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785B1 -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785B1
KR102008785B1 KR1020130086712A KR20130086712A KR102008785B1 KR 102008785 B1 KR102008785 B1 KR 102008785B1 KR 1020130086712 A KR1020130086712 A KR 1020130086712A KR 20130086712 A KR20130086712 A KR 20130086712A KR 102008785 B1 KR102008785 B1 KR 102008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ubstrate
implant
display device
display area
glas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584A (ko
Inventor
양희석
이찬우
권세열
조소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7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표시소자 구조물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투습 방지층과, 상기 투습 방지층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보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벤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유리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 및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습 방지 및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음극선과 표시장치(CRT)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 전력과 낮은 구동 전압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장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을 가진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리지드한 유리 기판 기반의 표시 장치들을 대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디스플레이 분야의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등의 얇은 기판에 구현되어 종이처럼 접거나 말아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져 차세대 표시장치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경우, 표시영역 외에도 외곽 실 라인 및 회로 콘택부를 갖게 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의 외곽에 비표시 영역을 갖게 되며, 이러한 비표시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비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기판의 외곽 부분을 기판의 배면으로 벤딩(bending)시켜 비표시 영역을 줄이게 된다.
종래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플렉서블 기판이 상당히 얇기 때문에 리지드한 유리 기판을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OLED 유기 화합물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유리 기판을 제거한 상태에서 비표시 영역의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을 기판의 배면으로 벤딩시켜 기판의 하부에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별도의 추가 구성품이 없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두께는 최소화될 수 있지만,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에 대한 대책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예는 투습 방지용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표시소자 구조물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투습 방지층과, 상기 투습 방지층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보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벤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리 기판 상에 플렉서블 기판과 표시소자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 기판의 가장 자리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와, 가장자리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로 벤딩시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유리 기판을 배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 및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을 형성한 후, 유리 기판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정 수 단축 및 원가 절감 등의 공정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소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소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 상에 배치된 표시소자 구조물(200)과, 상기 표시소자 구조물(200)과 플렉서블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된 보호층(30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된 투습 방지층(400)과, 상기 투습 방지층(40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된 보형물(500)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장방형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 계열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으로는 고온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인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카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ht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htyleneterepthalate) 등과 같은 고분자 플라스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금속 계열의 기판으로는 알루미늄,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미도시)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데이터라인, 스위칭 TFT, 구동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 전원전압 공급배선 및 그라운드 전원 공급배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TFT는 N 타입의 MOSFET 또는 P 타입의 MOSFET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TFT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층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00) 상에는 표시소자 구조물(20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소자 구조물(200)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A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소자 구조물(200)은 플렉서블 기판(100) 상의 중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소자 구조물(20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비표시 영역(NA)으로서, 화면이 출력되지 않은 영역이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NA)은 표시소자 구조물(200)의 좌우, 상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소자 구조물(200)이 배치되지 않은 비표시 영역(NA)의 플렉서블 기판(100)의 좌우측 가장자리는 하부로 벤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표시소자 구조물의 좌우측의 비표시 영역(NA1)은 표시소자 구조물의 상하의 비표시 영역(NA2)에 비해 줄어들 수 있다.
상기에서는 표시소자 구조물(200)의 좌우측의 비표시 영역(NA1)의 플렉서블 기판(100)을 벤딩된 상태로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소자 구조물(200)의 상하측의 비표시 영역(NA2)의 플렉서블 기판(100)을 벤딩된 상태로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표시소자 구조물(200)의 좌우, 상하의 비표시 영역(NA1, NA2)의 면적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표시소자 구조물(200)은 유기 발광 소자(OLED)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 구조물(200)은 제1 전극층(210),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230), 유기 발광층(250),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270), 제2 전극층(29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층(210)은 버퍼층(미도시), 오버코트층(미도시), 보호막(미도시)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기판(100)에 형성된 구동 TFT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전극층(210)은 구동 TFT와의 접속 구조에 따라 반사막을 갖는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층(210)은 ITO, IZO 등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 금속 재질을 가지는 반사막 상에서 화소 단위로 패터닝될 수 있다. 제1 전극층(210)은 구동 TFT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정공을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230)을 경유하여 유기 발광층(250)에 인가한다.
