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9696A - 에어로졸용 노즐 - Google Patents

에어로졸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9696A
KR20180019696A KR1020187001720A KR20187001720A KR20180019696A KR 20180019696 A KR20180019696 A KR 20180019696A KR 1020187001720 A KR1020187001720 A KR 1020187001720A KR 20187001720 A KR20187001720 A KR 20187001720A KR 20180019696 A KR20180019696 A KR 20180019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ixing
stem
contact surface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카즈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4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gulating devices
    • B65D83/48Lift valves, e.g. operated by push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이고, 복수의 내용물을 균일하게 혼합해서 분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사 후에 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적은 에어로졸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 복수의 스템(103)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120)와 노즐 상부(110)를 갖는 에어로졸용 노즐(100)로서, 노즐 하부(120)의 상부 접촉면(122) 및 노즐 상부(110)의 하부 접촉면(112) 중 적어도 일방에, 노즐 하부(120)와 노즐 상부(110)를 감합했을 때에, 스템 연통 유로(123)의 개구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합류 유로(131)를 형성하는 합류홈(126)을 갖는 것.

Description

에어로졸용 노즐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템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와, 상기 노즐 하부에 감합하는 노즐 상부를 갖고,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분사하는 에어로졸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이미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서 공지된 노즐은 한 쌍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2개의 스템에 끼워 부착하는 분출 헤드를 갖고 있고, 이 분출 헤드의 상부에 배치된 레버를 누름으로써 분출 헤드와 함께 스템이 눌려지고, 스템을 통해서 에어로졸 용기 내로부터 유출된 2종류의 내용물이 분출 헤드 내에서 혼합된 후, 노즐 외로 분사된다.
또한, 특허문헌 2 등에서 공지된 노즐은 한 쌍의 상대 위치를 고정된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2개의 스템에 끼워 부착하는 조인트 부재와, 조인트 부재에 감합하는 커버 부재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갖고 있고, 커버 상부를 누름으로써, 스템이 눌려지고 스템을 통해서 에어로졸 용기 내로부터 유출된 2종류의 내용물이 유로 내의 혼합실에서 혼합된 후, 노즐 외로 분사된다.
일본 특허 제3865193호 공보 일본 특허 제3904806호 공보
이들 공지의 노즐은 교반실, 혼합실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만, 유로나 교반실, 혼합실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고 분사될 우려가 있었다.
혼합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교반실, 혼합실의 구조를 더욱 연구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부품 점수가 많아지거나, 복잡한 구조가 되어, 제조나 조립의 비용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로나 교반실, 혼합실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분사 후에 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많아서, 노즐 외로 유출되어 캔 몸통이나 손, 의복 등을 더럽힐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잔류한 내용물이 고화되어, 다음의 분사가 정상으로 행해질 수 없거나, 변질되거나 잡균이 번식된 내용물이 혼입된 상태에서 분사되어 버릴 위험성이 있었다.
