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489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489A
KR20170140489A KR1020160072734A KR20160072734A KR20170140489A KR 20170140489 A KR20170140489 A KR 20170140489A KR 1020160072734 A KR1020160072734 A KR 1020160072734A KR 20160072734 A KR20160072734 A KR 20160072734A KR 20170140489 A KR20170140489 A KR 20170140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isplay panel
groove
adhesive lay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464B1 (ko
Inventor
민경일
성태현
이현구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464B1/ko
Priority to US15/409,319 priority patent/US10056568B2/en
Priority to EP17167641.4A priority patent/EP3255694B1/en
Priority to CN201710426020.9A priority patent/CN107492556B/zh
Priority to TW106119338A priority patent/TWI749017B/zh
Priority to JP2017114738A priority patent/JP6937617B2/ja
Priority to TW110142092A priority patent/TWI825509B/zh
Publication of KR20170140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489A/ko
Priority to US16/105,872 priority patent/US10553802B2/en
Priority to US16/737,289 priority patent/US11031565B2/en
Priority to US17/341,335 priority patent/US1171196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01L51/0014
    • H01L51/0097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21Patterning of a layer by embossing, e.g. stamping to form trenches in an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6Composite materials, e.g. fibre reinforced
    • B23K2103/166Multilayered materials
    • B23K2103/172Multilayered material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layers is non-metallic
    • B23K2203/1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01L2227/32
    • H01L2251/105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 하부에 배치된 제1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경계를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에서 상기 상면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파워가 1 W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화소들 각각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및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회로부는 적어도 제어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캐소드, 및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유기 발광층의 문턱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된다.
본 발명은 제1 필름 및 점착층에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그루브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모듈은 벤딩 영역에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고, 더욱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의 손상 없이 제1 필름 및 점착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 하부에 배치된 제1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경계를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에서 상기 상면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파워가 1 W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광은 CO2 레이저 광 또는 UV 레이저 광일 수 있다.
상기 CO2 레이저 광은 9.1 ㎛ 내지 10.7 ㎛ 파장을 갖고, 상기 UV 레이저 광은 360 ㎚ 이하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제1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에 상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에 상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의 제1 부분이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은 평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필름의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제1 필름, 제2 필름, 및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필름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그루브와 중첩하는 점착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에 의해 노출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과 중첩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2 부분은 서로 5% 이내의 결정화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에 비해 더 낮은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점착 그루브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3 부분에 비해 5% 이내에서 더 작은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동일한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필름 그루브를 제공하는 상기 제1 필름의 내면 및 상기 점착 그루브를 제공하는 상기 점착층의 내면 각각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2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ㅈ아치는 상기 필름 그루브에 접하는 상기 제1 필름의 하면에 제공된 버(bur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제1 방향으로 가로지를 수 있다.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와 중첩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기준축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은 PE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은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제1 필름, 제2 필름, 및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을 갖고, 제1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은 상기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하는 복수의 그루브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그루브들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의 제1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제1 일부는 상기 제1 필름의 제2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제2 일부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제1 필름 및 점착층에 벤딩 영역에 중첩하는 그루브를 제공함으로써, 표시 모듈은 벤딩 영역에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고, 더욱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기판의 손상 없이 제1 필름 및 점착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도 7, 및 도 8은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도 3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하나의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실험 대상에 1 W 초과의 레이저 광을 조사한 후의 사진이고, 도 10은 실험 대상에 1 W 이하의 레이저 광을 조사한 후의 사진이다.
도 11은 레이저 파워에 따른 폴리이미드의 결정화 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I-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유기발광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도 1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모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표시 모듈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유기발광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도 24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방향성을 설명한 것이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부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하부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도 7, 및 도 8은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도 3의 I-I`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0)을 포함하는 모기판(2000)을 형성한다(S10).
모기판(2000)은 복수의 표시 모듈들(1000)과 더미 부분(D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들(1000)은 하나의 기판을 공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6개의 표시 모듈들(1000)이 하나의 모기판(2000)에 포함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6 개 보다 작거나 많은 표시 모듈들(1000)이 하나의 모기판(2000)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모듈들(1000)과 더미 부분(DM)은 플렉시블할 수 있다. 따라서 모기판(2000)은 플렉시블할 수 있다.
