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556B1 -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556B1
KR100840556B1 KR1020070106911A KR20070106911A KR100840556B1 KR 100840556 B1 KR100840556 B1 KR 100840556B1 KR 1020070106911 A KR1020070106911 A KR 1020070106911A KR 20070106911 A KR20070106911 A KR 20070106911A KR 100840556 B1 KR100840556 B1 KR 10084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hock absorption
air
cover
ergonomically de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섭
Original Assignee
황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섭 filed Critical 황종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556B1/ko
Priority to PCT/KR2008/0040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14329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으로 마련되는 자동차용 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마련하는 헤드부를 전면에 마련하고, 후면으로 완충부와 지지부를 마련하여 주행중 뿐만 아니라 충돌사고시에 운전자 및 후방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목을 비롯한 머리와 어깨를 전체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도록 설계된 목 받침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목을 받쳐주기 위하여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가지는 헤드부와, 차량 충돌시 또는 장시간 운전시에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형태로 마련되는 완충부 및 차량용 시트와 목 받침대를 체결할 수 있는 지지부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에서 레버에 의해 손쉽게 헤드부의 상세 조절 가능한 헤드 조절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흡수, 목 결림을 방지, 인체공학적,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형상, 목 받침대, 헤드부, 완충부, 지지부, 중공부.

Description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The ergonomic neck support apparatus for car seat which has a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wrick pre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는 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가지는 목받이 헤드부를 전면에 마련하고, 후면으로 완충부와 지지부를 마련하여 주행중 뿐만 아니라 충돌사고시에 운전자 및 후방 탑승자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목을 비롯한 머리와 어깨를 전체적으로 보호해줄 수 있도록 설계된 목 받침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시트에 장착되는 받침대는 목 받침대가 아닌 머리 받침대로서, 목을 보호하는 기능보다 단지 머리를 지지해 줄 수 있는 편의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머리 받침대는 그 형태와 소재의 다양성만큼이나 기능적인 면들이 고려되어오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목을 보호하지 못하여 장시간 운전시나 급제동 및 충돌사고 등에 따라 강도를 달리하는 충격과 결림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 는 문제가 있다.
기존 차량용 시트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대가 가지는 구조적인 문제들로 지적되는 장거리 주행시에 오는 어깨 결림과 목 근육의 경직 및 급제동에 따른 목 디스크의 위험성과 차량 충돌시에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크고 작은 반복 충돌에 따른 추가 부상의 위험요소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의 부재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구조의 받침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충돌이나 급정지를 동반하는 대부분의 교통사고로 인한 운전자의 2/3가 목디스크를 경험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보호되고 또한 지지 되어야 하는 부분이 목부위나 경추골에 있음을 시사하는 반증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가지는 헤드부를 전면에 마련하고 후면으로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완충부와 목 받침대를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 지지부를 마련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레버에 의해 손쉽게 헤드부의 상세 조절 가능한 헤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자동차용 목 받침대는 인체 경추골의 골곡 형상을 최첨단 레이저 측정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를 통하여 종래 차량의 시트에 머리 받침대를 대체하여 장착하는 경우, 차량의 크고 작은 사고에 대해 인체의 가장 중요한 목 관절과 근육을 보호하고 장거리 운전시에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건강하고 맑은 컨디션을 유지하면서 안전운전이 가능하며,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단가가 절감되고 고장이 없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차량의 규격과 사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변구조를 가지므로 뛰어난 기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와 상세구조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목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목 받침대의 완충커버를 제거한 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100)는 크게 머리나 목을 받쳐주기 위하여 사람의 목부위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는 형상의 지지틀을 가지는 헤드부(10)와, 차량 충돌시 또는 장시간 운전시에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형태로 마련되는 완충부(20) 및 상기 완충 부(20)와 결합하여 목 받침대(100)를 차량시트에 장착하여 주는 지지부(50)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100)는 차량 사고에 따른 충격으로 운전자의 머리가 시트(70) 뒤로 심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경추와 