5단계에서는 세탁단계(S7)에 진입하기 전에 다시 한번 포량이 감지되며, 제어부(57)는 S1단계에서 감지된 건포량과 S5단계에서 감지된 습포량을 함께 고려하여, S7단계를 구성하는 단계들의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7)는 S1단계에서 구한 건포량과, S5단계에서 구한 습포량을 바탕으로 최종 급수 수위를 결정할 수 있고, S5단계에서 내조(5)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수위센서(59)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상기 최종 급수 수위에 미치지 못한 경우, 디스펜서(31) 및/또는 분사노즐(50)을 통해 추가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냉수 밸브(121)와 제 3 냉수 밸브(123)가 함께 개방되고, 급수가 이루어지는 중에, 내조(5)가 제 1 속도(V1)로 회전된다.
이후, 수위센서(59)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최종 급수 수위에 이르면, 급수가 중단되고, S7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S7단계에서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내조(5) 및/또는 펄세이터(15)가 회전되어 세탁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와 같이, S1단계 및/또는 S5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을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따른 각 단계들이 기재된 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냉온수 급수단계(S3, 도 5 내지 도 6 참조.)와, 포적심 단계(S4)가 생략되고,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에 따르기로 한다. 온수가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세탁기에 적합한 제어방법이다.

Claims (14)

  1. 물이 담기는 외조와, 세탁물을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로 세제를 공급하는 디스펜서와,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상기 내조 내로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조의 내측면에 달라 붙어 상기 내조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포적심 속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디스펜서에 의해 상기 내조 내로 세제와 함께 냉수가 공급되는 단계; 및
    (a-2) 상기 냉수가 공급되는 중에 상기 디스펜서에 의해 온수가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상기 (a-1)단계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실시된 이후에 실시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물 공급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실시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상기 포적심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은,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물 공급이 중단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물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펜서를 통한 물 공급을 중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적심 속도는 80 내지 120rpm인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내조 내의 세탁물이 상기 내조 내에서 위치 변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 포분산 속도로,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내조를 상기 포적심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조를 상기 포분산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교대로 반복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조를 상기 포적심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내조를 상기 포분산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교대로 반복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a)단계를 중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가 중단된 이후, 상기 내조를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키며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을 감지한 후, 상기 디스펜서를 경유하여 냉수를 더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최종 급수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냉수 공급을 종료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28552A 2016-10-05 2016-10-05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7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52A KR102578675B1 (ko) 2016-10-05 2016-10-05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6/340,021 US11359318B2 (en) 2016-10-05 2017-10-05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201780075556.9A CN110050095B (zh) 2016-10-05 2017-10-05 洗衣机的控制方法
PCT/KR2017/011105 WO2018066972A2 (ko) 2016-10-05 2017-10-05 세탁기의 제어방법
AU2017338585A AU2017338585B2 (en) 2016-10-05 2017-10-05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52A KR102578675B1 (ko) 2016-10-05 2016-10-05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33A true KR20180037833A (ko) 2018-04-13
KR102578675B1 KR102578675B1 (ko) 2023-09-13

Family

ID=6183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52A KR102578675B1 (ko) 2016-10-05 2016-10-05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59318B2 (ko)
KR (1) KR102578675B1 (ko)
CN (1) CN110050095B (ko)
AU (1) AU2017338585B2 (ko)
WO (1) WO2018066972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00B1 (ko) * 1994-11-11 1998-12-15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 방법
KR20050080477A (ko) * 2004-02-09 200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1100530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30001556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743B1 (ko) * 1994-07-07 1998-10-01 이헌조 세탁기의 수위제어방법
KR200336362Y1 (ko) * 1999-01-23 200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분산장치
KR100375622B1 (ko) * 2000-02-01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1067963B1 (ko) * 2004-07-08 2011-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82887B1 (ko) * 2004-07-08 2011-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급수방법
JP4900159B2 (ja) * 2007-09-26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4555327B2 (ja) * 2007-10-15 2010-09-2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US8397328B2 (en) * 2008-07-01 2013-03-19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centration of wash aid in wash liquid
US8713736B2 (en) * 2008-08-01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JP2010046349A (ja) * 2008-08-22 201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KR101609681B1 (ko) * 2009-06-30 2016-04-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176798B2 (en) * 2009-07-09 2012-05-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aundry load
US9822473B2 (en) * 2009-07-27 2017-11-21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644879B1 (ko) * 2009-08-27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RU2503758C2 (ru) * 2009-08-27 2014-01-1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ашиной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KR20110053080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CN102080323B (zh) * 2009-11-27 2014-11-05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进水溶解洗衣粉的控制方法及其洗衣机
CN202007336U (zh) * 2011-03-16 2011-10-12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洗涤剂投放盒
BR112013026143A2 (pt) * 2011-04-14 2021-01-12 Lg Electronics, Inc. Método de lavagem
KR101323379B1 (ko) * 2012-01-19 2013-10-29 강효신 세탁기 일체형 세제 및 유연제 공급 장치
KR20130125199A (ko) * 2012-05-08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196182B1 (ko) * 2014-10-27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439141B1 (ko) * 2015-04-01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10202717B2 (en) * 2015-12-02 2019-02-1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enhancer and laundry additive dispensation in laundry applian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400B1 (ko) * 1994-11-11 1998-12-15 구자홍 세탁기의 세탁 방법
KR20050080477A (ko) * 2004-02-09 2005-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식 세탁기의 세탁방법
KR201100530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30001556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6972A3 (ko) 2018-05-31
US20200040506A1 (en) 2020-02-06
KR102578675B1 (ko) 2023-09-13
AU2017338585A1 (en) 2019-05-23
US11359318B2 (en) 2022-06-14
CN110050095A (zh) 2019-07-23
CN110050095B (zh) 2021-09-21
AU2017338585B2 (en) 2020-10-22
WO2018066972A2 (ko)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182B1 (ko) 세탁기
US11091867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distance sensor
US8561438B2 (en) Complex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59985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15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05783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666B1 (ko) 세탁기 헹굼행정의 제어방법
JP2018000856A (ja) 洗濯機
KR20170115749A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KR10170866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AU20173385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170868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037833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AU20173385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40084952A (ko) 히팅 세탁 제어 방법
KR10232089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041383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123306B1 (ko) 세탁기의 세탁 제어 방법
KR20180035767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