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367A -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367A
KR20180028367A KR1020170100849A KR20170100849A KR20180028367A KR 20180028367 A KR20180028367 A KR 20180028367A KR 1020170100849 A KR1020170100849 A KR 1020170100849A KR 20170100849 A KR20170100849 A KR 20170100849A KR 20180028367 A KR20180028367 A KR 20180028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rtions
lock
plat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469B1 (ko
Inventor
카즈야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로크 부재에 의한 로크 기능을 보존유지하면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보다 저배화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50)의 단벽(55)은, 상대 로크 부재(30)의 진입을 허용하는 오목부(55A)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고, 피로크 금구(70)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하는 기립부와, 당해 기립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부(55A) 내에 위치하는 피로크부(72C, 75C)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단벽(55)의 상기 오목부(55A)에의 상기 상대 로크 부재(30)의 진입을 허용함과 함께, 상기 피로크부(72C, 75C)가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상기 상대 로크 부재(30)의 로크부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에 삽발(揷拔)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및 당해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및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로크 금구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당해 피(被)로크 금구를 갖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기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하우징에 부착되는 금속제의 실드 부재와, 로크 금구와, 탄성 변형 부재를 갖고 있다. 당해 탄성 변형 부재는, 로크 금구를 로크 위치로 탄성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실드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이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는, 1매의 금속판 부재로 만들어져 있고, 단자 배열 방향인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체 형상의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복수의 기립부와, 당해 기립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크부를 갖고 있고, 당해 기부, 기립부 및 로크부는, 1개의 평탄한 판면을 갖는 판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의 피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고,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당해 하우징의 단벽(端壁)에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先方)(하방)으로부터 압입 보유지지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 금구는, 커넥터 끼워맞춤 직전의 상태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에 위치하는 면(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하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판 형상의 덮개판부(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양측연부로부터 튀어나온 2개의 피로크부와, 커넥터 짧은 방향(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당해 기부의 양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벽의 대응부로 압입되는 2개의 부착 다리부(脚部)를 갖고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의 로크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피로크 금구의 피로크부에 걸어고정되어 로크 상태가 됨으로써,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발출(拔出)이 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로크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의 로크부 및 기립부는, 피로크부의 덮개판부의 하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당해 로크 금구의 기부는, 덮개판부보다도 하방에서, 당해 기부의 상연이 덮개판부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즉, 로크 금구의 기부와 피로크 금구의 덮개판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서로 맞닿는 바와 같은 위치 관계에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70500호
최근,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低背化), 즉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의 소형화의 요구가 커지고 있지만, 특허문헌 1의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피로크 금구의 최하면인 상기 덮개판부의 하면이 로크 금구의 기부와 맞닿는 바와 같은 위치 관계에 있기 때문에, 로크 금구의 기부가 피로크 금구의 덮개판부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중복하여 위치할 수 없어,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를 충분히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로크 부재에 의한 로크 기능을 보존유지하면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보다 저배화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의 과제는, 다음의 제1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및 제2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제1 발명>
제1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에 삽발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당해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일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서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1 발명에서는, 상기 피로크 금구는,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및 상기 단자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로크 부재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단벽은,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진입을 허용하는 오목부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로크 금구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하는 기립부와, 당해 기립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피로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오목부로의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진입을 허용함과 함께, 상기 피로크부가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로크부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단벽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피로크 금구의 피로크부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벽의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로크 부재는, 상기 단벽의 오목부의 안쪽부에까지 진입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진입한 치수분만큼, 피로크 금구와 로크 부재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중복하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를 상기 치수분만큼 저배화시킬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적어도 개구하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선방 및 후방으로 개구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형상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립부」는,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하는 부분을 적어도 일부에 갖고 있으면 좋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걸쳐서 위치하는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기립부는, 각각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로크부는, 각각의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1개의 단벽에 대하여 2개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기립부는, 각각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피로크부는, 각각의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때,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기립부 및 상기 피로크부에 대하여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함과 함께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피로크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당해 피로크부에 연결된 보강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보강부에서 피로크부를 보강함으로써, 당해 피로크부가 상대 커넥터의 로크부로부터 큰 발출력을 받아도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상기 단자 배열 방향 및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재료가 연속하고 있는 속이 꽉 찬 일 부재라도 좋다. 로크 부재를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피로크 금구 전체의 강도가 향상한다.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금속판제이고, 당해 금속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의 판부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겹쳐진 겹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기립부 및 상기 피로크부는, 복수의 상기 판부 중 일부의 판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복수의 상기 판부 중 상기 일부의 판부에 인접하는 다른 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피로크 금구를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로크 금구를, 1매의 금속판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2 발명>
제2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제1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와, 당해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당해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피로크부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걸림고정 가능한 로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하우징의 단벽이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에 개구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고, 피로크 금구의 피로크부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벽의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로크 부재를, 상기 단벽의 오목부의 안쪽부에까지 진입시킴으로써, 그 진입한 치수분만큼, 피로크 금구와 로크 부재를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중복시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를 상기 치수분만큼 저배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로서,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로서, 플러그 커넥터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추게 하도록 한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를,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3(B)는, 도 3(A)의 로크 금구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금속판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로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후단측에 설치된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B)는 도 5(A)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을 때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 및 실드 부재와 플러그 커넥터의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6(A)는 도 1과 동일한 방향으로 본 사시도, 도 6(B)는 도 2와 동일한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7(A)는 로크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B)는 도 8(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9(B)는 도 9(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B)는 도 10(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1(B)는 도 11(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지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사시도이고,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고,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부터 끼워맞추게 하도록 한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고, 각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Z축 방향))을 삽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해서는,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 도 1에서의 상방(Z1 방향)이고, 커넥터 발출 방향이 도 1에서의 하방(Z2 방향)이 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해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한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 도 1에서의 하방(Z2 방향)이고, 커넥터 발출 방향이 도 1에서의 상방(Z1 방향)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를 상대 커넥터로서 설명하지만, 플러그 커넥터(2)에서 보면 리셉터클 커넥터(1)가 상대 커넥터가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과,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의해 2열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부재로서의 로크 금구(30)와,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둘레벽을 덮도록 하여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부착된 실드 부재(40)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 실장된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한 일 방향을 길이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底壁)(11)(도 2 참조)과, 도 1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Z1 방향)을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의 돌출벽(12)과, 상기 저벽(1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돌출벽(12)을 둘러싸는 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15)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벽(12)과 둘레벽(13)의 사이에서 상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환상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부로서의 둘레벽(53)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16)로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리셉터클 단자(20), 로크 금구(30) 및 실드 부재(40)를 보유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더 한층의 설명에 앞서, 우선, 리셉터클 단자(20), 로크 금구(30) 및 실드 부재(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단자(20)는, 도 1,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당해 리셉터클 단자(20)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21)(도 2 참조)와, 당해 기부(21)의 일단에서 직각으로 굴곡되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22)(도 1 참조)와, 기부(21)의 타단으로부터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피보유지지부(23)(도 1 참조)와, 당해 피보유지지부(23)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도 2에서, 앞쪽측의 열의 리셉터클 단자(20)에 대해서는 Y2 방향, 안쪽측의 열의 리셉터클 단자(20)에 대해서는 Y1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24)(도 2 참조)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단자(20)는, 기부(21) 및 피보유지지부(23)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저벽(11) 및 측벽(14)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접촉 아암부(22)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돌출벽(12)에 형성된 후술하는 세로 홈부(12D) 내에 수용되어 있고, 당해 접촉 아암부(22)의 판두께 방향, 환언하면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접촉 아암부(22)의 상단에는, 플러그 커넥터(2)에 설치된 상대 단자로서의 플러그 단자(6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22A)가 커넥터 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6) 내에 위치하고 있다. 역 U자 형상(도 1 참조)을 이루는 피보유지지부(23)는, 2개의 다리부 중 커넥터 폭 방향 내방에 위치하는 내측 다리부의 판면이 측벽(14)의 내면으로부터 드러나 있고, 당해 판면의 상부에, 상기 플러그 단자(60)와 걸어고정하기 위한 로크부(23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24)는, 피보유지지부(23)의 2개의 다리부 중 커넥터 폭 방향 외방에 위치하는 외측 다리부의 하단(도 2에서는 상단)으로부터는 커넥터 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밖으로 연출(延突)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서 로크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를,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자세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로크 금구(30)를 굴곡 형성하기 전의 금속판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로크 금구(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A)에서의 우방(X1 방향)을 향하여 눌러지는 로크 해제 조작을 받음으로써 단자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서의 우방(X1 방향), 즉 로크 해제시의 로크 금구(30)의 이동 방향 전방을 「전방」이라고 하고, 도 3(A)에서의 좌방(X2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로크 금구(30)는, 도 3(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금속판 부재(30')(도 3(B) 참조)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당해 로크 금구(30)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겹쳐진 2매의 외판부(30A) 및 2매의 내판부(30B)(필요에 따라서 「판부(30A, 30B)」라고 총칭함)와, 로크 금구(30)의 후단에 형성된 로크 해제 조작부(30C)와, 상기 2매의 내판부(30B)와 로크 해제 조작부(30C)를 연결하는 연결부(30D)를 갖고 있다.
