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687A -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687A
KR20180021687A KR1020177034268A KR20177034268A KR20180021687A KR 20180021687 A KR20180021687 A KR 20180021687A KR 1020177034268 A KR1020177034268 A KR 1020177034268A KR 20177034268 A KR20177034268 A KR 20177034268A KR 20180021687 A KR20180021687 A KR 2018002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lip
b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585B1 (ko
Inventor
시게토 아오키
나오히데 마쓰자카
가즈히데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Publication of KR2018002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of an injec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29C49/061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 B29C49/062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following an arcuate path, e.g. rotary or oscillat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0Removing or ejecting blown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2045/046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the axial movement of the mould being linked to the rotation of the mould or mould ha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51Time
    • B29C2945/76555Time st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02Closure or clamping device
    • B29C2945/76709Closure or clamping device clamping or closing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822Phase or stage of control
    • B29C2945/76869Mould clamping, compression of the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29C49/30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B29C49/36Blow-mould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rotatable about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노즐 터치를 생략하여 사출 장치의 사출을 조기의 단계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성형 사이클을 단축한다.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1)의 핫 러너 장치(19)에, 타이머의 카운트업한 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했을 때에 사출의 동작을 하는 사출 장치(20)를 연결 고정하고, 타이머의 카운트 개시점이, 회전판이 회전하는 단계, 혹은 회전판의 회전을 멈추어 회전 불능의 고정하는 단계, 혹은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되었다.

Description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본 발명은,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에 있어서, 성형 사이클을 짧게 하는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료의 펠릿으로 프리폼을 성형하고, 이어서 이 프리폼부터 제품의 용기(예를 들면 병 형상의 용기)의 성형까지를 일련으로 하여 행하는 성형기로서는, 종래부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가 있다.
(종래 성형기의 개략)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 중 하나의 형태로서, 사출 장치로부터 용융 수지의 사출이 이루어져 프리폼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와, 프리폼을 연신함과 더불어 블로우를 하여 제품 형상으로 하는 연신 블로우 성형부와,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 형성된 용기를 성형기 외로 보내는 취출부의 주요한 세 개의 부분이 하나의 성형기 내에서의 세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성형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의 성형품을 다음의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반송함과 더불어, 그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의 성형품을 다음의 취출부에 반송하는 용기 입구부 형성용의 립 금형을 회전판에 3개소로 하여 설치하고, 회전판이 회전하여 상기 립 금형이 사출 성형부와 연신 블로우 성형부와 취출부를 순서대로 선회 이동함으로써, 용기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출 성형부)
(회전판의 회전 공정)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상기 사출 성형부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회전판은 12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회전판의 회전 공정에서 회전판이 120도 회전함으로써, 립 금형이 120도의 회전 각도분으로 하여 회전판 회전축 중심 둘레로 선회 이동한다. 또 사출 성형부에는 성형기의 사출 장치측에 캐비티 금형인 하부 금형이 있고, 이 하부 금형의 상방에는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한 상부 금형이 있다.
(회전판의 고정 공정)
그리고, 회전판이 120도 회전한 후에, 그 회전을 멈추어 회전판이 회전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회전판의 고정 공정으로 이동하고, 회전판의 회전 정지에 의해, 선회 이동으로 사출 성형부의 상부 금형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상기 립 금형을, 이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型締) 공정)
상기 회전판의 고정 공정 후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이 되고, 립 금형을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시킨 회전판은 하강하여 립 금형이 상기 하부 금형에 겹쳐지고, 또 상부 금형도 립 금형을 통과해 하강하고, 이 립 금형을 사이에 배치한 상태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형체(형폐(型閉))하여 사출 금형을 형성하고, 또한 고압의 형체력을 부여한다.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
사출 금형에 대해서 고압의 형체력이 가해진 다음은,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출 금형에 용융 수지의 사출을 행하여 프리폼의 성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型開) 공정)
프리폼의 성형 후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 공정이 되고, 상부 금형이 립 금형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개가 행해지고, 또 하부 금형측으로부터 회전판이 상승하여, 이 회전판에 있는 립 금형에서 입구부가 유지된 프리폼을 하부 금형으로부터 이형한다.
다음에 회전판은 상기 상승 후에 120도 회전하여 재차 정지한다. 회전판의 회전 후의 상기 정지에 의해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상기 립 금형은 다음 성형을 행하는 스테이션인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다른 립 금형 중 하나로서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립 금형은 취출부에 대응 위치하고, 나머지의 립 금형으로서 취출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립 금형은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한다. 이때의 동작은, 상술한 회전판의 회전 공정과 회전판의 고정 공정이다.
(연신 블로우 성형부)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는 상기 립 금형에서 프리폼을 유지한 회전판이 하강한다. 이때의 회전판의 하강의 동작은,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에 있어서의 회전판의 하강의 동작이 된다. 그리고, 형체된 상태의 블로우 금형에 립 금형을 상방으로부터 장착하여 프리폼을 블로우 금형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이 블로우 금형에 대한 고압의 형체력을 부여하고 나서, 연신 로드에 의한 연신과 블로우로 제품의 용기의 성형을 행한다.
이후, 블로우 성형이 끝난 용기는 블로우 금형의 형개, 회전판의 상승에 의해 립 금형에서 유지된 상태로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이형한다. 이때의 회전판의 상승의 동작은, 사출 성형부에서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 공정에 있어서의 회전판의 상승의 동작이 된다.
