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040A -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040A
KR20180000040A KR1020160077493A KR20160077493A KR20180000040A KR 20180000040 A KR20180000040 A KR 20180000040A KR 1020160077493 A KR1020160077493 A KR 1020160077493A KR 20160077493 A KR20160077493 A KR 20160077493A KR 20180000040 A KR20180000040 A KR 2018000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wirings
wiring
pattern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042B1 (ko
Inventor
박용환
곽나윤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7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42B1/ko
Priority to US15/348,102 priority patent/US9971467B2/en
Priority to CN201710468502.0A priority patent/CN107526464B/zh
Priority to CN202210219730.5A priority patent/CN114461095A/zh
Publication of KR2018000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40A/ko
Priority to US15/961,345 priority patent/US10318088B2/en
Priority to US16/426,012 priority patent/US10514811B2/en
Priority to US16/721,511 priority patent/US10996782B2/en
Priority to US17/246,703 priority patent/US11392233B2/en
Priority to KR1020220039118A priority patent/KR2022004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42B1/ko
Priority to US17/866,559 priority patent/US1185349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1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1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의 제2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2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 내부에는 제1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폭 및 면적이 동일한 제2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중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선부의 개수에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각각의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폭을 곱한 제1 값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의 총 합인 제2 값의 차이는 상기 제2 값보다 작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광 반사에 따른 시인성이 개선된 터치 센싱 유닛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인가 받아 활성화된다. 전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활성화 되도록 다양한 전극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 패턴들이 활성화된 영역은 정보가 표시되거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터치에 반응한다.
본 발명은 터치 센서들이 외광 반사에 의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센싱 유닛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배선들, 상기 제1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1 패턴 배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2 패턴 배선을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턴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3 배선들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4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 내에 제1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패턴 배선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는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와 중첩하는 제2 기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제2 기준 영역은 상기 제1 기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단선부들 각각의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폭을 제1 폭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단선부들 중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상기 제1 폭에 곱한 제1 값과 상기 제2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의 총 합인 제2 값의 차이는 상기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배선들 및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1 기준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2 배선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 중 어느 하나의 제2 배선의 일부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패턴 배선의 일부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배선은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상기 최소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선부의 수는 상기 제2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갭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폭은 상기 최소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선부의 수는 상기 제2 기준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갭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 또는 출력하는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 또는 출력하는 전극이고, 상기 제2 패턴부는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제3 배선들 및 상기 제4 배선들 각각에는 소정의 영역이 단선된 단선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3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3 패턴 배선, 및 상기 제4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4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4 패턴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를 커버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5 배선들, 상기 제5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5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5 패턴 배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6 배선들, 및 상기 제6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6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6 패턴 배선을 포함하는 제3 패턴부,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패턴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7 배선들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8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4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배선들은 상기 제5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5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은 상기 제6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패턴 배선은 상기 제6 배선들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배선들은 상기 제5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5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은 상기 제6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패턴 배선은 상기 제6 패턴 배선과 중첩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단선부들은 상기 제5 단선부들과 비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단선부들은 상기 제6 단선부들과 비중첩할 수 있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패턴 배선 각각과 상기 제4 배선들 사이의 갭과 상기 제6 배선들 및 상기 제6 패턴 배선 각각과 상기 제8 배선들 사이의 갭은 서로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부는 상기 절연층에 제공된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부는 상기 절연층에 제공된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 하측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표시층을 커버하는 복수의 절연 박막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유닛은 복수의 제1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1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의 제2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2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 내부에는 제1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폭 및 면적이 동일한 제2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중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선부의 개수에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각각의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폭을 곱한 제1 값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의 총 합인 제2 값의 차이는 상기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1 메쉬선들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이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싱 유닛의 패턴들 사이의 경계가 외광 반사에 의해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XX'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YY'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ZZ'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은 도 12 및 도 13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YY'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ZZ'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손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전자 장치(1000)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상태를 터치로 감지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전자 장치(1000)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무체물의 일부가 근접하거나 접촉할 때 터치로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광학식, 접촉식, 열감지식, 또는 자기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장치(1000)의 일 예로써 플랫한 전자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은 커브드 전자 장치, 밴딩형 전자 장치, 롤러블 전자 장치,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스트레쳐블 전자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들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장치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자 장치(1000)는 평면상에서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외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활성화된다.
도 1에서는 액티브 영역(AA)이 전자 장치(1000)의 중심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0)의 사용 형태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전자 장치(1000)의 외곽이나 일측에 치우치도록 정의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하여 정의된다. 전자 장치(1000)는 주변 영역(NAA)에 인가되는 외부 터치를 감지하지 않는다. 도 1에는 주변 영역(NAA)이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싸는 프레임 형상으로 정의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0)는 베이스 층(100) 및 터치 센싱 유닛(200)을 포함한다. 베이스 층(100)은 터치 센싱 유닛(200)이 배치되기 위한 기저층일 수 있다.
베이스 층(100)은 유리, 고분자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 또는 절연 필름일 수 있다. 베이스 층(100)은 복수의 유기막들 및/또는 무기막들이 적층된 박막층일 수 있다.
