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144A -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 Google Patents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144A
KR20170128144A KR1020170059384A KR20170059384A KR20170128144A KR 20170128144 A KR20170128144 A KR 20170128144A KR 1020170059384 A KR1020170059384 A KR 1020170059384A KR 20170059384 A KR20170059384 A KR 20170059384A KR 20170128144 A KR20170128144 A KR 2017012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ler
water storage
corn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832B1 (ko
Inventor
카즈히사 후지모토
타케시 마츠모토
미치오 이바
Original Assignee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 시베루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40Other devices for confining, e.g. trenches, drain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코너부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 및/또는 정점 부분과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전재의 변 부분 및/또는 정점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한 저수 구조 및 이를 시공하는 저수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Water storage structure and Water storage metho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structur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지상을 주차장이나 정원 등 다른 용도로 이용하면서 지하에 우수(雨水)를 저장하여 두기 위한 저수조(貯水槽)나 저수지 등을 마련하는 저수 구조(貯水構造) 및 저수 공법(貯水工法)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보다 간편하게 저수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인건비의 절약이나 공기의 단축이 가능함과 함께, 인적인 시공 실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대수층(帶水層)이 없는 토지나, 지하에 자연의 대수층이 있어도 대수층을 칸막이하는 것이 지질 상, 곤란한 장소 등 수자원이 부족한 토지에서는, 지하에 인공적인 저수조를 형성하여 수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 외에도, 대도시에서 방화용수나 공업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인공적인 저수 공간을 가지는 저수조를 마련하여 우수가 효율 좋게 저수조에 흘러들어가도록 한 시스템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와 같은 저수조는, 저수 공간의 위를 주차장이나 공원 등으로 이용하므로, 위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뎌내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저수 공간 내에 충전재를 배치 충전하여 강도를 높게 하고 있고, 충전재(充塡材)로서는 통상 자갈이나 쇄석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갈이나 쇄석은 토지에 따라서는 충분한 양을 입수하는 것이 곤란한 곳도 있고, 가격적으로도 고가로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저수하기 위한 광대한 오목 장소가 있다고 하여도 자갈이나 쇄석을 이용하는 경우, 적어도 자갈이나 쇄석의 체적분은 저수량이 감소해 버리는 것으로 된다. 통상, 쇄석을 충전재로서 이용한 경우, 오목 장소 전체의 용적에 비하여 저수율이 40% 정도로 되어 버리고, 나머지 60%는 쇄석이 점유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차수 시트(遮水 sheet)로 둘러싸인 저수 공간에, 블록체 충전재를 배치한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차수 시트를 미리 층상(層狀)으로 형성한 차수 성형체를 오목 장소에 배치하고, 그 후, 차수 성형체 내에 충전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하지(下地)에 차수 시트를 부설한 저수 공간에 충전재를 배치한 저수조에 있어서, 하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법면(法面)과 저면(底面)으로 이루어지고, 차수 시트를 부설한 저수 공간에는 블록체 충전재와 소사이즈(小size) 충전재를 병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조 등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합성수지제의 저수 블록군(block群)을 피포체(被包體)에서 액밀(液密)로 피포하여 구성된 지하 저수조에 이용되는 피포체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블록체 충전재는, 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로, 위로부터의 압력에 견딤과 함께, 저수하기 위한 오목 장소 전체의 용량에 비하여 저수율을 9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1-27973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1-4071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 2013-79524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갈이나 쇄석 대신에 블록체 충전재를 충전재로 하고, 이 블록체 충전재를 차수 시트 및 보호 시트로 싸는 저수 구조 및 공법(도 11 의 종래의 저수조 참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쌀 때에, 코너부(모서리 부분, 상세하게는 충전재의 변(邊) 부분이나 정점(頂点) 부분)에 있어서 차수 시트를 넣어두기 위해 차수 시트를 접어 구부린다든지 불요 부분을 절취한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어, 품이 든다. 또, 차수 시트의 일부를 절취하는 것에 의한 누수의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2) 블록체 충전재를 쌓아 올린 것은, 측벽면이나 상면이 평탄한 면은 아니므로 차수 시트로 쌀 때에, 블록체 충전재가 어긋나는 것이 있어, 특히 코너부에 있어서의 시공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3)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높이가 높은 때에는, 가부설(假敷設)한 차수 시트를 잡아 올려 블록체 충전재 측에 덮어씌우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이상과 같은 문제에 의해, 차수 시트 부설 시의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특히 코너부), 작업자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쉽게 되며, 또, 인건비가 더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쌓아 올린 블록체 충전재의 코너부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덮어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변부분에, 이 변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corner形物)을 배치하고, 상기 코너형물이 배치된 상기 충전재를 상기 차수 시트에 의해 덮는, 저수 공법이다.
