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87B1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687B1
KR101708687B1 KR1020150139275A KR20150139275A KR101708687B1 KR 101708687 B1 KR101708687 B1 KR 101708687B1 KR 1020150139275 A KR1020150139275 A KR 1020150139275A KR 20150139275 A KR20150139275 A KR 20150139275A KR 101708687 B1 KR101708687 B1 KR 101708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preliminary
water level
suppl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호
정환진
이상현
구본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87B1/ko
Priority to AU2016234990A priority patent/AU2016234990B2/en
Priority to BR102016022920-0A priority patent/BR102016022920B1/pt
Priority to RU2016138672A priority patent/RU2642412C1/ru
Priority to US15/283,601 priority patent/US10738404B2/en
Priority to JP2016195781A priority patent/JP6437502B2/ja
Priority to CN201610881632.2A priority patent/CN10705932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a) 내조 내의 포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의 양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내조 내로 급수를 하고, 외조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예비급수시간을 구하는 단계와, (d) 상기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 변동량을 구하는 단계와, (e)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과 상기 (d)단계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와, (f) 상기 조정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조를 포함하며, 상기 내조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세탁기는, 상기 내조 내에 의류나 침구 등의 세탁물(이하, "포"라고도 함)이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코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이 실행됨으로써, 급배수, 세탁, 헹굼, 탈수 등이 실시된다.
세탁운전은 통상적으로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행정의 진행 과정은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세탁행정은 내조 내로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여, 세제에 의한 화학작용과, 펄세이터 및/또는 내조의 회전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이용하여 포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다.
헹굼행정은 내조 내로 세제가 용해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포를 헹구는 것으로, 특히, 세탁행정시 포에 흡수된 세제가 제거된다. 헹굼행정시에는 물과 함께 섬유 유연제가 공급되기도 한다.
탈수행정은 헹굼행정이 완료된 이후에, 내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포를 탈수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탈수행정이 완료됨으로써, 세탁기의 모든 운전이 종료되나, 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는, 탈수행정 이후에 건조행정이 더 추가되기도 한다.
세탁기는 상측으로부터 포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써, 내조가 수직한 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탑로드(top load) 방식과, 전방으로부터 포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형태로써, 내조가 수평한 축(horizont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프론트로드(front load) 방식으로 구분된다.
통상, 탑로드 세탁기의 세탁운전은 내조 내에 투입된 포의 양(이하, “포량"아라고 함.)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포량에 따라 급수수위, 세탁강도, 배수시간, 탈수시간 등이 설정된다.
그런데, 세탁성능은 포량 뿐만 아니라 포의 질(이하, “포질”이라고 함.)에 따라서도 편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세탁운전을 설정함에 있어서 포량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세탁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함습율(포가 물을 함유하는 비율)이 낮은 발수성의 기능성 소재의 경우에는 포량이 큰 경우에도, 적은 물로도 충분한 세탁이 가능하며, 반대로, 겨울 옷이나, 침구류 등과 같이 함습율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포량은 낮게 감지되더라도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함습율에 따라 포질을 판단하고, 포질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조 내에 포막(포에 의해 형성된 막 구조)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에 접합한 세탁운전이 실시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포막을 형성할 수 있는 포가 투입된 경우를 미리 검출할 수 없어, 이러한 포에 적합한 세탁운전이 실시되지 못하였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함습율에 따른 포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포막이 발생되는 경우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포질을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포질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들을 조절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이 순환노즐을 통해 내조로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세탁기에서 상기 순환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감지된 수위 변동량을 활용하여 포질을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내조를 회전시켜, 내조와 외조 간에 물을 강제로 순환시키고, 이 과정에서 감지된 수위 변동량을 활용하여 포질을 판단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외조와, 포를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는 순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내조 내의 포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의 양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내조 내로 급수를 하고,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예비급수시간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 변동량을 구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과 상기 (d)단계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조정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첫째, 함습율에 따른 포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포막이 발생되는 경우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확하게 포질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포질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들을 조절하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키고, 소비되는 전력과 물을 조절하고, 세탁운전에 소용되는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이 순환노즐을 통해 내조로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 세탁기에서 상기 순환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감지된 수위 변동량을 활용하여 포질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순환노즐이 구비되지 않은 구조의 세탁기에서도, 내조의 회전에 의해 내조와 외조 