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736Y1 -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 Google Patents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736Y1
KR200452736Y1 KR2020080010043U KR20080010043U KR200452736Y1 KR 200452736 Y1 KR200452736 Y1 KR 200452736Y1 KR 2020080010043 U KR2020080010043 U KR 2020080010043U KR 20080010043 U KR20080010043 U KR 20080010043U KR 200452736 Y1 KR200452736 Y1 KR 200452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glasses
space portion
ea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03U (ko
Inventor
차상훈
Original Assignee
차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훈 filed Critical 차상훈
Priority to KR2020080010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3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3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는 상기 베개의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는 사람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된 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귀공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어느 한 방향의 외측으로 형성된 안경공간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경 쓴 사람이 옆으로 누워도 안경테와 귀가 눌리지 않아 안경을 쓴 채로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편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을 쓰지 않은 사람도 귀가 눌리지 않아 오랜 시간 누워 있어도 편안할 수 있다.
안경, 베개, 쿠션, 귀, 공간부

Description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COMFORTABLE PILLOW FOR PERSON WEAR THE GLASSES}
본 고안은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에 귀와 안경테가 안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하여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옆으로 누워도 안경으로 인해 불편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옆으로 오랜 시간 누워 있더라도 귀가 편안할 수 있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베개는 누워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때 머리를 받쳐주는 침구 중의 하나로서, 내부에 쿠션재가 삽입되거나 목침과 같이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져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베개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똑바로 누울 경우 아무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지만, 옆으로 누워서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할 경우 또는 옆으로 누워서 텔레비전을 시청하거나 타인과 대화를 나눌 경우에는 안경이 눌려 불편하기 때문에 상기 안경을 벗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귀가 베개에 오랜 시간 눌리게 되면 불편하여 편안하게 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베개에 공간부를 구비하여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옆으로 누워도 상기 공간부로 안경테가 안치되기 때문에 안경을 착용한 채로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이 옆으로 오랜 시간 누워도 상기 공간부로 귀가 눌리지 않아 편안할 수 있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는 사람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된 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귀공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어느 한 방향의 외측으로 형성된 안경공간부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공간부는 상기 귀공간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되, 일자 형태를 가지는 제 1안경공간부와 상기 제 1안경공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2안경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옆으로 누워도 안경테 가 눌리지 않아 안경을 착용한 채로 취침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어 편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사람도 귀가 눌리지 않아 오랜 시간 누워 있어도 편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상부(110) 또는 하부(120)의 중앙에는 사람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된 귀공간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귀공간부(140)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어느 한 방향의 외측으로 형성된 안경공간부(150)가 구성된다.
상기 베개는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원형이나 하트 또는 캐릭터 등의 형상을 가져도 무관하다. 그리고, 그 재질은 피부가 닿는 곳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땀 흡수가 잘 되는 면 재질이 바람직하나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재료 즉, 폴리에스테르 등이 혼합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건강에 유익을 줄 수 있는 재료들인 황토, 토르말린, 한방약재 등이 첨가되면 더욱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개는 일정한 탄력을 가질 수도 있고, 목침과 같이 그 재질이 딱딱하여 탄력을 가지지 않아도 무관하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일정한 탄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베개를 형성시키기 위한 내부 재료에는 일정한 탄력을 줄 수 있는 솜이나 고무재질의 라텍스 및 폴리우레탄 등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a-a'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귀공간부(140)는 일반적인 사람의 귀의 크기보다는 크도록 하되, 상기 귀가 안치되어 눌리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넓이와 높이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사람의 안면이 상기 베개에 최대한 많이 닿을수록 편안한 쿠션의 느낌을 갖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귀공간부(140)의 형태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람의 귀가 들어갈 수 있는 모양이면 무관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c-c'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경공간부(150)는 상기 귀공간부(14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되, 일자 형태를 가지는 제 1안경공간부(152)와 상기 제 1안경공간부와 연결된 제 2안경공간부(154)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안경은 안경알을 고정시키는 안경알테와 귀에 걸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일자형태의 지지테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안경공간부(152)는 귀공간부(140)와 연속된 공간부로서, 상기 귀공간부(140)의 파진 홈의 높이와 동일하되 폭이 좁도록 형성된다. 즉,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옆으로 누웠을 때 상기 안경의 지지테가 눌리거나 간섭받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을 말한다.
상기 제 2안경공간부(154)는 상기 제 1안경공간부(152)의 파진 홈의 높이와 동일한 연속된 공간부로서, 상기 베개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데, 상기 외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폭은 상기 안경의 안경알테가 눌리거나 간섭받지 않을 수 있는 최소한의 폭을 말한다.
상기 제 1안경공간부(152)와 제 2안경공간부(154)의 폭을 최소한의 폭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상술한 것과 같이, 사람의 안면이 상기 베개에 최대한 많이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안경공간부(152)와 제 2안경공간부(154)의 파진 홈의 높이는 귀공간부(140)의 파진 홈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그 높이는 각각 달리해도 무관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옆으로 누워도 귀와 안경 즉, 안경알테 및 지지테가 눌리지 않아 편안하게 취침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귀공간부(140)와 안경공간부(150)가 베개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귀공간부(140)와 안경공간부(150)는 상기 베개의 상부(110)과 하부(120)에 구비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베개를 양쪽으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c-c'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상부 120 : 하부
140 : 귀공간부 150 : 안경공간부
152 : 제 1안경공간부 154 : 제 2안경공간부

