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080A - 세탁 방법 및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 방법 및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080A
KR20110053080A KR1020090109895A KR20090109895A KR20110053080A KR 20110053080 A KR20110053080 A KR 20110053080A KR 1020090109895 A KR1020090109895 A KR 1020090109895A KR 20090109895 A KR20090109895 A KR 20090109895A KR 20110053080 A KR20110053080 A KR 2011005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water
tub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김재현
장재원
이종민
김영호
김창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9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080A/ko
Priority to US12/917,776 priority patent/US8997290B2/en
Priority to CN201080051503.1A priority patent/CN102639775B/zh
Priority to JP2012537808A priority patent/JP5756116B2/ja
Priority to EP10827179.2A priority patent/EP2496754B1/en
Priority to AU2010313875A priority patent/AU2010313875B2/en
Priority to EP10827176.8A priority patent/EP2496753B1/en
Priority to EP10827175.0A priority patent/EP2496752B1/en
Priority to PCT/KR2010/007658 priority patent/WO2011053091A2/en
Priority to US12/917,758 priority patent/US20110099727A1/en
Priority to AU2010313878A priority patent/AU2010313878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65 priority patent/WO2011053095A2/en
Priority to US12/917,737 priority patent/US8919154B2/en
Priority to EP16158602.9A priority patent/EP3054046B1/en
Priority to CN2010800515101A priority patent/CN102639776A/zh
Priority to AU2010313954A priority patent/AU2010313954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61 priority patent/WO2011053092A2/en
Priority to JP2012537807A priority patent/JP2013509281A/ja
Priority to CN201080051420.2A priority patent/CN102597355B/zh
Priority to JP2012537809A priority patent/JP2013509283A/ja
Publication of KR2011005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80A/ko
Priority to US14/310,197 priority patent/US912112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6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washing or rins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8Liquid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손상을 방지하며 세탁 성능을 확보한 세탁 방법 및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세탁 행정에 있어서, 터브 내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초기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의 포를 적시는 포적심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여과세탁 단계를 포함한다.
여과세탁, 필트레이션(filtration), 투과세탁

Description

세탁 방법 및 세탁기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 방법 및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손상을 방지하며 세탁 성능을 확보한 세탁 방법 및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포가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되고, 모터에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 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포를 퍼 올린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드럼 회전시 포가 드럼의 내부에 장착된 리프터에 의해 퍼 올려지고, 드럼 내에 붙어 회전하여 상승한 후 낙하함(텀블링; tumbling)에 따라 세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텀블링 모션 외에 세탁 성능 향상을 위해서 다양한 세탁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 성능이 확보되며 포손상이 방지되는 세탁 방법 및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포에 세탁수를 투과시켜 포손상을 방지하는 세탁 방법 및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은, 세탁 행정에 있어서, 터브 내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초기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의 포를 적시는 포적심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여과세탁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세탁 세제가 수용되며 세탁수가 상기 세탁 세제와 혼합되는 세제박스;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세제박스에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 을 회전시켜 상기 포를 반복적으로 낙하시킨 후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때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 방법 및 세탁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포에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투과시켜 포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포에 적셔진 세탁수 외에 순환이 가능한 최소한의 세탁수만 있으면 되므로 세탁수가 절약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드럼 내로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적당한 속도로 드럼을 회전하며 적당한 양의 세탁수를 분사하여 거품생성이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 방법 및 세탁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캐비닛 내로 포가 출입하도록 캐비닛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112)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2)와, 터브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드럼(124)과, 드럼에 토크를 인가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113)와,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와, 사용자 입력을 받아 들이며 세탁기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14)을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120)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에는 포 출입홀(1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비닛(111)에는 컨트롤 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115) 및 댐퍼(117)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의 내부에는 드럼(124)이 배치된다.
드럼(124)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의 회전시 포가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5)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120)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순환노즐(127)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13)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클러치 등으로 구성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 세제, 섬유 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 브(131)와, 급수 밸브에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33)로 흐르는 급수 유로(132)와,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137)와,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순환노즐(127)과,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 유로(13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순환 펌프와 배수 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 유로(137)와 배수 유로(138)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4b)와, 세탁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포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포손상 방지 코스 및 조용조용 코스 등이 있다. 세탁기의 동작은 크게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또는 건조 등이 행하여 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41)는 입력부(114b)가 입력 받은 작동 명령에 따라 세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1)는 컨트롤 패널(114)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및 기타 전자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부(141)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에 따라 각 행정의 진행 여부나 각 행정 내에서의 급수, 여과세탁, 헹굼, 배수, 탈수 및 건조 등의 동작 여부 및 시간, 반복 횟수 등을 결정하고, 이를 수행한다.