표시 모듈들(1000) 각각은 인가된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모듈들(1000)은 다양한 유형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 표시 모듈들(10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더미 부분(DM)은 표시 모듈들(10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부분(DM)은 표시 모듈들(1000) 각각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들(1000) 각각을 둘러쌀 수 있다. 더미 부분(DM)은 제조 공정상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 평면상에서 표시 모듈(1000)의 서로 인접한 두 변의 연장 방향을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한다. 도 2에서, 제1 방향(DR1)은 표시 모듈(1000)의 단변의 연장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표시 모듈(1000)의 장변의 연장 방향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표시 모듈(1000)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고,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영역(DA)의 나머지 3 변과 인접하게 비표시 영역들이 더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 내에는 패드 영역(PDA)이 정의될 수 있다. 패드 영역(PDA)은 연성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되는 영역이고, 표시 모듈(1000)은 패드 영역(PDA)을 통해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 내에는 제1 영역(GRA)이 더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GRA)은 패드 영역(PDA)과 표시 영역(DA) 사이에 정의되고, 패드 영역(PDA) 및 표시 영역(DA)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영역(GR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가 완료된 때 그부르가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평면상에서 제1 영역(GRA)은 제1 방향(DR1)으로 표시 모듈(1000)을 가로지를 수 있다. 제1 영역(GRA)의 제1 경계(EG1) 및 제2 경계(EG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0)은 표시 패널(100), 제1 필름(200), 제2 필름(300), 및 점착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하면(101)과 상면(102)을 가질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 또는 상면(102)에 수직하고,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에서 상면(102)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부 방향(DR3)으로 정의한다.
제1 필름(2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필름(3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10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400)는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과 제1 필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름(200)은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카보네이트 옥사이드(polycarbonate oxide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thenylene oxide MPP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필름(200)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필름(300)은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편광판은 선편광층 및 λ/4 위상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λ/4 위상 지연층 상에 선편광층이 배치될 수 있다. 선편광층과 λ/4 위상 지연층을 차례대로 통과한 외광은 편광판 하부(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의 캐소드)에서 반사되어 λ/4 위상 지연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층을 투과하지 못하고 소멸된다.
점착층(400)는 표시 패널(100)과 제1 필름(200)을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400)는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의 재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표시 패널(100)의 적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하나의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 패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PA) 내에 하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베이스 기판(110), 구동층(120), 유기발광 소자층(130), 및 봉지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을 제공한다. 베이스 기판(110)은 가요성 기판일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및 폴리이미드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베이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구동층(12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한다. 구동층(120)은 다양한 신호 라인들, 예를 들어, 스캔 라인(미도시), 데이터 라인(미도시), 전원 라인(미도시), 발광 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층(12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과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들은 하나의 화소(미도시) 마다 구비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구동층(120)의 구동 트랜지스터(Q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을 포함한다.
활성층(211)은 베이스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막(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막(221)은 활성층(211)과 게이트 전극(213)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은 게이트 전극(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게이트 전극(213)과 소스 전극(215) 사이 및 게이트 전극(213)과 드레인 전극(217)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막(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215)과 드레인 전극(217) 각각은 제1 절연막(221) 및 제2 절연막(223)에 구비된 콘택홀들(CH1, CH2)을 통해 활성층(211)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층(120)은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 상에 배치된 보호막(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구동 트랜지스터(Qd)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층(211), 게이트 전극(213), 소스 전극(215), 및 드레인 전극(217)의 위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게이트 전극(213)은 활성층(211)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게이트 전극(213)이 활성층(211)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에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의 활성층(미도시)와 구동 트랜지스터(Qd)의 활성층(211)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유기발광 다이오드(L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기발광 다이오드(LD)는 전면발광형으로 제공되어, 상부 방향(DR3)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LD)는 제1 전극(AE), 유기층(OL), 및 제2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보호막(230)에 형성된 콘택홀(CH3)을 통해 드레인 전극(217)에 연결된다.