간을 순환하는 수류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서 감지된 수위 변동량을 활용하여 포질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세탁기가 제어되는 중의 세탁 모터의 속도(rpm)와 수위 주파수(Hz)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S3단계에서 포질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라 세탁기가 제어되는 중의 세탁 모터의 속도(rpm)와 수위 주파수(Hz)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내조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수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주요 구성들 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방법에 따라 세탁기가 제어되는 중의 세탁 모터의 속도(rpm)와 수위 주파수(Hz)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S3단계에서 포질을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베이스(9), 캐비닛(1), 탑 커버(2), 리드(4) 및 컨트롤 패널(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는 세탁기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바닥에 대응하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캐비닛(1)의 네모서리 부근에 설치된 4개의 지지다리(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9) 상에는 후술하는 펌프(45)가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은 베이스(9)에 의해 지지되며, 내측으로 외조(6)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베이스(9)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전면, 양 측면,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의 상단에는 탑 커버(2)가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2)에는 세탁물(또는, “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탑 커버(2)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리드(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1) 내에는 물을 담기 위한 외조(6)가 배치될 수 있다. 외조(6)는 헹거(8)에 의해 캐비닛(1) 내에 매달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8)는 상단이 탑 커버(2)와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로드(8a)와, 지지로드(8a)에 설치되어 외조(6)의 진동을 완충하는 서스펜션(8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8b)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8b)은 외조(5)를 지지하며, 외조(6)가 진동함에 따라 지지로드(8a)을 따라 이동되는 외조 지지부재와, 지지로드(8a)의 하단부에 고정배치되어, 상기 외조 지지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헹거(8)는 캐비닛(1)의 네군데 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외조(6)는 상측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에는 외조 커버(7)가 구비될 수 있다. 외조 커버(7)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해 중앙부가 개구된 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조(6)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5)가 배치될 수 있다. 내조(5)에는 물이 통과되는 다수의 구멍(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멍(5a)을 통해 내조(5)와 외조(6) 간에 물이 교류될 수 있다.
외조(6)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밸로우즈(18)와, 배수 밸로우즈(18)를 단속하는 배수밸브(44)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밸로우즈(18)는 펌프(45)와 연결되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배수밸브(44)가 개방될 시 배수 밸로우즈(18)를 통해 펌프(45)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펌프(45)는 배수 밸로우즈(18)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내조(5)의 내측 하부에는 펄세이터(15, 도 8 참조.)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펄세이터(15)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펄세이터(15)가 회전될 시,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 내에는 내조(5)와 펄세이터(15)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세탁 모터(41)가 배치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는 외조(6)의 하측에 배치되고, 외조(6)와 함께 캐비닛(1) 내에 매달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의 회전축은 펄세이터(15)와는 항시 결합되어 있으며, 내조(5)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모터(41)가 회전축이 내조(5)와 결합된 상태로 동작할 시에는 펄세이터(15)와 내조(5)가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축이 내조(5)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내조(5)는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15)만이 회전된다.
세탁 모터(41)는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제어될 수 있다. 세탁 모터(41)는, 통상의 세탁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BLDC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BLDC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비례-적분 제어기(PI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 controller), 비례-적분-미분 제어기(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등을 이용하여 모터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모터의 입력 전류를 벡터 제어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방법들이 이미 잘 알려져 있어, 세탁 모터(41)의 속도 제어는 모터의 종류와 그에 대응하는 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탑 커버(2)에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내조(5) 내로 물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1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17)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로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 등이 있다.
외조(6) 내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순환호스(10)를 통해 순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펌프가 필요하다. 배수를 위한 펌프와 순환을 위한 펌프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펌프(45)를 이용하여 배수와 순환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펌프(45)는 펌프 모터(미도시)와, 상기 펌프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물을 압송하는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세탁 모터(41)와 마찬가지로 BLDC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펌프(45)는 상기 임펠러에 의해 압송된 물을 배출시키는 두 개의 포트, 즉, 순환수 배출 포트(451)와 배수 포트(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순환수 배출 포트(451)를 통해 물이 배출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될 시에는 배수 포트(452)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순환호스(10)는 펌프(45)에 의해 압송된 물을 순환 노즐(12)로 안내하는 것으로, 일단이 순환수 배출 포트(451)와 연결되고, 타단은 순환 노즐(12)과 연결될 수 있다.
