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07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077A
KR20170057077A KR1020150160708A KR20150160708A KR20170057077A KR 20170057077 A KR20170057077 A KR 20170057077A KR 1020150160708 A KR1020150160708 A KR 1020150160708A KR 20150160708 A KR20150160708 A KR 20150160708A KR 20170057077 A KR20170057077 A KR 2017005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ending
line
substrat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960B1 (ko
Inventor
권회용
이미름
김도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9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97
    • H01L51/5237
    • H01L51/56
    • H01L2227/32
    • H01L2251/56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수평 영역, 제2 수평 영역 및 상기 제1 수평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영역 사이에 구비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딩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구비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복수의 화소가 마련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Gate in panel; GIP)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30)가 마련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기판(10) 상에 구비된 데이터 패드(22)와 접속한다. 상기 데이터 패드(22)는 데이터 링크 라인(21)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31) 및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31)에 집적된 데이터 구동 회로(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P)는 기판(10) 상에 집적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GIP)는 LOG(line on glass) 배선을 경유하여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31)으로 연장된다.
최근에는 종이처럼 구부리거나 감을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또한 완전히 감을 수는 없지만 벤딩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 LOG 배선이 기판(10)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LOG 배선으로 인해서 벤딩 영역을 형성하는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벤딩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수평 영역, 제2 수평 영역 및 상기 제1 수평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영역 사이에 구비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수평 영역 상에 제1 지지 기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수평 영역 상에 제2 지지 기판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이 제1 수평 영역, 제2 수평 영역 및 벤딩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비록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이 넓게 구성된다 하여도 실질적으로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모서리 영역을 제거하지 않고 벤딩을 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모서리 영역을 제거하고 벤딩을 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벤딩을 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벤딩을 한 이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벤딩을 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벤딩을 하기 위해서는 모서리 영역(C)을 제거해야 하는데, 도 2는 모서리 영역(C)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모서리 영역(C)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상에 구비된 표시 영역(Display Area; DA) 및 비표시 영역(Non Display Area; ND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0)은 벤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상기 기판(100)은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가 데이터 라인에 의해 정의된 각각의 화소 영역에는 표시 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 소자는 회로 소자와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로 소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양극과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 소자와 발광 소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외곽에 구비된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게이트 링크 라인(210), 게이트 패드(220), 게이트 구동부(230), 데이터 링크 라인(310), 데이터 패드(320), 및 데이터 구동부(3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은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패드(220)는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30)는 상기 게이트 패드(220)와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30)는 제1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231) 및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필름(231) 상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 회로(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성 인쇄 회로 필름(231)에는 상기 게이트 패드(220)와 일대일로 접촉하는 리드 배선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COF(Chip On Film)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COG(Chip On Glass)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 상기 게이트 패드(22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230)가 상기 표시 영역(DA)의 좌측 외곽 및 우측 외곽에 각각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 영역(DA)의 좌측 외곽 및 우측 외곽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링크 라인(310)은 상기 표시 영역(DA) 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패드(320)는 상기 데이터 링크 라인(310)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30)는 상기 데이터 패드(320)와 연결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30)는 제2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331) 및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필름(331) 상에 형성된 데이터 구동 회로(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연성 인쇄 회로 필름(331)에는 상기 데이터 패드(320)와 일대일로 접촉하는 리드 배선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COF(Chip On Film)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COG(Chip On Glass)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기 데이터 링크 라인(310), 상기 데이터 패드(32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330)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측 외곽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측 외곽 및 하측 외곽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제1 방향,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제1 벤딩 라인(P1)이 구비되어 있고, 제2 방향, 예로서 가로 방향으로 제2 벤딩 라인(P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벤딩 라인(P1)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좌측 외곽 및 우측 외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 벤딩 라인(P1)은 상기 기판(100)의 하측 끝단에서 상측 끝단까지 곧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측 외곽 및 하측 외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은 상기 기판(100)의 좌측 끝단에서 우측 끝단까지 곧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은 서로 교차한다. 이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제2 벤딩 라인(P2)에 의해서 모서리 영역(C)이 정의된다. 즉, 기판(100)의 좌측 상단과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 총 4개의 모서리 영역(C)이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 영역(C)은 최종적으로 제거되는 영역이며, 이와 같이 모서리 영역(C)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을 통해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상기 모서리 영역(C)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의 네 모서리 영역(C)이 제거되어 있다.
