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512A - 연료 전지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7512A KR20180027512A KR1020187000820A KR20187000820A KR20180027512A KR 20180027512 A KR20180027512 A KR 20180027512A KR 1020187000820 A KR1020187000820 A KR 1020187000820A KR 20187000820 A KR20187000820 A KR 20187000820A KR 20180027512 A KR20180027512 A KR 20180027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ous
- porous metal
- metal body
- anode
- poros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2—Metals or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C25B11/031—Porous 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31—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01M2300/0074—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 H01M2300/0077—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based on zirconium oxi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01M4/9025—Oxide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H01M4/9033—Complex oxides, optionally doped, of the type M1MeO3, M1 being an alkaline earth metal or a rare earth, Me being a metal, e.g. perovsk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01M8/125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the electrolyte containing zirconium ox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체 전해질층이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MEA와,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가스 공급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인터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속 다공체가, 상기 가스 공급구에 대향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S)와, 상기 금속 다공체(S) 이외의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H)를 갖고,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이, Ps<Ph의 관계를 충족하는, 연료 전지.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5년 7월 16일 출원의 일본출원 제2015-142287호, 2016년 1월 29일 출원의 일본출원 제2016-01668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일본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연료 전지는, 수소 등의 연료 가스와 공기(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장치이고, 화학 에너지를 전기로 직접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높다. 그 중에서도, 동작 온도가 1000℃ 이하인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이하, SOFC라고 칭함)는, 반응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유망시되고 있다. SOFC에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층이 세라믹스(소결체)에 의해 형성되는 2매의 전극의 사이에 끼워져 일체화된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 막-전극 접합체)가 사용된다. 즉, MEA의 구성 요소가 모두 고체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통상, 큰 전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MEA가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다. MEA끼리의 사이에는, 연료 가스와 공기를 분리하는 인터커넥터(세퍼레이터)가 배치된다. 연료 전지에는, MEA에 연료 가스 혹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MEA에 인접하는 가스 유로가 필요하다.
가스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MEA와 인터커넥터의 사이에 익스팬드 메탈(expand metal)이 배치되어 있다. 인터커넥터에는, 통상, MEA에 연료 가스 혹은 공기(이하, 통합하여 원료 가스라고 칭함)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구 및, 미반응의 원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일정한 기공률을 갖는 익스팬드 메탈을 사용하는 경우, 원료 가스는, 가스 공급구로부터 가스 배출구로 직선적으로 흐르기 쉬워, 가스 확산성이 뒤떨어진다.
특허문헌 2에서는, 원료 가스의 확산성을 높이고, MEA에 균일하게 원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인터커넥터에 에칭 등에 의해, 가스 유로가 되는 복잡한 딤플(dimple)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국면은,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체 전해질층이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MEA와,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가스 공급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인터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속 다공체가, 상기 가스 공급구에 대향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S)와, 상기 금속 다공체(S) 이외의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H)를 갖고,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이, Ps<Ph의 관계를 충족하는, 연료 전지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의 주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금속 다공체의 골격의 일부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골격의 일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터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top view)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도 8A, 도 8B).
도 9는 직선 L1 및 Lθ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SOEC 방식을 이용한 수소 제조 장치의 주요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실시예 1-1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실시예 1-2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실시예 1-3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실시예 1-4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실시예 2-1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실시예 2-2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실시예 2-3에 따른 연료 전지의 가스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려는 과제]
인터커넥터에는, 우수한 내열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인터커넥터의 재료로서, 통상, 크롬 함유율이 높은 스테인리스강(크롬기 합금)이 이용된다. 크롬기 합금은 단단하여, 가공성이 저하하기 쉽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와 같이, 인터커넥터에 딤플 가공을 행하여 복잡한 가스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설비나 조건이 필요해져,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생산 효율이 저하한다. 연료 전지는, MEA와 인터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 단위로 하여, 통상, 복수(예를 들면, 50매 이상)를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터커넥터 1매당의 가공 비용의 상승에 의해, 연료 전지의 비용은 크게 상승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우수한 가스 확산 성능을 갖는 고체 산화물형의 연료 전지(SOFC)가 얻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내용을 열기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연료 전지는,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체 전해질층이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MEA와,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가스 공급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인터커넥터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1 금속 다공체는, 상기 가스 공급구에 대향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S)와, 상기 금속 다공체(S) 이외의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H)를 갖고,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이, Ps<Ph의 관계를 충족한다. 이에 따라, 가스 확산 성능이 향상된다.
(2) 상기 금속 다공체(S)는, 추가로 상기 가스 배출구에 대향하고 있고, 또한, 상기 가스 공급구의 중심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중심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띠 모양의 형상이라도 좋다. (3)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S)는, 상기 가스 공급구의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가스 확산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4) 상기 기공률(Ps)은, 85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확산성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이다.
(5) 상기 인터커넥터의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는 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커넥터의 가공 비용이 삭감되기 때문이다.
(6) 추가로,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적층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제2 금속 다공체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더 한층 가스 확산성의 향상, 혹은, 집전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2 금속 다공체는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의 상기 골격과 상기 제2 금속 다공체의 상기 골격은 서로 얽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8) 상기 제2 금속 다공체는,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캐소드 또는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기공경(pore size)이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집전성이 더욱 향상된다.
(9)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는, 적어도 상기 애노드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금속 다공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한층 발전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 상기 기공률(Ps)에 대한 상기 기공률(Ph)의 비율이 1.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스 확산 성능이 향상된다.
(11)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경이 100∼1000㎛이고,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경이 300∼3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세]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연료 전지)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연료 전지를, 도 1∼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연료 전지의 일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금속 다공체의 골격의 일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그 골격의 일부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터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금속 다공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MEA, 인터커넥터 및 제1 금속 다공체가 원형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EA(1), 인터커넥터(3) 및 제1 금속 다공체(2)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이라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10)는, MEA(1)를 구비한다. MEA(1)는, 캐소드(1c)와, 애노드(1a)와, 캐소드(1c) 및 애노드(1a)의 사이에 개재되고,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층(이하, 고체 전해질층(1b)으로 칭함)을 구비한다. 애노드(1a)에 대향하도록,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제1 금속 다공체(2)가 배치되어 있다. 추가로, 제1 금속 다공체(2)에 대향하도록, 인터커넥터(3)가 배치되어 있다.
인터커넥터(3)에는, MEA(1)에 제1 금속 다공체(2)를 개재하여 원료 가스(연료 가스 또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구(4)와, 미반응의 원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5a 및 5b)(이하, 통합하여 간단히 가스 배출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원형의 가스 공급구(4)가 인터커넥터(3)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2개의 원형의 가스 배출구(5a 및 5b)가 인터커넥터(3)의 외주부에, 가스 공급구(4)와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스 공급구(4) 및 가스 배출구의 수, 형상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스 공급구(4) 및 가스 배출구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라도 좋다. 또한, 가스 공급구(4)는, 예를 들면, 인터커넥터(3)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가스 배출구는, 인터커넥터(3)의 가스 공급구(4)와는 반대측의 외주부에 1개 이상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서는, 애노드(1a)에 대향하도록 제1 금속 다공체(2)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금속 다공체(2)는, 캐소드(1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도 좋고, 애노드(1a) 및 캐소드(1c)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제1 금속 다공체(2)가 배치되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연료 가스의 이용 효율이 높아짐으로써, 런닝 비용이 저감되는 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는, 적어도 애노드(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노드(1a)측은 환원 분위기하이기 때문에, 금속 다공체의 재료가 제한되지 않는 점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애노드(1a)에 대향하도록 제1 금속 다공체(2)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금속 다공체)
제1 금속 다공체(2)(금속 다공체 S, H) 및 후술하는 제2 금속 다공체(6)는,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고 있고, 예를 들면, 부직포 형상의 구조나, 스펀지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공공(void) 및 금속제의 골격을 갖는다. 예를 들면, 스펀지 형상의 구조를 갖는 금속 다공체는, 공공 및 금속제의 골격을 갖는 복수의 셀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셀의 1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십이면체로서 나타낼 수 있다. 공공(101)은, 섬유상 또는 봉형상의 금속 부분(섬유부(102))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복수가 3차원적으로 늘어서 있다. 셀의 골격은, 섬유부(102)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된다. 셀에는, 섬유부(102)에 의해 둘러싸인 대략 오각형의 개구(또는 창)(103)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셀끼리는, 1개의 개구(103)를 공유하면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즉, 금속 다공체의 골격은, 연속하는 복수의 공공(101)을 구획하면서, 그물코 형상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섬유부(102)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골격을,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이라고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부(102)는, 내부에 공동(102a)을 갖고 있어도 좋고, 즉, 중공이라도 좋다. 중공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는, 부피가 큰 3차원 구조를 가지면서도, 매우 경량이다.