상기 공법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 부분에 당해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차수 시트가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부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재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체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저수조의 형성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三股 形狀)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법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에 의해,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정점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법에 의하면, 충전재가 있는 변 부분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법에 의하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은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차수 시트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과 상기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한 저수 구조이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의 변 부분과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충전재의 변 부분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와 차수 시트가,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차수 시트가 충전재의 요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에 의해,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정점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충전재가 있는 변 부분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저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이,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충전재를 차수 시트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은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의 변 부분에서 차수 시트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저수조의 시공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한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저수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충전재의 설명도이다.
[도 3]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차수 시트 및 보호 시트의 부설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너형물의 설명도이다.
[도 5]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충전재와 코너형물과의 설치 태양의 설명도이다.
[도 6]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공법의 플로우이다.
[도 7] 도 7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차수 시트의 접합에 관하여의 설명도이다.
[도 8] 도 8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충전재 조립공정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9] 도9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측면 시트 공정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10] 도 10은, 저수 공법에 있어서의 도로 메움에 관계되는 설명도이다.
[도 11] 도 11은, 종래의 저수조의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저수 구조 (1))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구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 충전재(2)를 덮는 차수 시트(3), 차수 시트(3)를 보호하는 보호 시트(4), 충전재(2)의 변 부분이나 정점 부분과 차수 시트(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5)을 구비하고, 충전재(2)에 유입시키는 관, 충전재(2)에 저수한 물을 이용하는 펌프 기구, 충전재(2)에 저수한 물이 오버플로우한 경우에 배출하는 관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저수 구조(1)는 지중에 매설되어, 우수를 내부에 축적하고, 필요 시에 축적된 우수가 취출되어 사용된다.
(충전재(2))
충전재(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볼록 형상을 한 접어구부림부(23)(도 2에서는 4개)를 평행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홈부(24)(도 2에서는 3개)를 형성한 직방체의 블록체(22)를, 접어구부림부(23) 및 홈부(24)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다수 쌓아 올리는 것에 의해(도 2에서는 5개), 많은 간극(공극)을 확보한 중공 구조를 하고 있다.
블록체(22)는,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이 300~4000mm, 바람직하게는 500~2000mm 사방형으로, 두께가 100~500mm 정도의 크기이다. 또, 블록체(22)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수지, 풀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열거되고, 물에 의해 부식하기 어렵게, 비교적 값싸고 경량인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록체(22)를 겹쳐 쌓아 올린 충전재(2)는,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간극(공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위로부터 10tf/㎡ 이상의 하중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전재(2)의 형상은, 블록체(22)를 겹쳐 쌓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간극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블록(직방체) 형상을 한 물체이면 좋다.
(차수 시트(3))
차수 시트(3)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가류(加硫)고무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계, 폴리에틸렌수지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염화비닐수지계가 열거되고, 고강도이고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계가 바람직하다. 차수 시트(3)의 두께는 1.0mm~2.5mm의 범위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서는, 차수 시트(3)의 두께가, 1.0mm 미만이면 강도가 부족하여 시트가 용이하게 파단하는 것이 있고, 한편으로, 두께가, 2.5mm를 초과하면, 차수 시트(3)의 접합 개소에 있어서 단차가 크게 되어 버려 외관을 나쁘게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보호시트(4))
본 실시 형태의 저수 구조(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수 시트(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 지면이나 측면에 보호 시트(4)를 부설한다. 보호 시트(4)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부직포, 혹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합성수지 등의 단체(單體) 혹은 복합재가 열거되고, 차수 시트(3)와 동일 고강도, 내후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4)의 두께는, 4.0mm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수 구조(1)에서는, 차수 시트(3)와 보호 시트(4)의 이층(2層)으로의 사용이 일반적이나, 차수 시트(3)나 보호 시트(4)의 매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수 시트(3)와 보호 시트(4)가 복수매 겹쳐있어도 좋다.