전술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영역 중에서 상기 모서리 영역(C)을 정의하는 영역은 상기 기판(100) 및 후술하는 지지 기판(도 4의 도면부호 510 및 520 참조) 모두가 제거된 상태이다. 즉, 상기 모서리 영역(C)이 제거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 영역(C)을 정의하는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영역에는 어떠한 구성도 존재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모서리 영역(C)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모서리 영역(C)을 정의하는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영역이 기판(100)의 최외곽 라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표시 영역(DA)의 좌측 외곽 및 우측 외곽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측 외곽 및 하측 외곽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구조를 이루게 되며, 사각형 구조의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을 기준으로 하여 그 외곽부를 벤딩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3을 가로 방향으로 자른 단면에 해당한다. 특히, 도 4는 벤딩을 하기 이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벤딩을 한 이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게이트 라인(200), 게이트 링크 라인(210), 게이트 패드(220), 표시 소자(400), 지지 기판(510, 520), 및 결합 부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예로서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200), 게이트 링크 라인(210), 및 게이트 패드(220)는 상기 기판(100)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20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은 상기 게이트 라인(200)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패드(220)는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200), 게이트 링크 라인(210), 및 게이트 패드(220)는 전체적으로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상기 게이트 패드(220)는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과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에 구비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 링크 라인(2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소자(400)는 회로 소자와 발광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로 소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200)은 상기 회로 소자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게이트 라인(200)의 상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양극(anode), 상기 양극 상에 차례로 형성된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상기 전자 주입층 상에 구비된 음극(Cathode)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의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소자는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 소자)의 상면 상에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이 형성된다. 상기 봉지층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구조 및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은 상기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은 상기 플렉시블한 재료로 이루어진 기판(10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은 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기판(510, 520)에 의해서 공정 진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은 제1 지지 기판(510) 및 제2 지지 기판(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지지 기판(510)과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은 제1 벤딩 라인(P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 벤딩 라인(P1)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상기 제1 벤딩 라인(P1) 영역에도 상기 지지 기판(510, 52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기판(100)의 상면 상에 상기 게이트 라인(200), 게이트 링크 라인(210), 게이트 패드(220), 및 발광 소자(400)를 형성하고, 그 후에 전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벤딩 라인(P1)과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모서리 영역(C)을 정의하는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과 지지 기판(510, 520) 모두를 제거하지만, 그 외의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영역에는 상기 기판(100)은 제거하지 않고 상기 지지 기판(510, 520)만을 제거한다. 그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벤딩 라인(P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는 상기 제1 지지 기판(510)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이 형성된다.
전술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 기판(510)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외부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지지 기판(510)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내부 영역에 1개가 형성되지만,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외부 영역에 4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의 외부 영역에 형성된 4개의 제2 지지 기판(520) 각각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을 기준으로 하여 벤딩할 수 있지만, 그에 따라 벤딩 영역이 구현되고 결국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Bezel)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제2 벤딩 라인(P2)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지 기판(510)과 상기 제1 지지 기판(510) 사이의 상기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벤딩이 완료된 후 벤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벤딩 공정이 완료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종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은 수평 영역(S1, S2) 및 벤딩 영역(B)을 구비한다.
상기 수평 영역(S1, S2)은 제1 수평 영역(S1) 및 제2 수평 영역(S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다. 상기 제1 수평 영역(S1)과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그에 따라 서로 오버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수평 영역(S1)과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이 서로 오버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벤딩 영역(B)은 상기 제1 수평 영역(S1)과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의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벤딩 영역(B)의 일단은 상기 제1 수평 영역(S1)과 연결되고 상기 벤딩 영역(B)의 타단은 상기 제2 수평 영역(S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벤딩 영역(B)은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100)이 제1 수평 영역(S1), 제2 수평 영역(S2) 및 벤딩 영역(B)을 구비함으로써, 비록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이 넓게 구성된다 하여도 실질적으로 베젤(Bezel) 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의 상면 상에는 게이트 라인(200)과 발광 소자(400)가 차례로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의 하면 상에는 상기 제1 지지 기판(5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의 상면 상에는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의 하면 상에는 게이트 패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딩 영역(B)에 의해 벤딩되면서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이 반전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수평 영역(S2)의 상면 및 하면의 구성이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의 상면 및 하면의 구성과 반대가 된다.
