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591A -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591A
KR20170118591A KR1020170007937A KR20170007937A KR20170118591A KR 20170118591 A KR20170118591 A KR 20170118591A KR 1020170007937 A KR1020170007937 A KR 1020170007937A KR 20170007937 A KR20170007937 A KR 20170007937A KR 20170118591 A KR20170118591 A KR 20170118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output
adjusting member
reel
press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496B1 (ko
Inventor
아츠시 카와마타
켄타로 하야시
히토시 하라구치
사토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118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에 있어서, 모터를 일시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어도, 모터 출력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릴 본체(1)는, 출력 조정 레버(9)와, 압압 조작부(12)와, 스풀(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8)와, 모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출력 조정 레버(9)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모터(8)의 회전을 정지 상태로부터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압압 조작부(12)는, 릴 본체(1)에 설치되고, 압압력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압력 센서(16)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 수단은, 출력 조정 레버(9)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8)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압력 센서(16)의 출력에 따라 모터(8)의 출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본 발명은, 모터 제어 장치, 특히, 전동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줄 감아올림 때의 스풀 회전을 모터로 행하는 전동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과, 스풀을 회전시키는 핸들과, 스풀을 감아올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스풀의 감아올림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로서, 릴 본체의 측부 전방(前方)으로 요동(搖動) 가능의 레버 부재를 설치한 것이나(특허 문헌 1), 릴 본체에 회동식(回動式)의 조작 부재를 설치한 것(특허 문헌 2)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고패질 동작 등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조작부를, 레버 부재 등의 조작 부재와는 별도로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촌동(寸動)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 촌동 스위치는, 촌동 스위치가 압압(押壓) 조작되고 있는 동안만, 소정 속도로 모터를 회전시켜 낚싯줄이 감아올려진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4408378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7415호
촌동 스위치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모터를 일시적으로 회전시키고, 스풀을 회전시켜 낚싯줄을 감아올릴 수 있다. 그러나, 촌동 스위치가 압압 조작되고 있을 때는, 미리 설정된 모터 출력으로만 모터가 회전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 중에 모터 출력을 바꾸려면, 다른 손, 다른 손가락으로 조작 부재를 조작할지, 일단 압압 부재로부터 손가락을 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에 있어서, 모터를 일시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어도, 모터 출력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이고, 출력 조정 부재와, 압압 조작부와, 모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출력 조정 부재는, 릴 본체에 설치되고, 모터의 출력을 정지 상태로부터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압압 조작부는, 압압력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압력 센서를 가지고, 릴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 제어 수단은, 출력 조정 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출력으로 제어하는 것과 함께, 출력 조정 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압력 센서의 출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압압 조작부에 압력 센서가 설치되고, 압압력에 의한 압력 센서의 출력을 바꾸는 것으로, 압압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이 변화한다. 이 때문에, 일부러 출력 조정 부재를 조작하는 일 없이, 압압 조작부를 조작하고, 또한 그 압압력을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모터의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출력은 모터의 회전 속도이고, 모터 제어 수단은,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 경우는, 낚시꾼이 압압 조작부를 강하게 누르면 모터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 낚시꾼의 감각과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정합(整合)하기 때문에, 모터의 출력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출력은, 모터의 토크(torque)이고, 모터 제어 수단은,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모터의 토크를 크게 한다. 이 경우는, 낚시꾼이 압압 조작부를 강하게 누르면 모터의 토크가 커져, 낚시꾼의 감각과 모터의 토크가 정합하기 때문에, 모터의 출력의 조정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제어 수단은,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의 출력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출력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제어 수단은, 압압력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출력으로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 경우는, 일정한 모터의 출력으로 하고 싶을 때에 압압력에 다소(多少)의 불균일이 있어도,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조정 부재는 요동 레버이고, 그 요동 위치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조정 부재는 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위치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압 조작부는, 릴 본체의 상면(上面)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전동 릴을 파지(把持)한 상태에 있어서도,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 끝으로 압압 조작부를 압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압 조작부는, 릴 본체의 상부(上部)에 배치된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 케이스이다. 카운터 케이스, 그 것을 압압 조작부로 하는 것에 의하여, 압압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압 조작부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력 조정 부재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출력 조정 부재의 경(徑)방향의 압압력에 따라 압력 센서의 출력이 변화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동 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또한 조작성도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압 조작부의 압압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 센서의 출력의 크기에 따라, 모터 출력이 변화한다. 이 때문에, 압압 조작부에 의하여 모터를 일시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어도, 모터 출력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전동 릴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카운터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모터 제어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flow chart).
