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70B1 -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70B1
KR102140670B1 KR1020180059213A KR20180059213A KR102140670B1 KR 102140670 B1 KR102140670 B1 KR 102140670B1 KR 1020180059213 A KR1020180059213 A KR 1020180059213A KR 20180059213 A KR20180059213 A KR 20180059213A KR 102140670 B1 KR102140670 B1 KR 102140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inforcing
flange
offset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052A (ko
Inventor
현경훈
송철현
문성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케이블의 곡률반경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Reinforcement device for cable of off-se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케이블의 곡률반경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에 포설된 전력 케이블은 주변 온도와 부하변동으로 열신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관로 입구에서 맨홀 방향으로 전력 케이블에 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케이블의 지중 선로 포설 시에는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내부의 관로구로부터 접속부에 이르는 전력 케이블을 곡선형태로 설치하는 케이블 옵셋트(off-set)가 시공된다.
케이블의 옵셋트는 전력 케이블의 운전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케이블의 신축을 흡수하고, 전력 케이블에 가해지는 축력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셋트의 형상이 변형된 경우 처음 상태로 되돌리기는 쉽지 않다.
옵셋트의 변형이 계속되면 케이블의 금속시스가 파단되어 절연파괴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의 옵셋트가 설치된 부위에 과도한 곡률 변형을 억제 또는 제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3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케이블에 가해지는 열신축 및 축력을 흡수하여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의 과도한 곡률 변형을 억제 또는 제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경우에도 각 위치의 곡률 반경에 따라 곡률 변형이 가능한 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 개의 보강유닛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일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과의 간격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과의 간격이 일정 간격 조정되도록 결합되어,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시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면서 케이블의 곡률반경 변형을 억제하고, 상기 보강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플랜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고정플랜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간격고정플랜지는,
제1수용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일단고정플랜지와,
제1수용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타단고정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고정플랜지는 제1수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제1수용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단고정플랜지는 제1수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일단고정플랜지와 서로 평행하도록 제1수용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단고정플랜지 사이의 각도는 일단고정플랜지 사이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타단고정플랜지 사이에 일단고정플랜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고정플랜지에서 제1수용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일단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단고정플랜지에서 제1수용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타단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고정플랜지의 외측면이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고정플랜지의 내측면과 맞닿아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일측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고정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홀과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고정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볼트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볼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강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커버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제2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제2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플랜지;
제2수용부의 양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제2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조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격조정플랜지에는 복수 개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수용부 일단의 간격조정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홀과 제2수용부 타단의 간격조정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홀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의 나사홀과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의 나사홀을 관통하는 조정볼트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간격조정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결합은 제1결합플랜지와 제2결합플랜지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에 가해지는 열신축 및 축력을 흡수하여 옵셋트 부위의 과도한 곡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케이블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어 케이블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절연파괴에 따른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옵셋트(off-set) 부위.
도 2는 일반적인 케이블의 옵셋트(off-set) 부위 변형 형상.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하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실제 제1커버 및 제2 커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제1부커버와 제2 커버 조립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연결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가 설치된 케이블.
도 10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곡률 반경.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옵셋트 변형 전 케이블 보강장치의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옵셋트 변형 후 케이블 보강장치의 개념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내부에서 발생하는 케이블의 곡률반경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하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로에 포설된 전력 케이블(2)의 옵셋트(off-set) (4) 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장치는, 케이블(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보강유닛(6)으로 구성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실제 제1커버 및 제2 커버가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강유닛(6)은 서로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케이블(2)이 수용되는 제1커버(8)와 제2커버(26)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버(8)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2)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0)와, 상기 제1수용부(10)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1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플랜지(12)와, 상기 제1수용부(10)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1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고정플랜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에는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1수용부결합홀(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결합홀(14)의 개수는 필요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간격고정플랜지(16)는 상기 제1수용부(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일단고정플랜지(18)와 상기 제1수용부(10)의 타단에 형성되는 타단고정플랜지(20)로 구성된다.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와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는 각각 상기 제1수용부(10)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제1수용부(2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와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10)의 둘레방향으로 각각 두 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와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의 중심선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두 개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 사이의 각도는 두 개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 사이의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 사이에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가 두 개일 때, 상기 제1수용부(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와 어느 하나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수용부(10)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와 다른 하나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 사이의 각도와 서로 동일해야 한다.