분사 후에 유로 내에 남은 내용물을 줄이기 위해서, 분해해서 세정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사용자의 수고가 늘어남과 아울러, 세정분의 내용물이 낭비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간단한 구조이고, 복수의 내용물을 균일하게 혼합해서 분사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사 후에 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적은 에어로졸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템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와, 상기 노즐 하부에 감합하는 노즐 상부를 갖는 에어로졸용 노즐로서, 상기 노즐 하부는 상기 복수의 스템에 각각 감합하는 스템 감합부와, 상부 접촉면과, 상기 상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상기 스템 감합부로부터 관통하는 스템 연통 유로와, 상기 상부 접촉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합류홈을 갖고, 상기 노즐 상부는 하부 접촉면과, 상기 하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혼합 유로를 갖고, 상기 합류홈이, 상기 노즐 하부와 노즐 상부를 감합했을 때에, 상기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와 상기 혼합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합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에 의하면, 상부 접촉면 및 하부 접촉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복수의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합류홈을 갖고, 합류홈이, 노즐 하부와 노즐 상부를 감합했을 때에, 스템 연통 유로와 혼합 유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합류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단순 형상으로 구성된 노즐 하부와 노즐 상부를 감합시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합류 유로로부터 혼합 유로를 향하는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 유로의 개구에서 혼합해서 분사하는 에어로졸용 노즐을 얻을 수 있어서, 제조나 조립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합류홈의 형상, 깊이 등에 따라, 내용물의 종류나 성질, 사용 용도에 따른 각종 형상의 합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서, 복수의 내용물을 균일하게 혼합해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합류홈의 형상, 깊이를 균일하게 혼합 가능한 작은 용량의 합류 유로로 형성할 수 있어서, 분사 후에 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합류 유로가 스템 연통 유로의 중심선과 혼합 유로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 이외의 유선을 가짐으로써, 복수의 내용물의 혼합 유로 직하에서의 혼합을 더욱 촉진해서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항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합류 유로가 형상이 다른 것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내용물의 종류나 성질이 다른 경우에도 균일하게 혼합해서 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하부 접촉면과 상부 접촉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복수의 합류 유로와 혼합 유로를 연결하는 혼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혼합 공간 내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혼합 공간을 혼합 유로 직하에 형성함으로써 작은 용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사 후에 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노즐 상부와 노즐 하부가 일체 성형되고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제조나 조립의 비용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의 용기 장착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 정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단면 및 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의 노즐 상부 및 노즐 하부의 접촉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I-III 단면 및 IV-IV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6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의 노즐 하부의 접촉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 및 제 8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의 노즐 하부의 접촉면의 평면도 및 V-V 단면, VI-V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의 노즐 상부 및 노즐 하부의 접촉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VII-VII 단면, VIII-VIII 단면 및 조립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과, 노즐 상부 및 노즐 하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템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와, 노즐 하부에 감합하는 노즐 상부를 갖는 에어로졸용 노즐로서, 노즐 하부는 복수의 스템에 각각 감합하는 스템 감합부와, 상부 접촉면과, 상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스템 감합부로부터 관통하는 스템 연통 유로와, 상부 접촉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합류홈을 갖고, 노즐 상부는 하부 접촉면과, 하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혼합 유로를 갖고, 합류홈이 노즐 하부와 노즐 상부를 감합했을 때에,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와 혼합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합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면,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용기(101)로부터 돌출된 2개의 스템(103)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120)와, 노즐 하부(120)에 감합하는 노즐 상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노즐 하부(120)는 2개의 스템(103)에 각각 감합하는 스템 감합부(121)와, 상부 접촉면(122)과, 상부 접촉면(122)에 개구되어 스템 감합부(121)로부터 관통하는 스템 연통 유로(123)와, 스템 연통 유로(123)의 개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합류홈(126)과, 상부 접촉면(122)의 주위를 둘러싸는 내주 감합 오목부(125)와, 내주 감합 오목부(125)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주 감합 볼록부(124)를 갖고 있다.
노즐 상부(110)는 하부 접촉면(112)과, 하부 접촉면(112)에 개구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혼합 유로(111)와, 하부 접촉면(1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내주 감합 볼록부(114)와, 내주 감합 볼록부(114)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주 감합 오목부(113)와, 혼합 유로(111)의 상단 부근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센터 포스트(116)와, 분출구(117)와, 압박부(118)를 갖고 있다.
또한, 노즐 하부(120)와 노즐 상부(110)는 상부 접촉면(122)과 하부 접촉면(112)이 밀착하도록 감합함으로써, 합류홈(126)의 상방을 하부 접촉면(112)이 폐쇄하여, 스템 연통 유로(123)의 개구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일직선 상으로 연결하는 합류 유로(131)를 형성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에어로졸용 노즐(100)에 의해 2액을 혼합 분사할 때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에어로졸용 노즐(100)은 에어로졸 용기(101)로부터 돌출된 2개의 스템(103)에 스템 감합부(121)를 감합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에어로졸용 노즐(100)의 압박부(118)를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2개의 스템(103)이 눌려지고, 2개의 스템(103)의 각각의 밸브 기구가 동시에 개방되어, 에어로졸 용기(101) 내에 충전되어 있는 분사제의 압력에 의해 에어로졸 용기(101) 내의 내용물이 스템을 통과하여 에어로졸용 노즐(100) 내로 유입된다.
