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847B1 -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 Google Patents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847B1
KR101308847B1 KR1020110025772A KR20110025772A KR101308847B1 KR 101308847 B1 KR101308847 B1 KR 101308847B1 KR 1020110025772 A KR1020110025772 A KR 1020110025772A KR 20110025772 A KR20110025772 A KR 20110025772A KR 101308847 B1 KR101308847 B1 KR 10130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haft
support
present
headres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172A (ko
Inventor
김여란
Original Assignee
김여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란 filed Critical 김여란
Priority to KR102011002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847B1/ko
Priority to JP2012086859A priority patent/JP2012200610A/ja
Publication of KR2012010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Bedding Item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관한 것으로, 여행이나 출장과 같은 장거리 이동 시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머리카락이 눌려 납작 머리가 되거나 머리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압 기능이 가미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장방형의 넓적한 지지판과 복수개의 지지축과 복수개의 축 상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축들은 지지판의 윗면에 상향 돌출된 원주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축 상단부는 지지축의 상단에 넓적한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닿는 부위이다. 지지판의 밑면에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지는 밑바닥 판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축은 손가락을 한 방향으로 오므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축 상단부의 표면은 지지판의 중앙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Portable Pillow-type Cushion}
본 발명은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할 때 머리카락이 눌려 납작 머리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관한 것이다.
여행이나 출장 등의 목적으로 버스, 기차,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장거리를 이동하다 보면 의자에 앉은 채 졸거나 잠이 드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런데 잠을 깨고 나면 머리카락이 눌려 납작 머리가 되거나 벌집을 지은 것처럼 머리가 망가지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이동 중인 상태에서는 제대로 머리 손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여간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현재 휴대용 베개나 목 받침의 용도로 여행객이나 장거리 이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납작 머리를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특화되어 개발된 제품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행이나 출장과 같은 장거리 이동 시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머리카락이 눌려 납작 머리가 되거나 머리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압 기능이 가미된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장방형의 지지판과 복수개의 지지축과 복수개의 축 상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개의 상기 지지축은 각각 상기 지지판의 윗면에 상향 돌출된 원주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축 상단부는 각각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상기 지지축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닿는 부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밑바닥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밑바닥 판은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상기 지지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지지축은 모두 5개이고 손가락을 한 방향으로 오므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축 상단부의 표면은 상기 지지판의 중앙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축 상단부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윗면은 미끄러운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한쪽 모퉁이에는 연결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구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축 상단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결합 가능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여행이나 출장과 같은 장거리 이동 시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지지축의 상단에 형성된 축 상단부가 마치 손가락 끝으로 머리를 지탱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눌려 납작 머리가 되거나 머리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은 두피에 닿는 부위인 축 상단부의 표면을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하여 지압이나 마사지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밑바닥 판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거나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 도면을 통틀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밑바닥 판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은 크게 지지판(10)과 복수개의 지지축(20)과 복수개의 축 상단부(22)로 이루어진다.
지지판(10)은 장방형의 판이다. 도 1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지지판(10)은 대략 가로 8㎝, 세로 5㎝의 장방형이다. 그러나 지지판(10)의 크기는 특정 크기로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지지판(10)은 유연성(flexible)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판(10)의 소재가 반드시 플라스틱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튼튼하되 딱딱하지 않고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는 소재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판(10)의 윗면(12)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잘 달라붙지 않도록 미끄러운 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지지축(20)은 여러 개(예컨대, 5개)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지지축(20)은 지지판(10)의 윗면(12)에 상향 돌출된 원주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축(20) 하나의 직경은 예를 들어 8~10㎜이고 높이는 예컨대 3~5㎝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지지축(20)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야구 글로브처럼 펴서 한 방향으로 오므린 형태처럼 모두 5개의 지지축(20)들을 배치할 수 있다. 지지축(20)은 지지판(10)과 마찬가지로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축(20)의 소재가 반드시 플라스틱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튼튼하되 딱딱하지 않고 어느 정도 유연성이 있는 소재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실리콘도 지지축(20)의 소재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지지축(20)은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중심에 철심(도시 생략)이 박힌 형태일 수도 있다. 지지판(10)과 지지축(20)은 성형 틀을 이용해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고, 지지판(10)과 각각의 지지축(20)을 별도로 성형한 후 서로 접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축 상단부(22)는 각각의 지지축(20) 상단에 지지축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형태(예컨대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축 상단부(22)의 직경은 예를 들어 긴 쪽이 1.5~2㎝이고 짧은 쪽이 대략 1㎝이다. 그러나 축 상단부(22)의 형태와 크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40)에 앉아 머리(50)를 기댈 때, 축 상단부(22)는 사용자의 머리(50)에 실제로 닿는 부위에 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형태로 모두 5개의 지지축(20)들이 배치되는 경우, 축 상단부(22)는 마치 5개의 손가락 끝으로 머리(50)를 지탱하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축 상단부(22)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 상단부(22)의 울퉁불퉁한 표면은 사용자의 두피에 닿아 지압이나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도 2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축 상단부(22)는 안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축 상단부(22)들의 표면이 모두 지지판(10)의 중앙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뒤통수의 굴곡에 대응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축 상단부(22)는 예컨대 지지축(20) 상단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경화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지지축(20)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축 상단부(22)의 표면 가공은 엠보싱 가공 등과 같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판(10)의 밑면에는 밑바닥 판(14)이 형성될 수 있다. 밑바닥 판(14)은 지지판(10)과 동일한 장방형이며,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밑바닥 판(14)의 미끄럼 방지 구조란, 도 3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빨래판과 같은 무늬를 형성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40)에 대어 사용할 때 잘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밑바닥 판(14)은 예컨대 실리콘을 도포하고 경화한 후 표면 가공을 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밑바닥 판(14)의 무늬, 소재, 제조방법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의 한쪽 모퉁이에는 연결구(16)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6)에는 클립(34)이 달린 스프링(32)이나 끈 등의 고정수단이 끼워진다. 이를 통해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을 사용자의 옷깃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구(16)의 위치는 지지판(10)의 한쪽 모퉁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 개수 또한 하나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구(16)의 위치, 개수, 형태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구(16)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은 예시된 스프링(32)과 클립(34) 외에도 벨트(도시 생략)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벨트를 사용자의 옷깃 쪽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은 케이스(30)와 주머니(도시 생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는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을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지지축(20)과 축 상단부(22)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지지판(10)의 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주머니(도시 생략)는 단순히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보통의 주머니이다. 케이스(30)나 주머니(또는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하게 되면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의 휴대가 간편해지고 위생적이며 보관할 때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나 보관 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3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로, 주머니는 예컨대 직물 소재로 각각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은 반드시 휴대용으로만 그 용도가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용으로도 얼마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거실 소파에 기대어 앉을 경우 본 발명의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100)을 소파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10: 지지판 12: 판 윗면
14: 밑바닥 판 16: 연결구
20: 지지축 22: 축 상단부
30: 케이스 32: 스프링
34: 클립 40: 의자
50: 머리

