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162A -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162A
KR20180025162A KR1020170085337A KR20170085337A KR20180025162A KR 20180025162 A KR20180025162 A KR 20180025162A KR 1020170085337 A KR1020170085337 A KR 1020170085337A KR 20170085337 A KR20170085337 A KR 20170085337A KR 20180025162 A KR20180025162 A KR 2018002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execution
power saving
uni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로 기우치
무네유키 이시하라
쓰요시 호리구치
히로시 스즈키
겐 후지타
다케히토 모리마쓰
도모히코 무라카미
나오야 오카모토
다쿠야 고이소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94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re the allocation takes into account power or heat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가 공통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또한 전력 절약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컨트롤러부는, 복수의 카메라부에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고, 복수의 카메라부에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에 대한 이행,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고, 복수의 카메라부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카메라부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복수의 상기 카메라부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PLURAL PROCESS EXECUTING APPARATUSES}
본원에 대해서는, 2016년 8월 31일자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6-16882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기초 출원의 내용을 모두 본원에 있어서 원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상(撮像) 장치가 화상을 촬영하면, 상기 화상을 다른 외부 장치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기술이 일본 공개특허 제2002-342465호 공보와 같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복수의 촬상 장치를 제어 장치가 제어하여, 각각의 촬상 장치가 촬영한 화상을 공통의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한 환경으로 되면, 복수의 촬상 장치 사이에 있어서, 화상의 송신이 동시에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하고, 또한 적절히 전원 관리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는, 화상을 자동으로 송신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장치가 공통의 처리를 실행하는 요구를 다른 장치로부터 행하도록 한 환경에 있어서 생길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2-342465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가 공통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또한 전력 절약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부;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부;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실행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 처리;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 처리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처리 실행 방법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 실행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처리; 및
상기 실행 처리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 처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제어 장치에 의해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부;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부;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각각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추가적인 목적 및 새로운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한 것으로서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이해할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기술(記述)에 대하여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원의 보다 명확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컨트롤러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카메라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에 의한 화상 자동 전송 처리에 관한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이하에,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태양(態樣)을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제어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은, 동기(同期)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예를 들면, Bluetooth(등록상표) 등]을 행하는 복수의 카메라부(처리 실행 장치)(1, …)[도 1에는, 2개의 카메라부(1A, 1B)를 도시]와, 컨트롤러부(제어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메라부(1, …)에 의해, 촬영된 화상(정지 화상이나 동영상)을, 컨트롤러부(2)가 슬립 상태(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타이밍에서 자동적으로 외부 장치로서의 스마트 폰(SP)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먼저, 컨트롤러부(2)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컨트롤러부(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컨트롤러부(2)는, 제어 대상의 기기(機器)[예를 들면, 카메라부(1) 등]와의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의 마스터로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러부(2)는, 중앙 제어부(201)와, 메모리(202)와, 표시부(203)와, 표시 제어부(204)와, 기록 매체 제어부(205)와, 조작 입력부(206)와, 무선 제어부(207)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201), 메모리(202), 표시 제어부(204), 기록 매체 제어부(205) 및 무선 제어부(207)는, 버스 라인(20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부(2)는, 예를 들면, 카메라부(1)에 대응하는 전용(專用)의 장치라도 되고, 휴대 전화기나 스마트 폰이나 PDA(Personal Data Assista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중앙 제어부(처리 실행 요구 수단, 전력 절약 요구 수단, 제어 수단, 전력 절약 실행 수단, 촬영 요구 수단)(201)는, 컨트롤러부(2)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부(20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MCU(Micro Controller Unit), DSP(DigitalSignal Processor)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부(2)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행한다.
메모리(202)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며, 중앙 제어부(201) 외에, 상기 컨트롤러부(2)의 각 부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표시부(203)는, 예를 들면, LCD 등을 포함하고, 중앙 제어부(201)의 제어 하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203)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20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화면(예를 들면, 라이브 뷰 화상 표시 화면이나 원격 조작 화면 등)을 표시 영역 내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204)는, 중앙 제어부(201)에 의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면, 라이브 뷰 화상 표시 프로그램, 원격 조작 프로그램 등; 도시하지 않음)의 실행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따른 화상 신호를 표시부(203)에 출력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205)는, 기록 매체(205a)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장착된 기록 매체(205a)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reading)이나 기록 매체(205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write)을 제어한다.