2개의 스템(103)의 각각으로부터 유출된 내용물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합류 유로(131)를 통과해서 혼합 유로(111)의 개구 부근에서 합류되고,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충분하게 혼합되고, 센터 포스트(116)의 외주를 통과하여 분출구(117)로부터 분사된다.
에어로졸용 노즐(100)의 노즐 하부(120)와 노즐 상부(110)는 내주 감합 오목부(125)에 내주 감합 볼록부(114)가 압입 감합되고, 외주 감합 오목부(113)에 외주 감합 볼록부(124)가 압입 감합되어, 상부 접촉면(122)과 하부 접촉면(112)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만일 내용액이 상부 접촉면(122)과 하부 접촉면(112) 사이에 침출된 경우에서도 에어로졸용 노즐(100)의 분출구(117) 이외로부터 누출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유로 내 용적을 작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용물 분사 후에 에어로졸용 노즐(100)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서, 분출구(117)로부터 내용물이 누출되는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점은 생략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6의 상단 좌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b)의 합류홈(126b)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접선의 1개를 내벽에 갖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의 절반의 홈폭을 갖고 있다. 또한, 2개의 합류홈(126b)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접촉면(122)에는 혼합 유로(111)의 개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혼합 공간(132)을 형성하고 있고, 2개의 합류홈(126b)의 내벽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공간(132)의 공통의 접선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혼합 공간(132)에 있어서 내용물에 회전류가 발생하여,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더욱 촉진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6의 상단 중앙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c)의 합류홈(126c)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공통의 접선을 내벽에 갖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의 절반 의 홈폭을 갖고 있다. 또한, 2개의 합류홈(126c)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접촉면(122)에는 혼합 유로(111)의 개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혼합 공간(132)을 형성하고 있고, 2개의 합류홈(126c)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접선과는 별도로 혼합 공간(132)의 접선을 내벽에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혼합 공간(132)에 있어서 내용물에 회전류가 발생하여,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더욱 촉진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6의 상단 우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d)의 합류홈(126d)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서로 평행하지 않는 2개의 접선을 내벽에 갖는다.
또한, 2개의 합류홈(126d)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접촉면(122)에는 혼합 유로(111)의 개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혼합 공간(132)을 형성하고 있고, 2개의 합류홈(126d)의 내벽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공간(132)의 공통의 접선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합류홈(126d)은 혼합 공간(132)을 향해서 단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통과하는 내용물의 유속이 커지기 때문에, 혼합 공간(132)에 있어서의 회전류를 더욱 빠른 것으로 하여,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더욱 촉진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6의 하단 좌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e)의 합류홈(126e)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합류홈(126e)은 제 1 실시형태의 합류홈(126)을 스템 연통 유로(123)의 개구의 대략 절반 비켜놓은 위치까지 혼합 유로(111)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혼합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회전류가 혼합 유로(111) 내에 발생하여, 통과하면서 혼합이 촉진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6의 하단 우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f)의 합류홈(126f 및 126f')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합류홈(126f)의 홈의 폭은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과 동일하고, 합류홈(126f')의 홈의 폭은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보다 크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합류홈(126f, 126f')의 폭을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혼합하는 2개의 내용물의 혼합비를 1:1 이외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나, 2개의 내용물의 점성 등이 다른 경우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7의 좌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g)의 합류홈(126g)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합류홈(126g)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로부터 혼합 유로(111)의 개구로 향함에 따라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합류홈(126g)은 혼합 유로(111)를 향해서 단면적이 작아져서 통과하는 내용물의 유속이 커지기 때문에,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더욱 촉진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은, 도 7의 우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h)의 합류홈(126h 및 126h')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공통되는 접선의 1개를 내벽에 갖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의 절반의 홈폭을 갖고 있다.
