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184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184A
KR20150010184A KR1020130084820A KR20130084820A KR20150010184A KR 20150010184 A KR20150010184 A KR 20150010184A KR 1020130084820 A KR1020130084820 A KR 1020130084820A KR 20130084820 A KR20130084820 A KR 20130084820A KR 20150010184 A KR20150010184 A KR 20150010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ter
washing
tub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465B1 (ko
Inventor
서보성
임명훈
오수영
김창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65B1/ko
Priority to EP14826780.0A priority patent/EP3022350B1/en
Priority to PCT/KR2014/006500 priority patent/WO2015009078A1/en
Priority to US14/333,874 priority patent/US20150020318A1/en
Priority to CN201480050924.0A priority patent/CN105556017A/zh
Publication of KR2015001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4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시간이 단축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 은, 터브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된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원심세탁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 시간이 단축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로 구분된다.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수류와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은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가 장착되고, 터브의 내측에 포가 수용되는 드럼이 배치되며, 터브의 배면측에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장착되고, 구동부에 터브를 관통하여 드럼의 배면측에 연결되는 드라이브 샤프트가 축설된다. 드럼의 내부에는 리프터가 장착되어 드럼 회전시 포를 퍼 올린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세탁 시간을 줄이고 물과 전기 사용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세탁 성능를 향상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물과 전기 사용을 줄이면서도 세탁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 은, 터브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된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원심세탁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며 포가 수용되어 회전하기 위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구동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유닛;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에 분사하는 스팀유닛;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켜 상기 터브 내로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구동부, 상기 급수유닛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유닛을 동작하여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팀유닛을 동작하여 상기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구동부를 동작하여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며 상기 펌프를 동작하여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원심세탁 단계를 수행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급수시 터브에 공급되는 세탁수를 최소화하여 물 사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터브에 세탁수가 공급된 후 스팀을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여 비교적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면서 세탁 성능을 향상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하며 순환되는 세탁수를 분사하여 세탁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넷째,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하기전 밸런서의 밸런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세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드럼을 고속으로 회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드럼 내로 분사하여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일부 상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부 상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서 드럼의 실제 회전속도의 변화와 이에 대하여 저역 필터가 적용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에 대한 내부 구조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1)과,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122)와, 터브 내에 배치되며 포가 수용되어 회전하기 위한 드럼(124)과, 드럼을 회전하는 구동부(113)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유닛(131)과,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유닛(145)과, 세탁 세제가 수용되며 세탁수가 세탁 세제와 혼합되는 세제박스(133)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켜 상기 터브 내로 순환시키는 펌프(136)를 포함한다.
캐비닛(111)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가 구비된다. 캐비닛(111)은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포 출입홀(120)이 형성된다. 캐비닛(111)의 전면에는 포 출입홀(1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11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세탁기(10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14)이 구비된다. 캐비닛(111)에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33)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122)는 캐비닛(111) 내부에 스프링(미도시) 및 댐퍼(미도시)에 의하여 완충 가능하게 배치된다. 터브(122)는 세탁수를 수용한다. 터브(122)의 내부에는 드럼(124)이 배치된다.
