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632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632A
KR20150007632A KR1020130081875A KR20130081875A KR20150007632A KR 20150007632 A KR20150007632 A KR 20150007632A KR 1020130081875 A KR1020130081875 A KR 1020130081875A KR 20130081875 A KR20130081875 A KR 20130081875A KR 20150007632 A KR20150007632 A KR 2015000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lower member
b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426B1 (ko
Inventor
남궁준
김광혁
박순룡
소정호
정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426B1/ko
Priority to US14/138,892 priority patent/US90484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0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632A/ko
Priority to US14/726,357 priority patent/US9196848B2/en
Priority to US14/726,101 priority patent/US9324959B2/en
Priority to US14/886,338 priority patent/US9570693B2/en
Priority to US15/134,641 priority patent/US97419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하부 부재,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그루브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display)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lexible AM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과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주변 영역(dead space)은 표시 패널의 배선 및 회로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을 줄이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2차원적으로,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을 줄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을 줄이는 다른 방법으로, 주변 영역을 벤딩(bending) 또는 폴딩(folding)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패널을 벤딩(bending) 또는 폴딩(folding)하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패널의 상면은 편광판, 터치 패널, 윈도우를 포함하고, 패널의 하면은 하부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두꺼운 패널을 벤딩 또는 폴딩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또한 패널을 무리하게 벤딩 또는 폴딩하는 경우, 패널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꺼운 패널을 벤딩 또는 폴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주변 영역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영역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그루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중립면(neutral plane; NP)이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부 부재는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제1 그루브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1 그루브들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2 그루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을 포위하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 영역의 나머지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하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하부 부재 상에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여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중립면(neutral plane; NP)이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제1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1 그루브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2 그루브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을 포위하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 영역의 나머지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그루브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일부를 벤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그루브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주변 영역을 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로 자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하부, 제2 및 상부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하부 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상부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상부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패드부(130) 및 주변부(15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의 양측부의 배면은 주변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패드부(130) 및 주변부(150)에 의해 포위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편광판(polarizer), TFE(thin film encapsulation) 유리 기판, 유기층,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유리 기판, 이중 PI 및 하부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패드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패드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패드부(13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부(130)는 데이터 구동 회로부, 인쇄 회로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주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주변부(15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패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주변부(150)는 패드부(130)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부(150)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의 양측부의 배면에 배치한 상기 주변부(도시하지 않음)는 전원 배선, 온-오프 스위치 배선, 레퍼런스 배선 및 게이트 구동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을 A-A'로 자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하부 부재(210), 표시 패널(170), 상부 부재(190), 화소 영역(I), 주변 영역(II), 그루브 영역(III) 및 접촉 영역(IV)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210)는 이중 PI, 하부 필름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및 하부 필름 PET(polyethylene terphthalate)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실질적으로, 하부 부재(210)의 상기 이중 PI는 표시 패널(170)의 하부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70)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이중 PI의 두께는 대략 2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PI는 배리어(barrier), 상부 PI(top PI), 하부 PI(bottom PI)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배리어의 두께는 대략 1㎛, 상기 상부 PI의 두께는 대략 10㎛, 상기 하부 배리어의 둘께는 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 및 상기 상부 PI는 표시 패널(170)에 포함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하부 부재(210)는 상기 이중 PI의 상기 하부 P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PI는 폴리마이드(polymide)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210)의 상기 제1 하부 필름 PSA는 상기 이중 PI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중 PI와 상기 하부 필름 PET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SA의 두께는 대략 25㎛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필름 PSA는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ET는 상기 하부 필름 PSA의 하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17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ET의 두께는 대략 75㎛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필름 PET는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MPPO)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70)은 