또한, 2개의 합류홈(126h 및 126h')은 서로 교차하지 않고,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합류홈(126h 및 126h')은 서로 다른 스템 연통 유로(123)에 접속되고, 타방의 스템 연통 유로(123)를 향함에 따라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합류홈(126h)은 혼합 유로(111)를 향해서 단면적이 작아져서 통과하는 내용물의 유속이 커짐과 아울러, 혼합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회전류가 혼합 유로(111) 내에 발생하여 통과하면서 혼합이 촉진된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100i)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하부(120i)의 합류홈(126i 및 126i')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123)와 혼합 유로(111)의 개구를 스템 연통 유로(123)의 내경과 동일한 홈폭으로 일직선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합류홈(126i)은 합류홈(126i)'보다 홈의 깊이가 얕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 접촉면(122)에는 혼합 유로(111)의 개구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에 혼합 공간(13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노즐 상부(110i)의 하부 접촉면(112)에는 합류홈(126i)'에 감합 가능한 합류 유로 볼록부(115)을 갖고 있고, 노즐 상부(110i)와 노즐 하부(120i)가 감합함으로써, 합류 유로(131)는 합류홈(126i)측과 합류홈(126i)'측에서 유로 단면적이 같고 단차가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혼합 공간(132)에 있어서 내용물에 상하 방향의 회전류가 발생하여, 혼합 유로(111) 내를 통과하면서 혼합이 더욱 촉진된다.
실시예 10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로졸용 노즐(100j)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상부(110j)와 노즐 하부(120j)를 구비하고, 노즐 상부(110j)에는 손가락으로 직접 압박하는 압박부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누름 접점부(119)를 갖고 있다.
노즐 하부(120j)와 노즐 상부(110j)를 감합했을 때에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 와 마찬가지로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와 혼합 유로의 개구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합류 유로가 형성되고, 그 형태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것을 포함하여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노즐(100j)은 노즐(100j)의 누름 접점부(119)에 접촉해서 압박 가능한 레버(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커버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적용함으로써, 레버를 눌러서 노즐(100j)의 누름 접점부(119)를 압박하여 내용물을 분사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노즐(100j)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에어로졸 제품 상부의 외관을 커버 부재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고, 또한 레버 누름 방식에서의 노즐(100j)의 압박에 의해, 노즐(100j)을 통해서 2개의 스템(103)을 균등하게 압박할 수 있어서, 2액의 동시 분사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는 않고 각종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2개의 스템이 돌출하여 있는 것에 장착하는 것이지만, 스템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스템의 수와 각각의 스템의 돌출 위치에 대응한 스템 감합부를 설치하고, 각각에 대응한 합류홈을 갖는 에어로졸용 노즐을 적당히 준비하면 좋고, 스템의 수가 3개 이상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2개의 스템이 돌출한 1개의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하는 것이지만, 에어로졸 용기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스템이 1개 또는 복수 개 돌출한 에어로졸 용기를 복수개 배열한 것에 장착하는 것 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혼합 공간이나 혼합 유로 내에서 혼합한 내용물을 센터 포스트의 주위를 통과하여 분출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지만, 분사 방향이나 혼합 유로보다 앞의 유로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혼합 유로의 앞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분사해도 좋고, 센터 포스트나 분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합류홈이 노즐 하부의 상부 접촉면에 형성되는 것이지만, 합류홈을 노즐 상부의 하부 접촉면에 형성해도 좋고, 하부 접촉면과 상부 접촉면의 양방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합류홈이 대략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합류홈의 형상은 직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로부터 혼합 유로까지 호를 그리는 형상이어도 좋고, 굴곡진 형상이나, 사행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혼합 유로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로부터 등거리의 장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혼합 유로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일방의 스템에 가깝고, 타방의 스템에 먼 위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각각의 스템 연통 유로에 접속하여 있는 합류홈은 1개인 것이지만, 합류홈의 접속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개의 스템 연통 유로에 2개의 합류홈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노즐 상부와 노즐 하부가 별도의 부품이지만, 노즐 상부와 노즐 하부는 힌지 등에 의해 연결된 일체 성형품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에어로졸용 노즐은 2개의 스템은 서로 대략 동일한 높이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이지만, 2개의 스템의 고정 위치는 서로 동일한 높이가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고정되는 높이가 다른 2개의 스템에 대응하는 높이가 다른 스템 감합부를 갖은 노즐 하부를 사용해도 좋다.