터브(122)에는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기(12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위감지기(121)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전극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고, 전극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으로 수위를 측정한다. 터브(122) 내부에는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3)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124)은 포가 수용되어 회전한다. 드럼(124)은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124b)이 형성된다. 드럼(124) 내벽에는 드럼(124)의 회전 시 포를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리는 리프터(124a)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124)은 구동부(113)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드럼(124)은 완전히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드럼(124)의 후방부가 수평보다 밑으로 내려오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와 캐비닛(111) 사이에 구비되어, 터브(122)와 캐비닛(111)을 밀봉한다. 개스킷(128)은 터브(122)의 입구와 포 출입홀(120) 사이에 배치된다. 개스킷(128)은 드럼(124)의 회전시 도어(1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스킷(128)은 한가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터브(122)와의 체결 강도 및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터브(122)와 체결되는 부분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된다. 캐비닛(111)과 체결되는 부분은 터브(122)로부터 캐비닛(11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128)에는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유입하는 분사노즐(151) 및 순환노즐(139)과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152)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회전시킨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다양한 속도 또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113)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클러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13)는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 헹굼세제 또는 표백제 등의 세제가 수용된다. 세제박스(133)는 캐비닛(111)의 전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박스(133) 내의 세제는 세탁수 공급시 세탁수와 혼합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세제박스(133)는 세탁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헹굼세제가 수용되는 부분, 표백제가 수용되는 부분이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유닛(131)과, 급수유닛(131)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1)의 동작에 따라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제박스(133)로 안내하는 제1급수호스(131a), 제2급수호스(131b) 및 제3급수호스(131c)와, 급수유닛(131)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1)의 동작에 따라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분사노즐(151)로 안내하는 제4급수호스(131d)와, 급수유닛(131)과 연결되어 급수유닛(131)의 동작에 따라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스팀유닛(145)으로 안내하는 제5급수호스(131e)가 구비된다. 또한, 캐비닛(111)의 내부에는 세제박스(133)에서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터브(122) 내로 유입하는 급수관(13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유닛(131)은 외부 수원과 연결된 공급호스(130)와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한다. 급수유닛(131)은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분배하여 제1급수호스(131a) 내지 제5급수호스(131e) 중 적어도 하나에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급수유닛(131)은 하나의 입구으로부터 다수의 출구로 세탁수를 분배할 수 있는 배리오(vario)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급수유닛(131)이 제1급수호스(131a)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제1급수호스(131a)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세탁세제가 수용된 부분을 통과하며 세탁세제와 혼합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급수유닛(131)이 제2급수호스(131b)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제2급수호스(131b)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에서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세제박스(133)를 통과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급수유닛(131)이 제3급수호스(131c)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제1급수호스(131a)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표백제가 수용된 부분을 통과하며 표백제와 혼합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급수유닛(131)이 제4급수호스(131d)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세탁수는 분사노즐(151)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급수유닛(131)이 제5급수호스(131e)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제5급수호스(131e)에 공급된 세탁수는 스팀유닛(145)에서 가열된다. 스팀유닛(145)은 세탁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스팀유닛(145)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호스(130)를 통하여 스팀노즐(152)로 공급되어 스팀노즐(152)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외부 수원과 급수유닛(131)을 연결하는 공급호스(130)에는 유량계(142)가 구비된다. 유량계(142)는 공급호스(130)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캐비닛(111) 내부에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유출되는 배수관(135)과,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키는 펌프(136)와, 세탁수가 순환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하도록 순환노즐(139)과 연결된 순환호스(137)와,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배수호스(138)가 구비된다.
펌프(136)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킨다. 펌프(136)는 배수관(135)을 통해 터브(122)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배수호스(138)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거나, 순환호스(137)를 통해 터브(122) 내로 순환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순환펌프와 배수펌프로 구비되어 각각 순환호스(137)와 배수호스(138)로 연결될 수 있다.
순환호스(137)는 펌프(136)와 순환노즐(139)을 연결한다. 펌프(136)가 터브(122)에서 유출시킨 세탁수는 순환호스(137)를 통하여 순환노즐(139)에서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컨트롤패널(114)에는 사용자를 통해 세탁 코스 선택이나, 각 행정별 작동 시간 및 예약 등의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114b)와, 세탁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
세탁 코스는 포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표준 코스 외에 란제리/울 코스, 삶음 코스, 스피드 워시 코스, 기능성 의류 코스, 포손상 방지 코스, 조용조용 코스, 및 에너지 절약 코스 등이 있다. 세탁기(100)의 동작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으로 나뉘며 각각의 행정 내에서 급수 단계, 세탁 단계, 헹굼 단계, 배수 단계, 탈수 단계 또는 건조 단계 등이 행하여 진다.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분사노즐(151)은 스팀노즐(127)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분사노즐(151)은 제4급수호스(159)와 연결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를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분사노즐(151)은 개스킷(128)의 하부 또는 개스킷(128)과 캐비닛(111) 사이, 캐비닛(111), 터브(122)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151)은 드럼(124)의 측면 및 후면에 세탁수를 회전하여 배출하는 와류 생성 노즐(whirling nozz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 생성 노즐은 세탁수가 병진운동과 원운동을 하도록 하는 노즐이다. 와류 생성 노즐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비틀린 유로가 형성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세탁수를 와류로 변환시켜 드럼(124)의 내부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한다. 스팀노즐(152)은 스팀호스(146)와 연결되어 스팀유닛(145)에서 생성된 스팀을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의 상부에 분사노즐(151)과 인접하여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라 스팀노즐(152)은 개스킷(128)의 하부 또는 개스킷(128)과 캐비닛(111) 사이, 캐비닛(111), 터브(122)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노즐(139)은 개스킷(128)에 구비되어 드럼(124) 내로 세탁수를 분사한다. 순환노즐(139)은 순환호스(137)와 연결되어 펌프(136)가 순환시킨 세탁수를 드럼(124) 내로 분사한다. 순환노즐(139)은 개스킷(128)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노즐(139)은 드럼(124)의 회전축 보다 하측에 구비되어 상방향으로 세탁수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노즐(139)은 복수로 구비되어 2개의 순환노즐이 개스킷(128)의 하부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순환노즐(139a)은 개스킷(128)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124)의 내부를 향해 세탁수를 우측 상방향으로 분사하고, 제2순환노즐(139b)은 개스킷(128)의 우측 하부에 구비되어 드럼(124)의 내부를 향해 세탁수를 좌측 상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노즐(139)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순환호스(137)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순환호스(137a)는 제1순환노즐(139a)에 연결되고, 제2순환호스(137b)는 제2순환노즐(139b)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24)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122)에 구비된 배수관(135)을 따라 펌프(136)로 이동한다. 펌프(136)는 세탁수가 순환호스(137)를 통해 순환노즐(139)에 이르도록 한다. 세탁수는 순환노즐(139)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되어 터브(122) 내로 유입된다.