도 5는 속도 설정 처리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부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채용된 전동 릴의 평면도.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전동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모터 구동되는 전동 릴이다. 또한, 이 전동 릴은, 줄 방출 길이 또는 줄 감기 길이에 따라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진다.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2)과,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2)의 회전용의 핸들(3)과, 핸들(3)의 릴 본체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4)와,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 케이스(5)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프레임(6)과, 프레임(6)의 좌우를 덮는 제1 측 커버(7a) 및 제2 측 커버(7b)와, 프레임(6)의 전부(前部)를 덮는 도시하지 않는 앞 커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스풀(2)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도시하지 않는 레벨 와인드 기구나, 핸들(3) 및 후술하는 모터(8)의 회전을 스풀(2)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는 회전 전달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은, 제1 측 커버(7a)와 제2 측 커버(7b)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풀(2)의 내부에는, 스풀(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8)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3)은, 제1 측(우측) 커버(7a)의 중앙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핸들(3)의 지지 부분의 상방 전부에는, 모터(8)의 출력을 복수 단계(예를 들어, 10단계 이상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31단계)로 제어하기 위한 출력 조정 레버(9)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조정 레버(9)의 후방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10)가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0)는, 핸들(3) 및 모터(8)와 스풀(2)과의 사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를 온(on), 오프(off)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카운터 케이스(5)는, 릴 본체(1)의 전측(前側)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측판(6a) 및 제2 측판(6b)에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의 상면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표시부(11)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1)의 후방 측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압압 조작부(12), 0세트 스위치(13), 모드 전환 스위치(14)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의 내부에는,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5)가 수용되어 있다.
압압 조작부(1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 센서(16)를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16)는, 압압 조작부(12)를 압압하는 힘(이하, 압압력이라고 기재한다)에 따른 레벨의 전기(電氣) 신호를 출력하는 부재이고, 압압력의 크기에 따른 검출값을 전기 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5)의 모터 제어부(17)로 출력한다. 출력 조정 레버(9)의 조작에 의하여 모터(8)가 구동하고 있지 않을 때, 압압 조작부(12)를 압압하고 있는 동안만, 압압력에 따른 출력, 예를 들어 회전 속도로 모터(8)가 구동된다.
제어부(1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구성으로서 모터(8)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7)와, 카운터 케이스(5)의 상면부에 설치된 표시부(11)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8)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부(17)는, 모터(8)를 PWM 제어한다.
제어부(15)에는, 압압 조작부(12)와, 0세트 스위치(13)와, 모드 전환 스위치(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5)에는, 표시부(11)와, 스풀(2)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19)와, 타이머(20)와, 모터(8)를 PWM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21)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 구동 회로(21)는, 출력 조정 레버(9)의 조작, 및 압압 조작부(12)의 압압 조작에 따라 모터(8)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 제어부의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전동 릴의 전원이 온 상태의 때, 제어부(15)의 모터 제어부(17)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모터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 4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스텝 S1에서, 출력 조정 레버(9)가 정지 위치(출력 조정 레버(9)에 의한 모터의 회전이 생기지 않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 조정 레버(9)가 정지 위치에 없으면, 압압 조작부(12)보다도 출력 조정 레버(9)가 우선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스텝 S4로 이행하여, 출력 조정 레버(9)의 위치에 따른 출력으로(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가 되도록) 모터(8)를 회전시킨다. 덧붙여, 부하가 가해져 스풀 회전 속도가 저하하였을 때에는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피드백 제어되어 있다. 정지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2로 이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압력 센서(16)로부터 전기 신호의 출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신호의 출력이 있으면, 스텝 S3으로 이행하여, 압력 센서(16)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전기 신호에 따른 출력으로(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가 되도록) 모터(8)를 회전시킨다. 압력 센서(16)로부터 전기 신호의 출력이 없으면, 모터 제어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스텝 S3에서, 압력 센서(16)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전기 신호에 따른 출력으로 모터(8)를 회전시킬 때, 예를 들어,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과 함께,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모터(8)의 회전 속도가 빠르게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이 압압 조작부(12)를 강하게 누르면 모터(8)의 회전 속도가 빠르게 되어, 낚시꾼의 감각과 모터의 출력이 정합하기 때문에, 모터(8)의 출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출력 설정 수단에 관하여>