하부 부재(210) 상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170)은 하부 기판, 유기층,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상기 유기층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유기층의 두께는 대략 7.7㎛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 기판의 두께는 대략 6㎛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기판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기판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190)는 표시 패널(170) 상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부 부재(190)는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 상에 터치스크린 패널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플라스틱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AgNW),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윈도우는 투명도가 95% 이상인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190)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대략 15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17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화소 영역(I)은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주변 영역(II)은 화소 영역(I)을 포위하고,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주변 영역(II)은 표시 장치(100)의 전원 배선, 온-오프 스위치 배선, 레퍼런스 배선, 게이트 구동 회로부 및 실런트(sealan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 영역(III)은 화소 영역(I) 및 주변 영역(II)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 영역(III)은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부 부재(190) 및 하부 부재(21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영역이다. 예를 들어, 그루브 영역(III)에서 상부 부재(190)가 제거된 부분을 제1 그루브 및 하부 부재(210)가 제거된 부분을 제2 그루브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CO2 레이저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 영역(III)의 길이는 300㎛ 내지 16mm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하부 부재(210)는 중립면(neutral plane; N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00)를 벤딩하면 파괴될 수 있다. 반면에,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하는 경우, 그루브 영역(III)내에 배치된 표시 패널(170)은 중립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170)의 그루브 영역(III)은 파괴되지 않고,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벤딩되는 그루브 영역(III)은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0.15mm 내지 8mm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어떤 물체를 벤딩할 경우, 단면상에서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는 면을 상기 중립면이라 한다.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물체일 경우, 상기 중립면은 상기 물체의 중간면과 일치한다. 반면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 복합재(composite material)일 경우, 상기 중립면은 상기 복합재의 중간면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상기 중립면은 하부 부재(210)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립면을 바꾸기 위해,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한다.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할 경우, 상기 중립면은 표시 패널(170)에 형성할 수 있다.
접촉 영역(IV)은 그루브 영역(III)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영역(IV)은 상부 부재(190)의 일부, 표시 패널(170)의 일부 및 하부 부재(2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 영역(III)이 벤딩될 경우, 접촉 영역(IV)은 하부 부재(21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하부 부재(210) 상에 표시 패널(170)을 형성하고, 표시 패널(170) 상에 상부 부재(190)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00)는 화소 영역(I) 및 주변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의 주변 영역(II)의 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는 표시 패널(170) 상에 하부 부재(21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부 부재(19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는 그루브 영역(III) 상에 상부 부재(190) 및 하부 부재(210)를 포함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주변 영역(II)의 일부에 그루브 영역(III)을 생성하고, 그루브 영역(III)의 외측에 접촉 영역(IV)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그루브 영역(III)은 표시 패널(170)의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그루브 영역(III)의 길이는 300㎛ 내지 16mm를 가질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그루브 영역(III)을 벤딩하고, 접촉 영역(IV)을 하부 부재(210)의 배면에 배치시킨다. 벤딩되는 그루브 영역(III)은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원의 반지름은 0.15mm 내지 8mm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 영역(IV)의 하부 부재(210)와 화소 영역(I)의 하부 부재(210)의 배면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00)의 그루브 영역(III)은 화소 영역(I)의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00)는 반으로 접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루브 영역(III)을 구비하고, 그루브 영역(III)을 벤딩하며, 주변 영역(II)을 표시 장치(100)의 배면으로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00)의 배면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는 데드 스페이스 프리(dead space free)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00)는 하부 부재(310), 표시 패널(370), 상부 부재(390), 화소 영역(I), 주변 영역(II), 제1 그루브 영역(V), 제2 그루브 영역(VI) 및 접촉 영역(VII, VIII)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310)는 이중 PI, 하부 필름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및 하부 필름 PET(polyethylene ter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실질적으로, 하부 부재(310)의 상기 이중 PI는 표시 패널(370)의 하부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370)의 하면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이중 PI의 두께는 대략 2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PI는 배리어(barrier), 상부 PI(top PI), 하부 PI(bottom PI)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배리어의 두께는 대략 1㎛, 상기 상부 PI의 두께는 대략 10㎛, 상기 하부 배리어의 둘께는 1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 및 상기 상부 PI는 표시 패널(170)에 포함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하부 부재(210)는 상기 이중 PI의 상기 하부 P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PI는 폴리마이드(polymide)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재(310)의 상기 제1 하부 필름 PSA는 상기 이중 PI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이중 PI와 상기 하부 필름 PET를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SA의 두께는 대략 25㎛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필름 PSA는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실리콘 계열의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ET는 상기 하부 필름 PSA의 하면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370)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필름 PET의 두께는 대략 75㎛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필름 PET는 폴리에틸렌 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술폰(polysulfone PSul), 폴리에틸렌(polyethyene PE), 폴리프탈라미트(polyphthalamide PPA),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리레이트(polyarylate; PAR), PCO,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odified polyphenylene oxide MPPO)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70)은 하부 부재(310) 상에 배치된다. 