이러한 금속 다공체는, 예를 들면, 연통공을 갖는 수지제의 다공체를, 금속으로 피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금속에 의한 피복은, 예를 들면, 도금 처리법, 기상법(증착,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스퍼터링 등), 금속 페이스트의 도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금속에 의한 피복 처리에 의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금속에 의한 피복에는, 도금 처리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도금 처리법으로서는, 수지제 다공체의 표면(내부의 공극의 표면도 포함함)에,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면 좋고, 공지의 도금 처리 방법, 예를 들면, 전해 도금법, 용융염 도금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금 처리법에 의해, 수지제 다공체의 형상에 따른,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금속 다공체가 형성된다. 즉, 얻어지는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상기 수지제 다공체의 기공경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금속 분말의 소결체인 경우, 그 기공경은, 혼합되는 바인더 분말의 종류나 입경, 혼합 비율 등에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소결체의 기공경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전해 도금법에 의해 도금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전해 도금에 앞서, 도전성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층은, 수지제 다공체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 증착, 스퍼터링 등의 외, 도전제의 도포 등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도전제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수지제 다공체를 침지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수지제의 다공체로서는, 연통공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지 발포체, 수지제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얻어지는 금속 다공체에 연통공이 형성되기 쉬운 점에서, 수지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다공체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금속 피복 처리 후에, 금속의 3차원 그물코 형상 골격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분해 또는 용해 등에 의해 골격의 내부를 중공으로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열 경화성 폴리우레탄, 멜라민 수지 등의 열 경화성 수지;올레핀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열 가소성 폴리우레탄 등의 열 가소성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이즈나 형상이 보다 균일한 공공이 형성되기 쉬운 관점에서, 열 경화성 폴리우레탄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격 내의 수지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분해 또는 용해되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 후, 골격 내에 잔존한 성분(수지, 분해물, 미반응 모노머, 수지에 포함되는 첨가제 등)을 세정 등에 의해 제거해도 좋다. 수지는, 필요에 따라, 적당히 전압을 인가하면서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거해도 좋다. 또한, 이 가열 처리는, 용융염 도금욕에, 도금 처리한 다공체를 침지한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면서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금속 피복 처리 후, 내부의 수지를 제거하면, 금속 다공체의 골격의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중공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금속 다공체는, 수지제 발포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3차원 그물코 구조의 골격을 갖는다. 또한, 시판의 금속 다공체로서는,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의 「알루미늄 셀멧(Aluminum CELMET)」(등록상표)이나 구리 또는 니켈의 「셀멧」(등록상표)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금속 다공체)
제1 금속 다공체(2)는, MEA(1)와 인터커넥터(3)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제1 금속 다공체(2)는, 주로, 가스 공급구(4)로부터 공급된 원료 가스를 확산하여, MEA(1)에 공급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1 금속 다공체(2)는, 기공률이 상이한 적어도 2종류의 금속 다공체를 각각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인터커넥터(3)의 형상에 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각 금속 다공체는, 예를 들면 시트형상으로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고 있고, 각각의 기공률은 균일하다. 금속 다공체는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소성 변형하기 쉽다.
그 때문에,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동일 평면상에 극간없이 배치할 수 있다. 제1 금속 다공체(2)를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 다공체는, 그 골격끼리가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금속 다공체끼리의 접합(골격끼리의 얽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금속 다공체(2)는, 적어도 가스 공급구(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금속 다공체(S)와, 상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금속 다공체(H)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금속 다공체(2)의 가스 공급구(4)에 대향하는 부분(s)(도 5a 참조)에 배치되는 금속 다공체가 금속 다공체(S)이고, 제1 금속 다공체(2)를 구성하는 금속 다공체(S) 이외의 금속 다공체가, 금속 다공체(H)이다. 이 때,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은, Ps<Ph의 관계를 충족한다. 그 중에서도, 기공률(Ps)에 대한 Ph의 비율(Ph/Ps)은 1.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공급구(4)로부터 제1 금속 다공체(2)에 공급되는 원료 가스는, 가스 공급구(4) 부근에 체류하기 쉽다. 제1 금속 다공체(2)에 있어서의 가스 공급구(4)에 대향하는 부분(s)에 배치되는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을, 다른 부분보다 작게 함으로써, 원료 가스는, 가스 공급구(4)로부터 떨어진 기공률이 큰 금속 다공체(H)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가스 확산성이 향상되고, 가스 이용율이 향상된다. 그 결과, 발전 효율이 높아진다. 이하, 제1 금속 다공체(2) 중, 금속 다공체(S)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1 영역(SR), 금속 다공체(H)가 차지하는 영역을 제2 영역(HR)이라고 칭한다.
제1 영역(SR)을 제1 금속 다공체(2)의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영역(SR)은,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공급구(4), 나아가 가스 배출구(5a 및 5b)에 대향하고, 가스 공급구(4)의 중심(C4)과 가스 배출구(5(5a, 5b))의 중심(C5(C5a, C5b))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 LI(도 4 참조)을 따른 띠 모양의 형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 제2 영역 HR(HR1 및 HR2)을 제1 금속 다공체(2)의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면, 제1 영역(SR)을 사이에 끼고 서로 마주 보는 대략 반원형이다.
제1 금속 다공체(2)에 공급된 원료 가스는, 가스 공급구(4) 부근에 체류하거나, 혹은, 가스 공급구(4)로부터 가스 배출구(5a 및 5b)로 향하는 방향, 즉 직선(LI)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그 때문에, 원료 가스는, 제1 금속 다공체(2)의 직선(LI)에 대응하는 직선(L)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는, 특히 확산되기 어렵다. 직선(L)을 포함하는 제1 영역(SR)의 기공률(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동일. 이하, 제1 영역(SR)의 기공률을 기공률(Ps)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을, 제2 영역(HR)의 기공률(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과 동일. 이하, 제2 영역(HR)의 기공률을 기공률(Ph)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보다 작게 함으로써, 원료 가스는, 제1 금속 다공체(2)의 직선(L) 상으로부터 떨어진 부분에까지 확산되기 쉬워진다.
제1 영역(SR)의 형상은, 제1 금속 다공체(2)의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공급구(4)의 중심(C4)(도 4 참조)에 대응하는 점(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구(4)로부터 제1 금속 다공체(2)(2C)에 공급된 원료 가스는, 점(C)으로부터, 기공률이 보다 큰 제2 영역(HR)을 향하여 확산된다.
제1 영역(SR)의 형상은, 제1 금속 다공체(2)의 주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공급구(4)의 중심(C4)에 대응하는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이라도 좋다.
이 경우도, 상기와 동일하게, 가스 공급구(4)로부터 제1 금속 다공체(2)에 공급된 원료 가스는, 점(C)으로부터, 기공률이 보다 큰 제2 영역(HR)을 향해 확산된다. 도 7a에서는, 제1 영역(SR)의 형상이 정다각형(정팔각형)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1 영역(SR)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각형∼12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도시예와 같이 모든 변의 길이가 동일한 정다각형이라도 좋고, 변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은 다각형이라도 좋다.
제2 영역(HR)은, 복수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영역(HR)을, 제1 영역(SR)에 인접하고, 직선(L)에 평행한 띠 형상의 분할 영역(HR1 및 HR2)과, 분할 영역(HR1 및 HR2)에 각각 인접하고, 나머지의 부분을 차지하는 분할 영역(HR3 및 HR4)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이용하여 각 분할 영역(HR1∼HR4)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영역(HR)을, 원형의 제1 영역(SR)을 둘러싸고, 제1 영역(SR)과 동심의 환상 영역인 분할 영역(HR1)과, 분할 영역(HR1)을 둘러싸고, 제1 영역(SR)과 동심의 환상 영역인 분할 영역(HR2)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이용하여 각 분할 영역(HR1 및 HR2)을 구성해도 좋다. 추가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영역(HR)을, 다각형의 제1 영역(SR)을 둘러싸고, 제1 영역(SR)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다각형의 분할 영역(HR1)과, 분할 영역(HR1)을 둘러싸는 분할 영역(HR2)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이용하여 각 분할 영역(HR1 및 HR2)을 구성해도 좋다. 이 때, 각 분할 영역을 구성하는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은 상이해도 좋다. 또한, 분할 영역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경우, 기공률(Ps)이, 제2 영역(HR) 전체의 기공률(Ph)보다도 작아지도록, 각 분할 영역(HR1 등)을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을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각 분할 영역의 어느 하나는, 기공률이 제1 영역(SR)보다도 작은 금속 다공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즉, 제2 영역(HR)이 복수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되는 경우, 기공률(Ph)은, 당해 복수의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 및 체적 비율을 고려하여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기공률 Ph(체적%)는, 분할 영역(HR1)의 기공률(체적%)×분할 영역(HR1)의 제2 영역(HR)에 차지하는 체적 비율+…+분할 영역(HRn)의 기공률(체적%)×분할 영역(HRn)의 제2 영역(HR)에 점유하는 체적 비율에 의해 구해진다. 각 분할 영역의 기공률(체적%)은,{1-(각 분할 영역의 겉보기 비중/각 분할 영역을 구성하는 금속의 참비중)}×100으로 구해진다.
도 5b에 나타내는 금속 다공체(2B)의 경우,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각 분할 영역의 기공률이 직선(L)으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멀수록 커지도록, 각 분할 영역에 기공률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금속 다공체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영역(HR1, HR3)의 각 기공률(Ph1, Ph3)이 Ph1<Ph3의 관계를 충족하고, 또한, 분할 영역(HR2, HR4)의 각 기공률(Ph2, Ph4)이 Ph2<Ph4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각 분할 영역에 기공률이 상이한 금속 다공체를 배치한다. 기공률(Ph1와 Ph2), 또는, 기공률(Ph3와 Ph4)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분할 영역(HR1와 HR3)의 형상, 또는, 분할 영역(HR2와 HR4)의 형상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또한, 도 5b에서는, 제2 영역(HR)을 4개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영역(HR)을 3∼7개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해도 좋다.