제1 전극(AE)은 화소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은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AE)이 반투과형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인 경우, 제1 전극(AE)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금속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AE)은 ITO, Ag 또는 금속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단일층 구조, ITO/Mg 또는 ITO/MgF의 2층 구조 또는 ITO/Ag/ITO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층(OL)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유기층(OL)은 유기 발광층 이외에,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2 전극(CE)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층(OL) 내부의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된다. 유기 발광층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제2 전극(CE)은 유기층(OL)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공통 전극 또는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투과형 전극 또는 반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CE)이 투과형 또는 반투과형 전극인 경우, 제2 전극(CE)은 Li, Liq, Ca, LiF/Ca, LiF/Al, Al, Mg, BaF, Ba, A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보조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고, Mo, Ti, Ag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발광 소자층(130)은 보호막(230) 상에 배치된 화소 정의막(PD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평면상에서 화소 영역(PA)의 경계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표시 패널(100)의 상면(102)을 제공한다. 봉지층(140)은 유기발광 소자층(130)을 외부의 수분 및 공기들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봉지 기판(141)과 실링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미도시)는 봉지 기판(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봉지 기판(141)과 함께 유기발광 다이오드(LD)를 밀봉할 수 있다. 봉지 기판(141) 및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143)은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 공간(143)은 질소 질소(N2)로 채워지거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충전 부재로 채워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봉지층(140)은 박막 형태의 유기막 및 무기막이 복수회 적층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GRA)의 경계를 따라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을 커팅한다(S20).
S20 단계는, 표시 모듈(10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DR3)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을 커팅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CO2 레이저 소스를 사용하거나 UV 레이저 소스를 이용하여 조사될 수 있다. CO2 레이저 소스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9.1 ㎛ 내지 10.7 ㎛일 수 있다. UV 레이저 소스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장은 360 ㎚ 이하일 수 있다.
S20 단계는, 제1 영역(GRA)의 제1 경계(EG1)를 따라 레이저 광(LZ1)을 조사하는 단계와 제1 영역(GRA)의 제2 경계(EG2)를 따라 레이저 광(LZ2)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 단계가 수행된 후,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는 제1 영역(GRA)의 제1 경계(EG1)에 중첩하는 제1 그루브(G1)가 형성되고, 제1 영역(GRA)의 제2 경계(EG2)에 중첩하는 제2 그루브(G2)가 형성된다.
제1 그루브(G1) 및 제2 그루브(G2)는 상부 방향(DR3)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G1)의 내면(GS1) 및 제2 그루브(G2)의 내면(GS2)은 경사질 수 있다.
S20 단계에서, 레이저 광들(LZ1, LZ2)이 조사됨에 따라,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에 접하는 제1 필름(200)의 하면에 버(burr, BR)가 형성될 수 있다. 버(burr)는 레이저 광들(LZ1, LZ2)의 열 에너지에 의해 제1 필름(200)의 일부가 용융(melting)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S20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110)에 전달되는 레이저 광들(LZ1, LZ2) 각각의 파워는 1 W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에 전달되는 레이저 광들(LZ1, LZ2) 각각의 파워가 1 W 이하일 때, 표시 패널(100)의 하면(101)이 손상되지 않고,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그루브들(G1, G2)이 형성됨에 따라,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1 부분(11)이 노출된다.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1 부분(11)에는 물리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의 레이저 광이 조사되므로,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1 부분(11)은 평탄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2 부분(12)도 평탄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1 부분(11) 내에 제1 경계(EG1) 및 제2 경계(EG2)가 설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S20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점착층(400)의 점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1 영역(GRA) 내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점착층(400)의 점착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를 제거한다(S30).
