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255A - 불소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소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255A
KR20170140255A KR1020177032084A KR20177032084A KR20170140255A KR 20170140255 A KR20170140255 A KR 20170140255A KR 1020177032084 A KR1020177032084 A KR 1020177032084A KR 20177032084 A KR20177032084 A KR 20177032084A KR 20170140255 A KR20170140255 A KR 2017014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llastonite
fluororubber
sila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이치 쿠니에다
아츠시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2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5/00Compositions of rubber derivatives
    • C08L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09Fluorinated polymers, e.g. PTF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9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고체상 불소 고무 폴리머 60~100중량% 및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 40~0중량%를 포함하는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애스펙트비 2 이상의 월라스토나이트 10~100중량부 및 폴리올계 가교제 0.5~1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고,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가황물을 부여할 수 있는 불소 고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내블리스터성의 확보와 비용의 양자의 점에서,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의 30~70중량%가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로 치환되어 사용된다.

Description

불소 고무 조성물
본 발명은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가황물을 부여할 수 있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불소 고무 조성물은 내열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며, 자동차, 각종 산업 기계 등의 넓은 분야에서 각종 시일재의 가황 성형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온 환경하가 되는 개소에 사용되는 시일재에 대해서는 시일 재료로서 불소 고무 조성물이 적합하다.
여기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피시일재의 성분이 휘발하면, 시일에 블리스터(팽창, 발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다. 시일(슬라이딩)면 근방에 블리스터가 발생하면, 안정적인 시일 성능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누설을 발생시키기에 이른다. 이 때문에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블리스터의 발생이 억제된 시일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131347호 공보 일본 특개 2008-121810호 공보 일본 특개 2007-186536호 공보 일본 특개 2002-212370호 공보 일본 특개 2010-90327호 공보 일본 특개 2005-146099호 공보 일본 특개 2008-195947호 공보 일본 특개 2006-19374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가황물을 부여할 수 있는 불소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상 불소 고무 폴리머 60~100중량% 및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 40~0중량%를 포함하는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애스펙트비 2 이상의 월라스토나이트 10~100중량부 및 폴리올계 가교제 0.5~1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불소 고무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내블리스터성의 확보와 비용의 양자의 점에서,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의 30~70중량%가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로 치환되어 사용된다.
충전제로서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시일 슬라이딩면의 실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또한 슬라이딩면 내에 존재하는 유막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다른 충전제에 비해 액체 밀봉하에서의 슬라이딩 및 운동시의 시일의 마찰계수를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 고체상 불소 고무에 액상의 불소 고무를 첨가하고 경도를 낮춤으로써, 충전제를 보다 많이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충전제의 배합은 고무 중 내부에 많은 결함부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대해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하면, 고무와 월라스토나이트의 상용성이 향상됨으로써 결함부가 감소하고, 내블리스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이 방법은 실레인커플링제에 의한 표면 처리에 의해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에 공업적으로 문제가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의 일부를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로 치환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해결이 도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 고무 조성물은 고체상 불소 고무 폴리머 60~100중량% 및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 40~0중량%를 포함하는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애스펙트비 2 이상의 월라스토나이트 10~100중량부 및 폴리올계 가교제 0.5~1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진다.
불소 고무에 월라스토나이트를 배합한 불소 고무 조성물은 본 출원인에 의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불화바이닐리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퍼플루오로알킬바이닐에터 삼원 공중합체와 액상 불소 고무를 포함하는 불소 고무 폴리머 성분에 월라스토나이트 충전제 등을 배합한 조성물을 퍼옥사이드 가교한 회전 슬라이딩 시일이 기재되어 있고, 이 회전 슬라이딩 시일은 편심 추종성이 우수하지만, 불화바이닐리덴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폴리올 가교한 것은 월라스토나이트 등을 배합해도 상태값(신장), 저온 특성, 토크 상승률, 펌프량 저하율에서 떨어지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특허문헌 2 : 불소 고무에 산화아연 위스커를 배합하고, 폴리올 가교한 오일 시일은 예를 들면 6000회전이라는 고속 슬라이딩하에 있어서의 정·역 양 회전의 작동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유체를 계속해서 밀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양 회전용 오일 시일을 제공하는데, 산화아연 위스커 대신에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한 비교예에서는 역방향에서는 윤활유의 누설이 확인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특허문헌 3 : 불소 고무, 폴리올계 가황제, 4급 오늄염계 가황 촉진제 및 염기성 마그네슘·알루미늄·하이드로옥시·카보네이트하이드레이트 수산제를 함유하는 불소 고무 컴파운드의 유기 용매 용액을 포함하는 불소 고무 코팅제는 가황 직후의 금속판으로의 점착성이나 고온·고면압하에서의 압축에 의한 고무층에 벗겨짐이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기술되어 있고, 침상 충전제로서 월라스토나이트 등을 첨가할 수 있다는 일반적인 기재가 보인다.
