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679B1 -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 Google Patents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679B1
KR100924679B1 KR1020070131932A KR20070131932A KR100924679B1 KR 100924679 B1 KR100924679 B1 KR 100924679B1 KR 1020070131932 A KR1020070131932 A KR 1020070131932A KR 20070131932 A KR20070131932 A KR 20070131932A KR 100924679 B1 KR100924679 B1 KR 10092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urvature
block
cable
mai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654A (ko
Inventor
심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07013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6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이는 공작기계 및 각종 산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보호하면서 공작기계의 이송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케이블베어는 핀 등으로 연결되어 핀에서 회동되는 구조에 의해 소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핀으로 연결되지 않고 자체적인 구조에서 신축이 일어나 회동되는 구조를 가진 케이블베어로서, 회귀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권회되어 회귀하는 부분의 곡률이 설비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에 체결핀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 메인블럭; 대칭된 메인블럭의 상하단의 체결핀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ㅁ'형의 블럭 단위체를 형성시키는 디바이더; 인접된 메인블럭의 체결홈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메인블럭을 연결하고,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베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인접된 메인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대칭된 두 개의 연결편과, 상기 두 개의 연결편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자유롭게 휘어지는 회동부로 구성된 접첩블럭과;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연결편 상부의 메인블럭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고, 경사면이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각각 인접 된 메인블럭에 체결된 두 개의 곡률결정경사편;으로 구성된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가 제공된다.
케이블베어, 곡률결정경사편, 접첩블럭

Description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Cableveyor}
본 발명은 움직이는 공작기계 및 각종 산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보호하면서 공작기계의 이송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케이블베어는 핀 등으로 연결되어 핀에서 회동되는 구조에 의해 소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핀으로 연결되지 않고 자체적인 구조에서 신축이 일어나 회동되는 구조를 가진 케이블베어로서, 회귀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을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권회되어 회귀하는 부분의 곡률이 설비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제0727362호, 2007.06.05
케이블베어는 반도체 장비, 크린 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각종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움직이는 기계부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각종 호스 등을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식과 화학제품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케이블 베어는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의 전체길이에 대해서 체인과 같은 작동을 하도록 다수개의 링크로 연결되어 순환되는 궤도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으로 회귀되면서 움직이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양측이 '⊂'와 '⊃'의 형상으로 순환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이동되는데, 체인의 어느 구간에서나 무거운 케이블 등에 의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의 회귀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은 케이블베어에 의해 보호되면서 연결되는 전선이나 호스 등이 접속되는 양측의 설비의 위치와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설치되어야 한다. 즉, 케이블베어의 회귀 부분의 곡률반경은 설비 상태 및 구조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케이블베어를 설치할 때 이에 맞는 곡률을 가지도록 설비되어야 한다.
[문헌 1]에 나타난 케이블베어는 종래의 케이블베어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즉, 종래의 경우는 링크와 링크를 연결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핀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회귀부분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회귀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는 연결핀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므로 소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는 문제 가 있어, [문헌 1]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문헌 1]의 경우는 메인블럭을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그 상하부에 각각 디바이더를 설치하여 'ㅁ' 형으로 하나의 블럭 단위체를 구성하여 그 내부 공간으로 각종 케이블 등을 수납하는 구조였다. 그리고 메인블럭들을 다수개 연결하기 위하여 단위체의 사이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연결하였다. 따라서 메인블럭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연결구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었다. 