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428B1 -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428B1
KR102638428B1 KR1020180125791A KR20180125791A KR102638428B1 KR 102638428 B1 KR102638428 B1 KR 102638428B1 KR 1020180125791 A KR1020180125791 A KR 1020180125791A KR 20180125791 A KR20180125791 A KR 20180125791A KR 102638428 B1 KR102638428 B1 KR 10263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rol
control mode
mod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9470A (ko
Inventor
히토시 하라구치
켄타로 하야시
아쓰시 카와마타
사토시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4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 압압력과 모터의 출력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전동 릴(100)의 모터 제어 장치는, 제1 압압 조작부(11), 기억부(26), 모터 제어 수단, 모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압압 조작부(11)는,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26)는, 제1 압압 조작부(11)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3)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드, 및 압압력에 따른 모터(3)의 출력이 제1 제어 모드와 상이한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기억한다. 모터 제어 수단은,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압압력에 따라 모터(3)의 출력을 제어한다. 모드 전환 수단은,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DEVICE FOR MOTOR DRIVEN REEL}
본 발명은, 모터 제어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줄을 감아 올릴 때의 스풀 회전을 모터로 행하는 전동 릴은 릴 본체,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스풀을 회전시키는 핸들, 스풀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종류의 전동 릴에서, 스풀의 감아 올리는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로 압력 센서를 사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전동 릴에서는, 조작부를 압압(押壓)하는 압압력을 변화시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0-337138호 공보
그런데, 낚시터에서는 낚아 올리는 물고기의 종류나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서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급격하게 변화시키려는 경우나, 완만하게 변화시키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전동 릴과 같이, 조작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경우,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압압력과 회전 속도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얻는 것이 어렵다. 또, 특허 문헌 1의 전동 릴에서는,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 패턴이 일정하므로, 압압력과 회전 속도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물고기에 의한 급작스러운 인입(引入)에 대하여, 낚시꾼은 릴을 파지(把持)하는 손에 힘을 줘버려 조작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나 토크가 급격하게 증가하면 낚싯줄이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 압압력과 모터의 출력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로서, 압압 조작부, 기억부, 모터 제어 수단, 모드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압압 조작부는, 릴 본체에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는, 압압 조작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드, 및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이 제1 제어 모드와 상이한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기억한다. 모터 제어 수단은,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압압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모드 전환 수단은,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이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는,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예를 들면 제1 제어 모드로부터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이 제1 제어 모드와 상이한 제2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압압력과 모터의 출력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제어 모드는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이 서로 상이한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출력은 모터의 회전 속도이다. 이 경우에는, 압압력과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출력은 모터의 토크이다. 이 경우에는, 압압력과 모터의 토크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드 전환 수단은 릴 본체에 설치된 압압 조작부와는 별도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전환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드 전환 수단은 압압 조작부 및 조작부의 동시 조작에 의해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전환한다. 이 경우에는,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 압압력과 모터의 출력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채용된 전동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카운터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전동 릴의 제어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압압력과 모터 출력 단계의 증감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모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모터 제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채용한 전동 릴(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전원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모터 구동되는 전동 릴이다. 또, 전동 릴(100)은, 낚싯줄 송출 길이 또는 낚싯줄 권취(卷取) 길이에 따라 도구의 수심(水深)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기능을 가진다.
전동 릴(100)은, 낚시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1),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2), 스풀(2)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3),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2)의 회전용 핸들(4), 수심 표시용 카운터 케이스(5)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프레임(6), 프레임(6)의 일방 측을 덮는 제1 측 커버(7a), 프레임(6)의 타방 측을 덮는 제2 측 커버(7b), 프레임(6)의 앞부분을 덮는 도시하지 않은 앞 커버를 가지고 있다. 또,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스풀(2)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도시하지 않은 레벨 와인드 기구(機構)나, 모터(3) 및 핸들(4)의 회전을 스풀(2)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전달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스풀(2)은, 제1 측 커버(7a)와 제2 측 커버(7b) 사이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모터(3)는 스풀(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4)은, 제1 측 커버(7a)의 중앙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핸들(4)의 지지 부분의 상방에는, 클러치 조작 부재(9)가 요동(搖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9)는, 모터(3) 및 핸들(4)과 스풀(2) 사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부재이다.
카운터 케이스(5)는, 릴 본체(1)의 앞측 상부에 배치되고, 프레임(6)을 구성하는 제1 측판(6a) 및 제2 측판(6b)에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의 상면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표시부(10)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0)의 후방 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압 조작부(11), 제2 압압 조작부(12), 카운터 케이스(5)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3개의 조작 스위치(13)(조작부의 일례)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는, 좌우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핸들(4)과는 반대 측에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압압 조작부(11)와 제2 압압 조작부(12)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3개의 조작 스위치(13)는, 주로 전동 릴(100)의 각종 설정을 행할 때 사용된다. 카운터 케이스(5)의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1)(도 3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압력 센서(11a, 12a)를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11a, 12a)는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를 압압하는 힘(이하, 압압력이라 함)에 따른 레벨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부재이며, 압압력의 크기에 따른 검출값을 전기 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부(21)의 모터 제어부(22)에 출력한다.
