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068B1 -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 Google Patents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068B1
KR101300068B1 KR1020110140705A KR20110140705A KR101300068B1 KR 101300068 B1 KR101300068 B1 KR 101300068B1 KR 1020110140705 A KR1020110140705 A KR 1020110140705A KR 20110140705 A KR20110140705 A KR 20110140705A KR 101300068 B1 KR101300068 B1 KR 10130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sleeve
transmission line
protrusion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056A (ko
Inventor
신무현
Original Assignee
신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현 filed Critical 신무현
Priority to KR102011014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0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 방지 및 굽힘 제한을 실현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첫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1블록들;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첫 번째 열과 평행한 두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2블록들; 및 상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리지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MODULE FOR SUPPORTING TRANSMIOOSIN LINE SLEEVE}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 즉 분진과 소음의 발생 없이 케이블, 에어호스 등의 전송라인을 보호하면서 굽힘과 펴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에는 에너지 공급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해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송라인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전송라인 베이어(transmission line veyor)가 사용되고 있다. 전송라인 베이어는 케이블 베이어(cable veyor)라 칭해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송라인 베이어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단위블록과, 상기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전송라인 베이어의 굽힘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위블록을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전송라인 베이어에 따르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단위블록들 간 마찰, 단위블록들과 전송라인 간 마찰이 수반된다. 따라서, 상기 전송라인 베이어에 의하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소음은 작업 환경의 열악화를 초래하고, 상기 분진은 산업기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유연성을 갖는 슬리브(sleeve)는 이러한 개선책의 일환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송라인용 슬리브(10)는 산업기계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일단(12)과 산업기계의 이동부에 고정되어 이동부와 함께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반대단(1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10)는 유연성을 갖는 상부부재(20)와 유연성을 갖는 하부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부재(20)의 일부와 하부부재(40)의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부착되고, 부착되지 않은 상부부재(20)의 부위와 하부부재(40)의 부위 사이의 수용공간(50)에는 전송라인(16)이 삽입된다.
상기 슬리브(10)에 의하면, 관절의 부재로 인해 굽힘과 펴짐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분진 및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슬리브(10)의 길이가 길고 전송라인(16)이 무거운 경우, 슬리브(10)에는 전송라인(16)의 자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리브(10)의 수용공간(50)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2개의 수용공간에는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이 삽입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74440호는 슬리브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등록특허에 개시된 지지모듈(70)은 슬리브(60)의 최외곽 부위(60b)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블록들(72)을 포함한다. 이 블록들(72)은 슬리브(60)의 굽힘 부위에서는 곡률 반경을 제한하도록 연결되고, 이로써 슬리브(60)는 어느 정도 굽혀진 다음 더 이상 굽혀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들(72)은 슬리브(60)의 펴진 부위에서는 처짐을 방지하도록 연결되고, 이로써 슬리브(60)는 펴진 부위에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리브(60)의 중앙 부위(60a)에는 케이블이나 에어 호스와 같은 전송라인(80)이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모듈(70)이 사용되면, 슬리브(60)의 굽힘이 제한되고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모듈(70)이 슬리브(60)의 최외곽 부위(60b)에 삽입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60)의 굽힘 부위 부근에서 슬리브(60)가 볼록하게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리브(60)가 굽힘 부위에서 볼록하게 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슬리브(60)의 곡률반경 제한 및 처짐 방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 방지 및 굽힘 제한을 실현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첫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1블록들;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첫 번째 열과 평행한 두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2블록들; 및 상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리지들;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들에는 제1결합봉이 구비되고, 상기 제2블록들에는 제2결합봉이 구비되며, 상기 브리지들은 상기 제1결합봉과 결합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봉과 결합하는 제2결합홈을 양단에 구비한다.
