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765A -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765A
KR20170122765A KR1020177025334A KR20177025334A KR20170122765A KR 20170122765 A KR20170122765 A KR 20170122765A KR 1020177025334 A KR1020177025334 A KR 1020177025334A KR 20177025334 A KR20177025334 A KR 20177025334A KR 20170122765 A KR20170122765 A KR 20170122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support
support surface
machine body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니치 모리
료 이구치
히로카즈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캐터필러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2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Abstract

[문제점]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지만 성공적으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며, 카운터웨이트와 지지면 사이의 간섭을 회피한다.
[해결책] 이 장치는: 기계의 프레임(7)에 고정되는 부착부(20); 카운터웨이트가 기계에 장착될 경우에 그 위에 카운터웨이트(10)를 위치시키는 지지 표면(40a)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40); 및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는 링크 기구(30)를 포함한다. 링크 기구(30)는 아암(43) 및 아암(34)을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35)를 포함한다. 아암(34)의 일 단부(34a)는 부착부에 의해서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아암(34)의 다른 단부(34b)는 카운터웨이트(10) 오목부(12)의 상부 내부 부분에 의해서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회전 실린더(35)의 일 단부(35a)는 부착부(20)에 의해서 피봇식으로 지지되고, 회전 실린더(35)의 다른 단부(35b)는 카운터웨이트(10)의 오목한 위치(12)의 상부 내부 부분에 의해서 피봇식으로 지지된다. 지지면(40a)은, 카운터웨이트(10)가 이동할 때, 카운터웨이트(10)의 측면에 배열된 접촉면(15c)에 의해 보여지는 호 궤적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된다.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에 장착될 경우, 접촉면(15c)은 지지면(40)과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본 발명은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이나 크레인 트럭(crane truck)과 같은 건설 기계에 장착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웨이트는 작업 동안에 낙하 방지 및 기계 본체의 진동 억제, 중하중(heavy load)의 정지 안정성 개선 등을 목적으로 유압 셔블 또는 크레인 트럭과 같은 건설 기계에 장착된다. 카운터웨이트는,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운송 및 기계 본체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의 교체 동안에 기계 본체로부터 부착되고 탈착된다. 카운터웨이트의 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때때로 기계 본체의 지면과 높이(장착 위치) 사이에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는(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이동 디바이스를 건설 기계에 제공된다.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로서는, 아암 부재와 상승 및 하강용 실린더를 포함하는, 상승 및 하강 기구(링크 기구)를 구비한 이동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디바이스는 리볼빙 프레임(기계 본체 프레임)의 후방 단부 측에 리볼빙 프레임의 일 단부가 핀-결합된 회전 아암(아암 부재)과, 회전 아암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승 및 하강용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 디바이스는 상승 및 하강용 실린더를 신장 및 수축시키며, 이에 의해 회전 아암을 회전시켜서 회전 아암의 다른 단부에 매달린 카운터웨이트를 호 형상(arc shape)으로 이동시킨다.
우연히,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 카운터웨이트는, 기계 본체 프레임의 후방 단부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기계 본체의 뒤에서 전방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착 표면(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접촉 판)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기계 본체에 부착 가능하게 장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지점에서, 카운터웨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볼트에 의해서만 지지될 경우, 카운터웨이트의 전체 하중은 전단 방향(shearing direction)으로 볼트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강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우려에 대한 대책으로서, 기계 본체 프레임 상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분이 기계 본체 측에 구비되어, 카운터웨이트의 하중이 볼트 이외의 부분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구성(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및 3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공보 제 H07-268908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공보 제 H08-319637호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공보 제 2012-057299호
전술한 특허 문헌 2 및 3에서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섹션을 포함하는 이동 디바이스의 경우, 카운터웨이트의 부착 및 탈착 동안에 카운터웨이트와 지지 섹션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서는, 카운터웨이트를 매달기 위한 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3 핀이 유압 실린더 및 링크(아암 부재)의 회전 중심에 있는 각각의 제1 핀 및 제2 핀보다 기계 본체 전방으로 더 멀리 위치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차량 본체 프레임(지지 섹션)과의 간섭을 회피한다. 특허 문헌 3에는, 전술한 상승 및 하강 기구 이외에, 회전-타입 지지 부재(아암 부재)에 대하여 카운터웨이트를 상승시키는 상승 및 하강 실린더가 제공된다. 즉, 특허 문헌 3의 디바이스에서는, 2개의 실린더, 즉,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카운터웨이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상승 및 하강 실린더를 이용하여 안장형 지지부(saddle support)(지지 섹션)와의 간섭을 회피한다. 카운터웨이트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디바이스에서는, 유압 실린더 및 링크의 회전 중심을, 카운터웨이트의 현수 위치(suspending position)보다 기계 본체 후방으로 더 멀리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 본체 프레임에도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 문헌 3의 디바이스에서, 2개의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기 때문에, 구성 요소 수가 증가하여 비용 증가가 유발되며, 디바이스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안되어 왔으며,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기계 본체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지지 표면에 카운터웨이트를 위치시키고, 카운터웨이트와 지지 표면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의해 유도되는 작용 및 효과, 즉 종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하는 것으로서 평가될 수 있다.
