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07B1 -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07B1
KR102423407B1 KR1020150116519A KR20150116519A KR102423407B1 KR 102423407 B1 KR102423407 B1 KR 102423407B1 KR 1020150116519 A KR1020150116519 A KR 1020150116519A KR 20150116519 A KR20150116519 A KR 20150116519A KR 102423407 B1 KR102423407 B1 KR 10242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rd layer
cover window
soft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231A (ko
Inventor
장세진
곽태형
원유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가 경질층과 연질층을 포함하고, 경질층은 폴딩 영역에서 언폴딩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에 오목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과 폴딩 스트레스에 의한 커버 윈도우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Cover window for foldable display devic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장치를 접고 펼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필수 구성 요소로 포함하며,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액정층이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필수 구성 요소로 포함하며, 양극과 음극 각각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유기발광층에서 결합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는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화면 표시가 가능하면서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는 표시패널(10)과, 백 플레이트(20)와, 커버 윈도우(3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이 발광다이오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은 플렉서블 기판(미도시)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위치하는 발광다이오드(미도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양극(anode)과, 상기 양극 상에 형성되는 유기발광층과,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음극(cathod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덮어 외부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10)이 액정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마주하는 대향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또는 상기 대향 기판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10)은 플렉서블 백라이트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 하부에 캐리어 기판(미도시)이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고 캐리어 기판을 박리(release)시킴으로써, 플렉서블한 표시패널(10)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표시패널(10)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이 너무 얇기 때문에, 표시패널(10)을 지지할 수 있는 백 플레이트(20)를 상기 표시패널(10) 하부에 부착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0)는 표시패널(1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표시패널(10)의 상부에 부착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 윈도우(30)는 접착층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10)에 부착될 수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10)는 접고 펼치는 폴딩 동작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커버 윈도우(30)는 비교적 얇은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얇은 필름 형태의 커버 윈도우(30)는 외부 충격에 의해 커버 윈도우(30)가 손상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고, 연질(soft) 커버 윈도우(30)를 이용하면 외부 충격이 커버 윈도우(30) 하부의 구성,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에 전달되어 발광다이오드가 손상된다.
한편, 폴딩 동작을 위해 비교적 두꺼운 두 필름을 폴딩 영역의 양 측에 부착하여 커버 윈도우(30)를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커버 윈도우(30)가 부착된 폴더블 표시장치(1)에서는, 커버 윈도우(30)의 연결 영역이 시인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폴딩 동작에 의한 폴딩 스트레스에 의해 폴딩 영역에서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발생되어 표시 품질 저하 문제가 더 발생된다.
본 발명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충격성과 표시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가 경질층과 연질층을 포함하고, 경질층이 폴딩 영역에서 언폴딩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경질층과 연질층을 포함하고, 폴딩 영역에서 경질층에는 오목 패턴이 형성되며 연질층에는 볼록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는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오목 패턴을 채우는 연질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가 경질층과 연질층을 포함하고, 경질층이 폴딩 영역에서 언폴딩 영역보다 작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외부 충격과 폴딩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는 향상된 표시 품질을 갖는다.
즉, 커버 윈도우의 경질층은 폴딩 영역에서 오목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폴딩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되고 언폴딩 영역에서 충분한 두께를 가져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경질층과 연질층의 굴절률 차이를 줄여 오목 패턴과 볼록 패턴에 의한 헤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경질층의 오목 패턴에 대응하여 연질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커버 윈도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의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표시패널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질층과, 상기 연질층 상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에서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언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갖는 경질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면에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2 면에 볼록 패턴이 형성된 연질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제 1 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과 마주하는 상기 연질층의 제 2 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볼록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오목 패턴을 채우는 연질패턴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패턴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질층과, 상기 연질층 상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에서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언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갖는 경질층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면에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2 면에 볼록 패턴이 형성된 연질층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상기 경질층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상기 연질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오목 패턴을 채우는 연질패턴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질패턴은 상기 경질층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상기 연질패턴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표시패널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과, 상기 표시패널(110) 하부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120)와, 상기 표시패널(110) 상부에 위치하며 경질층(132, hard layer)과, 연질층(136, soft layer)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130)를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은 발광다이오드 패널일 수 있다.