이 때, 각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제2 영역(HR)을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a 및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영역(HR)을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는, 제1 영역(SR)(금속 다공체(S))에 평행한 띠 모양의 형상이라도 좋고, 제2 영역(HR)을 직선(L)에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한 바와 같은 형상(도시하지 않음)이라도 좋다. 또한, 제2 영역(HR)을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이라도 좋다.
도 6b 및 7b에 나타내는 금속 다공체(2D 및 2F)의 경우,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분할 영역(HR1 및 HR2)의 기공률이, 점(C)으로부터의 최단 거리가 멀수록 커지도록, 각 분할 영역에 기공률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금속 다공체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영역(HR1 및 HR2)의 각 기공률(Ph1, Ph2)이 Ph1<Ph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각 분할 영역으로서 기공률이 상이한 금속 다공체를 배치한다.
또한, 제1 영역(SR)을, 복수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해도 좋다. 즉, 제1 영역(SR)에는, 부분(s)의 일부를 포함하는 금속 다공체가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부분(s)을 일부라도 포함하는 금속 다공체는, 모두 금속 다공체(S)이다. 제1 영역(SR)이 복수의 분할 영역(a1, …, an)을 구비하는 경우, 기공률(Ps)은, 각 분할 영역(a1, …, an)의 기공률 및 체적 비율을 고려하여 구해진다. 즉, 기공률(Ps)(체적%)은, 분할 영역(a1)의 기공률(체적%)×분할 영역(a1)의 제1 영역(SR)에 차지하는 체적 비율+…+분할 영역(an)의 기공률(체적%)×분할 영역(an)의 제1 영역(SR)에 차지하는 체적 비율에 의해 구해진다.
추가로, 제1 금속 다공체(2)에 있어서, 직선(L)을 포함하는 영역의 기공률이 작아짐과 더불어, 점(C)으로부터 외주부를 향해 기공률이 커지도록, 기공률이 상이한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배치해도 좋다. 가스 확산성의 더 한층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다공체(2G)가, 점(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제1 영역(SR)과 이를 둘러싸는 제2 영역(HR)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영역(SR)을 방사상으로 8개로 등분한다. 즉, 금속 다공체(S)를, 상이한 기공률을 갖고, 점(C)을 정점으로 하는 부채형의 복수의 금속 다공체(a1∼a3)에 의해 구성한다. 이 때, 금속 다공체(a1∼a3)는, 각각 부분(s)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에서는, 각각 2개의 금속 다공체(a1∼a3)가, 제1 영역(SR)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SR)에 있어서, 직선(L)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a1)의 기공률(Pa1)을, 다른 분할 영역(a2 및 a3)의 기공률(Pa2, Pa3)보다도 작게 한다(Pa1<Pa2, Pa3). 또한, 분할 영역(a1)에 인접하는 분할 영역(a2)의 기공률은, 분할 영역(a3)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Pa2<Pa3).
또한, 제2 영역(HR)을 환상의 분할 영역(HR1 및 HR2)으로 분할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영역(SR) 전체의 기공률(Ps)이 제2 영역(HR) 전체(HR1 및 HR2)의 기공률(Ph)보다도 작아지도록, 분할 영역(HR1 및 HR2)의 각 기공률을 설정하면 좋다.
분할 영역(HR1 및 HR2)을 추가로 복수의 부분(b1∼b3, c1∼c2)으로 분할하도록, 각 분할 영역을 복수의 기공률이 상이한 금속 다공체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이 때, 분할 영역(HR1 및 HR2)에 대해서도, 직선(L) 혹은 그 연장선을 포함하는 부분(b1 및 c1)의 기공률이, 다른 부분(b2, b3 및 c2)보다 작아지도록, 각 금속 다공체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는, 분할 영역(HR1)을 방사상으로 8개로 등분하고, 분할 영역(HR2)을 4개로 분할하고 있다. 분할 영역(HR1)에 있어서, 부분(b1)에 인접하는 부분(b2)의 기공률은, 부분(b3)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Pb2<Pb3).
분할 영역(HR1 및 HR2)의 기공률의 대소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제1 금속 다공체(2G)에 점(C)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상의 직선을 그었을 때, 이 직선상에 있어서, 점(C)으로부터 외주부를 향해 기공률이 커지는 관계, 즉, 분할 영역(HR1)의 기공률<분할 영역(HR2)의 기공률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스 공급구(4)로부터 외주부를 향하여, 한층 더 가스가 확산되기 쉬워진다.
분할 영역(HR1 및 HR2)을 추가로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경우, 동일한 분할 영역 내에 있어서의 기공률의 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C)과, 직선(L)의 연장선과 제1 금속 다공체(2)의 외연의 교점의 한쪽을 연결하는 직선(L1)을 긋는다. 직선(L1)이 이루는 각도가 θ(0°≤θ≤90°)인 직선(Lθ)을 그은 경우, 각도(θ)가 커짐에 따라, 이 직선(Lθ)상에 있어서의 기공률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선(L1)과 직선(Lθ)이 직교(θ=90°)하는 경우, 직선(Lθ)을 포함하는 부분의 기공률은, 동일한 영역의 다른 부분보다도 크다. 이에 따라, 가스 배출구(5)(5a, 5b)로부터 떨어진 외주부에도, 가스가 확산되기 쉬워진다.
제1 영역(SR)(금속 다공체(S))의 제1 금속 다공체(2)에 차지하는 비율(R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비율(Rs)은, 1∼20체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체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율(Rs)은, 금속 다공체(S)의 골격 부분(섬유부(102)) 및 공공(101) 부분의 체적의 합(금속 다공체(S)의 겉보기 체적)을 제1 금속 다공체(2)의 겉보기 체적으로 나눈 것에 100을 곱하여 구해진다.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기공률(Ps)은, 70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체적%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체적%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공률(Ps)은, 100체적% 미만이고, 98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6체적%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4체적%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하한값과 상한값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은, 기공률(Ps)보다 큰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기공률(Ph)은, 85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8체적%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체적%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공률(Ph)은, 100체적% 미만이고, 99.5체적% 이하라도 좋고, 99체적% 이하라도 좋다. 이들 하한값과 상한값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금속 다공체(S)의 기공경(D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 다공체(S)의 기공경(Ds)은, 금속 다공체(H)의 기공경(Dh)보다 작아도 좋다. 그 중에서도,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기공경(Ds)은,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다공체(H)의 기공경(Dh)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기공경(Dh)은, 100∼5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17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공경(Ds)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우선, 금속 다공체(S)로부터 임의의 개구(103a)를 1개 선택한다. 이 개구(103a)에 수용되는 최대의 정원(perfect circle)(C)(도 2 참조)의 직경(Dp)과, 동일한 개구(103a)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의 정원의 직경을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것을 개구(103a)의 기공경(Da)으로 한다. 동일하게 하여, 금속 다공체가 갖는 다른 임의의 복수(예를 들면, 9개)의 개구(103b∼103j)의 각 기공경(Db∼Dj)을 구하고, 이들 10개의 개구(103a∼103j)의 각 기공경(Da∼Dj)의 모두의 평균값을, 기공경(Ds)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다공체(S)의 주면의 SEM 사진에 있어서, 개구(103)의 전체가 10개 이상 포함되는 영역(R)을 결정한다. 영역(R)에 포함되는 개구(103) 중, 예를 들면 10개를 랜덤으로 선택하고, 각 개구(103a∼103j)에 대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기공경(Da∼Dj)을 산출한다. 산출된 각 개구(103a∼103j)의 기공경(Da∼Dj)의 모두의 평균값을 기공경(Ds)으로 한다.
금속 다공체(S)가 복수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의 방법에 의해, 각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을 구하고, 각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에 금속 다공체(S)에 차지하는 각 금속 다공체의 체적 비율을 곱한 수치의 합을, 금속 다공체(S) 전체의 기공경(Ds)으로 한다. 기공경(Dh)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이하의 각 물성값에 관해서도, 금속 다공체(S) 및/또는 금속 다공체(H)가 복수의 금속 다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와 같이, 각 금속 다공체의 체적 비율을 고려하여 구할 수 있다.
금속 다공체(S)에 있어서의 공공(101)의 지름(셀 지름)(Vs)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셀 지름(Vs)은, 1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다공체(H)의 셀 지름(Vh)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압력 손실의 관점에서, 셀 지름(Vh)은, 300∼35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3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다공체(S)의 셀 지름(Vs)은, 금속 다공체(H)의 셀 지름(Vh)보다 작아도 좋다.