(코너형물(5))
코너형물(5)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을 한 시트를 가공하여, 삼고(三股) 형상으로 형성한 삼고 코너형물(51)과, 평판 형상을 한 시트를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단면이 L자 형상을 한 L자 코너형물(52)의 2 종류가 있다.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에 접촉하는 부분, 및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고,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세변의 교점)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의 8개의 정점 부분(26)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 삼고 코너형물(51)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폭 c가 30~60mm, 폭 d가 150~500mm, 두께가 2~5mm이다. 또한, 삼고 코너형물(51)은,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의 전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에 접촉하는 부분, 및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고, 충전재(2)의 변 부분(25)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의 12개의 변 부분(25)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 L자 코너형물(52)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폭 a가 200~1200mm, 폭 b가 30~60mm, 두께가 2~5mm이다. 또한, L자 코너형물(52)은, 충전재(2)의 변 부분(25)의 전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차수 시트(3)와 같은 재질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즉,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가류(加硫)고무계, 열가소성엘라스토머계, 폴리에틸렌수지계, 에틸렌초산비닐수지계, 염화비닐수지계가 열거되고, 고강도이고 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수지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에 배치되고,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차수 시트(3)가 직접 접합되어 있다.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과, 차수 시트(3)와의 접합 태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수 시트(3)가 가류고무 등 고무계의 경우는 접착제(예를 들면, 부틸고무계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다. 또, 차수 시트(3)가 수지계의 경우는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여도 좋다.
(저수 공법)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저수 공법에 관하여, 도6의 플로우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 준비 공정)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상기 저수 구조(1)를 시공하는 것에 즈음하여, 장해물의 제거, 및 안전 대책을 세운다.
(2 : 굴삭 공정)
지면을 평면 형상이 구형상(矩形狀)이 되도록 파내려가 조성한다.
(3 : 기초 공정)
저면은 지반 표면을 다지거나, 혹은 콘크리트 시공에 의해 기초 평탄부를 형성한다.
(4 : 저면 시트 공정)
차수 시트(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초에, 저면에 보호 시트(4)를 주름이 지지 않도록 부설하고 나서, 차수 시트(3)를 부설한다. 또한, 차수 시트(3)의 부설 면적이 큰 경우는, 차수 시트(3)끼리 접합시킨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수 시트(3)의 한 쪽에 프라이머(primer)를 붙이고, 다른 쪽의 차수 시트(3)에 조인트 테이프(joint tape)를 붙이고, 차수 시트(3)끼리 접합하고, 접합 부분을 핸드 롤러(hand roller)에 의해 전압(轉, rolling)한다.
(5 : 충전재 조립 공정)
저면에 부설한 차수 시트(3)의 위에서, 충전재(2)(블록체(22))의 하측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이 설치되는 위치에,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배치한다. 그 후, 배치된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의 위에, 블록체(22)를 접어 구부림부(23) 및 홈부(24)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소정 수 쌓아 올려, 충전재(2)를 성형한다. 충전재(2)를 성형했다면, 나머지의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을 충전재(2)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에 설치한다(도8 참조). 그리고, 최후로 충전재(2)의 최상부에 스페이서를 집어 넣는다.
(6 : 측면 시트 공정)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 부설한 차수 시트(3)를, 충전재(2)의 변 부분(25) 및 정점 부분(26)에 설치한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접합시켜, 싸 넣도록 충전재(2)의 측면에 부설한다. 차수 시트(3)의 삼고 코너형물(51) 및 L자 코너형물(52)에 대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수 시트(3)가 수지계의 경우는 열 융착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차수 시트(3)가 고무계의 경우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보호 시트(4)를 차수 시트(3)의 외측을 싸 넣도록 부설한다(또한, 보호 시트(4)는 차수 시트(3)에 접합시키지 않는다).