Claims (8)

  1. 윗면이 미끄러운 면으로 형성된 장방형의 지지판;
    각각 상기 지지판의 윗면에 상향 돌출된 원주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축;
    각각 상기 지지축의 상단에 상기 지지축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닿는 부위인 복수개의 축 상단부;
    상기 지지판의 밑면에 상기 지지판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지는 밑바닥 판;
    상기 지지판의 한쪽 모퉁이에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는 클립이 달린 스프링으로 형성되거나 벨트로 형성된 고정수단; 및
    상기 지지축과 상기 축 상단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 결합 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축 상단부의 표면은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 쪽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지지축은 손가락을 한 방향으로 오므린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25772A 2011-03-23 2011-03-23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KR10130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72A KR101308847B1 (ko) 2011-03-23 2011-03-23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JP2012086859A JP2012200610A (ja) 2011-03-23 2012-03-21 携帯用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772A KR101308847B1 (ko) 2011-03-23 2011-03-23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72A KR20120108172A (ko) 2012-10-05
KR101308847B1 true KR101308847B1 (ko) 2013-09-13

Family

ID=4718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772A KR101308847B1 (ko) 2011-03-23 2011-03-23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200610A (ko)
KR (1) KR101308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510A1 (de) * 2015-07-03 2017-01-0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nkörper und Kopfstütz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134A (en) * 1978-03-09 1980-07-01 Kabushikigaisha Omco Pillow for manual therapeutics
US20020133881A1 (en) * 2000-05-18 2002-09-26 Vrbas Mark J. Baby pillow
KR200321358Y1 (ko) *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JP2003339504A (ja) * 2002-05-24 2003-12-02 Bridgestone Cor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134A (en) * 1978-03-09 1980-07-01 Kabushikigaisha Omco Pillow for manual therapeutics
US20020133881A1 (en) * 2000-05-18 2002-09-26 Vrbas Mark J. Baby pillow
JP2003339504A (ja) * 2002-05-24 2003-12-02 Bridgestone Corp
KR200321358Y1 (ko) * 2003-03-31 2003-07-28 전종국 건강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172A (ko) 2012-10-05
JP2012200610A (ja)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6765B1 (en) Combination mattress with a removable baby-carrying piece
KR101402167B1 (ko) 거북목 방지 장치
KR101308847B1 (ko) 휴대용 머리받침 쿠션
KR101820357B1 (ko)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CN206342225U (zh) 一种沙发座包
US20100037395A1 (en) Shoulder pillow
CN107362030A (zh) 弹力按摩网及相应的按摩床垫、足底按摩装置和按摩头枕
KR200487240Y1 (ko) 머리카락 눌림이 없게 하는 베개
KR101734001B1 (ko) 빗살 일체형 헤어브러시
KR20160149121A (ko) 수면 쿠션
US20090288256A1 (en) Headrest for protecting a hairstyle
KR101697136B1 (ko) 창가 좌석용 베개
KR200421926Y1 (ko) 기능성 어깨.등베개
KR101274065B1 (ko) 두발의 변형을 예방하기 위한 머리받침대
CN204105349U (zh) 一种防滑垫
CN104203051A (zh) 保持装置
TWM409792U (en) Structure of neck-supporting pillow
WO2017068886A1 (ja) 椅子
KR101987869B1 (ko) 휴대용 유아 침구세트.
CN207152377U (zh) 一种护颈枕
KR200430097Y1 (ko) 접는 등받이 베개
KR200452736Y1 (ko)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JP3230101U (ja) 寝具用枕及び枕カバー
CN211212430U (zh) 一种护颈枕头
JP3096002U (ja) 椅子用座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