제어부(141)는 선택된 코스나 기타 작동 명령에 따라 급수 밸브(131), 구동부(113) 및 펌프(136)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체 행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세탁행정(210)은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포에 적신후 드럼(124)을 회전시켜 포로부터 오염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세탁행정(210)은 급수(211), 포분산(212), 여과세탁(213), 배수(214) 및 간이탈수(215)의 순서로 진행된다.
세탁행정(210)이 개시되면 제어부(141)는 표시부(114a)의 진행 표시에 세탁 아이콘을 표시하여 세탁행정이 개시됨을 나타낸다.
급수(211)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터브(122) 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급수(211)는 포량감지(211a), 초기급수(211b), 포적심(211c) 및 추가급수(211d)를 포함한다.
포량감지(211a)는 드럼(124) 내에 수용된 포의 양(이하, '포량'이라 칭함)을 감지하는 것이다. 포량감지(211a)에서 포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113)가 드럼(124)을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 후 제어부(141)가 감속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드럼(124)의 감속시간 이 길수록 포량의 레벨이 높다. 제어부(141)는 감지된 포량에 따라 초기급수(211b) 및 추가급수(211d)시 터브(122)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결정하고 기타 각 행정별 작동 시간을 결정한다.
초기급수(211b)는 터브(122) 내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초기급수(211b)시 제어부(141)가 급수 밸브(131)를 개방하면 외부 수원에서 세탁수가 급수 유로(132)를 거쳐 세제박스(133)로 흐르게 된다. 세제박스(133)에서 세탁수는 세탁 세제와 혼합되어 급수관(134)을 거쳐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133)에서 세탁수는 표백제와 혼합될 수도 있다.
초기급수(211b)는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찰 때까지 진행된다. 목표 수위는 초기급수(211b) 전 측정된 포량이나 선택된 코스에 따라 제어부(141)에 의하여 결정되며, 일반 세탁보다 매우 낮은 수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수의 수위는 수위 감지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122) 내에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유입되면 제어부(141)는 급수 밸브(131)를 차단하여 초기급수(211b)를 마친다.
포적심(211c)은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포에 골고루 적셔지고 세탁 세제가 용해되도록 제어부(141)가 구동부(113)를 구동하여 드럼(124)을 회전하는 것이다. 포적심(211c)시 제어부(141)가 펌프(136)를 작동시켜 세탁수가 순환 유로(137)를 따라 순환하여 순환노즐(127)을 통해 드럼(124) 내로 유입할 수 있다.
추가급수(211d)는 세탁수가 포에 적셔져 수위가 목표 수위보다 낮아지므로 목표 수위까지 터브(122) 내로 세탁수를 추가로 공급하는 것이다. 추가급수(211d) 시 제어부(141)가 급수 밸브(131)를 개방하면 외부 수원에서 세탁수가 급수 유로(132)를 거쳐 세제박스(133)로 흐르게 되고 급수관(134)을 거쳐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133)에서 세탁수는 표백제와 혼합될 수도 있다. 터브(122) 내에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유입되면 제어부(141)는 급수 밸브(131)를 차단하여 추가급수(211d)를 마친다. 목표수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서 여과세탁(213)시 세탁수 순환이 가능한 정도의 수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여과세탁(213)시 세탁수의 양은 포에 적셔진 세탁수와 순환되는 세탁수를 합친 양을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분산(212)은 드럼(124)이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포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여과세탁(213)시 포의 엉킴 등에 의해 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이 무거워지는 편심이 유발될 수 있다. 포의 편심은 여과세탁(213)시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여과세탁(213) 전 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포분산(212)이 필요한다.