(1) 기계 본체 프레임의 장착 위치와 지면 사이에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로서, 이 이동 디바이스는: 기계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착 부재; 기계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상태에서 카운터웨이트가 위치되는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부착 부재에 부착되며,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링크 기구는 일 단부가 부착 부재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카운터웨이트의 전방 표면에 있는 오목한 위치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아암 부재를 포함한다. 링크 기구는 일 단부가 부착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오목한 위치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회전 실린더를 포함한다. 회전 실린더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제공되며, 아암 부재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아암 부재를 회전시킨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과 접촉하는 카운터웨이트의 측면에 있는 접촉 표면은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동안 보이는 아치형 트랙(track)에 기초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2) 접촉 표면은 지지 표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과 표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지지 표면은 트랙을 선형 근사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사 표면(inclined surface)인 것이 바람직하다.
(4) 대안적으로, 지지 표면은 트랙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curved surface)인 것이 바람직하다.
(5) 지지 표면은,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에 있는 접촉 표면 상의 에지 부분(edge portion)이 장착 상태에서의 위치와, 에지 부분이 이동 방향의 측면에 있는 지지 표면 상의 에지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의 트랙에 기초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지지 부재는 기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이동 디바이스는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동안에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정 기구는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위치를 수직 방향으로 조정한다.
(8) 링크 기구는 기계 본체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한 쌍의 지지 부재가 링크 기구의 좌측 및 우측 둘 모두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은 엄격하게 좌-우 방향 중심 위치일 필요가 없으며, 어느 정도의 오차가 허용되는 것을 의미함을 유의한다. 즉, 링크 기구는 기계 본체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개시된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에서는, 카운터웨이트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표면이, 접촉 표면에 의해 보이는 아치형 트랙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회전 실린더를 제공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진 링크 기구에 의해, 카운터웨이트의 접촉 표면과 기계 본체 프레임 측면에 있는 지지 표면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킬(상승시키고 하강시킬) 수 있다.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비용과 제품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유의한다.
개시된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에서는,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상태에서 카운터웨이트가 지지 표면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지지 표면에 의해서도 카운터웨이트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운터웨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가 적용된 건설 기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의 링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도 3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에 의한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동안의 트랙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도 2의 B-B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의 지지 표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확대 단면도(도 2의 C-C 화살표 단면도), (b)는 지지 블록의 사시도, (c)는 지지 블록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이동 디바이스의 조정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조정 기구와 그 주변의 종단면도(도 2의 D-D 화살표 단면도)이며, (b)는 조정 블록과 너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 블록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변형예에 따른 조정 블럭 및 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명확히 나타내지 않은 기법의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구성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되거나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1. 구성]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가 장착된 건설 기계(작업 기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기능하는 유압 셔블(9)이 예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압 셔블(9)의 주행 방향은 전방으로 설정되고, 그 반대 방향은 후방으로 설정된다. 왼쪽과 오른쪽은 전방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중력 방향은 하방으로 설정되고, 그 반대 방향은 상방으로 설정된다. 기계 본체에 장착된 디바이스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는, 디바이스 및 구성 요소가 기계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이 설정된다.
유압 셔블(9)은 크롤러-타입(crawler-type) 하부 주행 본체(2), 및 하부 주행체(2)의 상방에 있는 리볼빙 가능하게 제공된 상부 리볼빙 본체(3)를 포함한다. 상부 리볼빙 본체(3)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디바이스(4) 및 운전자의 작업 공간인 운전실(5)이 상부 리볼빙 본체(3)의 전방부에 장착된다. 엔진 및 유압 펌프와 같은 동력 유닛, 연료 탱크, 유압 오일 탱크 등(모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은 상부 리볼빙 본체(3)의 후방부에 장착된다. 또한, 카운터웨이트(10)는 상부 리볼빙 본체(3)의 최후방부에 장착된다. 작업 디바이스(4)에 있어서, 버킷(bucket) 및 유압 브레이커(hydraulic breaker)와 같은 다양한 부착물(6)이 작업 디바이스(4)의 최전방부에 장착됨을 유의한다.
상부 리볼빙 본체(3)는 상부 리볼빙 본체(3)의 하부 표면을 형성하는 기계 본체 프레임(7)을 포함한다. 기계 본체 프레임(7)은 유압 셔블(9)의 프레임워크 부재이며, 고강도를 가진 바닥 판, 측면 판, 보강 판 등에 의해 구성된다. 작업 디바이스(4), 운전실(5), 동력 유닛 등은 기계 본체 프레임(7)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장착된다. 기계 본체 프레임(7)은 기계 본체 프레임(7)의 후방 단부 부분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서 좌-우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섹션(7A), 및 고정 섹션(7A)의 후방 표면의 하부에서 기계 본체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2개의 돌출 섹션(7B)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7A)은 카운터웨이트(10)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 섹션(7A)은, 고정 섹션(7A)의 하부 에지 부분이 기계 본체 프레임(7)의 하부 표면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돌출 섹션(7B)은 하방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 섹션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2개의 돌출 섹션(7B)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카운터웨이트(10)는, 작업 동안 기계 본체의 무게 균형을 유지하는 중하중이다. 카운터웨이트(10)는 본 실시예의 유압 셔블(9)에 부착되고 탈착될 수 있다. 즉, 유압 셔블(9)에 있어서, 지면(G)에 위치된 카운터웨이트(10)를 상승시켜서 기계 본체 프레임(7) 상에 장착할 수 있다. 기계 본체 프레임(7) 상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10)는 탈착되어, 지면(G)까지 하강될 수 있다. 유압 셔블(9)에는, 카운터웨이트(10)가 장착되고 분리될 때, 수직 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는(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이동 디바이스(1)가 제공된다.