100···에어로졸용 노즐 101···에어로졸 용기
102···숄더 커버 103···스템
110···노즐 상부 111···혼합 유로
112···하부 접촉면 113···외주 감합 오목부
114···내주 감합 볼록부 115···합류 유로 볼록부
116···센터 포스트 117···분출구
118···압박부 119···누름 접점부
120···노즐 하부 121···스템 감합부
122···상부 접촉면 123···스템 연통 유로
124···외주 감합 볼록부 125···내주 감합 오목부
126···합류홈 131···합류 유로
132···혼합 공간

Claims (5)

  1.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템에 감합하는 노즐 하부와, 상기 노즐 하부에 감합하는 노즐 상부를 갖는 에어로졸용 노즐로서,
    상기 노즐 하부는 상기 복수의 스템에 각각 감합하는 스템 감합부와, 상부 접촉면과, 상기 상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상기 스템 감합부로부터 관통하는 스템 연통 유로를 갖고,
    상기 노즐 상부는 하부 접촉면과, 상기 하부 접촉면에 개구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혼합 유로를 갖고,
    상기 상부 접촉면 및 하부 접촉면 중 적어도 일방에 복수의 상기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합류홈을 갖고,
    상기 합류홈이, 상기 노즐 하부와 노즐 상부를 감합했을 때에, 상기 스템 연통 유로의 개구와 상기 혼합 유로의 개구를 연결하는 복수의 합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용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합류 유로가 상기 스템 연통 유로의 중심선과 혼합 유로의 중심선을 연결하는 직선 이외의 유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용 노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합류 유로가 형상이 다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용 노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접촉면과 상부 접촉면 중 적어도 일방에는 복수의 상기 합류 유로와 상기 혼합 유로를 연결하여 혼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용 노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상부와 상기 노즐 하부가 일체 성형되고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용 노즐.
KR1020187001720A 2015-08-11 2015-08-11 에어로졸용 노즐 KR20180019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2755 WO2017026050A1 (ja) 2015-08-11 2015-08-11 エアゾール用のノズ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696A true KR20180019696A (ko) 2018-02-26

Family

ID=5798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720A KR20180019696A (ko) 2015-08-11 2015-08-11 에어로졸용 노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10793B2 (ko)
EP (1) EP3326935B1 (ko)
JP (1) JPWO2017026050A1 (ko)
KR (1) KR20180019696A (ko)
CN (1) CN107848691A (ko)
BR (1) BR112018002357B1 (ko)
MX (1) MX2018001492A (ko)
WO (1) WO20170260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220A (zh) * 2018-04-06 2020-11-06 东洋喷雾工业株式会社 喷雾产品
USD1003160S1 (en) * 2020-09-04 2023-10-31 Reckitt & Colman (Overseas) Hygiene Home Limited Nozzle
USD987441S1 (en) * 2020-09-04 2023-05-30 Reckitt & Colman (Overseas) Hygiene Home Limited Container with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6967Y1 (ko) * 1968-09-06 1973-08-08
FR2603558B1 (fr) * 1986-09-04 1988-11-18 Oreal Tet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pateux resultant du melange de deux composants stockes separement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ote d'une telle tete de distribution
JPH1017041A (ja) * 1996-06-28 1998-01-20 Hoyu Co Ltd エアゾール式2液混合容器
