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947A -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 Google Patents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947A
KR20180025947A KR1020187003400A KR20187003400A KR20180025947A KR 20180025947 A KR20180025947 A KR 20180025947A KR 1020187003400 A KR1020187003400 A KR 1020187003400A KR 20187003400 A KR20187003400 A KR 20187003400A KR 20180025947 A KR20180025947 A KR 2018002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older
suppor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065B1 (ko
Inventor
토마스 딜린저
Original Assignee
에이디언트 룩셈부르크 홀딩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언트 룩셈부르크 홀딩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에이디언트 룩셈부르크 홀딩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8002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상에 위치되고 지지 표면(1.3)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으로서 형성되고, 일차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발포재 재료들이 없는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본 발명은 머리받침대(headrest)용 머리받침대 본체, 머리받침대 홀더(holder), 및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발포재(foam) 형태의 충전(filling) 재료가 머리받침대를 머리받침대 홀더에 부착시키기 위한 내부 연결 부분과 외부 커버 사이에 배열되는 차량용 머리받침대들은,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머리받침대들의 경우에, 예컨대, 머리받침대 본체를 충전하는 데에 사용될 미리형성된 발포재 본체가 제공된다.
DE 10 2005 015 292 B3는 그러한 차량용 머리받침대를 개시한다. 머리받침대는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홀더를 포함하고, 여기서, 커버는 머리받침대 본체의 외부 측 상에 제공된다. 머리받침대 홀더를 머리받침대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이 머리받침대 본체 내에 제공되고, 여기서, 발포재로 형성되는 충전 재료가 연결 부분과 커버 사이에 배열된다. 충전 재료는 그 프로세싱 상태에서 액체 형태이고, 여기서, 연결 부분 및 커버는, 그 프로세싱 상태의 충전 재료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침투성(impermeable) 공간 영역을 규정한다. 게다가, 머리받침대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간략화되고 비용-효율적인 머리받침대 본체, 그리고 또한, 개선된 머리받침대 홀더 및 머리받침대를 특정하는 목적에 기반한다.
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1 항의 특징들에 따른 머리받침대 본체로 달성된다. 머리받침대에 대하여, 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특허 청구항 제9 항에 특정된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개량들이 종속 청구항들의 청구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용 머리받침대 본체는,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내부 가요성 지지 요소들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일차 성형(primary forming)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 특히, 발포(foamed) 재료들이 없는 재료로, 또는 복합 재료(composite material), 특히, 섬유 복합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보강 또는 탄소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플라스틱 재료는 특히,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PC-ABS)이다.
머리받침대 본체는 특히, 단일-부분 설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 및 가요성 지지 요소들은, 일차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함께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머리받침대 본체는 다수 부분(multipart)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머리받침대 본체는 비용-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심지어 발포 재료들을 사용하지 않고도(발포재가 없음) 양호한 완충(damping) 및 지지 특성들을 갖는다. 특히, 발포 재료들의 사용은 본원에서 완전히 생략된다.
머리받침대 본체는, 예컨대, 내충격성(impact-resistant) 탄성-가소성(elasto-plastic) 또는 열가소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PC-ABS)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본체는, 발포 플라스틱 재료들이 없는 재료의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에 의해, 또는 복수의 플라스틱 재료들로부터의 다중-컴포넌트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머리받침대 본체는 또한, 변형, 특히,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 또는 스탬핑(stamp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들)는 머리받침대 본체의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지지 표면(또한, 머리 접촉 표면으로 지칭됨)을 형성한다. 특히, 지지 요소(들)는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지지 표면은, 지지 표면이, 종래의 머리받침대 본체들보다 더 큰 지지 표면을 갖는 그러한 방식으로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진다. 특히, 프레임과 결합하여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는, 머리가, 특히 머리의 후방이, 지지 표면 상에 안착(rest)되고, 프레임에 의해 지지 표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은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지고 지지 방향으로 구성되며, 특히, 머리에 적응되고, 따라서, 머리를 위한 편안한 지지 및 포지셔닝, 그리고 특히, 머리를 안정화하는 지지 표면 및 작은 측방향 접촉을 허용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 그 자체는,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지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진다.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이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지기 때문에, 머리받침대 본체는 발포재 없이 형성될 수 있다. 단지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에만 쿠션부(cushioning)가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인체공학적으로, 특히,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 때문에, 쿠션부는 또한, 생략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머리받침대 본체는,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고 쿠션이-없는 지지 표면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지지 표면은, 공지된 머리받침대 본체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쿠션부를 가질 수 있다. 머리받침대 본체에는 관습적으로, 대략 25 mm의 쿠션부가 제공된다.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을 갖는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본체, 특히,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에는 20 mm 미만, 특히, 15 mm 미만의 쿠션부,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5 mm의 범위 내의 쿠션부가 제공된다.