셀 지름(Vs)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해진다. 우선, 금속 다공체(S)에 있어서의 공공(101) 중으로부터 임의의 공공(101a)을 1개 선택한다. 이 공공(101a)에 수용되는 최대의 구체의 직경과, 공공(101a)을 수용할 수 있는 최소의 구체(S)(도 2 참조)의 직경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이를 공공(101a)의 셀 지름(Vsa)으로 한다. 동일하게 하여, 금속 다공체(S)에 있어서의 다른 임의의 복수(예를 들면, 9개)의 공공(101b∼101j)의 각 셀 지름(Vsb∼Vsj)을 구하고, 이들 10개의 공공(101a∼101j)의 각 셀 지름(Vsa∼Vsj)의 모두의 평균값을, 셀 지름(Vs)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다공체(S)의 주면의 SEM 사진으로부터, 외연의 명료한 공공(101)을 10개, 랜덤으로 선택한다. 이 10개의 공공(101a∼101j)에 대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셀 지름(Vsa∼Vsj)을 산출한다. 산출된 각 공공(101a∼101j)의 셀 지름(Vsa∼Vsj)의 평균값을 셀 지름(Vs)으로 한다. 셀 지름(Vh)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제1 금속 다공체(2)를 구성하는 금속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제1 금속 다공체(2)가 애노드(1a)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금속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Cu), Cu 합금(구리와, 예를 들면 철(Fe), 니켈(Ni), 규소(Si), 망간(Mn) 등과의 합금), Ni 또는 Ni 합금(Ni와, 예를 들면 주석(Sn), 크롬(Cr), 텅스텐(W) 등과의 합금), 알루미늄(Al) 또는 Al 합금(Al과, 예를 들면 Fe, Ni, Si, Mn 등과의 합금), 스테인리스강 등을 들 수 있다. 제1 금속 다공체(2)가 캐소드(1c)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제1 금속 다공체(2)는, Cr 등의 높은 내산화성을 갖는 금속과 Ni의 합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다공체(S)를 구성하는 금속과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금속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의 비표면적(BET 비표면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표면적은, 예를 들면, 각각 100∼9000㎡/㎥라도 좋고, 200∼6000㎡/㎥라도 좋다. 금속 다공체(S)의 비표면적은, 금속 다공체(H)의 비표면적보다 커도 좋다.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에 있어서의 개구(103)의 밀도(셀 밀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셀 밀도는, 각각 5∼100개/2.54㎝인 것이 바람직하고, 5∼70개/2.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셀 밀도란, 금속 다공체의 표면에 길이 1인치(=2.54㎝)의 직선을 그었을 때, 이 직선상에 존재하는 개구(103)의 수이다. 금속 다공체(S)의 셀 밀도는, 금속 다공체(H)의 셀 밀도보다 커도 좋다.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의 골격(섬유부(102))의 폭(Wf)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폭(Wf)은, 예를 들면, 각각 3∼500㎛라도 좋고, 10∼500㎛라도 좋다. 금속 다공체(S)의 폭은, 금속 다공체(H)의 폭보다 커도 좋다.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 전체의 두께(T1)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T1)는, 예를 들면, 제1 금속 다공체(2)의 임의의 10개소의 두께의 평균값이다.
(제2 금속 다공체)
제1 금속 다공체(2)에,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제2 금속 다공체(6)를 적층해도 좋다.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률(P2)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치 장소 및 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제2 금속 다공체(6)도, 복수의 금속 다공체를 조합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제2 금속 다공체(6)는,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다공체(2)와 인터커넥터(3)의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률(P2)은, 제2 영역(HR)의 기공률(Ph)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압력 손실이 저하하고, 가스 확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기공률(P2)은, 기공률(Ps)과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제2 금속 다공체(6)는,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속 다공체(2)와 MEA(1)의 어느 하나의 전극(도 10b에서는 애노드(1a))의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률(P2)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경(D2)은, 집전성의 관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 전체(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의 기공경(D1)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 다공체(S)의 기공경(D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공경이 작은 경우, 그 표면의 요철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경(D2)이 작을 수록, 전극(애노드(1a))과의 접촉성이 향상되기 쉽다. 따라서, 저항이 작아진다. 그 중에서도, 전기 저항 및 가스 확산성의 균형의 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 전체의 기공경(D1)과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경(D2)의 비(D1/D2)는, 1.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공경(D2)은, 기공경(Ds)과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제2 금속 다공체(6)의 셀 지름, 셀 밀도, BET 비표면적, 골격(102)의 폭(Wf)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치 장소 및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각 수치 범위로서는, 금속 다공체(S) 또는 금속 다공체(H)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수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제2 금속 다공체(6)의 두께(T2)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저항 또는 가스 확산성의 관점에서, 두께(T2)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의 두께(T1)와 제2 금속 다공체(6)의 두께(T2)의 비(T1/T2)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금속 다공체(6)를 구성하는 금속은,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제1 금속 다공체(2) 및 제2 금속 다공체(6)를 구성하는 금속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제1 금속 다공체(2)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이 예시된다.
집전성 및 가스 확산성, 나아가 생산성의 관점에서, 제1 금속 다공체(2)와 제2 금속 다공체(6)는, 그 골격끼리가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도 동일하게, 그 골격끼리가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격끼리가 얽혀 있다는 것은, 예를 들면, 제1 금속 다공체(2)(혹은, 금속 다공체(S))의 단부 근방에 존재하는 개구(103)에, 제2 금속 다공체(6)(혹은, 금속 다공체(H))의 섬유부(102)의 단부 근방이 들어간 상태일 수 있다. 또한, 각 금속 다공체의 단부 근방에 존재하는 섬유부(102)가 소성 변형하여, 계합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금속 다공체(2)와 제2 금속 다공체(6)(혹은, 금속 다공체(S)와 금속 다공체(H))는, 접착제를 개재시키는 일 없이, 서로의 주면 근방에서 강고하게 접합된다. 그 때문에, 제1 금속 다공체(2)와 제2 금속 다공체(6)(혹은, 금속 다공체(S)와 금속 다공체(H))는,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연통한다.
예를 들면, 제1 금속 다공체(2)와 제2 금속 다공체(6)가 접합된 복합 재료는, 제1 금속 다공체(2)의 전구체(제1 전구체)와 제2 금속 다공체(6)의 전구체(제2 전구체)를 적층하여,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각 전구체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은, 예를 들면, 각각 2∼10% 감소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각 전구체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은, 프레스 가공 후의 제1 금속 다공체(2) 및 제2 금속 다공체(6)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이 소망하는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한다. 또한, 전구체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은, 제1 금속 다공체(2)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과 동일하게 하여 구해진다.
프레스 가공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롤 프레스, 평판 프레스 등을 들 수 있다. 프레스 가공은, 가열하에서 행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비용 및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제1 전구체와 제2 전구체는, 상온하에서 롤 프레스에 의해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스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프레스압은, 예를 들면, 0.1∼5㎫라도 좋고, 1∼5㎫라도 좋다.
(MEA)
MEA(1)는, 캐소드(1c)와, 애노드(1a)와, 캐소드(1c) 및 애노드(1a)의 사이에 개재하고,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전해질층(1b)을 구비한다. 캐소드(1c)와, 애노드(1a)와, 고체 전해질층(1b)은, 예를 들면, 소결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캐소드)
캐소드(1c)는, 산소 분자를 흡착하고, 해리시켜 이온화할 수 있는 다공질의 구조를 갖고 있다. 캐소드(1c)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연료 전지, 가스 분해 장치 또는 수소 제조 장치의 캐소드로서 이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캐소드(1c)의 재료는, 예를 들면, 란탄을 포함하고,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란탄스트론튬코발트페라이트(LSCF, La1 -aSraFe1- bCobO3 -δ, 0.2≤a≤0.8, 0.1≤b≤0.9, δ는 산소 결손량임), 란탄스트론튬망간나이트(LSM, La1 - cSrcMnO3 -δ, 0.2≤c≤0.8, δ는 산소 결손량임), 란탄스트론튬코발타이트(LSC, La1 - HRSrHRCoO3 -δ, 0.2≤HR≤0.8, δ는 산소 결손량임) 등을 들 수 있다.
캐소드(1c)는, 니켈, 철, 코발트 등의 촉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촉매를 포함하는 경우, 캐소드(1c)는, 촉매와 상기 재료를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1c)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100㎛ 정도이면 좋다.
(애노드)
애노드(1a)는, 이온 전도성의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프로톤 전도성을 갖는 애노드(1a)에서는, 후술하는 유로로부터 도입되는 수소 등의 연료를 산화하고, 수소 이온(프로톤)과 전자를 방출하는 반응(연료의 산화 반응)이 행해진다.
애노드(1a)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연료 전지, 가스 분해 장치 또는 수소 제조 장치의 애노드로서 이용되는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촉매 성분인 산화 니켈(NiO)과, 산화 이트륨(Y2O3),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ZrO2-Y2O3), 이트륨이 도프된 지르콘산 바륨(BZY, BaZr1-eYeO3-δ, 0.05≤e≤0.25, δ은 산소 결손량임), 이트륨이 도프된 세륨산 바륨(BCY, BaCe1-fYfO3-δ, 0.05≤f≤0.25, δ은 산소 결손량임), 이트륨이 도프된 지르콘산 바륨/세륨산 바륨의 혼합 산화물(BZCY, BaZr1-g-hCegYhO3-δ, 0<g<1, 0.05≤h≤0.25, δ은 산소 결손량임) 등의 고체 산화물과의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애노드(1a)는, 예를 들면, NiO 분말과 분말상의 상기 고체 산화물 등을 혼합하여 소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애노드(1a)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1000㎛ 정도이면 좋다. 애노드(1a)는, 그 두께를 크게 하여, MEA(1)의 지지체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도 1은, 애노드(1a)의 두께를 캐소드(1c)보다도 크게 나타내고, 애노드(1a)가 MEA(1)의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애노드(1a)의 두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캐소드(1c)와 동일한 두께라도 좋다.