밸런서(126)는 드럼(124)의 둘레에 구비되어 포가 편심된 경우 포가 수용된 드럼(124)의 무게중심을 맞춘다. 포가 편심되어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124)의 회전 축 자체의 기하학적 중심과 실제 무게 중심이 불일치를 하는 언밸런스(unbalance)에 의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밸런서(126)는 드럼(124)의 실제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에 근접하도록 하여 드럼(124)의 언밸런스를 감소시킨다.
밸런서(126)는 드럼(124)의 전방측 및/또는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밸런서(126)는 드럼(124)의 전방측에 구비된다. 드럼(124)의 회전시 드럼(124)에 수용된 포는 일반적으로 드럼(124)의 안쪽, 즉 후방측에 모이게 되므로, 드럼(124)의 후방측에 모이는 포와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밸런서(126)는 드럼(124)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런서(126)는 무게 중심이 가변적으로 이동하도록 내부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경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밸런서(126)는 내부 물질이 포의 무게 중심과 반대측으로 이동하도록 분포하여 드럼(124)의 무게중심이 회전 중심에 근접하도록 한다.
밸런서(126)는 내부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 밸런서 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볼을 포함하는 볼 밸런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런서(126)의 내부에 볼과 함께 충진유체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41)는 입력부(114b)가 입력 받은 작동 명령에 따라 세탁기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1)는 컨트롤 패널(114)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및 저장장치, 기타 전자 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1)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 코스에 따라 각 행정의 진행 여부나 각 행정 내에서의 급수, 세탁, 헹굼, 배수, 탈수 및 건조 등의 동작 여부 및 시간, 반복 횟수 등을 결정하고, 이를 수행한다.
제어부(141)는 유량계(142)가 측정한 세탁수의 유량을 입력받아 이를 처리한다. 제어부(141)는 구동부(113)가 측정한 드럼(124)의 회전속도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한다. 제어부(141)는 입력부(114b)로부터 작동명령을 입력받고, 표시부(114a)에 세탁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제어부(141)는 선택된 코스나 기타 작동 명령에 따라 급수유닛(131), 구동부(113), 펌프(136) 및 스팀유닛(145)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컨트롤패널(114)의 입력부(114b)를 통해 원심세탁 코스를 선택 하거나, 사용자의 입력 또는 판단에 따라 제어부(141)에 원심세탁 수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일반적인 세탁 코스가 후술할 세탁 방법이 될 수 있다.
포량감지(211) 단계는 드럼(124) 내에 수용된 포의 양(이하, '포량'이라 칭함)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포량감지(211) 단계에서 포량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41)가 구동부(113)을 동작하여 드럼(124)을 일정 시간 동안 일정 속도로 회전시킨 후 제어부(141)가 감속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측정한다. 드럼(124)의 감속시간이 길수록 포량의 레벨이 높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가속할 때 가속 시간 또는 가속력을 측정하여 포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41)는 감지된 포량에 따라 급수(212) 단계에서 터브(122) 내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과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외부 수원으로부터 터브(122) 내로 분사되는 세탁수의 양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41)는 감지된 포량에 따라 원심세탁(216) 단계 등의 수행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드럼(124)을 정지하여 포량감지 단계를 종료한 후 급수(212) 단계를 수행한다.
