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04A -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04A
KR20180001304A KR1020160080268A KR20160080268A KR20180001304A KR 20180001304 A KR20180001304 A KR 20180001304A KR 1020160080268 A KR1020160080268 A KR 1020160080268A KR 20160080268 A KR20160080268 A KR 20160080268A KR 20180001304 A KR20180001304 A KR 20180001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ck
sleeve
transmission line
unit blocks
suppor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437B1 (ko
Inventor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6008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특히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관절형 지지모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시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마련된 복수의 단위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MODULE FOR SUPPORTING TRANSMISSION LINE SLEEVE}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블록들을 갖는 관절형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에는 에너지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전송라인 베이어(transmission line veyor)가 사용되고 있다. 전송라인 베이어는 케이블 베이어(cable veyor)라 칭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송라인 베이어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송라인 베이어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송라인 베이어에 따르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단위블록들 간 마찰, 단위블록들과 전송라인 간 마찰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라인 베이어에 의하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소음은 작업 환경의 열악화를 초래하고, 상기 분진은 산업기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sleeve)는 이러한 개선책의 일환으로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수용공간을 갖는다. 이 수용공간들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곳 이외에는 전송라인이 삽입된다. 그리고 최외곽에 위치하는 두 곳에는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삽입된다. 위와 같은 슬리브 및 지지모듈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및 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들에 개시된 지지모듈은 일렬로 나열하도록 평판에 결합한 복수의 단위블록들을 갖는다. 지지모듈이 굽혀지면 단위블록들이 서로 맞닿게 되는데, 그러면 지지모듈의 굽힘이 제한된다. 지지모듈이 펴질 때에도 단위블록들은 서로 맞닿게 되는데, 그러면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4928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한국등록특허 제10-1100676호(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위 등록특허들의 지지모듈에서는 단위블록들이 평판에 연결되어 있을 뿐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위 등록특허들의 지지모듈은 무관절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무관절 지지모듈은 단위블록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의 지지모듈, 즉 관절형 지지모듈에 비해 더 잘 처지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무관절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되는 최대 펴진 길이가 3m라면, 관절형 지지모듈의 처짐이 방지되는 최대 펴진 길이는 이보더 훨씬 길다. 따라서 긴 슬리브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관절형 지지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그런데 관절형 지지모듈에서는 굽힘과 펴짐 과정에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진동과 소음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특히 관절형 지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관절형 지지모듈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시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마련된 복수의 단위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와 접촉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반대단은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판 스프링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 고정된 고정단 및 이의 반대단인 자유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스프링이 단위블록들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을 관절형으로 구성하여 그 길이를 길게 하더라도 상기 지지모듈의 굽힘 및 펴짐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이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위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100)은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미도시)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예컨대,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블록(110)과, 스프링(1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지지모듈(100)이 갖는 각각의 구성들을 설명하되, 도시된 모습에서 좌측단이 있는 곳을 전방으로 칭하고 우측단이 있는 곳을 후방으로 칭한다. 그러나 이는 명확한 이해를 위해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좌측단이 있는 곳이 후방으로 이해되고 상기 우측단이 있는 곳이 전방으로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위블록(110)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형태를 갖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단위블록(110)의 후방 좌측면과 후방 우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홀(111a, 1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11a, 111b)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홀(111a, 111b)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위블록(110)의 전방 좌측면과 전방 우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돌기(112a, 112b)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은 단위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된다. 이 경우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에 삽입되면,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받침부(11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110)에는 상기 받침부(116)의 전방에 굽힘 정도 제한면(1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굽힘 정도 제한면(114)은 상기 단위블록(110)의 하면과 가까워질수록 상기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굽힘 정도 제한면(114)의 기울어진 정도를 조절하면 상기 지지모듈(100)의 굽힘 정도는 그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지지모듈(100)이 펴진 상태에 있을 때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은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접촉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지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모듈(100)이 굽혀진 상태에 있을 때 전방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은 후방 단위블록(110)의 굽힘 정도 제한면(114)과 접촉하게 되고, 이 때문에 지지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굽혀진 후 더 굽혀지지 않게 된다.
상기 스프링(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은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접촉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반대단은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한다.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 및 반대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 또는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110)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일단 및 반대단은 각각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 및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120)은 전후방 단위블록(110)들이 서로 굽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후방 단위블록(110)은 굽혀진 상태에서 펴진 상태로 될 때에는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펴진 상태에서 굽혀진 상태로 될 때에는 코일 스프링(12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코일 스프링(120)이 없으면, 굽혀진 상태의 후방 단위블록(110)이 펴진 상태로 갑작스럽게 회전하게 되는데, 그러면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와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이 서로 강하게 충돌하면서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120)이 없으면, 펴진 상태의 후방 단위블록(110)이 굽힌 상태로 갑작스럽게 회전하게 되는데, 그러면 전방 단위블록(110)의 뒷단 후면(115)과 후방 단위블록(110)의 굽힘 정도 제한면(114)이 서로 강하게 충돌하면서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120)이 전방 단위블록(110)에 대한 후방 단위블록(110)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이 현격히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에 삽입됨으로써 두 단위블록(11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러나 후방 단위블록(110)의 돌기(112a, 112b)가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돌기(112a, 112b) 대신 상기 홀(111a, 111b)과 같은 직경을 가진 별도의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 단위블록(110)의 홀(111a, 111b)과 후방 단위블록(110)의 홀(미도시)이 서로 연통하도록 두 단위블록(110)이 일렬로 나열되면, 상기 홀(111a, 111b)에 별도의 핀(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두 단위블록(110)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120)은 코일 스프링(1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130)은 상기 단위블록(110)에 마련된 받침부(116)에 지지되고, 단위블록들(110)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판 스프링(130)의 일단은 상기 전방 단위블록(110)에 고정된 고정단을 갖고, 판 스프링(130)의 반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방 단위블록(110)의 받침부(116)에 지지된 판 스프링(130)은 후방 단위블록(110)의 앞단 하면(113)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100)에서는 상술한 스프링(120, 130)이 모든 단위블록(110)에 마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110 : 단위블록 111a, 111b : 홀
112a, 112b : 돌기 113 : 앞단 하면
114 : 굽힘 정도 제한면 115 : 뒷단 후면
116 : 받침부 120 : 코일 스프링
130 : 판 스프링