Claims (2)

  1. 삭제
  2. 베개의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는 사람의 귀가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공간이 형성된 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귀공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어느 한 방향의 외측으로 형성된 안경공간부가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안경공간부는 상기 귀공간부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되, 일자 형태를 가지는 제 1안경공간부와, 상기 제 1안경공간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베개의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 2안경공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KR2020080010043U 2008-07-28 2008-07-28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KR200452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43U KR200452736Y1 (ko) 2008-07-28 2008-07-28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043U KR200452736Y1 (ko) 2008-07-28 2008-07-28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03U KR20100001303U (ko) 2010-02-08
KR200452736Y1 true KR200452736Y1 (ko) 2011-03-22

Family

ID=44196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043U KR200452736Y1 (ko) 2008-07-28 2008-07-28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76A (ko) 2018-06-01 2019-12-11 김효진 안경을 장착할 수 있는 베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73U (ko) * 1989-06-29 1991-02-20
JPH0324835U (ko) * 1989-07-17 1991-03-14
JPH0384994U (ko) * 1989-12-11 1991-08-28
JP2000139655A (ja) 1998-11-17 2000-05-23 Yahatagumi:K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873U (ko) * 1989-06-29 1991-02-20
JPH0324835U (ko) * 1989-07-17 1991-03-14
JPH0384994U (ko) * 1989-12-11 1991-08-28
JP2000139655A (ja) 1998-11-17 2000-05-23 Yahatagumi: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03U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262B1 (ko) 기능성 베개
US10258164B2 (en) Mattress core with replaceable inner blocks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KR100839364B1 (ko) 안면 쿠션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820357B1 (ko) 지압돌기가 구비되는 안마베개
JP6865941B2 (ja) 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200452736Y1 (ko)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베개
KR101087714B1 (ko) 베개
CN204764674U (zh) 360°全方位支撑可折曲护颈枕
KR101616208B1 (ko)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0420653Y1 (ko) 기능성 목·등받이 베개
KR100523002B1 (ko) 다경도 ·다탄성 기능을 갖는 숙면용 건강베개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CN210643520U (zh) 组合式枕头
KR102510517B1 (ko) 콜라겐층을 포함하는 수면용 안대
JP2000139655A (ja)
KR102366370B1 (ko) 통기성을 구비하고 귀 눌림과 눈가 세로주름이 방지되는 기능성 베개
KR200477517Y1 (ko) 목 베개
KR200318352Y1 (ko) 롤러를 채용한 베개
KR102630894B1 (ko) 2중 구조 베개
KR20120055899A (ko) 팔베개
CN211242661U (zh) 一种趴睡枕
KR200267411Y1 (ko) 팔 베개용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