다음에 회전판은 상기 상승 후에 120도 회전하여 재차 정지한다. 상기 정지에 의해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상기 립 금형은 다음 스테이션인 취출부에 대응 위치하고, 다른 립 금형 중 하나로서 취출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립 금형은 그 다음 스테이션인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나머지의 립 금형으로서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하고 있던 립 금형은 그 다음 스테이션인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대응 위치한다. 이때의 동작은, 상술한 회전판의 회전 공정과 회전판의 고정 공정이다.
(취출부)
상기 취출부에서는 립 금형을 형개하여 블로우 성형이 끝난 용기의 입구부를 이형시켜, 제품인 용기를 성형기 외로 보내도록 하고, 립 금형은 재차 형체(형폐)된다. 이와 같이 립 금형이 사출 성형부와 연신 블로우 성형부와 취출부에 순서대로 대응 위치하도록 하여 선회 이동하여, 용기가 연속적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현상의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를 이용한 용기의 성형에 있어서는, 사출 성형부에 필요로 하는 동작 시간을 줄여 성형 사이클을 짧게 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03-14222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서는,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 필요로 하고 있는 동작 시간을 줄이는 것이 곤란하고, 그 점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2와 도 13은,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사출 성형부에 상기 하부 금형의 하방이 되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는 핫 러너 장치(a)와 사출 장치(b)가 표시되어 있고, 핫 러너 장치(a)의 메인 노즐(c)에 있어서의 수지 주입구(d)에 사출 장치(b)의 노즐(e)을 맞닿게 하고 있다. 사출 장치(b) 자체는 가이드 레일(f)을 통해 대반(臺盤) 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시와 같이 일단 고정의 유압 실린더(g)가 사출 장치(b)에 연결되어 있다.
도 14는 핫 러너 장치(a)와 사출 장치(b)의 노즐(e)의 맞닿음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음과 더불어, 도 15는 핫 러너 장치(a)의 토출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h)과 하부 금형(i)과 립 금형(j)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k)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출 장치(b)는 노즐(e)을 핫 러너 장치(a)의 횡방향으로부터 수지 주입구(d)(메인 노즐)에 맞닿게 하여 용융 수지를 핫 러너 장치(a)에 사출한다. 핫 러너 장치(a)에서는 러너가 분기되어 복수의 핫 러너 노즐(l)이 세워지고, 각각의 게이트가 하부 금형(i)의 저부에 면하고, 사출 금형(k) 각각에서 형성되는 프리폼 형성 공간에, 세워진 핫 러너 노즐(l)로부터 용융 수지를 사출하도록 하고 있다.
사출 성형부에서는 정시간마다 사출 장치로부터 고압의 사출압으로 용융 수지의 사출이 행해지지만, 사출 장치의 노즐을 핫 러너 장치의 수지 주입구에 높은 압력으로 맞닿게 한 상태로 해두지 않으면, 노즐과 메인 노즐의 사이로부터 용융 수지가 빠져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사출의 타이밍에 맞도록, 사출 장치의 노즐을 전진시키는 방향으로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키고, 노즐의 상기 수지 주입구에 대한 맞닿음의 정도를 높여 그 상태를 필요 시간 동안 유지하는 노즐 터치를 행하고, 노즐과 메인 노즐의 사이부터의 수지 누락이나 사출 금형 내에의 사출의 압력이 저하하지 않도록 한다.
(노즐 터치에 의한 경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서는, 수평 방향으로 하여 사출 장치의 노즐을 핫 러너 장치의 메인 노즐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 핫 러너 장치의 핫 러너 노즐 각각은 세워져 있다. 그리고 사출의 타이밍에 맞도록 상기 노즐 터치를 행하면, 핫 러너 장치가 노즐로부터의 누름을 받아 변형되고, 핫 러너 노즐 각각이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핫 러너 노즐이 노즐 터치마다 경사지는 것은, 사출 성형부에서의 성형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고압 형체 후에 노즐 터치)
핫 러너 노즐이 경사지는 것은, 하부 금형이 상기 상부 금형과 형폐되어 있지 않은 단독의 상태일 때에 있어서는, 그 하부 금형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이 하부 금형이 단독으로 위치가 변화한 경우, 하강하는 상부 금형 등과의 위치 맞춤이 불량이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서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을 거친 후에 노즐 터치를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판이 하강하여 립 금형을 하부 금형에 겹치게 함과 더불어, 형체 장치로부터 형체력을 가하여 립 금형을 통과하여 상부 금형이 하강하여 하부 금형의 소요 부분에 들어가는 형체를 행하여 사출 금형을 형성하고, 이 사출 금형을 장착하고 나서 형체 장치로부터의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여 그 고압의 형체력을 부가함으로써,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이 완료한다. 이후, 노즐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핫 러너 장치에의 당접압이 높아지도록 유압 실린더가 동작하고, 노즐이 메인 노즐에 높은 압력으로 맞닿게 하여 사출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사출 성형부에서의 프리폼의 성형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 후에 노즐 터치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 후에 노즐 터치를 행함으로써, 다음에 나타내는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단열지가 마모)
상기 핫 러너 노즐은 러너 내의 수지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가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사출 금형의 하부 금형은 프리폼 형성 공간에 충전된 용융 수지를 소정의 온도까지 저하시키는 역할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핫 러너 노즐로부터 하부 금형에 열이 전해지지 않도록, 핫 러너 노즐의 상단에 단열지(m)가 부착되어 있다. (도 15 참조)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의 형체력이 형체 장치로부터 사출 금형 측에 가해졌을 때, 핫 러너 노즐을 단열지를 통해 하부 금형이 눌러, 단열지가 높은 압력으로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노즐 터치로 핫 러너 노즐이 약간 경사져 그 상단이 위치가 어긋나 단열지가 스치게 되고, 반복의 노즐 터치로 상기 단열지가 마모된다. 그 때문에 단열지를 빈번히 교환해야 한다.