종래의 머리받침대 본체들과 비교하여, 쿠션이-없는 머리받침대 본체 또는 더 작은 쿠션부를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는, 후방 충돌하는 경우에 머리가 현저히 더 작게 이동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지지 표면 그 자체가, 후방 충돌 동안 머리의 충격을 제한하기 때문에, 머리받침대 본체에 의해 편안함과 안정성 둘 모두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 요소들이 리브들(ribs)로서 설계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컨대, 지지 요소들은, 프레임의 2개의 길이방향(longitudinal) 측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횡방향(transverse) 리브들로서 설계된다. 본원에서, 횡방향 리브들은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되고, 머리받침대 본체의 지지 표면 및 중앙 영역을 형성한다. 횡방향 리브들은, 길이방향 배향으로 직선형 또는 각형(angled) 또는 물결형(wavy)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횡단면에서, 횡방향 리브들은 원형(round) 또는 타원형 또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지지 요소들이, 프레임의 2개의 횡방향 측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리브들로서 설계되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길이방향 리브들은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되고, 머리받침대 본체의 지지 표면 및 중앙 영역을 형성한다. 길이방향 리브들은, 길이방향 배향으로 직선형 또는 각형 또는 물결형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횡단면에서, 길이방향 리브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지지 요소가 횡방향 및 길이방향 리브들의 네트워크(network)로서 설계되는 것을 제공한다.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요소들은, 프레임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개별 지지부들로서 설계된다. 개별 지지부들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되는 패드들(pads)로서 설계된다. 예컨대,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패드의 그 영역이 쿠셔닝되거나(cushioned), 그 영역에 쿠션이 제공된다. 게다가, 개별 지지부(들)로서 설계되는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은 가요적으로(flexibly) 장착된다. 예컨대, 지지 요소들은, 지지 표면의 인체공학적 적응을 허용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들에 의해 프레임에 체결된다. 특히,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은,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이,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지지 표면을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포지셔닝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별 지지부(들) 그 자체는, 대응하여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지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지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받침대 본체는 횡단면이 오목한(concave) 형상을 갖는다. 예컨대, 머리받침대 본체의 지지 표면 및 그러므로 중앙 영역은 내측방으로 만곡되고 안장(saddle) 방식으로 설계되며, 그러므로 형상은 머리받침대 본체에 맞대어 놓이는 머리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개량에 따르면, 프레임은 횡단면에 윤곽부(profiling)를 갖는데, 특히, S 또는 사행(meandering) 형상,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치부들(notchings), 또는 홈들(grooves)을 갖는다. 이 수단으로, 프레임은 충분한 강도 및 굴곡 강성(flexural rigidity)을 갖는다. 프레임은, 예컨대, 외부 프레임이다. 게다가, 프레임은 지지 표면을 완전히 에워싸도록(encircle)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구조적 요소, 이를테면, 등받이(seatback) 구조 또는 본체 구조에 대한 머리받침대 본체의 체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머리받침대 홀더가 머리받침대 본체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다. 머리받침대 본체의 유형에 따라,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는 단일-부분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홀더는 구조적 요소에, 특히, 등받이 구조 또는 본체 구조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머리받침대 홀더는 캐리어(carrier) 없이 설계된다. 특히, 머리받침대 홀더가 섬유 복합 재료, 특히,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때, 부가적인 캐리어는 생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머리받침대 홀더는 2- 또는 다수-부분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로서 설계되고, 머리받침대 본체 상에 성형된다. 캐리어는 금속 캐리어, 특히, 유지 로드(holding rod)일 수 있다.
캐리어는 횡단면이 윤곽화된(profiled)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는 횡단면이 S- 또는 사행 형상이다. 캐리어는 롤(roll)-형상 윤곽으로서 특히 간단하게, 특히, 부가적인 코팅이 없는 금속 윤곽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머리받침대 홀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캐리어는, 각각의 경우에, 길이방향 범위에서 적어도 한 번 각진다. 머리받침대 홀더의 그리고 캐리어의 각각의 본체-측 각진 단부는, 이러한 경우에, 머리받침대 본체 상에 성형되거나 머리받침대 본체에 고정되고, 특히,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고정된다. 머리받침대 홀더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캐리어의 각각의 대향하는 그리고 구조-측 각진 단부는, 구조적 요소에, 특히, 등받이 구조 또는 본체 구조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컨대, 캐리어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특히, 머리받침대 홀더에 해제 가능하게, 예컨대, 압입(press-fit) 또는 형상-끼워맞춤(form-fit) 연결에 의해 형상-끼워맞춤으로 그리고/또는 강제-끼워맞춤(force-fit)으로 고정된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캐리어, 예컨대, 유지 로드(들)는, 조립된 상태에서 머리받침대 본체가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서 인체공학적으로 적절한 포지션에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각진다.