S30 단계에 의해 제1 영역(GRA) 내에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가 제거된 그루브(GR)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GR)에 의해 노출된 베이스 기판(110)의 하면(101)의 제3 부분(13)은 제1 영역(GRA)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표시 패널(100)에 점착층(400)과 제1 필름(200)을 전면적으로 형성한 후, 타켓 영역 내에 배치된 점착층(400)의 일부와 제1 필름(200)의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표시 패널(100)에 타켓 영역을 제외하고 점착층과 제1 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에 비해 공정이 단순화 되고, 제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도 9는 실험 대상에 1 W 초과의 레이저 광을 조사한 후의 사진이고, 도 10은 실험 대상에 1 W 이하의 레이저 광을 조사한 후의 사진이다. 도 9 및 도 10은 실험 대상의 탑-뷰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실험 대상은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진 제1 부재(30)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제2 부재(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레이저 광은 가로 방향(DRH)을 따라 레이저 조사 영역(LRA) 내에 조사되었다.
도 9를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 영역(LRA) 내에서 제1 부재(30) 및 제2 부재(40)가 물리적으로 가공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레이저 조사 영역(LRA) 내에서 제2 부재(40)가 물리적으로 가공되고, 제1 부재(30)가 물리적으로 가공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점착층(400)의 두께가 10 ㎛ 정도인 경우, 레이저 소스로 제어할 수 있는 깊이 마진을 고려할 때, 점착층(400) 까지만 정확하게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이미드에 전달되는 레이저 파워가 1 W 이하인 경우, 폴리이미드는 물리적으로 가공되지 않으므로, 베이스 기판(110)에 손상없이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모기판(2000)에서 더미 부분(DM)을 제거하여 표시 모듈들(1000)을 모기판(20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모듈들(1000)을 모기판(20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은 S20 내지 S4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표시 모듈(1000)을 제1 영역(GRA) 내에 설정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기준축을 중심으로 벤딩한다. 이때 표시 모듈(1000)은 그루브(GR)에 의해 분리된 제1 필름(200)의 두 개의 부분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도 11은 레이저 파워에 따른 폴리이미드의 결정화 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ref는 폴리이미드에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기준 조건이고, 이 때의 결정화 정도를 100%로 설정하였다. 0.3 W, 0.36 W, 0.42 W, 0.48 W, 0.54 W, 0.6 W의 레이저 파워로 각각 3회씩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레이저 파워는 레이저 빔의 스팟 사이즈의 변경 없이 레이저 소스의 반복률(rep rate)을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제어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레이저의 파워를 증가시키더라도 폴리이미드의 결정화 정도가 기준 조건의 95% 이상을 유지하였고, 동일한 레이저 파워로 3회 조사한 경우에도 폴리이미드의 결정화 정도가 기준 조건의 95% 이상을 유지하였다. 또한, 레이저를 조사한 경우, 폴리이미드의 결정화 정도는 5% 범위 내에서 기준 조건 보다 낮았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폴리이미드에 특정 범위 이내의 파워를 갖는 레이저 광이 조사되었을 때 물리적으로 가공되지 않으나, 5 % 이내에서 결정화도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II-II`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11 단계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S1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S21 단계는 제1 영역(GRA)의 제1 경계(EG1)를 따라 레이저 광(LZ11)을 조사하는 단계, 제1 경계(EG1)에 평행한 가상선들(AG1, AG2)을 따라 제1 영역(GRA) 내에 적어도 1회 이상의 레이저 광(LZ12, LZ13)을 조사하는 단계, 및 제1 영역(GRA)의 제2 경계(EG2)를 따라 레이저 광(LZ14)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서 제1 영역(GRA) 내에 2 개의 가상선들(AG1, AG2)을 따라 레이저 광(LZ12, LZ13)을 조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3 이상의 가상선들을 따라 레이저광이 조사될 수 있다.
S21 단계에서, 베이스 기판(110)에 전달되는 레이저 광들(LZ11, LZ12, LZ13, LZ14) 각각의 파워는 1 W 이하일 수 있다.