즉, 기록 매체 제어부(205)는, 예를 들면, 카메라부(1)에 의해 촬상되고, 이 카메라부(1)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취득된 정지 화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205a)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기록 매체(205a)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206)는, 컨트롤러부(2) 본체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206)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부(2) 본체의 전원의 ON/OFF에 관한 전원 버튼, 모드나 기능 등의 선택 지시에 관한 상하 좌우의 커서 버튼이나 결정 버튼(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각종 버튼이 조작되면, 조작 입력부(206)는, 조작된 버튼에 따른 조작 지시를 중앙 제어부(201)에 출력한다. 중앙 제어부(201)는, 조작 입력부(206)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동작(예를 들면, 동기 통신 동작 등)을 각 부에 실행시킨다.
그리고, 조작 입력부(206)는, 표시부(203)와 일체로 되어 설치된 터치 패널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패널의 소정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조작에 따른 조작 지시를 중앙 제어부(201)에 출력해도 된다.
무선 제어부(207)는, 소정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제어 대상의 기기[예를 들면, 카메라부(1) 등]와의 사이에서 통신 제어를 행한다.
즉, 무선 제어부(207)는,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무선 제어부(207)는, 통신 안테나(207a)를 통하여 제어 대상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의 통신 규격에 따른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M1)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카메라부(1)에 대하여,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카메라부(1)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카메라부(1, …)는, 제어하는 기기[컨트롤러부(2)]와의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에서의 슬레이브로 되는 것이지만, 구성 및 동작은 대략 마찬가지이므로, 대표하여 카메라부(1A)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모든 카메라부(1)는, 반드시 동일한 기종일 필요는 없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부(1A)는, 중앙 제어부(101)와, 메모리(102)와, 촬상부(撮像部)(103)와, 촬상 제어부(104)와, 화상 처리부(105)와, 기록 매체 제어부(106)와, 조작 입력부(107)와, 제1 무선 제어부(108)와, 제2 무선 제어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앙 제어부(101), 메모리(102), 촬상부(103), 촬상 제어부(104), 화상 처리부(105), 기록 매체 제어부(106), 제1 무선 제어부(108) 및 제2 무선 제어부(109)는, 버스 라인(11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중앙 제어부(실행 수단, 요구 수단, 전력 절약 실행 수단)(101)는, 카메라부(1A)의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제어부(10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MCU(Micro Controller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구비하고, 카메라부(1A)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각종 제어 동작을 행한다.
메모리(102)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되며, 중앙 제어부(101) 외에, 상기 카메라부(1A)의 각 부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촬상부(103)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103)는, 렌즈부(103a)와, 전자 촬상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부(103a)는, 예를 들면,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 등의 복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촬상부(103b)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이미지 센서로 구성되며, 렌즈부(103a)의 각종 렌즈를 통과한 광학상을 2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촬상부(103)는, 렌즈부(103a)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정하는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촬상 제어부(104)는, 촬상부(103)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을 제어한다. 즉, 촬상 제어부(104)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제어부(104)는, 타이밍 발생기, 드라이버에 의해 전자 촬상부(103b)를 주사 구동하여, 소정 주기마다 렌즈부(103a)에 의해 결상된 광학상을 전자 촬상부(103b)에 의해 2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전자 촬상부(103b)의 촬상 영역으로부터 1화면분씩 프레임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처리부(105)에 출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제어부(104)는,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촬영 요구 수단)(201)로부터 송신된 촬영 요구를 수신함으로써, 촬상부(103)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을 제어한다.