본 발명에 따른 머리받침대는, 앞서 설명된 머리받침대 본체, 및 앞서 설명된 머리받침대 홀더를 포함하고, 여기서, 머리받침대 본체를 구조적 요소에, 특히, 의자(seat) 구조, 등받이 구조, 또는 본체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분이 제공된다. 특히, 머리받침대 홀더는 핀(pin) 또는 볼트 연결에 의해 구조적 홀더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높이 조절 디바이스가 부가적으로 제공되도록, 추가의 실시예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머리받침대의 높이는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점은, 예컨대, 사람의 머리 높이에 대한 적응이며, 그의 결과로서, 편안함과, 충돌의 경우에 힘 전달 및 힘 분산이 개선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들은, 특히, 특히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비용-효과적인 머리받침대가, 동시에 개선된 편안한 지지 및 머리받침대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데에 있다. 머리받침대는 자동차(automotive) 분야에서의 사용뿐만 아니라, 교통(transportation) 또는 다른 장비 품목들, 예컨대, 가구에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데, 도면들은:
도 1a 및 도 1b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평면도 및 종단면(longitudinal section)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대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평면도 및 종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a 또는 도 2a에 따른 머리받침대 본체의 다양한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d는, 프레임과 측방향 지지 수단 사이에 노치를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a 내지 도 4d는, 리브들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들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5a 내지 도 5f는, 패드들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들에 대한 추가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6a 및 도 6b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대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시도 및 분해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a 내지 도 7c는, 머리받침대 홀더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면도 및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8a 및 도 8b는, 고정 가능한 캐리어를 갖는 성형된(molded-on) 머리받침대 홀더가 있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대한, 그리고, 캐리어가-없는 성형된 머리받침대 홀더가 있는 머리받침대 본체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분해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9는, 구조적 홀더에 체결되는 머리받침대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0은, 구조적 홀더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구조적 홀더에 체결되는 머리받침대 홀더를 측면도 및 단면 예시들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2는, 등받이 - 등받이 상에 머리받침대가 배열됨 - 를 사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등받이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4a, 도 14b는, 높이 조절 디바이스를 갖는 머리받침대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그리고
도 15는, 머리받침대 본체를 통한 단면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들 전체에서, 상호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a는, 머리받침대 본체(1)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머리받침대 본체(1)는 일체형(integral) 설계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 및 프레임(1.1)으로부터, 특히, 수직 하방으로 돌출되는 머리받침대 홀더(1.2)를 포함한다. 일체형 머리받침대 본체(1)는, 일차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특히, 발포 재료들이 없는 재료로, 또는 복합 재료로, 특히, 섬유 복합 재료, 이를테면,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프레임(1.1)은 외부 프레임이다.
머리받침대 본체(1)는, 예컨대, 내충격성 탄성-가소성 또는 열가소성 재료, 예컨대,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는, 발포 플라스틱 재료들이 없는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또는 복수의 플라스틱 재료들로부터의 다중-컴포넌트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머리받침대 본체(1) 및 머리받침대 홀더(1.2)는 또한, 섬유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머리받침대 본체는 또한, 변형, 특히, 압축 변형, 예컨대, 형 단조(die forging), 압축 성형 또는 스탬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은 지지 표면(1.3)을 에워싸도록 형성되고, 2개의 길이방향 측들 및 2개의 횡방향 측들을 갖는다. 본원의 평면도에서, 상부 횡방향 측은 하부 횡방향 측보다 더 넓다. 2개의 길이방향 측들은 거울-대칭형 설계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 범위에서 내측으로 각진다.
프레임(1.1)은 에워싸는 방식으로 윤곽부(P)를 갖는다. 프레임(1.1)의 윤곽부(P)는 특히, 사행 또는 루프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윤곽부(P)는 S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보강재들(reinforcements)을 갖는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치부들 또는 홈들을 갖는 중공(hollow)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1.1)은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이로써, 프레임(1.1)은 충분한 강도 및 굴곡 강성을 갖는다.
머리받침대 본체(1)는 Z 방향으로 긴 지지 표면(1.3)을 갖고, 그러므로 머리받침대 본체(1)는 적응되고 상이한 머리 높이들에 대해 적합하다.
지지 표면(1.3)(또한, 접촉 표면으로 지칭됨)은 본원에서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지고, 그러므로 그에 맞대어 놓이거나 안착되는 머리는 그 포지션에서 안정화된다. 지지 표면에 맞대어 놓이는 머리의 그러한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해, 지지 표면(1.3)은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진다.
머리받침대 본체(1)가 설치된 상태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의 가장 높은 포지션은 대략 830 mm에 있거나, 머리받침대 본체(1)의 가장 낮은 포지션은, 히프 포인트(hip point)(H-포인트=평면 상에 투영되는 넓적다리 길이방향 축선과 몸통 축선의 교차부의 이론적인 포인트에 위치된 사람의 평균 평면 상의 포인트)로서 지칭되는 곳의 위에 있는, 780 mm를 초과하는 포지션에 있다. 머리받침대 본체(1)의 최소 높이는, 예컨대, 50 mm의 최대 조절을 갖는 조절 가능한 머리받침대의 경우에 112 mm, 그리고 조절불가한 머리받침대의 경우에 182 mm이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는, 50 N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머리받침대 본체(1)가 X 방향(X) 및 Z 방향(Z)으로 대략 15 mm 이동되고 머리받침대 본체(1)에 맞대어 안착된/놓인 머리의 포지션은 대략적으로 유지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게다가, 900 N 내지 1100 N의 범위 내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머리받침대 본체(1)는 7.5 mm를 초과하는 변형, 특히, 990 N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략 8 mm의 변형을, 그리고 1068 N의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략 9.6 mm의 변형을 갖는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머리받침대 본체(1)를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레임(1.1)의 윤곽부(P)는 적어도 단면에서 사행 또는 루프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윤곽부(P)는 S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보강재들을 갖는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치부들 또는 홈들을 갖는 중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치부들 또는 홈들은 리브 형성을 초래한다. 이로써, 프레임(1.1)은 충분한 강도 및 굴곡 강성을 갖는다.