급수(212) 단계는 터브(122)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급수(212) 단계에서 터브(122) 내로 세탁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와 세탁세제가 혼합된 세탁수를 동시 또는 이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의 공급과 세탁세제가 혼합된 세탁수의 공급을 교차대로 각각 수행된다.
급수(212)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제1급수호스(131a) 및/또는 제2급수호스(131b)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제2급수호스(131b)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2급수호스(131b)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에서 세제와 혼합되지 않고 세제박스(133)를 통과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이 때, 제어부(141)는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세제가 혼합되지 않은 세탁수가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터브(12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제1급수호스(131a)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1급수호스(131a)를 통하여 세제박스(133)에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박스(133)의 세탁세제가 수용된 부분을 통과하며 세탁세제와 혼합된 후 급수관(134)을 통하여 터브(122) 내로 공급된다. 이 때, 제어부(141)는 제어부(141)는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터브(12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제4급수호스(131d)를 통하여 세탁수가 분사노즐(151)로 유동되도록 하여 세탁수가 분사노즐(151)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급수(212) 단계에서 터브(122)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인 목표수위는, 급수(212) 전 측정된 포량이나 선택된 코스에 따라 제어부(141)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심세탁 코스가 선택된 경우 급수(212) 단계에서 목표수위는 표준세탁 코스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212) 단계에서 목표수위는 드럼(124)보다 살짝 낮은 정도로서,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세탁수가 순환될 수 있는 최소의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212) 단계에서 터브(122) 내로 유입된 세탁수의 양은 유량계(142)를 통하여 판단한다. 급수(212) 단계에서 목표수위가 매우 낮아 터브(122) 내의 세탁수의 양을 수위감지기(121)에 의하여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바, 제어부(141)는 유량계(142)에서 측정된 세탁수의 유량으로부터 터브(122) 내로 유입된 세탁수의 양을 산출한다.
터브(122) 내에 목표 수위까지 세탁수가 유입되면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차단하여 급수(212) 단계를 마치고, 포적심(213) 단계를 수행한다.
포적심(213) 단계는 세탁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포에 골고루 적셔지고 세탁세제가 용해되도록 제어부(141)가 구동부(113)를 구동하여 드럼(124)을 회전하는 단계이다.
포적심(213)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회전시키며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킨다.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호스(137)로 압송하면 세탁수는 순환호스(137)를 따라 순환하여 순환노즐(139)을 통해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포적심(213)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드럼(124) 내의 포가 드럼(124)의 바닥에서 구르는 정도로 드럼(124)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적심(213) 단계를 통하여 세탁수가 포에 적셔지면 터브(122)에 수용된 세탁수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제어부(141)는 설정된 시간 동안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드럼(124)을 회전하며 펌프(136)를 제어하여 세탁수를 순환시켜 포적심(213) 단계를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구동부(113)의 작동을 멈추어 드럼(124)을 정지하고 펌프(136)의 작동을 중단하여 포적심(213) 단계를 종료한다. 제어부(141)는 포적심(213) 단계를 마친 후 스팀(214) 단계를 수행한다.
스팀(214) 단계는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단계이다. 스팀(214)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제5급수호스(131e)를 통하여 스팀유닛(145)에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어부(141)는 스팀유닛(145)을 작동하여 공급된 세탁수를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스팀유닛(145)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노즐(152)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가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스팀유닛(145)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것은 스팀(214) 단계 전인 급수(212) 단계 또는 포적심(213)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스팀(214) 단계에서 드럼(124) 내로 분사된 고온의 스팀은 드럼(124)에 수용된 포와 터브(122)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를 높인다. 급수(212) 단계에서 터브(122) 내로 공급된 세탁수의 양이 적어 히터(143)를 통하여 세탁수를 가열하기 어려운 바 스팀을 분사하여 터브(122)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탁성능을 향상시킨다.
실시예에 따라 스팀(214)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드럼(124)을 회전할 수 있다.
제어부(141)는 설정된 시간 동안 스팀유닛(145)을 제어하여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스팀유닛(145)의 작동을 멈추어 드럼(124)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을 중지한다.