화상 처리부(105)는, 피사체를 촬상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105)는, 전자 촬상부(103b)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화상의 아날로그 값의 신호에 대하여 RGB의 색성분마다 적절히 게인 조정한 후에, 샘플 홀드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샘플 홀드하여 A/D 변환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컬러(color) 프로세스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소 보간(補間) 처리 및 γ보정 처리를 포함하는 컬러 프로세스 처리를 행한 후, 디지털값의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YUV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컨트롤러부(2)에 의해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화상 처리부(105)는, 라이브 뷰 화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화상의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무선 제어부(108)에 출력한다. 제1 무선 제어부(108)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통신 안테나(108a)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송신한다.
또한, 화상을 기록할 때는, 화상 처리부(105)는, 피사체의 YUV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예를 들면, JPEG 형식, 모션 JPEG 형식, MPEG 형식 등)에 따라 압축하여, 기록 매체 제어부(106)에 출력한다.
기록 매체 제어부(106)는, 기록 매체(106a)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장착된 기록 매체(106a)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록 매체(106a)에 대한 데이터의 기입을 제어한다.
즉, 기록 매체 제어부(106)는, 화상 처리부(105)에 의해 소정의 압축 형식(예를 들면, JPEG 형식, 모션 JPEG 형식, MPEG 형식 등)으로 부호화된 기록용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6a)의 소정의 기록 영역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기록 매체(106a)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플래시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107)는, 상기 카메라부(1A)의 소정 조작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입력부(107)는, 예를 들면, 장치 본체의 전원의 ON/OFF에 관한 전원 버튼, 피사체의 촬상 지시에 관한 셔터 버튼, 촬상 모드나 기능 등의 선택 지시에 관한 선택 결정 버튼(어느 쪽도 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각종 버튼이 조작되면, 조작 입력부(107)는, 조작된 버튼에 따른 조작 지시를 중앙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중앙 제어부(101)는, 조작 입력부(107)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된 조작 지시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각 부에 실행시킨다.
제1 무선 제어부(108)는, 소정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다른 기기[예를 들면, 다른 카메라부(1)]나 컨트롤러부(2)와의 사이에서 통신 제어를 행한다.
즉, 제1 무선 제어부(108)는, 컨트롤러부(2)의 무선 제어부(207)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제어부(108)는, 통신 안테나(108a)를 통하여, 다른 카메라부(1)나 컨트롤러부(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의 통신 규격에 따른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 제어 모듈(M1)을 구비한다.
제2 무선 제어부(109)는, 소정의 무선 통신 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외부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 폰(SP) 등]와의 사이에서 통신 제어를 행한다.
즉, 제2 무선 제어부(109)는,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예를 들면, BLE(Bluetooth Low Energy), Wi-Fi(Wireless Fidelity) 등)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2 무선 제어부(109)는, 통신 안테나(109a)를 통하여, 스마트 폰(SP)과의 사이에서 BLE 및 Wi-Fi의 통신 규격에 따른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 제어 모듈(M2)을 구비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되는 화상 자동 전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화상 자동 전송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 자동 전송 처리에서는, 컨트롤러부(2), 카메라부(1A) 및 카메라부(1B)는, 슬립 상태(예를 들면, 블루투스의 Sniff Mode)인지의 여부에 의하지 않고, 상시, 소정의 무선 통신 회선(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을 통하여 접속되고, 서로 양 방향으로 각 요구를 송신 가능한 것으로 한다. 또한, 외부 장치인 스마트 폰(SP)(도 1 참조)과, 카메라부(1A) 및 카메라부(1B)의 각각은, 상시, 소정의 무선 통신 회선(예를 들면, BLE)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부(2)의 전원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조작되고, 컨트롤러부(2)의 전원(Power)이 ON의 상태로 이행하면,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B)에 자동 전송 금지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 그리고, 자동 전송 금지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금지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 이로써, 컨트롤러부(2)는, 카메라부(1B)가 스마트 폰(SP)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A)에 자동 전송 금지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3). 그리고, 자동 전송 금지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금지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4). 