머리받침대 본체(1)의 내부 영역은 지지 표면(1.3)을 형성하고, 내부 영역은 프레임(1.1)에 의해 둘러싸인다. 지지 표면(1.3)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방식들로 설계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는 단일-부분 설계 및 쿠션이-없는 설계로 이루어진다.
머리받침대 본체(1)에 선택적으로, 쿠션부(10)가 제공될 수 있다. 쿠션부(10)는 특히, 20 mm 미만의 두께, 특히, 15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쿠션부(10)는 5 mm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쿠션이-없는 머리받침대 본체(1), 또는 20 mm 미만의 작은 쿠션부(10)를 갖는 그러한 머리받침대 본체(1)는, 높은 정도의 편안함을 갖는 동시에, 머리가 측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높은 정도의 안정성을 갖는다.
선택적인 얇은 쿠션부(10)는 도 2a에서 예로써 도시되지만, 또한, 이하의 모든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생략될 수 있고, 그러므로, 머리받침대 본체(1)는 단일-부분 및 쿠션이-없는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지지 표면(1.3)을 형성하는 복수의 내부 가요성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1)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평면도 및 종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는, 프레임(1.1), 머리받침대 홀더(1.2), 및 지지 요소들(1.4)에 의해, 발포재가-없는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사출 성형된 컴포넌트로서 형성된다.
지지 요소들(1.4)은 프레임(1.1)의 2개의 길이방향 측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머리받침대 본체(1)의 지지 표면(1.3)을 형성한다. 지지 요소들(1.4)은 횡방향 리브들로서 설계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들(1.4)은 중앙 직사각형 영역, 및 그로부터 각지고 프레임(1.1)에 연결되는 2개의 단부 영역들을 갖는다. 그러므로, 지지 요소들(1.4)은 U-형상을 갖는다.
도 2b는, 도 2a에 따른 프레임(1.1) - 프레임은 도 1a의 프레임(1.1)과 유사하게 설계됨 - 의 윤곽부(P)를 종단면으로 도시한다. 지지 요소들(1.4)은 지지 표면(1.3)의 영역에 배열된다. 단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리브들로서 설계된 지지 요소들(1.4)은 실질적으로 타원형 또는 약간 외측방으로 만곡된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는, 머리의 편안한 지지 및 안정화를 증가시킨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a 또는 도 2a에 따른 머리받침대 본체(1)의 다양한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도 3a는, 프레임(1.1)의 길이방향 측들 중 하나와 상부 횡방향 측 사이의 영역에서 사행 또는 루프 윤곽부(P)를 갖는 프레임(1.1)의 일 부분을 통한 단면(A-A)을 도시한다.
도 3b는, 머리받침대 홀더(1.2) 및 프레임(1.1)의 일 부분을 통한 단면(D-D)을 도시한다. 프레임(1.1)의 윤곽부(P)는, 이러한 부분에서, 중공이며 U-형상 설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분에서, 지지 표면(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point), 프레임(1.1)의 그러한 단부는, 머리받침대 홀더(1.2)의 본체-측 단부에 의해 인접해 있다. 머리받침대 홀더(1.2)의 본체-측 단부는 중공 설계로 이루어지고, 공동(cavity; 1.2.1) 내로 내측방으로 돌출되는 웨브들(webs; 1.2.2)이 제공된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머리받침대 홀더(1.2)가, 캐리어 없이, 그러므로 부가적인 캐리어 없이, 도 12에 예시되는 구조적 요소(7)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체결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머리받침대 본체(1) 상에 성형된 캐리어가-없는 그러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내부 보강 요소들, 예컨대, 웨브들(1.2.2) 및/또는 리브들(예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도 3c는, 구조-측의 영역, 예컨대, 등받이-측 단부, 프레임(1,1), 지지 요소들(1.4), 프레임(1.1)의 대향하는 영역, 및 머리받침대 홀더(1.2)의 본체-측 단부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를 통한 경사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대 홀더(1.2)는, 횡단면에서 구조-측의 영역, 특히, 등받이-측 단부에서 웨브들(1.2.2)을 갖지 않는(웨브들이 없는) 공동(1.2.1)을 갖는다. (캐리어가 있거나 없는) 머리받침대 홀더(1.2)의 구성에 따라, 머리받침대 홀더(1.2)는, 횡단면에서, 본체-측 단부의 방향으로 감소하는 둘레(circumference)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등받이-측 단부의 횡단면은 머리받침대 홀더(1.2)의 본체-측 단부의 횡단면보다 더 크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거울-대칭 설계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선택적으로, 캐리어(2)용 리셉터클(receptacle)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웨브들(1.2.2)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머리(11)의 지지부가 도 3c에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임(1.1)은, 가요성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지지 표면(1.3)으로의 전이부에서, 지지 표면(1.3)의 방향을 향하고 가요성 설계로 이루어진 지지 수단(12)을 갖는다. 이로써, 머리(11)는 측방향으로 지지되고 둘러싸인다. 프레임(1.1)의 연장부에 의해, 머리(11)의 측방향 지지 수단(12)은 머리받침대 본체(1) 상에서, 머리(11)의 하드 포인트(hard point)-유형 지지부들을 회피한다. 지지 요소들(1.4)은 편안함 및 설계를 위한 역할을 하며,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수단(12)은 머리(11)의 측방향 유지와 지지 표면(1.3)을 확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부가적으로, 힘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하중(load) 경로로서의 노치(13)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표면(1.3) 내로 돌출되는 측방향 지지 수단(12)과 프레임(1.1)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길이방향 리브들(도 4a), U-형상 리브들(도 4b), 횡방향 리브들(도 4c), 및 길이방향 및 횡방향 리브들의 네트워크(도 4d)의 형태의 다양한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들(1)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각각의 프레임(1.1)은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고, 도 1a의 프레임(1.1)과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다. 