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1866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1866A
KR20180031866A KR1020160119503A KR20160119503A KR20180031866A KR 20180031866 A KR20180031866 A KR 20180031866A KR 1020160119503 A KR1020160119503 A KR 1020160119503A KR 20160119503 A KR20160119503 A KR 20160119503A KR 20180031866 A KR20180031866 A KR 2018003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pixel
data line
fan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681B1 (ko
Inventor
권선자
곽원규
장환수
조승연
박현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81B1/ko
Priority to US15/609,480 priority patent/US11031436B2/en
Priority to EP22186580.1A priority patent/EP4125083A3/en
Priority to EP17187919.0A priority patent/EP3296984B1/en
Priority to CN201710790664.6A priority patent/CN107845656B/zh
Priority to CN202311792413.3A priority patent/CN117750828A/zh
Publication of KR2018003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866A/ko
Priority to US17/339,770 priority patent/US20210296405A1/en
Priority to KR1020230147148A priority patent/KR2023015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91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voltage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01L27/3211
    • H01L27/3279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1 화소열과, 상기 제1 화소열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2 화소열을 포함하는 화소부, 및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에 각각 연결된 데이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 중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큰 컬러의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은 나머지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보다 저항이 작은 배선 또는 저항이 작은 컨택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휘도 및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적색 화소들, 녹색 화소들 및 청색 화소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화소들을 구성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컬러영상을 표시한다. 적색 화소들, 녹색 화소들 및 청색 화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배열된다. 그러나, 화소들이 스트라이트형으로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화소들 사이에 위치된 블랙 매트릭스에 의하여 개구율이 저하되고, 고해상도의 표현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도록 고해상도를 갖는 펜타일 매트릭스 구조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펜타일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1 화소열과, 상기 제1 화소열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2 화소열을 포함하는 화소부, 및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에 각각 연결된 데이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 중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큰 컬러의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은 나머지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보다 저항이 작은 배선 또는 저항이 작은 컨택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제1 화소열의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상기 제2 화소열의 저항에 대한 영향성보다 클 수 있으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저항이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저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길이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는 상기 데이터 배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컨택홀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보다 더 적은 수의 컨택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열 방향으로 제1 컬러를 표시하는 제1 화소들 및 제2 컬러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화소들과 교번적으로 배열된 제2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화소열은 제3 컬러를 표시하는 제3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3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들은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 및 상기 제2 화소열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적색, 상기 제2 컬러는 청색, 및 상기 제3 컬러는 녹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팬아웃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벤딩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 및 상기 제1 링크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막은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및 제2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링크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3 및 제4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4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벤딩부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절연막은 상기 기판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벤딩부 절연막은 상기 개구부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된 브릿지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상기 제3 및 제4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4 절연막은 상기 브릿지 패턴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5 컨택홀을 가지며,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4 컨택홀을 통해 상기 브릿지 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제5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화소열들과 상기 제2 화소열들은 행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데이터 배선들과 상기 제2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행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상기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3 화소들 각각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액티브층,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된 커패시터 상부 전극, 및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데이터 배선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커패시터 상부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연결 패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연결 패턴들과 동일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상기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3 화소들 중 적어도 두 화소들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서 데이터 신호의 저항 편차를 화소들과 매칭시킴으로써, 영상의 녹색화(greenish) 결함이 감소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에 배치된 화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가 발광 소자인 경우를 도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표시 영역 화소 일부 및 비표시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8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8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8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d는 도 8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1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SUB), 기판(SUB) 상에 제공된 화소들(PXL), 및 화소들(PXL)에 연결된 배선부(LP)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기판(SUB)은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 그 중에서도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들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기판(SU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서로 인접한 그 양단이 서로 인접한 두 직선 변들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기판(SU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기판(SUB)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들(PXL)은 기판(SUB)의 표시 영역(DA) 상에 제공된다. 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백색광 및/또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화소들(PX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개념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액정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DA)은 그 일부로부터 돌출된 부가 영역(A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영역(ADA)은 비표시 영역(NDA)을 이루는 변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에는 기판(SUB)의 단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변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부가 영역(ADA)은 장변들 중 하나의 변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네 변들 중 두 변 이상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에는 데이터 구동부가 제공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접힐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접힌 벤딩 영역(BA; bent area)과 벤딩 영역(B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접히지 않고 편평한 플랫 영역(FA; flat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영역(FA)은 가요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 예로서 벤딩 영역(BA)이 부가 영역(ADA)에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플랫 영역(FA1)과 제2 플랫 영역(FA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플랫 영역(FA1)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접히는 선을 접이선이라고 할 때, 접이선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된다. 여기서, “접힌다”는 용어는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로부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특정 배선, 즉 접이선을 따라 접히거나(folded) 휘거나(curved) 두루마리 식으로 말리는(rolled)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플랫 영역(FA1, FA2)들의 일 면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 영역(BA)을 사이에 두고 두 플랫 영역(FA1, FA2)의 면들이 소정 각도(예를 들어 예각, 직각 또는 둔각)를 이루며 접힐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은 이후 접이선을 따라 벤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가 영역(ADA)이 벤딩됨으로써 베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에 배치된 화소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PXL)부를 포함하며, 화소(PXL)부는 복수의 화소들(PX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소들(PX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행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열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화소들(PXL)의 배열 형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들(PXL)은 방향이 행 방향이 되도록 배열되거나 일 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이 행 방향이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제1 컬러를 표시하는 제1 화소들(PX1)과, 제2 컬러를 표시하는 제2 화소들(PX2), 및 제3 컬러를 포함하는 제3 화소들(PX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컬러는 적색, 제2 컬러는 청색, 및 제3 컬러는 녹색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컬러 내지 제3 컬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컬러일 수 있다.