상기 제1블록들 및 제2블록들에는 쐐기 통과홀이 구비되고, 상기 브리지들은 상기 쐐기 통과홀과 결합하는 쐐기를 양단에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브리지들은 번갈아 위치하는 상부 브리지들과 하부 브리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브리지들은 상기 제1블록들의 상부와 상기 제2블록들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 브리지들은 상기 제1블록들의 하부와 상기 제2블록들의 하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은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된 제1처짐방지돌기,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블록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 및 상기 돌출부 수용홈의 바닥에 마련된 제2처짐방지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 방지는 상기 돌출부 수용홈의 천정 후단과 상기 후방 블록의 제1처짐방지돌기 앞면 간 맞닿음 및 상기 제2처짐방지돌기의 상면과 상기 후방 블록의 돌출부 전단 하면 간 맞닿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들, 제2블록들 및 브리지들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한 층 전체를 이루는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블록들 및 제2블록들이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제1블록들에 의해 형성된 첫 번째 열 및 제2블록들에 의해 형성된 두 번째 열이 브리지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송라인용 슬리브가 볼록하게 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곡률반경 제한 및 처짐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블록들 및 제2블록들에는 결합봉 및/또는 쐐기 통과홀이 마련되고 브리지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봉과 결합하는 결합홈 및/또는 상기 쐐기 통과홀과 결합하는 쐐기가 마련되는바, 브리지의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가 서로 번갈아 위치하는 상부 브리지 및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는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볼록 휨에 대한 강성이 더욱 강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들에 처짐방지돌기들이 마련되는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이 종래에 비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전송라인용 슬리브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제1블록들의 펴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제1블록들의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제1블록들의 펴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지지모듈의 제1블록들의 굽혀진 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브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에 의해 지지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로봇 등과 같은 각종 산업기계의 이동부에 고정되는 일단(102)과, 상기 산업기계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반대단(미도시)을 구비한다.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상기 일단(102)으로부터 반대단(미도시)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관절을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100)는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 층 중 일부(도 8의 경우 하층)는 하나의 수용공간만을 갖고, 이 수용공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이 수용된다. 상기 복수 층 중 다른 일부(도 8의 경우 상층)는 평행하게 나열된 복수의 수용공간들을 갖고, 이 수용공간들 각각에는 케이블, 에어호스 등과 같은 전송라인(106)이 수용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200)만이 슬리브(1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수용공간에는 상기 지지모듈(200)을 대체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300)이 수용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전송라인용 슬리브(100)가 2개의 층만을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슬리브(100)의 층수는 이보다 많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송라인(106)을 수용하는 수용공간들의 개수도 한 층에 4개보다 많거나 적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은 위와 같은 형태로 전송라인용 슬리브(10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100)의 처짐 방지 및 굽힘 제한을 실현한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모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블록들(210)과, 복수의 제2블록들(230)과, 복수의 브리지(bridge)들(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210)은 앞쪽에 위치하는 돌출부(212), 뒤쪽에 위치하는 돌출부 수용홈(216)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21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옆쪽으로 돌출한 돌기(214)를 양측면에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 수용홈(216)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블록의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후방 블록의 돌출부 양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홀(218)을 양측면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블록들(210) 간 연결은, 후방 블록의 돌출부 양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상기 돌기 삽입홀(218)에 삽입될 때까지, 상기 후방 블록의 돌출부를 상기 돌출부 수용홈(216)에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결합된 제1블록들(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열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212)의 양측면에 마련된 돌기(214)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으로 갈수록 낮은 높이를 갖게 되는데, 이는 상기 돌출부(212)를 타 블록의 돌출부 수용홈(216)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함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제1블록들(210)은 서로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돌출부(212)의 양측면에 마련된 돌기(214)는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 지지모듈(200)은 전송라인용 슬리브(100)의 