프레임(1.1)의 윤곽부(P)는 에워싸는 형상이고, 적어도 단면에서 사행 또는 루프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윤곽부(P)는 S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보강재들을 갖는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노치부들 또는 홈들을 갖는 중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리브-형상 지지 요소들(1.4)은, 맞대어 놓이는 머리를 위한,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어 특히,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1.3)을 내부 리브-형상 지지 요소들(1.4)이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형상이 정해지고 배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브들은 길이방향 및/또는 횡방향 배향으로 직선형 또는 각형 또는 물결형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리브들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도 5a는, 개별 지지부들로서 설계되고 가요적으로 장착되는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다수-부분 머리받침대 본체(1)의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 요소들(1.4)은 지지 표면(1.3)의 방향으로 프레임(1.1)으로부터 멀리 연장되어 지지 표면(1.3)을 형성한다. 인체공학적 지지 표면(1.3)의 형상을 정하기 위해, 개별 지지부들 또는 패드들은 조인트, 예컨대, 플라스틱 조인트에 의해 가요적으로 장착된다. 예컨대, 개별 지지부들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연결들에 의해 프레임(1.1)에 체결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개별 지지부들 그 자신들이 인체공학적으로 형상이 정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개별 지지부들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재료들로 구성되는 패드들(pads)로서 설계된다. 부가적으로, 지지 표면(1.3)을 형성하는 패드의 그 영역은 쿠셔닝될 수 있거나, 쿠션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요소들(1.4)은 다층(multi-layered) 설계로 이루어지고, 지지 표면(1.3)으로서 쿠션이 상부에 배열되는 캐리어를 포함한다. 패드-형상 지지 요소들(1.4)은 또한, 화살표(R)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N)에,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특히,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프레임(1.1)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5a의 사시도에서 자명한 바와 같이, 머리받침대 본체(1)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본원에서, 프레임(1.1)은 첫번째로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진다. 지지 요소들(1.4)은, 맞대어 놓이는 머리를 위한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1.3)을 지지 요소들(1.4)이 형성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열되거나 조절된다. 예컨대, 패드들은, 머리받침대 본체(1)의, 지지 표면(1.3) 및 그러므로 중앙 영역이 내측방으로 만곡되고 안장 방식으로 설계되어, 따라서, 머리받침대 본체(1)에 맞대어 놓이는 머리에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하도록, 내측방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조절된다.
도 5b 내지 도 5f는, 개수, 형상, 및/또는 배열이 상이한 다양한 패드-형상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추가의 머리받침대 본체들(1)을 도시한다. 따라서, 도 5b는, 지지 요소들(1.4)로서 3개의 큰 패드들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1)를 도시한다. 도 5c 내지 도 5d는 각각, 4개의 지지 요소들(1.4)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1)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요소들(1.4)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설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지지 요소들은, 이들이 내측방으로 만곡되도록 설계될 수 있거나, 다른 적합한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e 및 도 5f는 각각, 지지 요소들(1.4)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지지 표면(1.3)의 방향으로 내측방으로 경사지는 더 작은 패드들을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1)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프레임(1.1)의 내부를 채우는 패드 형태의 개별적인 지지 요소(1.4)를 갖는 머리받침대 본체(1)에 대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시도 및 분해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패드는, 특히, 프레임(1.1)을 완전히 채우는 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벽은 예컨대, 프레임(1.1)과 함께, 발포재가-없는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사출 성형된 컴포넌트로서 형성된다. 머리받침대 본체(1)는 프레임(1.1), 머리받침대 홀더(1.2), 및 하나의 지지 요소(1.4)로 구성되는 일체형(one piece)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유지 프레임(1.5)은, 편안함을 개선하기 위해, 해제 가능하게 체결 가능할 수 있고, 특히, 머리받침대 본체(1)에 플러그결합 가능(pluggable)하고 래치결합 가능(latchable)할 수 있으며, 커버(1.6), 특히, 직물(fabric) 커버 또는 직조(woven) 직물이, 차례로, 유지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체결 가능하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프레임(1.1), 지지 요소(1.4), 및 머리받침대 홀더(1.2)와 함께 머리받침대 본체(1)는, 커버(1.6)로 또는 다른 연질 재료로 덮힐 수 있는 개별적인 부분으로서 플라스틱 재료 또는 복합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서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머리받침대 본체(1)는 자동차 분야에서 또는 교통 또는 가구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7a 내지 도 7c는, 머리받침대 홀더(1.2)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면도 및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캐리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2)는 1개의 유지 로드(2.1)(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2개의 유지 로드들(2.1)(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음)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2)는 윤곽화된 설계로 이루어진다. 단일-부분 실시예에서, 캐리어(2)는, 횡단면이 윤곽화된 U-형상 유지 로드(구체적으로 예시되지 않음)로서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2)는, 횡단면이 윤곽화되고 선택적으로 길이방향 배향으로 각진 2개의 유지 로드들(2.1)로서 설계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는 캐리어(2), 특히, 유지 로드들(2.1) 중 하나를 길이방향 범위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유지 로드(2.1)는 길이방향 범위에서 적어도 한 번 각진다(도 7a).