제어부(2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구성으로서 모터(3)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22), 표시부(10)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23)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부(22)는 모터(3)를 PWM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24)를 통하여,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의 압압 조작에 따라 모터(3)의 구동을 제어한다.
모터 제어부(22)는 제1 압압 조작부(11) 또는 제2 압압 조작부(12)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드, 제2 제어 모드, 및 제3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모터 출력을 제어한다. 모터 제어부(22)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에서 제1 압압 조작부(11)를 압압하는 동안, 압압력에 따라 모터(3)의 출력(이하, 모터 출력이라 함)을 증가시키고, 제2 압압 조작부(12)를 압압하는 동안, 압압력에 따라 모터 출력을 감소시킨다. 또, 모터 제어부(22)는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에서, 제1 압압 조작부(11) 또는 제2 압압 조작부(12)의 압압을 정지했을 때의 모터 출력을 유지한다.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는 압압력이 커질수록 모터 출력이 크게 증가, 또는 크게 감소한다. 또, 제1 제어 모드 및 제2 제어 모드는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이 서로 상이하다. 자세하게는, 제1 제어 모드와 제2 제어 모드는,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이 서로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출력은 0으로부터 Nmax인 Nmax+1단계로 제어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이 설정되어 있다. 모터 출력은, 예를 들면 모터(3)의 회전 속도나 모터(3)의 토크이다. 0단은 모터(3)의 정지 상태이며, Nmax단은 모터(3)가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고 있는 상태이다.
예를 들면, 도 4에서는 세로 축이 모터 출력 단계의 단계 증가수 M 및 단계 감소수 L을 나타내고, 가로 축이 압압력 P를 나타내고 있다. 또, 1점 쇄선 C1이 제1 제어 모드의 특성이며, 2점 쇄선 C2가 제2 제어 모드의 특성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압압 조작부(11)가 압압력 P1로 압압되었을 때, 제1 제어 모드에서의 단계 증가수 M1은 제2 제어 모드의 단계 증가수 M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제2 압압 조작부(12)가 압압력 P2로 압압되었을 때, 제1 제어 모드의 단계 감소수 L1은 제2 제어 모드의 단계 감소수 L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3 제어 모드에서는, 제1 압압 조작부(11)가 압압되는 동안만큼만 모터(3)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3 제어 모드에서는 압압력이 커질수록 모터 출력이 증가한다.
제어부(21)에는,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 및 조작 스위치(13)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21)에는 표시부(10), 스풀(2)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25) 및 기억부(26)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26)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물고기 서식층 위치 정보 및 선박 에지 정지 위치 정보 등 전동 릴(100)의 각종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또, 기억부(26)에는 제1 제어 모드, 제2 제어 모드, 및 제3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13)의 모드 전환 조작에 의해 전환된다. 여기서의 조작 스위치(13)의 모드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13)의 연속 누름이나 길게 누름 등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1 압압 조작부(11) 및 제2 압압 조작부(12)의 일방과 조작 스위치(13)가 동시 조작되었을 경우에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제어 모드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조작 스위치(13)가 조작될 때마다 정해진 순서로 제어 모드를 전환해도 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전동 릴(100)의 전원 투입 시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미리 특정한 제어 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해도 되고, 전회 사용 시 선택된 제어 모드를 기억부(26)에 기억하여, 전회 선택된 제어 모드를 인계받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제3 제어 모드로의 전환은 모터(3)가 구동하고 있지 않을 때, 즉 모터 출력이 0인 경우에만 상기 조작 방법에 의해 전환 가능하다.
<모드 전환 처리>
다음에,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처리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모드 전환 처리는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1에서는, 모드 전환 조작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드 전환 조작이 되었다고 판정하면, 단계 S2로 이행한다. 모드 전환 조작이 되지 않았으면, 모드 전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단계 S2에서는, 모드 전환 조작에 의해 제3 제어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3 제어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으면, 단계 S3로 이행한다. 단계 S3에서,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단계 S1에서 선택된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조작 스위치(13)가 조작될 때마다 정해진 순서로 제어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제어 모드로부터 다음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단계 S2에서, 제3 제어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하면, 단계 S4로 이행한다.
단계 S4에서는, 모터(3)가 구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모터 출력이 0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터(3)가 구동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모드 전환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모터(3)가 구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단계 S5로 이행하여,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제3 제어 모드로 전환한다.