카운터웨이트(10)는 그것의 상부 표면 상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된 2개의 로킹 섹션(11)를 포함함을 유의한다. 2개의 로킹 섹션(11)은,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 본체 프레임(7)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로킹 섹션(11)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로킹 섹션(11)에 있어서, 후크 걸이용 구멍 섹션이 그것의 중심에 천공된다. 카운터웨이트(10)가 도시되지 않은 기중 장치(크레인)에 의해 지면(G)으로부터 들어올려질 경우, 후크가 로킹 섹션(11)에 로킹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계 본체 프레임(7)에 부착되고 탈착되는 카운터웨이트(10)의 구성은 상세하게 설명되며, 이동 디바이스(1)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기계 본체 전방에서 본 카운터웨이트(10)의 웨이트 전방 표면(10a)의 단면도(도 3의 A-A 화살표 단면도)이다. 웨이트 전방 표면(10a)은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 기계 본체 전방을 향하는 표면임을 유의한다. 도 3은 유압 셔블(9)의 기계 본체 후방부의 종단면도(도 2의 B-B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카운터웨이트(10)는 지면(G)으로 하강한 상태가 실선으로 나타낸다.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운터웨이트(10)는 웨이트 전방 표면(10a)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수직 방향에 걸쳐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한 위치(12), 및 웨이트 전방 표면(10a)의 하부에서 좌-우 방향에 걸쳐 돌출된 단차 섹션(13)를 포함한다. 오목한 위치(12)는 이동 디바이스(1)의 후술하는 링크 기구(3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오목한 위치(12)는 기계 본체 전방을 향해 개방된다. 오목한 위치(12)의 상방은 도시되지 않은 볼트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제공된 납작한 섹션(16)에 의해 폐쇄됨을 유의한다. 그러나 오목한 위치(12)의 하방은 개방된다.
오목한 위치(12)는 수직 방향 중간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 표면(12a)을 포함한다. 오목한 위치(12)는 단차 표면(12a)의 상방의 좌-우 방향 길이가 단차 표면(12a)의 하방의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형성된다. 오목한 위치(1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T자-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차 표면(12a)에는, 단차 표면(12a)의 좌-우 방향 중심 측면의 2개의 모서리를 따라 각각 기립시킨 납작한 현수 판(14)이 형성되어 있다. 현수 판(14)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핀(37)이 삽입되어 후술하는 조정 블록(51)이 배치되는 구멍 섹션(14h)이 천공된다.
단차 섹션(13)은 웨이트 전방 표면(10a)으로부터 기계 본체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이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웨이트 전방 표면(10a)의 하부에 있는) 단차 섹션(13)의 전방 표면(13a) 상에는, 기계 본체 전방 및 하방을 향하여 개방된 2개의 중공 섹션(15)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좌-우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공 섹션(15)은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제공된 돌출 섹션(7B)이 수용되는 공간이다.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 중공 섹션(15)의 상부 표면(15a) 및 기계 본체 프레임(7) 측면 상의 부재는 서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중공 섹션(15)는 상부 표면(15a)의 전방부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 섹션(15b)를 포함한다. 돌출 섹션(15b)의 하부 표면(상부 표면(15a)의 전방부)은 기계 본체 프레임(7) 측 상의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지지 블록(40)의 지지 표면(40a))와 접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공 섹션(15)의 상부 표면(15a)에 있어서의 기계 본체 프레임(7) 측면에 접촉하는 표면을 접촉 표면(15c)으로 지칭한다.
이동 디바이스(1)는 기계 본체 프레임(7)의 고정 섹션(7A)에 고정된 부착 부재(20),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30), 기계 본체 프레임(7)의 돌출 섹션(7B)에 고정된 지지 블록(40)(지지 부재), 및 수직 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10)를 장착하는 동안에 위치(장착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50)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20) 및 링크 기구(30)는 기계 본체 프레임(7)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된다. 지지 블록(40)은 부착 부재(20) 및 링크 기구(30)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은 엄격하게 좌-우 방향 중심 위치일 필요가 없으며, 어느 정도의 오차가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함을 유의한다. 즉, 부착 부재(20) 및 링크 기구(30)는 기계 본체 프레임(7)의 좌-우 방향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부재(20)는 고정 섹션(7A)의 후방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기판(21), 및 기판(2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한 쌍의 베어링 브래킷(22)을 포함한다. 부착 부재(20)에 있어서, 기판(21)은 고정 섹션(7A)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볼트-체결되며, 이에 의해 베어링 브래킷(22)이 기판(21)으로부터 기계 본체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다. 한 쌍의 베어링 브래킷(22)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는 샤프트 구멍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상부 부분의 샤프트 구멍은 하부 부분의 샤프트 구멍보다 기계 본체 전방으로 더 멀리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제1 베이스 샤프트(31)는 상부 부분의 샤프트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후술하는 제2 베이스 샤프트(32)는 하부 부분의 샤프트 구멍을 통해 삽입된다.