이로써, 컨트롤러부(2)는, 카메라부(1A)가 스마트 폰(SP)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자동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가 상기한 스텝 S3를 실행하고,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가 상기한 스텝 S4를 실행한 후에,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가 상기한 스텝 S1을 실행하고,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가 상기한 스텝 S2를 실행해도 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컨트롤러부(2)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소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 또는 컨트롤러부(2)가 구비하는 이른바 오토 파워 오프 기능에 의해 무조작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의 이행 준비 단계로 들어가고,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B)에 페일 세이프(fail-safe)를 목적으로 하여 재차 자동 전송 금지 요구를 송신하는 동시에, 슬립(sleep)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5). 그리고, 자동 전송 금지 요구 및 슬립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금지 응답 및 슬립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6). 그리고, 카메라부(1B)는, 슬립 상태(예를 들면, 블루투스의 Sniff Mode)로 이행한다(스텝 S7). 그리고, 슬립 상태에서는, 컨트롤러부(2)나 다른 카메라부(1, …)로부터 송신되는 요구의 수신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A)에 자동 전송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8). 여기서, 자동 전송 개시 요구에는, 자동 전송 처리의 완료 후, 컨트롤러부(2)에 웨이크업(wakeup) 요구를 송신한다는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웨이크업 요구란, 슬립 상태로부터의 해제 요구, 즉 통상 상태로의 이행 요구이다. 그리고, 자동 전송 개시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개시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9). 그리고, 자동 전송 개시 응답을 수신한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예를 들면, bluetooth의 Sniff Mode)로 이행한다(스텝 S10). 그리고, 카메라부(1A)는, 자동 전송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
여기서, 자동 전송 처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자동 전송 처리에서는, 먼저,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BLE 규격에 의한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폰(SP)에 Wi-Fi 접속을 요구한다. 그리고, Wi-Fi 접속이 확립된 후,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Wi-Fi 규격에 의한 통신을 통하여, 기록 매체(106a)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SP)에 전송하고, 전송 후에 Wi-Fi 접속을 단절한다. 단, BLE 규격에 의한 통신 접속은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카메라부(1A)에 의한 자동 전송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12),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웨이크업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3).
그리고, 웨이크업 요구를 수신한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A)에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4). 여기서,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에는, 슬립 상태로의 이행 요구(슬립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A)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5). 그리고, 카메라부(1A)는, 슬립 상태(예를 들면, bluetooth의 Sniff Mode)로 이행한다(스텝 S16).
이어서,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수신한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이 단계에서는 모든 카메라부[카메라부(1A) 및 카메라부(1B)]로부터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으므로,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아직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카메라부(1B)에 웨이크업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7). 그리고, 웨이크업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B)는, 슬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웨이크업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18).
이어서,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B)에 자동 전송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9). 이 자동 전송 개시 요구에도 스텝 S8과 마찬가지로, 자동 전송 처리의 완료 후, 컨트롤러부(2)에 웨이크업 요구를 송신한다는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 전송 개시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개시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0). 그리고, 자동 전송 개시 응답을 수신한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21). 그리고, 카메라부(1B)는, 자동 전송 처리를 행한다(스텝 S22). 그리고, 스텝 S22에서 행해지는 자동 전송 처리는, 전술한 스텝 S11에서 행해진 자동 전송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카메라부(1B)에 의한 자동 전송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23),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웨이크업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4).
그리고, 웨이크업 요구를 수신한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컨트롤러부(2)의 중앙 제어부(201)는, 무선 제어부(207)를 통하여, 카메라부(1B)에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25). 이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에도 스텝 S14와 마찬가지로, 슬립 상태로의 이행 요구(슬립 요구)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부(1B)의 중앙 제어부(101)는, 제1 무선 제어부(108)를 통하여, 컨트롤러부(2)에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송신한다(스텝 S26). 그리고, 카메라부(1B)는,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27).