판부(30A, 30B)는, 상기 금속판 부재(30')를 그 판두께 방향으로 복수회 되접어 꺾도록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인접하는 2매의 내판부(30B)의 양 외측에 각각 1매의 외판부(30A)가 위치하고 있다. 판부(30A, 30B)의 전후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는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외판부(30A)와 내판부(30B)는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하연끼리가 되접어 꺾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내판부(30B)는 후단부(후술하는 내연출부(36B))의 상연끼리가 되접어 꺾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외판부(30A)는, 당해 외판부(30A)의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곧은 형상을 이루어 연장되는 외기부(31A)와, 당해 외기부(31A)의 상연으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기립부, 즉,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위치하는 전방 기립부(32A), 중간 기립부(32B) 그리고 후방 기립부(32C)(필요에 따라서 「기립부(32A, 32B, 32C)」라고 총칭함)를 갖고 있다. 또한, 당해 외판부(30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립부(32A, 32B, 32C) 중 어느 1개의 기립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피지지부(33A), 후방 피지지부(33B), 외전방 피규제부(34A), 외후방 피규제부(34B), 전방 로크부(35A), 후방 로크부(35B) 및 외연출부(36A)를 갖고 있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전방 피지지부(33A) 및 후방 피지지부(33B)를 「피지지부(33A, 33B)」라고 총칭하고, 외전방 피규제부(34A) 및 외후방 피규제부(34B)를 「피규제부(34A, 34B)」라고 총칭하고, 전방 로크부(35A) 및 후방 로크부(35B)를 「로크부(35A, 35B)」라고 총칭한다.
상기 3개의 기립부는, 중간 기립부(32B), 후방 기립부(32C), 전방 기립부(32A)의 순서로,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가 커지고 있다. 피지지부(33A, 33B)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대응부(후술의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에 대하여 하방을 향하여 걸어고정하여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하방으로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고(도 4 참조), 중간 기립부(32B)에서의 전후 방향에서 상이한 두 위치(전방 피지지부(33A)가 후방 피지지부(33B)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음)에서 당해 중간 기립부(32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후방을 향하여 굴곡된 역 L자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33A, 33B)의 역 L자 형상 부분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의 각각의 규제면(12A-1A, 12C-2A)(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에 맞닿아 후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최대 이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기능한다(도 4 참조).
외전방 피규제부(34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규제면(17E-1)(후술하는 전방 돌출벽 홈부(17E)의 내벽면)에 맞닿아 후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최대 이동량을 규제하기 위한 부분이고, 중간 기립부(32B)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외후방 피규제부(34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40)에 설치된 후술의 탄성 변형부(45)의 선단편(45A-1, 45B-1)의 전방에 위치하여 당해 선단편(45A-1, 45B-1)의 전방에의 최대 탄성 변형량을 규제하기 위한 부분이고, 후방 기립부(32C)의 전후 방향 중간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로크부(35A)는, 전방 기립부(32A)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전방 기립부(32A)의 후연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2)에 설치된 상대 로크 금구로서의 피로크 금구(70)와 걸림고정 가능한 전방 로크 돌출부(35A-1)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로크부(35B)는, 중간 기립부(32B)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중간 기립부(32B)의 후연보다도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피로크 금구(70)와 걸림고정 가능한 후방 로크 돌출부(35B-1)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방 로크 돌출부(35A-1) 및 후방 로크 돌출부(35B-1)는, 상연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연을 갖고 있음과 함께, 하연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인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갈고랑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외연출부(36A)는, 후방 기립부(32C)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외연출부(36A)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후방 피규제부(34B)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의 선단편(45A-1, 45B-1)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도 4 참조).
내판부(30B)는, 당해 내판부(30B)의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곧은 형상을 이루어 연장되는 내기부(31B)(도 3(B) 참조)와, 당해 내기부(31B)의 상연으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主)보강부(37)와, 당해 주보강부(37)로부터 연장되는 내전방 피규제부(34C), 내후방 피규제부(34D), 내연출부(36B)(도 3(B) 참조), 전방 부(副)보강부(38A), 후방 부보강부(38B)를 갖고 있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내전방 피규제부(34C), 내후방 피규제부(34D)를 「피규제부(34C, 34D)」라고 총칭하고, 전방 부보강부(38A), 후방 부보강부(38B)를 「부보강부(38A, 38B)」라고 총칭한다.
내기부(31B)는, 외판부(30A)의 외기부(31A)와 동일한 높이 치수(상하 방향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외기부(31A)와 하연끼리로 되접어 꺾임부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당해 내기부(31B)와 당해 외기부(31A)로 1개의 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주보강부(37)는, 내판부(30B)의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외판부(30A)의 기립부(32A, 32B, 32C)와 동일한 높이 치수로 기립하고 있다. 내전방 피규제부(34C)는, 외판부(30A)의 외전방 피규제부(34A)와 전후 방향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양자의 후단연이 전후 방향에서의 동일 위치에 있다. 당해 내전방 피규제부(34C)는, 당해 내전방 피규제부(34C)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부보강부(38A)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내후방 피규제부(34D)는, 외판부(30A)의 외후방 피규제부(34B)와 동일 형상을 이루고 있고, 당해 외후방 피규제부(34B)와 전후 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내연출부(36B)는, 전후 방향에서 외판부(30A)의 외연출부(36A)와 대응하는 위치, 즉 주보강부(37)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곧은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내연출부(36B)의 전단연은, 외연출부(36A)의 전단연보다도 약간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4 참조). 당해 내연출부(36B)는, 당해 내연출부(36B)의 전방에 위치하는 내후방 피규제부(34D)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서,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의 선단편(45A-1, 45B-1)을 수용한다. 또한, 당해 내연출부(36B)의 전단부는, 그 전단연에서 상기 탄성 변형부(45)의 선단편(45A-1, 45B-1)과 맞닿음으로써, 당해 선단편(45A-1, 45B-1)으로부터의 후방을 향한 탄성 지지력(스프링력)을 받는 맞닿음부(36B-1)로서 기능한다.
