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870A -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870A
KR20170131870A KR1020160062590A KR20160062590A KR20170131870A KR 20170131870 A KR20170131870 A KR 20170131870A KR 1020160062590 A KR1020160062590 A KR 1020160062590A KR 20160062590 A KR20160062590 A KR 20160062590A KR 20170131870 A KR20170131870 A KR 20170131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andrel
coffee
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231B1 (ko
Inventor
강수연
Original Assignee
강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연 filed Critical 강수연
Priority to KR102016006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3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40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using organic additives, e.g. milk,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맨드라미 1 내지 15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커피 고유의 맛을 저감시키기지 않으면서도, 혈 작용, 생리통 완화 및 안과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는 맨드라미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ffee Composition Using Cockscomb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혈 작용, 생리통 완화 및 안과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는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생활 및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음료의 소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기호음료의 하나인 커피는 쓴맛, 떫은 맛, 신맛, 구수한 맛 등이 조화되어 만들어지는 음료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보급된 식품이다.
세계인이 소비하는 커피는 하루 25억 잔이며 전 세계적으로 70~80%의 인구가 섭취하여 물 다음으로 가장 많이 마시는 음료로서, 전 세계 교역품 중 석유에 이어 두 번째로 교역량이 많다.
커피는 카페인, 클로로겐산, 나이아신, 칼륨, 트리고넬, 아미노산, 탄닌(tannin), 당 및 여러 가지 방향족 화합물 등의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 중 커피 특유의 향과 색을 나타내는 것은 커피중의 유기산 및 당류, 아미노산의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Maillard)의 생성물이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성분은 카페인으로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의 하나로 냄새가 없고 쓴 맛을 가진 수용성 물질이다.
카페인은 1,3,7-트리메틸잔틴(1,3,7-trimethylxanthine)으로 커피, 차, 콜라 등의 음료수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적정량 섭취 시에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자극하여 집중력 향상, 졸음방지에 도움을 주지만 과하게 섭취할 경우 신경과민, 흥분, 불면을 유발하며 내분비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커피 카페인의 경우 혈청 유리지방산, 혈중 콜레스테롤, 혈청 인지질, 중성지방농도 증가로 동맥경화증의 발생의 우려가 있고, 커피 음용의 증가로 인한 카페인 섭취의 증가는 심근경색증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카페인은 신장에서 소변량을 늘려 탈수현상을 초래하고, 칼슘의 배설을 촉진하는 동시에 칼슘과 철분의 흡수성을 떨어뜨려, 다량으로 섭취할 경우 골밀도가 감소하는 골다공증과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까지 커피를 이용한 다양한 성분 분석 및 배전, 추출 방법에 따른 카페인 함량 비교, 커피의 종류에 따른 이화학 성분과 쓴맛, 단맛의 변화, 추출 수율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커피 음용 시 발생하는 부작용 및 부작용의 원인이 되는 카페인의 함량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커피의 맛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커피 카페인의 함량 감소와 더불어 기능성을 첨가할 수 있는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커피는 점점 다양화 되고 급변하는 경쟁력 높은 커피 시장에 새로운 형태의 커피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549889호는 커피에 칡뿌리 분말을 포함시킨 칡뿌리 분말과 커피 원두 분말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1549927호는 용암해수와 황칠을 이용한 액상 커피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특허 공개 제10-2014-0063263호는 발효 커피효소 조성물, 발효 커피효소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혈 작용, 생리통 완화 및 안과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는 맨드라미를 커피와 혼합하여 인체에 유용한 약리학적 성능을 부가하는 동시에 커피 고유의 맛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기호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 및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커피 고유의 맛을 저감시키기지 않으면서도, 혈 작용, 생리통 완화 및 안과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는 맨드라미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 및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커피 조성물은 물, 얼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사용량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폭넓게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커피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인스턴트커피, 로스트 분쇄 커피, 커피분말, 동결된 커피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을 구성하는 커피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페이스트는 맨드라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를 지칭한다.