즉, 상기 표시패널(110)은 플렉서블 기판(14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D)를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같은 구성 요소의 형성 공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 기판과 같은 캐리어 기판(미도시)에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을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와 같은 구성 요소의 형성 공정이 진행된다. 이후, 상기 캐리어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1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는 버퍼층(142)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142)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버퍼층(142)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42)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42) 상에는 반도체층(144)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144)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144)이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반도체층(144) 하부에는 차광패턴(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패턴은 반도체층(144)으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도체층(144)이 빛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반도체층(144)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반도체층(144)의 양 가장자리에 불순물이 도핑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층(144)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146)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46)은 산화 실리콘 또는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46) 상부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50)이 반도체층(144)의 중앙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3a에서는, 게이트 절연막(146)이 플렉서블 기판(140)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게이트 절연막(146)은 게이트 전극(1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부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층간 절연막(152)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152)은 산화 실리콘이나 질화 실리콘과 같은 무기 절연물질로 형성되거나,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이나 포토 아크릴(photo-acryl)과 같은 유기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52)은 상기 반도체층(144)의 양측을 노출하는 제 1 및 제 2 콘택홀(154, 156)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콘택홀(154, 156)은 게이트 전극(150)의 양측에 게이트 전극(15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콘택홀(154, 156)은 게이트 절연막(146) 내에도 형성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 절연막(146)이 게이트 전극(150)과 동일한 모양으로 패터닝될 경우, 제 1 및 제 2 콘택홀(154, 156)은 층간 절연막(152) 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52) 상에는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소스 전극(160)과 드레인 전극(16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160)과 드레인 전극(162)은 상기 게이트 전극(150)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154, 156)을 통해 상기 반도체층(144)의 양측과 접촉한다.
상기 반도체층(144)과, 상기 게이트전극(150), 상기 소스 전극(160), 상기 드레인전극(162)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이루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구동 소자(driving element)로 기능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는 상기 반도체층(144)의 상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50), 상기 소스 전극(160) 및 상기 드레인 전극(162)이 위치하는 코플라나(coplanar) 구조를 가진다.
이와 달리, 박막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의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고 반도체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위치하는 역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는 스위칭 소자가 더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구동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에 연결된다.
또한, 파워 배선이 상기 게이트 배선 또는 상기 데이터 배선과 평행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일 프레임(frame) 동안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6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166)을 갖는 보호층(164)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으며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6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66)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의 상기 드레인 전극(162)에 연결되는 제 1 전극(170)이 각 화소 영역 별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170)은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큰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170)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zinc-oxide, IZ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이 상부 발광 방식(top-emission type)인 경우, 상기 제 1 전극(170) 하부에는 반사전극 또는 반사층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전극 또는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64)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70)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층(176)이 형성된다. 상기 뱅크층(176)은 상기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극(170)의 중앙을 노출한다.
상기 제 1 전극(170) 상에는 유기 발광층(172)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층(172)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지는 발광물질층(emitting material layer)의 단일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기 발광층(172)은 상기 제 1 전극(170) 상에 순차 적층되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발광물질층,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층(172)이 형성된 상기 플렉서블 기판(140) 상부로 제 2 전극(17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174)은 표시영역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져 캐소드(cathode)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174)은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70), 상기 유기발광층(172) 및 상기 제 2 전극(174)은 발광다이오드(D)를 이룬다.
상기 제 2 전극(174) 상에는, 외부 수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D)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캡슐레이션 필름(encapsulation film, 180)이 형성된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은 제 1 무기 절연층(182)과, 유기 절연층(184)과 제 2 무기 절연층(186)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80) 상에는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편광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은 원형 편광판일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210)이 표시패널(110)로 이용될 수 있다.