전방 부보강부(38A)는, 주보강부(37)의 전단부에서 기립함과 함께, 전후 방향에서 외판부(30A)의 전방 로크부(35A)를 포함하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외판부(30A)의 전방 기립부(32A)의 전단 위치에서 외전방 피규제부(34A)의 중간 위치에까지 걸치는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당해 전방 부보강부(38A)는, 내전방 피규제부(34C)와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후방 부보강부(38B)는, 주보강부(37)의 중간부에서 기립함과 함께, 전후 방향에서 외판부(30A)의 후방 로크부(35B)를 포함하는 범위, 구체적으로는, 후방 로크부(35B)의 전단 위치에서 외판부(30A)의 기립부(32B, 32C)끼리 사이의 위치에까지 걸치는 범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부(35A, 35B)를 갖는 외판부(30A)에 인접하는 내판부(30B)를 설치함과 함께, 당해 내판부(30B)에는 내기부(31B)뿐만 아니라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를 설치함으로써 당해 내판부(30B)의 높이 치수를 크게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금구(30) 전체적으로, 로크 금구(30)에 대한 굽힘 변형, 특히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굽힘 변형에 대한 강도가 향상한다. 또한, 내판부(30B)에 있어서,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뿐만 아니라, 피규제부(34C, 34D)나 내연출부(36B)도 전술한 강도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연결부(30D)는, 2매 겹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연끼리가 연결된 내연출부(36B)를 그대로 후방으로 연장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로크 해제 조작부(30C)는, 연결부(30D)의 각 판부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나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해제 조작부(30C)의 후부는 하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이, 후술하는 로크 해제 조작시에 전방을 향한 누름력을 받는 누름면(30C-1)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성의 로크 금구(30)는, 도 3(B)에 보여지는 금속판 부재(30')를 각 일점쇄선의 위치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우선, 2개의 일점쇄선 A에서 금속판 부재(30')를 되접어 꺾도록 계곡(valley) 접기 함으로써 외판부(30A) 및 내판부(30B)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일점쇄선 B에서 금속판 부재(30')를 되접어 꺾도록 산(mountain) 접기함으로써 내판부(30B)의 판면끼리를 대면시킴과 함께, 연결부(30D)를 형성한다. 또한, 일점쇄선 C에서 금속판 부재(30')를 직각으로 계곡 접기하고, 또한, 일점쇄선 D에서 금속판 부재(30')를 직각으로 산 접기하여 로크 해제 조작부(30C)를 형성함으로써, 도 3(A)에 나타나는 로크 금구(30)가 완성된다. 또한, 금속판 부재(30')를 각 일점쇄선의 위치에서 굴곡하는 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일점쇄선 A, B, C, D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순서라도 좋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40)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한 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드 부재(40)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양단벽(15) 및 측벽(14)의 단부의 상면을 덮는 상판부(41)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당해 상판부(41)의 양단연에서 하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고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벽(14)을 덮음과 함께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보유지지되는 측판부(42)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당해 측판부(42)의 양단연에서 상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양단벽(15)의 단벽면을 덮는 내단 판부(43)(도 2 참조)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상판부(41)의 양단 근방 위치에서 상판부(41)의 측단연에서 하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내단 판부(43)의 외면을 덮는 외단 판부(44)와, 내단 판부(43)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의 연부(緣部)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탄성 변형부(45)를 갖고 있다.
상판부(41)는, 단벽(15)의 상면을 덮는 단(端) 부분과 2개의 측벽(14)의 단부를 덮는 측방 부분에서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단 부분의 단자 배열 방향 내측의 측연(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으로부터는 하방으로 굴곡되어 단벽(15)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2개의 단 부착편(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방 부분의 내측의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의 측연(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으로부터는, 하방으로 굴곡되어 측벽(14)의 상단 근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외측 접촉편(47)이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42)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 외에서, 하연부가 노치되어 있고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대응부로의 압입 부착을 위한 부착 홈부(42A)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당해 부착 홈부(42A)의 양 외측에는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다리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42)의 상연으로부터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 외(外)이면서 외측 접촉편(47)보다도 내측의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하방을 향하여 측벽(14)의 상단 근방 위치까지 연장되는 내측 접촉편(48)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내단 판부(43)는,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동일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단벽(15)의 단벽 홈부(17B, 17C)의 측연(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에까지 연장되어 있고, 선단(내단)끼리가 간격을 갖고 위치하고 있다. 탄성 변형부(45)는, 각각의 내단 판부(43)의 내단으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외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이고 나서 추가로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인 2개의 탄성편(45A, 45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45A, 45B)은, 그 선단부(내단연)의 상부에, 상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선단편(45A-1, 45B-1)을 갖고 있다. 당해 탄성편(45A)의 선단편(45A-1)은, 타방의 탄성편(45B)의 내단연에 대향하고, 탄성편(45B)의 선단편(45B-1)은, 상기 선단편(45A-1)의 하방 위치에서, 타방의 탄성편(45A)의 내단연에 대향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선단편(45A-1, 45B-1)의 하방에는, 로크 금구(30)의 기부(31A, 31B)의 후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5C)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저벽(11)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앙 근방 위치에서 후술하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저홈부(17A)에 인접하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저공부(11B)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저벽(11)의 양연부에서 당해 저벽의 저면(도 2에서의 상면)으로부터 패임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개방된 저오목부(11C)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여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저공부(11B) 및 저오목부(11C)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리셉터클 단자(20)와 대응하여 배열 형성되어 있고, 저공부(11B)에 리셉터클 단자(20)의 기부(21)의 일부가 수용되고, 저오목부(11C)에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속부(24)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돌출벽(12)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저벽(11)의 저공부(11B) 및 저오목부(11C)와 동일 위치에,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의 양쪽의 측면으로부터 패여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는 세로 홈부(12D)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세로 홈부(12D)는, 상기 저공부(11B)와 연통하고 있고,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촉 아암부(22)를 그 판두께 방향에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면서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측벽(14)은, 단자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서의 당해 측벽(14)의 내면(수용부(16)를 형성하는 벽면)의 상부에 당해 내면으로부터 패이는 측방 오목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방 오목부(14A)는, 실드 부재(40)의 외측 접촉편(47) 및 내측 접촉편(48)의 선단부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측벽(14)은, 단자 배열 범위의 양 외측에, 실드 부재(40)의 부착 홈부(42A)로 압입되는 부착부(14B)가 당해 측벽(14)의 하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벽(15)은, 후술하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단벽 홈부(17B, 17C)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위치에, 당해 단벽(15)의 내면(수용부(16)를 형성하는 벽면)으로부터 패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단 오목부(15A)는, 실드 부재(40)의 단 부착편(46)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은, 로크 금구(30)의 판부(30A, 30B)를 수용하기 위한 1개의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당해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넓어지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 대칭(도 4에서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고, 커넥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판부(30A)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4에서는 우방이 전방이 되고, 좌방이 후방이 된다.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로크 금구(30)의 외판부(30A) 그리고 내판부(30B)의 각(各) 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 혹은 공부가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하,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형상을, 커넥터 폭 방향(지면(紙面)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있어서의 외판부(30A)의 위치에서의 형상과 내판부(30B)의 위치에서의 형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외판부(30A)의 위치에서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30)의 외기부(31A)를 수용하기 위한 저홈부(17A)(도 2 참조)와, 전방 기립부(32A) 및 전방 로크부(35A)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단벽 홈부(17B)와, 후방 기립부(32C)의 전반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단벽 홈부(17C)와, 중간 기립부(32B)를 수용하기 위한 하방 돌출벽 홈부(17D)(도 1 참조)와, 전방 피규제부(34A)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돌출벽 홈부(17E)와, 후방 로크부(35B)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돌출벽 홈부(17F)와, 전방 피지지부(33A)를 수용하기 위한 전방 돌출벽 공부(17G)와, 후방 피지지부(33B)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돌출벽 공부(17H)를 갖고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홈부(17A)는, 저벽(11)을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전역에 걸쳐 동일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당해 저홈부(17A)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수용부(16)에 대응하는 범위, 즉 돌출벽(12)과 단벽(15) 사이의 범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수용부(16)와 연통하고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 단벽 홈부(17B)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전방(도 4에서 우단측)에 위치하는 단벽(15)에서, 또한, 후방 단벽 홈부(17C)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후방(도 4에서 좌단측)에 위치하는 단벽(15)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각 단벽(15)의 벽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방 단벽 홈부(17B)의 전반부(도 4에서의 우반부) 그리고 후방 단벽 홈부(17C)의 후반부(도 4에서의 좌반부)의 상측 내벽면(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로크 금구(30)의 전방 기립부(32A)의 상연 및 후방 기립부(32C)의 상연에 맞닿아 상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7B-1, 17C-1)으로서 기능한다.
하방 돌출벽 홈부(17D)(도 1 참조)는, 돌출벽(12)의 하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저홈부(17A), 전방 돌출벽 홈부(17E), 후방 돌출벽 홈부(17F), 전방 돌출벽 공부(17G) 및 후방 돌출벽 공부(17H)의 각각과 연통하고 있다.