제1 화소들(PX1)과 제2 화소들(PX2)은 열 방향으로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며 제1 화소열(C1)을 이룬다. 즉, 제1 화소열(C1)은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의 순서로 배치된다. 제3 화소들(PXL)은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화소열(C2)을 이룬다. 즉, 제2 화소열(C2)은 제3 화소(PX3), 제3 화소(PX3), …의 순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화소열(C1)의 화소 배열 순서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열(C1) 중 하나는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화소열(C1) 중 나머지 하나는 제2 화소(PX2),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제1 화소(PX1), …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을 따라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 순으로 배치되거나,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 순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행방향을 따라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화소열(C1)과 제2 화소열(C2)은 복수개로 제공되며, 행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어느 한 행, 예를 들어, 임의의 행을 기준으로 보면, 제n 번째 행에서는 제1 화소들(PX1)과 제3 화소들(PX3)이 교번하여 배치된다. 즉, 제n 번째 행에서는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제1 화소(PX1), 제3 화소(PX3), 제1 화소(PX1),…의 순서로 배치된다. n-1번째 행이나, n+1번째 행에서는 제2 화소들(PX2)과 제3 화소들(PX3)이 교번하여 배치된다. 즉, n-1번째 행이나, n+1번째 행에서는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2 화소(PX2), 제3 화소(PX3), 제2 화소(PX2), …의 순서로 배치된다.
각 화소열은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된다. 제1 화소열(C1)의 화소들(PXL)은 제1 데이터 배선(DL1)에 연결된다. 즉, 제1 화소열(C1)의 제1 화소들(PX1)과 제2 화소들(PX2)은 제1 데이터 배선(DL1)에 연결된다. 제2 화소열(C2)의 화소들(PXL)은 제2 데이터 배선(DL2)에 연결된다. 즉, 제2 화소열(C2)의 제3 화소들(PX3)은 제2 데이터 배선(DL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데이터 배선들(DL1)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도 제1 화소열(C1)들과 제2 화소열(C2)들과 같이 행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제1 화소들(PX1) 내지 제3 화소들(PX3)의 배열 구조는 펜타일 매트릭스 화소(PXL) 구조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은 펜타일 매트릭스 화소(PXL) 구조는 인접한 화소(PXL)를 공유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렌더링(Rendering) 구동을 적용함으로써, 작은 수의 화소들(PXL)로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제1 화소(PX1), 각 제2 화소(PX2), 및 각 제3 화소(PX3)는 각각 동일한 면적을 가지도록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 중 적어도 두 화소(PXL)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화소(PX1), 제2 화소(PX2), 및 제3 화소(PX3) 모두가 서로 다른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어느 두 화소들(PXL)의 면적이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의 면적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컬러로서 청색을 나타내는 제2 화소(PX2)의 면적이 제1 컬러로서 적색을 나타내는 제1 화소(PX1) 및/또는 제2 컬러로서 녹색을 나타내는 제3 화소(PX3)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의 면적이 동일하고, 제3 화소(PX3)의 면적이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L)가 발광 소자인 경우를 도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화소(PXL)는 배선부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EL),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발광 소자(EL)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는 한 화소(PXL)가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R1, TR2)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화소(PXL)는 7개의 박막 트랜지스터, 발광 소자,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GL)에 연결되며, 소스 전극은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된다. 드레인 전극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는 게이트 배선(GL)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데이터 배선(DL)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전달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은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제1 전원 배선(ELVDD)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발광 소자(EL)에 연결된다.
발광 소자(EL)는 발광층과,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다. 제2 전극은 제2 전원 배선(ELVSS)이 연결되어 공통 전압이 인가된다. 발광층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광함으로써 광을 출사하거나 출하하지 않음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발광층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컬러광 또는 백색광일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연결되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유지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비표시 영역(NDA)은 화소들(PXL)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과 벤딩 영역(BA) 사이에 위치한 팬-아웃 영역(FT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 팬-아웃 영역(FTA), 및 벤딩 영역(BA)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팬-아웃 영역(FTA)은 표시 영역(DA)의 배선부가 벤딩 영역(BA)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배선들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부채(fan) 형상으로 제공된다. 배선부는 다양한 종류의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선부(LP)은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제1 전원 배선, 제2 전원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선부의 배선들이 데이터 배선들인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배선들(DL)은 표시 영역(DA)에서 대체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제2 방향(DR2)으로 진행할수록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배선들(DL)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거리가 점점 좁아질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화소들(PXL)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들(DL)과 데이터 배선(DL)에 연결되며 화소들(PXL)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화소들(PXL)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에 걸쳐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특히 비표시 영역(NDA) 중 팬-아웃 영역(FTA)을 거쳐 제2 플랫 영역(FA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다. 구동부는 배선부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데이터 배선들(DL)을 통해 각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각 화소(PXL)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부는 게이트 배선(GL)을 따라 각 화소(PXL)에 스캔 신호를 제공하는 스캔 구동부(미도시), 데이터 배선들(DL)을 따라 각 화소(PXL)에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미도시), 스캔 구동부와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캔 구동부는 기판(SUB)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스캔 구동부가 기판(SUB) 상에 직접 실장되는 경우, 화소들(PXL)을 형성하는 공정 시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스캔 구동부의 제공 위치나 제공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칩에 형성되어 기판(SUB) 상에 칩 온 글라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기판(SUB)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부는 기판(SUB) 상에 직접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칩에 형성되어 기판(SUB) 상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부가 별도의 칩에 형성되어 기판(SUB) 상에 연결되는 경우 칩 온 글라스나 칩 온 플라스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기판(SUB)에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구동부는 칩-온-필름(Chip On Film; COF)의 형태로 제조되어 기판(SUB)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표시 영역(DA) 화소 일부 및 비표시 영역(NDA)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 요소가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일부가 벤딩된 형상을 가지나,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벤딩되지 않은 상태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참고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관한 단면도들이나 평면도들 등에서도 도시의 편의상 표시 장치가 벤딩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표시 영역(DA)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된다. 각 화소(PXL)는 배선부(LP) 중 대응하는 배선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와, 구동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화소(PXL)에 대해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커패시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화소(PXL)에 둘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 또는 하나의 화소(PXL)에 셋 이상의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PXL)은 기판(SUB) 상에 제공된다.