밸런싱(215) 단계는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하며 밸런서(126)와 드럼(124) 내의 포를 밸런싱하는 단계이다. 밸런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124)의 회전시 드럼(124)의 회전중심이 포가 수용된 드럼(124)의 무게 중심에 근접하도록 하여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밸런싱(215)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동작하여 드럼(124)을 가속한 후 일정속도를 유지한다.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며 구동부(113)에서 측정된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통하여 밸런싱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1)가 밸런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8을 통하여 후술한다.
밸런싱(215)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포적심(213) 단계에서의 드럼(124)의 최대 속도보다 드럼(124)를 더 빠르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런싱(215) 단계에서 드럼(124)이 회전되는 일정한 속도는 포가 드럼(124)에 붙도록 회전하는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도 공진 영역의 속도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공진 영역은 드럼(124)의 회전으로 인한 진동이 세탁기(100)의 고유 진동수와 일치하여 공진이 발생하는 드럼(124)의 회전속도 영역인 바 이러한 공진 영역을 회피하여 드럼(124)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 본 실시예에서 밸런싱(215) 단계에서 드럼(124)은 130 rpm 으로 회전한다.
밸런싱(215)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밸런싱이 이루어진 시점에 드럼(124)을 가속하여 원심세탁(216) 단계를 수행한다.
원심세탁(216) 단계는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하며 드럼(124) 내로 순환하는 세탁수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가속한 후 일정속도를 유지하며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킨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밸런싱(215) 단계에서의 드럼(124)의 최대 속도보다 드럼(124)을 더 빠르게 회전시킨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드럼(124)은 포가 드럼(124)에 붙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드럼(124)은 380 rpm 으로 회전한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드럼(124)을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며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순환호스(137)로 압송한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세탁수는 순환호스(137)를 따라 순환하여 순환노즐(139)을 통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드럼(124) 내로 분사된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펌프(136)는 일정시간 동안 계속하여 작동하여 세탁수를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 펌프(136)는 간헐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제어하여 제4급수호스(131d)를 통하여 세탁수가 분사노즐(151)로 유동되도록 하여 세탁수가 분사노즐(151)을 통하여 드럼(124) 내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원심세탁(216)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을 간헐적으로 작동하여 세탁수가 분사노즐(151)을 통하여 간헐적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41)는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부(113)를 제어하여 드럼(124)을 회전하며 펌프(136)를 제어하여 세탁수를 순환시켜 원심세탁(216) 단계를 수행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구동부(113)의 작동을 멈추어 드럼(124)을 정지하고 펌프(136)의 작동을 중단하여 원심세탁(216) 단계를 종료한다. 실시예에 따라 원심세탁(216) 단계의 종료시 제어부(141)는 급수유닛(131)의 작동을 중단하여 세탁수 분사를 중단한다. 제어부(141)는 원심세탁(216) 단계를 마친 후 배수(217) 단계를 수행한다.
배수(217) 단계는 터브(122) 내의 세탁수를 캐비닛(111)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배수(217) 단계에서 제어부(141)는 펌프(136)를 작동시켜 터브(122) 내의 세탁수가 배수호스(138)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수(217)시 드럼(124)은 정지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1)는 구동부(113)를 작동하여 드럼(124)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원심세탁(216) 단계의 종료시 구동부(113)의 작동을 멈추지 않고 드럼(124)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배수(217)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배수(217) 단계 후 포에 적셔진 세탁수가 빠져 나가도록 드럼(124)을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 단계가 수행되거나 일반적인 급수 단계가 다시 수행된 후 일반적인 세탁 단계 또는 헹굼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한 일부 상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동부(113)는, 드럼(124)을 회전하는 모터(113a)와,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값를 감지하는 속도 검출부(113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부(141)는, 속도 검출부(113b)가 감지한 회전속도값의 저역 부분을 통과시키는 저역 필터(141a)와, 저역 필터(141a)가 적용된 값이 가속시점값인 경우 드럼(124)을 가속하도록 모터(113a)를 제어하는 밸런싱부(141b)를 포함한다.
모터(113a)는 전원을 입력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회전자(미도시)와 고정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속도 검출부(113b)는 홀 센서 또는 기타 센싱 장치에 의하여 회전자(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모터(113a)가 드럼(124)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도 드럼(124)의 언밸런스에 의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변동폭을 가지게 된다. 속도 검출부(113b)는 드럼(124)과 연결된 회전자(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회전속도값을 출력한다.