전방 돌출벽 홈부(17E)는 돌출벽(12)의 전단측(도 4에서 우단측)에서, 전방으로 개구한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후방 돌출벽 홈부(17F)는, 돌출벽(12)의 후단측(도 4에서 좌단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후방으로 개구한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방 돌출벽 공부(17G)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중앙 위치보다도 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또한, 후방 돌출벽 공부(17H)는 돌출벽(12)의 중앙 위치보다도 후방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공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서 전방 돌출벽 공부(17G)와 후방 돌출벽 공부(17H)를 가로막는 중앙 격벽부(12A)와, 동일 방향에서의 전단(우단) 근방 위치에서 전방 돌출벽 홈부(17E)와 전방 돌출벽 공부(17G)를 가로막는 전방 격벽부(12B)와, 동일 방향에서의 후단(좌단) 근방 위치에서 후방 돌출벽 홈부(17F)와 후방 돌출벽 공부(17H)를 가로막는 후방 격벽부(12C)가, 섬 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중앙 격벽부(12A)는, 하부에서 전방 그리고 후방으로 각각 돌출되는 전방 중앙 지지부(12A-1), 후방 중앙 지지부(12A-2)를 갖고 있고,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역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전방 격벽부(12B)는,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전방 돌출벽 홈부(17E)의 상단을 폐색하는 상벽부(12B-1)와, 하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전방 지지부(12B-2)를 갖고 있고,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후방 격벽부(12C)는, 상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후방 돌출벽 홈부(17F)의 일부의 상단을 폐색하는 상벽부(12C-1)와, 하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후방 지지부(12C-2)를 갖고 있고,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전방 격벽부(12B)의 단면 형상을 좌우 반전시킨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벽부(12B-1, 12C-1)의 하면(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환언하면 돌출벽 홈부(17E, 17F)의 상측 내벽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 로크 금구(30)의 외전방 피규제부(34A)의 상연 및 후술하는 로크 해제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 로크부(35B)의 상연에 맞닿아 상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7E-2, 17F-2)으로서 기능한다.
전방 돌출벽 공부(17G)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여 돌출되는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전방 지지부(12B-2)에 의해 하부가 좁혀져 있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후방 돌출벽 공부(17H)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접근하여 돌출되는 후방 중앙 지지부(12A-2) 및 후방 지지부(12C-2)에 의해 하부가 좁혀져 있고,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중앙 지지부(12A-1)가 로크 금구(30)의 전방 피지지부(33A)에 걸어고정되고, 후방 지지부(12C-2)가 로크 금구(30)의 후방 피지지부(33B)에 걸어고정됨으로써,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하방으로의 탈락을 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지지부(12B-2) 및 후방 중앙 지지부(12A-2)는 지지부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의 각각의 전단면(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은,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3A, 33B)의 세로부와 맞닿아,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2A-1A, 12C-2A)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전방 지지부(12B-2)의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전단면, 환언하면, 전방 돌출벽 홈부(17E)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내벽면은, 각각 로크 금구(30)의 외전방 피규제부(34A)와 맞닿아,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면(17E-1)으로서 기능한다.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판부(30B)의 위치에서는,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보아, 도 4에 나타나는 외판부(30A)의 위치에서의 홈부로부터 전방 돌출벽 공부(17G) 및 후방 돌출벽 공부(17H)를 생략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의 요령으로 조립된다. 우선, 리셉터클측 하우징(10)과 2열로 배열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리셉터클측 하우징(10)과 리셉터클 단자(20)를 배열 보유지지한다. 이 결과, 리셉터클 단자(20)의 기부(21)의 일부가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리셉터클 단자(20)의 피보유지지부(23)가 측벽(14)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또한, 접촉 아암부(22)는, 돌출벽(12)의 세로 홈부(12D) 내에 탄성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고, 접속부(24)는, 저벽(11)의 저오목부(11C) 내에서 드러나 위치한다.
다음으로, 실드 부재(4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상방으로부터 부착한다. 이때, 실드 부재(40)의 측판부(42)의 부착 홈부(42A) 내에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측벽(14)의 부착부(14B)가 압입된다. 또한, 측벽(14)의 측방 오목부(14A) 내에 외측 접촉편(47) 및 내측 접촉편(48)이 수용됨과 함께, 단벽(15)의 단 오목부(15A)에 단 부착편(46)이 수용된다.
또한, 다음과 같이, 로크 금구(3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하방으로부터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 내로 수용시킨다. 우선,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3A, 33B)가 각각 단자 배열 방향에서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돌출벽 공부(17G, 17H)와 동일 위치가 되도록 하여, 로크 금구(30)를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로크 금구(3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피지지부(33A, 33B)를 각각 돌출벽 공부(17G, 17H)로 진입시킨다. 이때, 로크 금구(30)의 외판부(30A)의 외기부(31A), 전방 기립부(32A), 중간 기립부(32B), 후방 기립부(32C), 전방 피규제부(34A), 전방 로크부(35A) 및 후방 로크부(35B)는,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저홈부(17A), 전방 단벽 홈부(17B), 하방 돌출벽 홈부(17D), 후방 단벽 홈부(17C), 전방 돌출벽 홈부(17E), 전방 단벽 홈부(17B) 및 후방 돌출벽 홈부(17F)로 진입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로크 금구(30) 내판부(30B)의 내기부(31B), 내전방 피규제부(34C),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도,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의 대응 공간 내에 수용된다.
후방 피규제부(34B, 34D), 연출부(36A, 36B), 로크 해제 조작부(30C) 및 연결부(30D)는, 리셉터클측 하우징(10)보다 후방에서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 외에 위치한다. 또한, 리셉터클측 하우징(10) 외에서는, 실드 부재(40)의 수용부(45C) 내에 로크 금구(30)의 기부(31A, 31B)의 후단부가 수용됨과 함께, 로크 금구(30)의 피규제부(34B, 34D)와 연출부(36A, 36B) 사이의 공간에 실드 부재(40)의 탄성편(45A, 45B)의 선단편(45A-1, 45B-1)이 수용된다.
또한, 로크 금구(30)가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 내를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연출부(36B)의 전단부인 맞닿음부(36B-1)가, 상기 선단편(45A-1, 45B-1)을 전방을 향하여 눌러 탄성편(45A, 45B)을 전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그리고, 로크 금구(30)의 피지지부(33A, 33B)의 각각의 가로부가,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보다도 상방으로 가져와지면, 탄성편(45A, 45B)의 복원력에 의해 내연출부(36B)의 맞닿음부(36B-1)가 후방으로 되밀어내진다. 이 결과, 피지지부(33A, 33B)의 각각의 가로부가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의 바로 위로 가져와진다.