기판(SUB)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버퍼층(BF)이 형성된다. 버퍼층(BF)은 스위칭 및 구동 트랜지스터들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버퍼층(BF)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이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기판(SUB)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 상에는 액티브 패턴(ACT)이 제공된다. 액티브 패턴(ACT)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된다. 액티브 패턴(ACT)은 각각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제공된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패턴(ACT)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채널 영역는 불순물로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불순물로는 n형 불순물, p형 불순물, 기타 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액티브 패턴(ACT) 상에는 제1 절연막(INS1)이 제공된다. 제1 절연막(INS1)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도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유기 재료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제1 절연막(INS1) 상에는 게이트 전극(GE)과 커패시터 하부 전극(LE)이 제공된다. 게이트 전극(GE)은 액티브 패턴(ACT)의 채널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G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G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들을 비롯한 다른 배선들이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배선들과 같은 다른 배선들은 각 화소(PXL) 내의 트랜지스터의 일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GE)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 상에는 제2 절연막(INS2)이 제공된다. 제2 절연막(INS2)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절연막(INS2) 상에는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이 제공된다.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제2 절연막(INS2)을 사이에 두고 커패시터(Cst)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패시터(Cst)가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으로 구성된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커패시터(Cst)를 구현할 수 있다.
커패시터 상부 전극(UE) 상에는 제3 절연막(INS3)이 제공된다. 제3 절연막(INS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3 절연막(INS3) 상에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이 제공된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제3 절연막(INS3), 제2 절연막(INS2) 및 제1 절연막(INS1)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액티브 패턴(ACT)의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접촉한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배선들(DL)이나 제1 전원 배선들이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배선들(DL)이나 제1 전원 배선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 화소(PXL) 내의 트랜지스터의 일부, 예를 들어 소스 전극(SE) 및/또는 드레인 전극(DE)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상에는 패시베이션층(PSV)이 제공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PSV)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PSV)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PSV) 상에는 제4 절연막(INS4)이 제공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PSV)이 생략되는 경우, 제4 절연막(INS4)은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4 절연막(INS4)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4 절연막(INS4) 상에는 연결 패턴(CNP)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 패턴(CNP)은 제4 절연막(INS4) 및 패시베이션층(PSV)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된다. 연결 패턴(CNP)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패턴(CNP)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더미 전원 배선 등의 다른 배선들이 연결 패턴(CNP)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 패턴(CNP) 상에는 제5 절연막(INS5)이 제공될 수 있다. 제5 절연막(INS5)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5 절연막(INS5) 상에는 제1 전극(EL1)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제5 절연막(INS5)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연결 패턴(CNP)에 연결되고, 제4 절연막(INS4) 및 패시베이션층(PSV)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됨으로써 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극(EL1)은 실시예에 따라 애노드나 캐소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으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이 패시베이션층(PSV) 상에 제공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유기 절연막은 이와 달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베이션층(PSV)과 제1 전극(EL1) 사이에 하나의 유기 절연막만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시베이션층(PSV) 상에 하나의 유기 절연막만이 제공되고 유기 절연막 상에 제1 전극(EL1)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 패턴(CNP)이 생략되고 제1 전극(EL1)이 유기 절연막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곧바로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기 절연막이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IN3)의 두 층으로 형성된 실시예라고 할지라도, 제4 절연막(INS4)이나 제5 절연막(INS5)으로 분리된 형태뿐만 아니라,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유기 절연막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전극(EL1)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막 및/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EL1)은 한 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종 이상의 금속, 예를 들어, Ag와 Mg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전극(EL1)은 기판(SUB)의 하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투명 도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SUB)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반사막 및/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L1) 등이 형성된 기판(SUB) 상에는 각 화소(PXL)에 대응하도록 화소(PXL)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PDL)이 제공된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이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제1 전극(EL1)의 상면을 노출하며 화소(PXL)의 둘레를 따라 기판(SUB)으로부터 돌출된다.
화소 정의막(PDL)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PXL) 영역에는 유기 발광층(OL) 이 제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물질로는 PEDOT,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이 다중층으로 제공되는 경우, 홀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OL)은 증착(evaporation),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유기 발광층(OL)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OL)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 개의 제1 전극(EL1)들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전극(EL1)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OL) 상에는 제2 전극(EL2)이 제공된다. 제2 전극(EL2)은 화소(PXL)마다 제공될 수도 있으나, 표시 영역(DA)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화소들(PXL)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실시예에 따라 애노드나 캐소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전극(EL1)이 애노드인 경우 제2 전극(EL2)은 캐소드로, 제1 전극(EL1)이 캐소드인 경우 제2 전극(EL2)은 애노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등의 금속막 및/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극(EL2)은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Ag/ITO 의 삼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기판(SUB)의 하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반사막 및/또는 투명 도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SUB)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EL2) 상에는 봉지막(SL)이 제공된다. 봉지막(SL)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지막(SL)은 제1 봉지막(SL1) 내지 제3 봉지막(SL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봉지막(SL1) 내지 제3 봉지막(SL3)은 유기 재료 및/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외곽에 위치한 제3 봉지막(SL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봉지막(SL1)은 무기 재료, 제2 봉지막(SL2)은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 및 제3 봉지막(SL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기 재료의 경우 성가 유기 재료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는 덜하나 탄성이나 가요성이 작아 크랙에 취약하다. 제1 봉지막(SL1)과 제3 봉지막(SL3)을 무기 재료로 형성하고, 제2 봉지막(SL2)을 유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크랙의 전파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봉지막(SL2)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3 봉지막(SL3)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봉지막(SL2)이 유기 재료 대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다양한 실리콘계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 HMDSO),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OMCTSO), 테트라메틸디실록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eorthosilicate; TEO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소자를 이루는 유기 발광층(OL)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봉지막(SL)은 유기 발광층(OL)을 커버함으로써 이들을 보호한다. 봉지막(SL)은 표시 영역(DA)을 덮으며, 표시 영역(DA)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런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의 경우, 가요성 및 탄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을 통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막기 위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제4 절연막(INS4), 제5 절연막(INS5), 및/또는 화소 정의막(PDL)은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까지만 연장되며, 비표시 영역(NDA)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제4 절연막(INS4), 제5 절연막(INS5), 및/또는 화소 정의막(PDL)은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따라 그 일부가 제거된 제1 개구부(OPN1)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화소 정의막(PDL)의 상면과, 제1 개구부(OPN1)가 제공된 부분에 의해 노출된 제4 절연막(INS4), 제5 절연막(INS5), 및/또는 화소 정의막(PDL)의 측면은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절연막, 예를 들어, 봉지막(SL)에 의해 봉지됨으로써,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된다. 봉지막(SL)의 복층 여부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지막(SL)은 서로 교번하여 적층된 다수의 유기 재료층과 다수의 무기 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비표시 영역(NDA)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DA)에는 배선부(LP)가 제공되며, 기판(SUB)이 접히는 벤딩 영역(BA)을 갖는다.