어깨가 눌리지 않도록 상기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머리와 경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헤드부(10)의 상하단 후방으로 날개부(1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부(10)는 사람의 목 부위를 포함하여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도록 양측이 돌출되고 중심이 함몰되는 굴곡을 가지는 형상으로 레이저를 통해 정밀 가공하여 완충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성부 중 하나인 헤드부(10)는 가장 내측으로 지지틀(18)이 완충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그 선단에 탄력성을 가지는 큐션부재(11)가 결합되고, 상기 큐션부재(11)에 형성된 고정부재(14')에 삽입 체결되는 헤드 커버(12)와, 상기 헤드 커버(12)의 표면에 커버를 코팅이나 색감을 입힌 코팅층(13)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드부(10)의 하중에 의해 헤드 커버(12)가 고정부재(14')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완충부(20)의 하단으로 헤드부(10)에 인접하는 부분에 별도의 지지부(19)를 마련하는 것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 동차용 목 받침대의 헤드부(10)에 마련되는 지지틀(18)은 쿠션부재(11)와 분리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틀(18)과 쿠션부재(11)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조는 도 5 이하의 다른 실시 예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 커버(12)는 쿠션부재(11)와 함께 운전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리콘이나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 코팅층(13)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팅층(13)이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이는 접착에 의해 헤드 커버(12) 표면과 밀착되고 그 끝단은 헤드 커버(12)와 쿠션부재(11)의 사이 틈으로 말려들어가 고정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성부 중 하나인 완충부(20)는 쿠션부재(11)와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외부압력에 대한 충격흡수를 위한 공기층을 가지는 중공부(25)가 마련되고, 상기 중공부(25)의 외주면을 따라 자가복원력을 가지는 신장력이 뛰어난 자바라 형태의 주름을 구비한 주름부재(21)가 마련되며, 상기 완충부(20)의 배면 상부에 복수의 삽입홀(30)이 마련되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낮은 압력에는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부압을 유지하는 압력 유지밸브(23)와, 외부압력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주름부재(21)의 복원력에 따라 중공부(25)로 재보급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의 유입량과 복원속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일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량 조절밸브(24)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 3a 내지 3e는 목 받침대의 외부 구조와 각 파트별로 이를 분리하여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의 일 요부를 절개 도시한 평 단면도로서, 완충부(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삽입홀(30)에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완충부(20)의 배면 상부에 마련되는 삽입홀(30) 일 측에 장착되는 압력 유지밸브(23)는 중공부(25) 측으로 통기공(35)이 마련되고, 통기공(35)을 따라 내측으로 단 턱(36)을 형성하여 상기 단 턱(36)의 후방에 누름판(34)이 마련되며 상기 누름판(34)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통기공(35)을 폐쇄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배출공(32')이 마련된 고정캡(31)과 누름판(34)에 마련된 고정캡(31')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중공부(25)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가 탄성부재(33)에 의해 폐쇄된 누름판(34)을 밀어낼 수 있는 압력이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 내부공기의 유출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는 평상 주행시 일정 압력의 탄력성을 헤드부(10)에 제공하게 되고, 충돌 등에 의한 강한 충격시에는 상기 누름판(34)이 밀리면서 통기공(35)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고정캡(31)의 배출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완충부(20) 배면에 마련되는 삽입홀(30) 타측에 장착되는 유입량 조절밸브(24)는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단방향 밸브로 삽입홀(30)에 패킹 등에 의해 압착 결합되고 중공부(25) 측으로 마련되는 선별구(39)와, 상기 선별구(39)를 따라 내측으로 차단판(38)이 마련되며, 상기 차단판(38)은 내부의 탄성부재(33')에 의해 유입구(37)를 막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중공부(25) 내에 공기가 외부압력에 의해 빠져나가는 경우, 주름부재(21)의 형상회복에 의해 외부 공기가 중공부(25)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압력 유지밸브(23)에 마련된 탄성부재(33)보다 탄성력이 약한 탄성부재(33')가 유입량 조절밸브(24)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에 있어, 완충부(20)는 주름부재(21)를 당기거나 밀어서 조절 가능하나, 주름부재(21)가 복원력을 가지므로, 주름부재(21)를 밀어서 압축하는 경우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24)를 통하여 공기가 재유입되어 주름부재(21)가 원상회복되므로 주름부재(21)의 미세한 조절이 곤란하므로 일정 깊이 이상 밀어서 조절한 경우는 주름부재(21)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별구(39)와 차단판(38)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3')는 주름부재(21)의 원상복원력보다 탄성이 높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50)는, 완충부(20)에 배면에 마련되는 체결판(57)에 삽입홀(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판(57)의 외주면으로는 홈을 형성한 고정 브라켓(56)이 장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56)은 다시 상부 커버(54)와 하부 커버(55)의 결합에 의해 상ㆍ하부 커버(54)(55)와 결합된다.