포분산(212)은 터브(122)에 세탁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여과세탁(213) 전에 드럼(124)이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포를 분산시킨다. 포분산(212)은 드럼(124)을 포가 드럼(124) 내벽에 붙기 시작하는 속도인 70~80rpm으로 가속한 후 감속한다. 포분산(212)시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감속할 때 드럼의 감속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측정하고, 드럼(124)을 가속한 후 드럼의 회전 속도 변화량을 바탕으로 편심량을 측정한다.
포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1)가 드럼(124)을 감속할 때 감속 시간을 측정하여 산출한다. 드럼(124)의 감속시간이 길수록 포량의 레벨이 높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가속할 때 가속 시간을 측정하여 포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편심량은 제어부(141)가 드럼(124)을 가속한 후 드럼의 속도에 대한 변화량으로 산출한다. 드럼(124)의 속도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구동부(113)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산출된다.
제어부(141)는 드럼(124)의 속도 변화량과 기준 속도 변화량의 차이로 편심량이 허용치 내인지 판단한다. 기준 속도 변화량은 포량에 따라 달라진다. 제어부(141)는 포량에 따른 기준 속도 변화량에 대한 편심량 테이블을 저장한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가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1)는 포의 편심이 과도한 경우 드럼(124)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 및 감속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이 허용치 이상인 경우 드럼(124)을 계속하여 가속 및 감속시킨다. 편심량이 허용치 이상이어서 드럼(124)의 가속 및 감속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141)는 이를 중단할 수 있다. 즉, 허용된 횟수 이상으로 드럼(124)의 가속 및 감속이 계속하여 반복하는 경우 제어부(141)는 표시부(114a)에 이상이 있음을 알린 후 드럼(124)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이 허용치 내이면 포분산(212)을 멈추고 여과세탁(213)을 수행한다. 상술한 포분산(212)은 생략될 수 있다.
여과세탁(213)은 드럼(124)이 회전하여 포가 드럼에 붙은 상태에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드럼 내에 공급하면 세탁수가 포를 투과하며 오염이 제거되는 것이다. 여과세탁(213)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포가 드럼(124)에 붙도록 드럼을 회전시키며, 제어부(141)가 펌프(136)를 작동시켜 세탁수를 순환 유로(137)를 따라 순환시킨다. 여과세탁(214)시 구동부(113)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41)는 구동부(113)의 구동을 수초 내지 수분 간격으로 쉬게 할 수 있다.
여과세탁(213)은 포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지 않아 포손상이 적으므로 사용자가 입력부(114b)를 통하여 포손상 방지키나 포손상 방지 코스를 선택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여과세탁(213)시 드럼(124)은 포가 드럼 내에 붙도록 1G 이상으로 회전한다. 여과세탁(213)시 거품이 너무 많이 생기지 않도록 적당히 빠른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세탁(213)시 드럼(124)은 150 rpm 정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세탁(213)시 펌프(136)가 작용하여 터브(122) 내의 세탁 세제가 혼합된세탁수를 순환 유로(137)를 따라 순환시켜 순환노즐(127)를 통하여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거품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순환되는 세탁수의 양은 순환이 가능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세탁(2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배수(214)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1)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배수(214)시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38)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간이탈수(215)는 포에 적셔진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간이탈수(215)시 제어부(141)가 구동부(113)를 구동하여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포가 드럼(124)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포가 탈수된다. 간이탈수(215)는 포가 건조될 정도로 탈수할 필요는 없으므로 드럼(124)은 포가 드럼(124) 내벽에 붙어 회전할 정도의 속도인 108 rpm 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이탈수(215)시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38)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헹굼행정(220)은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포에 적신후 드럼(124)을 회전시켜 포의 잔류 세탁 세제를 제거하는 행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헹굼행정(220)은 급수(221), 헹굼(222), 배수(223), 간이탈수(224), 급수(225), 헹굼(226)의 순서로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헹굼(222, 226)이 두 번 반복되며 실시예에 따라 반복되지 않거나 수회 반복될 수 있다.
헹굼행정(220)이 개시되면 제어부(141)는 표시부(114a)의 진행 표시에 헹굼 아이콘을 표시하여 헹굼행정이 개시됨을 나타낸다.