베이스 층(100)이 절연 기판인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향상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베이스 층(100)이 절연 필름인 경우, 전자 장치(1000)는 향상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층(100)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센싱 유닛(200)은 베이스 층(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터치 센싱 유닛(200)이 베이스 층(100)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터치 센싱 유닛(200)은 베이스 층(100)의 하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2 를 참조하면, 터치 센싱 유닛(200)은 복수의 제1 전극들(TE1), 복수의 제2 전극들(TE2), 복수의 제1 배선들(WP1), 복수의 제2 배선들(WP2),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200)은 복수의 제1 전극들(TE1)과 복수의 제2 전극들(TE2) 사이의 정전 용량 커플링을 통해 외부 터치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싱 유닛(200)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센싱 유닛(200)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싱 유닛(200)은 저항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좌표 인식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외부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전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1) 및 복수의 제2 전극들(TE2)은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1)은 제4 방향(DR4)을 따라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전극들(TE2)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1)은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복수의 제2 전극들(TE2)은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0)는 복수의 제2 전극들(TE2)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액티브 영역(AA)을 스캔하고, 복수의 제1 전극들(TE1)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신호를 통해 터치가 인가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고, 복수의 제1 전극들(TE1)이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제2 전극들(TE2)이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다른 전기적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수신하거나 출력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1) 각각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패턴부들(PP1) 및 복수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들(TE2) 각각은 제4 방향(DR4)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 패턴부들(PP2) 및 복수의 제2 연결부들(C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CP1)은 제3 방향(DR3)으로 이격된 제1 패턴부들(PP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들(CP2)은 제4 방향(DR4)으로 이격된 제2 패턴부들(PP2)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연결부들(CP2) 중 일부는 서로 다른 층 상에서 절연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들(CP1)이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과 동일층 상에 배치된 경우, 제2 연결부들(CP2)은 절연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제1 연결부들(CP1)과 상이한 층 상에 배치되며 제2 패턴부들(PP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부들(CP2)은 제1 연결부들(CP1)과 베이스 층(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연결부들(CP1)이 제2 연결부들(CP2)과 베이스층(10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연결부들(CP2)이 하나의 라인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패턴부들(PP1) 각각은 제1 메쉬선들(MSL1)을 포함하고, 제2 패턴부들(PP2) 각각은 제2 메쉬선들(MS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쉬선들(MSL1) 및 제2 메쉬선들(MSL2)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며,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는 메쉬선들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며,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는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은 제3 방향(DR3) 및 제4 방향(DR4) 각각과 교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 사이에는 메쉬선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 정의되고, 이는 경계(도 3의 BL)로 정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의 사용 과정에 있어서, 외광이 전자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전자 장치(1000)에 입사될 수 있다. 외광이 전자 장치(1000)에 배치되는 구성들에 입사되면서 반사/투과 등의 광학적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외광이 메쉬선들로 이루어진 부분에 입사되는 경우와 빈 공간에 입사되는 경우의 반사 양상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광이 메쉬선들로 이루어진 공간에 입사되는 경우, 외광의 대부분은 반사되어 비교적 밝게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광이 메쉬선들이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에 입사되는 경우, 외광의 반사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비교적 어둡게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빈 공간과 메쉬선들이 존재하는 공간 사이의 면적 차이나 분포 차이가 클수록 사용자가 빈 공간과 메쉬선들이 존재하는 공간 사이에서 느끼는 이질감은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 각각의 메쉬선들 중 일부를 단선시켜 복수의 단선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경계(도 3의 BL)의 빈공간과 대응하는 빈공간을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도 3의 BL)와 제1 패턴부들(PP1) 및 제2 패턴부들(PP2)의 반사율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광 반사에 의해 경계(도 3의 BL)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배선들(WP1) 및 복수의 제2 배선들(WP2)은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배선들(WP1)은 복수의 제1 전극들(TE1)에 각각 연결되고, 복수의 제2 배선들(WP2)은 복수의 제2 전극들(TE2)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은 주변 영역(NAA)에 배치된다.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은 복수의 제1 배선들(WP1) 및 복수의 제2 배선들(WP2)에 각각 연결된다.
전자 장치(1000)는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하거나,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을 통해 액티브 영역(AA)에서 감지된 외부 터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1 패드들(PD1)과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은 순차적으로 정렬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배치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턴부(PP1)는 복수의 제1 메쉬선들(MS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쉬선들(MSL1)에는 소정 영역이 단선된 복수의 단선부들(DCP1, DCP2)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메쉬선들(MSL1)은 단선부들(DCP1, DCP2)이 정의되지 않은 제1 배선(LN1), 및 단선부들(DCP1, DCP2)이 정의되지 않은 제2 배선(LN2), 제1 단선부들(DCP1)이 정의된 제1 패턴 배선(PLN1), 및 제2 단선부들(DCP2)이 정의된 제2 패턴 배선(PLN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LN1) 및 제1 패턴 배선(PLN1)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제1 배선(LN1) 및 제1 패턴 배선(PLN1)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배선(LN2) 및 제2 패턴 배선(PLN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제2 배선(LN2) 및 제2 패턴 배선(PLN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에서는 하나의 제1 배선(LN1), 하나의 제1 패턴 배선(PLN1), 하나의 제2 배선(LN2) 및 하나의 제2 패턴 배선(PLN2) 각각의 주변을 둘러싸는 점선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배선(LN1)과 제1 패턴 배선(PLN1)은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치되고, 제2 배선(LN2)과 제2 패턴 배선(PLN2)은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배선(LN1) 사이에는 제1 패턴 배선(PLN1)이 배치되고,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LN2) 사이에는 제2 패턴 배선(PLN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LN1), 제1 패턴 배선(PLN1), 제2 배선(LN2), 및 제2 패턴 배선(PLN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패턴부(PP2)는 제1 패턴부(PP1)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턴부(PP2)는 복수의 단선부들(DCP3, DCP4)이 정의된 복수의 제2 메쉬선들(MS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쉬선들(MSL2)에는 소정 영역이 단선되어 복수의 단선부들(DCP3, DCP4)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메쉬선들(MSL2)은 제3 배선(LN3), 제4 배선(LN4), 제3 패턴 배선(PLN3), 및 제4 패턴 배선(PLN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선(LN3) 및 제4 배선(LN4)에는 단선부들이 정의되지 않고, 제3 패턴 배선(PLN3)에는 제3 단선부들(DCP3)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PLN4)에는 제4 단선부들(DCP4)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3에서는 하나의 제3 배선(LN3), 하나의 제3 패턴 배선(PLN3), 하나의 제4 배선(LN4) 및 하나의 제4 패턴 배선(PLN4) 각각의 주변을 둘러싸는 점선을 도시하였다.