(고체 전해질층)
고체 전해질층(1b)은,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한다. 고체 전해질층(1b)을 이동하는 이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산화물 이온이라도 좋고, 프로톤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고체 전해질층(1b)은, 프로톤 전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톤 전도형 산화물형 연료 전지(Protonic Ceramic Fuel Cells, PCFC)는, 예를 들면 400∼600℃의 중온역에서 가동할 수 있다. 그 때문에, PCFC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 가능하다.
고체 전해질층(1b)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애노드(1a)의 재료로서 예시한 고체 산화물이 동일하게 예시된다. 고체 전해질층(1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100㎛ 정도인 것이, 저항이 낮게 억제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MEA의 제조 방법)
MEA(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노드용 재료를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과, 얻어진 애노드 성형체의 편면에,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용 재료를 적층하여, 소결하는 공정과, 소결된 고체 전해질용 재료의 표면에, 캐소드용의 재료를 적층하여, 소결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MEA(1)에 있어서, 애노드(1a)와 고체 전해질층(1b)과 캐소드(1c)는 일체화되어 있다.
고체 전해질용 재료를 적층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애노드 성형체의 편면에, 고체 전해질용 재료의 분말과 수용성의 바인더 수지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 스프레이 도포, 스핀 코팅, 딥 코팅 등에 의해 부여함으로써 행해진다. 캐소드용 재료도 동일하게 하여, 고체 전해질의 표면에 적층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용 재료의 소결은, 애노드 성형체와 고체 전해질용 재료의 적층체를, 산소 분위기하에서, 예를 들면 1300∼1500℃로 가열함으로써 행해진다. 소결의 분위기 중의 산소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50체적% 이상이라도 좋고, 60체적% 이상이라도 좋다. 가열 온도는, 1350∼14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결은, 상압하 또는 가압하에서 행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용 재료를 적층하기 전에, 애노드용 재료를 가소결해도 좋다. 가소결은, 애노드용 재료가 소결되는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예를 들면, 900∼1100℃)에서 행하면 좋다. 가소결을 행함으로써, 고체 전해질용 재료를 적층하기 쉬워진다.
고체 전해질용 재료를 소결하기 전에, 각 재료에 포함되는 바인더 등의 수지 성분을 제거해도 좋다. 즉, 캐소드용 재료를 적층한 후, 대기 중에서 500∼800℃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각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을 제거한다. 그 후, 산소 분위기하에서, 적층체를 1300∼1500℃로 가열하여, 각 재료를 소결시켜도 좋다.
캐소드용 재료의 소결은, 고체 전해질층이 형성된 애노드 성형체와 캐소드용 재료의 적층체를, 산소 분위기하에서, 예를 들면 800∼1100℃로 소결함으로써 행해진다. 소결의 분위기 중의 산소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범위이면 좋다.
소결은, 상압하 또는 가압하에서 행할 수 있다.
(인터커넥터)
인터커넥터(3)는, 연료 가스와 공기를 분리한다. MEA(1)와 금속 다공체(2)와 인터커넥터(3)가 조합되어, 하나의 구성 단위가 형성된다. 연료 전지(10)가, 적층된 복수의 상기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인터커넥터(3)의 한쪽의 면을 제1 금속 다공체(2)에 접촉시키고, 다른 한쪽의 면을 MEA(1)의 한쪽의 면에 접촉시켜도 좋다.
인터커넥터(3)의 재료로서는, 도전성 및 내열성의 점에서, 스테인리스강, 니켈기 합금, 크롬기 합금 등의 내열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PCFC의 경우, 동작 온도가 400∼600℃ 정도이기 때문에, 염가의 스테인리스강을 인터커넥터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1 금속 다공체(2)는 우수한 가스 확산성을 갖기 때문에, 제1 금속 다공체(2)에 인접하는 인터커넥터(3)의 제1 금속 다공체(2)에 대향하는 면에는, 가스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당해 면은 평활해도 좋다. 평활하다는 것은, 가스 유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정도의 요철을 갖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인터커넥터(3)로서 가공성이 낮은 크롬기 합금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에칭을 실시하는 일 없이 인터커넥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함과 함께, 비용이 저감한다. 또한, 연료 전지(10)가, 적층된 복수의 상기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인터커넥터(3)의 제1 금속 다공체(2)에 접촉하지 않는 면(MEA(1)에 접촉하는 면)에는, 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는, 연료 전지 이외에, 물의 전기 분해(전해)에 의한 수소의 제조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소의 제조 방식에는, 크게 나누어 (1) 알칼리성 수용액을 이용하는 알칼리수 전해 방식, (2) PEM 방식(polymer electrolyte membrane:고분자 전해질막 방식), (3) SOEC 방식(Solid Oxide Electrolysis Cell:고체 산화물형 전해 셀 방식)이 있고, 어느 방식에나, 상기 금속 다공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에는, 금속 다공체(S), 금속 다공체(H), 그 외의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 혹은, 이들 2종 이상의 조합이 포함된다(이하, 동일).
(1) 알칼리수 전해 방식은, 알칼리성 수용액(바람직하게는 강알칼리성 수용액)에 양극 및 음극을 침지하고,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을 전기 분해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전극에 상기 금속 다공체를 사용한다. 양극에서는, 수산화 이온이 산화되어, 산소와 물이 생성된다. 음극에서는, 수소 이온이 환원되어, 수소가 발생한다. 상기 금속 다공체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각 이온과 금속 다공체의 접촉 면적이 크고, 물의 전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는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물의 전해 효율은 보다 향상된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는 기공률이 높기 때문에, 발생된 수소 및 산소가 신속하게 탈리(脫離)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도, 물의 전해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다공체를 구성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다공체(S) 또는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가이고, 수소 발생 반응에 대하여 양호한 촉매능을 갖고 있는 점에서, 음극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Ni 또는 Ni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활성의 점에서, 양극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백금(platinu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100㎛ 이상, 5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이 상기 범위이면, 각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 또는 산소가 신속하게 탈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전해 효율이 더욱 향상됨과 함께, 각 전극과 수소 이온 또는 수산화 이온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400㎛ 이상, 4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탈리성, 보수(water retention)성 및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상이한 기공률을 갖는 복수의 상기 금속 다공체(예를 들면,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를 조합하여, 1개의 전극을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적층된 복수의 금속 다공체끼리는, 그 계면에서 서로의 골격이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다른 금속제의 다공체를 상기 금속 다공체와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두께 및 단위 면적당의 질량(금속량)은, 제조 장치의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휘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전극의 주면의 면적에 따라서, 두께나 단위 면적당의 질량 등을 설정하면 좋다.
발생된 수소와 산소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퍼레이터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습윤성, 이온 투과성, 내알칼리성, 비도전성, 비통기성, 열 안정성 등을 갖고 있으면 좋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의 재질로서는, 티탄산 칼륨이 함침된 불소 수지, 폴리안티몬산, 폴리술폰, 친수화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양극과 음극과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 단위로서 복수 스택하여 이용하는 경우, 단락 방지의 관점에서, 각 구성 단위끼리의 사이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수용액의 용질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프랑슘) 혹은 알칼리 토금속(칼슘, 스트론튬, 바륨, 라듐)의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알칼리성의 수용액이 얻어지는 점에서,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특히, NaOH, KOH)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수용액의 농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해 효율의 관점에서, 20∼40질량%이면 좋다. 동작 온도는, 예를 들면 60∼90℃ 정도이고, 전류 밀도는, 예를 들면 0.1∼0.3A/㎠ 정도이다.