이어서,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수신한 컨트롤러부(2)는, 모든 카메라부[카메라부(1A) 및 카메라부(1B)]로부터 자동 전송 완료 확인 응답을 수신하였으므로,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28). 그리고,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은, 화상 자동 전송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은, 컨트롤러부(2)와, 복수의 카메라부(1, …)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부(2)는, 복수의 카메라부(1, …)에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고, 복수의 카메라부(1, …)에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에 대한 이행,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고,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카메라부(1)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복수의 상기 카메라부(1, …)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부(1, …)의 각각은, 컨트롤러부(2)로부터의 상기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로 이행한 컨트롤러부(2)에, 상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부(1, …)의 모두가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하므로, 복수의 카메라부(1, …)가 소정 처리를 동시에 실행해 버린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카메라부(1)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므로, 전력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부(1, …)가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효율적으로, 또한 전력 절약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부(2)는, 상기 컨트롤러부(2)를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로 이행,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컨트롤러부(2)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부(2)는,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카메라부(1)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카메라부(1)뿐아니라 컨트롤러부(2)도 전력 절약 상태로 되므로, 전력의 낭비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부(2)는,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개시하고, 다른 카메라부(1)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부(2)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킨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부(1, …)가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의 시간을 이용하여 컨트롤러부(2)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므로, 전력의 낭비를 더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컨트롤러부(2)는, 복수의 카메라부(1, …) 중 1대가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종료했을 때 출력하는 요구(웨이크업 요구)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부(2)를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켜, 그 1대를 제외한 다른 카메라부(1) 중 1대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소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부(1, …)에 의한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실행에 관한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비 전력을 유효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카메라부(1, …)에 공통의 소정 처리로서, 각 카메라부(1)가 구비하는 촬상부(103)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스마트 폰(SP)]에 전송하는 처리(자동 전송 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부(2)에 의한 요구(촬영 요구)에 따라 각 카메라부(1)가 구비하는 촬상부(103)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카메라부(1, …) 사이에 있어서, 화상의 전송이 동시에 행해져 버린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멀티 접속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카메라부(1)는,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한 컨트롤러부(2)로부터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종료 확인 요구(자동 전송 완료 확인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1)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킴으로써, 카메라부(1)가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가 종료되어있지 않은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부(1)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켜 버린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로서 2대의 카메라부(1A, 1B)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부(1, …)는 2대에 한정되지 않고 3대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부 장치로서 스마트 폰(SP)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장치는, 태블릿(tablet PC)(PersonalComputer),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 PC나, 클라우드 상의 서버 장치 등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카메라부(1, …)는, 스마트 폰(SP)과의 사이에서 BLE 및 Wi-Fi의 통신 규격에 따른 동기 통신 방식의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수단은 적절히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카메라부(1, …)에 공통의 소정 처리로서, 각 카메라부(1)가 구비하는 촬상부(103)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스마트 폰(SP)]로 전송하는 자동 전송 처리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소정 처리는, 복수의 카메라부(1, …)에 공통의 처리이면 되고, 적절히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카메라부(1, …)의 각각은, 컨트롤러부(2)에 의한 요구(촬영 요구)에 따라 1대의 카메라부(1)만이 배타적(排他的) 또한 순차적으로 촬영을 행하고, 복수의 카메라부(1)에 의한 이른바 인터벌 촬영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상이한 방향을 촬상하고 있는 복수의 카메라부(1)의 촬영을 제어하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효율과 전력 절약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카메라부(1, …)의 각각이 자동 전송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안,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도록 했지만(도 4의 스텝 S10 및 스텝 S21),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러부(2)는, 슬립 상태로부터의 통상 상태로의 이행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복수의 카메라부(1, …)에 의한 공통의 소정 처리(자동 전송 처리)의 실행을 신속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와 그 균등한 범위를 포함한다.

Claims (19)

  1.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부;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부;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절약 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약 실행부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의 제어를 개시하는,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실행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개시하고,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실행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종료했을 때 출력하는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를 제외한 다른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를 제외한 다른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처리는, 상기 처리 실행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부(撮像部)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처리인,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에 촬영의 실행을 요구하는 촬영 요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처리는, 상기 촬영 요구부에 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가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처리인, 제어 장치.
  8.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 실행 장치로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부;
    를 포함하는 처리 실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절약 실행부를 더 포함하는, 처리 실행 장치.
  10.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 처리;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 처리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절약 실행 처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절약 실행 처리에 의한 상기 제어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제어 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 처리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 처리의 제어를 개시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실행 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개시하고,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 실행 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종료했을 때 출력하는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제어 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를 제외한 다른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 처리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를 제외한 다른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하여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 처리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처리는, 상기 처리 실행 장치가 구비하는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처리인,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에 촬영의 실행을 요구하는 촬영 요구 처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처리는, 상기 촬영 요구 처리에 의한 요구에 따라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가 촬영한 화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처리인, 제어 방법.