(센터 편차가 발생)
또,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고 나서의 노즐 터치에 의해 핫 러너 노즐이 약간 경사지고, 그 때문에 핫 러너 노즐의 게이트와 하부 금형에서의 게이트 대응 부분에서 센터 편차가 발생하고, 수지의 충전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전용의 액추에이터가 필요)
노즐 터치했을 때에는, 노즐로부터 메인 노즐에 걸쳐 수지의 유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고, 메인 노즐을 향해 노즐을 전진시키는 방향이 되도록 노즐을 수지 주입구에 안내하고, 필요 시간 동안, 그 가압력을 유지하는 전용의 액추에이터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사출의 대기 시간이 길다)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성형에서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 후에 노즐 터치를 행하고, 그 노즐 터치 후에 용융 수지의 사출을 행하고 있다. 특히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에서는, 다음의 순서로 동작이 순서에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회전판이 하강하여 립 금형을 하부 금형에 겹치도록 함과 더불어, 상부 금형을 상기 립 금형에 통과하도록 하강시키고, 상부 금형의 코어의 부분이 하부 금형의 캐비티의 부분에 들어가도록 형체판을 통해 형체 장치측으로부터 형체력을 받도록 하면서, 그 상부 금형이 립 금형 위에 겹쳐진다. 상기 형체력을 받으면서 상부 금형과 립 금형과 하부 금형에서 사출 금형이 구성되면, 형체 장치에서는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여 그 고압의 형체력을 사출 금형에 가한다.
상기 형체 장치의 형체력이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노즐을 핫 러너 장치를 향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유압 실린더를 동작시킨다. 노즐의 전진 방향에서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노즐 터치의 동작이 완료한다.
한편, 사출 장치는 타이머에 의해 사출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업한 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했을 때에 사출의 동작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서의 사출 금형을 향해 용융 수지를 보내도록 한 상기 사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 터치가 완료했을 때를, 타이머의 카운트를 개시시키는 카운트 개시점으로 하고 있고, 이 카운트 개시점으로부터, 카운트업한 값이 사전에 설정된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할 때까지를, 사출 개시의 단계로서 구비하고 있다. 즉, 노즐 터치의 동작이 완료한 후에 상기 사출 개시의 단계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카운트업한 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하면, 사출 장치가 동작하는 사출의 단계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사출 장치가 사출하는 동작의 계속 시간도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형체하는 단계와 그 단계에 이어지는 노즐 터치가 순서대로 행해지지 않으면 사출을 행할 수 없고, 사출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그리고, 프리폼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부에서의 동작 시간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의 동작 시간과 취출부에서의 동작 시간의 어느 쪽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출 성형부에서의 동작 시간에 의해,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성형 사이클이 정해져 버리는 것이 현상황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노즐 터치를 생략하여 사출 장치의 사출을 조기의 단계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성형 사이클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부 기반에 세워진 타이 바에 의해 안내되어, 하부 기반의 상부에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판과, 상기 타이 바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형체판의 하방에서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기반과, 상기 중간 기반의 하부에, 성형기 상하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면 세 방향 각각에, 용기 입구부 형성용의 립 금형을 갖는 회전판과, 상기 중간 기반의 상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을 12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립 금형을 세 개의 정지 위치에 정지 가능하게 한 회전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립 금형의 상기 정지 위치를 사출 성형부, 연신 블로우 성형부, 취출부로 한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 용기를 성형할 때에,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상기 사출 성형부에는, 사출 장치측에 위치하는 캐비티 금형으로서, 성형기에 장착된 핫 러너 장치의 핫 러너 노즐이 저부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하부 금형과,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사출 성형부에 위치한 립 금형을 통과해 하강하고, 이 립 금형이 겹쳐진 하부 금형과 함께 내부에 프리폼 형성 공간을 갖는 사출 금형을 형성하는 코어 금형인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과 이 상부 금형이 통과하는 립 금형을 겹친 상기 하부 금형을 형체하는 형체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금형과 회전판의 회전으로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한 상기 립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출 금형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프리폼의 성형을 행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 성형되어 립 금형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기 프리폼을, 회전판의 상기 회전으로 상기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반송하고, 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의 프리폼에 대한 연신과 블로우로 용기의 성형을 행하고,
상기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 성형되어 립 금형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를, 회전판의 상기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에 반송하고, 이 취출부에서 립 금형으로부터 상기 용기를 이형하는 용기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핫 러너 장치에, 타이머의 카운트업한 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했을 때에 사출의 동작을 하는 사출 장치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개시점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단계, 혹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멈추어 회전 불능의 고정하는 단계, 혹은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고압 형체의 동작의 완료와 노즐 터치의 동작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사출 장치에 대해서 사출을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사출 장치의 사출을 카운트업한 시점에서 행하기 위한 카운트 개시점을, 회전판이 회전하는 단계, 회전판을 멈추어 고정하는 단계,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로 하므로, 사출 장치의 사출을 상기 단계에 오버랩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상부 금형과 립 금형과 하부 금형을 장착하여 사출 금형이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과, 그 사출 금형에 고압의 형체력을 가하는 전환이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과, 사출 장치의 노즐에 의한 핫 러너 장치의 메인 노즐을 가압하는 동작의 완료(노즐 터치의 완료)까지의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대기 시간이 줄어든다. 따라서 사출 성형부에 있어서 프리폼을 성형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성형기의 성형 사이클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즐 터치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단열지의 교환 기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핫 러너 노즐의 게이트와 하부 금형의 게이트 대응 부분의 센터 편차, 전용의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는 점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으로 내려가는 도중에서의 사출을 행할 수 있게 되고, 그 도중으로부터의 사출은 사출 금형이 완전히 닫혀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출하는 것으로서, 금형들 사이의 간극도 많기 때문에, 용융 수지의 유동 저항이 줄어 충전성이 향상한다. 또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의 가스나 공기의 배출도 양호해진다.