처짐 방지 및 굽힘 제한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블록들(210)은 지지모듈(200)의 처짐을 방지하고 곡률 반경을 제한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지지모듈(200)의 처짐 방지는 상기 돌출부 수용홈(216)의 천정(220) 후단이 후방 블록의 앞면 상단(210a)과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지지모듈(200)이 굽혀진 상태(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제1블록들(2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모듈(200)은 펴진 상태(도 6과 같은 상태)로 되는데, 이때 상기 천정(220) 후단이 후방 블록의 앞면 상단(210a)과 맞닿아 제1블록들(2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써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200)의 처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모듈(200)의 곡률 반경 제한은 돌출부 수용홈(216)의 바닥(222) 후단이 후방 블록의 앞면 하단(210b)과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지지모듈(200)이 펴진 상태(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1블록들(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모듈(200)은 굽혀진 상태(도 7과 같은 상태)로 되는데, 이때 상기 바닥(222) 후단이 후방 블록의 앞면 하단(210b)과 맞닿아 제1블록들(21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써 굽혀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200)의 곡률 반경이 제한된다. 한편, 펴진 상태의 지지모듈(200)을 형성하는 제1블록들(210)이 굽혀진 상태의 지지모듈(200)을 형성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222) 후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220) 후단보다 더 앞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블록들(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블록들(210)에 의해 형성된 첫 번째 열과 평행한 두 번째 열을 이룬다. 제2블록들(230)의 형태 및 연결관계는 제1블록들(210)의 형태 및 연결관계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리지(250)는 제1블록들(210)에 의해 형성된 첫 번째 열과 제2블록들(230)에 의해 형성된 두 번째 열 간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250)는, 전송라인용 슬리브(100)의 복수 층 중 하나의 수용공간만을 갖는 층(도 8에서 하층)에 하나의 지지모듈(200)만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송라인 슬리브(100)의 폭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구비된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200)은 상술된 바와 같은 브리지들(25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브리지들(250)로 인해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 간 이격 거리는 지지모듈(2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모듈(200)이 사용될 경우, 전송라인용 슬리브(100)가 볼록하게 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 브리지들(250)의 결합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브리지들(250)의 양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52)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1블록들(210) 및 제2블록들(230)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개방 상면(또는 개방 하면) 및 개방 측면을 갖는 홈이 구비되고, 이 홈에는 제1결합봉(224) 및 제2결합봉(244)이 구비된다. 제1결합봉(224)은 제1블록들(210)의 중앙부위에 마련된 상기 홈의 앞면 및 뒷면에 고정되고, 제2결합봉(244)은 제2블록들(210)의 중앙부위에 마련된 상기 홈의 앞면 및 뒷면에 고정된다.
상기 브리지(250)의 양단에 구비된 결합홈(252)을 상기 블록들(210, 230)의 결합봉(224, 244)과 맞닿게 한 후 브리지(250)를 아래로(또는 위로) 가압하면 브리지(250)와 블록들(210, 230) 간 결합이 완료되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250)의 체결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브리지(250)를 위로(또는 아래로) 당기면 브리지(250)가 블록들(210, 230)로부터 분리되는바, 본 발명에 의하면 브리지(250)의 해체가 용이하다.
한편, 결합봉(224, 244)들의 위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갈아 위치한다. 예컨대, 어느 한 브리지(250)(상부 브리지)와 결합한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30)에서 결합봉(224, 244)이 상측에 마련되었다면, 상기 상부 브리지(250)와 이웃한 브리지(250)(하부 브리지)와 결합한 제1블록(210) 및 제2블록(230)에서는 결합봉(224, 244)이 하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브리지들(250)이 제1블록들(210)의 상면과 제2블록들(230)의 상면을 연결하고, 하부 브리지들(250)이 상기 상부 브리지들(250)의 사이에서 제1블록들(210)의 하면과 제2블록들(230)의 하면을 연결하기 때문에, 슬리브(100)의 볼록 휨에 대한 강성이 보다 강해진다.
이상 설명된 바에 의하면 모든 블록들(210, 230)에 브리지들(250)이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브리지들(250)은 블록들(210, 230)의 일부에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브리지(250)와 이에 이웃하는 하부 브리지(250) 사이에 위치하는 블록들(210, 230)에는 브리지(250)가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바에 의하면 상기 브리지(250)가 번갈아 위치하는 상부 브리지 및 하부 브리지를 포함하나, 이와 달리 상기 브리지(250)는 상부 브리지만을 또는 하부 브리지만을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 제2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모듈(30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블록들(310)과, 복수의 제2블록들(330)과, 복수의 브리지(bridge)들(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310)은 앞쪽에 위치하는 돌출부(312), 뒤쪽에 위치하는 돌출부 수용홈(316)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312)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옆쪽으로 돌출한 돌기(314)를 양측면에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 수용홈(316)은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블록의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후방 블록의 돌출부 양측면에 구비된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돌기 삽입홀(318)을 양측면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블록들(310) 간 연결관계 및 회전 메커니즘은 제1실시예의 제1블록들(210) 간 연결관계 및 회전 메커니즘과 동일하다.