제3 배선(LN3) 및 제3 패턴 배선(PLN3)은 교대로 번갈아 가며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제3 배선(LN3) 및 제3 패턴 배선(PLN3) 각각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배선(LN4) 및 제4 패턴 배선(PLN4)은 교대로 번갈아 가며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되고, 제4 배선(LN4) 및 제4 패턴 배선(PLN4) 각각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배선(LN4) 및 제4 패턴 배선(PLN4)는 제2 배선(LN2) 및 제2 패턴 배선(PLN2)과 제1 방향(DR1)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선(LN2)과 제4 배선(LN4) 사이의 영역 및 제2 패턴 배선(PLN2) 및 제4 패턴 배선(PLN4) 사이의 영역은 경계(BL)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배선들(LN2)과 제4 배선들(LN4) 사이의 이격 거리(MD) 및 제2 패턴 배선들(PLN2)과 제4 패턴 배선들(PLN4) 사이의 이격 거리(MD)는 제1 패턴부(PP1)와 제2 패턴부(PP2)의 최소 이격 거리(MD)와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각각의 반사율과 경계(BL) 사이의 반사율 차이에 따라 경계(BL)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각각의 내부에 단선부들(DCP1, DCP2, DCP3, DCP4)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패턴부(PP1)내에 제1 기준 영역(SA1)이 정의되고,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모두와 중첩하는 제2 기준 영역(SA2)이 정의된다.
제1 기준 영역(SA1)과 제2 기준 영역(SA2)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의 제2 방향(DR2)의 폭은 제2 기준 영역(SA2)의 제2 방향(DR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준 영역(SA1)을 제1 방향(DR1)을 따라 이동하면, 제1 기준 영역(SA1)은 제2 기준 영역(SA2)과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에는 제1 메쉬선들(MSL1)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에는 제1 메쉬선들(MSL1) 중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구성 반복 단위가 제2 방향(DR2)을 따라 반복될 때, 제1 기준 영역(SA1)에는 하나의 구성 반복 단위의 일부만이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구성 반복 단위와 인접한 다른 구성 반복 단위들은 제1 기준 영역(SA1)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메쉬선들(MSL1) 중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메쉬선인 제2 배선(LN2)과 제2 패턴 배선(PLN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하나씩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상기 구성 반복 단위는 하나의 제2 배선(LN2) 및 하나의 제2 패턴 배선(PLN2)일 수 있다. 즉, 제1 기준 영역(SA1)에는 하나의 제2 배선(LN2)의 일부 및 하나의 제2 패턴 배선(PLN2)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기준 영역(SA1)에는 제1 배선(LN1) 및 제1 패턴 배선(PLN1)이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제1 기준 영역(SA1)에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LN2_1, LN2_2) 중 어느 하나의 제2 배선(LN2_1)의 일부, 및 두 개의 제2 배선(LN2_1, LN2_2) 사이에 배치된 제2 패턴 배선(PLN2)의 일부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배선(LN2_2)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단선부들(DCP2) 각각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폭을 제1 폭(TD1)이라 정의한다. 제1 기준 영역(SA1)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단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제1 폭(TD1)에 제1 기준 영역(SA1)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값은 2 x TD1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SA2) 내에 배치된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의 총 합을 제2 값이라 정의한다. 갭(GAP)은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제1 패턴부(PP1)와 제2 패턴부(PP2)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서 갭(GAP)은 제2 배선(LN2)과 제4 배선(LN4) 사이 및 제2 패턴 배선(PLN2)과 제4 패턴 배선(PLN4)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값은 2 X MD일 수 있다. 상기 MD는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로, 제1 패턴부(PP1)와 제2 패턴부(PP2)의 최소 이격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값과 제2 값의 차이는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값은 0보다 크고, 제2 값의 2배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제1 값과 제2 값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제1 값 - 제2 값|<제2 값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값과 제2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제1 패턴부(PP1)의 반사율과 경계(BL)의 반사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경계(BL)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은 제2 패턴부(PP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패턴부(PP2)의 반사율과 경계(BL)의 반사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단선부들(DCP2) 중 제1 기준 영역(SA1)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개수는 제2 기준 영역(SA2)에 배치된 갭(GAP)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선부들(DCP2) 각각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제1 폭(TD1)은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갭(GAP)의 최소 이격 거리(MD)가 3um라고 가정하면, 제1 폭(TD1)는 3um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경계(BL)를 확대하여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경계(미도시)에 대해서도 상기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경계(BL)와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의 반사율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패턴부(PP1) 내부에 제1 단선부들(DCP1)이 정의되고, 제2 패턴부(PP2) 내부에 제3 단선부들(DCP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 내부의 제1 배선(LN1) 및 제2 배선(LN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패턴부(PP2) 내부의 제3 배선(LN3) 및 제4 배선(LN4)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각각은 단선부가 형성되지 않는 배선들에 의해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의 전 영역에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각각의 내부에 단선부가 제공되더라도, 센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턴부(PP1a) 및 제2 패턴부(PP2a) 각각의 반사율과 경계(BL) 사이의 반사율 차이에 따라 경계(BL)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패턴부(PP1a) 및 제2 패턴부(PP2a) 각각의 내부에 단선부들(DCP1a, DCP2a, DCP3a, DCP4a)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a)는 제1 배선(LN1), 제2 배선(LN2), 제1 패턴 배선(PLN1a), 및 제2 패턴 배선(PLN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 배선(PLN1a)에는 제1 단선부들(DCP1a)이 정의되고, 제2 패턴 배선(PLN2a)에는 제2 단선부들(DCP2a)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PP2a)는 제3 배선(LN3), 제4 배선(LN4), 제3 패턴 배선(PLN3a), 및 제4 패턴 배선(PLN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턴 배선(PLN3a)에는 제3 