따라서,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가로부가 전방 중앙 지지부(12A-1) 및 후방 지지부(12C-2)에 대하여 하방을 향하여 걸림고정 가능하게 지지되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으로부터의 로크 금구(30)의 탈락이 저지된다. 이때,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A-1, 35B-1)가, 각각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전방 단벽 홈부(17B) 그리고 후방 돌출벽 홈부(17F) 밖으로 돌출되고, 수용부(16) 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크 금구(30) 및 실드 부재(40)가 리셉터클측 하우징(10)에 부착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가 완성된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피지지부(33A, 33B)의 세로부의 측연(좌연) 및 전방 피규제부(34A)의 측연(좌연)이, 각각 전방 중앙 지지부(12A-1)의 규제면(12A-1A), 후방 지지부(12C-2)의 규제면(12C-2A), 전방 돌출벽 홈부(17E)의 규제면(17E-1)에 맞닿아, 후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최대 이동량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30)의 최대 이동량이 규제됨으로써,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5C, 72C)에 대한 로크부(35A, 35B)의 로크량의 최댓값이 규제된다. 따라서, 당해 로크량이 과대해지는 것에 기인하여,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서 피로크 금구(70)가 로크부(35A, 35B)에 상방으로부터 맞닿았을 때에 당해 로크부(35A, 35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금구(30)는,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로부터의 탄성 지지력을 받아 로크부(35A, 35B)가 각각 전방 단벽 홈부(17B) 그리고 후방 돌출벽 홈부(17F)로부터 돌출되는 「로크 위치」(도 4에 나타나는 위치)와, 상기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로크부(35A, 35B)가 각각 전방 단벽 홈부(17B) 그리고 후방 돌출벽 홈부(17F) 내에 수용되는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를, 단자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가 좌우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로크 금구(30)를, 도 4에서 나타나는 자세를 좌우 반전시킨 자세로 해도, 로크 금구 수용 홈부(17)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5∼7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플러그측 하우징(50)과,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에 의해 2열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상대 단자로서의 플러그 단자(60)와,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양단부(후술의 단벽(55))에서 보유지지되는 2개의 피로크 금구(70)를 갖고 있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는, 플러그측 하우징(50)에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를 보유지지하도록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는, 도 2에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되고,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한 일 방향을 길이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51)(도 1 참조)과,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저벽(51)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기립하는 틀 형상의 끼워맞춤부로서의 둘레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벽(55)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으로 둘러싸여 도 2에서의 상방(Z2 방향)으로 개구하는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56)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벽(55)은,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로서의 단 홈부(55A)가, 당해 단벽(55)을 벽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 관통함과 함께 상방(도 1에서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측 하우징(50)은,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를 보유지지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그 형태의 이해를 위해,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더 한층의 설명에 앞서, 우선, 플러그 단자(60) 및 피로크 금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러그 단자(60)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진 띠 형상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1,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당해 플러그 단자(6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각 측벽(54)에 일체 몰드 성형되어 보유지지되어 있고, 당해 측벽(54)의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등간격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플러그 단자(60)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드 부재(40)의 내측 접촉편(48)과 접촉하는 그랜드 단자로서 사용되고, 그 외의 플러그 단자(60)는 리셉터클 단자(20)와 접촉하는 신호 단자로서 사용된다. 당해 플러그 단자(6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벽(51)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커넥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곧은 형상의 접속부(61)와, 당해 접속부(61)에 연속하여 도 2에서의 상방(도 1에서의 하방)을 향하여 굴곡됨과 함께 역 U자 형상(도 1에서는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벽(54)에 매몰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62)를 갖고 있다.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피보유지지부(62)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다리부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와의 접촉을 위한 접촉 다리부(62A)로서 형성되고,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가 상기 리셉터클 단자(20)와의 로크를 위한 로크 다리부(62B)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 다리부(62A)는, 상기 측벽(54)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접촉 다리부(62A)의 판면이 당해 측벽(54)의 내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수용부(56)를 향하여 드러나 있다. 한편, 로크 다리부(62B)는, 상기 측벽(54)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로크 다리부(62B)의 판면이 당해 측벽(54)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드러나 있다. 당해 로크 다리부(62B)의 드러난 판면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로크부(23A)와 걸어고정하기 위한 로크 단차부(62B-1)가 형성되어 있다.
피로크 금구(70)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한 후, 도 5(A),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도 5(A)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후단측에 설치된 피로크 금구(70)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피로크 금구(70)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당해 피로크 금구(70)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에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걸어고정하는 로크 기능을 갖고 있음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드 부재(40)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그랜드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도 2 및 도 5(A),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로크 금구(7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벽(51)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저판부(71)(도 1도 참조)와,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판부(71)의 내측연(도 5(A)에서의 안쪽측의 측연, 도 5(B)에서의 앞쪽측의 측연)으로부터 연장되어 4매 겹침 형상을 이루는 판부(72, 73, 74, 75)(후술의 내측 피로크판부(72), 내측 보강판부(73), 외측 보강판부(74), 외측 피로크판부(75))와, 상기 저판부(71)의 내측연에 직접 연결된 내측 피로크판부(72)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쪽의 측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X2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부(76)와, 당해 측판부(76)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는 상판부(77)와, 당해 상판부(77)의 외측연으로부터 하방(Z1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 판부(78)를 갖고 있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판부(71)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저벽(51)의 저면으로부터 판면이 드러나 있고, 회로 기판의 그랜드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도 5(A),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4매 겹침 형상의 판부(72, 73, 74, 75)는, 저판부(7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저판부(71)의 내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피로크판부(72)와, 당해 내측 피로크판부(72)의 상연에서 되접어 꺾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보강판부(73)와, 당해 내측 보강판부(73)의 하연에서 되접어 꺾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보강판부(74)와, 당해 외측 보강판부(74)의 상연에서 되접어 꺾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피로크판부(75)로 이루어진다.
내측 피로크판부(72)는,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저판부(71)의 내측연과 연결되어 있는 기부(72A)와, 당해 기부(72A)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내측 기립부(72B)와, 당해 내측 기립부(72B)의 상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돌출되는 내측 피로크부(72C)를 갖고 있다.
내측 보강판부(73)는,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73A)와, 당해 기부(73A)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내측 보강부(73B)를 갖고 있다. 기부(73A)는, 그 하연에서 되접어 꺾임부를 거쳐 외측 보강판부(74)와 연결되어 있고, 내측 보강부(73B)는, 그 상연에서 되접어 꺾임부를 거쳐 내측 피로크판부(72)의 내측 기립부(72B)와 연결되어 있다. 내측 보강부(73B)는, 내측 피로크판부(72)의 기립부(72B)보다도 커넥터 폭 방향에서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내측 보강부(73B)의 내측연(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내측 기립부(72B)의 피로크부(72C)의 선단(내단)과 동일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보강판부(73)의 내측 보강부(73B)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측 피로크판부(72)의 내측 기립부(72B) 및 내측 피로크부(72C)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당해 내측 기립부(72B) 및 내측 피로크부(72C)를 보강하고 있다.
외측 보강판부(74) 및 외측 피로크판부(75)는,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 내측 보강판부(73) 및 내측 피로크판부(72)를 단자 배열 방향(판두께 방향)에서 반전시킨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측 보강판부(74)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74A)와, 당해 기부(74A)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외측 보강부(74B)를 갖고 있다. 또한, 외측 피로크판부(75)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하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기부(75A)와, 당해 기부(75A)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외측 기립부(75B)와, 당해 외측 기립부(75B)의 상부의 내측연으로부터 돌출되는 외측 피로크부(75C)를 갖고 있다. 외측 보강판부(74)의 외측 보강부(74B)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 피로크판부(75)의 외측 기립부(75B) 및 외측 피로크부(75C)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당해 외측 기립부(75B) 및 외측 피로크부(75C)를 보강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판부(72, 73, 74, 75)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겹쳐져 배치되어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판부(72, 73, 74, 75)의 범위를 관통함과 함께 상방으로 개구하는 수용 홈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수용 홈부(79)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에 설치된 로크 금구(30)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내판부(30B)의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를 하방으로부터 수용한다.
또한, 판부(72, 73, 74, 75)는, 플러그측 하우징(50)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내측 피로크판부(72)의 피로크부(72C) 및 내측 보강판부(73)의 내측연부(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측 피로크판부(72)의 피로크부(72C)에 대응하는 범위의 측연부)가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 홈부(55A)의 내측 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당해 단 홈부(55A) 내에 위치한다.