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맨드라미 페이스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사용량은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는 맨드라미의 꽃, 열매, 잎, 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분말화 한 것이나, 동결건조된 맨드라미 발효액, 맨드라미 액, 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의 입자는 평균 0.5 내지 5mm의 크기로 분말화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mm의 크기로 분말화 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분말화는 약용식물의 분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쇄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을 메시(mesh)를 통해 걸러내어 일정 크기의 맨드라미 페이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드라미 발효액은 맨드라미의 씨, 열매, 꽃, 잎, 줄기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설탕과 혼합, 바람직하게는 맨드라미와 설탕을 3:7 내지 7:3의 중량비율, 추천하기로는 약 5: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숙성시킨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페이스트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5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페이스트는 맨드라미에 에틸알콜 20 내지 30중량% 및 증류수 7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용제를 분무하는 용제 분무단계;
상기 용제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3 내지 6일 동안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 상기 제 1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한 맨드라미에 증류수를 분무하는 증류수 분무단계; 상기 증류수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1 내지 2일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 및 상기 제 2 건조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 사용된 맨드라미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써, 맨드라미는 꽃 모양이 닭의 벼슬을 닮았다 하여 계관화라고도 불리우며, 성질이 차고 맛은 쓴게 특징으로 그 효능은 간과 대장에 닿아 차고 쓴 성질 때문에 염증을 가라앉게 하고 피와 설사를 멎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있는데, 본초강목에도 씨를 볶아서 부인의 대하증이나 월경, 성사 등이 멎지 낳을 때 달여 먹으면 좋다는 기록이 나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맨드라미가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어 사람이 음용할 경우, 혈 작용, 생리통 완화 및 안과 질환개선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맨드라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맨드라미는 맨드라미의 씨, 꽃, 잎,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 사용되는 맨드라미는 맨드라미 페이스트의 맨드라미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그러한 일례로서, 상기 용제 분무단계의 맨드라미는 맨드라미를 자연 또는 열풍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가 종료된 후 볶는 1차 로스팅단계; 상기 1차 로스팅단계가 종료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2차로 볶는 2차 로스팅단계; 및 상기 2차 로스팅단계가 종료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맨드라미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단계에 사용되는 분쇄기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쇄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쇄단계에서 분쇄된 맨드라미 분말은 별도로 메쉬 등을 이용하여 분류함으로써, 최종적인 맨드라미 페이스트 입자크기를 0.5 내지 5mm 범위로 분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은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어 맛과 향을 내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단백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밀크, 스팀 밀크, 분유, 탈지분유, 카제인 단백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1,00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제는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어 각 조성물이 서로 잘 섞여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초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젖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구연산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호박산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유지는 커피 조성물에 포함되어, 커피 맛을 깊이 있게 하여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성 유지라면 어떠한 것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식물성 유지는 코코아, 올리브유, 해바라기씨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그 사용량은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항산화 성분을 부가하기 위하여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페놀, 폴라보노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에 의한 골다공증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이소플라본, 식물성 에스트로겐 또는 이들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pH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리 및 침전 등을 방지하여 품질 안정화를 높일 수 있도록 산도 조절제를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도 조절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산도 조절제는 40 내지 50℃의 물에 용해시킨 후 부가할 수 도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음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가되는 물의 양은 조절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50 내지 2,000중량부인 것이 좋지만, 기호에 따라 더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물은 필요에 따라 알코올 분해나 인체 신진대사를 돕는 미네랄이 함유된 정제수, 예를 들면 아연, 구리, 은, 철 및 주석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미네랄의 이온화는 고전압 전기분해에 의해 이루어지며, 미네랄 이온은 정제수에 300ppm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은 커피 음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커피 100중량부 기준으로 곡물 발효물 1 내지 5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물 발효물은 곡식에 발효균으로 효모, 누룩 및/또는 초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된 것으로, 액상 및 고상(분말, 동결건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곡식은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나, 추천하기로는 쌀, 호밀가루, 통밀가루, 귀리, 찹쌀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은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 및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는 맨드라미에 에틸알콜 20 내지 30중량% 및 증류수 7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용제를 분무하는 용제 분무단계;