또한, 차량 시트에 장착되기 위하여 필요한 체결봉(48)은 몰드 프레임(52)에 의해 사출시 일체화하여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이처럼 체결봉(48)이 장착된 몰드프레임(52)의 전면에는 양측으로 체결부재(53)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재(53)는 상기 상부 커버(54)와 하부 커버(55)에 마련된 체결공(58')과 볼트 등에 의해 결합 고정 된다.
이렇게 몰드 프레임(52)과 결합된 상ㆍ하부 커버(54)(55)는 다시 외부에서 완충커버(47') 속에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완충커버(47')는 뒷좌석 탑승자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주름을 형성하는 완충부(20)의 주름부재(21)는 완충효과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단층이나 단턱을 마련하는 주름부재(21')의 구조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횡단면과 종단면의 물성과 강도에 차이를 위해 두께를 달리하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헤드부(10)로부터의 충격이 흡수되면서 횡단면이 접히면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면서 종단면이 겹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본체 내부 구조와 적용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헤드부(10)는 사람의 목 부위를 포함하여 경추골의 굴곡형상을 감싸줄 수 있도록 양측이 돌출되고 중심이 함몰되는 굴곡을 가지는 형상으로 레이저를 통해 정밀 가공하여 완충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성부 중 하나인 헤드부(10)는 가장 내측으로 완충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탄력성을 가지는 큐션부재(11)와, 상기 큐션부재(11)에 마련된 삽입홀(1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14)가 일체로 마련되는 헤드 커버(12)와, 상기 헤드 커버(12)의 표면에 커버를 감싸줄 수 있는 코팅층(13)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헤드부(10)에 마련되는 지지틀(18)은 쿠션부재(11)와 분리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틀(18)과 쿠션부재(11)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헤드 커버(12)는 쿠션부재(11)와 함께 운전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리콘이나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 코팅층(13)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코팅층(13)이 별도로 마련되는 경우, 이는 접착에 의해 헤드 커버(12) 표면과 밀착되고 그 끝단은 헤드 커버(12)와 쿠션부재(11)의 사이 틈으로 말려들어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성부 중 하나인 완충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부재(1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외부압력에 대한 충격흡수를 위한 공기층을 가지는 중공부(25)가 마련되고, 상기 중공부(25)의 외주면을 따라 접힘에 따라 신장력이 뛰어난 자바라 형태의 주름을 구비한 주름부재(21)가 마련되며, 상기 완충부(20)의 배면 하단으로 복수의 삽입홀(30)이 마련되어 상기 삽입홀(30)에 외부압력에 따라 중공부(25)에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단위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밸브(22)와, 주행중에 발생하는 낮은 외부 압력(차량의 진동이나 차량 움직임에 따른 유동)에는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부압을 유지하는 압력 유지밸브(23)와, 외부압력에 의해 배출된 공기가 주름부재(21)의 복원에 따라 중공부(25)로 재보급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의 유입량과 복원속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일 방향으로만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량 조절밸브(24)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100)의 구조에 있어 플레이트는 수평을 유지하기보다는 도 9 및 10에서와 같이 약간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는 차량(60) 시트(70)에 장착시에 수평상태를 맞추게 되면 상대적으로 헤드부(10)가 플레이트의 경사각만큼 상향 조정되며, 이는 충격에 의한 힘의 방향이 수평선상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한 구조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완충부 배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완충부(20)의 저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홀(30)에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배기량 조절밸브(22)는 고정부재(29)에 의해 상기 삽입홀(30)에 장착되고 상기 삽입홀(30) 둘레로 중공부(25)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절개면(28)과 대응되도록 개방구(26)를 마련하여 상기 조절레버(27)에 의해 상기 배기량 조절밸브(22)를 회전시키면 완충부(20)의 절개면(28)과 배기량 조절밸브(22)의 개방구(26)가 일치하는 구간만큼 토출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유지밸브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완충부(20)의 저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홀(30)에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에 장착되는 압력 유지밸브(23)는 중공부(25) 측으로 통기공(35)이 마련되고, 통기공(35)을 따라 내측으로 단 턱(36)을 형성하여 상기 단 턱(36)의 후방에 누름판(34)이 마련되며 상기 