표시 패널(370)은 하부 기판, 유기층, 상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상기 유기층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층은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기판과 유기층의 두께는 대략 7.7㎛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 기판의 두께는 대략 6㎛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기판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기판은 TFE(thin film encapsulation)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390)는 표시 패널(370) 상에 배치된다. 실질적으로, 상부 부재(390)는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를 포함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 상에 터치스크린 패널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플라스틱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은 ITO(Indium Tin Oxide), ZnO(zinc oxide), 그래핀(graphene), 은 나노와이어(Ag nanowire; AgNW),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윈도우는 투명도가 95% 이상인 플라스틱 계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부재(390)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의 두께는 대략 153㎛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17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화소 영역(I)은 표시 장치(30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주변 영역(II)은 화소 영역(I)을 포위하고, 표시 장치(30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주변 영역(II)은 표시 장치(300)의 전원 배선, 온-오프 스위치 배선, 레퍼런스 배선, 게이트 구동 회로부 및 실런트(seala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은 화소 영역(I) 및 주변 영역(II)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은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부 부재(390) 및 하부 부재(310)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영역이다. 예를 들어, 그루브 영역(III)에서 상부 부재(190)가 제거된 부분을 제1 그루브 및 하부 부재(210)가 제거된 부분을 제2 그루브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CO2 레이저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의 길이는 300㎛ 내지 16mm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하부 부재(310)는 중립면(neutral plane; NP)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300)를 벤딩하면 파괴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을 형성할 경우, 표시 패널(370)은 중립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370)의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은 파괴되지 않고,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벤딩되는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은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0.15mm 내지 8mm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어떤 물체를 벤딩할 경우, 단면상에서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는 면을 상기 중립면이라 한다.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물체일 경우, 상기 중립면은 상기 물체의 중간면과 일치한다. 반면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구성된 복합재(composite material)일 경우, 상기 중립면은 상기 복합재의 중간면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상기 중립면은 하부 부재(210)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립면을 바꾸기 위해,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한다. 그루브 영역(III)을 형성할 경우, 상기 중립면은 표시 패널(170)에 형성할 수 있다.
접촉 영역(VII, VIII)은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영역(VII, VIII)은 상부 부재(390)의 일부, 표시 패널(370)의 일부 및 하부 부재(31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제2 그루브 영역(VI)이 벤딩될 경우, 접촉 영역(VII, VIII)은 하부 부재(310)의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하부 부재(310) 상에 표시 패널(370)을 형성하고, 표시 패널(370) 상에 상부 부재(390)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300)는 화소 영역(I) 및 주변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300)의 주변 영역(II) 및 화소 영역(I)의 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 조사는 표시 패널(370) 상에 하부 부재(31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부 부재(39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조사는 그루브 영역(V, VI) 상에 상부 부재(390) 및 하부 부재(310)를 포함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주변 영역(II)의 일부에 제1 그루브 영역(V)을 생성하고, 화소 영역(I)의 일부에 제2 그루브 영역(VI)을 생성한다. 그루브 영역(V, VI)의 외측에 접촉 영역(VII, VIII)을 생성한다. 제1 그루브 영역(V) 및 접촉 영역(VII)은 주변 영역(II)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그루브 영역(VI) 및 접촉 영역(VIII)은 주변 영역(II) 및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은 표시 패널(370)의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의 길이는 300㎛ 내지 16mm를 가질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을 벤딩하고, 접촉 영역(VII, VIII)을 하부 부재(310)의 배면에 배치시킨다. 벤딩되는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은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원의 반지름은 0.15mm 내지 8mm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촉 영역(VII)의 하부 부재(310)와 화소 영역(I)의 하부 부재(310)의 배면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접촉 영역(VIII)의 하부 부재(310)와 화소 영역(I)의 하부 부재(310)의 배면은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접촉 영역(VIII)은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의 후면은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화소 영역(I)으로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 영역(I)의 나머지 영역은 표시 장치(300)의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촉 영역(VII, VIII)이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할 경우, 표시 장치(300)의 후면의 양측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화소 영역(I)의 나머지 영역은 표시 장치(300)의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그루브 영역(V, VI)을 벤딩하며, 주변 영역(II)을 표시 장치(300)의 배면으로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300)의 배면에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의 전면에는 데드 스페이스 프리(dead space free)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루브 영역(VI)에 의해 접촉 영역(VIII)은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300)의 배면은 화소 영역(I)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화소 영역(I)으로부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500)는 하부 부재(510), 표시 패널(570) 및 상부 부재(59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5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표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5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표시 장치(500)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과정도 유사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500)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표시 패널(570) 상에 하부 부재(51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부 부재(59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부재(590)가 제거된 복수의 제1 그루브들은 표시 패널(570)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하부 부재(510)가 제거된 복수의 제2 그루브들은 표시 패널(570)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에 조사되는 레이저는 연속적인(continuing) 조사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500)에 조사되는 레이저는 불연속적인(discrete) 조사를 할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570)이 중립면을 포함할 수 있도록 불연속적인 레이저 조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피디에이(PDA), 네비게이션, GPS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500: 표시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30: 패드부 150: 주변부