링크 기구(30)는 카운터웨이트(10)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아암 부재(34) 및 하나의 회전 실린더(35), 아암 부재(34) 및 회전 실린더(35)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하는 제1 베이스 샤프트(31) 및 제2 베이스 샤프트(32), 그리고 카운터웨이트(10)를 들어올릴 때의 현수 위치 역할을 하는 지지 샤프트(33)를 포함한다.
아암 부재(34)는 길이 방향을 갖는 납작하고 얇은 판 부재이다. 한 쌍의 아암 부재(34)는, 법선 방향이 좌우 방향이고 좌-우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배치된 자세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아암 부재(34)의 길이 방향에서 일 단부(34a)는 부착 부재(2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아암 부재(34)의 길이 방향의 다른 단부(34b)는 카운터웨이트(10)의 오목한 위치(12)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다른 단부(34b) 측면은 일 단부(34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아암 부재(34)의 일 단부(34a)가 아암 근위 단부(34a)로 지칭되고 다른 단부(34b)는 아암 원위 단부(34b)로 지칭된다. 제1 베이스 샤프트(31)가 삽입되는 구멍 섹션은 아암 근위 단부(34a)에 천공되어 있다. 지지 샤프트(33)가 삽입되는 구멍 섹션은 아암 원위 단부(34b)에 천공되어 있다. 아암 부재(34)는 양 단부에 천공된 구멍 섹션을 통해 각각 삽입되는 제1 베이스 샤프트(31) 및 지지 샤프트(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아암 부재(34)의 아암 근위 단부(34a)는, 한 쌍의 베어링 브래킷(22)의 상부 부분에 천공되는 샤프트 구멍을 좌-우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된다. 2개의 제1 베이스 샤프트(31)가 아암 근위 단부(34a)의 구멍 섹션 및 베어링 브래킷(22)의 샤프트 구멍을 통해 각각 삽입됨으로써, 아암 부재(34)가 베어링 브래킷(2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핀-결합)된다.
한편, 오목한 위치(12)의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지지 샤프트(33)는, 한 쌍의 아암 부재(34)의 아암 원위 단부(34b)를 통해 삽입된다. 지지 샤프트(33)의 양 단부는, 한 쌍의 커플링 툴(36) 및 한 쌍의 핀(37)을 통해, 오목한 위치(12)의 단차 표면(12a) 상에 제공된 현수 판(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샤프트(33)는 커플링 툴(36)의 상부 부분에 고정된다. 현수 판(14)의 구멍 섹션(14h)를 통해 삽입된 핀(37)은, 커플링 툴(36)의 하부 부분을 통해 삽입되고, 하부 부분에 핀-결합된다. 따라서, 아암 부재(34)는 현수 판(1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수 판(14)에 대한 커플링 툴(36)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조절하는 돌출 섹션(36a)이, 커플링 툴(36)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있음을 유의한다.
회전 실린더(35)는 아암 부재(34)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로드(rod)(35D)의 일 단부에 제공된 피스톤은, 튜브(35C)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끼워진다. 로드(35D)의 다른 단부는 튜브(35C)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회전 실린더(35)는 예를 들어, 상부 리볼빙 본체(3)에 장착된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이다. 회전 실린더(35)는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되도록 제공된다. 회전 실린더(35)는 기계 본체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아암 부재(34) 사이에 위치된다.
회전 실린더(35)의 일 단부(35a)는 부착 부재(20)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회전 실린더(35)의 다른 단부(35b)는 카운터웨이트(10)의 오목한 위치(12)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다른 단부(35b) 측면은 일 단부(35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 실린더(35)의 일 단부(35a)가 실린더 근위 단부(35a)로 지칭된다. 회전 실린더(35)의 다른 단부(3b)는 실린더 원위 단부(35b)로 지칭된다. 실린더 근위 단부(35a)는 튜브(35C)의 로드(35D)에 대향하는 측면 상의 단부 부분이다. 실린더 원위 단부(35b)는 로드(35D)의 원위 단부이다.