배선부(LP)는 데이터 배선들(DL)을 포함하며, 구동부와 화소들(PXL)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선들(DL)은 화소들(PXL)과 구동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화소들(PXL)로부터 대략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부가 영역(ADA)의 제2 방향(DR2)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컨택 전극(CTE)들이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배선들에 연결된 컨택 전극(CTE)들을 통해 칩 온 필름 등으로 구현된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제1 데이터 배선들(DL1)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을 포함한다.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들(DL1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들,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들,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들(DL2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들(DL2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데이터 배선들(DL) 중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 제2 팬-아웃 배선(DL2b), 및 제2 링크 배선(DL2c)이 개시되었다. 데이터 배선들(DL)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버퍼층(BF)이 제공된다.
버퍼층(BF) 상에는 제1 절연막(INS1) 내지 제4 절연막(INS4)이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절연막들에는 제2 개구부(OPN2)가 제공된다. 벤딩 영역(BA)은 기판(SUB)이 구부러지는 영역이다. 즉,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제2 절연막(INS2), 및 제3 절연막(INS3)에는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제2 개구부(OPN2)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제2 절연막(INS2), 및 제3 절연막(INS3) 중 일부는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머지 절연막, 즉 제1 절연막(INS1), 제2 절연막(INS2), 및 제3 절연막(INS3)은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제2 개구부(OPN2)를 이룰 수 있다.
제2 개구부(OPN2)가 벤딩 영역(BA)에 대응한다는 것은, 제2 개구부(OPN2)가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개구부(OPN)의 면적은 벤딩 영역(BA)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개구부(OPN2)의 폭이 벤딩 영역(BA)의 폭보다 더 넓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제2 개구부(OPN2)의 폭은 벤딩 영역(BA)의 폭과 같거나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서는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제2 절연막(INS2), 및 제3 절연막(INS3)의 내측면들이 모두 일치하여 직선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의 제2 개구부(OPN2)보다 제3 절연막(INS3)의 제2 개구부(OPN2)가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버퍼층(BF)의 제2 개구부(OPN2)는 제1 절연막(INS1)의 제2 개구부(OPN2), 제2 절연막(INS2)의 제2 개구부(OPN2), 및 제3 절연막(INS3)의 제2 개구부(OPN2)들 중 가장 좁은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OPN2)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이 제공된다.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제2 개구부(OPN2)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본 발명의 도 5에서는 제2 개구부(OPN2)를 모두 충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제2 개구부(OPN2)를 충진함과 동시에 제2 개구부(OPN2)에 인접한 영역,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플랫 영역들(FA1, FA2)에 대응하는 제3 절연막(INS3)의 상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서는 표시 장치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편평한 상태에서 제조되며, 이후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 영역(BA)은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 내에 있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벤딩 영역(BA)과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이 일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는 대체적으로는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에 대응하나, 필요에 따라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가 같거나, 더 넓거나, 더 좁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벤딩 영역(BA)이 비표시 영역(NDA)에만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는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에 걸쳐서 제공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기판(SUB) 상에는 패시베이션층(PSV)이 제공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PSV)은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이 때, 패시베이션층(PSV)은 상술한 무기 절연막들(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제2 절연막(INS2), 및/또는 제3 절연막(INS3))과 같이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패시베이션층(PSV)은 하부 컨택 전극(CTEa)의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패시베이션층(PSV) 상에는 제4 절연막(INS4)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절연막(INS4) 상에는 제5 절연막(INS5)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에는 표시 영역(DA)의 둘레를 따라 그 일부가 제거되어 제1 개구부(OPN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4 절연막(INS4)과 제5 절연막(INS5)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비표시 영역(NDA)으로 계속 연장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측에 제공된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의 측면은 봉지막(SL)에 의해 커버된다. 그러나, 비표시 영역(NDA)측에 제공된 제5 절연막(INS5)의 상면, 및 제5 절연막(INS5) 및 제4 절연막(INS4)의 측면은 봉지막(SL)에 의해 전부가 커버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3 절연막(INS3) 상에는 하부 컨택 전극(CTEa)가 제공되고, 하부 컨택 전극(CTEa) 상에는 상부 컨택 전극(CTEb)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컨택 전극(CTEb)은 표시 영역(DA)의 연결 패턴(CNP)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컨택 전극(CTEa)과 상부 컨택 전극(CTEb)은 컨택 전극(CTE)을 구성하며, 배선들은 컨택 전극(CTE)을 통해 칩 온 필름이나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등으로 구현된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데이터 배선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도시되었으며, 생략된 구성 요소에 관한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다..
도 6는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7b는 도 6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7c는 도 6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데이터 배선들(DL)은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화소열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DL2)을 포함한다.
제1 화소열에는 제1 컬러의 제1 화소들 및 제2 컬러의 제2 화소들이 연결된다. 제2 화소열에는 제3 컬러의 제3 화소들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컬러는 적색, 제2 컬러는 청색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데이터 배선(DL1)은 적색 화소들과 청색 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컬러는 녹색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녹색 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평면 상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을 설명한 후, 도 7a 도 7c를 참조하여 단면 상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제1 방향(D1)을 따라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표시 영역(DA)에서 제1 데이터 배선들(DL1)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데이터 배선들(DL1)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은 대략적으로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되,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끼리의 간격은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벤딩 영역(BA)에서 제1 데이터 배선들(DL1)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 사이의 간격은 표시 영역(DA)보다 벤딩 영역(BA)에서 좁게 제공된다.