디스펜서(17)는 탑 커버(2)의 내측에 배치되는 디스펜서 하우징(171)과, 첨가제가 담기며 디스펜서 하우징(171)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드로워(17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2)에는 드로워(172)가 통과되는 드로워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출입구에 대응하여 디스펜서 하우징(171)에는 상기 드로워 출입구를 대향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172)는 세제가 담기는 세제 수용부(172a)와, 섬유 유연제가 담기는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용부로 선택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드로워 하우징(17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급수 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급수 포트들은 세제 수용부(172a)로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가 각각 유입되는 제 1 급수 포트(171a)와 제 2 급수 포트(171b)와,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로 공급되는 냉수(또는, 온수)가 유입되는 제 3 급수 포트(17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 3 급수 포트(171c)로는 냉수가 유입되는 것을 예로 드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온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세탁기는 수도 꼭지 등의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급수 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급수 호스들은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1 급수 포트(171a)로 안내하는 제 1 급수 호스(미도시)와, 온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2 급수 포트(171b)로 안내하는 제 2 급수 호스(미도시)와,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제 3 급수 포트(171c)로 안내하는 제 3 급수 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들을 단속하는 하나 이상의 급수밸브(4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급수 호스를 단속하는 제 1 급수밸브(미도시)와, 상기 제 2 급수 호스를 단속하는 제 2 급수밸브(미도시)와, 상기 제 3 급수 호스를 단속하는 제 3 급수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급수밸브들은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세제 수용부(172a)의 바닥에는 물과 함께 세제가 배출되는 세제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172)로부터 상기 세제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물은 디스펜서 하우징(17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한 후, 디스펜서 하우징(17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내조(5)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튜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의 바닥에는 상기 튜브의 하단과 연통되는 섬유 유연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17)는 상기 튜브에 끼워지는 관상의 캡(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의 내주면과 상기 튜브의 외주면 사이에는 물이 유동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어,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 내로 공급된 물을 상기 튜브 상단의 구멍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튜브와 캡으로 섬유 유연제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튜브의 상단과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 바닥면 간에 높이 차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액상의 섬유 유연제가 투입된 경우, 상기 튜브 상단 보다 높은 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섬유 유연제가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3 급수밸브가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로부터 상기 튜브로 유동하는 수류가 일단 형성되면,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 내의 모든 물이 배출되기 전에 상기 제 3 급수밸브가 차단되더라도,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 내의 잔수가 사이폰 현상에 의해 계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튜브를 통해 섬유 유연제 수용부(172b)로부터 배출된 물은 디스펜서 하우징(17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한 후, 디스펜서 하우징(17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내조(5)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세탁기는 내조(5) 내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로, 순환 노즐(12)과 직수 노즐(13)을 포함할 수 있다. 순환 노즐(12)과 직수 노즐(13)은 탑 커버(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드로워(17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직수 노즐(13)로 안내하는 직수 공급 호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은 세탁기가 제공하는 각종 운전 모드를 설정, 선택, 조정할 수 있는 키, 버튼, 터치 패널 등의 입력부(46)와, 세탁기의 운전 상태, 상기 운전 모드 선택에 따른 응답, 경고, 알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램프, LCD 패널, 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기는 외조(6)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수위센서(42)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급수밸브(43) 및/또는 배수밸브(44)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47)는 세탁기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휘발성/ 비휘발성 램(RAM), 롬(ROM), 플레시 메모리(Frash memory) 등의 각종 기록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7)에는 함습율에 따라 포의 질(이하, “포질”이라고 함.)을 구분하고, 각각의 포질에 대응하여 설정된 급수시간범위와 수위변동범위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표 1은 포질을 저 함습포, 중 함습포, 고 함습포로 구분하였을 경우의 급수시간범위(예비급수단계에서의 급수시간을 기준으로 한 것임.)와 수위변동범위를 나타낸 것이다. 급수시간범위와 수위변동범위를 이용하여 포질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포질 예비급수시간범위 (t1<t2<t3) 수위변동범위 (w1<w2<w3)
저 함습포 [t1, t2] [w1, w2]
중 함습포 [t2, t3] [w2, w3]
고 함습포 [t3, t4] [w3, w4]
이 밖에도, 메모리(47)는 세탁운전 알고리즘과, 세탁운전에 대한 각종 설정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세탁운전은 입력부(46)를 통해 설정된 바에 따라 세탁기의 작동이 시작되어 완료되기까지로 정의될 수 있으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또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탁운전에 대한 설정들로는, 예비급수시간, 펌프작동시간, 세탁 모터의 운전 패턴, 운전 속도, 배수시간, 탈수시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포량에 따라 설정된 것들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세탁기를 구성하는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장품들의 작동 전반에 관여하는 연산장치로써, 명령을 해독하고 산술논리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운전설정모듈(31), 포량결정모듈(32), 포질결정모듈(33), 설정조절모듈(34), 운전제어모듈(35)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설정모듈(31)은 입력부(46)를 통해 입력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6)를 통해 특정한 세탁코스가 선택되면, 운전설정모듈(31)은 상기 세탁코스에 대응하는 세탁운전이 실시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세탁운전의 실시에 필요한 각종 설정들을 구성할 수 있다.