상기 용제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3 내지 6일 동안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
상기 제 1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한 맨드라미에 증류수를 분무하는 증류수 분무단계;
상기 증류수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1 내지 2일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 및
상기 제 2 건조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는 분말화 단계가 종료된 메쉬를 이용하여 원하는 크기, 예를 들면 평균입도가 0.5 내지 5mm인 맨드라미 페이스트로 분류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 포함된 용제 분무단계의 맨드라미는 맨드라미를 자연 또는 열풍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가 종료된 후 40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3분 동안 볶는 1차 로스팅단계;
상기 1차 로스팅단계가 종료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1차 분쇄단계;
상기 1차 분쇄단계가 종료된 후 85 내지 95℃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3분 동안 볶는 2차 로스팅단계; 및
상기 2차 로스팅단계가 종료된 후 분쇄기로 분쇄하는 2차 분쇄단계를 포함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의 열풍건조는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60 내지 70℃의 온도범위에서 5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 포함된 제2 건조단계 후단에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 하이드로퍼록사이드 리아제(Hydroperoxide lyase)중에서 선택된 1종의 효소를 첨가하는 효소 첨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은 맨드라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부가 좋으며, 이때 상기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 하이드로퍼록사이드 리아제(Hydroperoxide lyase)중에서 선택된 1종의 효소는 맨드라미 고유의 향과 맛의 손실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알데히드나 케톤 등의 향미 성분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상기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 포함된 분말화단계 후단에는 밀폐된 공간에서 무색무취이고 불활성이며 인체에 무해한 탄산가스 또는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건조되는 맨드라미 페이스트 조직내에 함침된 가스에 의해 수분재침투를 방지하여 부패되지 않도록 하는 방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1]
맨드라미 꽃 500g에 에틸알콜 25g 및 증류수 75g이 혼합된 용제를 분무한 후 4일 동안 노광건조하였다.
그 다음, 건조된 맨드라미 꽃에 증류수 100g을 분무 한 후 1.5일 동안 노광건조하였다.
그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한 뒤 메쉬로 분류하여 평균입도가 0.5 내지 5mm인 맨드라미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2]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맨드라미 꽃 500g은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65℃에서 7시간 동안 건조 한 후, 45℃에서 2분 동안 1차로 로스팅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1차 분쇄하였으며, 다시 90℃에서 2분 동안 2차로 로스팅한 후, 분쇄한 맨드라미 꽃을 사용하였다.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3]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1.5일 동안 노광건조 후에,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 0.5g을 부가하였다.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4]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 한 뒤, 10L의 밀폐된 공간에서 50℃에서 10시간 동안 질소가스를 함침시켰다.
[실시예 1]
로스트 분쇄 커피 100g,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1에 따라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70g, 동결건조된 밀크 300g, 동결건조된 밀크 150g,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g, 및 올리브유 3g을 혼합하여 커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맨드라미 페이스트를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2에 따라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7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맨드라미 페이스트를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3에 따라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7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맨드라미 페이스트를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 4에 따라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70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라보노이드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식물성 에스트로겐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탄산수소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연의 미네랄 이온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수 200g를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쌀 발효물 3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맨드라미 페이스트 70g을 제외하고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3g을 제외하고 실시하였다.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동일한 양의 물과 혼합하여 커피를 제조한 후 단맛, 쓴맛, 신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으로 관능 평가를 행한 결과를 표 1로 나타냈다.