피로크 금구(70)가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피로크 금구(70)의 판부(72, 73, 74, 75)의 각각의 기부(72A, 73A, 74A, 75A)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 홈부(55A)를 포함한 범위에서 연장되고, 기립부(72B, 75B) 그리고 보강부(73B, 74B)의 일부(후술의 내측연부를 제외한 부분)는, 단 홈부(55A)의 내측 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따라 단벽(55)의 내부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로크판부(72, 75)의 피로크부(72C, 75C) 및 보강판부(73, 74)의 보강부(73B, 74B)의 내측연부(커넥터 폭 방향에서 72C, 75C에 대응하는 범위의 측연부)가 단 홈부(55A)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당해 단 홈부(55A) 내에 위치한다. 또한, 피로크 금구(70)의 수용 홈부(79)는, 단 홈부(55A) 내에서 커넥터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76), 상판부(77) 및 단 판부(78)는, 각각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의 측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 상면(도 1에서의 하면) 및 단면(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판면이 드러나 있고, 단벽(55)의 측면, 상면 및 단면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76)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단벽(55)의 측면으로부터 드러나는 판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드 부재(40)의 외측 접촉편(47)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7(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도 7(A)에서 우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5C)가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A-1)와 걸어고정되고, 후방(도 7(A)에서 좌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2C)가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B-1)와 걸어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2C) 및 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5C)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로크 금구(30)는, 도 4에서 나타나는 자세를 좌우 반전시킨 자세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2C) 및 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5C)가 피로크부로서 사용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4, 도 6 및 도 7(A)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에 의해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을 수용부(16)가 상방을 향한 자세로 함과 함께,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수용부(56)(도 2 참조)가 하방을 향한 자세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플러그 커넥터(2)를 강하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플러그 커넥터(2)의 수용부(56) 내로 하방으로부터 진입시킴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의 둘레벽(53)을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의 접촉 다리부(62A)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촉부(22A) 혹은 실드 부재(40)의 내측 접촉편(48)에 접압(接壓)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도 6(A), 도 6(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측판부(76)가, 각각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드 부재(40)의 외측 접촉편(47)과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에 설치된 2개의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5C, 72C)가, 각각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A-1, 35B-1)의 상연(경사연)에 맞닿아, 당해 로크부(35A, 35B)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전방(도 4에서의 우방)을 향한 누름력을 갖고 누른다. 로크부(35A, 35B)는, 상기 누름력을 받으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각각 전방 단벽 홈부(17B) 내, 후방 돌출벽 홈부(17F) 내에 수용되어 로크 해제 위치(도 7(B) 참조)로 가져와진다. 이때, 로크부(35A, 35B)의 이동은, 로크 금구(30)의 맞닿음부(36B-1)로 눌러진 탄성 변형부(45)의 탄성 변형(압축)에 의해 허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부(35A, 35B)가 로크 해제 위치로 가져와짐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더 한층의 강하가 허용된다. 그리고, 도 7(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도 7(A)에서 우방)의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피로크부(75C) 그리고 후방(도 7(A)에서 좌방)의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피로크부(72C)가,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A-1, 35B-1)보다도 하방 위치에 도달하면, 당해 로크부(35A, 35B)가 전술의 누름력으로부터 개방된다. 이 결과, 탄성 변형부(45)가 탄성 변형량을 줄이도록 후방으로 복원되어, 당초의 로크 위치로 복귀한다. 로크 위치로 되돌아온 로크 돌출부(35A-1, 35B-1)는, 도 7(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각 대응하는 피로크부(75C, 72C)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당해 피로크부(75C, 72C)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상방)으로 걸림고정 가능하게 위치하여 로크 상태가 된다. 이때, 전방 로크 돌출부(35A-1)의 돌출 선단이, 전방에 설치된 피로크 금구(70)의 외측 보강부(74B)의 판면에 맞닿고, 후방 로크 돌출부(35B-1)의 돌출 선단이, 후방에 설치된 피로크 금구(70)의 내측 보강부(73B)의 판면에 맞닿는다.
또한, 로크 금구(30)의 전방 부보강부(38A) 및 당해 전방 부보강부(38A)에 대응하는 범위에서의 주보강부(37)가, 이에 대응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수용 홈부(79)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한편, 로크 금구(30)의 후방 부보강부(38B) 및 당해 후방 부보강부(38B)에 대응하는 범위에서의 주보강부(37)가, 이에 대응하여 후방에 위치하는 피로크 금구(70)의 수용 홈부(79)로 하방으로부터 진입한다. 이 결과, 로크 금구(30)의 보강부(37, 38A, 38B)가 플러그 커넥터(2)의 단벽(55)의 단 홈부(55A)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자(20, 60)끼리가 서로 접속되고, 외측 접촉편(47)과 측판부(76)가 서로 접속되고, 로크 금구(30, 70)끼리가 로크됨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동작이 완료된다.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2)가 커넥터 발출 방향(상방)으로 뜻하지 않게 들어 올려졌다고 해도, 기립부(32A, 32C) 및 피규제부(34A)의 각각의 상연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규제면(17B-1, 17C-1, 17E-2)에 맞닿기 때문에, 상방을 향한 로크 금구(30)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결과, 로크 금구(30)의 로크부(35A, 35B)와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5C, 72C)의 걸림고정 상태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에 있어서, 내판부(30B)를 설치함과 함께, 당해 내판부(30B)에는 내기부(31B)뿐만 아니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로크부(35A, 35B)를 포함하는 범위에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를 설치함으로써 당해 내판부(30B)의 높이 치수를 크게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로크 금구(30) 전체적으로, 로크 금구(30)에 대한 굽힘 변형, 특히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굽힘 변형에 대한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로크 금구(30)가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로부터 뜻하지 않게 큰 발출력을 받아도, 로크 금구(30)는 굽힘 변형되는 일 없이 당해 발출력에 대항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에 있어서, 보강판부(73, 74)를 설치하여, 피로크부(72C, 75C)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는 보강부(73B, 74B)에 의해 피로크부(72C, 75C)를 보강하고 있다. 따라서, 피로크부(72C, 75C)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로부터 뜻하지 않게 큰 발출력을 받아도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주보강부(37) 및 부보강부(38A, 38B)가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수용 홈부(79) 나아가서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 홈부(55A)의 안쪽부에까지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진입한 치수분만큼, 로크 금구(30)와 피로크 금구(70)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중복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를 상기 치수분만큼 저배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로크 금구(30)가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로부터의 탄성 지지력을 받아 로크 위치로 가져와지면, 로크 금구(30)의 로크 돌출부(35A-1, 35B-1)의 돌출 선단이, 각각 대응하는 피로크 금구(70)의 보강부(74B, 73B)의 판면에 맞닿는다. 이 결과, 당해 보강부(74B, 73B)가 로크 돌출부(35A-1, 35B-1)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으로 눌러져, 동일 방향으로의 플러그 커넥터(2)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커넥터(1, 2)끼리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하여 로크 돌출부(35A-1, 35B-1)와 보강부(74B, 73B)가 서로 충돌하는 것에 기인하는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로크 돌출부(35A-1, 35B-1) 및 보강부(74B, 73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로크 금구(70)는, 1개의 기부(72A)로부터 2개의 기립부(72B)가 기립하고, 또한, 1개의 기부(75A)로부터 2개의 기립부(75B)가 기립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저판부(71) 및 기부(72A, 73A, 74A, 75A)를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분단한 바와 같은 형상, 즉, 1개의 기부로부터 1개의 기립부가 기립하고 있는 부재로서 형성해도 좋다. 피로크 금구를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2개의 피로크 금구로 이루어지는 피로크 금구쌍이 하우징의 각각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된다. 이때, 당해 2개의 피로크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피로크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7(A), 도 7(B)에 기초하여, 커넥터 발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를 발출할 때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로크 해제 조작부(30C)의 누름면(30C-1)을 단자 배열 방향에서 전방(도 7(A)에서 우방)을 향하여 눌러 해제 조작을 행한다. 로크 해제 조작부(30C)가 전방으로의 누름력을 해제 조작력으로서 받으면,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의 탄성편(45A, 45B)이 로크 금구(30)의 맞닿음부(36B-1)로 눌러져 전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그리고, 이미 서술한 커넥터 끼워맞춤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탄성 변형부(45)가 압축되어 탄성 변형하고, 로크부(35A, 35B)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 결과, 도 7(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돌출부(35A-1, 35B-1)가 전방 단벽 홈부(17B) 내, 후방 돌출벽 홈부(17F) 내에 수용되어 로크 해제 위치로 가져와지고, 당해 로크 돌출부(35A-1, 35B-1)와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70)의 피로크부(75C, 72C)의 걸림고정 가능한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발출 방향(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당해 플러그 커넥터(2)가 쉽게 발출되고, 커넥터 발출 동작이 완료된다.