포량결정모듈(32)은 내조(5) 내에 담긴 포의 양(이하, “포량”이라고 함.)을 결정할 수 있다. 내조(5) 또는 펄세이터(15)의 관성은 포량을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상태의 내조(5)를 회전시킬 시, 포량이 클수록 내조(5)의 정지 관성이 크기 때문에, 내조(5)가 기 설정된 목표 속도까지 도달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포량결정모듈(32)은 내조(5)가 상기 목표 속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회전하고 있는 내조(5)를 제동할 시, 내조(5)가 정지될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포량에 따라 달라지는 내조(5)의 회전 관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 밖에도, 포량은 세탁 모터(41)의 입력 또는 출력 전류의 변동치, 기전력 등을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포량을 구하는 방법은 이미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나, 포량결정모듈(32)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건포감지단계(S1)와 습포감지단계(S52)는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들로, 건포감지단계(S1)는 예비급수단계(S2)가 실시되기 전에 실시되고, 습포감지단계(S52)는 본급수단계(S51)가 실시된 후에 실시될 수 있다. 통상 건포감지단계(S1)에서는 포가 물에 젖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되고, 습포감지단계(S52)에서는 포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 실시된다. 이하, 건포감지단계(S1)에서 결정된 포량을 “건포량”이라고 하고, 습포감지단계(S52)에서 결정된 포량을 “습포량”이라고 한다.
건포감지단계(S1)는 내조(5)가 정지상태로부터 제 1 회전속도(a [rpm])까지 가속되어 상기 제 1 회전속도로 일정 시간 동안 회전되었다가 다시 정지되는 제 1 구동단계(S11)와, 이후 제 2 회전속도(b [rpm])까지 가속되었다가 정지시까지 제동되는 제 2 구동단계(S12)와, 이후, 다시 S11 단계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되는 제 3 구동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속도는 대략 30rpm 정도로, 이 속도에서는 포가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을 수 있는 정도의 원심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회전속도는 내조(5)의 회전에 의해 유발된 원심력에 의해 포가 내조(5)의 내측면에 달라 붙은 상태로 내조(5)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는 속도로, 대략 100rpm 이상에서 정해질 수 있다.
포량결정모듈(32)은 제 1 구동단계(S11)에서 일차적으로 건포량을 구하고, 제 2 구동단계(S12)가 실시되는 중에는 세탁 모터(41)의 파라미터(parameter)들(예를 들어, 역기전력(counter elelctomovie force), d축 입력 전류)을 구하고, 다시 제 3 구동단계(S13)에서 건포량을 구하되, 이때의 건포량을 제 1 구동단계(S11)에서 구한 건포량과, 제 2 구동단계(S12)에서 구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비급수단계(S2)에서는 외조(6)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예비급수수위에 이를 때까지 내조(5) 내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예비급수단계(S2)는 디스펜서(17)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전제어모듈(35)은 적어도 하나의 급수밸브(43)를 개방시켜 급수가 이루어지게 한 후, 수위센서(4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상기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밸브(43)를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급수밸브(43)가 개방되어 세제 수용부(172a) 내로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비급수단계(S2)에서는 온수와 함께 세제가 공급되며, 따라서, 내조(5) 내에서는 온수에 의해 활성화된 고농도의 세제가 포에 작용되어 세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예비급수수위는 순환 노즐(12)을 통한 물의 순환이 가능한 수위로써,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회전 속도로 펌프(45)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계속하여 외조(6)로부터 순환 노즐(12)로 물이 이송될 수 있는 수량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한편, 수위센서(42)는 외조(6)와 연통된 관 내에 작용하는 공기 압에 따라 전기적 신호로써 주파수(이하, “수위 주파수”라고 함.)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통된 관 내의 공기 압은 외조(6)의 수위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에, 수위 주파수는 외조(6) 내의 수위를 반영한다. 수위센서(42)는 외조(6) 내의 수위가 높아질수록 높은 값의 수위 주파수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위 주파수는 예비급수단계(S2)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감소한다. (도 5 참조.)