액정패널(210)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212) 상에는 제 1 버퍼층(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버퍼층(22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버퍼층(22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퍼층(220) 상에는 게이트 전극(22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222)을 덮으며 게이트 절연막(2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퍼층(22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222)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224) 상에는 반도체층(226)이 상기 게이트 전극(222)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층(226)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반도체층(226)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액티브층과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226) 상에는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230)과 드레인 전극(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스 전극(230)과 연결되는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상기 게이트 배선과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며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222), 상기 반도체층(226), 상기 소스 전극(230) 및 상기 드레인 전극(232)은 박막트랜지스터(Tr)를 구성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에는, 상기 드레인 전극(232)을 노출하는 드레인 콘택홀(236)을 갖는 보호층(234)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234) 상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36)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232)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240)과, 상기 화소 전극(240)과 교대로 배열되는 공통 전극(24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250) 상에는 제 2 버퍼층(25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버퍼층(252) 상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r),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등 비표시영역을 가리는 블랙매트릭스(254)가 형성된다. 또한,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컬러필터층(25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버퍼층(252)과 상기 블랙매트릭스(254)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은 액정층(260)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며, 상기 화소 전극(240)과 상기 공통 전극(242)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상기 액정층(260)의 액정분자(262)가 구동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액정층(260)과 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각각의 상부에는 배향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각각의 외측에는 서로 수직한 투과축을 갖는 편광판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212) 하부에 빛을 공급하는 플렉서블 타입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플레이트(120)는 상기 표시패널(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패널(11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 플레이트(120)는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1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상기 표시패널(110) 상부에 위치하며, 경질층(132)과 상기 경질층(132)과 상기 표시패널(110) 사이에 위치하는 연질층(136)을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연질층 및 경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층(132)과 연질층(1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져, 상기 커버 윈도우(130)는 삼중층 또는 사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질층(132)은 상기 연질층(1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132)은 상기 연질층(1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1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층(1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1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층(1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132)의 하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1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134)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1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t1)가 상기 폴딩 영역(FR)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2)보다 작게 되고 상기 폴딩 영역(RF)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uneven surface)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even surface)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132)의 하부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FR)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프리즘 형상의 오목 패턴(134)이 형성되기 때문에, 산 부분과 골 부분의 평균 두께(t1)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2)보다 작게 된다.
도면 상에서는 산 부분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가 같은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와 달리, 산 부분에서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질층(136)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목 패턴(134)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138)이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층(136)은 폴딩 영역(FR)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경질층(132)과 상기 연질층(136)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 패턴(134)과 볼록 패턴(13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패턴(134)과 상기 볼록 패턴(138)이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경질층(132)과 상기 연질층(136)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13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는, 커버 윈도우(130)가 경질층(132)과 연질층(1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1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1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1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1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1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1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1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132)과 상기 연질층(136) 각각에 오목 패턴(134)과 볼록 패턴(138)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1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1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134) 및 볼록 패턴(138)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 윈도우(130)와 상기 표시 패널(110)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상기 폴딩 영역(FR)에서 상기 커버 윈도우(130) 방향, 즉 X 방향으로 폴딩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100)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132)의 평탄한 상부면보다 오목 패턴(134)이 형성된 경질층(132)의 하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1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1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제 2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300)는, 표시패널(310)과, 상기 표시패널(310) 하부에 위치하는 백 플레이트(320)와, 상기 표시패널(310) 상부에 위치하며 경질층(332)과, 연질층(336)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33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310)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310)이 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발광 다이오드(D)와,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310)이 액정패널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과, 화소 전극(240) 및 공통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도 4b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플레이트(320)는 상기 표시패널(3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패널(310)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백 플레이트(320)는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패널(3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330)는 상기 표시패널(310) 상부에 위치하며, 경질층(332)과 상기 경질층(332) 상에 위치하는 연질층(336)을 포함한다. 즉, 상기 경질층(332)은 상기 연질층(336)과 상기 표시패널(3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30)는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윈도우(330)는 연질층 및 경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층(332)과 연질층(3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져, 상기 커버 윈도우(330)는 삼중층 또는 사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질층(332)은 상기 연질층(3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332)은 상기 연질층(3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3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층(3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3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층(3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332)의 상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3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334)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3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t3)가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4)보다 작게 되고 상기 폴딩 영역(FR)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332)의 상부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FR)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프리즘 형상의 오목 패턴(334)이 형성되기 때문에, 산 부분과 골 부분의 평균 두께(t3)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4)보다 작게 된다.