(7 : 상면 시트 공정)
충전재(2)의 상면에, 차수 스트(3) 또는 투수 시트(부직포)를 부설하고, 충전재(2)의 측면에 부설한 차수 시트(4)와 접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저수조(1)로 되는 부분이 완성된다.
(8 : 도로 메우기)
측면으로부터의 토압에 의한 이동이나 차수 시트(3) 및 보호 시트(4)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무거운 돌 대신에 상면에 밸런스 좋게 객토를 하고, 한 방향으로부터의 편하중(偏荷重)이 작용하지 않도록 사변 균등하게 외주부를 도로 메운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를 소정의 높이까지 도로 메운다. 이것에 의해, 건물의 지하나 공원ㆍ주차장의 지하 등에 상기 저수 구조(1)를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간극에 의해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에, 변 부분(25) 등을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5)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재(2)를 차수 시트(3)에 의해 덮을 때에, 차수 시트(3)가 요철을 가지는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재(2)(블록체(22)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체 형상을 한 충전재(2)의 변 부분(25) 등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저수조의 형성이 보다 간편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 만듦새가 좌우되기 어렵고, 그 위에 또한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삼고 코너형물(51)에 의해, 충전재(2)가 있는 정점 부분(26)(세변(三邊)의 교점(交点))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의 정점 부분(26)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충전재(2)가 있는 변 부분(25)을 간단한 시공 수순에 의해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2)의 변 부분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저수 공법 및 저수 구조(1)에 의하면, 충전재(2)를 차수 시트(3)에 의해 덮을 때에, 코너형물(5)은 차수 시트(3)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2)의 변 부분(25)이나 정점 부분(26)에서 차수 시트(3)를 비키어 놓는다든지, 접어 구부린다든지 할 때의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 특정의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것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16년5월13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 2016-097323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1. 저수조 2. 충전재
22. 블록체 23. 접어구부림부
24. 홈부 25. 변 부분
26. 정점 부분 3. 차수 시트
4. 보호 시트 5. 코너형물
51. 삼고 코너형물 52. L자 코너형물

Claims (10)

  1.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를, 차수 시트로 덮어 저수조를 형성하는 저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에, 이 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배치하고, 상기 코너형물이 배치된 상기 충전재를 상기 차수 시트에 의해 덮는, 상기 저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공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저수 공법.
  6. 저수 구조에 있어서,
    저수 가능한 간극을 가지는,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
    상기 충전재를 덮는 차수 시트, 및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과 상기 차수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재의 변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상을 한 코너형물을 구비한 상기 저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정점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 삼고 형상을 가지는 삼고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블록 형상을 한 충전재가 있는 하나의 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단면이 L자 형상을 가지는 L자 코너형물을 포함하는, 상기 저수 구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형물은, 상기 차수 시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평탄한 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저수 구조.