특허문헌 4 : 평균 입경이 1~50μm이며 애스펙트비 5 이상의 충전제 혹은 평균 섬유 길이가 1~500μm의 섬유상 또는 침상 충전제, 예를 들면 월라스토나이트를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5~100중량부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로부터 가황 성형된 불소 고무 가황 성형물은 경도의 상승이 적고, 충격 흡수성과 비점착성이 우수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특허문헌 5 : 폴리올 가교성 함불소 엘라스토머, 폴리올계 가교제 및 테트라뷰틸포스포늄하이드로다이엔플루오라이드 가교 촉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함불소 엘라스토머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이 조성물 중에는 월라스토나이트 등의 충전제를 배합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는데, 그 효과는 종래 제안된 가황성 조성물보다 더욱 가황 속도가 빠르고, 뿐만아니라 오븐 가황(2차 가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것에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은 고체상 불소 고무 및 액상 불소 고무의 불소 고무 블렌드물의 가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 있다.
특허문헌 6 : 고체상 불소 고무 및 액상 불소 고무의 불소 고무 블렌드물에 퍼플루오로알케인 F(CF2)2nF(n:5~30) 또는 1H-퍼플루오로알케인 F(CF2)mH(m:10~30)를 배합하여, 혼련 가공성, 금형 이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황 후의 상태 물성, 압축 영구 왜곡도 우수한 불소 고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액상 불소 고무를 28.6% 블렌드한 비교예 4에서는 이형률이 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7 : 고체상 불소 고무 및 액상 불소 고무의 불소 고무 블렌드물을 퍼옥사이드 가교 또는 폴리올 가교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는데, 그 효과는 가공성이나 내압축 영구 왜곡 특성이 우수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와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를 병용한 예로서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8 :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의 모재 중에 가황 플루오로카본 엘라스토머와 마모 저감성 첨가제를 분산하여 함유시킨 가공성 고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이 가공성 고무 조성물은 종래의 열가소화 방법,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 사출 성형, 압출 등의 방법에 의해, 시일, 개스킷, O링, 호스 등으로 성형 가능하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실시예에는 VDF/HFP/TFE 터폴리머와 TFE/P/VDF 터폴리머의 블렌드물, 저점도 플루오로 엘라스토머 또는 경화 플루오로 엘라스토머 100pphr에 대하여, 실레인커플링제 1.0pphr, 월라스토나이트 10.00pphr, 에폭시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 5.00pphr 등을 첨가한 가공성 고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 가공성 고무 조성물의 경화는 Ca(OH)2 또는 퍼옥사이드에 의해 행해지고 있고, 폴리올 가황은 일반적 기재에 보일 뿐이다.
결국 이들 특허문헌에는 본 발명의 구성을 취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의 가교물이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것을 교시 내지 시사하는 것 같은 기재가 보이지 않는다.
고체상 불소 고무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Mw(40℃, 젤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폴리스타이렌 환산)이 약50,000~300,000의 기지의 불소 고무, 구체적으로는 불화바이닐리덴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과 다른 함불소 올레핀, 예를 들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펜타플루오로프로필렌, 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트라이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불화바이닐, 퍼플루오로(아크릴산에스터), 아크릴산퍼플루오로알킬, 퍼플루오로(알킬바이닐에터) 등의 적어도 1종과의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불화바이닐리덴 삼원 공중합체 등이 사용된다.
한편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로서는 불화바이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불화바이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삼원 공중합체, 퍼플루오로프로필렌옥사이드계 공중합체 등으로서, 그 점도(100℃)는 약400~4000cps, 바람직하게는 약500~3000cps의 범위이다.
이 이하의 점도의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를 사용하면 불소 오일에 가까운 특징을 나타내고, 혼련이 곤란하게 될 뿐만아니라 가황 후의 성형품으로부터 이것이 용이하게 추출되게 되고, 한편 이 이상의 점도의 것을 사용하면 유동성이 저하되고, 성형성이 악화하게 된다. 또 고체상 불소 고무 폴리머와의 합계량 중 40중량% 이상의 비율로 사용되면 혼련 자체가 곤란하게 된다.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용액 중합,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다(예를 들면 다이킨코교사제의 Diel G-101, 신에츠카가쿠코교사제의 SIFEL 시리즈, 듀폰사제의 바이 톤 LM 등).