하나의 제2 베이스 샤프트(32)가 실린더 근위 단부(35a)를 통해 삽입된다. 제2 베이스 샤프트(32)의 양 단부는 한 쌍의 베어링 브래킷(22)의 하부 부분에 천공된 샤프트 구멍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회전 실린더(35)는 베어링 브래킷(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핀-결합)된다. 한편, 지지 샤프트(33)는 실린더 원위 단부(35b)를 통해 삽입된다. 즉, 실린더 원위 단부(35b)는 지지 샤프트(33)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을 통하여 삽입된다. 아암 원위 단부(34b)은 지지 샤프트(33)의 양 측면들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커플링 툴(36)은 지지 샤프트(33)의 양 측면들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 실린더(35)의 실린더 다른 단부(35b)는 현수 판(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링크 기구(30)에 의해 지면(G)과 기계 본체 프레임(7)의 장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링 툴(36)이 핀(37)에 의해, 지면(G)에 위치된 카운터웨이트(10)의 한 쌍의 현수 판(14)에 각각 결합된다. 회전 실린더(35)가 작동되어 아암 근위 단부(34a)를 중심으로 아암 부재(34)를 회전시키도록 연장되며, 이에 따라 아암 원위 단부(34b)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를 들어올린다. 도면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0)는,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10)가 탈착되어지면(G)으로 하강할 경우에는, 카운터웨이트(10)의 상승 동작과 대향하는 동작이 수행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즉, 회전 실린더(35)가 작동되어 아암 근위 단부(34a)를 중심으로 아암 부재(34)를 회전시키도록 수축됨으로써, 아암 원위 단부(34b)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카운터웨이트(10)의 이러한 이동 동안 아암 원위 단부(34b)에 의해 보여지는 트랙(L)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트랙(L)은 제1 베이스 샤프트(31)의 중심선(도면에서 점 P)을 중심으로 아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암 근위 단부(34a)를 지지하며, 중심선(점 P)으로부터 지지 샤프트(33)의 중심선(도면에서 점 M)까지의 거리(직선)를 반경으로 갖는다. 카운터웨이트(10)는 트랙(L)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블록(40)은,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장착되는 장착 상태에서 하방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4a는 카운터웨이트(10)가 돌출 섹션(7B) 및 지지 블록(4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도 2의 C-C 화살표 단면도)인 점을 유의한다. 도 4b는 지지 블록(40)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지지 블록(40)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지지 블록(40)은 직육면체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모서리를 비스듬하게 절단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블록(40)은 절단에 의해 형성된 납작한 경사 표면이 상방 및 후방을 향하는 자세(경사 표면의 법선이 후방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됨)로 기계 본체 프레임(7)에 고정된다. 즉, 경사 표면은 기계 본체 후방을 향하는 하방으로 더 경사진다. 경사 표면은 카운터웨이트(10)와 접촉하고 하방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는 표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경사 표면이 지지 표면(40a)으로 지칭된다. 지지 표면(40a)은 카운터웨이트(10)의 돌출 섹션(15b)의 하부 표면에 제공된 접촉 표면(15c)과 접촉한다.
도 4a에서는,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동안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에 의해 보여지는 트랙이 일점 쇄선(L')으로 나타낸다. 트랙(L')은 아암 원위 단부(34b)에 의해 보여지는 트랙(L)을 변환하여 얻어진 트랙과 일치하며, 점(M)은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과 지지 블록(40)이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는 위치(점 E)와 겹쳐진다. 즉, 트랙(L')은 도 3에 나타낸 트랙(L)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 동일한 호이다.
지지 블록(40)의 지지 표면(40a)은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에 의해 보여지는 아치형 트랙(L')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 표면(40a)은 트랙(L')의 형상에 가까우면서 트랙(L')을 간섭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 표면(40a)은 트랙(L')을 선형 근사화하여 얻어진 납작한 경사 표면으로서 제공된다. 트랙(L')을 선형 근사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0)의 지지 블록(40)과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이 서로 접촉하는 점(E)과, 지지 블록(40)의 후방 에지 부분과 트랙(L')이 수직 방향으로 겹쳐지는 점(F)을 연결하는 직선으로서 트랙(L')을 근사화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지지 표면(40a)은 점(E)과 점(F)을 연결하는 직선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보다 큰 기울기를 적어도 갖는 경사 표면으로서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 표면(40a)은,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이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의 위치(즉, 점 E)와, 트랙(L')이 수직 방향으로 지지 표면(40a)의 후방 에지 부분(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방향 측면 상의 에지 부분)과 겹쳐지는 위치(즉, 점 F) 사이에서 이동할 때의 트랙(L')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지지 표면(40a)은, 트랙(L')에 있어서,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방향과 대향하는 측면 상의 접촉 표면(15c)의 에지 부분이 점(E)과 점(F) 사이에서 이동할 때의 트랙(L')을 기준으로 하여 형성된다. 지지 표면(40a)이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트랙(L')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 표면(15c)과 지지 표면(40a)은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동안에는 서로 교차(간섭)하지 않는다. 트랙(L)과 트랙(L')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호이기 때문에, 지지 표면(40a)도 또한 트랙(L)에 기초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간주됨을 유의한다.
지지 블록(40)은 돌출 섹션(7B)의 상부 표면 상에 위치되며, 돌출 섹션(7B)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2개의 원통형 그루브 섹션(41)이 지지 표면(40a)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형 그루브 섹션(41)은 위에서 볼 때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 그루브 섹션(41)은 볼트(42)의 헤드가 지지 표면(40a)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깊이로 형성되며, 원통형 그루브 섹션(41)의 바닥 표면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원통형 그루브 섹션(41)의 바닥 표면은 볼트(42)의 안착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하방으로 관통하는 구멍 섹션이 바닥 표면에 형성된다. 탭 구멍(tap hole)이 돌출 섹션(7B)에 형성된다. 지지 블록(40)의 구멍 섹션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42)가 돌출 섹션(7B)의 탭 구멍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지지 블록(40)이 돌출 섹션(7B)에 고정된다.