급수(221)는 상술한 세탁행정(210)의 급수(211)와 마찬가지로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터브(122) 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급수(221)시 제어부(141)가 급수 밸브(131)를 개방하면 외부 수원에서 세탁수가 급수 유로(132) 및 급수관(134)을 거쳐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급수(221)시 섬유 유연제는 세탁수와 혼합되지 않고 후술할 헹굼행정(220)의 마지막 급수(224)시 섬유 유연제는 세탁수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수가 포에 골고루 적셔지도록 제어부(141)가 구동부(113)를 구동하여 드럼(124)이 회전하는 포적심이 수행될 수 있다.
헹굼(222)은 세탁수가 적셔진 포가 수용된 드럼(12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헹굼(222)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에 굴신력과 마찰력, 충격력 등 기계력을 가하여 포의 잔류 세탁 세제 및 오염이 제거한다. 헹굼(222)시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작동시켜 세탁수가 순환 유로(137)를 따라 순환하여 순환노즐(127)을 통해 드럼(124) 내로 유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223)는 상술한 세탁행정(210)의 배수(214)와 마찬가지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1)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간이탈수(224)는 상술한 세탁행정(210)의 간이탈수(215)와 마찬가지로 포에 적셔진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급수(225)는 헹굼(226)을 다시 반복하기 위하여 상술한 급수(221)와 마찬가지로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터브(122) 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급수(225)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에서 섬유 유연제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225)시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포에 골고루 적셔지도록 제어부(141)가 구동부(113)를 구동하여 드럼(124)이 회전하는 포적심이 수행될 수 있다.
헹굼(226)은 상술한 헹굼(222)과 마찬가지로 세탁수가 적셔진 포가 수용된 드럼(12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다만, 헹굼(226)시 섬유 유연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포에 작용하여 포를 부드럽게 한다.
탈수행정(230)은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포를 탈수하는 행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 방법에서 탈수행정(230)은 배수(231), 포분산(232) 및 본탈수(233)를 포함한다.
탈수행정(230)이 개시되면 제어부(141)는 표시부(114a)의 진행 표시에 탈수 아이콘을 표시하여 탈수행정이 개시됨을 나타낸다.
배수(231)는 상술한 세탁행정(210)의 배수(214) 또는 헹굼행정(220)의 배수(223)와 마찬가지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1)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포분산(232)은 드럼(124)이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포를 분산시키는 것이다. 세탁(212)이나 헹굼(222)시 포의 엉킴 등에 의해 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드럼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쪽이 무거워지는 편심이 유발된다. 포의 편심은 본탈수(233)시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포를 골고루 분산시키다.
포분산(232)시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감속할 때 드럼의 감속시간을 바탕으로 포량을 측정하고, 드럼(124)을 가속한 후 드럼의 회전 속도 변화량을 바탕으로 편심량을 측정한다. 포분산(23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포분산(212)과 유사한 바 이하 생략한다.
포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1)가 드럼(124)을 감속할 때 감속 시간을 측정하여 산출한다. 드럼(124)의 감속시간이 길수록 포량의 레벨이 높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가속할 때 가속 시간을 측정하여 포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편심량은 제어부(141)가 드럼(124)을 가속한 후 드럼의 속도에 대한 변화량으로 산출한다. 드럼(124)의 속도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구동부(113)의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산출된다.
제어부(141)는 드럼(124)의 속도 변화량과 기준 속도 변화량의 차이로 편심량이 허용치 내인지 판단한다. 기준 속도 변화량은 포량에 따라 달라진다. 제어부(141)는 포량에 따른 기준 속도 변화량에 대한 편심량 테이블을 저장한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가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41)는 포의 편심이 과도한 경우 드럼(124)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에 따라 드럼(124)을 가속 및 감속시키는 것을 반복한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이 허용치 이상인 경우 드럼(124)을 계속하여 가속 및 감속시킨다. 편심량이 허용치 이상이어서 드럼(124)의 가속 및 감속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경우, 제어부(141)는 이를 중단할 수 있다. 즉, 허용된 횟수 이상으로 드럼(124)의 가속 및 감속이 계속하여 반복하는 경우 제어부(141)는 표시부(114a)에 이상이 있음을 알린 후 드럼(124)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1)는 편심량이 허용치 내이면 포분산(232)을 멈추고 본탈수(233)를 수행한다.