상기 제1블록(310)은 제1실시예의 제1블록(210)과 달리 제1처짐방지돌기(315) 및 제2처짐방지돌기(317)를 포함한다. 제1처짐방지돌기(315)는 돌출부(312)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제1블록들(310) 간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블록의 천정(320)에 마련된 천정홈(320a)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처짐방지돌기(315)가 천정홈(320a)에 삽입될 경우 서로 결합한 제1블록들(310)이 서로에 대하여 비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제2처짐방지돌기(317)는 돌출부 수용홈(316)의 하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모듈(200)의 처짐 방지가 돌출부 수용홈(216)의 천정(220) 후단과 후방 블록의 앞면 상단(210a) 간 맞닿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모듈(300)의 처짐 방지가 천정홈(320a)의 앞면과 후방 블록의 제1처짐방지돌기(315) 앞면 간 맞닿음을 통해, 그리고 제2처짐방지돌기(315)의 상면과 후방 블록의 돌출부(312) 전단 하면(312a) 간 맞닿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지지모듈(300)이 굽혀진 상태(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제1블록들(3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모듈(300)은 펴진 상태(도 10과 같은 상태)로 되는데, 이때 상기 천정홈(320a)의 앞면 및 제2처짐방지돌기(317)의 상면이 후방 블록의 제1처짐방지돌기(315) 앞면 및 후방 블록의 돌출부(312) 전단 하면(312a)과 각각 맞닿아 제1블록들(3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써 펴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300)의 처짐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모듈(300)의 곡률 반경 제한은 돌출부 수용홈(316)의 바닥(322) 후단이 후방 블록의 돌출부(312)에 마련된 접촉면(312b)과 맞닿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지지모듈(300)이 펴진 상태(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제1블록들(3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모듈(300)은 굽혀진 상태(도 11과 같은 상태)로 되는데, 이때 상기 바닥(322) 후단이 후방 블록의 돌출부 접촉면(312b)과 맞닿아 제1블록들(310)의 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게 되고, 이로써 굽혀진 상태에 있는 지지모듈(300)의 곡률 반경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접촉면(312b)은 돌출부(312)의 하측 부위에서 앞쪽을 바라보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블록들(33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블록들(310)에 의해 형성된 첫 번째 열과 평행한 두 번째 열을 이룬다. 제2블록들(330)의 형태 및 연결관계는 제1블록들(310)의 형태 및 연결관계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브리지(350)는 제1블록들(310)에 의해 형성된 첫 번째 열과 제2블록들(330)에 의해 형성된 두 번째 열 간 이격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능, 형태 및 결합관계에 있어 제1실시예의 브리지(250)와 동일하다.