S21 단계가 수행된 후,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는 제1 영역(GRA)의 제1 경계(EG1)에 중첩하는 제1 그루브(G11)이 형성되고, 제1 가상선(AG1)에 중첩하는 제2 그루브(G12)가 형성되고, 제2 가상선(AG2)에 중첩하는 제3 그루브(G13)이 형성되고, 제1 영역(GRA)의 제2 경계(EG2)에 중첩하는 제4 그루브(G14)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그루브들(G11~G14)은 상부 방향(DR3)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폭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를 제거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표시 모듈(1001)에서 제1 및 제2 그루브들(G11, G12) 사이에 제1 필름(200)의 제1 일부(201)와 점착층(400)의 제1 일부(40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그루브들(G12, G13) 사이에 제1 필름(200)의 제2 일부(202)와 점착층(400)의 제2 일부(4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그루브들(G13, G14) 사이에 제1 필름(200)의 제3 일부(203)와 점착층(400)의 제3 일부(40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루브(G12)에 의해 제1 필름(200)의 제1 일부(201)와 점착층(400)의 제1 일부(401)는 제1 필름(200)의 제2 일부(202)와 점착층(400)의 제2 일부(403)와 분리될 수 있다. 제3 그루브(G13)에 의해 제1 필름(200)의 제2 일부(202)와 점착층(400)의 제2 일부(402)는 제1 필름(200)의 제3 일부(203)와 점착층(400)의 제3 일부(403)와 분리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를 제거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그루브들(G11~G14)을 형성하여 표시 모듈(1001)은 제1 영역(GRA) 내에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다만, 도 12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한 구조가 도 14의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21 단계에서 제1 영역(GRA) 내에 3 이상의 가상선들을 따라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GRA) 내에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 중첩하는 다수의 그루브들을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1 영역(GRA) 내에 배치된 제1 필름(200)의 일부 및 점착층(400)의 일부를 별도의 공정을 통해 떼어낼 필요 없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유기발광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도 16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 장치(DP)는 표시 모듈(1000), 연성인쇄회로기판(FPC), 및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은 플렉서블 배선기판(122) 및 구동 회로칩(125)을 포함한다. 구동 회로칩(125)은 플렉서블 배선기판(122)의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이 구동 회로칩(125)을 포함하는 경우, 표시 패널(100)의 패드 영역(미 도시)에는 데이터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패드들 및 제어신호 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신호 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은 화소내에 배치된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제어신호 배선들은 스캔 구동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회로칩은 표시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NA)에 실장되고, 연성인쇄회로기판(FPC)은 플렉서블 배선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플렉서블 배선기판(122)을 통해 표시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회로칩(125)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표시 패널(100)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으로 영상 데이터, 제어신호, 전원전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능동소자 및 수동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CB)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에 연결되는 패드부(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00)은 상부 방향(DR3)으로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모듈(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통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하, 표시 모듈(10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따른다.
표시 모듈(100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기준축(AX)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기준축(AX)은 표시 모듈(1000)의 하부에 설정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00)은 그루브(GR)에 의해 분리된 제1 필름(200)의 두 개의 부분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00)은 제1 영역(GRA) 내에서 벤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00)에 벤딩된 벤딩 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 이외의 영역에서 표시 모듈(1000)은 평탄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제1 영역(GRA)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점착층(400) 및 제1 필름(200)은 벤딩되었을 때 복원력을 갖고, 표시 모듈(1000)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벤딩 영역(BA) 내에 점착층(400) 및 제1 필름(200)을 제거하는 것이 표시 모듈(1000)을 벤딩하기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 벤딩 영역(BA)에 중첩하는 그루브(GR)가 제공됨으로써, 표시 모듈(1000)은 벤딩 영역(BA)에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고, 더욱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모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 모듈(1002)은 표시 패널(100), 제1 필름(200), 제2 필름(300), 및 점착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200)에는 제1 영역(GRA)과 중첩하는 필름 그루브(GR1)가 제공될 수 있다. 