제2 전극층(290)은 제1 전극층(210)이 애노드 전극일 경우,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층(290)으로는 금속 재질의 단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 전극층(290)은 유전층들 사이에 협지된 제1 및 제2 층의 금속층을 가지는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표시소자 구조물(200) 상에는 보호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300)은 표시소자 구조물(2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표시소자 구조물(200)의 상부와 플렉서블 기판(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300)은 벤조사이클로부탄(BCB, benzocyclobutane), 아크릴계 유기화합물, 플루오르폴리아릴에테르(FPAE, Fluoropolyarrylether), 사이토프(cytop) 및 퍼플루오르사이클로부탄(PFCB, Perfluorocyclobutane)으로부터 선택되는 유리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는 투습 방지층(400)이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리지드한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투습 방지층(400)은 시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플렉서블 기판(100)의 표시 영역(A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비표시 영역(NA1)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100㎛ 내지 150㎛ 연장되는 길이(D)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의 두께(T)는 300㎛ 내지 500㎛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측면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 기판(100)이 벤딩될 시 플렉서블 기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달리, 투습 방지층(400)은 측면의 모서리 부분만 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투습 방지층(400)은 표시장치의 하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투습 방지층(400)의 하부에는 보형물(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투습 방지층(400)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형물(500)은 투습 방지층(400)의 측면 및 하부 가장자리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고체 또는 액상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스테인레스(SUS), 메탈(M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실리콘 러버, 스티로폼, 우레탄,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벤딩된 플렉서블 기판(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형물(500)은 투습 방지층(400)의 후면 전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이 투습 방지층(400)의 후면 전부를 덮을 경우, 2중으로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형물(500)이 투습 방지층(400)과 플렉서블 기판(100)과 접착되기 위해 보형물(500)과 투습 방지층(400) 사이, 보형물(500)과 벤딩된 플렉서블 기판(100) 사이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형물(500)은 플렉서블 기판(100)이 하부로 벤딩될 시 플렉서블 기판(100)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보형물(500)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 재질의 투습 방지층(400) 측면의 날카로움을 커버하기 위해 액상 재질의 제1 보형물(미도시)을 배치시킬 수 있으며, 액상 재질의 제1 보형물의 일측에 글라스보다 더 두껍게 원하는 곡률 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고체 재질의 제2 보형물(미도시)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500)은 다수의 보형물을 구비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벤딩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에서는 2개의 보형물을 추가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보형물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으며, 보형물의 재질,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도 4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투습 방지층이 유리 기판으로 사용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유리 기판은 투습 방지층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400) 상에 플렉서블 기판(100), 표시소자 구조물(200) 및 보호층(30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유리 기판(400)을 부착하고, 유리 기판(400)에 부착된 플렉서블 기판 상에 표시소자 구조물 및 보호층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다. 표시소자 구조물을 유기 발광소자 구조물일 수 있다. 표시소자 구조물은 플렉서블 기판 상의 표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400) 상에 플렉서블 기판(100), 표시소자 구조물(200) 및 보호층(3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면, 유리 기판(400)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유리 기판(400)은 스크라이빙 법에 의해 유리 기판(400)의 가장자리 영역이 절단될 수 있다. 유리 기판(400)은 다이아몬드 휠(600)과 같은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유리 기판(400)은 표시 영역(AA)으로부터 100㎛ 내지 150㎛ 연장되는 길이(D)를 가지도록 절단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의 유리 기판(400)이 절단되면, 절단된 유리 기판(400)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유리 기판(400)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절단된 유리 기판(400)에 레이저(Laser)를 조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단된 유리 기판(400)과 플렉서블 기판(100)의 경계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유리 기판(400a)을 플렉서블 기판(1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유리 기판이 제거되면,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된 유리 기판(4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보형물(500)을 배치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보형물(500)은 유리 기판(40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형물(500)은 유리 기판(400)의 측면 및 하부 가장자리 영역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접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유리 기판(4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보형물(500)은 벤딩될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형물(500)은 고체 또는 액상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형물(500)은 스테인레스(SUS), 메탈(Metal), 폴리카보네이트(Polycabonate), 실리콘 러버, 스티로폼, 우레탄,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기판(40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보형물(500)이 부착되면, 가장자리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100)을 하부로 벤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보형물(500)의 하부에는 접착 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보형물(500)에 배치된 접착 부재에 의해 보형물(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이 하부로 벤딩됨으로써, 비표시 영역은 초기 비표시 영역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는 플렉서블 기판(100)을 형성한 후, 유리 기판(400)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공정 수 단축 및 원가 절감 등의 공정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유리 기판(400)을 플렉서블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100)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 및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플렉서블 기판 200: 표시소자 구조물