월라스토나이트로서는 애스펙트비가 2 이상의 입자상이 아닌 일반적인 형상의 것이 사용된다. 월라스토나이트는 실레인커플링제 특히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것이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약10~100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이 이하의 비율에서는 내블리스터성의 개선이 달성되지 않고, 한편 이 이상의 비율로 사용하면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가공상, 제품 기능상의 문제가 된다.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커플링제로서는 일반식
Figure pct00001
(R1, R2 : 탄소수가 1~4의 알킬기, n, m:1≤n≤3, m=3-n)으로 표시되는 실레인 화합물, 예를 들면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트라이프로폭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에톡시실레인, γ-글라이시독시프로필메틸다이프로폭시실레인 등이 사용된다.
단, 월라스토나이트를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은 내블리스터성을 개선시키지만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그것의 30~70중량%를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로 치환하여 사용하면, 내블리스터성의 확보와 비용의 양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의 각 필수 성분을 함유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은 폴리올계 가교제, 바람직하게는 폴리올계 가교제/4급 오늄염계 가황 촉진제로 가교된다.
폴리올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비스페놀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퍼플루오로프로페인〔비스페놀AF〕,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비스페놀S〕,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비스페놀F〕, 비스페놀A-비스(다이페닐포스페이트), 4,4'-다이하이드록시다이페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뷰테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A, 비스페놀AF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또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염의 형태여도 된다. 이들 폴리올계 가교제는 일반적으로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약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1~5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가황 촉진제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또는 제4급 포스포늄염 또는 그것과 활성수소 함유 방향족 화합물과의 등몰 분자 화합물 등의 4급 오늄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제4급 포스포늄염이 사용된다. 제4급 포스포늄염으로서는 일반식
Figure pct00002
Rl~R4 : 탄소수 1~25의 알킬기, 알콕실기, 아릴기, 알킬아릴기, 아르알킬기 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기이며, 또는 이들 중 2~3개가 P와 함께 복수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X- : Cl-, Br-, I-, HSO4 -, H2PO4 -, RCOO-, ROSO2 -, CO3 -- 등의 아니온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페닐포스포늄클로라이드, 벤질트라이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 벤질트라이페닐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페닐메톡시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페닐메틸카보닐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페닐에톡시카보닐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옥틸벤질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옥틸메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트라이옥틸에틸포스포늄아세테이트, 테트라옥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또 제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일반식
Figure pct00003
(여기서 Rl~R4 및 X-는 상기와 동일하다)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예를 들면 1-알킬피리디늄염, 5-아르알킬-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5-노네늄염, 8-아르알킬-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7-운데세늄염 등이 사용된다. 이들 4급 오늄염은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약0.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1~5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불소 고무의 폴리올 가교시에는 그것의 100중량부당 약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1~7중량부의 수산화칼슘 및 약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1~5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이 배합되어 사용된다. 수산화칼슘량이 이보다 적으면 가황이 지연되게 되고, 한편 이 이상의 비율로 사용되면 내압축 영구 왜곡 특성이 악화하게 된다. 또 산화마그네슘량이 이보다 적으면 내압축 깨짐성이 악화하게 되고, 한편 이 이상의 비율로 사용되면 가황시에 스코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가황 성형품의 경도(JIS K6253 준거)를 예를 들면 시일 부품으로서 필요한 약60~90정도로 조절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SRF 카본블랙 등의 카본블랙을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약30중량부 미만의 적당량 배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고무 조성물의 조제는 가공 조제, 그 밖의 필요한 배합제를 배합하여, 인터믹스, 니더, 반바리 믹서 등의 혼련기 또는 오픈 롤 등을 사용하여 혼련함으로써 행해지고, 성형(가교 또는 가황 성형)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가황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약160~200℃에서 약3~30분간 가열함으로써 행해지고, 필요에 따라 약150~250℃에서 약0.5~24시간정도 가열하는 2차 가교(2차 가황)도 행해진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에 대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고체상 불소 고무(듀폰 제품 바이톤 A-500) 80중량부
액상 불소 고무 20 〃
(다이킨 제품 다이엘 G-101, 점도(100℃) 1200cps)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 20 〃
(NYCO제품 Wollastcoat 10222, 애스펙트비 5)
SRF 카본블랙 25 〃
MgO 3 〃
Ca(OH)2 6 〃
가공 조제(듀폰·다우·엘라스토머사 제품 VPA No.2) 2 〃
비스페놀AF 1.5 〃
제4급 포스포늄염(듀폰사 제품 Viton VC#20) 1.5 〃
이상의 각 성분을 오픈 롤, 니더 등을 사용하는 임의의 혼련 수단을 사용하여, 미가황의 불소 고무 조성물을 조제했다. 시험용으로서 불소 고무 조성물을 180℃에서 8분간 프레스 가황하고, 그 후 230℃의 분위기하에서 9시간 유지하여 2차 가황을 행하여 두께 2mm의 가황 시트를 조제했다.