지지 블록(40)은 볼트(42)를 탈착하는 것에 의해서 돌출 섹션(7B)로부터 탈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즉, 지지 블록(40)은 기계 본체 프레임(7)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카운터웨이트(10)의 접촉 표면(15c)은 지지 표면(40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접촉 표면(15c)은 지지 표면(40a)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납작한 경사 표면으로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는, 접촉 표면(15c)과 지지 표면(40a)이 서로 표면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 본체 프레임(7) 상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도 3에서의 이점 쇄선의 위치)로 카운터웨이트(10)를 들어올릴 때, 중공 섹션(15)의 상부 표면(15a)은 기계 본체 프레임(7)의 돌출 섹션(7B)의 상방에 위치된다. 중공 섹션(15)의 접촉 표면(15c)은 돌출 섹션(7B)에 고정된 지지 블록(40)의 지지 표면(40a)과 표면 접촉한다. 카운터웨이트(10)는 지지 블록(40)과 돌출 섹션(7B)에 의해서 지지된다.
링크 기구(30)의 백래시(backlash), 치수 공차 등에 따라, 때때로 수직 방향으로 정교한 위치 조정이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동 디바이스(1)는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동안에 상부 또는 하부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기구(50)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정 기구(50)는 현수 판(14)에 형성된 탭 구멍(14k), 나사 섹션(52)이 일체로 제공되는 조정 블록(51), 및 나사 섹션(52)과 나사 결합하는 너트(53)를 포함한다. 도 5a는 조정 기구(5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도 2의 D-D 화살표 단면도)인 점을 유의한다. 도 5b는 조정 기구(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수 판(14)은 상부 부분에 천공된 구멍 섹션(14h)을 포함한다. 측면에서 볼 때, 구멍 섹션(14h)은 직사각형 구멍 아래에 긴 구멍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탭 구멍(14k)은 현수 판(14)의 상부 표면에서부터 구멍 섹션(14h)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나사 그루브가 절삭되는 구멍 섹션이다. 조정 블록(51)은 직육면체 블록의 하부 표면에, 아치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진 곡면 섹션(51a)을 포함하며, 곡면 섹션(51a)에 대향하는 측면 상의 표면(상부 표면)에 수직하게 기립된 나사 섹션(52)를 포함한다.
조정 블록(51)은 현수 판(14)의 구멍 섹션(14h)의 직사각형 부분에 배치된다. 나사 섹션(52)은 구멍 섹션(14h) 측면으로부터 탭 구멍(14k)에서 나사 결합된다. 너트(53)는 현수 판(14)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나사 섹션(52)과 나사 결합된다. 핀(37)의 원통형 표면은 조정 블록(51)의 곡면 섹션(51a)과 접촉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조정 블록(51)을 회전시키고, 현수 판(14)의 탭 구멍(14k)에 대한 나사 섹션(52)의 나사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핀(37)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이 조정된다. 핀(37)은 커플링 툴(36)의 하부 부분을 통해 삽입된다. 따라서, 핀(37)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이 조정될 때에, 커플링 툴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 즉 지지 샤프트(33)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이 조정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현수 위치가 수직 방향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접촉 표면(15c)과 지지 표면(40a)이 서로 표면 접촉하도록 확실하게 설정된다.
카운터웨이트(10)를 장착 위치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복수의 볼트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카운터웨이트(10)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기계 본체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고, 볼트가 고정 섹션(7A)에 체결되는 경우, 카운터웨이트(10)가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장착(고정)된다는 점을 유의한다. 카운터웨이트(10)가 지면(G)으로 하강되는 경우에는, 이 볼트들이 탈착된 후에, 전술한 동작이 수행된다.
[2. 작용 및 효과]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 표면(40a)이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에 의해 보여지는 아치형 트랙(L')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암 부재(34)를 회전시키는 일 회전 실린더(35)를 제공하는 간단한 구성을 갖는 링크 기구(30)에 의하여, 카운터웨이트(10)의 접촉 표면(15c)과 기계 본체 프레임(7) 측면의 지지 표면(40a)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 및 제품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함을 유의한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는 카운터웨이트(10)가 지지 표면(40a)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하중은 지지 표면(40a)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 카운터웨이트(1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카운터웨이트(10)를 지지하는 지지 표면(40a)의 형상이 카운터웨이트(10) 및 지지 표면(40a)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고안된다는 점을 유의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술한 특허 문헌 2와 달리, 제1 베이스 샤프트(31) 및 제2 베이스 샤프트(32)의 중심들을 지지 샤프트(33)의 중심보다 기계 본체 후방으로 더 멀리 위치시켜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동안 간섭을 회피한다. 따라서,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 의하면, 카운터웨이트(10)의 오목한 위치(12)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기계 본체 프레임(7)의 후방 단부 부분에는, 이동 동안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즉,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 의하면, 공간 절약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 리볼빙 본체(3)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카운터웨이트(10)에 제공된 접촉 표면(15c)이 지지 표면(40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촉 표면(15c)은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에서 지지 표면(40a)과 표면 접촉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하중이 지지 표면(40a)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지지 표면(40a)에 의해서 카운터웨이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지지 표면(40a)이 트랙(L')을 선형 근사화하여 얻어지는 경사 표면으로서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 디바이스(1)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표면(40a)의 가공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지지 표면(40a)은, 접촉 표면(15c)의 전방 에지 부분이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상태의 위치(즉, 점 E)와, 수직 방향에서 지지 표면(40a)의 후방 에지 부분과 전방 에지 부분이 겹치는 위치(점 F) 사이에서 이동할 때의 트랙(L')에 기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동안 접촉 표면(15c)과 지지 표면(40a)의 간섭을 더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 방향에 대한 지지 표면(40a)의 경사각이 감소하기 때문에, 카운터웨이트(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지지 표면(40a)을 포함하는 지지 블록(40)이 착탈 가능하게 기계 본체 프레임(7)의 돌출 섹션(7B)에 부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 디바이스(1)의 장착 상태에 관계없이, 기계 본체 프레임(7) 구성을 일반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의 이동 디바이스(1)를 기존의 기계 본체 프레임(7)에 적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는 카운터웨이트(10)의 장착 동안에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링크 기구(30)의 백래시, 치수 오차 등이 존재하더라도, 지지 표면(40a)과 접촉하도록 카운트웨이트(10)를 견고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표면(40a)에 의해서 카운터웨이트(10)를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이동 디바이스(1)에서는, 링크 기구(30)가 기계 본체 프레임(7)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된다. 