한편, 상술된 제2실시예의 브리지(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쐐기(452)를 구비한 브리지(450)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리지(450)의 쐐기(452)는 블록들(310, 330)의 측면에 마련된 쐐기 통과홀(454)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쇄기(452)는 쐐기 통과홀(454)을 통과할 때에는 외경이 줄어들었다가 통과한 이후에는 다시 원래의 직경으로 복귀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쐐기(452)를 구비한 브리지(450)는 제1실시예의 브리지(250)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전송라인용 슬리브 106 : 전송라인
200, 300 : 지지모듈 210, 310 : 제1블록
210a : 앞면 상단 210b : 앞면 하단
212, 312 : 돌출부 214, 314 : 돌기
216, 316 : 돌출부 수용홈 218, 318 : 돌기 삽입홀
220, 320 : 천정 222, 322: 바닥
224, 324 : 제1결합봉 230, 330 : 제2블록
244, 344 : 제2결합봉 250, 350, 450 : 브리지
252, 352 : 결합홈 315 : 제1처짐방지돌기
317 : 제2처짐방지돌기 320a : 천정홈
452 : 쐐기 454 : 쐐기 통과홀

Claims (6)

  1. 유연성을 갖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에 형성된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일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 방지 및 굽힘 제한을 실현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첫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1블록들;
    회전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상기 첫 번째 열과 평행한 두 번째 열을 이루는 복수의 제2블록들; 및
    상기 첫 번째 열과 두 번째 열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리지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록들, 제2블록들 및 브리지들은 상기 복수의 수용공간들 중 한 층 전체를 이루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들에는 제1결합봉이 구비되고, 상기 제2블록들에는 제2결합봉이 구비되며, 상기 브리지들은 상기 제1결합봉과 결합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제2결합봉과 결합하는 제2결합홈을 양단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들 및 제2블록들에는 쐐기 통과홀이 구비되고, 상기 브리지들은 상기 쐐기 통과홀과 결합하는 쐐기를 양단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들은 번갈아 위치하는 상부 브리지들과 하부 브리지들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브리지들은 상기 제1블록들의 상부와 상기 제2블록들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 브리지들은 상기 제1블록들의 하부와 상기 제2블록들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록 및 제2블록은 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마련된 제1처짐방지돌기,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블록의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 수용홈 및 상기 돌출부 수용홈의 바닥에 마련된 제2처짐방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처짐 방지는 상기 돌출부 수용홈의 천정 후단과 상기 후방 블록의 제1처짐방지돌기 앞면 간 맞닿음 및 상기 제2처짐방지돌기의 상면과 상기 후방 블록의 돌출부 전단 하면 간 맞닿음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6. 삭제
KR1020110140705A 2011-12-23 2011-12-23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30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05A KR101300068B1 (ko) 2011-12-23 2011-12-23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05A KR101300068B1 (ko) 2011-12-23 2011-12-23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56A KR20130073056A (ko) 2013-07-03
KR101300068B1 true KR101300068B1 (ko) 2013-08-23

Family

ID=4898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705A KR101300068B1 (ko) 2011-12-23 2011-12-23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32B1 (ko) 2018-11-01 2019-07-02 주식회사 브라이트코리아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454B1 (ko) * 2017-05-19 2018-05-15 성호철 다관절 지지부재
DE202019103269U1 (de) * 2019-06-11 2020-07-14 Igus Gmbh Leitungsführung mit Stützkette für Reinraumanwendungen und Stützkette hierfü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19Y1 (ko) * 1996-04-24 1999-06-01 김두진 케이블 보호용 지지간
JP2005054911A (ja) * 2003-08-05 2005-03-03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70068999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 보호 안내장치
KR101074440B1 (ko) * 2009-11-26 2011-10-1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다관절형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19Y1 (ko) * 1996-04-24 1999-06-01 김두진 케이블 보호용 지지간
JP2005054911A (ja) * 2003-08-05 2005-03-03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70068999A (ko) * 2005-12-27 2007-07-02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 보호 안내장치
KR101074440B1 (ko) * 2009-11-26 2011-10-18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다관절형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232B1 (ko) 2018-11-01 2019-07-02 주식회사 브라이트코리아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EP3648272A1 (en) 2018-11-01 2020-05-06 Brait Korea Corporation Support module for transmission line sleeve
US11171473B2 (en) 2018-11-01 2021-11-09 Braitkorea Co., Ltd. Support module for transmission line slee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56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67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2005658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및 고정 부재
KR10130006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EP0260740A2 (en) Flexible cable guide with two-directional joints
JP5265021B2 (ja) スピルオーバーフィッティング
TWI592589B (zh) 長條物之導引裝置
CN109906535B (zh) 连接装置和管线引导设备
TW201720599A (zh) 直動伸縮機構
JP5789717B2 (ja) 伝送ライン用スリーブの支持モジュール
JP4118311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CN108026724A (zh) 用于线性天花板镶板的托架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JP3717168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216117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20180001304A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관절형 지지모듈
KR101192804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
JP2008157376A (ja) 管台および曲がり管並設保持構造
JP6343186B2 (ja) 携帯用スロープ
KR100890197B1 (ko) 회전체 전용 케이블 보호장치
JP637826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008170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KR100924679B1 (ko)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KR10121611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192299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일체형 지지모듈
JP6207537B2 (ja) 天井用目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