도 7b는, 캐리어(2), 특히, 유지 로드(2.1)를 횡단면으로 도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지 로드(2.1)는 횡단면이 S-형상 또는 사형 또는 루프 설계로 이루어진다. 유지 로드(2.1)는 롤-형상 금속 윤곽으로 형성된다.
도 8a는, 예컨대,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는 일체형 머리받침대 본체(1) 및 머리받침대 홀더(1.2)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대(3)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분해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머리받침대 홀더(1.2)는, 2개의 유지 로드들(2.1)로 형성되는 캐리어(2)용 리셉터클로서 설계되고, 상기 머리받침대 홀더(1.2)가 머리받침대 본체(1)의 길이방향 축선(L)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α)로 프레임(1.1)으로부터 멀리 이어지는 그러한 방식으로 머리받침대 본체(1)의 프레임(1.1) 상에 성형되며, 이에 따라, 지지 표면(1.3)이 구조-측, 특히, 수용 요소들(1.2)의 등받이-측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길이방향 축선(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유지 로드들(2.1)은, 머리받침대 홀더(1.2)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에 각진 로드 단부로 도입 가능하고, 거기에서, 특히, 압입 또는 래치결합 연결에 의해, 고정 가능하며, 특히,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유지 로드들(2.1)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 8b는, 예컨대,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는 일체형 머리받침대 본체(1)로 구성되는 머리받침대(3)에 대한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분해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성형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캐리어 없이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머리받침대 홀더(1.2)는 복합 재료로, 특히, 섬유-보강 복합 재료, 예컨대, 유리-섬유-보강 또는 탄소-섬유-보강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1) 그 자체는 캐리어 요소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웨브들(1.2.2)로 구성되는 웨브 구조 또는 내부 리브를 갖는다.
도 9는, 구조적 홀더(4)에 체결되는 머리받침대(3)를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는 핀 또는 볼트 연결에 의해 쉽게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체결 가능하다.
머리받침대 홀더(1.2)에 의해 머리받침대 본체(1)를 구조적 홀더(4)에 체결하기 위해, 구조적 홀더(4)는, 등받이 캐리어(5)에 고정되고, 예컨대, 특히, 원통 중공 윤곽들로서 설계되며, 유지 로드들(2.1)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 홀더들(6)을 갖는다.
머리받침대(3)의 방향으로, 홀더들(6)은, 머리받침대(3) 및 등받이 캐리어(5)의 조립된 상태에서, 머리받침대 본체(1)의 머리받침대 홀더(1.2)가 맞대어 놓이는 확대된 지지 플랜지(flange)(6.1)를 갖는다.
홀더들(6)에서의 유지 로드들(2.1)의 해제 가능한 체결을 위해, 홀더들(6) 및 유지 로드들(2.1)은 서로에 대응하는 연결 요소들을 갖는다. 예컨대, 홀더들(6) 각각은, 체결 요소(6.2), 예컨대, 핀을 갖는다. 머리받침대 홀더(1.2) 및 대응하여 그 내부에 배열되는 유지 로드들(2.1) 각각은,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핀에 대응하는 리세스(recess; 1.7 또는 2.2)를 갖는다.
도 10은, 구조적 홀더(4)의 홀더들(6) 중 하나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홀더(6)는, 머리받침대(3)의 방향을 향하는 단부에서 지지 플랜지(6.1), 및 핀- 또는 볼트-형상 체결 요소(6.2)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체결 요소(6.2)는 홀더(6) 상에서 연결에 의해 유지되고, 그러므로 체결 요소(6.2)는 분실될 수 없다. 대안적인 해제 가능한 연결들, 예컨대, 플러그-인(plug-in) 및 래치결합 연결들이 유사하게 가능하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구조적 홀더(4), 특히, 홀더들(6) 중 하나에 체결되는 머리받침대 홀더(1.2), 특히, 상기 머리받침대 홀더의 캐리어(2) 및 상기 캐리어의 유지 로드(2.1)를 측면도 및 단면 예시들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각각의 홀더(6)는 체결 영역에서 u-형상 지지 요소(6.3)를 내부 상에 포함한다.