(2) PEM 방식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 분해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PEM 방식에서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양극 및 음극을 각각 배치하고, 양극에 물을 도입함과 함께,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물을 전기 분해한다. 이 경우, 적어도 양극으로서, 상기 금속 다공체를 이용한다. PEM 방식에서는, 고분자 전해질막에 의해 양극측과 음극측이 완전하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1) 알칼리수 전해 방식과 비교하여, 순도가 높은 수소를 취출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는, 표면적이 크고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금속 다공체는, PEM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 제조 장치(PEM식 수소 제조 장치)의 양극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PEM식 수소 제조 장치에 의해 발생한 프로톤은,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극측에서 수소로서 취출된다. 즉, PEM식 수소 제조 장치는, 수소 및 산소를 반응시켜 발전하고, 물을 배출하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와는, 완전히 반대의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면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PEM식 수소 제조 장치의 동작 온도는 100℃ 정도이다.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서는,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 혹은 PEM식 수소 제조 장치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머 등의 프로톤 전도성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수소가 신속하게 탈리될 수 있는 점에서, 음극도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를 구성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다공체(S) 또는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염가이고, 수소 발생 반응에 대하여 양호한 촉매능을 갖고 있는 점에서, 양극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Ni 또는 Ni 합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활성의 점에서, 음극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로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100㎛ 이상, 5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이 상기 범위이면, 각 전극에서 발생한 수소 또는 산소가 신속하게 탈리될 수 있기 때문에, 전해 효율이 더욱 향상됨과 함께, 보수성이 높아진다. 특히 양극의 보수성이 작으면, 물이 양극과 충분히 반응하기 전에 빠져 나가 버리기 때문에, 전해 효율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400㎛ 이상, 4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탈리성, 보수성 및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상이한 기공률을 갖는 복수의 상기 금속 다공체를 적층하여, 1개의 전극을 구성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양극은,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금속 다공체(S)를 물의 공급구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물의 전해 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조합된 복수의 금속 다공체끼리는, 그 계면에서 서로의 골격이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금속제의 다공체를 상기 금속 다공체와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두께 및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제조 장치의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이 30% 이상이 되도록, 두께와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이 30%보다 작아지면, 상기 금속 다공체의 내부에 물을 흐르게 할 때의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방식에 있어서, 고분자 전해질막과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압착됨으로써 도통한다. 그 때문에, 양자를 압착할 때의 각 전극의 변형 및 크리프(creeping)에 의한 전기 저항 증가가 실용상 문제없는 범위가 되도록, 상기 금속 다공체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400g/㎡ 이상이 바람직하다.
(3) SOEC 방식(수증기 전해 방식이라고도 함)은,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을 이용하여 수증기를 전기 분해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SOEC 방식에서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의 양면에 양극 및 음극을 각각 배치하고, 어느 하나의 전극에 수증기를 도입함과 함께,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증기를 전기 분해한다.
SOEC 방식에서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이 프로톤 전도성인지 산화물 이온 전도성인지에 따라, 수증기를 도입하는 전극이 상이하다.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이 산화물 이온 전도성인 경우, 수증기는 음극에 도입된다. 수증기는 음극에서 전기 분해되어, 프로톤 및 산화물 이온이 생성된다. 생성된 프로톤은, 그대로 음극에서 환원되어 수소로서 취출된다. 산화물 이온은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양극으로 이동한 후, 양극에서 산화되어, 산소로서 취출된다. 한편,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이 프로톤 전도성인 경우, 수증기는 양극에 도입된다. 수증기는 양극에서 전기 분해되어, 프로톤 및 산화물 이온이 생성된다. 생성된 프로톤은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음극으로 이동한 후, 음극에서 환원되어 수소로서 취출된다. 산화물 이온은, 그대로 양극에서 산화되어, 산소로서 취출된다.
SOEC 방식에서는, 수증기가 도입되는 전극으로서, 상기 금속 다공체를 이용한다. 상기 금속 다공체는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수증기와 전극의 접촉 면적도 커지고, 수증기의 전해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는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수증기의 전해 효율은 보다 향상된다.
고순도의 수소가 얻어지기 쉬운 점에서,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은 프로톤 전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이 프로톤 전도성인 경우, 수증기가 도입되는 전극과 수소가 취출되는 전극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금속 다공체는, 양극에 이용된다. 또한, 발생한 수소가 신속하게 탈리될 수 있는 점에서, 음극도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OEC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 제조 장치(SOEC식 수소 제조 장치)와, 수소 및 산소를 반응시켜 발전하고, 물을 배출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와는, 완전히 반대의 반응을 이용하는 것이면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SOEC식 수소 제조 장치의 동작 온도는 600℃∼800℃ 정도이고, 양극에서는 산소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양극은 고온의 산화 분위기에 놓여진다. 상기 금속 다공체는, 높은 내산화성 및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SOEC식 수소 제조 장치의 특히 양극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다공체를 구성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다공체(S) 또는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금속으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 분위기가 되는 양극은, Cr 등의 높은 내산화성을 갖는 금속을, 3∼30질량% 함유하는 Ni 합금을 포함하는 상기 금속 다공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항의 점에서, 음극에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Sn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100㎛ 이상, 5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이 상기 범위이면, 수증기의 압력 손실이 적절한 범위가 되어, 전해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금속 다공체를 음극에 이용한 경우, 발생된 수소도 신속하게 탈리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은 400㎛ 이상, 4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기포의 탈리성, 보수성 및 전기적 접속을 고려하여, 상이한 기공경을 갖는 복수의 상기 금속 다공체를 적층하여, 1개의 전극을 구성해도 좋다. 그 중에서도, 수증기가 도입되는 전극은,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금속 다공체(S)를 수증기의 공급구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수증기의 전해 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적층된 복수의 금속 다공체끼리는, 그 계면에서 서로의 골격이 서로 얽힘으로써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금속제의 다공체를 상기 금속 다공체와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두께 및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수소 제조 장치의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이 30% 이상이 되도록, 두께와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이 30%보다 작아지면, 상기 금속 다공체의 내부에 수증기를 흐르게할 때의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방식에 있어서,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과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상기 금속 다공체는, 압착됨으로써 도통한다. 그 때문에, 양자를 압착할 때의 각 전극의 변형 및 크리프에 의한 전기 저항 증가가 실용상 문제없는 범위가 되도록, 상기 금속 다공체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다공체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은, 400g/㎡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프로톤 전도성의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을 이용한 SOEC식 수소 제조 장치(20)의 주요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서는, 전원을 생략하고 있다. 수소 제조 장치(20)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21b)을 포함하는 구조체(21)와, 구조체(21)의 각 주면에 각각 대향하는 양극(22A) 및 음극(22B)과, 양극(22A)의 구조체(21)와는 반대측의 주면에 대향하는 판 형상 부재(23A)와, 음극(22B)의 구조체(21)와는 반대측의 주면에 대향하는 판 형상 부재(23B)와, 도시하지 않는 전원을 구비한다. 양극(22A)측의 판 형상 부재(23A)에는, 수증기 공급구(24) 및 가스 배출구(25a, 25b)가 형성되어 있다. 수증기(V)는, 수증기 공급구(24)로부터 양극(22A)에 도입되고, 양극(22A)에서 발생한 산소 혹은 미반응의 수증기는, 가스 배출구(25a, 25b)로부터 계 외로 배출된다.
양극(22A) 및 음극(22B)은 모두, 상기한 바와 같은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이다. 또한, 양극(22A)은, 금속 다공체(S) 및 금속 다공체(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금속 다공체(S)는, 적어도 판 형상 부재(23A)에 형성된 수증기 공급구(2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양극(22A)의 금속 다공체(S) 이외의 부분에는, 금속 다공체(H)가 배치되어 있다. 판 형상 부재(23A 및 23B)는, 수증기 및 산소와 수소가 혼합하지 않도록 배치된 세퍼레이터이다.
SOEC식 수소 제조 장치(20)는, 음극(22B), 판 형상 부재(23B) 및 전원을 구비하는 이외, 도 1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1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구조체(21)는, 프로톤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21b)과, 그 각 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다공질층(21a 및 21c)을 구비한다. 다공질층(21a 및 21c)은,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21b)을 서포트하고 있다.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21b)은, 고체 전해질층(1b)으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프로톤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양극(22A)측에 배치된 다공질층(21a)은, 애노드(1a)와 동일하게, 상기 고체 산화물과 촉매 성분인 산화 니켈(NiO)의 복합 산화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해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 다공질층(21c)은, 예를 들면, 캐소드(1c)로 예시한 것과 동일한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다.
판 형상 부재(23A)의 구성은 인터커넥터(3)에 대응하고 있다. 판 형상 부재(23B)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연료 전지에 이용되는 인터커넥터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음극(22B)에 인접하는 판 형상 부재(23B)에는, 도시하지 않는 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음극(22B)에서 발생한 수소는, 이 가스 유로를 경유하여 취출할 수 있다.
[부기]
상기 알칼리수 전해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 제조 장치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1-1을 개시한다.
(부기 1-1)
알칼리성 수용액을 수용하는 전해조와,
상기 알칼리성 수용액에 침지되는 양극 및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한쪽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 제조 장치.
상기 알칼리수 전해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1-2를 개시한다.
(부기 1-2)
양극, 음극 및 알칼리성 수용액을, 각각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알칼리성 수용액에,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을 침지하는 공정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한쪽이, 삼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
상기 PEM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 제조 장치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2-1을 개시한다.
(부기 2-1)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양극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 제조 장치.
상기 PEM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2-2를 개시한다.
(부기 2-2)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양극에 물을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양극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
상기 SOEC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 제조 장치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3-1을 개시한다.
(부기 3-1)
양극과,
음극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한쪽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 제조 장치.
상기 SOEC 방식을 이용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이하의 부기 3-2를 개시한다.
(부기 3-2)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에 수증기를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중, 적어도 상기 수증기가 도입되는 전극이,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수소의 제조 방법.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는, 표면적이 크고, 높은 기공률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부기로 개시된 수소 제조 장치 및 수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에 상기 금속 다공체가 포함되기 때문에, 물(수증기)의 전해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PEM 방식 및 SOEC 방식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 중, 물 혹은 수증기가 도입되는 전극이, 상이한 기공률을 갖는 복수의 상기 금속 다공체를 포함하는 경우, 물의 전해 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이 때, 기공률이 보다 작은 상기 금속 다공체를, 물 혹은 수증기의 공급구에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a∼g]
기공률이 상이한 7종류의 금속 다공체의 전구체(전구체 a∼g)로서, 스미토모덴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의 니켈의 셀멧(등록상표), 품번 #1∼#6 및 #8을 준비했다.