본탈수(233)는 포에 적셔진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본탈수(233)시 제어부(141)가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포가 드럼(124)의 내벽에 붙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하여 포가 탈수된다. 본탈수(233)시 드럼(124)은 세탁행정(210)의 간이탈수(215) 또는 헹굼행정(220)의 간이탈수(224)보다 빠른 속도인 1000 rpm 이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탈수(233)시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간헐적으로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배수 유로(138)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탈수(233) 후에 드럼(124)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포를 건조시키는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여과세탁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과세탁(213)시 포가 드럼(124)에 붙도록 드럼이 회전할때, 세탁수가 순환 유로(137)를 따라 순환되어 순환노즐(127)를 통하여 분사된다.
드럼(124)은 150 rpm 정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순환노즐(127)은 세탁수를 드럼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수가 드럼 내로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순환노즐(127)은 드럼(124)의 내측면(124a) 및 후면(124b) 에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드럼(124)의 원주면에 해당하는 드럼(124)의 내측면(124a)과, 드럼(124)의 밑면에 해당하는 후면(124b)에 순환노즐(127)에서 분사되는 세탁수가 다다르게 된다. 포가 드럼(124)에 붙어 회전할 때, 순환노즐(127)에서 분사되는 세탁수가 골고루 분사됨으로써 포를 투과하며 포의 오염을 제거한다.
순환노즐(127)은 드럼(124)의 내측면(124a) 및 후면(124b)에 와류로 형성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수가 와류로 변환되어 그 와류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드럼(124)의 내측면(124a) 및 후면(124b)에 골고루 분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노즐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순환노즐(127)은, 일측이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27d)이 형성된 돔(127a)과, 수용공간(127d)에 구비되고 비틀린 판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27d)과 복수의 비틀린 유로를 형성하여 유로를 통과하는 세탁수를 와류로 변환시키는 코어(127b) 및, 코어(127b)와 수용공간(127d)이 형성한 유로를 통과한 세탁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캡(127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노즐(127)은 일측에 반구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구형의 형상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수용공간(127d)이 형성된다. 순환노즐(127)로 유동되는 세탁수는 수용공간(127d)에 수용된다. 순환노즐(127)의 일측은 반구형 또는 타원을 이루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노즐(127)의 일측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포 출입홀(120)에 포가 출입할 때, 포가 순환노즐(127)에 걸리거나 순환노즐(127)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수용공간(127d)에는 비틀린 판으로 형성되는 코어(127b)가 구비된다. 코어(127b)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판이 비틀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127b)는 수용공간(127d)에 구비되어, 수용공간(127d)과 코어(127b) 사이의 유로를 형성하며, 이 유로는 코어(127b)가 비틀린 판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비틀린 형상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코어(127b)는 실시예에 따라 수용공간(127d)과 비틀린 유로를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고, 스크류, 프로펠러, 비틀린 관, 비틀린 프로펠러, 비틀린 스크류, 나사산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세탁수는 코어(127b)와 수용공간(127d)이 유로를 통과할 때, 유로의 형상에 의하여 와류로 변환된다. 와류로 변환된 세탁수는 그 회전력에 의하여 드럼(124)의 내에 골고루 분사되어 포가 세탁수를 더 많이 투과하도록 한다.
세탁수가 코어(127b)와 수용공간(127d)에 형성된 유로를 통과할 때, 코어(127b)는 수용공간(127d)의 내부에서 세탁수에 의해 회전된다. 코어(127b)가 회전됨에 따라, 세탁수는 같이 회전되어 와류를 더 잘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분사노즐캡(127c)은 코어(127b)와 수용공간(127d)이 형성한 유로를 통과한 세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분사노즐캡(127c)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와류로 변환된 세탁수가 드럼(124) 내로 분사되도록 한다. 분사노즐캡(127c)은 돔(127a)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분사노즐캡(127c)이 돔(127a)과 체결될 때, 분사노즐캡(127c)과 돔(127a)과 체결되는 부분에 세탁수가 누수되어 흐르지 않게 하도록, 고무 등의 방수재질로 형성된 패킹(미도시)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노즐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순환노즐(127')은 세탁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127a')와 본체를 통과한 세탁수가 부딪쳐 굴절되며 분사되도록 하는 굴절면(127b')을 포함한다.
본체(127a')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세탁수를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면(127b')은 본체(127a') 하측 개구부로부터 연장되어 호형태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수가 본체(127a')의 유로를 통과하여 굴절면(127b')에 부딪치면 넓게 퍼져 드럼(124) 내로 골고루 분사되어 포가 세탁수를 더 많이 투과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체 행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여과세탁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탁수가 드럼 내로 분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노즐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순환노즐에 대한 사시도이다.