급수가 시작된 후, 외조(6) 내의 수위가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Δt, 이하, “예비급수시간”이라고 함.)이 측정될 수 있다. 급수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timer)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 제어부(30)는 CPU 클럭(clock)을 바탕으로 시간을 계측할 수 있는 바, 상기 타이머는 제어부(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함습량에 따른 포질은 예비급수시간을 바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포가 물을 많이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인 경우(고 함습포)의 경우는 급수가 이루어지는 중에 상당량의 물이 포에 흡수되기 때문에, 예비급수시간이 증가되고, 중 함습포, 저 함습포 순으로 예비급수시간이 감소한다. 즉, 예비급수시간과 포의 함습율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포질결정모듈(33)은 예비급수시간을 바탕으로 포질을 결정할 수 있다.
포질결정모듈(33)은 예비급수시간을 메모리(47)에 저장된 예비급수시간범위(표 1 참조.)와 비교하여 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포질은 예비급수시간이 속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에 대응하는 포질에 따라, 저 함습포, 중 함습포 또는 고 함습포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예비급수시간만을 고려하여 포질을 결정하는 경우, 특정한 포질의 경우는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내조(5) 내에 포막을 형성시키는 포의 경우, 예비급수시간은 고 함습포에 대응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t3, t4])에 속하나, 실제 그 재질은 중 함습포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침대 보와 같은 포는 내조(5) 내에 막을 형성하여, 급수된 물 중의 일부는 상기 막에 의해 형성된 함몰된 공간 내에 담기게 되어, 예비급수시간이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의 상한(t3) 보다 더 길게 걸리게 된다.
다른 예로는, 발수성의 기능성 의류(예를 들어, 등산복이나 등산용 침구)의 경우 저 함습포에 해당하나, 내조(5) 내에 포막을 형성함으로써, 예비급수시간이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t2, t3])에 속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실제 포질과 예비급수시간을 바탕으로 결정된 포질 간에 발생되는 차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이유에서 포질감지단계(S3)에서는 순환 노즐(12)을 이용하여 내조(5) 내로 물을 분사하는 중에, 수위 변동량을 감지하고, 포질결정모듈(33)은 이렇게 감지된 수위 변동량을 포질을 보정하는데 사용한다.
포질감지단계(S3)에서는 순환 노즐(12)을 통해 내조(5) 내로 물이 분사되며, 이렇게 물이 분사되는 동안 수위센서(42)에 의해 수위가 감지된다. 외조(6) 내의 수위는 펌프(45)가 작동됨에 따라 점점 하강(수위 주파수는 증가)하다가, 분사된 물이 다시 내조(5)로부터 외조(6)로 배출됨에 따라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일정한 범위 내로 수렴하게 된다. 포질결정모듈(33)은 전술한 예비급수시간(Δt)과 함께 수위 변동량(Δw)을 더 고려하여, 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수위 주파수 변동량(Δf)은 수위 변동량(Δw)에 대응하는 값이기 때문에, 포질결정모듈(33)은 수위 주파수 변동량(Δf)을 직접 이용하거나, 수위 주파수 변동량(Δf)에 따라 결정된 수위 변동량(Δw)을 이용하여 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수위 주파수 변동량(Δf)은 수위 변동량(Δw)을 구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해당하는 것이며, 수위 변동량(Δf)을 구하는 방법은 수위센서(42)의 출력 (즉, 수위에 따라 출력하는 값)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포질결정모듈(33)은, 감지된 예비급수시간(Δt)이, 예비급수시간(Δt)에 따라 선정한 포질(예를 들어, 고 함습포) 보다 한 레벨 아래의 함습율을 갖는 포질(예를 들어,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예를 들어, [t2, t3])의 상한(t3) 보다 기 설정된 기준치(ts1) 이상 크지 않은 경우에는, 수위 변동량(Δw)을 구하고, 수위 변동량(Δw)이 예비급수시간(Δt)에 따라 선정된 포질(예를 들어, 고 함습포)에 대응하는 수위변동범위([w3, w4])의 하한(w3) 보다 낮은 경우에는, 예비급수시간(Δt)에 따라 선정한 포질(예를 들어, 고 함습포) 보다 한 레벨 아래의 함습율을 갖는 포질(예를 들어, 중 함습포)로 결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예비급수시간(Δt)에 따라 선정한 포질이 그대로 최종 포질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은 포질감지단계(S3)에서 포질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포질을 저 함습포, 중 함습포, 고 함습포로 구분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감지된 예비급수시간(Δt)이 저 함습포에 