  17.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 실행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 처리; 및
    상기 실행 처리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 처리;
    를 포함하는 처리 실행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 처리의 종료 확인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처리 실행 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절약 실행 처리를 더 포함하는, 처리 실행 방법.
  19. 제어 장치에 의해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공통의 소정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처리 실행 요구부;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에 대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요구, 및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전력 절약 요구부; 및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중 1대가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처리 실행 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모두가 상기 소정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처리 실행 요구부와, 상기 전력 절약 요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처리 실행 장치 각각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의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받음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및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이 종료함에 따라서, 상기 소정 처리의 실행 요구를 출력하여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 상기 제어 장치에,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통상 상태로의 이행을 요구하는 요구부;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70085337A 2016-08-31 2017-07-05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 KR20180025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8825 2016-08-31
JP2016168825A JP6447595B2 (ja) 2016-08-31 2016-08-31 制御装置、処理実行装置、制御方法、処理実行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162A true KR20180025162A (ko) 2018-03-08

Family

ID=6124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37A KR20180025162A (ko) 2016-08-31 2017-07-05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08862B2 (ko)
JP (1) JP6447595B2 (ko)
KR (1) KR20180025162A (ko)
CN (1) CN1077868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7059A (zh) * 2020-06-18 2020-10-09 深圳市卓炜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铁塔远程监控设备、监控方法及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7038B2 (ja) 1993-12-27 2003-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及びテレビカメラの制御方法、並びにカメラコントローラ
JP2002342465A (ja) 2001-05-21 2002-11-29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193683A (ja) * 2002-12-06 2004-07-08 Olympus Corp 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4205578A (ja) * 2002-12-24 2004-07-22 Toshiba Corp 音声信号を無線通信する音声再生機器及び音声再生機器の消費電力制御方法
US7855986B2 (en) 2004-11-26 2010-12-21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handling power off time
JP2006217356A (ja) * 2005-02-04 2006-08-17 Olympus Corp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5065977B2 (ja) * 2008-04-15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240854B2 (en) 2011-02-25 2016-01-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station-side communication device, user-sid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ntrol device
JP2014022843A (ja) 2012-07-13 2014-02-03 Canon Inc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JP6468278B2 (ja) * 2014-02-21 2019-02-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27097A1 (en) * 2015-02-04 2016-08-04 Casio Computer Co., Ltd. Data processing device that executes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linking with other apparatus
JP6776055B2 (ja) * 2016-08-22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63784A1 (en) * 2016-08-26 2018-03-0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an efficient wakeup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36816A (ja) 2018-03-08
CN107786805B (zh) 2020-09-11
US10708862B2 (en) 2020-07-07
US20180063793A1 (en) 2018-03-01
JP6447595B2 (ja) 2019-01-09
CN107786805A (zh)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8184B2 (ja) 撮像装置
US20120200762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13214959A (ja) 通信装置
US936344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that sets a phase difference between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s
US10397462B2 (en) Imaging control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for synchronous shooting
KR20180025162A (ko) 제어 장치, 처리 실행 장치, 제어 방법, 처리 실행 방법 및 제어 시스템
JP200431243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3132007A (ja) バス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JP2016001831A (ja) 動画記録再生装置
CN108574802B (zh) 图像取得装置、方法和系统、摄像装置和方法、记录介质
JP7010352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01141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取得システム
JP6776741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44162A (ja) 撮影装置、送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77004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撮影制御システム
WO2023210334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20110123127A (ko) 영상 녹화 장치 및 이미지 센서간의 실시간 핸드셰이크 방법
JP2006253993A (ja) 撮像装置
JP2000253280A (ja) 撮像装置
JPH11313230A (ja) 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10103865A (ja) 撮像装置
JP200627701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229448A (ja) 撮像装置
JP2005236773A (ja) ヘッド分離型撮像装置及び撮像情報設定方法
JP200201011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