저역 필터(141a)는 속도 검출부(113b)가 감지한 회전속도값의 저역 부분을 통과시킨다. 회전속도값의 변동폭이 클수록 저역 필터(141a)가 적용된 값(이하, "저역 필터 적용값")은 작아지고, 변동폭이 작을수록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은 커지게 된다. 저역 필터(141a)의 통과대의 경계값은 드럼(124)에 수용된 포의 양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계값은, 포량이 많을수록 커지고, 포량이 적을수록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런싱부(141b)는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이 가속시점값인 경우 드럼(124)을 가속하도록 모터(113a)를 제어한다. 가속시점값은 밸런서(126)와 드럼(124) 내의 포가 적절히 밸런싱될 때의 시점으로서,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이다. 가속시점값에서 드럼(124) 가속되어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드럼(124)의 진동과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밸런싱부(141b)는 저역 필터(141a)가 적용된 값이 최소값을 지나 최대값이 되기 전의 가속시점값이 경우 드럼(124)을 가속한다. 적절한 가속시점값은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값 중 최소값 후 최대값 전의 시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밸런싱부(141b)는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이 가속시점값일 때 드럼(124)을 가속하여 제어부(141)는 원심세탁(216) 단계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일부 상세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서 드럼의 실제 회전속도의 변화와 이에 대하여 저역 필터가 적용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터(113a)가 드럼(124)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S310). 밸런싱을 위하여 모터(113a)는 드럼(124)을 일정한 속도 회전하며, 일정한 속도는 포가 드럼(124)에 붙도록 회전하는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도 공진 영역의 속도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113a)를 드럼(124)을 130 rpm으로 회전한다.
속도 검출부(113b)는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감지한다(S320). 속도 검출부(113b)는 홀 센서 또는 기타 센싱 장치에 의하여 회전자(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감지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모터(113a)가 드럼(124)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도 드럼(124)의 언밸런스에 의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는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변동폭을 가지게 된다. 속도 검출부(113b)는 드럼(124)과 연결된 회전자(미도시)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드럼(124)의 실제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회전속도값을 출력한다.
저역 필터(141a)가 감지된 회전속도값에 적용된다(S330). 도 9의 (a)와 같이 저역 필터(141a)의 통과대의 경계값은 드럼(124)에 수용된 포의 양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계값은 포량이 많을수록 커지고, 포량이 적을수록 경계값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속도값에 저역 필터(141a)가 적용되면 도 9의 (b)와 같이 회전속도값의 변동폭이 클 수록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은 작고, 회전속도값의 변동폭이 작을 수록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은 크다.
밸런싱부(141b)는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이 최소값(m)을 지나 최대값 전의 가속시점값(B)인지 판단한다(S340). 가속시점값(B)은 최소값과 최대값의 사이값 중 최소값 후 최대값 전의 시점이며, 이러한 가속시점값(B)에서 드럼(124) 가속되어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드럼(124)의 진동과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이 최소값(m)을 지나 최대값 전의 가속시점값(B)인 경우 밸런싱부(141b)는 모터(113a)를 제어하여 드럼(124)을 가속한다(S350). 밸런싱부(141b)는 저역 필터(141a) 적용값이 가속시점값일 때 드럼(124)을 가속하여 제어부(141)는 원심세탁(216)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1: 캐비닛 113: 구동부
114: 컨트롤패널 122: 터브
124: 드럼 126: 밸런서
128: 개스킷 131: 급수유닛
133: 세제박스 136: 펌프
139: 순환노즐 142: 유량계
145: 스팀유닛 151: 분사노즐
152: 스팀노즐

Claims (16)

  1. 터브 내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 단계;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된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단계; 및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원심세탁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은 표준 세탁시의 세탁수의 양보다 작은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은 상기 원심세탁 단계에서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최소의 양인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위는 상기 드럼보다 낮은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단계 후 상기 드럼을 가속하여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밸런서와 상기 포를 밸런싱하는 밸런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이 있어서,
    상기 원심세탁 단계는 상기 밸런싱 단계에서 드럼을 가속하여 상기 밸런싱 단계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단계 후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의 포를 적시는 포적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세탁 단계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분사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세탁 단계에서 세탁수는 간헐적으로 분사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배치되며 포가 수용되어 회전하기 위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 구동부;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급수유닛;
    스팀을 생성하여 상기 터브에 분사하는 스팀유닛;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유출시켜 상기 터브 내로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구동부, 상기 급수유닛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유닛을 동작하여 상기 터브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스팀유닛을 동작하여 상기 드럼 내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구동부를 동작하여 상기 포가 상기 드럼에 붙도록 상기 드럼을 회전하며 상기 펌프를 동작하여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원심세탁 단계를 수행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이 표준 세탁시의 세탁수의 양보다 작도록 상기 급수유닛을 제어하는 세탁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이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최소의 양이 되도록 상기 급수유닛을 제어하는 세탁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수위가 상기 드럼보다 낮도록 상기 급수유닛을 제어하는 세탁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포를 밸런싱하는 밸런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 단계 후 상기 구동부를 동작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며 상기 밸런서와 상기 포를 밸런싱하는 밸런싱 단계를 수행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런서와 상기 포를 밸런싱한 후 상기 구동부를 동작하여 상기 드럼을 가속하여 상기 밸런싱 단계보다 높은 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하여 상기 원심세탁 단계를 수행하는 세탁기.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단계 후 상기 구동부를 동작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하며 상기 펌프를 동작하여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의 포를 적시는 포적심 단계를 수행하는 세탁기.