점착층(400)에는 제1 영역(GRA)과 중첩하는 점착 그루브(GR2)가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은 제1 부분(111), 제2 부분(112), 및 제3 부분(113)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부분(111)은 필름 그루브(GR1) 및 점착 그루브(GR2)에 의해 노출되고 점착 그루브(GR2)의 내면(40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분(112)은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부분(113)은 필름 그루브(GR1) 및 점착 그루브(GR2)에 의해 노출되고, 제1 부분(111)에 의해 제2 부분(11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부분(111)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S20 단계에서 레이저 광들(LZ1, LZ2)이 조사된 베이스 기판(110)의 일부일 수 있다. 제2 부분(112) 및 제3 부분(113)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S20 단계에서 레이저 광들(LZ1, LZ2)이 조사되지 않은 베이스 기판(110)의 일부일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0)의 제1 부분(111)은 베이스 기판(110)의 제2 부분(112) 및 제3 부분(113) 각각에 비해 5% 이내의 결정화도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110)의 제1 부분(111)은 베이스 기판(110)의 제2 부분(112) 및 제3 부분(113) 각각에 비해 5% 이내에서 더 작은 결정화도를 갖는다. 제2 부분(112) 및 제3 부분(113)은 서로 동일한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필름 그루브(GR1)를 제공하는 제1 필름(200)의 내면(201) 및 점착 그루브(GR2)를 제공하는 점착층(400)의 내면(401)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에서 제1 필름(200)의 내면(201)과 점착층(400)의 내면(401)은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필름(200)의 내면(201)과 점착층(400)의 내면(401) 각각과 베이스 기판(110)의 제2 부분(112)의 하면이 이루는 각도(θ)는 예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S20 단계가 상부 방향(DR3)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수행되기 때문이다.
표시 모듈(1002)은 필름 그루브(GR1)와 접하는 제1 필름(200)의 하면에 배치된 버(BR)를 포함할 수 있다. 버(BR)는 S20 단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표시 모듈(1003)에 의하면, 베이스 기판(110)의 제1 부분(111)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는 베이스 기판(110)의 제3 부분(113)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부분(111)의 하면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S20 단계에서 형성되고, 제3 부분(113)의 하면은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S30 단계에서 형성된다. S30 단계에서, 점착층(400)을 베이스 기판(110)으로부터 뜯어내면서 베이스 기판(110)의 제3 부분(113)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가 증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표시 모듈이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4)에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제1 내지 제4 영역들(GRA1~GRA4)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1004)의 층 구조는 도 14, 도 19,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모듈들(1001~1003)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영역들(GRA1~GRA4)에 도 1의 S20 및 S30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1004)은 제1 내지 제4 영역들(GRA1~GRA4)에서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이 제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모듈(1004)에 제1 내지 제4 절개선들(CL1~CL4)이 제공된다. 제1 내지 제4 절개선들(CL1~CL4)을 따라 표시 모듈(1004)은 커팅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4)은 제1 및 제2 영역들(GRA1, GRA2) 각각 내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표시 모듈(1004)은 제3 및 제4 영역들(GRA3, GRA4) 각각 내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선을 기준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는 표시 모듈(1004)의 4 변을 따라 정의된 제1 내지 제4 영역들(GRA1~GRA4)에서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이 제거되고, 표시 모듈(1004)이 4변을 따라 벤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의 2 또는 3 변을 따라 제1 필름 및 점착층이 제거되고, 표시 모듈이 2 또는 3 변을 따라 벤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유기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6은 유기발광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에서 도 24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 장치(DP1)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발광 표시 장치(DP)와 비교하여 제1 영역의 위치, 즉 그루브가 제공된 위치가 상이하다.