Claims (3)

  1.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있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면서 일렬로 나열되고, 상기 회전축에 대한 회전 운동 시 굽혀지거나 펴지도록 마련된 복수의 단위블록; 및
    서로 이웃하는 두 단위블록인 전후방 단위블록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후방 단위블록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와 접촉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반대단은 후방 단위블록의 앞단 하면과 접촉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 단위블록에 마련된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방 단위블록에 고정된 고정단 및 이의 반대단인 자유단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20160080268A 2016-06-27 2016-06-27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1879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ko) 2016-06-27 2016-06-27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ko) 2016-06-27 2016-06-27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4A true KR20180001304A (ko) 2018-01-04
KR101879437B1 KR101879437B1 (ko) 2018-07-17

Family

ID=6099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68A KR101879437B1 (ko) 2016-06-27 2016-06-27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9287A (zh) * 2019-11-29 2020-02-21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海底电缆埋设机水力刀片前端模块化海缆弯曲限制器
CN110867777A (zh) * 2019-11-29 2020-03-06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模块式海底电缆拖曳工装
USD1011446S1 (en) * 2023-03-01 2024-01-16 Yue Qiu Doll
EP3997016A4 (en) * 2019-07-12 2024-03-20 Kenneth Blanchard NEW CHAIN LINK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80U (ko) * 1978-08-30 1980-03-05
JPH07208561A (ja) * 1994-01-21 1995-08-11 Nippon Steel Corp 高温・高荷重用長寿命ブロックチェーン
JP2005076851A (ja) * 2003-09-03 2005-03-24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動力伝達用チェーン
KR20110058724A (ko) * 2009-11-26 2011-06-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3-04-01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JP2014145399A (ja) * 2013-01-28 2014-08-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ケーブル保持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4580U (ko) * 1978-08-30 1980-03-05
JPH07208561A (ja) * 1994-01-21 1995-08-11 Nippon Steel Corp 高温・高荷重用長寿命ブロックチェーン
JP2005076851A (ja) * 2003-09-03 2005-03-24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動力伝達用チェーン
KR20110058724A (ko) * 2009-11-26 2011-06-01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249286B1 (ko) 2010-12-02 2013-04-01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101100676B1 (ko) 2011-06-16 2012-01-03 신무현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JP2014145399A (ja) * 2013-01-28 2014-08-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ケーブル保持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97016A4 (en) * 2019-07-12 2024-03-20 Kenneth Blanchard NEW CHAIN LINK
CN110829287A (zh) * 2019-11-29 2020-02-21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海底电缆埋设机水力刀片前端模块化海缆弯曲限制器
CN110867777A (zh) * 2019-11-29 2020-03-06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模块式海底电缆拖曳工装
USD1011446S1 (en) * 2023-03-01 2024-01-16 Yue Qiu D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437B1 (ko)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437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JP6301775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EP3221096B1 (en) A cable-management system, a rotary joint and a robot
KR20160038760A (ko) 로봇
CN106920471B (zh) 柔性装置和电子设备
US20130212998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JP2009142918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ケーブルガイド装置
JP57098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3717168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EP0276313B1 (en) Device for arranging cable of industrial robot
TWI682109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CN111146742A (zh) 用于传输线套管的支撑模块
RU2005127033A (ru) Шарнирный механиз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используемого в робототехнике, и для оправ очков
KR101981426B1 (ko) 인공 관절
KR101760641B1 (ko) 케이블 보호장치
KR10130006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JP2003110007A5 (ko)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CN106795948B (zh) 长条物的导引装置
EP3293844B1 (en) Mechanical link
KR20200031051A (ko) 지지 장치
KR100924679B1 (ko)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KR20180001302A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1739706B1 (ko) 케이블 보호장치
CN105122566A (zh) 缆线与缆线支撑装置的组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