KR1020130084820A 2013-07-18 2013-07-18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20A KR102206465B1 (ko) 2013-07-18 2013-07-18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14826780.0A EP3022350B1 (en) 2013-07-18 2014-07-17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CT/KR2014/006500 WO2015009078A1 (en) 2013-07-18 2014-07-17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14/333,874 US20150020318A1 (en) 2013-07-18 2014-07-17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201480050924.0A CN105556017A (zh) 2013-07-18 2014-07-17 洗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820A KR102206465B1 (ko) 2013-07-18 2013-07-18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184A true KR20150010184A (ko) 2015-01-28
KR102206465B1 KR102206465B1 (ko) 2021-01-21

Family

ID=5234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820A KR102206465B1 (ko) 2013-07-18 2013-07-18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20318A1 (ko)
EP (1) EP3022350B1 (ko)
KR (1) KR102206465B1 (ko)
CN (1) CN105556017A (ko)
WO (1) WO2015009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6275B4 (de) * 2014-05-06 2020-07-16 Miele & Cie. Kg Wasserzulaufsteuerung für das Feuchtwaschverfahren
USD773134S1 (en) * 2014-06-16 2016-11-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Top panel for a laundry appliance
USD785880S1 (en) * 2015-02-24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773760S1 (en) * 2015-02-24 2016-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JP1557859S (ko) * 2015-03-04 2016-09-05
DE102015108951A1 (de) * 2015-06-08 2016-12-08 Miele & Cie. Kg Wasserzulaufsteuerung für einen Waschautomaten
USD774718S1 (en) * 2015-06-19 2016-12-2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ub
JP7344502B2 (ja) * 2019-04-23 2023-09-14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ドラム式洗濯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722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3080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9504040A (es) * 1995-09-21 1997-03-29 Gilberto Manuel Guerrero Parra Sistema de lavado por bombeo recirculante con exprimido centrifugo autobalanceado de ropa.
KR20010088208A (ko) * 2000-03-11 2001-09-26 구자홍 밸런서가 구비된 드럼세탁기
KR100504501B1 (ko) * 2003-04-14 2005-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556419B1 (ko) * 2004-04-0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증기세탁방법
CN1683633A (zh) * 2004-04-12 2005-10-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的脱水控制方法
KR100546626B1 (ko) 2005-03-29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증기세탁방법
US7765628B2 (en) *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KR101287534B1 (ko) * 2007-05-21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00068A1 (en) * 2007-11-12 2011-05-05 Tulga Simsek Washer-extractor machine
CN102510915B (zh) * 2009-08-27 2014-12-17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的控制方法
JP5100730B2 (ja) * 2009-09-24 2012-12-1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1904375B1 (ko) * 2011-12-09 2018-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2604739B1 (en) * 2011-12-13 2015-04-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with recirculation pum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722A (ko) * 2003-12-23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3080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방법 및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2350A1 (en) 2016-05-25
EP3022350B1 (en) 2020-02-12
KR102206465B1 (ko) 2021-01-21
CN105556017A (zh) 2016-05-04
WO2015009078A1 (en) 2015-01-22
EP3022350A4 (en) 2017-02-22
US20150020318A1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465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9618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658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방법
US9121125B2 (en) Method for washing and washing machine
US9080274B2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20150121581A (ko) 세탁방법
KR2018007233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10154580A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20110048352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7004921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3081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10208882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308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7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60111686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1332B1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48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2976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53094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7410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KR20110048350A (ko) 세탁 방법 및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