지지 블록(40)은 링크 기구(30)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균형 있게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카운터웨이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3. 기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전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지지 표면(40a)의 구성은 일 예이며,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표면(40a')은 트랙(L')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카운터웨이트(10)의 이동 동안 접촉 표면(15c)과 지지 표면(40a')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카운터웨이트(10)를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표면(40a)은 기계 본체 프레임(7)과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즉, 지지 블록(40)은, 예를 들어, 별도의 본체로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돌출 섹션(7B)의 상부 표면을 지지 표면으로서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돌출 섹션(7B)은 지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카운터웨이트(10)의 형상은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운터웨이트(10)는 단차 섹션(13)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웨이트 전방 표면(10a)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일 수 있다. 지지 표면(40a)과 접촉하는 접촉 표면(15c)은 전술한 중공 섹션(15)의 상부 표면(15a)의 일부로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의 위치가 기계 본체 프레임(7)의 하부 단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될 경우, 접촉 표면은 웨이트 전방 표면(10a)의 하부 단부 부분을 절단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가 기계 본체 프레임(7)의 하부 단부면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경우, 접촉 표면은 카운터웨이트(10)의 하부 단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접촉 표면(15c)이 지지 표면(40a)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접촉 표면 및 지지 표면(40a)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평면일 수 있으며, 그 평면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표면(40')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곡면일 경우, 접촉 표면은 지지 표면(40')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면서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일 수 있다.
전술한 조정 기구(50)의 구성은 일 예이며,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기구는, 도 5의 (a)에 나타낸 현수 판(14)에 형성된 탭 구멍(14k) 이외에 탭 구멍(54h)이 형성되는 조정 블록(54), 및 2개의 탭 구멍(14k 및 54h)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블록(54)은 현수 판(14)의 구멍 섹션(14h)의 직사각형 부분에 배치된다. 한편, 볼트(55)는 현수 판(14)의 상방으로부터 탭 구멍들(14k 및 54h)에 나사 결합된다. 핀(37)의 원통형 표면은 조정 블록(54)의 곡면 섹션(54a)과 접촉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조정 기구에서는, 볼트(55)를 회전시키고 조정 블록(54)의 탭 구멍(54h)에 대한 볼트(55)의 나사 결합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핀(37)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이 조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정 기구에서도, 전술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조정 기구(50)가 제공되는 위치는 전술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한다. 카운터웨이트(10)가 장착될 때에 카운터웨이트(10)와 기계 본체 프레임(7) 또는 지지 표면(40a) 사이의 수직 방향의 위치 관계가 변경되는(조정될 수 있는) 위치에서만 조정 기구(50)가 제공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압 셔블(9)의 카운터웨이트(10)를 이동시키는 이동 디바이스(1)가 예시된다. 그러나, 이동 디바이스(1)가 적용되는 건설 기계는 유압 셔블(9)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 디바이스(1)는 다양한 건설 기계들에 적용될 수 있다.
1: 이동 디바이스
7: 기계 본체 프레임
10: 카운터웨이트
10a: 웨이트 전방 표면(전방 표면)
12: 오목한 위치
15c: 접촉 표면
16: 납작한 섹션
20: 부착 부재
30: 링크 기구
34: 아암 부재
34a: 아암 근위 단부(일 단부)
34b: 아암 원위 단부(다른 단부)
35: 회전 실린더
35a: 실린더 근위 단부(일 단부)
35b: 실린더 원위 단부(다른 단부)
40: 지지 블록(지지 부재)
40a: 지지 표면
50: 조정 기구
G: 지면
L, L': 트랙

Claims (8)

  1. 기계 본체 프레임의 장착 위치와 지면 사이에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로서,
    상기 이동 디바이스는: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착 부재;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가 위치되는 지지 표면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부착 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링크 기구(link mechanism)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 기구는:
    일 단부가 상기 부착 부재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방 표면에 있는 오목한 위치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아암 부재; 및
    일 단부가 상기 부착 부재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오목한 위치의 상방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아암 부재의 일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아암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지지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측면에 있는 상기 지지 표면의 접촉 표면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동안 보여지는 아치형 트랙에 기초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지지 표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지지 표면과 표면 접촉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트랙을 선형 근사화하여 얻어지는 경사 표면인,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트랙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인,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이동 방향에 대향하는 측면에 있는 접촉 표면 상의 에지 부분이 상기 장착 상태에서의 위치와, 상기 에지 부분이 상기 이동 방향의 측면에 있는 상기 지지 표면 상의 에지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의 트랙에 기초하는 형상을 갖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장착 동안에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부 및 하부 위치들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기계 본체 프레임의 좌-우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배치되며,