누름판(34)은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통기공(35)을 폐쇄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배출공(32)이 마련된 고정캡(31)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중공부(25)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가 탄성부재(33)에 의해 폐쇄된 누름판(34)을 밀어낼 수 있는 압력이상으로 작용하지 않는 경우 내부공기의 유출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는 평상 주행시 일정 압력의 탄력성을 헤드부(10)에 제공하게 되고, 충돌 등에 의한 강한 충격시에는 상기 누름판(34)이 밀리면서 통기공(35)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고정캡(31)의 배출공(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에 마련되는 압력 유지밸브(23)는 바람직하게는 배기량 조절밸브(22)의 장착을 제거하고 해당 삽입홀(30)을 폐쇄하거나 조절레버(27)를 통하여 배기량을 최소화한 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입량 조절밸브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완충부(20)의 저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홀(30)에는 다양한 종류의 밸브를 체결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에 장착되는 유입량 조절밸브(24)는 공기의 흐름이 일방향으로 진행되는 단방향 밸브로 삽입홀(30)에 나사결합 등에 의해 체결되고 중공부(25) 측으로 마련되는 선별구(39)와, 상기 선별구(39)를 따라 내측으로 차단판(38)이 마련되며, 상기 차단판(38)의 일측이 내측에 고정부착되며 타측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38)의 후단으로 유입구(37)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중공부(25) 내에 공기가 외부압력에 의해 빠져나가는 경우, 주름부재(21)의 형상회복에 의해 외부 공기가 중공부(25)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밸브로서 선별구(39)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도 차단판(38)에 의해 유입구(37)로 배출되지 못하고, 반대로 외부공기는 유입구(37)를 통하여 유입되어 일 측만이 접합된 차단판(38)을 밀고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선별구(39)를 통하여 중공부(25)로 유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 자동차용 목 받침대는 인체 경추골의 골곡형상을 최첨단 레이저 측정을 통해 제작되어 경추부 8쌍의 신경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경추 디스크나 목 결림을 예방해주고 운전자가 장시간 운전에도 편안함을 가지도록 하며, 교통사고시 치명적인 목 부상 및 머리 부상의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의 구조를 도시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목 받침대의 완충커버를 제거한 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목 받침대의 완충커버를 제거한 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목 받침대의 몰드프레임을 제거한 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목 받침대의 헤드 커버를 제거한 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d는 목 받침대의 완충커버를 제거한 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e는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의 일 요부를 절개 도시한 평 단면도.
도 5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 구조에 대한 예를 보인 참고도.
도 5는 목 받침대의 일 실시 구조를 도시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완충부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체 내부 구조를 파절하여 도시한 평 단면도.
도 8은 자동차용 시트와 체결되는 목 받침대를 적용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9는 헤드 조절부 레버에 의한 상하조절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10은 헤드 조절부 레버 회전에 따른 고정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11은 완충부 배면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기량 조절밸브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압력 유지밸브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유입량 조절밸브의 또 다른 실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목 받침대를 적용한 시트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드부 11. 쿠션부재 12. 헤드 커버
13. 코팅층 14,14'. 고정부재 15. 마감부
16. 날개부 17. 삽입홀 18. 지지틀
19. 지지부 20. 완충부 21. 주름부재
22. 배기량 조절밸브 23. 압력 유지밸브 24. 유입량 조절밸브
25. 중공부 26. 개방구 27. 조절레버
28. 절개면 29. 고정부재 30. 삽입홀
31,31'. 고정 캡 32.32'. 배출공 33,33'. 탄성부재
34. 누름판 35. 통기공 36. 단 턱
37. 유입구 38,38'. 차단판 39. 선별구
40. 헤드 조절부 41. 고정레버 42. 회전축
43, 43'. 고정체 44. 회전체 45. 돌기
46. 스토퍼 47,47'. 완충커버 48. 체결봉
49. 체결홀 50. 지지부 51. 절개면
52. 몰드프레임 53. 체결부재 54. 상부커버
55. 하부커버 56. 고정브라켓 57. 체결판
58,58'. 체결공 60. 차량 70. 시트

Claims (20)

  1. 신체를 보호하거나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 시트 상부에 장착되는 받침대에 있어서;