도면 상에서는 산 부분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가 같은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와 달리, 산 부분에서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4)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질층(336)의 하부면에는 상기 오목 패턴(334)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338)이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층(336)은 폴딩 영역(FR)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즉, 상기 경질층(332)과 상기 연질층(336)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 패턴(334)과 볼록 패턴(33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패턴(334)과 상기 볼록 패턴(338)이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경질층(332)과 상기 연질층(336)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33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300)에서는, 커버 윈도우(330)가 경질층(332)과 연질층(3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3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3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3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3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3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3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3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332)과 상기 연질층(336) 각각에 오목 패턴(334)과 볼록 패턴(338)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3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3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334) 및 볼록 패턴(338)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 윈도우(330)와 상기 표시 패널(310) 사이에는 터치 패널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300)는 상기 폴딩 영역(FR)에서 상기 백 플레이트(320) 방향, 즉 Y 방향으로 폴딩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300)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332)의 평탄한 하부면보다 오목 패턴(334)이 형성된 경질층(332)의 상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3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3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제 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430)는 표시패널(도 2a의 110) 상부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434)이 형성된 경질층(432)과 상기 오목 패턴(434)을 채우는 연질패턴(43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이 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발광 다이오드(D)와,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과, 화소 전극(240) 및 공통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질층(432)은 상기 연질패턴(4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432)은 상기 연질패턴(4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4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패턴(4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4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패턴(4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432)의 하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4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434)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4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t1)가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t2)보다 작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432)의 하부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FR)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프리즘 형상의 오목 패턴(434)이 형성되기 때문에, 산 부분과 골 부분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작게 되고 상기 경질층(432)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을 갖게 된다.
도면 상에서는 산 부분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가 같은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이와 달리, 산 부분에서의 두께가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질패턴(436)은 상기 오목 패턴(434)에 대응하여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패턴(436)은 상기 오목 패턴(434)을 채움으로써, 상기 커버 윈도우(430)는 평탄한 하부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430)는 경질층(432)과 연질패턴(4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4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4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4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4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패턴(4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4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패턴(4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432)에 오목 패턴(434)이 형성되고 연질패턴(436)이 오목 패턴(434)을 채우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4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패턴(4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434) 및 연질패턴(436)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4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커버 윈도우(430) 방향, 즉 도 2a의 X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질패턴(436)이 상기 경질층(432)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4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432)의 평탄한 상부면보다 오목 패턴(434)이 형성된 경질층(432)의 하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4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4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4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백 플레이트(도 4a의 320) 방향, 즉 도 4a의 Y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경질층(432)이 상기 연질패턴(436)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4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경질층(432)의 평탄한 면이 상기 표시패널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432)의 평탄한 면보다 오목 패턴(434)이 형성된 경질층(432)의 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4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4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제 4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530)는 표시패널(도 2a의 110) 상부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534)이 형성된 경질층(532)과 상기 오목 패턴(534)에 대응하여 볼록 패턴(538)이 형성된 연질층(53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이 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발광 다이오드(D)와,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과, 화소 전극(240) 및 공통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530)는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윈도우(530)는 연질층 및 경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층(532)과 연질층(5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져, 상기 커버 윈도우(530)는 삼중층 또는 사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커버 윈도우(430)에서와 같이, 연질층(536) 없이 연질패턴이 반원형 형상의 오목 패턴(534)을 채워 커버 윈도우(530)가 평탄한 하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질층(532)은 상기 연질층(5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532)은 상기 연질층(5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5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층(5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5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층(5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532)의 하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5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534)은 단면이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5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도 2b의 t1)가 상기 폴딩 영역(FR)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도 2b의 t2)보다 작게 되고 상기 경질층(5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을 갖게 된다.
상기 연질층(536)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목 패턴(534)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538)이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층(536)은 폴딩 영역(FR)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경질층(532)과 상기 연질층(536)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 패턴(534)과 볼록 패턴(53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패턴(534)과 상기 볼록 패턴(538)이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경질층(532)과 상기 연질층(536)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53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530)는 경질층(532)과 연질층(5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5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5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5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5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5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5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5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532)과 상기 연질층(536) 각각에 오목 패턴(534)과 볼록 패턴(538)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5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5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534) 및 볼록 패턴(538)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5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커버 윈도우(530) 방향, 즉 도 2a의 X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질층(536)이 상기 경질층(532)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5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532)의 평탄한 상부면보다 오목 패턴(534)이 형성된 경질층(532)의 하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5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5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5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백 플레이트(도 4a의 320) 방향, 즉 도 4a의 Y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경질층(532)이 상기 연질층(536)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5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경질층(532)의 평탄한 면이 상기 표시패널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532)의 평탄한 면보다 오목 패턴(534)이 형성된 경질층(532)의 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5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5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제 5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630)는 표시패널(도 2a의 110) 상부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634)이 형성된 경질층(632)과 상기 오목 패턴(634)에 대응하여 볼록 패턴(638)이 형성된 연질층(63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이 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발광 다이오드(D)와,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과, 화소 전극(240) 및 공통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630)는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윈도우(630)는 연질층 및 경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층(632)과 연질층(6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져, 상기 커버 윈도우(630)는 삼중층 또는 사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커버 윈도우(430)에서와 같이, 연질층(636) 없이 연질패턴이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 패턴(634)을 채워 커버 윈도우(630)가 평탄한 하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질층(632)은 상기 연질층(6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632)은 상기 연질층(6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6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층(6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6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층(6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632)의 하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6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634)은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6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도 2b의 t1)가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도 2b의 t2)보다 작게 되고 상기 경질층(632)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을 갖게 된다.