각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DL1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DL1c)을 포함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제1 팬-아웃 배선(DL1b)에 연결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링크 배선(DL1c)에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의 단부와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단부는 중첩하며, 제1 컨택홀(CH1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제1 팬-아웃 배선(DL1b)이 중첩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제1 팬-아웃 배선(DL1b)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표시 영역(D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단부와 제1 링크 배선(DL1c)의 단부는 제2 컨택홀(CH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제1 링크 배선(DL1c)이 중첩 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제1 링크 배선(DL1c)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각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DL2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DL2c)을 포함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제2 팬-아웃 배선(DL2b)에 연결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제2 링크 배선(DL2c)에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의 단부와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단부는 중첩하며, 제3 컨택홀(CH2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이 중첩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표시 영역(D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단부와 제2 링크 배선(DL2c)의 단부는 제4 컨택홀(CH2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제2 링크 배선(DL2c)이 중첩 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제2 링크 배선(DL2c)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일부 상에는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내지 제3 절연막(INS3), 패시베이션층(PSV),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비표시 영역(NDA) 중 벤딩 영역(BA)의 기판 상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절연막(INS2)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절연막(INS2) 상에 제공되며, 제1 링크 배선(DL1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3 절연막(INS3)에는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1 컨택홀(CH1a)과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컨택홀(CH1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1 컨택홀(CH1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제1 링크 배선(DL1c)은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2 컨택홀(CH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의 화소들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데이터 전극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 즉, 제3 절연막(INS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상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상부 커패시터 전극은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상부 커패시터 전극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 즉 제2 절연막(IN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표시 영역(DA)에서의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배선(DL1c)과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절연막(INS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배선(DL1c)은 일부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일부 상에는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내지 제3 절연막(INS3), 패시베이션층(PSV),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비표시 영역(NDA) 중 벤딩 영역(BA) 상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제2 링크 배선(DL2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2 절연막(INS2)과 제3 절연막(INS3)에는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3 컨택홀(CH2a)과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제3 컨택홀(CH2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3 컨택홀(CH2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제2 링크 배선(DL2c)은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4 컨택홀(CH2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 즉, 제3 절연막(INS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은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 즉 제2 절연막(IN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링크 배선(DL1c)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절연막(INS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 배선(DL1c)은 일부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형성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팬-아웃 배선들(DL1b)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서로 다른 층에 제공되며, 평면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1 팬-아웃 배선들(DL1b)은 제2 절연막(INS2) 상에 배치되며,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제3 절연막(INS3) 상에 배치된다.
제1 팬-아웃 배선들(DL1b)과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이 상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에 넓은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이 하나의 층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간격이 좁으나, 데이터 배선들(DL)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층에 교번하여 배치되면, 하나의 층 내에서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로써 데이터 배선들(DL)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는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에서 데이터 신호의 지연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 지연 편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 예를 들어, 영상의 녹색화(greenish) 결함을 감소시킨다. 다시 말해,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에 연결된 제1 화소열과 제2 화소열 중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큰 컬러의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DL)은 나머지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DL)보다 저항이 작은 배선 또는 저항이 작은 컨택 구조를 가짐으로써 데이터 신호 지연 편차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의 저항을 녹색 화소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DL2)의 저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지연 정도를 매칭함으로써, 녹색화 결함을 방지한다. 도 8은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파형을 도시한 것인 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서로 다를 가질 수 있다. 적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녹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청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녹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약 3V 이상일 수 있으며 녹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예를 들어, 약 3V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배선(DL1)을 통해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2 데이터 배선(DL2)을 통해 녹색 화소(R)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비해, 데이터 전압이 충분히 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적색 화소(R)와 청색 화소(B)에 충분한 데이터 전압이 충전되지 않으면 적색과 청색의 휘도가 감소하여 영상의 녹색화 결함이 발생한다.
이에 더해, 제1 절연막(INS1) 상에 형성되는 배선과 제2 절연막(INS2) 상에 형성되는 배선은 배선을 이루는 재료나 배선을 패터닝하는 공정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선폭과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보통은, 제1 절연막(INS1) 상에 형성되는 배선의 선폭이 제2 절연막(INS2) 상에 형성되는 배선의 선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더욱이, 데이터 배선(DL)이 컨택홀들을 통해 서로 연결될 때 절연막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컨택 경로가 길어지는 바, 제3 절연막(INS3) 상의 데이터 배선(DL)이 제2 절연막(INS2) 상의 배선에 연결되는 경우보다 제1 절연막(INS1) 상의 배선에 연결되는 경우 컨택 경로가 길어진다.