    사람의 목 부위 또는 경추부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헤드부(10);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10)의 배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외부압력에 대한 충격흡수를 위한 공기층을 가지는 중공부(25)와, 상기 중공부(25)의 외주면으로 접히고 펴는 것이 가능한 자가복원력을 가지는 주름을 구비한 주름부재(21)를 구비한 완충부(20);
    차량 충돌시 머리와 경추를 보호할 수 있도록 헤드부(10)의 상하단 후방의 완충부(20)에 형성되는 날개부(16);
    상기 완충부(20)의 배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삽입홀(30)과;
    상기 삽입홀(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낮은 압력에는 중공부(25)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내부압을 유지하는 압력 유지밸브(23);
    상기 삽입홀(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완충부(20)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따라 중공부(25)로부터 외부로 토출된 공기가 주름부재(21) 복원시 중공부(25)로 다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의 유입량과 주름부재(21)의 복원속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에서 내부로의 일 방향으로만 공기가 흐르는 유입량 조절밸브(24);
    상기 완충부(20)의 배면으로 차량 시트에 장착될 수 있도록 체결봉을 구비하는 지지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인체의 경추골부위 및 경추골을 감싸줄 수 있도록 굴곡 형상의 지지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내측으로 완충부(20)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탄력성을 가지는 큐션부재(11) 와;
    상기 큐션부재(11)에 마련된 삽입홀(17)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고정부재(14)가 일체로 마련되는 헤드 커버(12)와;
    상기 헤드 커버(12)의 표면에 커버를 감싸줄 수 있는 코팅층(1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는,
    배면으로 마련되는 삽입홀(30)과;
    상기 삽입홀(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외부압력에 따라 중공부(25)에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단위량을 조절하는 배기량 조절밸브(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기량 조절밸브(22)는
    중공부(25)의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절개면(28)과;
    상기 절개면(28)과 대응되도록 조절밸브에 마련된 개방구(26)와;
    완충부(20)의 절개면(28)과 배기량 조절밸브(22)의 개방구(26)가 일치하는 구간만큼 배기량이 조절되도록 배기량 조절밸브(22)를 회전시키는 조절레버(2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 유지밸브(23)는,
    중공부(25) 측으로 통기공(35)과;
    통기공(35)을 따라 내측으로 단 턱(36)과;
    상기 단 턱(36)의 후방에 누름판(34)과;
    상기 누름판(34)이 통기공(35)을 폐쇄하도록 탄성부재(33)와;
    상기 탄성부재(33)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배출공(32)이 마련된 고정캡(31);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24)는,
    삽입홀(30)에 체결되고, 헤드부(10)와 연결된 완충부(20)에 형성된 중공부(25) 측으로 마련되는 선별구(39)와;
    상기 선별구(39)를 따라 내측으로 일측이 내측에 고정부착되며 타측은 개방되는 차단판(38)과;
    상기 차단판(38)에 의해 내부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고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차단판(38)의 후단에 마련되는 유입구(3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부(20)는 주름부재(21)를 당기거나 밀어서 조절 가능하나, 주름부재(21)가 복원력을 가지므로, 주름부재(21)를 밀어서 압축하는 경우 상기 유입량 조절밸브(24)를 통하여 공기가 재유입되어 주름부재(21)가 원상회복되므로 주름부재(21)의 미세한 조절이 곤란하므로 일정 깊이 이상 밀어서 조절한 경우는 주름부재(21)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별구(39)와 차단판(38)의 사이에 낮은 깊이의 주름부재(21)의 원상복원력보다 탄성이 높은 별도의 탄성부재(33')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완충효과를 위해 완충부(20)에 마련되는 주름부재(21)는 단층 또는 단턱을 가지는 형태의 주름부재(2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는,
    차량 시트에 삽입 체결되는 다양한 규격의 체결봉이 장착될 수 있도록 체결홀이 마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는 완충커버(4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0)는,
    완충부(20)와 결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56)과;
    상기 고정 브라켓(56)과 결합하는 상부 커버(54)와 하부 커버(55);
    차량 시트에 장착되기 위하여 필요한 체결봉(48)을 장착한 몰드 프레임(52);
    몰드 프레임(52)과 결합된 상ㆍ하부 커버(54)(55)를 외부에서 감싸는 완충커버(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54)와 하부 커버(55)는 체결공(58')을 마련되며, 상기 몰드프레임(52)은 전면 양측에 체결부재(53)를 마련하여 이들 간에 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KR1020070106911A 2007-07-25 2007-10-23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KR100840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4031 WO2009014329A2 (en) 2007-07-25 2008-07-09 The ergonomic neck support apparatus for car seat which has a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and wrick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817 2007-07-25