전구체 a∼g의 기공률 등을 표 1에 나타낸다.
[제조예 A∼F]
얻어진 전구체 a∼g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고, 조합하여, 제1 전구체를 형성했다.
별도, 전구체 a∼g 중 1종류를 제1 전구체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2 전구체를 형성했다. 제1 전구체와 제2 전구체를 적층하고, 1㎫의 하중으로 롤 프레스를 행하여, 제1 전구체와 제2 전구체를 접합했다. 얻어진 복합 재료 A∼F의 구성을 표 2 및 표3에 나타낸다. 또한, 제1 금속 다공체 및 제2 금속 다공체에 포함되는 각 금속 다공체의 기공률, 기공경 및 셀 지름은, 전구체 a∼g보다도 각각 5% 감소해 있었다. 이하에, 각 복합 재료에 대해서 상술한다.
(1) 복합 재료 A∼C
복합 재료 A∼C는, 모두 동일한 구성의 제1 전구체와, 상이한 종류의 제2 전구체를 접합하여 형성했다. 제1 전구체는, 제1 영역(SR)(금속 다공체(S))에 1종류의 전구체를 이용하고, 제2 영역(HR)(금속 다공체(H))에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전구체를 이용했다. 제1 전구체는, 도 5b에 나타내는 분할 영역(HR1∼HR4)에 대신하여, 분할 영역(HR1∼HR6)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5b에 나타내는 분할 영역(HR3)의 외측에 분할 영역(HR5)을 추가로 배치하고, 분할 영역(HR4)의 외측에 분할 영역(HR6)을 추가로 배치했다. 프레스 가공 후의 금속 다공체(S)의 폭(직선(L)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은 12㎜이고,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HR1∼HR6)의 폭은 각각 24㎜이고, 제1 금속 다공체 및 제2 금속 다공체의 두께는 모두 1㎜였다. 복합 재료(A∼C)에 사용된 전구체의 종류 및 그 배치 그리고 프레스 가공 후의 각 기공률을, 표 2에 나타낸다.
(2) 복합 재료 D∼F
복합 재료 D∼F는, 모두 동일한 구성의 제1 전구체와, 상이한 종류의 제2 전구체를 접합하여 형성했다. 제1 전구체는, 제1 영역(SR)(금속 다공체(S))에 1종류의 전구체를 이용하고, 제2 영역(HR)(금속 다공체(H))에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전구체를 이용했다. 제1 전구체는, 도 7b에 나타내는 분할 영역(HR1, HR2)에 대신하여, 분할 영역(HR1∼HR4)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7b에 나타내는 환상의 분할 영역(HR2)의 외측에 추가로 환상의 분할 영역(HR3)을 배치하고, 분할 영역(HR3)의 외측에 추가로 환상의 분할 영역(HR4)을 배치했다. 프레스 가공 후의 금속 다공체(S)의 폭(직선(L)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은 10㎜이고, 환상의 금속 다공체(H)를 구성하는 각 금속 다공체(HR1∼HR4)의 폭((외경-내경)/2)은 각각 10㎜이고, 제1 금속 다공체 및 제2 금속 다공체의 평균 두께는 모두 1㎜였다. 복합 재료(D∼F)에 사용된 전구체의 종류와 그 배치 그리고 프레스 가공 후의 각 기공률을,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복합 재료(A)를 이용하여, 이하의 순서로, 연료 전지를 제작했다.
(1) MEA의 제작
하기의 순서로 MEA를 제작했다.
우선, BZY(BaZr0.8Y0.2O2.9)에, Ni(촉매 성분)를 70체적% 포함하도록 NiO를 혼합하여, 볼 밀에 의해 분쇄 혼련했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련물을 프레스 성형하고, 애노드를 구성하는 성형체(두께 550㎛)를 형성하여, 1000℃에서 가소결했다. 계속하여, 상기 성형체의 한쪽의 면에, BZY(BaZr0.8Y0.2O2.9)와 수용성 바인더 수지(에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포한 후, 750℃에서 수용성 바인더 수지를 제거했다. 계속하여, 산소 분위기하, 1400℃에서 함께 소성시킴으로써, 애노드와 고체 전해질층(두께 10㎛)을 형성했다.
계속하여, 고체 전해질층의 표면에, 캐소드의 재료인 LSCF(La0.6HR0.4Co0.2Fe0.8O3-δ)의 분말과 에틸셀룰로오스를 혼합한 LSCF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1000℃에서 2시간의 소성을 행함으로써, MEA를 제작했다. 캐소드의 두께는 10㎛였다.
(2) 연료 전지의 제작
복합 재료(A)를, 상기에서 얻어진 MEA의 애노드의 표면에, 애노드에 제1 금속 다공체가 대향하도록 적층하고, 추가로, 평활한 표면을 갖는 스테인리스강제의 애노드측 인터커넥터를 적층했다. 한편, 캐소드의 표면에, 가스 유로를 갖는 스테인리스강제의 캐소드측 인터커넥터를 적층하여, 도 10a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A)를 제작했다.
(3) 가스 확산성 평가
동작 온도를 600℃로 하고, 제작된 연료 전지(A)의 애노드에 연료 가스(수소)를 0.3L/분에서 흐르게 하고, 캐소드에 공기를 1L/분에서 흐르게 했을 때의 가스 확산성을 평가했다. 가스 확산성은, 애노드의 표면에 있어서의 벽 전단 응력, 정압, 가스의 유선, 가스의 속도 벡터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를 도 12a~12d에 나타낸다. 도 12a~12d는, 애노드의 표면의 1/4의 부분에 있어서의, 벽 전단 응력의 분포(도 12a), 정압의 분포(도 12b), 수소 가스의 유선(도 12c), 수소 가스의 속도 벡터(도 12d)를 나타내고 있다(이하, 도 13a~13d 내지 도 18a∼18d에 대해서도 동일). 도면 중, 희게 보이는 부분은 시일되어 있는 부분이고, 도 12c 및 도 12d에 있어서, 우측 하부에 있는 반원은, 배출구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이하, 도 13a∼13d 내지 도 18a~18d에 대해서도 동일).
[실시예 1-2]
복합 재료(A)를, 애노드에 제2 금속 다공체가 대향하도록 적층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B)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3a~13d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복합 재료(B)를 이용하여, 애노드에 제2 금속 다공체가 대향하도록 적층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C)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4a~14d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복합 재료(C)를 이용하여, 애노드에 제2 금속 다공체가 대향하도록 적층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D)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5a~15d에 나타낸다.
[실시예 2-1]
복합 재료(D)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a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E)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6a~16d에 나타낸다.
[실시예 2-2]
복합 재료(E)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a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F)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7a~17d에 나타낸다.
[실시예 2-3]
복합 재료(F)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도 10a에 나타내는 연료 전지(G)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도 18a~18d에 나타낸다.
도 12a∼12d 내지 도 18a~18d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합 재료(A∼F)를 이용한 연료 전지(A∼G)는 가스 확산 성능이 우수하다.