KR1020170059384A 2016-05-13 2017-05-12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KR102019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7323A JP6563852B2 (ja) 2016-05-13 2016-05-13 地下貯水槽における貯水構造および貯水工法
JPJP-P-2016-097323 201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144A true KR20170128144A (ko) 2017-11-22
KR102019832B1 KR102019832B1 (ko) 2019-09-09

Family

ID=6030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384A KR102019832B1 (ko) 2016-05-13 2017-05-12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63852B2 (ko)
KR (1) KR102019832B1 (ko)
CN (1) CN107366346B (ko)
TW (1) TWI637096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719A (ja) 1999-07-28 2001-02-13 Mitsuboshi Belting Ltd 貯水槽および貯水工法
JP2001090121A (ja) * 1999-09-20 2001-04-03 Shinichiro Hayashi 防火水貯蔵用地下水槽
JP2001279737A (ja) 2000-01-25 2001-10-10 Mitsuboshi Belting Ltd 貯水工法及び貯水構造
JP2007009509A (ja) * 2005-06-30 2007-01-18 Takiron Co Ltd 地下水槽充填材及び充填構造
JP2013079524A (ja) 2011-10-04 2013-05-02 Chichibu Chemical Kk 地下貯水槽ユニットおよび地下貯水槽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被包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933B2 (ja) * 1996-07-15 2006-03-15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出入隅角における防水シートの固定用役物、及び該役物を使用した出入隅角における防水シートの施工方法
JP2002206257A (ja) * 2001-01-10 2002-07-26 Shinichiro Hayashi
JP4686655B2 (ja) * 2001-04-11 2011-05-25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構造体
JP2006009565A (ja) * 2004-05-21 2006-01-12 Mitsuboshi Belting Ltd 防水シート施工用役物
JP4695461B2 (ja) * 2005-08-26 2011-06-08 タキロン株式会社 地下水槽の充填材及び充填構造
KR100658971B1 (ko) * 2006-01-17 2006-12-19 주식회사 뉴보텍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TWM320580U (en) * 2007-01-12 2007-10-11 Ulin Internat Dev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frame for rainwater-collection system
CN202248081U (zh) * 2011-05-21 2012-05-30 魏宝军 组合式浇注连接整体地下蓄水池
KR101197024B1 (ko) * 2012-06-07 2012-11-06 (주)한동알앤씨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시공방법
CN204551713U (zh) * 2015-03-02 2015-08-12 黄云清 一种快装蓄水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719A (ja) 1999-07-28 2001-02-13 Mitsuboshi Belting Ltd 貯水槽および貯水工法
JP2001090121A (ja) * 1999-09-20 2001-04-03 Shinichiro Hayashi 防火水貯蔵用地下水槽
JP2001279737A (ja) 2000-01-25 2001-10-10 Mitsuboshi Belting Ltd 貯水工法及び貯水構造
JP2007009509A (ja) * 2005-06-30 2007-01-18 Takiron Co Ltd 地下水槽充填材及び充填構造
JP2013079524A (ja) 2011-10-04 2013-05-02 Chichibu Chemical Kk 地下貯水槽ユニットおよび地下貯水槽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被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66346B (zh) 2021-04-13
TW201739988A (zh) 2017-11-16
TWI637096B (zh) 2018-10-01
JP2017203351A (ja) 2017-11-16
CN107366346A (zh) 2017-11-21
JP6563852B2 (ja) 2019-08-21
KR102019832B1 (ko) 201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8757B (zh) 膨润土防水毯的施工方法
RU2462560C1 (ru) Подземная часть бетонной стены с пристенным дренажом
JP2005320845A (ja) 雨水貯留槽
CN105256811B (zh) 具有止水功能的板桩支护结构进行基坑支护的施工方法
CN111456108B (zh) 一种基础承台的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129250U (zh) 高水位基础后浇带增设收集槽施工结构
KR20170128144A (ko)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저수 구조 및 저수 공법
TWI541408B (zh) 透水鋪面強化裝置
CN111305152A (zh) 台阶式三维立体加筋桥台锥坡生态防护的施工方法
TWM646628U (zh) 高支撐性樑柱一體灌注成型地下水撲滿構造
JP4472501B2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KR102211197B1 (ko)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분사 부착 차수 공법
CN212827208U (zh) 一种pvc预铺反粘内增强防水卷材
JP4445892B2 (ja) 軽量盛土貯水構造体
JP2006007756A (ja) ゴム製防水型物
JP2001040719A (ja) 貯水槽および貯水工法
CN103953097A (zh) 废旧轮胎蓄水模块及由其构建的蓄水池
CN220451051U (zh) 高支撑性梁柱一体灌注成型地下水扑满构造
JP2009150215A (ja) 雨水貯留槽
JP2001279737A (ja) 貯水工法及び貯水構造
TWI833629B (zh) 高支撐性樑柱一體灌注成型地下水撲滿構造
JP2005002620A (ja) 地下貯留及び/又は浸透槽
JP2008144412A (ja) 雨水貯留槽、及び雨水貯留槽の施工方法
JP2023076931A (ja) 地下貯水槽における遮水シート敷設方法
US20210301951A1 (en) A d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