그리고 상기 충전성의 향상이 가스의 배출을 양호하게 하는데도 상승효과를 미치며, 에어 벤트의 막힘도 저감한다. 따라서 이 에어 벤트의 메인터넌스 주기가 길어진다. 또한 충전성의 향상에 의한 수지 유동 저항의 저하로, 사출 장치의 사출 램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사출 성형부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사출 성형부를 측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사출 성형부와 연신 블로우 성형부와 취출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접속된 핫 러너 장치와 사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핫 러너 장치의 메인 노즐과 사출 장치의 노즐의 연결 고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메인 노즐과 노즐의 연결 고정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회전판의 고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락 핀 하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락 핀 하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는,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상부 금형이 하강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상부 금형의 하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는,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과 다른 공정의 오버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상부 금형이 상승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상부 금형의 상승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블로우 금형의 형체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블로우 금형이 형체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블로우 금형이 형체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연신 블로우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연신 블로우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블로우 배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블로우 금형의 형개 공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블로우 금형이 열리기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블로우 금형이 형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노즐 터치한 핫 러너 장치와 사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핫 러너 장치의 메인 노즐과 사출 장치의 노즐의 노즐 터치 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메인 노즐과 노즐의 노즐 터치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사출 금형을 단면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1)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1)는, 하부 기반(2)에 세워진 타이 바(3)에 의해 안내되어 하부 기반(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된 중간 기반(4)과, 상기 중간 기반(4)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하여 부착되어, 하면 세 방향 각각에 한 쌍의 분할 금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용기 입구부 형성용의 립 금형(5)을 갖는 회전판(6)과, 상기 중간 기반(4)의 상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회전판(6)을 12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세 개의 상기 립 금형을 정지 가능하게 한 회전 구동 모터(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6)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판의 중심을 회전축 중심으로 하여 선회 이동하게 되는 립 금형(5)의 정지 위치를, 도 1의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부(8), 연신 블로우부(9), 취출부(10)로 하고 있고, 이들 세 개의 스테이션이 120도의 회전각마다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c)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세 개의 스테이션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사출 성형부)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1)의 상기 사출 성형부(8)는, 하부 기반(2)에 배치된 캐비티 금형인 하부 금형(11)과, 이 하부 금형(11)의 상방에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사출 성형부(8)에 대응 위치하여 정지한 상기 립 금형(5)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상부 금형(12)과, 립 금형(5)을 사이에 두고 상부 금형(12)과 하부 금형(11)을 형체하는 형체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사출 성형부(8)에 대응 위치한 립 금형(5)은 상부 금형(12)의 하강 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판(6)과 함께 하강하고, 하부 금형(11)에 겹쳐진 것이다.
도 1의 (c)에서 나타내는 사출 성형부(8)에 대응하여 후술의 사출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 금형(11)이 사출 장치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사출 장치측에 위치한다는 것은 사출 장치에 부착되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후술의 형체 장치측에 위치하여 가동형인 상기 상부 금형과 사출 장치측에 위치하는 하부 금형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며, 또, 상방으로부터 세 개의 스테이션의 배치를 보았을 때에 사출 성형부(8)가 사출 장치에 상대한 배치이며, 그 사출 성형부(8)에 하부 금형(11)이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하부 금형(11)이 사출 장치측에 위치하는 것이 된다.
상부 금형(12)은, 형체 장치(13)의 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형체판(14)으로부터 형체력을 받으면서, 또한 하강하는 립 금형(5)을 통과하도록 하면서 하강한다. 또한 상부 금형(12)의 코어 부분(아래로 늘어진 볼록부)이 하부 금형(11)에 겹쳐진 립 금형(5)을 통과하여 하부 금형(11)의 캐비티 부분(오목부)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금형(12)이 립 금형(5)에 겹쳐지고, 형체판(14)을 통한 형체력이 형체 장치(13)로부터 부가된 상태로 상부 금형(12)과 립 금형(5)과 하부 금형(11)으로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15)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도 15 참조)
상기 형체 장치(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형체판(14)을 통한 형체력을 상부 금형(12)에 상방으로부터 가함으로써 상부 금형(12)을 눌러 내리고 있고, 하강한 상부 금형(12)과 립 금형(5)과 하부 금형(11)으로 상기 사출 금형(15)이 구성되면 상기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고, 세 금형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사출 금형(15)에 고압의 형체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연신 블로우 성형부)
연신 블로우 성형부(9)는, 개폐하는 한 쌍의 블로우 금형(16)과, 이 블로우 금형(16)에 대해서 형체와 형개를 행하게 하고, 형체력을 부가하여 형체한 블로우 금형(16)에 대해서 그 형체력으로부터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여 부가하는 블로우 형체 실린더(17)와, 연신 로드와 닫힌 블로우 금형 내를 향해 연신 블로우 에어를 공급하는 연신 블로우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9, 도 10 참조)
회전판(6)의 회전이 정지하여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 대응 위치한 립 금형(5)은 상기 회전판(6)의 하강에 의해, 형체 상태의 블로우 금형(16)에 상방으로부터 넣어지고, 한 쌍의 블로우 금형(16)의 상부 가장자리들 사이에 이 립 금형(5)이 끼워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립 금형(5)이 블로우 금형(16)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된 후에 상술한 고압의 형체력으로의 전환이 행해지고, 그 후에 연신 블로우 장치에 의한 동작이 행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취출부)
상기 취출부(10)는 이 취출부(10)에 정지하여 대응 위치한 립 금형(5)을 형개시키는 부분이며, 립 금형(5)의 형개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성형이 끝난 용기의 입구부를 이형하여, 그 용기를 성형기 외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성형이 끝난 용기의 입구부가 이형한 다음은 립 금형(5)을 형체한다.