1 : MEA
1a : 애노드
1b : 고체 전해질층
1c : 캐소드
2, 2A∼2F : 제1 금속 다공체
3 : 인터커넥터
4 : 가스 공급구
5a, 5b : 가스 배출구
6 : 제2 금속 다공체
10, 10A, 10B : 연료 전지
101 : 공공
102 : 섬유부
102a : 공동
103 : 개구
20 : 수소 제조 장치
21 : 구조체
21a, 21c : 다공질층
21b :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
22A : 양극
22B : 음극
23A, 23B : 판 형상 부재
24 : 수증기 공급구
25a, 25b : 가스 배출구
1a : 애노드
1b : 고체 전해질층
1c : 캐소드
2, 2A∼2F : 제1 금속 다공체
3 : 인터커넥터
4 : 가스 공급구
5a, 5b : 가스 배출구
6 : 제2 금속 다공체
10, 10A, 10B : 연료 전지
101 : 공공
102 : 섬유부
102a : 공동
103 : 개구
20 : 수소 제조 장치
21 : 구조체
21a, 21c : 다공질층
21b : 고체 산화물 전해질막
22A : 양극
22B : 음극
23A, 23B : 판 형상 부재
24 : 수증기 공급구
25a, 25b : 가스 배출구
Claims (11)
- 캐소드, 애노드 및,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하는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체 전해질층이 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체 산화물을 포함하는 MEA와,
상기 캐소드 및 상기 애노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1개의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가스 공급구 및 가스 배출구가 형성된 인터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금속 다공체가, 상기 가스 공급구에 대향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S)와, 상기 금속 다공체(S) 이외의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금속 다공체(H)를 갖고,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률(Ps)과,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률(Ph)이, Ps<Ph의 관계를 충족하는, 연료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다공체(S)가, 추가로 상기 가스 배출구에 대향하고 있고, 또한, 상기 가스 공급구의 중심과 상기 가스 배출구의 중심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띠 모양의 형상인, 연료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다공체(S)가, 상기 가스 공급구의 중심에 대응하는 중심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인,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률(Ps)이, 85체적% 이상인,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커넥터의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대향하는 면이 평활한,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에 적층되고, 또한, 3차원 그물코 형상의 골격을 갖는 제2 금속 다공체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제2 금속 다공체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접합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의 상기 골격과 상기 제2 금속 다공체의 상기 골격이 서로 얽혀 있는, 연료 전지.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다공체가, 상기 제1 금속 다공체와 상기 캐소드 또는 상기 애노드의 사이에 개재하고 있고,
상기 제2 금속 다공체의 기공경(pore size)이 100∼1000㎛인,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애노드에 대향하는 상기 제1 금속 다공체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률(Ps)에 대한 상기 기공률(Ph)의 비율이 1.05∼2인, 연료 전지.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다공체(S)의 기공경이 100∼1000㎛이고, 상기 금속 다공체(H)의 기공경이 300∼3500㎛인, 연료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42287 | 2015-07-16 | ||
JPJP-P-2015-142287 | 2015-07-16 | ||
JPJP-P-2016-016684 | 2016-01-29 | ||
JP2016016684 | 2016-01-29 | ||
PCT/JP2016/070326 WO2017010435A1 (ja) | 2015-07-16 | 2016-07-08 | 燃料電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7512A true KR20180027512A (ko) | 2018-03-14 |
KR102546579B1 KR102546579B1 (ko) | 2023-06-21 |
Family
ID=5775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0820A KR102546579B1 (ko) | 2015-07-16 | 2016-07-08 | 연료 전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553880B2 (ko) |
EP (2) | EP3324470B1 (ko) |
JP (2) | JP6819587B2 (ko) |
KR (1) | KR102546579B1 (ko) |
CN (2) | CN107851810B (ko) |
WO (1) | WO201701043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31297A (ko) * | 2018-03-30 | 2020-11-23 |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고체 전해질 시트, 전고체 이차 전지용 부극 시트 및 전고체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US11888185B2 (en) | 2018-05-01 | 2024-01-30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Fuel cell |
JP7133171B2 (ja) * | 2018-07-27 | 2022-09-08 |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 電気化学セル、電気化学セル用の支持体及び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
JP7336702B2 (ja) * | 2018-10-18 | 2023-09-0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
US20210119229A1 (en) * | 2019-05-22 | 2021-04-22 |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 Metal porous sheet, fuel cell, and water electrolysis device |
WO2022069769A1 (en) * | 2020-10-02 | 2022-04-07 |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 Apparatus for production of hydrogen |
JP7170084B2 (ja) | 2021-04-02 | 2022-11-11 | 日立建機株式会社 | 作業機械制御システム |
JPWO2023095193A1 (ko) * | 2021-11-24 | 2023-06-01 | ||
US20230223555A1 (en) * | 2022-01-10 | 2023-07-13 | Bloom Energy Corporation | Optimized Processing of Electrodes for SOFC and SOEC |
CN114639813B (zh) * | 2022-03-31 | 2023-07-21 | 四川大学 | 一种钒b位掺杂烧绿石型聚锑酸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24201997A1 (ja) * | 2023-03-31 | 2024-10-03 | 日本碍子株式会社 | 電気化学セル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6936A (ja) * | 1997-09-05 | 2001-10-02 | セラミック・フューエル・セルズ・リミテッド | 燃料電池アセンブリにおける導電率 |
JP2003012903A (ja) | 2001-04-26 | 2003-01-15 | Mitsubishi Rayon Co Ltd |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製光反射体 |
JP2003100323A (ja) * | 2001-09-27 | 2003-04-04 | Mitsubishi Materials Corp | 集電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
JP2007250297A (ja) | 2006-03-15 | 2007-09-27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96087A (en) * | 1979-12-28 | 1981-08-03 | Sumitomo Electric Ind Ltd | Manufacture of electrode for water electrolysis |
JPS5845388A (ja) * | 1981-09-09 | 1983-03-16 | Chlorine Eng Corp Ltd | 電解槽 |
US7592089B2 (en) * | 2000-08-31 | 2009-09-22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 Fuel cell with variable porosity gas distribution layers |
US20050250003A1 (en) * | 2002-08-09 | 2005-11-10 | Proton Energy Systems, Inc. | Electrochemical cell support structure |
US7273673B2 (en) * | 2000-11-16 | 2007-09-25 |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 Solid electrolyte type fuel cell and air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used therein |
JP2002334706A (ja) * | 2001-05-08 | 2002-11-22 | Nissan Motor Co Ltd | 電池要素層支持体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用セル板 |
JP2002358989A (ja) * | 2001-06-01 | 2002-12-13 | Mitsubishi Materials Corp | 燃料電池のガス予熱装置 |
JPWO2003012903A1 (ja) | 2001-07-31 | 2004-11-25 |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 燃料電池 |
US8048587B2 (en) * | 2002-11-27 | 2011-11-01 | Delphi Technologies, Inc. | Compliant current collector for fuel cell anode and cathode |
JP5178056B2 (ja) * | 2007-06-08 | 2013-04-10 | 関西電力株式会社 | 燃料電池用構造体、燃料電池および電極層前駆グリーンシート |
JP2010065283A (ja) * | 2008-09-11 | 2010-03-25 | Dainippon Printing Co Ltd | 触媒層ペースト組成物、転写基材付き触媒層、水素発生用電気分解セルの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膜触媒層接合体、水素発生用電気分解セルとその製造方法 |
FR2938270B1 (fr) * | 2008-11-12 | 2013-10-18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Substrat en metal ou alliage metallique poreux,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cellules d'eht ou de sofc a metal support comprenant ce substrat |
FR2940857B1 (fr) * | 2009-01-07 | 2011-02-11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lectrolyseur haute temperature ou d'une pile a combustible haute temperature comprenant un empilement de cellules elementaires |
FR2969179B1 (fr) * | 2010-12-20 | 2013-02-08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Cellule de production d'hydrogene comprenant une cellule d'electrolyseur de la vapeur d'eau a haute temperature. |
EA201700330A3 (ru) * | 2012-05-21 | 2018-03-30 | Бриллиант Лайт Пауэр, Инк. |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ciht |
JP6608277B2 (ja) * | 2012-06-13 | 2019-11-20 | ヌヴェラ・フュエル・セルズ,エルエルシー | 電気化学セル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フロー構造 |
JP6221780B2 (ja) | 2014-01-29 | 2017-11-01 | アイコム株式会社 | 無線受信機およびその周波数補正方法 |
JP6198064B2 (ja) | 2014-07-04 | 2017-09-20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車両用内装材の組付構造 |
-
2016
- 2016-07-08 US US15/743,851 patent/US10553880B2/en active Active
- 2016-07-08 JP JP2017528660A patent/JP6819587B2/ja active Active
- 2016-07-08 CN CN201680041635.3A patent/CN107851810B/zh active Active
- 2016-07-08 EP EP16824415.0A patent/EP3324470B1/en active Active
- 2016-07-08 CN CN202110264527.5A patent/CN113089010B/zh active Active
- 2016-07-08 EP EP19179801.6A patent/EP3567135B1/en active Active
- 2016-07-08 WO PCT/JP2016/070326 patent/WO201701043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08 KR KR1020187000820A patent/KR1025465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2-28 JP JP2020218891A patent/JP698152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16936A (ja) * | 1997-09-05 | 2001-10-02 | セラミック・フューエル・セルズ・リミテッド | 燃料電池アセンブリにおける導電率 |
JP2003012903A (ja) | 2001-04-26 | 2003-01-15 | Mitsubishi Rayon Co Ltd |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該組成物製光反射体 |
JP2003100323A (ja) * | 2001-09-27 | 2003-04-04 | Mitsubishi Materials Corp | 集電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
JP2007250297A (ja) | 2006-03-15 | 2007-09-27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67135A1 (en) | 2019-11-13 |
US10553880B2 (en) | 2020-02-04 |
EP3324470B1 (en) | 2019-08-28 |
CN107851810B (zh) | 2021-04-02 |
KR102546579B1 (ko) | 2023-06-21 |
JP6981524B2 (ja) | 2021-12-15 |
EP3324470A4 (en) | 2018-07-18 |
CN107851810A (zh) | 2018-03-27 |
EP3567135B1 (en) | 2023-08-16 |
JP2021063303A (ja) | 2021-04-22 |
US20180205096A1 (en) | 2018-07-19 |
WO2017010435A1 (ja) | 2017-01-19 |
JP6819587B2 (ja) | 2021-01-27 |
CN113089010A (zh) | 2021-07-09 |
CN113089010B (zh) | 2023-09-12 |
JPWO2017010435A1 (ja) | 2018-07-12 |
EP3324470A1 (en) | 2018-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81524B2 (ja) | 水素製造装置および水素の製造方法 | |
KR102546581B1 (ko) | 연료 전지 | |
JP6578970B2 (ja) |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 |
US10847809B2 (en) | Solid-oxide-electrolysis-cell-type hydrogen production apparatus | |
JP7124860B2 (ja) | 金属多孔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燃料電池 | |
JP7349847B2 (ja) | 電気化学セル、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
JP7349846B2 (ja) | 電気化学セル、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