상기 연질층(636)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목 패턴(634)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638)이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층(636)은 폴딩 영역(FR)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경질층(632)과 상기 연질층(636)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 패턴(634)과 볼록 패턴(63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패턴(634)과 상기 볼록 패턴(638)이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경질층(632)과 상기 연질층(636)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63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630)는 경질층(632)과 연질층(6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6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6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6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6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6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6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6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632)과 상기 연질층(636) 각각에 오목 패턴(634)과 볼록 패턴(638)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6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6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634) 및 볼록 패턴(638)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6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커버 윈도우(630) 방향, 즉 도 2a의 X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질층(636)이 상기 경질층(632)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6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632)의 평탄한 상부면보다 오목 패턴(634)이 형성된 경질층(632)의 하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6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6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6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백 플레이트(도 4a의 320) 방향, 즉 도 4a의 Y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경질층(632)이 상기 연질층(636)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6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경질층(632)의 평탄한 면이 상기 표시패널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632)의 평탄한 면보다 오목 패턴(634)이 형성된 경질층(632)의 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6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6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제 6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730)는 표시패널(도 2a의 110) 상부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734)이 형성된 경질층(732)과 상기 오목 패턴(734)에 대응하여 볼록 패턴(738)이 형성된 연질층(736)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발광다이오드 패널 또는 액정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이 발광다이오드 패널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140) 상에 위치하는 구동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r)와, 발광 다이오드(D)와, 인캡슐레이션 필름(18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패널이 액정패널인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과, 상기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기판(212, 250) 사이에 개재되며 액정분자(262)를 포함하는 액정층(260)과, 화소 전극(240) 및 공통 전극(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730)는 이중층 구조를 갖는다. 이와 달리, 상기 커버 윈도우(730)는 연질층 및 경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층(732)과 연질층(7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는 이중층 구조를 가져, 상기 커버 윈도우(730)는 삼중층 또는 사중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커버 윈도우(430)에서와 같이, 연질층(736) 없이 연질패턴이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 패턴(734)을 채워 커버 윈도우(730)가 평탄한 하부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경질층(732)은 상기 연질층(736)보다 큰 모듈러스(modulus) 값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경질층(732)은 상기 연질층(736)보다 고 강성(stiffness)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732)은 약 10~100 GPa의 모듈러스 값을 갖고, 상기 연질층(736)은 약 1~20 MPa의 모듈러스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732)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질층(736)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실리콘(Si) 폴리디메틸아크릴아미드(polydimethylacrylamide, PDMA)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732)의 하부면에는 폴딩 영역(FR)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73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734)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질층(732)은 상기 폴딩 영역(FR)에서의 평균 두께(도 2b의 t1)가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영역, 즉 언폴딩 영역에서의 두께(도 2b의 t2)보다 작게 되고 상기 경질층(732)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갖고 상기 언폴딩 영역에서 평탄한 표면을 갖게 된다.
상기 연질층(736)의 상부면에는 상기 오목 패턴(734)에 대응하는 볼록 패턴(738)이 상기 폴딩 영역(FR)에 형성된다. 즉, 상기 연질층(736)은 폴딩 영역(FR)의 평균 두께가 언폴딩 영역의 두께보다 크다.