유기발광 표시 장치(DP1)는 표시 모듈(1100)을 포함한다. 표시 모듈(1100)에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0)에는 제1 영역(GRR)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GRR)은 표시 영역(DA)과 중첩할 수 있다. 제1 영역(GRR)은 표시 영역(DA)을 가로지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제1 영역(GRR)에 중첩하는 점착층(400) 및 제1 필름(200)은 제거될 수 있다. 즉,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 제1 영역(GRR)에 중첩하는 그루브(GRX)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0)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기준축(AX1)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기준축(AX1)은 표시 모듈(1100)의 하부에 설정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0)은 그루브(GRX)에 의해 분리된 제1 필름(200)의 두 개의 부분들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0)은 제1 영역(GRR) 내에서 벤딩될 수 있다. 표시 모듈(1100)에 벤딩된 벤딩 영역(BA1)이 정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1) 이외의 영역에서 표시 모듈(1100)은 평탄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1)은 제1 영역(GRR)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필름(200) 및 점착층(400)에 벤딩 영역(BA1)에 중첩하는 그루브(GRX)가 제공됨으로써, 표시 모듈(1100)은 벤딩 영역(BA1)에서 더욱 작은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패널 110: 베이스 기판
120: 구동층 130: 유기발광 소자층
140: 봉지층 200: 제1 필름
300: 제2 필름 400: 점착층

Claims (21)

  1.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 하부에 배치된 제1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제1 영역이 정의된 표시 모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경계를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에서 상기 상면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전달되는 상기 레이저 광의 파워가 1 W 이하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은 CO2 레이저 광 또는 UV 레이저 광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O2 레이저 광은 9.1 ㎛ 내지 10.7 ㎛ 파장을 갖고,
    상기 UV 레이저 광은 360 ㎚ 이하의 파장을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제1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경계에 상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경계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2 경계에 상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을 커팅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면의 제1 부분이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은 평탄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된 상기 제1 필름의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필름 그루브가 제공된 제1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그루브와 중첩하는 점착 그루브가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에 의해 노출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1 부분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과 중첩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제2 부분은 서로 5% 이내의 결정화도 차이를 갖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에 비해 더 낮은 결정화도를 갖는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점착 그루브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3 부분에 비해 5% 이내에서 더 작은 결정화도를 갖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서로 동일한 결정화도를 갖는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의 표면 거칠기 보다 작은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그루브를 제공하는 상기 제1 필름의 내면 및 상기 점착 그루브를 제공하는 상기 점착층의 내면 각각과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기 제2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인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그루브에 접하는 상기 제1 필름의 하면에 제공된 버(burr)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상기 비표시 영역 내에 제공된 표시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제공된 표시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는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제1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상기 필름 그루브 및 상기 점착 그루브와 중첩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기준축을 기준으로 휘어진 표시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PET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서로 대향하는 하면과 상면을 갖고, 제1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1 그루브가 제공된 제1 필름;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과 상기 제1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중첩하는 제2 그루브가 제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하면을 제공하고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상기 베이스 기판을 노출하는 복수의 그루브들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영역 내에서 상기 그루브들에 의해 상기 제1 필름의 제1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제1 일부는 상기 제1 필름의 제2 일부 및 상기 점착층의 제2 일부와 분리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072734A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4A KR102597464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409,319 US10056568B2 (en) 2016-06-10 2017-01-18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7167641.4A EP3255694B1 (en) 2016-06-10 2017-04-21 Display device
CN201710426020.9A CN107492556B (zh) 2016-06-10 2017-06-08 显示设备
TW106119338A TWI749017B (zh) 2016-06-10 2017-06-09 顯示裝置
JP2017114738A JP6937617B2 (ja) 2016-06-10 2017-06-09 表示装置
TW110142092A TWI825509B (zh) 2016-06-10 2017-06-09 顯示裝置
US16/105,872 US10553802B2 (en) 2016-06-10 2018-08-2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737,289 US11031565B2 (en) 2016-06-10 2020-01-08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341,335 US11711964B2 (en) 2016-06-10 2021-06-07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lm having a groove and a bur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34A KR102597464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489A true KR20170140489A (ko) 2017-12-21
KR102597464B1 KR102597464B1 (ko) 2023-11-06

Family

ID=5871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34A KR102597464B1 (ko) 2016-06-10 2016-06-10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056568B2 (ko)
EP (1) EP3255694B1 (ko)
JP (1) JP6937617B2 (ko)
KR (1) KR102597464B1 (ko)
CN (1) CN107492556B (ko)
TW (2) TWI74901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194A (ko) 2018-05-31 2019-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62713B2 (en) 2018-10-05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626580B2 (en) 2020-03-13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using laser irradiation