(핫 러너 장치와 사출 장치)
도 2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사출 성형부에 있어서의 하부 금형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핫 러너 장치(19)와 사출 장치(20)를 나타내고, 도 3은 핫 러너 장치(19)와 사출 장치(20)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사출 장치(20)의 설치 형태는, 상술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21)을 통해 대반 상에 배치되고, 일단 고정의 유압 실린더(22)가 사출 장치(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 터치를 행하지 않고 사출하는 것이며, 이 설치 형태로 하고 있는 이유는,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사출 장치(20)를 핫 러너 장치(19)로부터 떼어내어, 유압 실린더(22)의 동작으로 이 사출 장치(20)를 후퇴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도 3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핫 러너 장치(19)와 사출 장치(20)는 그 사이에서 연결 고정되어 있다. 도 4는 핫 러너 장치(19)와 사출 장치(20)의 노즐(23)의 연결 고정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즐(23)과 핫 러너 장치(19)에 있어서의 메인 노즐(25)에 걸어 맞춰지는 연결 플랜지(26)를 맞추어 볼트 고정하여 양자를 고정하고 있다.
노즐(23)의 토출구와 메인 노즐(25)의 주입구를 일치시켜 이접(離接)하지 않게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어, 노즐(23)측으로부터 보내지는 용융 수지가 메인 노즐(25)에 들어가, 핫 러너 장치(19)에서의 분기된 러너를 거쳐 세워진 복수의 핫 러너 노즐(27)로부터 상기 하부 금형(11)의 저부에 이르기까지의 수지의 유로가 상시 형성된 상태로 하고 있다.
회전식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회전판의 회전 공정 도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체판(14)과 상부 금형(12)과 중간 기반(4)이 상방의 대기 높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판(6)이 120도 회전한다. 이 회전판(6)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부터 회전판(6)이 120도 회전하여 정지할 때까지를 회전판의 회전 공정으로 하고 있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부(8)에서 성형된 프리폼을 유지하는 립 금형(5)은 연신 블로우 성형부(9)로 이동하고,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서 성형된 블로우 성형이 끝난 용기를 유지하는 립 금형(5)은 취출부(10)로 이동하고, 취출부(10)에 있던 립 금형(5)은 사출 성형부(8)로 이동한다.
(회전판의 고정 공정 도 5)
다음에 회전판(6)의 회전이 멈춤으로써 회전판의 회전 공정으로부터 회전판의 고정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 회전판의 고정 공정에서는 회전판(6)이 의도치 않게 회전하는 일이 없도록 고정하여, 상기 립 금형(5)을 사출 성형부(8), 연신 블로우 성형부(9), 취출부(10)에서의 소정 위치에 적정하게 대응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어, 사출 성형부(8)에 있어서는 립 금형(5)이, 상부 금형(12)의 하강 선상에 대응 위치한 상태로 선회 이동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립 금형(5)을 사출 성형부(8)에 대응 위치시킨 회전판(6)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서, 중간 기반(4)에 설치된 회전판 락 실린더(28)가 동작하여 락 핀(29)이 하강하고, 이 락 핀(29)이 회전판(6)의 소요 부분에 설치된 락 핀 부시(30)에 걸려 회전판(6)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 도 6)
상기 락 핀(29)에 의한 회전판(6)의 고정이 행해지면 회전판의 고정 공정으로부터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 형체 공정에서는 상기 고정 공정에서의 회전판(6)의 고정이 완료한 후에 중간 기반(4)의 하강에 의해 회전판(6)이 하강한다. 또 그 위에 있는 상부 금형(12)이 형체판(14)의 하강으로 압하되면서, 즉, 형체판(14)을 통한 형체 장치(13)의 형체력을 받으면서 하강하고, 립 금형(5)의 용기 입구부 성형 부분의 안쪽을 통과하도록 내려간다.
그리고 하부 금형(11)에 립 금형(5)을 겹치게 함과 더불어, 상부 금형(12)의 코어 부분이 립 금형(5)을 통과하면서 하부 금형(11)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태로 립 금형(5)에 겹치게 하고, 상부 금형(12)과 립 금형(5)과 하부 금형(11)을 조합하여 형체 장치(13)로부터의 형체력을 받은 상태의 사출 금형(15)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사출 금형(15)이 얻어지면 형체 장치(13)는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여 이 고압의 형체력을 사출 금형(15)에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은 형체 장치에서의 고압의 형체력으로의 전환이 완료됐을 때에 이 공정이 종료한다.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
상기 사출 장치(2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구비하고 있는 타이머에 의해 사출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타이머가 카운트 업하여, 그 카운트업한 값이 사전에 설정된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했을 때(일치했을 때)에 사출을 하는 사출 장치로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가 구비하는 타이머에 있어서는, 카운트 개시점을, 회전판(6)이 회전하는 단계, 회전판(6)의 회전이 멈추어 회전 불능으로 고정하는 단계, 혹은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카운트업을 시작하는 카운트 개시점(31)을, 회전판(6)이 회전하는 단계, 회전판(6)의 회전이 멈추어 회전판(6)이 회전 불능으로 고정되는 단계,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카운트 개시점(31)으로부터 시작되는 카운트업의 시간(A)과 사출의 시간(B)으로 이루어지는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C)의 시작 부분을,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D)에 오버랩시키고, 또는 이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D)보다 전 공정인 회전판의 고정 공정(E)까지 미치도록 오버랩시키고, 또한 상기 회전판의 고정 공정(E)보다 전 공정인 회전판의 회전 공정(F)까지 미치도록 오버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출의 대기 시간이 매우 짧아지고, 종래에 비해 사출 성형부(8)에서 사출 완료가 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D)의 시단)에 카운트 개시점(31)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카운트값으로서 0.30초를 설정하고 있고, 이 설정 카운트값으로서의 0.30초를 카운트업한 후에 사출 장치의 사출이 행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출 시간 자체는 짧게 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종래와 같고, 사출 장치의 사출은 사출 금형의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된 후에도 계속해서 행해진다.