상기 벤딩 영역(B)의 외부면 상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200)과 상기 게이트 패드(220)를 연결하는 게이트 링크 라인(210)이 형성되고, 상기 벤딩 영역(B)의 내부면 상에는 상기 결합 부재(600)가 형성된다.
상기 벤딩 영역(B)은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에 대응한다. 즉,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이 벤딩되어 상기 벤딩 영역(B)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도 3에서 상기 제1 벤딩 라인(P1) 및 상기 제2 벤딩 라인(P2)이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과 같이, 상기 벤딩 영역(B)은 상기 제1 수평 영역(S1)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각의 변 전체에서 베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벤딩 영역(B) 상에는 상기 제1 지지 기판(510)과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벤딩 영역(B)의 내부면 상에 상기 결합 부재(600)가 형성되어 벤딩 구조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상기 벤딩 영역(B)에 해당하는 기판(100), 상기 제1 지지 기판(510)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5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100), 상기 제1 지지 기판(510)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520) 사이를 결합시키며, 그에 따라, 상기 벤딩 영역(B)의 곡률이 고정된다.
상기 결합 부재(600)는 수분 침투 방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벤딩 영역(B)을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벤딩 영역(B)에는 상기 제1 지지 기판(510) 및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수분 침투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600)에 수분 침투 방지 물질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벤딩 영역(B)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기판(510)과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은 상기 결합 부재(6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히 형성된다. 서로 오버랩되는 상기 제1 지지 기판(510)과 상기 제2 지지 기판(520)은 상기 결합 부재(60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신호 라인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통칭한 것이고, 신호 링크 라인은 게이트 링크 라인 및 데이터 링크 라인을 통칭한 것이고 신호 패드는 게이트 패드 및 데이터 패드를 통칭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판 210: 게이트 라인
220: 게이트 링크 라인 230: 게이트 패드
310: 데이터 라인 320: 데이터 링크 라인
330: 데이터 패드 400: 발광 소자
510: 제1 지지 기판 520: 제2 지지 기판
600: 결합 부재

Claims (8)

  1. 제1 수평 영역, 제2 수평 영역 및 상기 제1 수평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영역 사이에 구비된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제1 수평 영역 상에 구비된 제1 지지 기판; 및
    상기 제2 수평 영역 상에 구비된 제2 지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 기판과 상기 제2 지지 기판 사이를 결합하는 결합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수분 침투 방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영역과 상기 제2 수평 영역은 서로 오버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영역 상에는 신호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벤딩 영역 상에는 상기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신호 링크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수평 영역 상에는 상기 신호 링크 라인과 연결되는 신호 패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라인은 상기 제1 수평 영역의 상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 패드는 상기 제2 수평 영역의 하면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기판은 상기 제1 수평 영역의 하면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지지 기판은 상기 제2 수평 영역의 상면 상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수평 영역의 좌측, 우측,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60708A 2015-11-16 2015-11-1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0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08A KR102450960B1 (ko) 2015-11-16 2015-11-16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708A KR102450960B1 (ko) 2015-11-16 2015-11-1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077A true KR20170057077A (ko) 2017-05-24
KR102450960B1 KR102450960B1 (ko) 2022-10-04

Family

ID=5905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08A KR102450960B1 (ko) 2015-11-16 2015-11-1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0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170A (ko) * 2017-07-31 2019-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174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02118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5000763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9174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02118A (ko) * 2013-06-28 2015-0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50007632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170A (ko) * 2017-07-31 2019-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960B1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573B2 (en) Display device
US908266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535302B2 (en) Display device
US10692943B2 (en) Touch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in-cell touch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JP7079803B2 (ja) 表示装置
US9269650B2 (en) Chip-on-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5002177A (ja) アレイ基板及びこれ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KR20170093869A (ko) 브리지된 배선 트레이스들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170032763A1 (en) Multi-visio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display panel
CN105825811A (zh) 非矩形显示器
US10636858B2 (en) Display device
CN108897445B (zh) 触控显示装置、触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US8670102B2 (en) Display panel
US8670101B2 (en) Display device
US11195890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gate metal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metal connection region via through 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576461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8006252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70079901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US20160260399A1 (en) Pixel structure,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4509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03635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47050B2 (en) Flexible circuit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8004599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247134B1 (ko) 협지 연결 단자를 갖는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9613987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