단선부들(DCP3a)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PLN4a)에는 제4 단선부들(DCP4a)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선부들(DCP2a) 중 제1 기준 영역(SA1)에 배치되는 제2 단선부의 개수는 제2 기준 영역(SA2)에 배치되는 갭(GAP)의 개수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단선부의 개수는 갭(GAP)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제2 단선부들(DCP2a) 각각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제1 폭(TD1a)은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갭(GAP)의 최소 이격 거리(MD)가 3um라고 가정하면, 제1 폭(TD1a)는 6um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턴부(PP1b)는 제1 배선(LN1), 제2 배선(LN2), 제1 패턴 배선(PLN1b), 및 제2 패턴 배선(PLN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 배선(PLN1b)에는 제1 단선부들(DCP1b)이 정의되고, 제2 패턴 배선(PLN2b)에는 제2 단선부들(DCP2b)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PP2b)는 제3 배선(LN3), 제4 배선(LN4), 제3 패턴 배선(PLN3b), 및 제4 패턴 배선(PLN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턴 배선(PLN3b)에는 제3 단선부들(DCP3b)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PLN4b)에는 제4 단선부들(DCP4b)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2 개의 제1 배선(LN1)과 하나의 제1 패턴 배선(PLN1b)이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2 개의 제2 배선(LN2)과 하나의 제2 패턴 배선(PLN2b)이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제3 배선(LN3)과 하나의 제3 패턴 배선(PLN3b)이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2 개의 제4 배선(LN4)과 하나의 제4 패턴 배선(PLN4b)이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b) 내에 제1 기준 영역(SA1a)을 정의되고, 제1 패턴부(PP1b)와 제2 패턴부(PP2b) 모두와 중첩하는 제2 기준 영역(SA2a)이 정의된다. 제1 기준 영역(SA1a)과 제2 기준 영역(SA2a)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a)을 제1 방향(DR1)을 따라 이동하면, 제1 기준 영역(SA1a)은 제2 기준 영역(SA2a)과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a)에는 제1 메쉬선들(MSL1a)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a)에는 제1 메쉬선들(MSL1a) 중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제2 배선(LN2)과 1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b)이 제2 방향(DR2)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 반복 단위는 2 개의 제2 배선(LN2)과 1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b)일 수 있다. 즉, 제1 기준 영역(SA1a)에는 2 개의 제2 배선(LN2)과 1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b) 각각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선부들(DCP2b) 각각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폭을 제1 폭(TD1b)이라 정의한다. 제1 기준 영역(SA1a)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단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제1 폭(TD1b)에 제1 기준 영역(SA1a)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값은 3 x TD1b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SA2a)에 배치된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의 총 합을 제2 값이라 정의한다. 갭(GAP)은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제1 패턴부(PP1b)와 제2 패턴부(PP2b) 사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값은 3 X MD일 수 있다. 상기 MD는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로, 제1 패턴부(PP1b)와 제2 패턴부(PP2b)의 최소 이격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값과 제2 값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제1 패턴부(PP1b) 및 제2 패턴부(PP2b) 각각의 반사율과 경계(BL)의 반사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경계(BL)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단선부들(DCP2b) 중 제1 기준 영역(SA1a)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개수는 제2 기준 영역(SA2a)에 배치된 갭(GAP)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선부들(DCP2b) 각각의 제1 폭(TD1b)은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갭(GAP)의 최소 이격 거리(MD)가 3um라고 가정하면, 제1 폭(TD1b)는 3um일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WW'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패턴부(PP1c)는 제1 배선(LN1), 제2 배선(LN2), 제1 패턴 배선(PLN1c), 및 제2 패턴 배선(PLN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 배선(PLN1c)에는 제1 단선부들(DCP1c)이 정의되고, 제2 패턴 배선(PLN2c)에는 제2 단선부들(DCP2c)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패턴부(PP2c)는 제3 배선(LN3), 제4 배선(LN4), 제3 패턴 배선(PLN3c), 및 제4 패턴 배선(PLN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턴 배선(PLN3c)에는 제3 단선부들(DCP3c)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PLN4c)은 제4 단선부들(DCP4c)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1 개의 제1 배선(LN1)과 2 개의 제1 패턴 배선(PLN1c)이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1 개의 제2 배선(LN2)과 2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c)이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또한, 1 개의 제3 배선(LN3)과 2 개의 제3 패턴 배선(PLN3c)이 제1 방향(DR1)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되고, 1 개의 제4 배선(LN4)과 2 개의 제4 패턴 배선(PLN4c)이 제2 방향(DR2)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 가며 배열될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b)에는 제1 메쉬선들(MSL1c) 중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이 배치되지 않고, 제1 기준 영역(SA1b)에는 제1 메쉬선들(MSL1c) 중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c)과 1 개의 제2 배선(LN2)이 제2 방향(DR2)을 따라 반복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 반복 단위는 2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c)과 1 개의 제2 배선(LN2)일 수 있다. 즉, 제1 기준 영역(SA1b)에는 1 개의 제2 배선(LN2) 및 2 개의 제2 패턴 배선(PLN2c) 각각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선부들(DCP2c) 각각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폭을 제1 폭(TD1c)이라 정의한다. 제1 기준 영역(SA1b)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단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값은 제1 폭(TD1c)에 제1 기준 영역(SA1b)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값은 2 x TD1c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SA2b)에 배치되는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의 총 합을 제2 값이라 정의한다. 갭(GAP)은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제1 패턴부(PP1c)와 제2 패턴부(PP2c) 사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값은 3 X MD일 수 있다.