또한,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가 두 개일 때, 상기 제1수용부(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와 어느 하나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 사이의 각도는 상기 제1수용부(10)의 타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와 다른 하나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 사이의 각도와 서로 동일해야 한다.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에서 상기 제1수용부(10)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홀(22)이 형성되고,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에서 상기 제1수용부(10)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26)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2)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28)와, 상기 제2수용부(28)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28)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플랜지(30)와, 상기 제2수용부(28)의 양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28)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조정플랜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에는 복수 개의 나사홀(36)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수용부(28)의 양단에 형성되는 상기 나사홀(36)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수용부(28) 일단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에 형성된 상기 나사홀(36)과 상기 제2수용부(28) 타단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에 형성된 상기 나사홀(36)은 서로 동축이 된다.
상기 제2결합플랜지(30)에는 상기 제2결합플랜지(30)의 양면을 관통하는 제2수용부결합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용부결합홀(32)의 개수는 상기 제1수용부결합홀(14)의 개수와 동일하다. 상기 제2결합플랜지(30)와 상기 제1결합플랜지(12)가 서로 맞닿았을 때, 상기 제1수용부결합홀(14)과 상기 제2수용부결합홀(32)은 서로 동축이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제1부커버와 제2 커버 조립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제1커버(8)와 상기 제2커버(26)는 상기 제1결합플랜지(12)의 제1수용부결합홀(14)과 상기 제2결합플랜지(30)의 상기 제2수용부결합홀(32)을 차례로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볼트 결합되어 상기 보강유닛(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강유닛(6)을 상기 케이블(2)에 설치했을 때, 상기 제1수용부(10)와 상기 제2수용부(28)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블(2)이 관통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의 연결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보강유닛(6)은 복수 개 서로 결합되어 보강장치를 형성하게 된다. 복수 개의 상기 보강유닛(6) 간의 결합 시 상기 보강유닛(6)의 둘레방향 일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과의 간격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강유닛(6)의 둘레방향 타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과의 간격이 일정 간격 조정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보강유닛(6)의 둘레방향 일측에 형성된 상기 간격고정플랜지(16)는,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에 형성된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의 외측면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의 내측면과 맞닿아 위치하게 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에 형성된 고정홀(22)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에 형성된 고정홀(22)을 차례로 관통하는 고정볼트(24)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이 서로 볼트 결합된다.
상기 보강유닛(6)은 상기 고정볼트(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유닛(6)의 둘레방향 타측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는,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의 나사홀(36)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의 나사홀(36)을 차례로 관통하는 조정볼트(38)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이 서로 볼트 결합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조정볼트(38)의 길이에 의해 조정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보강장치가 설치된 케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케이블(2)에 시공되는 옵셋트(4)의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위치 별로 곡률반경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각 위치 별 곡률반경에 맞는 보강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강장치는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시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6)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조정볼트(38)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에 따라 상기 보강장치의 곡률을 변형시키게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옵셋트 변형 전 케이블 보강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의 옵셋트 변형 후 케이블 보강장치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곡률반경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초기 곡률반경(Ro)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의 간격은 가장 가까운 상태(Lo)로 유지된다.