특히 연결구에 의해 회귀부의 곡률반경이 결정되는데, 이를 위해 연결구는 집게와 같이 벌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벌어지는 부분인 회동부의 일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회귀부에서 회동부가 휘어져 벌어지고, 대칭되게 형성된 경사면이 서로 접하게 되면 더 이상 벌어지지 않아 곡률이 일정하게 결정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우는 곡률결정부의 경사면의 각도에 의해 곡률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곡률결정을 위한 연결구는 메인블럭을 연결하는 기능과, 곡률을 결정하는 기능이 함께 구비되어 있어, 설비의 종류에 따라 연결구 전체를 설비에 맞게 제조하여야 하고, 마모 등의 파손에 의해 교체를 하여야 할 경우에는 연결구를 탈거하여야 하므로 전체 케이블베어가 해체되는 결과가 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귀되는 부분의 곡률을 간단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 고, 마모 등에 의해 종래의 연결구를 교체하더라도 전체 케이블베어의 해체가 필요없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연결구를 메인블럭을 연결하는 부분과, 회동부의 곡률을 결정하는 부분의 독립된 이중 구조를 가지게 하고, 마모 등의 파손이 있을 경우 곡률을 결정하는 부분만을 교체하거나, 설비에 맞는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구를 설비에 적합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곡률결정경사편과, 메인블럭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으로 그 기능별로 구분하여 구성됨으로써, 설비의 적응도가 높고, 파손 등에 의해 교체할 경우 케이블베어의 해체 없이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하부에 체결핀(1)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4a, 4b)이 형성된 메인블럭(2) 두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디바이더(3)가 대칭된 메인블럭(2)의 상하단의 체결핀(1)에 각각 양 단부가 체결되어, 'ㅁ'형의 블럭 단위체가 형성되며; 상기 블럭 단위체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접된 블럭 단위체를 구성하는 메인블럭(2)의 체결홈(4a, 4b)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메인블럭(2)을 연결하고,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베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인접된 메인블럭(2)을 연결하는 접첩블럭(8)과, 인접된 메인블럭(2)의 마주보는 면의 접첩블럭(8)보다 상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접첩블럭(8)의 회동 각도를 결정하는 곡률결정경사편(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첩블럭(8)은 인접된 메인블럭(2)의 체결홈(4a)에 끼워지는 체결돌기(5a)가 형성된 두 개의 연결편(6)과, 체결돌기(5a)가 외측에 위치되게 대칭되게 배치된 두 개의 연결편(6)의 상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휘어지는 구조를 가진 회동부(7)로 구성되며; 상기 곡률결정경사편(10)은 일측면이 경사진 경사면(9)이고, 타측면은 연결편(6)의 상부측 메인블럭(2)에 형성된 체결홈(4b)에 삽입되는 체결돌기(5b)가 형성된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9)이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각각 인접된 메인블럭(2)에 체결돌기(5b)와 체결홈(4b)의 결합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부의 결합 관계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부분 상세 사시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회귀부에서의 거동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부에 체결핀(1)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4b)이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 메인블럭(2); 대칭된 메인블럭(2)의 상하단의 체결핀(1)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ㅁ'형의 블럭 단위체를 형성시키는 디바이더(3); 인접된 두 개의 메인블럭(2)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4b)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체결돌기(5b)와, 상기 체결돌기(5b)의 상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휘어지는 구조를 가진 회동부(7)와, 상기 회동부(7)의 양단부와 체결돌기(5b)가 연결된 부분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곡률결정경사편(10)으로 구성된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곡률결정경사편(10)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은 경사면(9)으로서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이다.
이 실시 예는 도 5에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도 5와 같이 메인블럭(2)의 하단부가 지지되어 수평을 이루고 마주보는 경사면(9)이 서로 접촉되어 일정 곡률을 형성하여 회귀된다.
기본적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과 같이 케이블베어는 일정 구간에서 회귀되어 일정한 곡률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곡률반경은 설비의 상태 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에 알맞은 곡률을 가지면서 회귀되도록 케이블베어를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비의 종류에 따라 간단하게 회귀되는 부분의 곡률반경에 적합하게 케이블베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곡률반경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률결정경사편(10)에 의해 결정된다. 즉, 곡률결정경사편(10)에 형성된 경사면(9)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고, 설비에 따라 적절한 곡률결정경사편(10)을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경사면(9)이 수직면에 가까울수록 곡률반경이 커지고, 멀어질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다양한 경사면(9)의 각도를 가진 곡률결정경사편(10)을 제조하고, 설비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설비에 맞는 곡률결정경사편(10)이 체결되면, 도 1과 도 2와 같이 회귀분에서 접첩블럭(8)의 유연성 있어 잘 휘어지는 회동부(7)에 의해 접첩블럭(8)은 양측 대칭된 연결편(6)이 벌어지고, 동시에 곡률결정경사편(10)의 경사면(9)은 대칭된 것끼리 접하게 된다. 따라서 회귀부에서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회귀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베어의 사용중에 마모나 파손 등에 의해 곡률결정경사편(10)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 케이블베어의 해체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종래의 경우와 다르게 곡률결정경사편(10)이 메인블럭(2)을 연결하는 접첩블럭(8)과 별도로 독립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능하다. 즉, 본 발명 의 접첩블럭(8)은 메인블럭(2)과 메인블럭(2)을 연결하여 긴 체인의 형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하고, 곡률결정경사편(10)은 경사면(9)의 각도에 의해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독립된 구성을 가지고, 그 각각이 별도로 메인블럭(2)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1과 도 2와 같이 회귀부에서, 마주보게 설치된 접첩블럭(8)의 곡률결정경사면(9)이 점점 가까워지면서 곡률부분에서 완전히 접하게 되어, 곡률이 결정되어 회귀하게 된다.