제1 값과 제2 값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갭(GAP)의 최소 이격 거리(MD)가 3um라고 가정하면, 제1 폭(TD1c)은 4.5um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값은 0보다 크고, 제2 값의 2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유닛(200a)은 복수의 제1 전극들(TEa), 복수의 제2 전극들(TEb), 제2 패턴부(FP), 복수의 제1 배선들(WP1), 복수의 제2 배선들(WP2), 복수의 제1 패드들(PD1), 및 복수의 제2 패드들(PD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와 비교하였을 때, 제2 패턴부(FP)를 더 포함한다는데 차이가 있다. 제2 패턴부(FP)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플로팅 패턴일 수 있다. 제2 패턴부(FP)는 제1 전극들(TEa) 및 제2 전극들(TEb) 각각과 경계(BLa, BLb)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제2 패턴부(FP)는 주변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제2 패턴부(FP)에 의해 제1 및 제2 전극들(TEa, TEb)에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와 제1 및 제2 전극들(TEa, TEb) 하부에 배치되는 화소 전극에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호 작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noise) 등이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a)의 형상은 도 2의 복수의 제1 전극들(TE1)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복수의 제2 전극들(TEb)의 형상은 도 2의 복수의 제2 전극들(TE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들(TEa, TEb)은 도 2의 제1 및 제2 전극들(TE1, TE2)과 비교하였을 때, 크기의 차이가 있을 뿐 그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제1 전극들(TEa) 각각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 패턴부들(PPa) 및 복수의 제1 연결부들(CP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전극들(TEb) 각각은 제4 방향(DR4)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3 패턴부들(PPb) 및 복수의 제2 연결부들(CP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패턴부(PPa), 제2 패턴부(FP), 및 제3 패턴부(PPb) 각각의 메쉬선들 중 일부를 단선시켜 복수의 단선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부(PPa)와 제2 패턴부(FP) 사이의 경계(BLa) 및 제2 패턴부(FP)와 제3 패턴부(PPb) 사이의 경계(BLb)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의 XX'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제1 패턴부(PPa)는 도 2의 제1 패턴부(PP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제3 패턴부(PPb)는 도 2의 제 패턴부(PP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패턴부(PPa) 및 제3 패턴부(PPb) 각각은 앞서 설명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패턴부들 중 어느 하나 및 제2 패턴부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형상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부(PPa) 및 제3 패턴부(PP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제2 패턴부(FP)는 제3 배선(FLN3), 제3 패턴 배선(FPLN3), 제4 배선(FLN4), 및 제4 패턴 배선(FPLN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배선(FLN3) 및 제3 패턴 배선(FPLN3)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되고, 제4 배선(FLN4) 및 제4 패턴 배선(FPLN4)은 제2 방향(DR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3 패턴 배선(FPLN3)에는 제3 단선부들(FDCF3)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FPLN4)에는 제4 단선부들(FDCF4)이 정의될 수 있다. 즉, 플로팅된 제2 패턴부(FP)도 복수의 단선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부(FP)는 제1 패턴부(PPa) 및 제3 패턴부(PPb) 각각의 메쉬선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메쉬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턴부(PPa), 제2 패턴부(FP), 및 제3 패턴부(PPb) 각각의 반사율과 경계(BLa, BLb)의 반사율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경계(BLa, BLb)가 시인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패턴부(PPa)내에 제1 기준 영역(SA1c)이 정의되고, 제1 패턴부(PPa) 및 제2 패턴부(FP) 모두와 중첩하는 제2 기준 영역(SA2c)이 정의된다.
제1 기준 영역(SA1c)과 제2 기준 영역(SA2c)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c)의 제2 방향(DR2c)의 폭은 제2 기준 영역(SA2c)의 제2 방향(DR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SA1c)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단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값은 제2 단선부의 제1 폭(TD1)에 제1 기준 영역(SA1c)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값은 2 x TD1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SA2c) 내에 배치된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의 총 합을 제2 값이라 정의한다. 갭(GAP)은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제1 패턴부(PPa)와 제2 패턴부(FP) 사이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값은 2 x MD일 수 있다. 상기 MD는 갭(GAP)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거리로, 제1 패턴부(PPa)와 제2 패턴부(FP)의 최소 이격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값과 제2 값의 차이는 제2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값은 0보다 크고, 제2 값의 2배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경계(BLa, BLb)와 제1 패턴부(PPa), 제2 패턴부(FP), 및 제3 패턴부(PPb)의 반사율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외광 반사에 의해 경계(BLa, BLb)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XX'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8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패턴부(FPa)는 제3 패턴 배선(FPLN3a) 및 제4 패턴 배선(FPLN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턴 배선(FPLN3a)에는 제3 단선부들(FDCF3a)이 정의되고, 제4 패턴 배선(FPLN4a)에는 제4 단선부들(FDCF4a)이 정의될 수 있다.
도 9의 제2 패턴부(FPa)는 단선부를 포함하지 않는 제3 배선(도 8의 FLN3), 및 제4 배선(도 8의 FLN4)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 9의 제2 패턴부(FPa)는 제3 배선(도 8의 FLN3), 및 제4 배선(도 8의 FLN4)에도 단선부가 모두 제공된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패턴부(FPa)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플로팅 패턴이기 때문에 모든 메쉬선이 단선부를 포함해도 무관하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일부 구성들을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층(100) 위에는 제1 패턴부(PP1), 제2 패턴부(PP2), 제1 연결부(CP1), 및 제1 배선들(WP1)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층(100) 위에는 절연층(ILD)이 배치될 수 있다. 절연층(ILD)은 제1 패턴부(PP1), 제2 패턴부(PP2), 및 제1 연결부(CP1)를 커버할 수 있다. 절연층(ILD)은 절연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절연층(ILD)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ILD) 위에는 제3 패턴부(PP3), 제4 패턴부(PP4), 제2 연결부(CP4), 제2 배선들(WP2), 제1 패드들(PD1a), 및 제2 패드들(PD2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들(PD1a)은 제1 배선들(WP1)과 컨택홀(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패턴부(PP1)와 제3 패턴부(PP3)는 서로 중첩하고,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2 패턴부(PP2)와 제4 패턴부(PP4)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평면 상에서 보았다는 것은 베이스층(100)의 두께 방향(DR5)와 나란한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의미한다.