(냉각 공정)
상기 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이 종료하면 냉각 공정으로 이행하고, 이 냉각 공정에서 고압으로 형체된 사출 금형에 사출된 용융 수지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강제 냉각하고, 소정 온도까지 온도가 내려간 프리폼을 얻는다.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 공정 도 8)
냉각 공정이 종료하면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 공정으로 이행한다. 이 형개 공정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체 장치(13)로부터의 고압의 형체력의 부여가 형체판(14)의 상승에 의해 해제된다. 그리고 상부 금형(12)이 상승함과 더불어 회전판(6) 및 립 금형(5)이 상승하여 형개가 행해진다. 프리폼은 하부 금형(11)으로부터 이형하고, 이 프리폼의 입구부를 립 금형(5)에서 유지하고 있는 회전판(6)이 회전을 행할 수 있는 소정 위치까지 상승하고, 정지한다.
(연신 블로우부의 동작)
(블로우 금형의 형체 공정 도 9)
사출 성형부(8)에서의 상기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 공정이 종료하면, 회전판(6) 자체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 공정으로 들어가 120도의 회전이 행해지고, 프리폼의 입구부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립 금형(5)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를 향해 선회 이동한다. 그리고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서는 회전판의 회전 공정 중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블로우 금형(16)이 바닥 금형(32) 상에서 맞도록 블로우 형체 실린더에 의한 형체력을 부가한 형체의 동작이 개시되고, 한 쌍의 블로우 금형(16)이 나오도록 이동하여 바닥 금형(32) 상에서 합치하는 움직임은 회전판의 회전 공정 중에 완료한다. 블로우 형체 실린더에 의한 형체력의 부가는 금형을 맞춘 후도 계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 있어서 블로우 금형(16)과 바닥 금형(32)의 조합을 마친 시점에서도 회전판(6)은 120도 회전의 도중으로 되어 있다. 사출 성형부(8)에 있어서 다음의 립 금형(5)이 그 사출 성형부(8)에 대응 위치하여 회전판(6)의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판(6)의 위치가 고정되었을 때에 있어서도, 회전판 자체가 상방 위치에 있기 때문에,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서는, 립 금형(5)에 유지된 프리폼은 블로우 금형(16)의 상방에 대기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사출 성형부(8)에 있어서 상부 금형과 립 금형과 하부 금형을 형체할 때의 회전판의 하강에 의해, 연신 블로우 성형부(9)에 대응 위치하는 립 금형(5)이 블로우 금형(16)에 상방으로부터 조합된다.
프리폼이 블로우 금형 내에 들어가도록 립 금형(5)이 블로우 금형(16)에 장착되면, 블로우 금형(16)에 가해져 있는 형체력이 블로우 형체 실린더(17)의 동작에 의해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된다. 이 고압의 형체력으로의 전환은, 사출 성형부(8)에서의 형체력을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할 때와 동시로 되어 있다.
(연신 블로우 공정 도 10)
블로우 금형(16)에 대해서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된 시점에서 상기 블로우 금형의 형체 공정이 종료하고, 프리폼에 대한 연신과 블로우를 행하는 연신 블로우 공정으로 이동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신 블로우 공정에서는, 립 금형의 상방으로부터 연신 블로우 기구(33)가 립 금형(5) 상에 하강하여 겹치고, 연신 블로우 기구(33)에서의 연신 로드(34)가 블로우 금형 내로 나와 블로우 금형 내에 있는 프리폼(35)을 연신함과 더불어, 블로우 에어 공급(36)을 행하고, 블로우 금형 내에 연신 블로우된 제품 형상의 용기를 형성한다. 그리고 소요 시간 후에 연신 블로우 에어 공급이 정지함과 더불어 상기 연신 로드(34)가 끌어 올려져 연신 블로우 기구(33)가 상방의 대기 위치까지 상승하고, 또 블로우 금형 내의 용기 내로부터 블로우 에어를 배출하는 블로우 에어 배기(37)를 소정 시간 행하여, 연신 블로우 공정이 완료한다.