이에 따라, 적색 화소와 녹색 화소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이 다수의 컨택홀을 통해 제1 절연막(INS1) 상의 배선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절연막(INS2) 상의 배선에 연결되는 경우보다, 배선의 저항으로 인한 데이터 신호의 지연이 커지며, 이는 녹색화 결함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이 큰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을 상대적으로 배선의 저항이 작은 제2 절연막(INS2) 상의 배선에 연결하고,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이 작은 녹색 화소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DL2)을 제1 절연막(INS1) 상의 배선에 연결함으로써, 각 화소 간의 불균일한 발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컬러를 나타내는 화소로서, 적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녹색 화소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른 컬러의 화소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이 녹색 화소의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보다 큰 것을 일 예로서 개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컬러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은 상술한 것과 다를 수 있다. 다른 컬러의 화소의 경우에도 데이터 전압의 스윙 폭, 데이터 배선의 저항 차이, 이에 따른 신호 지연, 등의 이유로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배선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b는 도 9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c는 도 9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0d는 도 9의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데이터 배선들(DL)은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화소열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DL2)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화소열에는 제1 컬러의 제1 화소들 및 제2 컬러의 제2 화소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컬러는 적색, 제2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제2 화소열에는 제3 컬러의 제3 화소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컬러는 녹색일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평면 상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을 설명한 후,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단면 상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각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DL1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DL1c)을 포함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제1 팬-아웃 배선(DL1b)에 연결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링크 배선(DL1c)에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의 단부와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단부는 중첩하며, 제1 컨택홀(CH1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단부와 제1 링크 배선(DL1c)의 단부는 제2 컨택홀(CH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각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DL2b),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브릿지 패턴(BR),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DL2c)을 포함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제2 팬-아웃 배선(DL2b)에 연결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브릿지 패턴(BR)에 연결되고, 브릿지 패턴(BR)은 제2 링크 배선(DL2c)에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의 단부와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단부는 중첩하며, 제3 컨택홀(CH2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이 중첩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단부와 브릿지 패턴(BR)의 일 단부는 제4 컨택홀(CH2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브릿지 패턴(BR)이 중첩 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브릿지 패턴(BR)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브릿지 패턴(BR)의 타 단부와 제2 링크 배선(DL2c)은 제5 컨택홀(CH2c)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브릿지 패턴(BR)의 타 단부와 제2 링크 배선(DL2c)이 중첩되는 부분은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브릿지 패턴(BR)과 제2 링크 배선(DL2c)이 중첩되는 부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그 일부가 벤딩 영역(B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일부의 기판 상에는 버퍼층, 제1 절연막(INS1) 내지 제3 절연막(INS3), 패시베이션층,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비표시 영역(NDA) 중 벤딩 영역(BA)의 기판 상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절연막(INS2)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절연막(INS2) 상에 제공되며, 제1 링크 배선(DL1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3 절연막(INS3)에는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1 컨택홀(CH1a)과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컨택홀(CH1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1 컨택홀(CH1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제1 링크 배선(DL1c)은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2 컨택홀(CH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의 화소들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상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표시 영역(DA)에서의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 일부 상에는 버퍼층(BF), 제1 절연막(INS1) 내지 제3 절연막(INS3), 패시베이션층(PSV),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비표시 영역(NDA) 중 벤딩 영역(BA) 상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 제4 절연막(INS4), 및 제5 절연막(INS5)이 적층된다.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브릿지 패턴(BR)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2 링크 배선(DL2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2 절연막(INS2)과 제3 절연막(INS3)에는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3 컨택홀(CH2a)과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다. 패시베이션층과 제4 절연막(INS4)에는 브릿지 패턴(BR)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5 컨택홀(CH2c)이 제공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제3 컨택홀(CH2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3 컨택홀(CH2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브릿지 패턴(BR)은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4 컨택홀(CH2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브릿지 패턴(BR)은 제5 컨택홀(CH2c)이 제공된 부분에서 제2 링크 배선(DL2c)과 서로 중첩하며 제5 컨택홀(CH2c)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패턴(BR)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패턴(BR)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릿지 패턴(BR)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절연막(INS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 배선(DL2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연결 패턴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링크 배선(DL2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연결 패턴과 단일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 배선(DL2c)과 연결 패턴은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4 절연막(INS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배선(DL2c)은 일부가 벤딩 영역(BA)에서 제4 절연막(INS4) 상에 형성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팬-아웃 배선들(DL1b)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서로 다른 층에 제공되며, 평면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1 팬-아웃 배선들(DL1b)은 제2 절연막(INS2) 상에 배치되며,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제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된다. 제1 팬-아웃 배선들(DL1b)과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이 상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에 넓은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링크 배선들(DL1c)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서로 다른 층에 제공된다. 제1 링크 배선들(DL1c)은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배치되며,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제4 절연막(INS4) 상에 배치된다.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링크 배선들(DL1c)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평면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1 링크 배선들(DL1c)과 제2 링크 배선들(DL2c)이 상기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에 넓은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이 하나의 층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간격이 좁으나, 데이터 배선들(DL)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층에 교번하여 배치되면, 하나의 층 내에서 서로 인접한 데이터 배선들(DL)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이로써 데이터 배선들(DL)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는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서 데이터 신호의 지연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 지연 편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감소시킨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의 저항을 녹색 화소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의 저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지연 정도를 매칭함으로써, 녹색화 결함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데이터 배선의 길이 및 컨택홀의 개수를 제2 데이터 배선보다 감소시킴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배선들 사이의 컨택 경로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저항 편차를 더욱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배선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또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b는 도 1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c는 도 11의 XI-XI'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2d는 도 11의 XII-X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조하면, 데이터 배선들(DL)은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화소열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DL2)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화소열에는 제1 컬러의 제1 화소들 및 제2 컬러의 제2 화소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컬러는 적색, 제2 컬러는 청색일 수 있다. 제2 화소열에는 제3 컬러의 제3 화소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컬러는 녹색일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각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DL1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DL1c)을 포함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제1 팬-아웃 배선(DL1b)에 연결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링크 배선(DL1c)에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2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제1 링크 배선(DL1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3 절연막(INS3)에는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1 컨택홀(CH1a)과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컨택홀(CH1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1 컨택홀(CH1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아웃 배선(DL1b)과 제1 링크 배선(DL1c)은 제2 컨택홀(CH1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2 컨택홀(CH1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의 화소들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표시 영역(DA)에서의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표시 영역(DA)에서의 표시 영역(DA)에서의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며,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1 절연막(INS1) 상에 제공되며, 브릿지 패턴(BR)은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고, 제2 링크 배선(DL2c)은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제2 절연막(INS2)과 제3 절연막(INS3)에는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3 컨택홀(CH2a)과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다. 패시베이션층과 제4 절연막(INS4)에는 브릿지 패턴(BR)의 상면을 일부 노출하는 제5 컨택홀(CH2c)이 제공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과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제3 컨택홀(CH2a)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3 컨택홀(CH2a)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팬-아웃 배선(DL2b)과 브릿지 패턴(BR)은 제4 컨택홀(CH2b)이 제공된 부분에서 서로 중첩하며, 제4 컨택홀(CH2b)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브릿지 패턴(BR)은 제5 컨택홀(CH2c)이 제공된 부분에서 제2 링크 배선(DL2c)과 서로 중첩하며 제5 컨택홀(CH2c)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의 일부는 팬-아웃 영역(FTA)에서 제3 절연막(INS3) 상에 제공되나, 벤딩 영역(BA)에서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표시 영역(DA)에서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표시 영역(DA)에서의 게이트 전극 및 하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팬-아웃 배선들(DL1b)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동일 층에 제공되며, 평면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제1 팬-아웃 배선들(DL1b) 및 제2 팬-아웃 배선들(DL2b)은 모두 제1 절연막(INS1) 상에 배치된다.