도 12는, 상부에 머리받침대(3)가 배열되는 등받이인 구조적 요소(7)를 사시 예시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유지 로드들(2.1)의 본체-측 로드 단부에 대향하는 로드 단부는,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등받이의 구조적 홀더(4) 상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세하게, 각각의 유지 로드(2.1), 특히, 그의 머리받침대-측 단부는, 형상-끼워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으로, 예컨대, 압입 또는 형상-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머리받침대 본체(1)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리고 형상-끼워맞춤 및/또는 강제-끼워맞춤으로, 예컨대, 핀 또는 볼트 연결, 예컨대, 핀과 소켓 연결에 의해, 등받이-측 단부에서 구조적 홀더(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3은, 구조적 요소(7), 등받이 상에 배열되는 머리받침대(3)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본원에서, 머리받침대 홀더(1.2) 및 캐리어(2), 특히, 그의 유지 로드들(2.1)은, 조립된 상태의 머리받침대 본체(1)의 지지 표면(1.3)이 사용자의 머리에 대해 인체공학적으로 대응하는 특히, 수직 포지션에 배열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머리받침대 본체(1)의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 동일한 각도(α)로 각진다.
게다가, 일체형 머리받침대 본체(1)는 지지 표면(1.3)의 영역에서 오목하고(내측으로 만곡됨), 여기서, 프레임(1.1)은, 측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이 각진 설계로 이루어진다.
도 14a 및 도 14b는, 높이 조절 디바이스(8)를 갖는 머리받침대(3)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높이 조절 디바이스(8)는 종래의 높이 조절기로서 설계되고, 예컨대, 머리받침대 홀더(1.2)에, 구체적으로 예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배열된다.
머리받침대(3)는 도 14a 및 도 14b에서 상이한 높이들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4a는, 후퇴된(retracted), 특히, 하부 포지션에 있는 머리받침대(3)를 도시하고, 도 14b는, 연장된(extended), 특히, 상부 포지션에 있는 머리받침대(3)를 도시한다.
높이 조절 디바이스(8)의 구동 기구(9)는, 예컨대, 측방향으로 머리받침대 홀더(1.2)에 장착된다. 추가의 실시예(구체적으로 예시되지 않음)에서, 높이 조절 디바이스(8)의 구동 기구(9)를 머리받침대 홀더(1.2)의 상이한 포지션에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기구(9)의 구동에 의해, 높이 조절 디바이스(8)가 잠금해제된다. 그러므로, 머리받침대(3)는 그 포지션에서 캐리어(2)를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조절이 종료된 이후, 높이 조절 디바이스(8)는 잠금되고, 그러므로 머리받침대(3)는 조절된 포지션에 고정된다.
도 15는, 머리받침대 본체(1)를 통한 단면 예시를 상세하게,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중 화살표들(K)은, 프레임(1.1)에 대해 작용하고 지지 표면(1.3)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는 하중 경로들을 도시한다.
1 머리받침대 본체
1.1 프레임
1.2 머리받침대 홀더
1.2.1 공동
1.2.2 웨브
1.3 지지 표면
1.4 지지 요소
1.5 유지 프레임
1.6 커버
1.7 리세스
2 캐리어
2.1 유지 로드
2.2 리세스
3 머리받침대
4 구조적 홀더
5 등받이 캐리어
6 홀더들
6.1 지지 플랜지
6.2 체결 요소
6.3 지지 요소
7 구조적 요소
8 높이 조절 디바이스
9 구동 기구
10 쿠션부
11 머리
12 지지 수단
13 노치
A-A 단면
D-D 단면
K 하중 화살표
L 길이방향 축선
N 홈
P 윤곽부
R 화살표들
X X 방향
Y Y 방향
Z Z 방향
α 각도

Claims (14)

  1. 머리받침대(headrest)(3)용 머리받침대 본체(1)로서,
    지지 표면(1.3)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내부 가요성(flexible) 지지 요소들(1.4)을 갖고, 일차 성형(primary forming)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 및/또는 복합(composite) 재료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으로서 구성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1.4)는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지지 표면(1.3), 특히, 오목하게 형상이 정해지는 지지 표면(1.3)을 형성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1.3)은, 확대된 머리 지지부(enlarged head support)가 제공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인체공학적으로 구성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1.4)은 쿠션이-없도록(cushion-free) 설계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1.4)에 20 mm 미만의 쿠션부(cushioning)(10)가 제공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들(1.4)은 리브들(ribs)로서 설계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또는 지지 요소들(1.4)은, 가요적으로(flexibly) 장착되는 개별 지지층(들)으로서 설계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은 횡단면에 윤곽부(profiling)(P)를 갖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 홀더(1.2)는, 횡단면이 윤곽화된(profiled)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carrier)(2)를 포함하는,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2)는 횡단면이 루프(loop) 또는 사행(meandering) 형상인,
    머리받침대(3)용 머리받침대 본체(1).
  12. 머리받침대(3)로서,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머리받침대 본체(1)를 포함하는,
    머리받침대(3).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 홀더(1.2)는 캐리어(2)에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연결되는,
    머리받침대(3).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대 홀더(1.2)는 구조적 요소(7)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머리받침대(3).