(블로우 금형의 형개 공정 도 11)
연신 블로우 공정이 완료하면 블로우 금형의 형개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 블로우 금형의 형개 공정에서는, 상기 블로우 형체 실린더(17)의 동작에서 우선 형체력을 해제하고, 블로우 금형(16)을 열어 용기가 이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블로우 금형의 형개는, 상기 사출 성형부(8)에서 사출이 종료하기 전에 행해진다. 그리고, 회전판(6)이 상승함으로써 연신 블로우 성형이 끝난 용기를 립 금형(5)이 유지한 상태로 상승하고, 블로우 금형(16)으로부터 용기를 이형시킨다. 이때의 회전판(6)의 상승은 사출 성형부(8)에 있어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로 회전판(6)이 상승할 때와 같다.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 용기를 립 금형으로 끌어올려 이형시킨 회전판(6)은, 상기 사출 성형부(8)에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의 단계가 종료함으로써 다시 120도 회전한다. 사출 성형부에서의 공정 길이가 길기 때문에, 연신 블로우 성형부로부터 취출부로 립 금형을 이동시키는 동작은, 사출 성형부(8)에서의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개의 단계의 종료를 기다리고, 종료하고 나서 행해진다. 물론, 이 120도 회전은, 취출부(10)에 대응하고 있던 립 금형이 사출 성형부(8)를 향해 선회 이동하는 동작, 또 사출 성형부(8)에 대응하고 있던 립 금형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9)를 향해 프리폼을 유지하면서 선회 이동하는 동작이기도 하다. 또한, 연신 블로우 공정에서의 블로우 금형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립 금형을 생략한 상태로 블로우 금형의 움직임이 도시되어 있다.
(취출부의 취출 공정)
회전판(6)이 120도 회전하여 정지함으로써, 상기 연신 블로우 성형이 끝난 용기를 유지하고 있는 립 금형(5)이 취출부(10)에 대응 위치한다. 그리고 사출 성형부(8)에서의 동작을 예로서 들면, 상기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를 완료하고 나서 고압의 형체력으로 전환하는 시점 등에서, 이 취출부(10)에서의 립 금형(5)을 형개시키고, 유지하고 있던 보틀 형상 용기의 입구부를 이형시켜 이 용기의 취출(성형기 외에의 송출)을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에 카운트 개시점(31)이 설정되고, 그리고 설정 카운트값을 0.30초로 하고, 이 설정 카운트값으로서의 0.30초를 카운트업한 후에 사출 장치의 사출이 행해지도록 한 것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 4:중간 기반
5:립 금형 6:회전판
8:사출 성형부 9:연신 블로우 성형부
10:취출부 11:하부 금형
12:상부 금형 13:형체 장치
14:형체판 15:사출 금형
16:블로우 금형 19:핫 러너 장치
20:사출 장치 23:노즐
25:메인 노즐 26:연결 플랜지
27:핫 러너 노즐 28:회전판 락 실린더
29:락 핀 31:카운트 개시점
32:바닥 금형 34:연신 로드
35:프리폼 36:블로우 에어 공급
37:블로우 에어 배기 A:카운트 업의 시간
B:사출 C:용융 수지의 송출 공정
D:상부 금형 하부 금형의 형체 공정
E:회전판의 고정 공정 F:회전판의 회전 공정

Claims (1)

  1. 하부 기반에 세워진 타이 바에 의해 안내되어, 하부 기반의 상부에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형체(型締)판과, 상기 타이 바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형체판의 하방에서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 기반과, 상기 중간 기반의 하부에, 성형기 상하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면 세 방향 각각에, 용기 입구부 형성용의 립 금형을 갖는 회전판과, 상기 중간 기반의 상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판을 120도씩 간헐적으로 회전시켜 립 금형을 세 개의 정지 위치에 정지 가능하게 한 회전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립 금형의 상기 정지 위치를 사출 성형부, 연신 블로우 성형부, 취출부로 한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해 용기를 성형할 때에,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상기 사출 성형부에는, 사출 장치측에 위치하는 캐비티 금형으로서, 성형기에 장착된 핫 러너 장치의 핫 러너 노즐이 저부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하부 금형과, 성형기 상하방향으로 하여 승강 가능하게 되어, 상기 사출 성형부에 위치한 립 금형을 통과해 하강하고, 이 립 금형이 겹쳐진 하부 금형과 함께 내부에 프리폼 형성 공간을 갖는 사출 금형을 형성하는 코어 금형인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과 이 상부 금형이 통과하는 립 금형을 겹친 상기 하부 금형을 형체하는 형체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 금형과 회전판의 회전으로 사출 성형부에 대응 위치한 상기 립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사출 금형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프리폼의 성형을 행하고,
    상기 사출 성형부에서 성형되어 립 금형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기 프리폼을, 회전판의 상기 회전으로 상기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 반송하고, 이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의 프리폼에 대한 연신과 블로우로 용기의 성형을 행하고,
    상기 연신 블로우 성형부에서 성형되어 립 금형에서 유지되어 있는 상기 용기를, 회전판의 상기 회전으로 상기 취출부에 반송하고, 이 취출부에서 립 금형으로부터 상기 용기를 이형하는 용기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의 핫 러너 장치에, 타이머의 카운트업한 값이 설정 카운트값에 도달했을 때에 사출의 동작을 하는 사출 장치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개시점이,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는 단계, 혹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멈추어 회전 불능의 고정하는 단계, 혹은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의 형체가 개시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KR1020177034268A 2015-06-30 2015-08-27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KR102166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1657A JP6552890B2 (ja) 2015-06-30 2015-06-30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JPJP-P-2015-131657 2015-06-30
PCT/JP2015/004328 WO2017002150A1 (ja) 2015-06-30 2015-08-27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による容器の成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87A true KR20180021687A (ko) 2018-03-05
KR102166585B1 KR102166585B1 (ko) 2020-10-16

Family

ID=5760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268A KR102166585B1 (ko) 2015-06-30 2015-08-27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80079122A1 (ko)
EP (1) EP3315286B1 (ko)
JP (1) JP6552890B2 (ko)
KR (1) KR102166585B1 (ko)
CN (1) CN107530943B (ko)
CA (1) CA2981761C (ko)
ES (1) ES2729306T3 (ko)