제1 패턴부(PP1) 및 제3 패턴부(PP3)는 제1 전극을 구성할 수 있고, 제2 패턴부(PP2) 및 제4 패턴부(PP4)는 제2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복층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단층 구조인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가져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YY'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ZZ'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의 YY`영역과 도 13의 ZZ` 영역은 평면상에서 서로 중첩하는 영역이다. 도 12 및 도 13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 및 도 8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는 도 3에 도시된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가 포함하는 메쉬선들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는 도 3과 비교하였을 때, 제1 패턴부(PP1)와 제2 패턴부(PP2) 사이의 경계(BL1)에 배치된 갭(GAP1)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갭(GAP1)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하는 기준선(SL)에 대해 제1 방향(DR1) 또는 제1 방향(DR1)과 정반대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인접한 갭(GAP1)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제2 방향(DR2)으로 진행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선이 그려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패턴부(PP3) 및 제4 패턴부(PP4) 각각은 도 12에 도시된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 각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 패턴부(PP3)는 제5 배선(LN5), 제6 배선(LN6), 제5 패턴 배선(PLN5), 및 제6 패턴 배선(PLN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배선(LN5) 및 제6 배선(LN6)에는 단선부들이 정의되지 않고, 제5 패턴 배선(PLN5)에는 제5 단선부들(DCP5)이 정의되고, 제6 패턴 배선(PLN6)에는 제6 단선부들(DCP6)이 정의될 수 있다.
제4 패턴부(PP4)는 제7 배선(LN7), 제8 배선(LN8), 제7 패턴 배선(PLN7), 및 제8 패턴 배선(PLN8)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배선(LN7) 및 제8 배선(LN8)에는 단선부들이 정의되지 않고, 제7 패턴 배선(PLN7)에는 제7 단선부들(DCP7)이 정의되고, 제8 패턴 배선(PLN8)에는 제8 단선부들(DCP8)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패턴부(PP3) 및 제4 패턴부(PP4)는 도 3에 도시된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가 포함하는 메쉬선들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2와 도 13을 중첩하여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제1 패턴부(PP1)와 제2 패턴부(PP2) 사이의 갭(GAP1)과 제3 패턴부(PP3)와 제4 패턴부(PP4) 사이의 갭(GAP2)은 서로 비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경계(BL1)와 경계(BL2)가 중첩할 때, 평면 상에서 메쉬선들이 모두 단선된 부분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평면 상에서 갭들이 중첩하는 경우보다 갭이 시인될 확률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제1 패턴부(PP1)는 제3 패턴부(PP3)와 평면 상에서 중첩된다. 이 경우, 평면 상에서 제1 배선(LN1)은 제5 패턴 배선(PLN5)과 중첩하고, 제1 패턴 배선(PLN1)은 제5 배선(LN5)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LN2)은 제6 패턴 배선(PLN6)과 중첩하고, 제2 패턴 배선(PLN2)은 제6 배선(LN6)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상에서 제1 단선부들(DCP1)과 제5 단선부들(DCP5)은 서로 중첩하지 않고, 제2 단선부들(DCP2)과 제6 단선부들(DCP6)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턴부(PP2)와 제4 패턴부(PP4)는 평면 상에서 중첩한다. 이 경우, 평면 상에서 제3 배선(LN3)은 제7 패턴 배선(PLN7)과 중첩하고, 제3 패턴 배선(PLN3)은 제7 배선(LN7)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4 배선(LN4)은 제8 패턴 배선(PLN8)과 중첩하고, 제4 패턴 배선(PLN4)은 제8 배선(LN8)과 중첩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상에서 제3 단선부들(DCP3)과 제7 단선부들(DCP7)과 서로 중첩하지 않고, 제4 단선부들(DCP4)과 제8 단선부들(DCP8)은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제1 내지 제4 패턴부들(PP1, PP2, PP3, PP4)이 도 3의 제1 패턴부(PP1) 및 제2 패턴부(PP2)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앞서 설명한 다양한 메쉬 형상은 제1 내지 제4 패턴부들(PP1, PP2, PP3, PP4)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은 도12 및 도 13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1)가 표시 장치인 경우를 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001)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일렉트로 웨팅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1)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1)는 베이스 기판(BS), 회로층(ML), 유기발광소자층(EL), 베이스층(100) 및 터치 센싱 유닛(200b)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은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및 플라스틱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BS) 위에는 회로층(ML), 유기발광소자층(EL), 베이스층(100) 및 터치 센싱 유닛(200b)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ML)은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 및 전자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로층(ML)은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화소들 각각에 대응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발광 물질에 대응하는 컬러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발광소자층(EL)은 소정의 컬러의 광을 생성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층(EL)은 표시층이라 지칭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즉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 및 복수 개의 유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00)은 유기발광소자층(EL)을 커버하며, 공기 및 수분을 차단하여 유기발광소자층(EL)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싱 유닛(200b)이 베이스층(100)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터치 센싱 유닛(200b)은 베이스층(100) 아래에 배치되어 베이스층(100)과 유기발광소자층(EL)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층(100)은 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층(100)은 유기발광소자층(EL)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기판(BS)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베이스층(100)과 베이스 기판(BS)은 베이스 기판(BS)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된 실링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싱 유닛(200b)은 베이스층(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베이스 기판(BS)과 결합될 수도 있고, 베이스층(100)의 하면에 형성되어 베이스 기판(BS)과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패턴부(PP1)와 제3 패턴부(PP3)는 절연층(ILD)에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패턴부(PP2)와 제4 패턴부(PP4)는 절연층(ILD)에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컨택홀(CH1) 및 제2 컨택홀(CH2) 각각은 복수의 메쉬선들이 교차하는 교차점과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된 YY'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ZZ'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의 YY`영역과 도 16의 ZZ` 영역은 평면상에서 서로 중첩하는 영역이다. 도 15 및 도 16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의 경우, 제1 패턴부(PP1k), 제2 패턴부(PP2k), 제3 패턴부(PP3k), 및 제4 패턴부(PP4k) 각각은 단선부의 위치가 상이할 뿐,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제1 패턴부(PP1a) 및 제2 패턴부(PP2a)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패턴부들 사이의 빈공간과 대응하는 단선부들이 제1 내지 제4 패턴부들(PP1k, PP2k, PP3k, PP4k) 각각에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배선(LN1)은 제5 배선(LN5)과 서로 중첩하고, 제1 패턴 배선(PLN1k)은 제5 패턴 배선(PLN5k)과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제2 배선(LN2)은 제6 배선(LN6)과 서로 중첩하고, 제2 패턴 배선(PLN2k)은 제6 패턴 배선(PLN6k)과 서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제1 패턴 배선(PLN1k)의 제1 단선부들(DCP1k)의 위치와 제5 패턴 배선(PLN5k)의 제5 단선부들(DCP5k)의 위치는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 배선(PLN2k)의 제2 단선부들(DCP2k)의 위치와 제6 패턴 배선(PLN6k)의 제6 단선부들(DCP6k)의 위치는 평면 상에서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0: 전자 장치 100: 베이스층