상기 경질층(732)과 상기 연질층(736) 각각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 패턴(734)과 볼록 패턴(73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 패턴(734)과 상기 볼록 패턴(738)이 서로 매칭되도록 상기 경질층(732)과 상기 연질층(736)이 부착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73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730)는 경질층(732)과 연질층(736)을 포함하며 언폴딩 영역에서 경질층(732)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폴딩 영역(FR)에서 경질층(732)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도록 폴딩 영역(FR)에 오목 패턴(734)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경질층(7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736)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경질층(732)은 약 1.47의 굴절률을 갖는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736)은 약 1.45~1.51의 굴절률을 갖는 TPU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질층(732)과 상기 연질층(736) 각각에 오목 패턴(734)과 볼록 패턴(738)이 형성되기 때문에, 폴딩 영역(FR)에서 헤이즈(haze)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질층(732)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736)의 굴절률의 차이가 0.2 이하의 값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오목 패턴(734) 및 볼록 패턴(738) 형성에 의한 헤이즈 값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7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커버 윈도우(730) 방향, 즉 도 2a의 X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연질층(736)이 상기 경질층(732)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7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732)의 평탄한 상부면보다 오목 패턴(734)이 형성된 경질층(732)의 하부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732)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7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730)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가 백 플레이트(도 4a의 320) 방향, 즉 도 4a의 Y 방향으로 폴딩되는 경우, 상기 경질층(732)이 상기 연질층(736)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 윈도우(730)가 상기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경질층(732)의 평탄한 면이 상기 표시패널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폴더블 표시장치가 폴딩되었을 때, 경질층(732)의 평탄한 면보다 오목 패턴(734)이 형성된 경질층(732)의 면이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폴딩 영역(FR)에서는 경질층(730)의 두께가 비교적 얇기 때문에, 폴딩에 의한 길이증가(△L)가 줄어든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730)에 발생되는 폴딩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폴더블 표시장치에서 발생되는 물결 모양의 얼룩(waviness)이 방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폴더블 표시장치 110, 210, 310: 표시패널
120, 320: 백 플레이트
130, 330, 430, 530, 630, 730: 커버 윈도우
132, 332, 432, 532, 632, 732: 경질층
134, 334, 434, 534, 634, 734: 오목 패턴
136, 336, 536, 636, 736: 연질층
138, 338, 538, 638, 738: 볼록 패턴
436: 연질패턴

Claims (14)

  1. 연질층과; 상기 연질층 상에 위치하며 폴딩 영역에서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폴딩 영역 외측의 언폴딩 영역에서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갖는 경질층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경질층은 상기 연질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2.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제 1 면에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2 면에 볼록 패턴이 형성된 연질층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경질층은 상기 연질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제 1 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면과 마주하는 상기 연질층의 제 2 면에는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볼록 패턴이 형성된 폴더블 표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
  5.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오목 패턴이 형성된 경질층과;
    상기 오목 패턴을 채우며 상기 경질층과 평탄한 표면을 이루는 연질패턴
    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의 굴절률과 상기 연질패턴의 굴절률의 차이는 0.2 이하의 값을 갖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5 항의 커버 윈도우와;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패턴은 상기 경질층과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커버 윈도우 방향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상기 연질패턴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방향으로 폴딩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층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질패턴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KR1020150116519A 2015-08-19 2015-08-19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2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19A KR102423407B1 (ko) 2015-08-19 2015-08-19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519A KR102423407B1 (ko) 2015-08-19 2015-08-19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31A KR20170023231A (ko) 2017-03-03
KR102423407B1 true KR102423407B1 (ko) 2022-07-21

Family

ID=5841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519A KR102423407B1 (ko) 2015-08-19 2015-08-19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406B (zh) * 2018-08-22 2020-11-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盖板、有机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EP3785897B1 (en) 2019-08-29 2021-12-29 SHPP Global Technologies B.V. Transparent, flexible, impact resistant, multilayer film comprising polycarbonate copolymers
KR20210073253A (ko) 2019-12-10 2021-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167404B1 (ko) * 2020-04-02 2020-10-20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20210130474A (ko) * 2020-04-22 2021-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라스를 포함하는 투명 커버 및 이와 결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6672A (ko)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95748B1 (ko) * 2021-02-17 2022-05-10 (주)유티아이 롤러블, 슬라이더블 및 스트레쳐블 커버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EP4394545A1 (en) * 2021-10-05 2024-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1530047B1 (ko) * 2013-12-06 2015-06-22 주식회사 창강화학 광학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231A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326B1 (ko) 폴더블 표시장치
JP7075916B2 (ja) カバープレートおよびこれを含む折り畳み可能な表示装置
KR102366421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23407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0663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0481423B2 (en) Cover window and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91163B2 (en) Display device
KR102424597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913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34240B1 (ko) 폴더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70070309A (ko)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29108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615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6463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83104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23200B1 (ko) 플렉서블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8121104B (zh) 偏振器、其制造方法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KR20210038509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80552B1 (ko) 커버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40746B1 (ko) 표시장치
KR20230102471A (ko) 표시장치
KR20220097581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