로크 금구(30)의 로크부(35A, 35B)는, 로크 돌출부(35A-1, 35B-1)가 수용부(16) 내에 위치하고 있음과 함께, 그 외의 부분이 전방 단벽 홈부(17B) 내 그리고 후방 돌출벽 홈부(17F) 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로크부(35A, 35B)가 단자 배열 방향, 즉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에서 당해 리셉터클측 하우징(10)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돌출부(35A-1, 35B-1)의 돌출량을 크게 확보해도, 로크 금구(30)의 배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원래 존재하는 상기 범위 내에서 로크부(35A, 35B)의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드 부재(40)의 탄성 변형부(45)의 탄성 변형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로크 금구(30)의 이동이 허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30)와는 다른 부재인 실드 부재(40)에 탄성 변형부(45)를 설치함으로써, 로크부(35A, 35B) 자체에 탄성을 갖게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로크부(35A, 35B) 자체의 강성 나아가서는 강도를 높게 할 수 있어, 안정적인 로크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로크부(35A, 35B)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당해 로크부(35A, 35B)의 강성 나아가서는 강도를 더욱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 상태의 안정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으로서 든 이미 서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 변형 부재가 실드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만큼,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점수가 많아져 제조 비용이 듦과 함께, 커넥터 제조시에 있어서, 탄성 변형 부재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해지는 만큼, 커넥터의 제조 공정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변형부(45)는 실드 부재(40)와 일체를 이루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탄성 변형 부재를 실드 부재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를 제조할 때에, 실드 부재(40)의 부착에 의해 탄성 변형부(45)도 동시에 부착되게 되기 때문에, 탄성 변형 부재를 하우징에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제조가 간단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피로크 금구(30)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로크 금구의 판부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부재를 절삭 가공함으로써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도 8(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2)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플러그 커넥터(102)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1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와 피로크 금구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102)의 플러그측 하우징 및 단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측 하우징 및 단자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도 7(A) 참조).
도 8(A)에 나타나는 플러그 커넥터(10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도 8(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2)의 피로크 금구(170)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재료가 연속하고 있는 속이 꽉 찬 일 부재이고, 금속 부재의 절삭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171)와, 당해 기부(171)의 커넥터 폭 방향 양단 근방 위치에서 당해 기부(171)로부터 기립하는 2개의 기립부(172)와, 당해 기립부(172)의 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 위치에서 당해 기립부(172)의 상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으로 돌출되는 2개의 피로크부(173, 174)(내측 피로크부(173) 및 외측 피로크부(174))와, 당해 기립부(172)의 두께 방향 중간 위치, 즉 상기 내측 피로크부(173)와 상기 외측 피로크부(174)의 사이에서 기립부(172)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보강부(175)를 갖고 있다. 도 7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로크부(173, 174)는, 피로크 금구(170)의 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전체 범위 중 일부에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175)는 상기 전체 범위 중 잔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부(175)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피로크부(173, 174)와 동일한 범위에서 기부(1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기립부(172) 및 2개의 피로크부(173, 174)에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피로크 금구(17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8(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 홈부(55A)의 내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피로크부(173, 174) 및 보강부(175)가 돌출되어 단 홈부(55A) 내에 위치한다. 또한, 피로크 금구(170)의 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피로크부(173)끼리 사이, 외측 피로크부(174)끼리 사이 그리고 보강부(175)끼리 사이에서, 기립부(172)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홈부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피로크 금구(70)의 수용 홈부(79)와 동일하게,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보강부(37, 38A, 38B)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176)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강부(175)가 기립부(172) 및 피로크부(173, 174)에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당해 피로크부(173, 174)는 보다 강고하게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피로크부(173, 174)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로부터 뜻하지 않게 큰 발출력을 받아도 충분한 강도를 갖고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피로크 금구(170)는, 1개의 기부(171)로부터 2개의 기립부(172)가 기립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기부(171)를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분단한 바와 같은 형상, 즉, 1개의 기부로부터 1개의 기립부가 기립하고 있는 부재로서 형성해도 좋다. 피로크 금구를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2개의 피로크 금구로 이루어지는 피로크 금구쌍이 하우징의 각각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된다. 이때, 당해 2개의 피로크 금구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피로크부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당해 2개의 피로크 금구끼리 사이에 수용 홈부가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9(A)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2)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플러그 커넥터(202)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2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2)와 피로크 금구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당해 플러그 커넥터(202)의 플러그측 하우징 및 단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102)의 플러그측 하우징 및 단자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도 9(A) 참조).
도 9(A)에 나타나는 플러그 커넥터(20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춤 접속된다. 도 9(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2)의 피로크 금구(270)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Z축 방향),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 및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재료가 연속하고 있는 속이 꽉 찬 일 부재이고, 금속 부재의 절삭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당해 피로크 금구(270)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피로크 금구(170)로부터 보강부(175)의 대부분(피로크부(173, 174)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생략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로크 금구(270)에 대해서, 상기 피로크 금구(17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100」을 더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형상의 피로크 금구(270)는, 플러그측 하우징(50)의 단벽(55)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9(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 홈부(55A)의 내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피로크부(273, 274)가 돌출되어 단 홈부(55A) 내에 위치한다. 내측 피로크부(273)와 외측 피로크부(274)는 직접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또한, 피로크 금구(270)의 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피로크부(273)끼리 사이, 외측 피로크부(274)끼리 사이에서 기립부(272)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홈부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크 금구(170)의 수용 홈부(176)와 동일하게,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로크 금구(30)의 보강부(37, 38A, 38B)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276)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해서도,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2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서술한 것과 동일하게, 변형예로서, 피로크 금구를 1개의 기부로부터 1개의 기립부가 기립하고 있는 부재로서 형성하여, 2개의 당해 피로크 금구로 이루어지는 피로크 금구쌍을 하우징의 각각의 단벽에서 보유지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피로크 금구로 이루어지는 피로크 금구쌍이 하우징의 각각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0(A)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측 하우징(350)의 단벽(355)은,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에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 홈부(355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 홈부(355A)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벽면끼리의 하부가 단자 배열 방향 내측 위치(수용부(356)측의 위치)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로크 금구쌍을 이루는 2개의 피로크 금구(370)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 홈부(355A)의 양측에 1개씩 배치되어, 단벽(355)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0(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피로크 금구(37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측 하우징(350)(도 10(A) 참조)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371)와, 기부(371)의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1개의 기립부(372)와, 당해 기립부(372)의 상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하여, 즉 단 홈부(355A)(도 10(A) 참조)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370A)와, 기부(371)의 커넥터 폭 방향 외방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여 커넥터 폭 방향에서 기립부(372)와 대면하는 측판부(376)를 갖고 있다. 피로크 금구(370)는, 기부(371), 기립부(372) 및 측판부(376)에 의해,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아,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기부(371)는, 단자 배열 방향 그리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371A)를 갖고 있다. 당해 접속부(371A)는,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하우징(350) 외로 연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의 대응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371)의 저면이 그 전역에 걸쳐 플러그측 하우징(350)의 저면으로부터 드러나 있기 때문에, 당해 기부(371)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371A) 이외의 부분도 실장면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370A)는, 피로크 금구(370)가 플러그측 하우징(350)의 단벽(355)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10(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 홈부(355A)의 내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단 홈부(355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돌출부(3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내측 피로크부(373)로서 형성되고, 또한, 당해 돌출부(3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외측 피로크부(374)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376)는, 플러그측 하우징(350)의 단벽(355)의 측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판면이 드러나 있고, 단벽(355)의 측면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376)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크 금구(70)의 측판부(76)와 동일하게,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단벽(355)의 측면으로부터 드러나는 판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드 부재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별개의 부재를 이루는 2개의 피로크 금구(37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 홈부(355A)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으로 1개씩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돌출부(370A) 이외의 부분이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 홈부(355A)의 범위 외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 홈부(355A)는, 상하 방향에서의 당해 단 홈부(355A)의 전역, 환언하면, 플러그측 하우징(350)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의 대응 부분(도시하지 않음)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비해, 당해 로크 금구의 대응 부분의 진입 가능한 치수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의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는, 이미 서술한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2개의 피로크 금구로 이루어지는 피로크 금구쌍이 하우징의 각각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로크 금구의 기립부는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하고 나서 굴곡되어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에 피로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점에서, 기립부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피로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제4 실시 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도 11(A)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플러그 커넥터에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측 하우징(450)의 단벽(455)은,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커넥터 폭 방향(Y축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로 단자 배열 방향(X축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 홈부(45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로크 금구쌍을 이루는 2개의 피로크 금구(470)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에서 단 홈부(455A)의 양측으로 1개씩 배치되어, 단벽(455)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피로크 금구(47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측 하우징(450)(도 11(A) 참조)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기부(471)와, 기부(471)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수용부(456)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역 U자 형상의 1개의 기립부(472)와, 당해 기립부(472)의 양쪽의 측연부(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부) 중 커넥터 폭 방향 내측(단 홈부(455A)측)의 측연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470A)와, 당해 기립부(472)의 커넥터 폭 방향 외측의 측연부로부터 연장되는 측판부(476)를 갖고 있다.