이후,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발생(R) 시,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일단고정플랜지(18)의 고정홀(22)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타단고정플랜지(20)의 고정홀(22)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4)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회전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회전 각도의 합은 상기 보강유닛(6)이 설치된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변형된 곡률과 동일하다.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의 간격이 서로 멀어지도록 조정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상기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회전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의 간격(L)은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곡률반경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초기 간격(Lo) 보다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6)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34)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면서 상기 케이블(2)의 곡률반경 변형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보강장치는 상기 케이블(2)에 가해지는 열신축 및 축력을 흡수하여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의 과도한 곡률 변형을 억제 또는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경우에도 각 위치별 곡률반경에 따라 곡률 변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케이블(2)의 옵셋트(4) 부위를 보강함에 따라 옵셋트(4) 부위 변형에 의해 발생하던 상기 케이블(2)의 절연체 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2)의 수명이 연장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절연체 교체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전력 케이블
4 : 옵셋트
6 : 보강유닛
8 : 제1커버
10 : 제1수용부
12 : 제1결합플랜지
14 : 제1수용부결합홀
16 : 간격고정플랜지
18 : 일단고정플랜지
20 : 타단고정플랜지
22 : 고정홀
24 : 고정볼트
26 : 제2커버
28 : 제2수용부
30 : 제2결합플랜지
32 : 제2수용부결합홀
34 : 간격조정플랜지
36 : 나사홀
38 : 조정볼트

Claims (19)

  1. 관로에 포설된 전력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장치에 있어서,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 개의 보강유닛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상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일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과의 간격이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과의 간격이 일정 간격 조정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시 상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면서 상기 케이블의 곡률반경 변형을 억제하고,
    상기 보강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1커버와 제2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상기 제1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결합플랜지; 및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고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고정플랜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일단고정플랜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타단고정플랜지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고정플랜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제1수용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고정플랜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며, 상기 일단고정플랜지와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제1수용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고정플랜지 사이의 각도는 상기 일단고정플랜지 사이의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타단고정플랜지 사이에 상기 일단고정플랜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고정플랜지에서 상기 제1수용부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고정플랜지에서 상기 제1수용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를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의 외측면이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의 내측면과 맞닿아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상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일측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상기 일단고정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보강유닛의 상기 타단고정플랜지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한 고정볼트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보강유닛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결합플랜지;
    상기 제2수용부의 양단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간격조정플랜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에는 복수 개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 일단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나사홀과 상기 제2수용부 타단의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나사홀은 서로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유닛 간의 결합 시 상기 보강유닛의 둘레방향 타측은,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의 나사홀과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의 나사홀을 관통하는 조정볼트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옵셋트 부위의 곡률반경 변형 시,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와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유닛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보강유닛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간격조정플랜지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결합은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상기 제2결합플랜지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KR1020180059213A 2018-05-24 2018-05-24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KR102140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13A KR102140670B1 (ko) 2018-05-24 2018-05-24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13A KR102140670B1 (ko) 2018-05-24 2018-05-24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52A KR20190134052A (ko) 2019-12-04
KR102140670B1 true KR102140670B1 (ko) 2020-08-04

Family

ID=6900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13A KR102140670B1 (ko) 2018-05-24 2018-05-24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926B2 (ja) * 2010-09-22 2016-12-21 株式会社カネカ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79B1 (ko) * 2007-12-17 2009-11-03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KR101303094B1 (ko) 2012-06-01 2013-09-06 삼성파워텍주식회사 송·배전용 케이블의 고정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0926B2 (ja) * 2010-09-22 2016-12-21 株式会社カネカ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052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781B1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AU2012244311B2 (en) Cable for use in concentrated solar power installation
US20220214004A1 (en) Split segmented bend restrictor
US10777988B2 (en) Cable reinforcement sleeve for subsea cable joint
KR102098328B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63044B2 (en) Rigid joint assembly
US4490577A (en) Electrical cable for use in extreme environments
KR102140670B1 (ko) 케이블의 옵셋트 보강장치
KR101061660B1 (ko) 벽면 고정용 배관 클램핑 장치
KR102011149B1 (ko) 스티프너 및 이를 구비하는 해저 케이블 접속장치
US20110181041A1 (en) Expansion Joint Arrangement
KR101613504B1 (ko) 배관용 반사형 금속단열재
KR20180062635A (ko) 축형 벨로우즈 모듈
JP2016082639A (ja) ケーブル拘束装置およびケーブル拘束装置の製造方法
KR101937815B1 (ko)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KR101862616B1 (ko) 케이블 옵셋 제한장치
EP3415735A1 (en) Exhaust coupling system
US11990738B2 (en) Cable support assembly
JP2020045960A (ja) 配管保護装置
KR101847568B1 (ko) 복합 벨로우즈 모듈
US4345109A (en) Restraint apparatus for pipe type electric cables
KR200475115Y1 (ko) 배관 고정장치
RU2794233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жгут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ие элементы конструкции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RU2511853C2 (ru) Компенсатор
US9465182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with micro-duct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