나아가, 모터 제어부(17)는,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8)의 출력을(예를 들어, 여기에서는 회전 속도를)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출력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의, 모터 제어부(17)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모터 제어 처리의 흐름을, 도 5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는, 모드 전환 스위치(14)가 3초 이상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14)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모터(8)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모터(8)의 회전 정지를 기다리고,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모터(8)의 회전이 정지하여 있는 경우는,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8)의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모드로 전환을 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출력 조정 레버(9)의 위치(단수(段數))를,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8)의 출력(여기에서는 회전 속도)으로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8)의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것으로부터 압압력이 작아지는 것에 따라, 모터(8)의 회전 속도가 저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터 제어부(17)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모터 제어 처리를 도 6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덧붙여,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릴 본체(1)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전동 릴의 전원이 온 상태의 때, 스텝 S21에서는, 출력 조정 레버(9)가 정지 위치(출력 조정 레버(9)에 의한 모터의 회전이 생기지 않는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 조정 레버(9)가 정지 위치에 없으면, 압압 조작부(12)보다도 출력 조정 레버(9)가 우선하여 작용하기 때문에, 스텝 S24로 이행하여, 출력 조정 레버(9)의 위치에 따른 출력으로 모터(8)를 회전시킨다. 정지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 S22로 이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압력 센서(16)로부터 전기 신호의 출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신호의 출력이 있으면, 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압력 센서(16)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전기 신호에 따른 출력으로(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가 되도록) 모터(8)를 회전시킨다. 이 때, 복수 단계(예를 들어, 6단계)의 속도와,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압압력의 범위를 미리 정해 두어, 그 압압력의 범위에 따른 단계의 회전 속도로 모터(8)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압압력에 다소의 불균일이 있어도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압압력을 바꾸는 것에 의하여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덧붙여,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압압력의 범위는, 균등한 폭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고속역(高速域)의 폭을 좁게 하고, 저속역(低速域)의 폭을 넓게 하는 것으로, 저속역에서의 미조정(微調整)이 용이하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동 릴을 도시한다. 제3 실시예의 전동 릴은, 출력 조정 부재인 제1 실시예의 출력 조정 레버(9)를, 회동식의 출력 조정 부재(22)로 한 것이다. 나아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압 조작부는, 출력 조정 부재(2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출력 조정 부재(22)를 경방향으로 압압하는(즉, 출력 조정 부재(22)를 내부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하여, 그 압압력에 따른 출력으로 모터(8)가 구동된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모터(8)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2)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이외는, 제1 실시예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관하여만 설명을 행한다. 덧붙여, 도 7 및 도 8에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출력 조정 부재(22)는, 모터(8)의 출력을 복수 단계(예를 들어, 10단계 이상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31단계)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6a)과 제1 측 커버(7a)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출력 조정 부재(22)는, 다이얼상(狀)으로 형성되고, 카운터 케이스(5)의 케이스 부재(23)의 후부(後部)의 외측면에 입설(立設)된 도시하지 않는 지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출력 조정 부재(22)의 회동 각도는, 예를 들어 80° 내지 120°의 범위이다. 단, 회동 각도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 조정 부재(22)의 지지축의 지지부에는, 압력 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 조정 부재(22)를 경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그 압압력에 따른 출력으로 모터(8)가 구동된다. 덧붙여, 출력 조정 부재(22)에 있어서의 압압 조작부를 출력 조정 부재(22)의 표면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출력 조정 부재(22)가 압압되었을 때의 모터 제어부(17)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모터 제어 처리의 흐름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4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와 마찬가지이고, 도 4의 스텝 S1에 있어서의 출력 조정 레버(9)가 출력 조정 부재(22)로 바뀌는 것뿐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그 외의 실시예>
(a) 제1 실시예의 출력 조정 레버(9)를, 제3 실시예에서 채용하고 있는 회동식의 출력 조정 부재(22)로 하여도 무방하다.
(b) 압력 센서(16)는 감압 소자와 같은 단체(單體) 부품이 아니고, 큰 용수철 정수(定數)의 용수철로 압압된 부재의 미소한 변위량에 따라 출력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c)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모터 출력으로서 스풀(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피드백 제어하고 있었지만,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감아올림 토크가 소정값이 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때, 예를 들어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모터(8)의 토크가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낚시꾼이 압압 조작부(12)를 강하게 누르면 모터(8)의 토크가 커져, 낚시꾼의 감각과 모터(8)의 출력이 정합하기 때문에, 모터(8)의 출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혹은 스풀(2)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하여 장력이 소정값으로 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압압 조작부와 출력 조정 부재에서 제어하는 대상을 바꾸어도 무방하다.