    한 쌍의 지지 부재가 상기 링크 기구의 왼쪽 및 오른쪽 측면들에 각각 배치되는,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KR1020177025334A 2015-03-02 2016-03-02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KR20170122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0226 2015-03-02
JP2015040226A JP6497978B2 (ja) 2015-03-02 2015-03-02 カウンタウェイトの移動装置
PCT/EP2016/054382 WO2016139226A1 (en) 2015-03-02 2016-03-02 Moving device for counterw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765A true KR20170122765A (ko) 2017-11-06

Family

ID=5544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334A KR20170122765A (ko) 2015-03-02 2016-03-02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07283B2 (ko)
JP (1) JP6497978B2 (ko)
KR (1) KR20170122765A (ko)
CN (1) CN107257772B (ko)
DE (1) DE112016000646T5 (ko)
WO (1) WO2016139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737B2 (ja) * 2015-06-18 2019-04-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支持構造
US10066365B2 (en) * 2016-01-22 2018-09-04 Hpm—Hydraulic Performance Machines Srl Public works vehicle provided with counterweight lifting system
DE202016003698U1 (de) * 2016-06-13 2017-09-14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kran
JP6816444B2 (ja) * 2016-10-20 2021-01-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制振装置
JP6898111B2 (ja) * 2017-02-28 2021-07-07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及び建設機械
US10850952B2 (en) * 2017-07-21 2020-12-01 Brandt Industries Canada Ltd. Pipelayer with quick attach counterweights
CN107724453B (zh) * 2017-11-28 2023-09-22 三一重机有限公司 一种随车配重自拆卸装置及挖掘机
CN108999235B (zh) * 2018-08-03 2021-05-11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自拆卸式挖掘机配重
KR102162363B1 (ko) 2020-03-02 2020-10-06 현대건설기계 주식회사 카운터 웨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업기계
JP7167077B2 (ja) * 2020-03-16 2022-11-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7167076B2 (ja) * 2020-03-16 2022-11-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1422764B (zh) * 2020-04-30 2022-10-25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起重机配重结构及汽车起重机
US10822212B1 (en) * 2020-06-11 2020-11-03 Altec Industries, Inc. Counterweight attachment mechanism for a crane
JP7410832B2 (ja) * 2020-09-24 2024-01-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および建設機械の車体のジャッキアップ方法
CN113044734B (zh) * 2021-04-13 2023-07-25 杭州叉车门架有限公司 一种面向集装箱的正面吊
CN115075327B (zh) * 2022-05-30 2023-06-23 三一重机有限公司 作业机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184U (ja) * 1983-12-29 1985-07-26 油谷重工株式会社 カウンタウエイト調整装置
JP2601011B2 (ja) * 1990-11-06 1997-04-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922778B2 (ja) 1994-03-29 1999-07-2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のカウンタウエイト脱着装置
JPH08319637A (ja) * 1995-05-25 1996-12-03 Komatsu Ltd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JP3743528B2 (ja) * 1995-06-09 2006-02-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カウンタウエイトの着脱装置
CN100567133C (zh) * 2004-07-07 2009-12-09 日立住友重机械建机起重机株式会社 用于建筑机械的配重装置
JP5122786B2 (ja) * 2005-11-18 2013-01-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JP2008255611A (ja) * 2007-04-03 2008-10-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27769B2 (ja) * 2010-09-06 2014-06-2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および作業機械
US8434787B2 (en) * 2011-06-10 2013-05-07 Caterpillar Inc. Counterweight attachment and removal system and machine using same
JP5449264B2 (ja) * 2011-06-30 2014-03-19 日立建機株式会社 カウンタウエイト脱着装置用油圧回路
JP5679213B2 (ja) * 2011-12-27 2015-03-04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用制御回路および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0646T5 (de) 2017-10-19
CN107257772A (zh) 2017-10-17
JP2016160651A (ja) 2016-09-05
WO2016139226A1 (en) 2016-09-09
CN107257772B (zh) 2019-12-27
US10407283B2 (en) 2019-09-10
US20180044150A1 (en) 2018-02-15
JP6497978B2 (ja)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765A (ko)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EP1748113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n upper fram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cabin
JP2006044948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7162454A (ja) カウンタウェイトの着脱装置
CA2857478C (en) Outrigger connection locking device
JP6164645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WO2013175647A1 (ja) 油圧ショベル
US8998234B2 (en) Construction machine
US20180223503A1 (en) Working Machine
JP4437471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JP2014129161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および建設機械
JP5667954B2 (ja) 作業機械
JP5984497B2 (ja) 運転室昇降装置
JP2018184783A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ブラケット
US20150233090A1 (en) Turret assembly for machines
JP5991072B2 (ja) 作業機械
JP2020159038A (ja) 建設機械の手摺り構造
JP2020029320A (ja) カウンタウエイト着脱装置
JP2006335530A (ja) 作業用リフト装置
JP6374822B2 (ja) 作業機
JP5431103B2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カウンタウェイトユニット及びカウンタウェイト取付構造
EP1867792A1 (en) Stabilizer
JP2012117317A (ja) 作業機のキャブ昇降装置
JP4033385B2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