170, 370, 570: 표시 패널 190, 390, 590: 상부 부재
210, 310, 510: 하부 부재 I: 화소 영역
II: 주변 영역 III: 그루브 영역
IV, VII, VIII: 접촉 영역 V: 제1 그루브 영역
VI: 제2 그루브 영역

Claims (20)

  1. 하부 부재;
    상기 하부 부재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상부 부재;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제거된 그루브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중립면(neutral plane; NP)이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는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제1 그루브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제2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1 그루브들;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2 그루브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을 포위하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 영역의 나머지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하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하부 부재 상에 유기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상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제거하여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 및 상기 하부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부분에서 중립면(neutral plane; NP)이 상기 표시 패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편광판(polarizer; POL),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및 플라스틱 윈도우(plastic window)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제1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1 그루브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이 벤딩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부재가 제거된 복수의 제2 그루브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을 포위하는 주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화소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배면에 위치한 상기 화소 영역의 상기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화소 영역의 나머지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081875A 2013-07-12 2013-07-12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875A KR102046426B1 (ko) 2013-07-12 2013-07-12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138,892 US9048443B2 (en) 2013-07-12 2013-12-23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726,357 US9196848B2 (en) 2013-07-12 2015-05-2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726,101 US9324959B2 (en) 2013-07-12 2015-05-2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4/886,338 US9570693B2 (en) 2013-07-12 2015-10-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134,641 US9741952B2 (en) 2013-07-12 2016-04-21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875A KR102046426B1 (ko) 2013-07-12 2013-07-12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632A true KR20150007632A (ko) 2015-01-21
KR102046426B1 KR102046426B1 (ko) 2019-12-03

Family

ID=5227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875A KR102046426B1 (ko) 2013-07-12 2013-07-12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48443B2 (ko)
KR (1) KR102046426B1 (ko)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542A (ko) * 2015-01-27 2016-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460644B2 (en) 2014-04-28 2016-10-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485858B2 (en) 2013-11-28 2016-1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57077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718263B2 (en) 2014-10-14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US9793512B2 (en) 2016-03-21 2017-10-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70116303A (ko) * 2016-04-08 2017-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811120B2 (en) 2013-11-28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140489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30276A (ko) * 2016-09-12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9941485B2 (en) 2015-12-23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39971B2 (en) 2014-09-03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9939846B2 (en) 2014-02-12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10340477B2 (en) 2017-09-06 2019-07-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0355241B2 (en) 2016-12-16 2019-07-1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ending area
US10522785B2 (en) 2016-12-08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615366B2 (en) 2016-03-11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727440B2 (en) 2016-07-28 2020-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748973B2 (en) 2016-11-25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film groove having inclined and stepped side surface
US10811623B2 (en) 2017-12-28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916735B2 (en) 2017-11-24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45343B2 (en) 2019-02-12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11314367B2 (en) 2020-04-28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96489B2 (en) 2018-10-31 2023-07-04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curved ed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4959B2 (en) 2013-07-12 2016-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169711A (ja) * 2014-03-05 2015-09-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39300B1 (ko) 2015-04-06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표시장치
KR102341853B1 (ko) 2015-08-12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7116892A1 (en) 2015-12-28 2017-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electronic device with fluid cavity design
KR102572720B1 (ko) 2016-05-0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59601B1 (ko) 2016-06-28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2742A (ko) * 2016-09-22 2018-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벤딩 방법
JP6815159B2 (ja) * 2016-10-14 2021-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80057787A (ko) * 2016-11-22 2018-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80073742A (ko) * 2016-12-22 2018-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패널,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조장치