US11744095B2 (en) 2020-03-1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top substrate having grooves including reflective layer, color, and quantum dot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464B1 (ko) * 2016-06-10 2023-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90923B1 (ko) * 2017-09-28 2023-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081660B2 (en) *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CN110497091A (zh) * 2018-05-18 2019-11-26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的加工方法及装置
KR102580292B1 (ko) 2018-05-29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를 위한 레이저 가공 장치
CN110570754B (zh) * 2018-06-05 2022-01-04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以及柔性显示面板
CN108890123B (zh) * 2018-06-25 2020-06-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激光剥离和激光切割的设备系统及其操作方法
JP7444851B2 (ja) * 2018-08-07 2024-03-06 デュポ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ためのポリマー
KR102471275B1 (ko) * 2019-01-24 2022-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온 필름(cof)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1540A (ko) * 2019-07-22 2021-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62331B1 (en) * 2019-10-11 2020-09-01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3D) depth and two-dimensional (2D) imag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tainer door status recognition
KR20210044342A (ko) * 2019-10-14 2021-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기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63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4573B2 (en) * 2001-12-11 2007-05-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at includes patterning sub-islands
JP4137459B2 (ja) * 2002-02-07 2008-08-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US6906343B2 (en) * 2002-03-26 2005-06-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KR20050073855A (ko) * 2004-01-12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셔블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83601A (ja) * 2006-04-14 2007-11-01 Sony Corp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107440A (ja) * 2006-10-24 2008-05-08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KR101203106B1 (ko) 2010-04-05 2012-11-20 김원옥 씨오피층이 포함된 다층필름의 레이저 절단방법
KR20110114089A (ko) * 2010-04-12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07848B1 (ko) * 2010-08-17 2017-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37868A (ko) 2011-06-13 2012-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패널용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및 보호 필름 제거 방법
KR20130013515A (ko) 2011-07-28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03476B1 (ko) * 2012-03-08 201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802B1 (ko) 2012-07-26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945444B1 (ko) 2012-09-10 2019-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제조용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KR101960745B1 (ko) 2012-11-14 2019-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표시소자 절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연성 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1989809B1 (ko) 2012-11-14 2019-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400B1 (ko) * 2012-11-29 2019-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리어 기판의 박리 장치, 캐리어 기판의 박리 방법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5484B1 (ko) * 2012-12-05 2019-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324959B2 (en) 2013-07-12 2016-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35703B1 (ko) 2014-02-12 2021-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501755B2 (ja) 2014-03-19 2019-04-1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電子素子封止用積層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342846B1 (ko) * 2014-04-28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51666B1 (ko) * 2014-07-14 2022-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구비한 플랙서블 표시 장치
EP3012288A1 (en) * 2014-10-21 2016-04-27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for laser beam cutting applications
PL3291989T3 (pl) * 2015-05-04 2020-01-31 Flint Group Germany Gmbh Płyta do druku tamponowego dająca się grawerować laserem
KR102597464B1 (ko) * 2016-06-10 2023-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63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194A (ko) 2018-05-31 2019-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678501B2 (en) 2018-05-31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462713B2 (en) 2018-10-05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626580B2 (en) 2020-03-13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using laser irradiation
US11744095B2 (en) 2020-03-19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top substrate having grooves including reflective layer, color, and quantum dot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37617B2 (ja) 2021-09-22
EP3255694A1 (en) 2017-12-13
US11711964B2 (en) 2023-07-25
US20200144523A1 (en) 2020-05-07
US20180358567A1 (en) 2018-12-13
TW201800810A (zh) 2018-01-01
US11031565B2 (en) 2021-06-08
EP3255694B1 (en) 2022-04-20
CN107492556A (zh) 2017-12-19
KR102597464B1 (ko) 2023-11-06
US10056568B2 (en) 2018-08-21
JP2017219848A (ja) 2017-12-14
TWI825509B (zh) 2023-12-11
US20210296601A1 (en) 2021-09-23
US20170358762A1 (en) 2017-12-14
TWI749017B (zh) 2021-12-11
US10553802B2 (en) 2020-02-04
TW202219601A (zh) 2022-05-16
CN107492556B (zh)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259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7464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25062B2 (en) Display device having film with protruding portion
US114764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7347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88749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00878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