JPH10101157A (ja) * 1996-10-01 1998-04-21 Hoyu Co Ltd 染毛剤容器
US6082588A (en) * 1997-01-10 2000-07-04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ompartment package and pumps
JP3895828B2 (ja) * 1997-06-17 2007-03-22 株式会社ダイゾー 混合液噴射用エアゾール装置
FR2789371B1 (fr) * 1999-02-05 2001-04-27 Sofab Distributeur de produits chimiquement instables
JP3865193B2 (ja) 2000-03-31 2007-01-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液用エアゾール容器
JP3904806B2 (ja) 2000-05-31 2007-04-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式二液混合容器
JP4671496B2 (ja) * 2000-12-14 2011-04-20 株式会社三谷バルブ 2液混合型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器
US7967220B2 (en) * 2002-09-13 2011-06-28 Bissell Homecare, Inc. Manual sprayer with dual bag-on-valve assembly
JP2004217245A (ja) * 2003-01-14 2004-08-05 Mitani Valve Co Ltd 容器内容物の混合放出機構
JP2005035631A (ja) * 2003-07-16 2005-02-10 Kao Corp 吐出装置
CN200988015Y (zh) 2006-10-30 2007-12-12 埃森·费尔索夫 喷雾器
JP5674386B2 (ja) * 2010-08-31 2015-02-25 ホーユー株式会社 二液吐出器
JP5984340B2 (ja) * 2010-09-17 2016-09-06 株式会社三谷バルブ 二液吐出装置
JP5804556B2 (ja) * 2011-09-30 2015-11-04 株式会社ダイゾー 2液混合吐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吐出製品
BR112014010853B1 (pt) * 2012-08-16 2021-01-12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produto de aerossol de formação de espu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8002357B1 (pt) 2022-02-15
US10710793B2 (en) 2020-07-14
CN107848691A (zh) 2018-03-27
MX2018001492A (es) 2018-04-24
JPWO2017026050A1 (ja) 2018-03-15
EP3326935B1 (en) 2023-11-08
EP3326935A4 (en) 2018-08-01
US20180162630A1 (en) 2018-06-14
BR112018002357A2 (pt) 2018-09-25
EP3326935A1 (en) 2018-05-30
WO2017026050A1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3016C2 (ru) Контейнеры и способы изол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перед дозированием
KR20180019696A (ko) 에어로졸용 노즐
EP3192749B1 (en) Residual quantity-reducing member
CN100487292C (zh) 流体产品喷射头和包括所述喷射头的分配泵
JP5936991B2 (ja) 噴出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る容器
JP5555069B2 (ja) 泡吐出容器
KR101207026B1 (ko) 정량 분주장치
CN103551270A (zh) 用于从容器分配流体的配料头
CN110139808A (zh) 具有用于将两种添加剂引入饮料容器中的装置的闭合件
CA2533525C (en) Bottle for dispensing two liquids
KR101720121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도포액 도포 장치
CN108778518A (zh) 用于容器的喷雾盖
CN209667749U (zh) 一种双泵式乳液包装瓶
KR20120108252A (ko) 디스펜서용 분무캡
KR100761949B1 (ko) 듀얼타입의 혼합 분무장치
AU2018326415B2 (en) Dual compartment container adapter
KR101672784B1 (ko) 노즐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도포액 도포 장치
CN205436079U (zh) 一种新型喷雾喷嘴
US20190308209A1 (en) Dispenser
KR101176143B1 (ko) 인젝션 용기
RU2744673C2 (ru) Сопловой узел для головки для выдачи пищевых кремов
JP6652380B2 (ja) ノズルヘッド機構
JP6730776B1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5419753B2 (ja) 噴出ヘッド
JP2003305391A (ja) 二剤混合吐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