KR20070074817 2007-07-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556B1 true KR100840556B1 (ko) 2008-06-23

Family

ID=3977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911A KR100840556B1 (ko) 2007-07-25 2007-10-23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0556B1 (ko)
WO (1) WO20090143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7081A1 (fr) * 2014-02-04 2015-08-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appui d'une tete et/ou d'un cou, a housse et piece extensibles en cas de choc, pour un dossier de siege
DE102015212510A1 (de) * 2015-07-03 2017-01-0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nkörper und Kopfstütz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43U (ko) * 1998-06-26 2000-01-25 백경태 유체의 분사공급을 위한 워터제트직기용 체크밸브
KR20030097452A (ko) * 2002-06-21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체크밸브
KR20040002257A (ko) * 2002-06-29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크밸브구조
JP2004314797A (ja) * 2003-04-16 2004-11-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50006814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에어튜브식 헤드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564U (ko) * 1996-12-13 1998-09-15 임경춘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KR19990017400A (ko) * 1997-08-22 1999-03-15 박문수 좌석의 머리지지장치
KR19990035132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143U (ko) * 1998-06-26 2000-01-25 백경태 유체의 분사공급을 위한 워터제트직기용 체크밸브
KR20030097452A (ko) * 2002-06-21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체크밸브
KR20040002257A (ko) * 2002-06-29 2004-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크밸브구조
JP2004314797A (ja) * 2003-04-16 2004-11-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50006814A (ko) * 2003-07-10 2005-0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에어튜브식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14329A2 (en) 2009-01-29
WO2009014329A3 (en)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182A (en) Energy absorbing support for vehicular passengers
US7090292B2 (en) Energy absorbing support for vehicular passengers
US5580124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hiplash
US7472952B2 (en) Safety seat
EP0677423B1 (en) Neck support for a vehicle seat
CN102741085A (zh) 带撞击保护功能的儿童座椅
AU2017254961A1 (en) Energy Attenuation System for a Child Safety Seat
KR100840556B1 (ko) 충격흡수와 목 결림을 방지하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자동차용 목 받침대의 구조
WO2017211305A1 (en) Device for reduction of vertical peak acceleration
KR20040035898A (ko) 목 상해 방지용 자동차 시트
US10576861B1 (en) Whiplash injuries prevention headrest apparatus and drowsy driving prevention alarm
KR102000620B1 (ko) 자기유변탄성체를 활용한 자동차 헤드레스트 시스템
CA2334206C (en) Transparent head restraint assembly
KR100298614B1 (ko) 자동차시트의람버서포트
KR100506025B1 (ko) 길이 가변형 헤드 레스트가 구비된 시트
EP1373013B1 (en) Non-stop-active car headrest
JP2000210156A (ja) 自動車用シ―トバック
KR20080104222A (ko) 양면충격흡수헤드레스트
KR20120007167U (ko) 운전 중인 운전자 보호 기구
KR20200139594A (ko) 어린이를 위한 에어쿠션 안전벨트
DE202010016787U1 (de) Sich schnell bewegendes Fahrzeug zu verwendender Sicherheitssitz mit einer Sicherheitskopfstütze und sich automatisch schließende und öffnende Kopffixierungsausrüstung
WO2007137636A1 (de) Vorrichtung zur individuellen anpassung eines kopf-sicherheitsgurtes
CN107585070A (zh) 一种安装有可调节头枕的汽车座椅
DE102010053822A1 (de) Sich schnell bewegendes Fahrzeug zu verwendender Sicherheitssitz mit einer Sicherheitskopfstütze und sich automatisch schließende und öffnende Kopffixierungsausrüstung.
GB2410683A (en) Detachable vehicle head restraint with plate to spread lo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