도 12d를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링크 배선들(DL1c)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서로 다른 층에 제공된다. 제1 링크 배선들(DL1c)은 벤딩부 절연막(INS_B) 상에 배치되며,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제4 절연막(INS4) 상에 배치된다. 제1 데이터 배선들(DL1)의 제1 링크 배선들(DL1c)과 제2 데이터 배선들(DL2)의 제2 링크 배선들(DL2c)은 평면 상에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는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서 데이터 신호의 지연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 지연 편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감소시킨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적색 화소와 청색 화소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의 저항을 녹색 화소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의 저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지연 정도를 매칭함으로써, 녹색화 결함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아웃 영역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이 동일한 층에 형성되었으나, 제1 및 제2 링크 배선들의 길이가 달라짐과 동시에 컨택홀의 개수를 달라졌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되는 배선들 사이의 컨택 경로가 달라지며, 특히 제2 데이터 배선(DL2)의 컨택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의 저항 편차가 감소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팬-아웃 영역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이 제1 절연막 상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팬-아웃 영역에서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이 둘 다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팬-아웃 영역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은 상부 커패시터 전극과 동일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배선들의 저항을 매칭하기 위해 데이터 배선들은 상술한 실시예와 또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선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의 A1에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제2 방향(DR2)을 따라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각 제1 데이터 배선(DL1)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DL1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DL1c)을 포함한다.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DL1a)은 제1 팬-아웃 배선(DL1b)에 연결되고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1 링크 배선(DL1c)에 연결된다. 제1 링크 배선(DL1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각 제2 데이터 배선(DL2)은 표시 영역(DA)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DL2b), 및 벤딩 영역(BA)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DL2c)을 포함한다.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DL2a)은 제2 팬-아웃 배선(DL2b)에 연결되고 제2 팬-아웃 배선(DL2b)은 제2 링크 배선(DL2c)에 연결된다. 제2 링크 배선(DL2c)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컨택 전극 등을 통해 구동부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은 비표시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아웃 영역(FTA)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DL1b)은 제2 팬-아웃 배선(DL2b)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팬-아웃 배선(DL1b)이 제2 팬-아웃 배선(DL2b)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짐으로써 제1 팬-아웃 배선(DL1b)의 저항은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저항보다 낮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아웃 영역(FTA)에서의 제1 데이터 배선(DL1)과 제2 데이터 배선(DL2)이 동일한 층에 형성되었으나, 제1 팬-아웃 배선(DL1b)이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폭, 제1 및 제2 링크 배선들의 길이, 및 컨택홀의 개수가 달라졌다.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되는 배선들 사이의 컨택 경로가 달라지며, 특히 제2 데이터 배선(DL2)의 컨택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제1 데이터 배선과 제2 데이터 배선의 저항 편차가 감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팬-아웃 배선(DL1b)이 제2 팬-아웃 배선(DL2b)의 폭만 달리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제2 데이터 라인(DL2)의 저항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링크 배선(DL1c) 및 제2 링크 배선(DL2c)의 폭도 함께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실시예로 설명된 부분은 발명의 개념에 벗어나지 않는 이상 하나의 실시예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 중 일부와 다른 실시예 중 일부가 서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BA: 벤딩 영역 DA: 표시 영역
DL1, DL2: 제1 및 제2 데이터 배선
INS1, INS2, INS3, INS4, INS5: 제1 내지 제5 절연막
NDA: 비표시 영역
OPN1, OPN2: 제1 및 제2 개구부
SUB: 기판

Claims (32)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1 화소열과, 상기 제1 화소열의 컬러와 다른 컬러를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갖는 제2 화소열을 포함하는 화소부; 및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에 각각 연결된 데이터 배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 중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큰 컬러의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은 나머지 화소열에 연결된 데이터 배선보다 저항이 작은 배선 또는 저항이 작은 컨택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의 저항에 대한 영향성이 상기 제2 화소열의 저항에 대한 영향성보다 크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저항이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저항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폭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폭보다 넓은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길이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의 길이보다 작은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컨택홀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2 화소 열에 연결된 상기 데이터 배선보다 더 적은 수의 컨택 홀을 통해 연결된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되며 열 방향으로 제1 컬러를 표시하는 제1 화소들 및 제2 컬러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화소들과 교번적으로 배열된 제2 화소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화소열은 제3 컬러를 표시하는 제3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3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제1 화소열에 연결된 제1 데이터 배선 및 상기 제2 화소열에 연결된 제2 데이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에서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러는 적색, 상기 제2 컬러는 청색, 및 상기 제3 컬러는 녹색인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팬-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서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되는 표시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팬-아웃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 벤딩 영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에 제공된 제1 팬-아웃 배선,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제1 링크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 및 상기 제1 링크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막은 제1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1 및 제2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링크 배선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 상기 팬-아웃 영역에 제공된 제2 팬-아웃 배선, 및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제2 링크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3 및 제4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4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배선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벤딩 영역에 제공된 벤딩부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절연막은 상기 기판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벤딩부 절연막은 상기 개구부 내에 제공된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벤딩부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된 제4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된 브릿지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링크 배선은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된 표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절연막들은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3 및 제4 컨택홀들을 가지며, 상기 제4 절연막은 상기 브릿지 패턴의 일부를 노출하는 제5 컨택홀을 가지며,
    상기 제2 화소부 데이터 배선은 상기 제3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팬-아웃 배선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팬-아웃 배선은 상기 제4 컨택홀을 통해 상기 브릿지 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브릿지 패턴은 상기 제5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링크 배선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
  25.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열과 상기 제2 화소열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화소열들과 상기 제2 화소열들은 행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배선과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은 각각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데이터 배선들과 상기 제2 데이터 배선들은 상기 행 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표시 장치.