210: 제1 전극층 250: 유기 발광층
270: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290: 제2 전극층
300: 보호층 400: 투습 방지층
500: 보형물 AA: 표시 영역

Claims (12)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 상부에 배치된 표시소자 구조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하부에 배치된 투습 방지층;
    상기 투습 방지층의 측면 및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보형물; 및
    상기 보형물과 상기 투습 방지층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은, 벤딩 되어 상기 보형물의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방지층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습 방지층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표시 영역으로부터 100㎛ 내지 150㎛ 연장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액상 재질의 제1 보형물; 및
    상기 제1 보형물의 일측에 고체 재질의 제2 보형물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보형물과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도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스테인리스, 메탈,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러버, 스티로폼, 우레탄,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 구조물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유리 기판 상에 플렉서블 기판과 표시소자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유리 기판의 가장 자리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유리 기판의 측면 및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덮도록 보형물을 배치하는 단계; 및
    가장자리 영역의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하부로 벤딩시켜 상기 보형물의 하부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유리 기판을 스크라이빙 법에 의해 가장 자리 영역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유리 기판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된 유리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소자 구조물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액상 재질의 제1 보형물; 및
    상기 제1 보형물의 일측에 고체 재질의 제2 보형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스테인리스, 메탈,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러버. 스티로폼, 우레탄,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30086712A 2013-07-23 2013-07-2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12A KR102008785B1 (ko) 2013-07-23 2013-07-2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712A KR102008785B1 (ko) 2013-07-23 2013-07-2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84A KR20150011584A (ko) 2015-02-02
KR102008785B1 true KR102008785B1 (ko) 2019-08-07

Family

ID=524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712A KR102008785B1 (ko) 2013-07-23 2013-07-2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7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7672A1 (ja) 2011-04-28 2012-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20130002572A1 (en) 2011-06-30 2013-01-03 Jin Dong-U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88B1 (ko) * 2011-09-22 2017-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7672A1 (ja) 2011-04-28 2012-11-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モジュール及び表示装置
US20130002572A1 (en) 2011-06-30 2013-01-03 Jin Dong-Un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84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098B1 (ko) 표시장치
KR102632597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0038149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63464B1 (ko)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75311A1 (en) Flexible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JP6937617B2 (ja) 表示装置
KR10250407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89774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EP346227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evice
JP201722045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23407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268092B2 (en) Display device
KR102553373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48809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드 표시 장치
KR10261079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40032773A (ko) 폴더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21343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312297B1 (ko) 표시장치
KR102576461B1 (ko) 유기발광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878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8509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890399A (zh) 用于制造显示设备的方法
KR102053441B1 (ko) 배리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820100B2 (ja) 自発光パネル、自発光パネルの製造方法、照明および表示装置
KR10244836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