Claims (14)

  1. 세탁 행정에 있어서,
    터브 내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유입되는 초기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의 포를 적시는 포적심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여과세탁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세탁 단계 전 상기 터브에 상기 세탁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이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상기 포를 분산시키는 포분산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적심 단계 후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추가급수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급수 단계는 상기 세탁수가 세탁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에서 상 기 세탁 세제와 혼합되는 세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급수 단계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급수 단계 전 상기 드럼을 회전시킨 후 정지시켜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감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세탁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공급된 세탁수의 양은 상기 포에 적셔진 세탁수와 상기 순환되는 세탁수를 합친 양을 넘지 않는 세탁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세탁 단계에서 상기 드럼은 150 rpm으로 회전하는 세탁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세탁 단계에서 상기 순환되는 세탁수는 상기 드럼 내로 분사되는 세탁 방법.
  10.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어 포가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드럼;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
    세탁 세제가 수용되며 세탁수가 상기 세탁 세제와 혼합되는 세제박스;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세제박스에서 세탁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포를 반복적으로 낙하시킨 후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때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전 상기 드럼을 가속과 감속을 반복하여 상기 포를 분산시키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을 150 rpm으르 회전하는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서 순환되는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순환노즐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포손상 방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포손상 방지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포손상 방지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세탁기.
KR1020090109895A 2009-11-02 2009-11-13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95A KR20110053080A (ko) 2009-11-13 2009-11-13 세탁 방법 및 세탁기
US12/917,758 US20110099727A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US12/917,737 US8919154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JP2012537808A JP5756116B2 (ja) 2009-11-02 2010-11-02 洗濯方法及び洗濯機
EP10827179.2A EP2496754B1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AU2010313875A AU2010313875B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a mechanism for changing wash water into whirling water
EP10827176.8A EP2496753B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including a mechanism for changing wash water into whirling water
EP10827175.0A EP2496752B1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PCT/KR2010/007658 WO2011053091A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US12/917,776 US8997290B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U2010313878A AU2010313878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PCT/KR2010/007665 WO2011053095A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CN201080051503.1A CN102639775B (zh) 2009-11-02 2010-11-02 包括将旋转水喷射到滚筒中的旋转喷嘴的洗衣机
EP16158602.9A EP3054046B1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CN2010800515101A CN102639776A (zh) 2009-11-02 2010-11-02 包括将旋转水喷射到滚筒中的喷射嘴的洗衣机和洗涤方法
AU2010313954A AU2010313954B2 (en) 2009-11-02 2010-11-02 Washing machine including a whirling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PCT/KR2010/007661 WO2011053092A2 (en) 2009-11-02 2010-11-02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JP2012537807A JP2013509281A (ja) 2009-11-02 2010-11-02 洗濯機
CN201080051420.2A CN102597355B (zh) 2009-11-02 2010-11-02 在洗衣机中洗涤衣物的方法和洗衣机
JP2012537809A JP2013509283A (ja) 2009-11-02 2010-11-02 洗濯方法及び洗濯機
US14/310,197 US9121125B2 (en) 2009-11-02 2014-06-20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95A KR20110053080A (ko) 2009-11-13 2009-11-13 세탁 방법 및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80A true KR20110053080A (ko) 2011-05-19

Family

ID=4436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895A KR20110053080A (ko) 2009-11-02 2009-11-13 세탁 방법 및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30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184A (ko) * 2013-07-18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6972A3 (ko) * 2016-10-05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184A (ko) * 2013-07-18 2015-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6972A3 (ko) * 2016-10-05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10050095A (zh) * 2016-10-05 2019-07-23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控制方法
AU2017338585B2 (en) * 2016-10-05 2020-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10050095B (zh) * 2016-10-05 2021-09-21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控制方法
US11359318B2 (en) 2016-10-05 2022-06-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496754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including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hirling water into the drum
EP3064630B1 (en) Washing method with eco-rinsing process and intermediating process
KR101708658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
EP2987902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1004834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3176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650103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8352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601190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5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060711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73133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168535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8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9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6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410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5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