HK (1) HK1247595A1 (ko)
TW (1) TWI690408B (ko)
WO (1) WO20170021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197B1 (ko) * 2020-02-21 2021-01-19 강태윤 사출 블로우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8930A2 (en) 2017-10-19 2024-03-20 Nissei ASB Machine Co., Ltd. Method for producing resin vessel made of resin, mould unit and moulding apparatus
JP6840393B2 (ja) * 2018-04-19 2021-03-10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と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1137965A (ja) * 2018-05-24 2021-09-16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プリフォーム成形装置
CN110605841A (zh) * 2018-06-14 2019-12-24 铨宝工业股份有限公司 适用于制造具有把手的瓶体的吹塑成型机及其使用方法
US20210299932A1 (en) * 2018-10-11 2021-09-30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Stretch blow molding apparatus and blow molding method
US11951664B2 (en) 2019-03-26 2024-04-09 Nissei Asb Machine Co., Ltd. Die for injection molding, production apparatus for container made of resin, and plug unit
JP6717511B1 (ja) * 2019-06-11 2020-07-01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ホットランナー装置における溶融樹脂の分岐方法、及び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CN114555330A (zh) 2019-09-27 2022-05-27 日精Asb机械株式会社 树脂容器的制造方法及树脂容器的制造设备
JP6777958B1 (ja) * 2020-05-19 2020-10-28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溶融樹脂の射出方法と射出装置、及びこの射出装置を用いた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JP7031915B1 (ja) * 2021-07-13 2022-03-08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と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220A (ja) 1989-10-30 1991-06-18 Aokiko Kenkyusho:Kk 回転式射出延伸吹込成形機
JP2000318022A (ja) * 1999-04-26 2000-11-21 Apis Maschinenbau Gmbh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射出ブロー成形機
KR20030036864A (ko) * 2000-09-29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블로우 성형기의 회전 이송 장치
JP4837442B2 (ja) * 2006-05-30 2011-12-14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JP2015077795A (ja) * 2013-09-20 2015-04-23 マジック エンメピ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Magic Mp S.P.A. 熱可塑性材料製容器の成形機械及び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220A (ja) * 1987-02-03 1988-08-04 Fanuc Ltd 射出成形機の射出モ−タ制御方法
JPH069856B2 (ja) * 1987-04-20 1994-02-09 青木 茂人 回転式射出吹込成形機
TWI250934B (en) * 1997-10-17 2006-03-11 Advancsd Plastics Technologies Barrier-coated polyester articles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4122440A (ja) * 2002-09-30 2004-04-22 Aoki Technical Laboratory Inc 射出ブロー成形機の型締装置
TW200948588A (en) * 2008-05-30 2009-12-01 Foxnum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setting action steps of val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220A (ja) 1989-10-30 1991-06-18 Aokiko Kenkyusho:Kk 回転式射出延伸吹込成形機
US5062787A (en) * 1989-10-30 1991-11-05 A.K. Technical Laboratory, Inc. Rotary type injection orientation blow molding machine
JP2000318022A (ja) * 1999-04-26 2000-11-21 Apis Maschinenbau Gmbh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射出ブロー成形機
KR20030036864A (ko) * 2000-09-29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아오키가타시겐큐쇼 블로우 성형기의 회전 이송 장치
JP4837442B2 (ja) * 2006-05-30 2011-12-14 株式会社青木固研究所 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JP2015077795A (ja) * 2013-09-20 2015-04-23 マジック エンメピー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Magic Mp S.P.A. 熱可塑性材料製容器の成形機械及び成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197B1 (ko) * 2020-02-21 2021-01-19 강태윤 사출 블로우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5286A4 (en) 2018-07-25
CA2981761A1 (en) 2017-01-05
JP6552890B2 (ja) 2019-07-31
TWI690408B (zh) 2020-04-11
WO2017002150A1 (ja) 2017-01-05
EP3315286A1 (en) 2018-05-02
HK1247595A1 (zh) 2018-09-28
CA2981761C (en) 2020-11-03
CN107530943A (zh) 2018-01-02
TW201700255A (zh) 2017-01-01
JP2017013337A (ja) 2017-01-19
US20180079122A1 (en) 2018-03-22
ES2729306T3 (es) 2019-10-31
EP3315286B1 (en) 2019-05-08
KR102166585B1 (ko) 2020-10-16
CN107530943B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585B1 (ko)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기에 의한 용기의 성형 방법
CN101402248B (zh) 一种注吹塑料中空容器的模具成型工艺方法
CN107428064B (zh) 双轴拉伸吹塑成型装置
CN202088402U (zh) 一种一模一型腔热流道注塑模具
CN110662642B (zh) 注射拉伸吹塑成型机和中空成型体的制造方法
US9962879B2 (en) Machine for forming container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4690919A (zh) 一种能自动脱模的注塑模具
WO2012031434A1 (zh) 一种注吹大容量塑料中空容器的模具设备及其工艺方法
US3390427A (en) Injection blow molding machines
KR101164446B1 (ko) 사출성형기용 프리폼 취출 냉각장치
CN110049854B (zh) 通过压缩注射模制预型件的模制机械和模制方法
KR100599457B1 (ko) 수지성형기
CN201317103Y (zh) 一种注吹塑料中空容器制品的模具设备
KR102547700B1 (ko) 중공 성형체의 제조 방법과 사출 연신 블로 성형기
CN112959574B (zh) 一种带螺纹的吹塑圆盒体去毛刺方法
JP4130023B2 (ja) 射出吹込成形方法および射出吹込成形機
CN203567067U (zh) 一种能自动脱模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