<모터 제어 처리>
다음에, 전동 릴(100)의 전원이 온 상태일 경우, 제어부(21)의 모터 제어부(22)에 의해 행해지는 모터 제어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모터(8)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며, 최대 출력은 듀티비 100%이다. 모터 출력은, 예를 들면 모터(8)의 회전 속도이며, 여기서는 모터(8)에 부하가 작용하여 스풀(2)의 회전 속도가 저하된 경우에는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피드백 제어되고 있다.
또, 여기서는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는 압압력의 하한값 및 상한값(예를 들면, 하한값 30그램, 상한값 2킬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한값과 상한값의 범위 내를 임의의 단계로 분할(예를 들면, 31등분)한 후,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 단계의 증가수 및 감소수가 설정되어 있다.
단계 S11에서는, 제1 압압 조작부(11)가 30g 이상의 압압력 P1로 압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1 압압 조작부(11)의 압력 센서(11a)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제1 압압 조작부(11)가 30g 이상의 압압력 P1로 눌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압압 조작부(11)가 30g 이상의 압압력 P1로 눌렸다고 판정하면, 단계 S12로 이행한다. 압압력 P1이 30g에 미치지 않는 정도의 출력밖에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조작을 피하기 위해 압압되지 않은 것으로 하고 그 출력을 무시한다. 그리고, 여기서는 예를 들면 저항 필름형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출력으로서의 전압이 압압력과 비례하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단계 S12에서, 압압력 P1이 2kg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압압력 P1이 2kg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21로 이행하여, 모터 출력 단계 N을 Nmax로 설정한다. 그 후, 단계 S19로 이행하여, 모터 출력 단계 Nmax, 즉 모터 출력이 최대 출력으로 유지된다. 단계 S12에서 압압력 P1이 2kg 미만일 경우는, 단계 S13로 이행한다. 그리고, 모터 출력이 최대 출력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압압 조작부(11)가 2kg 이상의 압압력 P1로 눌렸을 경우에는 단계 S21로 이행하게 되지만, 이미 모터 출력이 최대 출력으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최대 출력으로 모터 출력이 유지된다.
단계 S13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을 읽어들이고 단계 S14로 이행한다.
단계 S14에서는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이 Nmax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터 출력 단계 N이 Nmax미안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면, 더 이상 출력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모터 제어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즉, 모터 출력 단계 Nmax로 모터 출력이 그대로 유지된다. 모터 출력 단계 N이 Nmax미만인 것으로 판정하면 단계 S15로 이행한다.
단계 S15에서, 압압력 P1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 단계의 단계 증가수 M을 기억부(26)로부터 판독하고, 단계 S16로 이행한다. 여기서의 단계 증가수 M은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에서의 압압력 P1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증가수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이면, 특성 C1을 참조하여 제2 제어 모드의 단계 증가수 M2보다 큰 단계 증가수 M1이 기억부(26)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S16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에 단계 증가수 M을 부가한 것이 Nmax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Nmax 미만일 경우에는, 단계 S17로 이행한다.
단계 S17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에 단계 증가수 M을 부가한 모터 출력 단계를 새로운 모터 출력 단계 N으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모터 출력 단계 「5」의 모터 출력의 상태에서 제1 압압 조작부(11)가 300g∼400g의 압압력 P1로 눌렸을 경우,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이면, 특성 C1을 참조하여 제1 제어 모드의 압압력 P1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증가수 「M1」(예를 들면, 「20」)을 부가하여, 모터 출력 단계를 「25」로 설정한다. 또,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이면, 특성 C2를 참조하여 제2 제어 모드의 압압력 P1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증가수 「M2」(예를 들면, 「5」)를 부가하여, 모터 출력 단계를 「10」으로 설정한다. 그 후, 단계 S18로 이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예를 들면 0.5초 대기하고 단계 S19로 이행하고, 단계 S19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을 유지한다.
단계 S16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에 단계 증가수 M을 부가한 것이 Nmax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단계 S20로 이행하여 모터 출력 단계를 1 단계 아래인 Nmax-1로 설정한다. 즉, 제1 압압 조작부(11)에의 압압력 P1이 2kg를 넘지 않는 한 모터 출력 단계는 Nmax가 되지 않는다. 그 후, 단계 S18로 이행한다.