대응하는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t1, t2])에 속하는 경우(S31),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저 함습포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런데, S31단계에서, Δt가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t1, t2])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Δt가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t2, t3])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S33). S33단계에서의 판단결과, Δt가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t2, t3])에 속하는 경우에는 Δt와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의 하한(t2)의 차를 기준치(ts1)와 비교하고(S34), 비교 결과 Δt와 t2의 차가 ts1 보다 작으면, 수위 변동량(Δw)을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제 2 수위변동범위([w2, w3])의 하한(w2)과 비교한다(S36). S36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Δw이 w2 보다 작으면,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저 함습포로 결정할 수 있다(S32). 반대로, S36단계에서 Δw이 w2보다 큰 경우는,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중 함습포로 판단할 수 있다(S35).
한편, S33단계에서, Δt가 제 2 수위변동범위([w2, w3])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Δt가 고 함습포에 대응하는 제 3 수위변동범위([w3, w4])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7). S37단계에서의 판단결과, Δt가 제 3 수위변동범위([w3, w4])에 속하는 경우, 포량결정모듈(33)은 Δt와 제 3 예비급수시간범위의 하한(t3)과의 차를 기준치(ts)와 비교할 수 있다(S38). S38단계에서의 비교결과, Δt-t3가 ts 보다 작은 경우, 수위 변동량(Δw)을 제 3 수위변동범위([w3, w4])의 하한(w3)과 비교한다(S39). S39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Δw이 w3 보다 작으면,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중 함습포로 결정할 수 있다(S35). 반대로, S39단계에서 Δw이 w3보다 큰 경우는,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고 함습포로 결정할 수 있다(S40).
한편, S38단계에서, Δt-t3이 ts 보다 큰 경우, 포질결정모듈(33)은 포질을 고 함습포로 결정할 수 있다.
순환 노즐(12)을 통해 분사된 물은, 디스펜서(17)를 통해 급수하는 경우에 비해, 더 넓은 영역에 닿을 수 있어 포를 고르게 적실 수 있으며, 분사 수압에 의해 포 표면에 뭍은 물을 떨쳐내기 때문에 포막에 갇히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이 과정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Δw)에는 포막으로 인한 영향이 좀 더 배제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예비급수시간(Δt)과, 예비급수시간(Δt)에 따라 선정한 포질(예를 들어, 고 함습포) 보다 한 레벨 아래의 함습율을 갖는 포질(예를 들어, 중 함습포)에 대응하는 예비급수시간범위(예를 들어, [t2, t3])의 상한(t3)의 차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포막으로 인해 포질 판단에 오차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수위 변동량(Δw)까지 함께 고려하여 포질을 결정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질감지단계(S3)에서, 운전제어모듈(35)은 순환 노즐(12)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동안 내조(5)가 제 1 속도(a [rpm])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환 노즐(12)로부터 분사된 물이 포에 더 고르게 닿을 수 있어, 물이 포의 특정 부분에 갇히게 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운전설정변경단계(S4)는 포질감지단계(S3)에서 감지한 포질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이다. 설정조절모듈(34)은, 포질결정모듈(33)에 의해 포질에 따라 세탁운전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운전설정모듈(31)에 의해 구성된 설정들(예를 들어, 본급수수위(MW), 세탁강도(WS), 탈수시간(ST), 배수시간(DT))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 함습포, 중 함습포, 고 함습포로 포질을 구분하는 경우, 포질결정모듈(33)에 의해 결정된 포질이 중 함습포(기준 함습률)인 경우는, 운전설정모듈(31)에 의해 설정된 본급수수위(MW), 세탁강도(WS), 탈수시간(ST), 배수시간(DT)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포질결정모듈(33)에 의해 결정된 포질이 저 함습포인 경우(즉, 기준 함습률 보다 낮은 경우)에는, 본급수수위(MW)는 낮추어지고, 세탁강도(WS)는 약해지고, 탈수시간(ST)과 배수시간(DT)은 각각 감소될 수 있다.