조제된 가황 시트에 대해, 다음 각 항목의 측정·평가를 행했다.
경도 : ISO 7619-1에 대응하는 JIS K6253 준거(Duro A, peak)
내블리스터성 시험 : 가황 시트를 프레온 R-134a(CH2FCF3) 중에 40℃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40℃에서 1시간 방치하고, 가황 시트 외관을 육안으로 보아 블리스터(팽창) 없음을 ◎, 있음을 ×로 평가했다. 이 평가는 120℃ 이상이라는 고온 환경하에서의 내블리스터성을 만족시킨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40중량부로, 경도 조정용(약80정도)의 SRF 카본블랙량을 15중량부로 각각 변경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60중량부로, 경도 조정용(약80정도)의 SRF 카본블랙량을 5중량부로 각각 변경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80중량부로 변경하고, SRF 카본블랙을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5)
SRF 카본블랙을 5중량부 사용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20중량부(33중량%)로 변경하고, 실레인커플링제로 처리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NYCO 제품 NYAD 400)를 40중량부(67중량%) 사용했다.
(실시예 6)
SRF 카본블랙을 5중량부 사용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30중량부(50중량%)로 변경하고,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를 30중량부(50중량%) 사용했다.
(실시예 7)
SRF 카본블랙을 5중량부 사용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을 40중량부(67중량%)로 변경하고,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를 20중량부(33중량%) 사용했다.
(비교예 1)
SRF 카본블랙이 15중량부 사용된 실시예 2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 대신에 동량(40중량부)의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가 사용되었다.
(비교예 2)
SRF 카본블랙이 5중량부 사용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 대신에 동량(60중량부)의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가 사용되었다.
(비교예 3)
SRF 카본블랙이 사용되지 않은 실시예 4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 대신에 동량(80중량부)의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가 사용되었다.
(비교예 4)
SRF 카본블랙이 5중량부 사용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이 10중량부(16.7중량%)로 변경되고,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가 50중량부(83.3중량%) 사용되었다.
(비교예 5)
SRF 카본블랙이 사용되지 않은 실시예 4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이 20중량부(25중량%)로 변경되고, 월라스토나이트(NYAD 400)가 60중량부(75중량%) 사용되었다.
이상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측정·평가 결과는 미가황 불소 고무 조성물 중의 실레인커플링제 처리(Si 처리) 월라스토나이트량, 월라스토나이트량 및 SRF 카본블랙량과 함께 다음의 표에 표시된다.
Figure pct00004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1)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가 사용된 실시예 1~4에서는 프레온 R-134a 접촉시의 내발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2)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월라스토나이트를 월라스토나이트 총량 중 30~70중량%를 차지하도록 하는 비율로 월라스토나이트와 블렌드하여 사용한 실시예 5~7에서는 내발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면서 저비용화를 가능하게 한다.
(3)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를 하고 있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가 사용된 비교예 1~3에서는 내발포성이 떨어진다.
(4)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한 월라스토나이트의 비율이 30중량% 미만의 비교예 4~5에서는 내발포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품은 예를 들면 120℃ 이상이라는 고온 환경하가 되는 개소에 사용되는 시일재로서, 또 일반적으로 O링, 개스킷 및 패킹으로서 사용되는 시일 부품, 또는 그 밖의 고무 부품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그 밖의 고무 부품으로서는 오일 시일, 밸브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최근 지구 환경 보호의 견지로부터 연비 향상이 요구되고 있어, 마찰 손실 저감을 위해 윤활유 등의 저점도화 등이 행해지고 있는데, 이 윤활유 중에 혼입되어 있는 저분자량 성분 등이 고온 환경하에서 휘발한 경우에도 블리스터를 발생시키지 않는 시일 재료로서도 유효하게 사용된다.