200: 터치 센싱 유닛
TE1: 제1 전극 TE2: 제2 전극
PP1: 제1 패턴부 PP2: 제2 패턴부
MSL1: 제1 메쉬선 MSL2: 제2 메쉬선
LN1: 제1 배선 LN2: 제2 배선
LN3: 제3 배선 LN4: 제4 배선
PLN1: 제1 패턴 배선 PLN2: 제2 패턴 배선
PLN3: 제3 패턴 배선 PLN4: 제4 패턴 배선
DCP1: 제1 단선부 DCP2: 제2 단선부
DCP3: 제3 단선부 DCP4: 제4 단선부
SA1: 제1 기준 영역 SA2: 제2 기준 영역

Claims (21)

  1.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배선들, 상기 제1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1 패턴 배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2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2 패턴 배선을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패턴부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3 배선들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4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 내에 제1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기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패턴 배선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는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와 중첩하는 제2 기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제2 기준 영역은 상기 제1 기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동일한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단선부들 각각의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폭을 제1 폭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2 단선부들 중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제2 단선부의 수를 상기 제1 폭에 곱한 제1 값과 상기 제2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의 총 합인 제2 값의 차이는 상기 제2 값보다 작은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들 및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1 기준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서로 동일한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2 배선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 중 어느 하나의 제2 배선의 일부 및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제2 배선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 패턴 배선의 일부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 배선은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값과 상기 제2 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상기 최소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선부의 수는 상기 제2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갭의 개수와 동일한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은 상기 최소 이격 거리보다 큰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선부의 수는 상기 제2 기준 영역과 중첩하는 상기 최소 이격 거리를 갖는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갭의 개수보다 적은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 또는 출력하는 전극인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 또는 출력하는 전극이고, 상기 제2 패턴부는 플로팅 패턴인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선들 및 상기 제4 배선들 각각에는 소정의 영역이 단선된 단선부들이 정의되는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제3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3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3 패턴 배선, 및 상기 제4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4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4 패턴 배선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를 커버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패턴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5 배선들, 상기 제5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5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5 패턴 배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6 배선들, 및 상기 제6 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며 제6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6 패턴 배선을 포함하는 제3 패턴부; 및
    상기 절연층 위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패턴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7 배선들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각각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8 배선들을 포함하는 제4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배선들은 상기 제5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5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은 상기 제6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패턴 배선은 상기 제6 배선들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배선들은 상기 제5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패턴 배선은 상기 제5 패턴 배선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은 상기 제6 배선들과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패턴 배선은 상기 제6 패턴 배선과 중첩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단선부들은 상기 제5 단선부들과 비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단선부들은 상기 제6 단선부들과 비중첩하는 전자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2 배선들 및 상기 제2 패턴 배선 각각과 상기 제4 배선들 사이의 갭과 상기 제6 배선들 및 상기 제6 패턴 배선 각각과 상기 제8 배선들 사이의 갭은 서로 비중첩하는 전자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패턴부는 상기 절연층에 제공된 제1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1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패턴부는 상기 절연층에 제공된 제2 컨택홀을 통해 상기 제2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하측에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표시층을 커버하는 복수의 절연 박막 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복수의 제1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1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1 패턴부와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복수의 제2 단선부들이 정의된 제2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제2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부 내부에는 제1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에는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의 폭 및 면적이 동일한 제2 기준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중 상기 제1 기준 영역에 배치된 제1 단선부의 개수에 상기 복수의 제1 단선부들 각각의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폭을 곱한 제1 값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패턴부와 상기 제2 패턴부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의 총 합인 제2 값의 차이는 상기 제2 값보다 작은 터치 센싱 유닛.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1 메쉬선들 중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이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기준 영역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메쉬선들의 최소 반복 단위인 구성 반복 단위가 배치되는 터치 센싱 유닛.