포질결정모듈(33)에 의해 결정된 포질이 고 함습포(즉, 기준 함습률 보다 높은 경우)인 경우에는, 본급수수위(MW)는 높아지고, 세탁강도(WS)는 강해지고, 탈수시간(ST)과 배수시간(DT)은 각각 증가될 수 있다.
세탁강도(WS)는 내조(5) 또는 펄세이터(15)의 회전시간, 회전속도, 구동 토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회전시간,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 토크의 증가는 세탁강도(WS)를 강화시키는 것이고, 상기 회전시간, 회전속도 및/또는 구동 토크의 감소는 세탁강도(WS)를 약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S5단계는 S4단계에서 조절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이다. 운전제어모듈(35)은 조절된 설정에 따라 세탁기의 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절된 본급수수위(MW), 세탁강도(WS), 탈수시간(ST), 배수시간(DT)에 따라, 급수밸브(43), 세탁 모터(41), 배수밸브(44), 펌프(45) 등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세탁운전은 본급수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본급수단계(S51)에서는 디스펜서(17) 및/또는 직수 노즐(13)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포질감지단계(S3)에서 결정된 포질이 고 함습포인 경우, 설정조절모듈(34)에 의해 본급수수위(MW)가 증가되며, 운전제어모듈(35)은 수위센서(4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증가된 본급수수위(MW+ΔMW)에 도달하면 급수밸브(43)를 차단시킬 수 있다.
반대로, 포질감지단계(S3)에서 결정된 포질이 저 함습포인 경우, 설정조절모듈(34)에 의해 본급수수위(MW)가 감소되며, 운전제어모듈(35)은 수위센서(4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감소된 본급수수위(MW-ΔMW)에 도달하면 급수밸브(43)를 차단시킬 수 있다.
습포감지단계(S52)는 본급수가 이루어진 후에 실시될 수 있다. 습포감지단계(S52)는 내조(5)가 정지된 상태에서 펄세이터(15)가 회전된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건포량 감지단계(S1)와 차이가 있을 뿐, 포량을 연산하는 과정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설정조절모듈(34)은 습포량감지단계(S52)에서 감지된 포량을 더 고려하여 세탁운전의 설정들을 조절할 수 있으며, 운전제어모듈(35)은 이렇게 조절된 설정에 따라 남은 세탁운전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따라 세탁기가 제어되는 중의 세탁 모터의 속도(rpm)와 수위 주파수(Hz)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내조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수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수위 변동량(ΔW)을 감지하는 동안에 순환 노즐(12)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조(5)의 회전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환수류가 형성된다는 점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그 밖의 단계들은 동일하다.
즉, 내조(5)를 기 설정된 속도(c [rpm])로 회전시켜, 물이 원심력에 의해 내조(5)와 외조(6) 사이를 따라 내조(5)의 상단보다 높이 상승한 후, 다시 내조(5)로 쏟아지는 순환수류를 형성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수위센서(42)의 감지값을 바탕으로 수위 변동량(Δw)을 구한다. 이렇게 구해진 수위 변동량(Δw)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포질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물이 담기는 외조와, 포를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순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내조 내의 포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의 양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내조 내로 급수를 하고,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예비급수시간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 변동량을 구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과 상기 (d)단계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을 바탕으로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조정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미리 정해진, 함습율에 따라 분류한 포의 재질에 대응하여 설정된 예비급수시간범위들과 수위변동범위들을 바탕으로 상기 내조 내에 투입된 실제 포의 재질을 판단하되, 상기 예비급수시간이 속하는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를 선정하고, 상기 예비급수시간이 상기 선정된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 보다 한 단계 아래의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의 상한 보다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크지 않는 경우, 상기 수위변동량을 상기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에 대응하는 수위변동범위의 하한과 비교하고, 상기 수위변동량이 상기 수위변동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실제 포의 재질이 상기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에 대응하는 포의 재질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포의 재질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은 본급수수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결정된 포의 재질에 따라 상기 본급수수위를 조절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포의 재질이 소정의 기준 함습률보다 높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본급수수위를 증가시키고, 상기 포의 재질이 상기 기준 함습률보다 낮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본급수수위를 감소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은 배수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결정된 포의 재질에 따라 상기 배수시간을 조절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포의 재질이 소정의 기준 함습률보다 높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포의 재질이 상기 기준 함습률보다 낮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배수시간을 감소시키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물이 담기는 외조와, 포를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순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내조 내의 포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의 양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내조 내로 급수를 하고,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예비급수시간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 변동량을 구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과 상기 (d)단계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을 바탕으로 포질을 결정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결정된 포질에 따라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조정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물이 담기는 외조와, 포를 수용하고 상기 외조 내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내조와, 상기 내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내조 내로 물을 분사하는 순환 노즐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내조 내의 포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감지된 포의 양에 따라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내조 내로 급수를 하고, 상기 외조 내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예비급수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예비급수시간을 구하는 단계;