KR1020187003400A 2015-07-03 2016-07-01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KR10208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2510.6A DE102015212510A1 (de) 2015-07-03 2015-07-03 Kopfstützenkörper und Kopfstütze
DE102015212510.6 2015-07-03
PCT/EP2016/065599 WO2017005660A1 (de) 2015-07-03 2016-07-01 Kopfstützenkörper und kopfstü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947A true KR20180025947A (ko) 2018-03-09
KR102081065B1 KR102081065B1 (ko) 2020-02-25

Family

ID=5636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00A KR102081065B1 (ko) 2015-07-03 2016-07-01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0484B2 (ko)
EP (1) EP3317143B1 (ko)
JP (1) JP6629357B2 (ko)
KR (1) KR102081065B1 (ko)
CN (1) CN107848452B (ko)
DE (1) DE102015212510A1 (ko)
WO (1) WO2017005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831A1 (de) * 2017-02-09 2018-08-09 Grammer Ag Kopfstütze
EP3530149B1 (en) 2018-02-22 2022-06-01 Pullmaflex Benelux N.V.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seat and method of producing an elongate suspension member for a suspension arrangement for a seat
DE102019206828A1 (de) * 2019-05-10 2020-1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und Fahrzeugsitz
US20240101009A1 (en) 2021-02-16 2024-03-28 Adient Us Llc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DE102021112215A1 (de) 2021-02-16 2022-08-18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DE102022109401A1 (de) * 2022-04-19 2023-10-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eine Sitz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Sitzan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162A (ja) * 1996-02-02 1997-08-12 Howa Kasei:Kk 車輛用ヘッドレスト
JP2008086708A (ja) * 2006-10-05 2008-04-17 Oda Gisho:Kk プラスチック製ヘッドレストフレー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737U (de) * 1966-07-01 1966-12-01 Gerhard Dr Heidelbach Kopf-nacken-stuetzpolster.
DE3226149A1 (de) * 1982-07-13 1984-01-19 Keiper Recaro GmbH & Co, 7312 Kirchheim Kopfstuetze fuer fahrzeugsitze
JPS59179657U (ja) 1983-05-19 1984-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ヘツドレスト
JPS59196156U (ja) 1983-06-15 1984-12-27 井上エムテ−ピ−株式会社 車両用ヘツドレスト
US6224158B1 (en) 1999-11-08 2001-05-01 Illinois Tool Works Inc. Headrest assembly
CN100434308C (zh) * 2002-05-15 2008-11-19 英提尔汽车公司 用于座位组件悬挂的可调整连接装置和拉力组件
JP4075452B2 (ja) 2002-05-16 2008-04-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20050127735A1 (en) * 2003-11-03 2005-06-16 Kenneth Munsch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support system
DE102005015292B3 (de) 2005-04-01 2006-11-30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 für ein Fahrzeu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pfstütze und Fahrzeugsitz
US20070035163A1 (en) 2005-08-12 2007-02-15 Andrews Steven R Headrest insert
JP4352413B2 (ja) * 2006-11-17 2009-10-28 北陸エステアール協同組合 シート材
KR100840556B1 (ko) 2007-07-25 2008-06-23 황종섭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US8287040B2 (en) * 2008-08-01 2012-10-16 Proprietect Lp Vehicular seat system and vehicular headrest
JP5719580B2 (ja) * 2010-12-08 2015-05-20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KR101308847B1 (ko) 2011-03-23 2013-09-13 김여란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JP5802832B2 (ja) * 2011-07-05 2015-11-0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座席用のヘッドレスト及び前記ヘッドレストを製造する方法
US20130313881A1 (en) 2012-05-25 2013-11-28 Oriental Institute Of Technology Chair with a head and neck support structure
SG2013026190A (en) * 2013-04-08 2014-11-27 Singapore Tech Aerospace Ltd Headrest structure, headrest cushion and passenger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162A (ja) * 1996-02-02 1997-08-12 Howa Kasei:Kk 車輛用ヘッドレスト
JP2008086708A (ja) * 2006-10-05 2008-04-17 Oda Gisho:Kk プラスチック製ヘッドレストフレ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5660A1 (de) 2017-01-12
KR102081065B1 (ko) 2020-02-25
EP3317143B1 (de) 2022-06-22
CN107848452B (zh) 2021-08-24
EP3317143A1 (de) 2018-05-09
JP6629357B2 (ja) 2020-01-15
JP2018524227A (ja) 2018-08-30
CN107848452A (zh) 2018-03-27
US10710484B2 (en) 2020-07-14
DE102015212510A1 (de) 2017-01-05
US20180264982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5947A (ko) 머리받침대 본체 및 머리받침대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US10081281B2 (en) Seat pan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having such a seat pan
US9718385B2 (en) Vehicle seat
CN110549926B (zh) 具有用于头枕的承载模块的靠背以及座椅
US10442332B2 (en) Seat backrest and seat including the same
US9937838B2 (en) Cushion body
US20150021965A1 (en) Vehicle seat
JP6792719B2 (ja) ヘッドレスト
US11807135B2 (en) Vehicle seat including a seat back pad having a boundary portion
CN112714621B (zh) 缓冲垫
JP729952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1078451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CN117836174A (zh) 座椅部件、座椅以及生产座椅部件的方法
JP2013129324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JPH0658753U (ja) 可倒式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
JP2015092968A (ja) クッション体
JPH0658754U (ja) 可倒式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