(d)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압 조작부(12)는, 카운터 케이스(5)로부터 돌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카운터 케이스(5), 그 것을 압압 조작부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e)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단계의 출력과,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압압력의 범위를 미리 정해 두어, 그 압압력의 범위에 따른 단계의 출력으로 모터(8)를 회전시킬 때, 모터(8)의 출력이 소정의 토크값이 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f)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압력 센서(16)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전기 신호에 따른 출력으로 모터(8)를 회전시킬 때의 제어 방법을,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로 제어하는지, 소정의 토크값으로 제어하는지의 2개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g) 출력 설정 수단은,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모터(8)의 출력을, 출력 조정 레버(9)의 위치(단수)에 따른 소정의 토크값이 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토크값을 기준으로 하여, 그것으로부터 압압력이 작아지는 것에 따라, 모터(8)의 토크가 저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스풀
8: 모터
9: 출력 조정 레버
10: 클러치 조작 부재
12: 압압 조작부
15: 제어부
16: 압력 센서
17: 모터 제어부
22: 출력 조정 부재

Claims (10)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정지 상태로부터 단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출력 조정 부재와,
    압압력(押壓力)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 압력 센서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압압 조작부와,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출력으로 제어하는 것과 함께,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수단
    을 구비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이고,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은, 상기 모터의 토크(torque)이고,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압력이 커지는 것에 따라 상기 모터의 토크를 크게 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압력이 최대일 때의 상기 모터의 출력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출력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은, 상기 압압력의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의 출력으로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 부재는 요동(搖動) 레버이고, 그 요동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조정 부재는, 상기 릴 본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는, 상기 릴 본체의 상면(上面) 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는, 상기 릴 본체의 상부(上部)에 배치된 수심 표시용의 카운터 케이스인,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조작부는, 상기 출력 조정 부재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출력 조정 부재의 경(徑)방향의 상기 압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이 변화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0170007937A 2016-04-15 2017-01-17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62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2046 2016-04-15
JP2016082046A JP6758073B2 (ja) 2016-04-15 2016-04-15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91A true KR20170118591A (ko) 2017-10-25
KR102628496B1 KR102628496B1 (ko) 2024-01-24

Family

ID=6008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37A KR102628496B1 (ko) 2016-04-15 2017-01-17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8073B2 (ko)
KR (1) KR102628496B1 (ko)
CN (1) CN107302905B (ko)
TW (1) TWI731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9698B2 (ja) * 2017-10-31 2022-10-07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7065590B2 (ja) * 2017-10-3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3A (ja) * 1996-02-22 1997-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H10337138A (ja) * 1997-06-04 1998-12-22 Ryobi Ltd 釣用電動リール
JP2000125722A (ja) * 1998-10-22 2000-05-09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2000253784A (ja) * 1999-03-11 2000-09-19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169701A (ja) * 1999-12-16 2001-06-26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25540A (ja) * 2000-10-31 2002-05-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357529A (ja) * 2003-06-02 2004-12-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229901A (ja) * 2004-02-19 2005-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252256A (ja) * 2006-03-22 2007-10-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1050270A (ja) * 2009-08-31 2011-03-17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3017415A (ja) 2011-07-11 2013-01-31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US20130276348A1 (en) * 2012-04-18 2013-10-24 Paul Lauzon Monomanuel Electric Fishing Rod and Re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5083B2 (ja) * 2011-08-31 2015-07-2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JP6166591B2 (ja) * 2013-06-14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5641623B2 (ja) * 2013-07-30 2014-12-1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533A (ja) * 1996-02-22 1997-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H10337138A (ja) * 1997-06-04 1998-12-22 Ryobi Ltd 釣用電動リール
JP2000125722A (ja) * 1998-10-22 2000-05-09 Shimano Inc 電動リール
JP2000253784A (ja) * 1999-03-11 2000-09-19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1169701A (ja) * 1999-12-16 2001-06-26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25540A (ja) * 2000-10-31 2002-05-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4357529A (ja) * 2003-06-02 2004-12-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229901A (ja) * 2004-02-19 2005-09-02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252256A (ja) * 2006-03-22 2007-10-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1050270A (ja) * 2009-08-31 2011-03-17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3017415A (ja) 2011-07-11 2013-01-31 Globeride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US20130276348A1 (en) * 2012-04-18 2013-10-24 Paul Lauzon Monomanuel Electric Fishing Rod and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496B1 (ko) 2024-01-24
JP2017189150A (ja) 2017-10-19
TWI731047B (zh) 2021-06-21
CN107302905A (zh) 2017-10-31
TW201737795A (zh) 2017-11-01
CN107302905B (zh) 2021-07-23
JP6758073B2 (ja)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0001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TWI731089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KR20170118591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00316437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KR102628497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7189150A5 (ko)
JP5798808B2 (ja) 電動リール
KR102628498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7189151A5 (ko)
KR102638428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04081152A (ja) 電動リール
JP2019080540A5 (ko)
JP2017192319A5 (ko)
KR102420826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7149698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H099834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9080539A5 (ko)
JP2001037385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0308446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