    (d) 상기 펌프를 운전하여, 상기 외조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상기 내조 내로 분사시키고, 상기 순환 노즐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중에 상기 외조 내의 수위 변동량을 구하는 단계;
    (e) 함습율에 따라 분류한 포의 재질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예비급수시간범위들 중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이 속하는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를 선정하는 단계;
    (f)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이 상기 선정된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 보다 한 단계 아래의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의 상한 보다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큰 경우에는, 상기 제 1 예비급수시간범위와 대응하는 포의 재질을 상기 드럼 내에 투입된 실제 포의 재질로 결정하고, 상기 (c)단계에서 구한 예비급수시간이 상기 제 2 예비급수시간범위의 상한 보다 상기 기준치 미만으로 큰 경우에는, 상기 (d)단계에서 구한 수위 변동량을 더 바탕으로 상기 실제 포의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실제 포의 재질에 따라 상기 세탁운전의 설정을 조정하는 단계; 및
    (h) 상기 조정된 설정에 따라 세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50139275A 2015-10-02 2015-10-02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08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75A KR101708687B1 (ko) 2015-10-02 2015-10-02 세탁기의 제어방법
AU2016234990A AU2016234990B2 (en) 2015-10-02 2016-09-29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BR102016022920-0A BR102016022920B1 (pt) 2015-10-02 2016-09-30 Método para controlar uma máquina de lavar e máquina de lavar
RU2016138672A RU2642412C1 (ru) 2015-10-02 2016-09-30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US15/283,601 US10738404B2 (en) 2015-10-02 2016-10-03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6195781A JP6437502B2 (ja) 2015-10-02 2016-10-03 洗濯機及び洗濯機の制御方法
CN201610881632.2A CN107059321B (zh) 2015-10-02 2016-10-09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275A KR101708687B1 (ko) 2015-10-02 2015-10-02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687B1 true KR101708687B1 (ko) 2017-02-21

Family

ID=5831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275A KR101708687B1 (ko) 2015-10-02 2015-10-02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5814A (zh) * 2017-08-11 2019-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能耗调节方法、能耗调节装置及洗衣机
CN112813648A (zh) * 2019-11-18 2021-05-1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564863A (zh) * 2020-04-28 2021-10-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洗涤程序控制方法、服务器及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683A (ja) * 1994-12-27 1996-07-09 Sanyo Electric Co Ltd 全自動洗濯機
JP2013188287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洗濯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683A (ja) * 1994-12-27 1996-07-09 Sanyo Electric Co Ltd 全自動洗濯機
JP2013188287A (ja) * 2012-03-13 2013-09-26 Panasonic Corp 洗濯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5814A (zh) * 2017-08-11 2019-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能耗调节方法、能耗调节装置及洗衣机
CN112813648A (zh) * 2019-11-18 2021-05-18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2813648B (zh) * 2019-11-18 2023-11-03 海信冰箱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564863A (zh) * 2020-04-28 2021-10-2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洗涤程序控制方法、服务器及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40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RU2355835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жимом стирки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ы
US8381343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disentangl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JP4985806B2 (ja) 洗濯機
JP6437502B2 (ja) 洗濯機及び洗濯機の制御方法
US10266980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0038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2157417A (ja) 洗濯機
JP201220562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708687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708666B1 (ko) 세탁기 헹굼행정의 제어방법
KR20100102311A (ko)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
KR10170866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021832B2 (en)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3328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17004921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9995A (ko) 세탁기
AU20173385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5395580B2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1101320A (zh) 洗衣机
JP7556831B2 (ja) 洗濯機
JP2013052055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40084952A (ko) 히팅 세탁 제어 방법
JP2013052054A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80037833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