단맛 쓴맛 신맛 기호도
실시예 1 1.6 1.3 2.3 2.70
실시예 2 1.5 1.3 2.2 2.74
실시예 3 1.4 1.3 2.4 2.78
실시예 4 1.5 1.3 2.1 2.80
실시예 5 1.6 1.2 2.5 2.76
실시예 6 1.7 1.5 2.1 2.83
실시예 7 1.7 1.2 2.5 2.91
실시예 8 1.8 1.1 2.3 3.01
실시예 9 1.7 1.0 2.4 3.43
비교예 1 0.9 1.8 2.3 1.94
비교예 2 1.2 2.1 2.3 1.9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은 비교예들 보다 단맛이 높고, 쓴맛이 낮아,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
20대~40대 남녀를 50명을 선발하여, 연령대가 동일하게 분포하도록 10명씩 총 30명을 선발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동일한 양의 물과 혼합하여 커피를 제조한 커피 3잔을 10분간격으로 마신 후에 맛, 향, 기호도로 구분하여 9점 평점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로 나타냈다.
기호도
실시예 1 8.4 8.1 8.1
실시예 2 8.3 8.1 8.2
실시예 3 8.1 8.0 8.3
실시예 4 8.3 8.3 8.4
실시예 5 8.5 8.1 8.3
실시예 6 8.2 8.2 8.3
실시예 7 8.1 8.5 8.4
실시예 8 8.2 8.3 8.3
실시예 9 8.4 8.4 8.6
비교예 1 7.1 7.4 7.3
비교예 2 7.1 7.3 7.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9는 비교예들 보다 맛과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는 맨드라미의 꽃, 열매, 잎, 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분말화 한 것이나, 동결건조된 맨드라미 발효액, 맨드라미 액, 맨드라미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밀크, 스팀 밀크, 분유, 카제인 단백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4.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 및
    커피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에서 제조된 맨드라미 페이스트 1 내지 150중량부, 단백질 5 내지 1,000중량부, 유화제 0.1 내지 5중량부, 및 식물성 유지 0.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라미 페이스트 제조단계는 맨드라미에 에틸알콜 20 내지 30중량% 및 증류수 7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용제를 분무하는 용제 분무단계;
    상기 용제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3 내지 6일 동안 건조하는 제 1 건조단계;
    상기 제 1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한 맨드라미에 증류수를 분무하는 증류수 분무단계;
    상기 증류수 분무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노광하여 1 내지 2일간 건조하는 제 2 건조단계; 및
    상기 제 2 건조단계가 종료된 맨드라미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분말화 단계를 포함하는 커피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60062590A 2016-05-23 2016-05-23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90A KR101815231B1 (ko) 2016-05-23 2016-05-23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90A KR101815231B1 (ko) 2016-05-23 2016-05-23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70A true KR20170131870A (ko) 2017-12-01
KR101815231B1 KR101815231B1 (ko) 2018-01-30

Family

ID=6092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590A KR101815231B1 (ko) 2016-05-23 2016-05-23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039B1 (ko) 2019-10-24 2021-07-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맨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2890B2 (ja) * 2000-10-16 2009-06-24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コーヒー含有凍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1023A (ko) * 2001-08-30 2004-04-09 신미츠이 세이토 가부시키가이샤 꽃 또는 허브의 향료, 또는 꽃 또는 허브의 추출물을함유하는 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31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7470B1 (ja) 阿蘇産の大麦の茎及び/又は葉
JP2013176404A (ja) 飲料
KR102136531B1 (ko) 메밀이 함유된 기능성 드립백 커피의 제조방법
CN109349381A (zh) 一种忧遁草草本颗粒茶及制备方法
KR101815231B1 (ko)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4361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234B1 (ko) 장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7572B1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KR20170127671A (ko) 초고압을 이용한 유색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청국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53416B1 (ko) 더치커피를 이용한 인스턴트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3758A (ko) 토마토 간장의 제조방법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47576B1 (ko) 기능성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5214B1 (ko)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2435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842B1 (ko) 커피가 함유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2426674B1 (ko) 흑노호 액상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4645B1 (ko) 흑도라지청의 제조방법
KR20180070037A (ko) 땅콩새싹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8305B1 (ko) 커피 원두 분말 및 황칠 나무 발효 잎 추출 분말의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KR101884840B1 (ko) 인삼엽차 제조방법
KR101854120B1 (ko) 식이유황을 이용한 곶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