물론 설비에 따라 경사면(9)의 형성 각도가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체결하므로, 설비에서 구성품 전부를 조립할 필요가 없고, 메인블럭(2)과 접첩블럭(8)을 미리 체결하여 긴 체인의 형태로 만든 후에, 실제 설비가 설치된 곳에서 나머지 곡률결정경사편(10)을 설치하면 되는 편함도 있다. 즉, 종래의 경우의 연결구는 접첩블럭(8)과 곡률결정경사편(10)의 기능이 하나에 있었으므로, 미리 조립하여 설비로 가져오는 경우에 곡률이 맞지 않을 경우 케이블베어 전체를 해체하여 연결구를 교체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메인블럭(2)을 연결하는 접첩블럭(8)은 미리 설치하여 체인의 형상을 만든 후에 설비에 가져와, 적절한 곡률을 가지도록 하는 곡률결정경사편(10)을 현장에서 체결하면 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사용중에 곡률결정경사편(10)이 마모되거나 파손된 경우, 또는 설비의 변경으로 곡률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파손된 곡률결정경사편(10), 또는 곡률결정경사편(10) 전체를 탈거하하여 교체하면 된다. 그러나 일부 또는 전체를 탈거하더라도 본 발명의 경우는 접첩블럭(8)이 메인블럭(2)을 연결한 상태는 그대 로 유지되므로, 케이블베어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는 곡률결정경사편(10)이 접첩블럭(8)과 돌립된 구조로써 각각 메인블럭(2)에 설치되므로 가능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메인블럭(2)을 연결하는 곡률결정경사편(10)이 케이블베어의 킨 체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서로 연결하며, 또한 회귀부에서 곡률반경을 결정하게 된다. 경사면(9)의 형성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곡률반경은 기본적인 실시 예의 설명과 같다.
따라서 회귀부에서는 곡률결정경사편(10)의 회동부(7)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므로 마주보는 경사면(9) 끼리 접촉한 후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게 되어 곡률 반경이 결정된다.
그리고 직선 구간에서는 도 5와 같이 인접된 메인블럭(2)의 하단부 끼리 접촉지지되어 형태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케이블베어가 회귀되는 부분의 상세 단면도
도 3은 케이블베어의 부분 상세 사시도
도 4는 케이블베어의 상세 분해 사세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결핀 2 : 메인블럭
3 : 디바이더 4a, 4b : 체결홈
5a, 5b : 체결돌기 6 : 연결편
7 : 회동부 8 : 접첩블럭
9 : 경사면 10 : 곡률결정경사편

Claims (2)

  1. 상하부에 체결핀(1)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4a, 4b)이 형성된 메인블럭(2) 두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되고; 두 개의 디바이더(3)가 대칭된 메인블럭(2)의 상하단의 체결핀(1)에 각각 양 단부가 체결되어, 'ㅁ'형의 블럭 단위체가 형성되며; 상기 블럭 단위체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접된 블럭 단위체를 구성하는 메인블럭(2)의 체결홈(4a, 4b)에 체결되어 다수개의 메인블럭(2)을 연결하고,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케이블베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인접된 메인블럭(2)을 연결하는 접첩블럭(8)과, 인접된 메인블럭(2)의 마주보는 면의 접첩블럭(8)보다 상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접첩블럭(8)의 회동 각도를 결정하는 곡률결정경사편(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첩블럭(8)은 인접된 메인블럭(2)의 체결홈(4a)에 끼워지는 체결돌기(5a)가 형성된 두 개의 연결편(6)과, 체결돌기(5a)가 외측에 위치되게 대칭되게 배치된 두 개의 연결편(6)의 상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휘어지는 구조를 가진 회동부(7)로 구성되며; 상기 곡률결정경사편(10)은 일측면이 경사진 경사면(9)이고, 타측면은 연결편(6)의 상부측 메인블럭(2)에 형성된 체결홈(4b)에 삽입되는 체결돌기(5b)가 형성된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9)이 마주보게 대칭되도록 각각 인접된 메인블럭(2)에 체결돌기(5b)와 체결홈(4b)의 결합으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2. 상하부에 체결핀(1)이 설치되고 양측면에 각각 체결홈(4b)이 형성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 메인블럭(2); 대칭된 메인블럭(2)의 상하단의 체결핀(1)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어 'ㅁ'형의 블럭 단위체를 형성시키는 디바이더(3); 인접된 두 개의 메인블럭(2)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체결홈(4b)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체결돌기(5b)와, 상기 체결돌기(5b)의 상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자유롭게 휘어지는 구조를 가진 회동부(7)와, 상기 회동부(7)의 양단부와 체결돌기(5b)가 연결되는 각각의 부분에 하나씩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두 