기부(471)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외측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471A)를 갖고 있다. 당해 접속부(471A)는, 도 1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하우징(450) 외로 연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의 대응 회로부(도시하지 않음)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471)의 저면이 그 전역에 걸쳐 플러그측 하우징(450)의 저면으로부터 드러나 있기 때문에, 당해 기부(471)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부(471A) 이외의 부분도 실장면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립부(472)는, 도 11(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부(471)의 단자 배열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인 상방(Z2 방향)을 향하여 기립하는 내측 다리부(472A)와, 당해 내측 다리부(472A)의 상단에서 굴곡되어 단자 배열 방향 외방(X2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행부(472B)와, 당해 이행부(472B)의 단자 배열 방향의 외측의 단부에서 굴곡되어 하방(Z1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다리부(472C)를 갖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부터 보아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외측 다리부(472C)의 하단부(기립부(472)의 자유단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기립부(472)에 있어서의 다른 부보다도 대폭으로 되어 있고, 당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접속부(471A)보다도 내측에 위치하여,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땜납 접속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470A)는, 피로크 금구(470)가 플러그측 하우징(450)의 단벽(455)에 보유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11(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 홈부(455A)의 내벽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단 홈부(455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돌출부(4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내측 피로크부(473)로서 형성되고, 또한, 당해 돌출부(470A)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외측 피로크부(474)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476)는, 플러그측 하우징(450)의 단벽(455)의 측면(커넥터 폭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판면이 드러나 있고, 단벽(455)의 측면을 보호하고 있다. 또한, 측판부(476)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크 금구(70)의 측판부(76)와 동일하게,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단벽(455)의 측면으로부터 드러나는 판면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드 부재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이미 서술한 제4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상하 방향에서의 단 홈부(455A)의 전역, 환언하면, 플러그측 하우징(450)의 상하 방향 전역에 걸쳐,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금구의 대응 부분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의 커넥터 조립체의 저배화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리셉터클측 하우징
11 : 저벽
12 : 돌출벽
13 : 둘레벽
14 : 측벽
15 : 단벽
16 : 수용부
17 : 로크 금구 수용 홈부
20 : 리셉터클 단자
30 : 로크 금구
31A : 외기부
31B : 내기부
38B : 후방 부보강부
32C : 후방 기립부
32A : 전방 기립부
35A-1 : 전방 로크 돌출부
35B-1 : 후방 로크 돌출부
37 : 주보강부
38A : 전방 부보강부
32B : 중간 기립부
50 : 플러그측 하우징
51 : 저벽
53 : 둘레벽
54 : 측벽
55 : 단벽
55A : 단 홈부
56 : 수용부
60 : 플러그 단자
70 : 피로크 금구
72 : 내측 피로크판부
72A : 기부
72B : 내측 기립부
72C : 내측 피로크부
73 : 내측 보강판부
73A : 기부
73B : 내측 보강부
74 : 외측 보강판부
74A : 기부
74B : 외측 보강부
75 : 외측 피로크판부
75A : 기부
75B : 외측 기립부
75C : 외측 피로크부
79 : 수용 홈부

Claims (8)

  1. 상대 커넥터에 삽발 가능하게 끼워맞춤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당해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일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에서 보유지지되는 피로크 금구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대 커넥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갖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및 상기 단자 배열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의 단벽에서 보유지지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로크 부재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단벽에는,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진입을 허용하는 오목부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을 향하여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로크 금구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기부와, 당해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하는 기립부와, 당해 기립부로부터 커넥터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는 피로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로의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진입을 허용함과 함께, 상기 피로크부가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상기 상대 로크 부재의 로크부와 걸림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의 양측에 걸쳐서 위치하는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부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오목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기립부는, 각각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로크부는, 각각의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1개의 단벽에 대하여 2개 설치되어 있고,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기립부는, 각각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피로크부는, 각각의 상기 기립부로부터 상기 오목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기립부 및 상기 피로크부에 대하여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기부로부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선방으로 기립함과 함께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피로크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당해 피로크부에 연결된 보강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상기 단자 배열 방향 및 상기 커넥터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재료가 연속하고 있는 속이 꽉 찬 일 부재인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크 금구는, 금속판제이고, 당해 금속판의 판두께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복수의 판부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겹쳐진 겹침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기립부 및 상기 피로크부는, 복수의 상기 판부 중 일부의 판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복수의 상기 판부 중 상기 일부의 판부에 인접하는 다른 판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와, 당해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고, 당해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상기 피로크 금구의 상기 피로크부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걸림고정 가능한 로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70100849A 2016-09-08 2017-08-0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163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5680 2016-09-08
JPJP-P-2016-175680 2016-09-08
JPJP-P-2017-089771 2017-04-28
JP2017089771A JP6696933B2 (ja) 2016-09-08 2017-04-28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67A true KR20180028367A (ko) 2018-03-16
KR102163469B1 KR102163469B1 (ko) 2020-10-08

Family

ID=6169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0849A KR102163469B1 (ko) 2016-09-08 2017-08-09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96933B2 (ko)
KR (1) KR102163469B1 (ko)
TW (1) TWI6946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205A (ko) * 2018-12-27 2020-07-0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8752B2 (ja) * 2017-12-14 2022-02-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188569B2 (ja) * 2019-04-24 2022-12-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7411882B2 (ja)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17855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7403085B2 (ja) 2020-01-15 2023-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8269A (ja) * 2010-03-31 2011-11-1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3157188A (ja) * 2012-01-30 2013-08-15 Daiichi Seiko Co Ltd 配線基板連結装置
JP2014093180A (ja) * 2012-11-02 2014-05-19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5170500A (ja) 2014-03-07 2015-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9093787B2 (en) * 2013-03-15 2015-07-28 Amphenol Corporation Latching connector assembly
JP5872503B2 (ja) * 2013-04-18 2016-03-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TW201530930A (zh) * 2014-01-17 2015-08-01 Aces Electronics Co Ltd 電連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8269A (ja) * 2010-03-31 2011-11-10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3157188A (ja) * 2012-01-30 2013-08-15 Daiichi Seiko Co Ltd 配線基板連結装置
JP2014093180A (ja) * 2012-11-02 2014-05-19 Hirose Electric Co Ltd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5170500A (ja) 2014-03-07 2015-09-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205A (ko) * 2018-12-27 2020-07-07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CN111403964A (zh) * 2018-12-27 2020-07-10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10811824B2 (en) 2018-12-27 2020-10-20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KR20210025562A (ko) * 2018-12-27 2021-03-09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CN111403964B (zh) * 2018-12-27 2021-06-29 莫列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KR20210154131A (ko) * 2018-12-27 2021-12-20 몰렉스 엘엘씨 커넥터 조립체
US11431132B2 (en) 2018-12-27 2022-08-30 Molex Llc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3211A (zh) 2018-04-01
KR102163469B1 (ko) 2020-10-08
TWI694646B (zh) 2020-05-21
JP2018045992A (ja) 2018-03-22
JP6696933B2 (ja)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367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80028366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333239B2 (en) Connector
US7658654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TWI766039B (zh) 電路基板用電連接器
US10566735B2 (en) Connector
KR10166081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07809017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CN114361863A (zh) 连接器
JP2002124329A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CN109004459B (zh) 电连接器
CN111355096B (zh) 分割连接器
CN110299648B (zh) 连接器
WO2022255060A1 (ja) ジョイント端子
JP7484764B2 (ja) コネクタ
JP2014035945A (ja) コネクタ
US20230352869A1 (en) Connector
JP2024068361A (ja) 固定構造
JP2021022474A (ja) コネクタ
JP2022091258A (ja) コネクタ
JP202214902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対
CN117837027A (zh) 连接器
CN112563833A (zh) 连接器
JP202008767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