Claims (8)

  1. 고체상 불소 고무 폴리머 60~100중량% 및 액상 불소 고무 폴리머 40~0중량%를 포함하는 불소 고무 100중량부당,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애스펙트비 2 이상의 월라스토나이트 10~100중량부 및 폴리올계 가교제 0.5~10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불소 고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상 불소 고무로서 그 점도(100℃)가 400~4000cps의 불소 고무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가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커플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월라스토나이트의 30~70중량%가 실레인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되지 않은 월라스토나이트로 치환되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추가로 0.1~10중량부의 4급 오늄염계 가황 촉진제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각각 0.5~10중량부의 수산화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7. 제 1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시일재의 가황 성형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고무 조성물.
  8. 제 7 항에 기재된 불소 고무 조성물로부터 가황 성형된 내블리스터성이 우수한 가황 성형품.
KR1020177032084A 2015-04-24 2016-04-20 불소 고무 조성물 KR20170140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9282 2015-04-24
JPJP-P-2015-089282 2015-04-24
PCT/JP2016/062541 WO2016171183A1 (ja) 2015-04-24 2016-04-20 フッ素ゴム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255A true KR20170140255A (ko) 2017-12-20

Family

ID=571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084A KR20170140255A (ko) 2015-04-24 2016-04-20 불소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127571A1 (ko)
EP (1) EP3287490A4 (ko)
JP (1) JP6540798B2 (ko)
KR (1) KR20170140255A (ko)
CN (3) CN107531972A (ko)
WO (1) WO20161711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0364A1 (ja) * 2015-12-21 2017-06-29 Nok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8566B2 (ja) * 1997-10-31 2003-08-18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炭酸ガスと接触する用途に用いられる成形材料
US20060004126A1 (en) * 2004-06-30 2006-01-05 Park Edward H Thermoplastic vulcanizate with functional fillers
US7449523B2 (en) * 2004-12-27 2008-11-11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Fluorocarbon elastomer compositions containing wear reducing additives
JP5294551B2 (ja) * 2006-09-07 2013-09-18 Nok株式会社 正・逆両回転用オイルシール
CN101622325A (zh) * 2007-02-01 2010-01-06 Nok株式会社 旋转滑动密封件用氟橡胶交联体及其制造方法
EP2135912A1 (en) * 2007-02-01 2009-12-23 NOK Corporation Crosslinked fluororubber for rotational sliding seal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10008152A (ko) * 2008-03-27 2011-01-26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고무 조성물 및 불소 고무 가교체
EP2325252B1 (en) * 2008-09-09 2014-11-12 Daikin Industries, Ltd. Method for producing fluorine rubber crosslinked molded body
JP2012224654A (ja) * 2011-04-14 2012-11-15 Nok Corp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ゴム金属積層体
EP2557109B1 (en) * 2011-08-11 2019-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bonding a fluoroelastomer compound to a metal substrate using low molecular weight functional hydrocarbons as bonding promoter
WO2014024661A1 (ja) * 2012-08-10 2014-02-13 Nok株式会社 フッ素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87490A4 (en) 2018-10-10
CN117683308A (zh) 2024-03-12
JPWO2016171183A1 (ja) 2017-12-28
US20180127571A1 (en) 2018-05-10
CN117683307A (zh) 2024-03-12
EP3287490A1 (en) 2018-02-28
JP6540798B2 (ja) 2019-07-10
WO2016171183A1 (ja) 2016-10-27
CN107531972A (zh)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0399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5652469B2 (ja)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品
JP5786967B2 (ja) 自動車用オイルシール
US7279530B2 (en) Method for producing low friction fluorine rubber crosslinked body
KR101327605B1 (ko) 미끄럼 이동 부재, 불소 고무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비점착성 부재
JP5299507B2 (ja)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5293805B2 (ja) フッ素ゴム成形品
WO2009118860A1 (ja)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架橋体
EP3390533B1 (en) Fluoroelastomer compositions
KR20070100419A (ko) 가교성 조성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적층체
KR20150043350A (ko) 불소 고무 조성물
JP6435666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KR20180097627A (ko) 불소 고무 조성물
JP2010024339A (ja) 含フッ素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JP5124945B2 (ja) フッ素ゴム架橋体の製造方法
JP4528713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架橋体の製造方法
JPWO2008093803A1 (ja) 回転摺動シール用フッ素ゴム架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540798B2 (ja) フッ素ゴム組成物
JP2007169511A (ja) 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架橋体の製造方法
EP3715680A1 (en) Gasket material
JP2008144061A (ja) フッ素ゴム組成物及びフッ素ゴム架橋体
JP4306421B2 (ja) ポリオール架橋可能なフッ素ゴム組成物
JP2016090013A (ja) オイルシール
JP2005146099A (ja) 低硬度フッ素ゴム組成物
JP2013195234A (ja) 自動車用オイルレベルゲー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