개의 곡률결정경사편(10)으로 구성된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곡률결정경사편(10)의 서로 마주 보는 면은 경사면(9)으로서 회귀부의 곡률반경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KR1020070131932A 2007-12-17 2007-12-17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KR10092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932A KR100924679B1 (ko) 2007-12-17 2007-12-17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932A KR100924679B1 (ko) 2007-12-17 2007-12-17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654A KR20090064654A (ko) 2009-06-22
KR100924679B1 true KR100924679B1 (ko) 2009-11-03

Family

ID=4099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932A KR100924679B1 (ko) 2007-12-17 2007-12-17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799B1 (ko) * 2010-06-03 2012-02-27 주식회사 퓨리텍 케이블 베어용 분진수거기
KR102140670B1 (ko) * 2018-05-24 2020-08-0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KR102257974B1 (ko) 2019-10-28 2021-05-31 (주)아인테크놀러지 레이저빔 조사 광섬유용 케이블베이어 조립체
KR102139096B1 (ko) * 2020-02-10 2020-07-29 주식회사 서현전자산업 에너지 체인용 조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238A (ja) 2002-04-02 2003-10-17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の保護案内ガイド
JP2006250258A (ja) 2005-03-11 2006-09-21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0727362B1 (ko) 2007-01-05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KR20070077061A (ko) * 2006-01-19 2007-07-2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238A (ja) 2002-04-02 2003-10-17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の保護案内ガイド
JP2006250258A (ja) 2005-03-11 2006-09-21 Tsubakimoto Chain Co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070077061A (ko) * 2006-01-19 2007-07-25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0727362B1 (ko) 2007-01-05 2007-06-13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654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679B1 (ko)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TWI638497B (zh) 長條物之導引裝置及固定構件
KR10105959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TWI674369B (zh) 長條物之導引裝置及導軌
CN103453075A (zh) 线缆类保护引导部件
KR100727362B1 (ko)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KR10110067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0748816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JP3717168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2005147293A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
KR101480972B1 (ko) 케이블 보호장치용 브라켓
KR100727361B1 (ko)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CN104210816B (zh) 用于传输机构的使用的输送设备
CA2838098A1 (en) Support module of sleeve for transmission line
CN109715980B (zh) 长条物的导引装置以及分隔构件
KR101945643B1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CN112469923B (zh) 长条物的导引装置及辊子附件
KR20220161230A (ko) 로보체인
KR20130073056A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0883460B1 (ko) 케이블베어용 주름관
KR102108898B1 (ko) 케이블 체인
KR100876640B1 (ko)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베어
KR101216118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KR101696976B1 (ko) 케이블류 지지 장치용 가이드 체인의 블록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가이드 체인
JP2011012753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