KR102423192B1 (ko) * 2017-09-06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675438B2 (en) * 2019-02-28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ound provid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KR20200130571A (ko) * 2019-05-09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7616A (ko) * 2019-10-22 2021-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86288A (ko) * 2019-12-31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4162318A1 (en) 2020-06-03 2023-04-12 E Ink Corporation Foldable electrophoretic display module including non-conductive support plate
KR20220096755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666A1 (en) * 2007-07-20 2009-01-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169515A1 (en) * 2011-12-28 2013-07-04 Valeriy Prushinskiy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644B1 (ko) 2004-11-29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제 2 전극 전원공급라인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00653B1 (ko) 2005-02-03 2007-03-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47275B1 (ko) 2005-11-28 200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666A1 (en) * 2007-07-20 2009-01-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169515A1 (en) * 2011-12-28 2013-07-04 Valeriy Prushinskiy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5858B2 (en) 2013-11-28 2016-11-0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9811120B2 (en) 2013-11-28 2017-11-0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15144B2 (en) 2013-11-28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740661B2 (en) 2013-11-28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9939846B2 (en) 2014-02-12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11209868B2 (en) 2014-02-12 2021-1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10678304B2 (en) 2014-02-12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9460644B2 (en) 2014-04-28 2016-10-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939971B2 (en) 2014-09-03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18263B2 (en) 2014-10-14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60092542A (ko) * 2015-01-27 2016-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70057077A (ko) * 2015-11-16 2017-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941485B2 (en) 2015-12-23 2018-04-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672141B2 (en) 2016-03-11 2023-06-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615366B2 (en) 2016-03-11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9793512B2 (en) 2016-03-21 2017-10-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70116303A (ko) * 2016-04-08 2017-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1964B2 (en) 2016-06-10 2023-07-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lm having a groove and a burr
KR20170140489A (ko) * 2016-06-10 2017-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727440B2 (en) 2016-07-28 2020-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30276A (ko) * 2016-09-12 2018-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748973B2 (en) 2016-11-25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film groove having inclined and stepped side surface
US11925062B2 (en) 2016-11-25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ilm with protruding portion
US11195891B2 (en) 2016-11-25 2021-12-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ilm with groove
US10741791B2 (en) 2016-12-08 2020-08-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522785B2 (en) 2016-12-08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355241B2 (en) 2016-12-16 2019-07-1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bending area
US10340477B2 (en) 2017-09-06 2019-07-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10916735B2 (en) 2017-11-24 2021-02-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96288B2 (en) 2017-12-28 2022-04-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690281B2 (en) 2017-12-28 2023-06-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811623B2 (en) 2017-12-28 2020-10-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57041B2 (en) 2017-12-28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696489B2 (en) 2018-10-31 2023-07-04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with curved edg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647595B2 (en) 2019-02-12 2023-05-0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10945343B2 (en) 2019-02-12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apparatus
US11314367B2 (en) 2020-04-28 2022-04-26 Samsung Display Co., Ltd. Digit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426B1 (ko) 2019-12-03
US9048443B2 (en) 2015-06-02
US20150014644A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763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4195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681947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US10274804B1 (en) Thin border displays
CN111384101B (zh) 柔性显示设备和包括柔性显示设备的电子装置
US957069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989783B (zh) 柔性显示器背板组件、带该组件的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338473B1 (ko) 윈도우 커버,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39379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 플레이트 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994677B2 (en) Touch sensing structure
JP2022118229A (ja) 情報処理装置
KR2020004932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1376089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KR10258285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252835B2 (en) Bendable cover, bendable display module, and bendable terminal device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057915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432781B (zh) 顯示裝置、視差屏障觸控板及其製造方法
TWI477853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10185200B1 (en) Thin border displays
KR102537305B1 (ko) 터치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7107A (ko) 터치센서
CN102629020A (zh) 一种具有触摸功能的显示系统
KR2016006117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06060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