KR1020160077493A 2016-06-21 2016-06-21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93A KR102382042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5/348,102 US9971467B2 (en) 2016-06-21 2016-11-10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201710468502.0A CN107526464B (zh) 2016-06-21 2017-06-20 电子装置
CN202210219730.5A CN114461095A (zh) 2016-06-21 2017-06-20 电子装置
US15/961,345 US10318088B2 (en) 2016-06-21 2018-04-24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16/426,012 US10514811B2 (en) 2016-06-21 2019-05-30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16/721,511 US10996782B2 (en) 2016-06-21 2019-12-19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17/246,703 US11392233B2 (en) 2016-06-21 2021-05-02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KR1020220039118A KR20220045946A (ko) 2016-06-21 2022-03-29 전자 장치
US17/866,559 US11853494B2 (en) 2016-06-21 2022-07-18 Touch sens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493A KR102382042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118A Division KR20220045946A (ko) 2016-06-21 2022-03-29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40A true KR20180000040A (ko) 2018-01-02
KR102382042B1 KR102382042B1 (ko) 2022-04-04

Family

ID=60660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493A KR102382042B1 (ko) 2016-06-21 2016-06-21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39118A KR20220045946A (ko) 2016-06-21 2022-03-29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118A KR20220045946A (ko) 2016-06-21 2022-03-29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6) US9971467B2 (ko)
KR (2) KR102382042B1 (ko)
CN (2) CN107526464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7367A (zh) * 2018-07-17 2020-01-2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US11348979B2 (en) 2019-03-12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155716A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난타 밴딩각도조절이 용이한 밴딩장치
US11586331B2 (en) 2020-05-2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US11720184B2 (en) 2021-08-12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code patterns for more accurate input
US11758789B2 (en) 2021-07-2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panel and input sensor disposed on display panel
KR20230172968A (ko)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난타 홀센서 신호검출을 이용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042B1 (ko) * 2016-06-21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25839B2 (en) * 2016-12-02 2020-11-03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102402040B1 (ko) * 2017-12-21 2022-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08640B (zh) 2018-03-30 2021-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显示装置和无线充电方法
WO2019239396A1 (en) 2018-06-12 2019-12-19 Kliots Shapira El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real-time frame segmentation of high resolution video streams into constituent features and modifications of features in each frame to simultaneously create multiple different linear views from same video source
KR102583203B1 (ko) 2018-11-29 2023-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84500A (ko) * 2019-01-02 2020-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감지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모듈
KR20210004005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8997A (ko) * 2020-07-14 2022-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KR20220037014A (ko) * 2020-09-16 2022-03-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06259A (ko) * 2021-01-21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US11604548B2 (en) * 2021-05-28 2023-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sensor mesh with discontinuities
KR20230106187A (ko) * 2022-01-05 2023-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320A (ja) * 2011-05-17 2012-12-27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KR20150087713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07627A (ko) * 2013-05-16 2016-01-20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 및 단층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전극패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9747B2 (en) * 2008-12-11 2012-11-27 Apple Inc. Single layer touch panel with segmented drive and sense electrodes
US8552315B2 (en) * 2009-09-03 2013-10-08 Atmel Corporation Two-dimensional position sensor
JP5439114B2 (ja) * 2009-10-21 2014-03-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付き電気光学装置
KR101749366B1 (ko) * 2009-12-18 2017-06-20 시냅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오믹 심을 갖는 트랜스커패시티브 센서 디바이스
US8593413B2 (en) * 2010-03-01 2013-11-26 Cando Corporatio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and capacitive touch panel having the same
EP2569687A2 (en) * 2010-05-14 2013-03-20 Elo Touch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s of touches on a touch sensor
JP5638459B2 (ja) 2010-07-05 2014-12-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導電シート
KR101292249B1 (ko) 2011-05-18 201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5792534B2 (ja) * 2011-07-13 2015-10-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式検出装置
US20130127775A1 (en) * 2011-11-22 2013-05-23 Esat Yilmaz Single-Layer Touch Sensor with Crossovers
JP5734504B2 (ja) * 2012-03-06 2015-06-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60384A (ja) * 2012-08-23 2014-04-03 Canon Inc 面発光レーザー、光源装置、光源装置の駆動方法及び光干渉断層撮像装置
KR102112090B1 (ko) * 2013-10-23 2020-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10261638B2 (en) 2013-12-13 2019-04-16 Lg Chem, Ltd. Touch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4731397A (zh) * 2013-12-19 2015-06-24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20150101668A (ko) 2014-02-27 2015-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센서
KR102199361B1 (ko) * 2014-10-01 2021-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102288845B1 (ko) * 2015-01-12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78361B1 (ko) * 2015-04-15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2042B1 (ko) * 2016-06-21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6320A (ja) * 2011-05-17 2012-12-27 Fujifilm Corp 導電シート及び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
KR20160007627A (ko) * 2013-05-16 2016-01-20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전성 패턴 및 단층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전극패턴
KR20150087713A (ko) * 2014-01-22 2015-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7367A (zh) * 2018-07-17 2020-01-24 三星显示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00009167A (ko) * 2018-07-17 2020-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1348979B2 (en) 2019-03-12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90270B2 (en) 2019-03-12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86331B2 (en) 2020-05-2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220155716A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난타 밴딩각도조절이 용이한 밴딩장치
US11758789B2 (en) 2021-07-2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panel and input sensor disposed on display panel
US11720184B2 (en) 2021-08-12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touch sensing system including code patterns for more accurate input
KR20230172968A (ko)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난타 홀센서 신호검출을 이용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42B1 (ko) 2022-04-04
US9971467B2 (en) 2018-05-15
US10318088B2 (en) 2019-06-11
US20210255724A1 (en) 2021-08-19
US10514811B2 (en) 2019-12-24
CN107526464B (zh) 2022-03-25
CN114461095A (zh) 2022-05-10
US11392233B2 (en) 2022-07-19
US20200125197A1 (en) 2020-04-23
US10996782B2 (en) 2021-05-04
CN107526464A (zh) 2017-12-29
US20170364175A1 (en) 2017-12-21
US20180239472A1 (en) 2018-08-23
US20190278405A1 (en) 2019-09-12
US20220348150A1 (en) 2022-11-03
US11853494B2 (en) 2023-12-26
KR20220045946A (ko)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042B1 (ko) 터치 센싱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61092B2 (en) Display device
CN109802048B (zh) 显示装置
KR10247115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29281B1 (ko) 전자 장치
CN109782941B (zh) 带有触摸面板的显示装置
US11868576B2 (en) Conducting structure
US9176611B2 (en) Touch screen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y patterns and an auxiliary pattern
US20170083160A1 (en) Touch sensor electrod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966519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M500928U (zh) 內嵌式觸控顯示面板
US9746947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78808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08148A (ko) 표시 장치
KR20180134800A (ko) 전자 장치
KR2017014312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202506A (zh) 触控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230046341A (ko) 터치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6206754A (ja) タッチセンサ用電極、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WO2020195802A1 (ja) 指紋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60127890A (ko) 터치 패널
KR20220073538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73551A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