  27.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상기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3 화소들 각각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액티브층;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제공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제공된 커패시터 상부 전극; 및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데이터 배선 또는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소스 전극과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0.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커패시터 상부 전극과 동일 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1.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제공된 제4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제공되며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된 연결 패턴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제2 데이터 배선의 일부는, 상기 연결 패턴들과 동일층 상에 제공되며 동일 재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2.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들, 상기 제2 화소들, 및 상기 제3 화소들 중 적어도 두 화소들의 면적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KR1020160119503A 2016-09-19 2016-09-19 표시 장치 KR10259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03A KR102597681B1 (ko) 2016-09-19 2016-09-19 표시 장치
US15/609,480 US11031436B2 (en) 2016-09-19 2017-05-31 Display device
EP22186580.1A EP4125083A3 (en) 2016-09-19 2017-08-25 Display device
EP17187919.0A EP3296984B1 (en) 2016-09-19 2017-08-25 Display device
CN201710790664.6A CN107845656B (zh) 2016-09-19 2017-09-05 显示装置
CN202311792413.3A CN117750828A (zh) 2016-09-19 2017-09-05 显示装置
US17/339,770 US20210296405A1 (en) 2016-09-19 2021-06-04 Display device
KR1020230147148A KR20230154412A (ko) 2016-09-19 2023-10-30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503A KR102597681B1 (ko) 2016-09-19 2016-09-19 표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7148A Division KR20230154412A (ko) 2016-09-19 2023-10-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866A true KR20180031866A (ko) 2018-03-29
KR102597681B1 KR102597681B1 (ko) 2023-11-06

Family

ID=597026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503A KR102597681B1 (ko) 2016-09-19 2016-09-19 표시 장치
KR1020230147148A KR20230154412A (ko) 2016-09-19 2023-10-30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7148A KR20230154412A (ko) 2016-09-19 2023-10-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031436B2 (ko)
EP (2) EP3296984B1 (ko)
KR (2) KR102597681B1 (ko)
CN (2) CN10784565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2937B2 (en) 2016-11-08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158267B2 (en) 2019-03-29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04520B2 (en) 2019-01-09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422B1 (ko) * 2016-10-17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59251B (zh) * 2016-12-02 2019-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102449218B1 (ko) * 2017-09-19 2022-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207517281U (zh) * 2017-11-16 2018-06-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JP7098425B2 (ja) 2018-06-06 2022-07-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767675B (zh) * 2018-08-06 2022-06-1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屏和显示终端
CN109326634B (zh) 2018-09-30 2020-11-0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177453B2 (en) * 2018-10-05 2021-11-1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9638018A (zh) * 2018-12-03 2019-04-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其显示器件
KR20200119452A (ko) * 2019-04-09 2020-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164359B (zh) * 2019-06-28 2022-03-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429088A (zh) * 2019-07-18 2019-11-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tft阵列基板及其显示面板
KR20210016187A (ko) * 2019-08-01 2021-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27641A (ko) * 2019-08-30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KR102637057B1 (ko) 2019-09-24 2024-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354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들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220049683A (ko) * 2020-10-14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09845A1 (en) * 2020-11-25 2022-06-02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thod for image display in a display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eripheral sensing circuit, and pixel driving circu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0850A1 (en) * 2004-05-29 2006-03-23 Won-Kyu Kwak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53626A (ko) * 2012-10-26 201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8639A (ko) * 2013-07-15 2015-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101066A (ko) * 2014-02-25 2015-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테스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7268A (ko) * 2006-06-08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판
JP2008010744A (ja) 2006-06-30 2008-01-17 Canon Inc 表示素子及び表示システム
KR101287042B1 (ko) * 2006-12-01 2013-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260912B2 (ja) * 2007-07-31 2013-08-14 パナソニック液晶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462538B1 (ko) 2007-11-30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소자
US8552639B2 (en) 2007-11-30 2013-10-08 Samsung Display Co., Lt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749161B1 (ko) * 2010-12-29 2017-06-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958434B1 (ko) 2011-09-05 2019-03-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69952B1 (ko) 2012-06-05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962852B1 (ko) * 2012-10-0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5835B1 (ko) 2012-11-26 2019-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2495B1 (ko) * 2013-02-28 2019-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KR101993334B1 (ko) * 2013-04-01 2019-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리페어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61684B1 (ko) * 2013-04-29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KR102066087B1 (ko) 2013-05-28 2020-01-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336395B (zh) * 2013-06-18 2016-08-17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配线结构
KR102153381B1 (ko) * 2014-07-25 2020-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160172428A1 (en) * 2014-12-11 2016-06-1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corrosion resistant printed circuit film
KR102304585B1 (ko) * 2015-01-30 2021-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2270632B1 (ko) 2015-03-04 2021-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80051739A (ko) 2016-11-08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0850A1 (en) * 2004-05-29 2006-03-23 Won-Kyu Kwak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53626A (ko) * 2012-10-26 201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8639A (ko) * 2013-07-15 2015-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101066A (ko) * 2014-02-25 2015-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테스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2937B2 (en) 2016-11-08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322549B2 (en) 2016-11-08 2022-05-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04520B2 (en) 2019-01-09 2022-08-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158267B2 (en) 2019-03-29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6405A1 (en) 2021-09-23
KR102597681B1 (ko) 2023-11-06
EP3296984B1 (en) 2023-02-22
US20180083072A1 (en) 2018-03-22
CN107845656A (zh) 2018-03-27
KR20230154412A (ko) 2023-11-08
EP3296984A3 (en) 2018-04-11
EP4125083A3 (en) 2023-04-19
EP3296984A2 (en) 2018-03-21
CN107845656B (zh) 2024-01-09
EP4125083A2 (en) 2023-02-01
CN117750828A (zh) 2024-03-22
US11031436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681B1 (ko) 표시 장치
US10923556B2 (en) Display device
CN108074957B (zh) 显示装置
US11864407B2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KR102650168B1 (ko) 표시 장치
CN108231791B (zh) 显示装置
EP3267489B1 (en) Display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CN107579094B (zh) 具有保护性结构的显示装置
KR20180104252A (ko) 표시 장치
KR20200037908A (ko) 표시 장치
KR102668184B1 (ko) 표시 장치
KR20180044491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