단계 S11에서, 제1 압압 조작부(11)가 30g 이상의 압압력 P1로 압압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 단계 S22로 이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제2 압압 조작부(12)가 30g 이상의 압압력 P2로 압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압압 조작부(11)와 마찬가지로 제2 압압 조작부(12)의 압력 센서(12a)로부터의 출력을 검출함으로써 제2 압압 조작부(12)가 30g 이상의 압압력 P2로 눌렸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압압 조작부(12)가 30g 이상의 압압력 P2로 눌렸다고 판정하면, 단계 S23로 이행한다. 압압력 P2가 30g에 미치지 않는 정도의 출력밖에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조작을 피하기 위해 압압되지 않은 것으로 하고 그 출력을 무시한다. 그리고, 이 경우, 모터(3)가 모터 출력 단계 「1」이상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가 유지된다.
단계 S23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이 「1」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모터(3)가 구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모터 출력 단계 N이 「0」, 즉 모터(3)가 구동되고 있지 않으면, 출력 감소를 위한 제2 압압 조작부(12)의 조작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 모터 제어 처리는 실행되지 않는다. 모터 출력 단계 N이 「1」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단계 S24로 이행한다.
단계 S24에서, 압압력 P2가 2kg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압압력 P2가 2kg 이상인 경우에는, 단계 S31로 이행하여,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을 「0」으로 설정한다. 즉, 모터(8)의 구동을 정지한다. 단계 S24에서, 압압력 P2가 2kg 미만인 것으로 판정하면, 단계 S25로 이행한다.
단계 S25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을 읽어들이며, 단계 S26로 이행한다.
단계 S26에서, 압압력 P2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 단계의 단계 감소수 L을 기억부(26)로부터 판독하며, 단계 S27로 이행한다. 여기서의 단계 감소수 L은,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에서의 압압력 P2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감소수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이면, 제2 제어 모드의 단계 감소수 L2보다 큰 단계 감소수 L1이 기억부(26)로부터 판독된다.
단계 S27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으로부터 단계 감소수 L을 감산한 것이 「1」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1」이상이면 단계 S28로 이행한다. 「1」미만이면 단계 S30로 이행하고, 모터 출력 단계 N을 「1」로 설정하여 단계 S29로 이행한다.
단계 S28에서, 모터 출력 단계 N에 단계 감소수 L을 감산한 모터 출력 단계를 새로운 모터 출력 단계 N으로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모터 출력 단계 「25」의 모터 출력의 상태에서 제2 압압 조작부(12)가 300g∼400g의 압압력 P2로 눌렸을 경우,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1 제어 모드이면, 특성 C1을 참조하여 제1 제어 모드의 압압력 P2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감소수 L1(예를 들면, 「20」)를 감산하여, 모터 출력 단계를 「5」로 설정한다. 또, 현재의 제어 모드가 제2 제어 모드이면, 특성 C2를 참조하여 제2 제어 모드의 압압력 P2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감소수 L2(예를 들면, 「5」)를 감산하여, 모터 출력 단계를 「20」으로 설정한다. 그 후 단계 S29로 이행한다.
단계 S29에서, 예를 들면 0.5초 대기하여 단계 S19로 이행하고, 단계 S19에서 현재의 모터 출력 단계 N을 유지한다.
상기 구성의 전동 릴(100)에서는,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 모터 제어부(22)의 제어 모드를, 예를 들면 제1 제어 모드로부터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이 제1 제어 모드와 상이한 제2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로써, 단계 S15에서 판독되는 단계 증가수 M 및 단계 S26에서 판독되는 단계 감소수 L이 제어 모드에 따라 판독된다. 즉, 모드 전환 수단에 의해 압압력과 모터 출력의 변화량과의 관계를 낚시터 등의 상황에 적절한 관계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서 제1 제어 모드, 제2 제어 모드 및 제3 제어 모드를 예시하였으나, 복수의 제어 모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의 증가율 및 감소율이 제2 제어 모드보다 낮은 제4 제어 모드를 설치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서 압압력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증가수와 단계 감소수가 일치하였으나,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즉, 제1 제어 모드에서 압압력의 범위에 대응하는 단계 증가수와 단계 감소수를 다르게 설정해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압 조작부(11) 및 제2 압압 조작부(12)의 2개의 압압 조작부에서 모터 출력을 조절하였으나, 예를 들면 모터 출력이 증가하는 출력 증가 모드 및 모터 출력이 감소하는 출력 감소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전환 가능한 1개의 압압 조작부를 설치하여 모터 출력을 조절해도 된다.
(d) 압력 센서(11a, 12a)는 감압 소자와 같은 단체(單體) 부품이 아니고, 큰 스프링 상수(常數)의 스프링으로 압압된 부재의 미소 변위량에 따라 출력하는 것이어도 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출력으로서 스풀(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 제어하였으나, 모터(3)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감아올림 토크가 소정값이 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스풀(2)의 사권경(絲卷經)을 산출하여 장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제어해도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3)를 회전시킬 때의 제어 방법을,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로 제어하거나, 소정의 토크값으로 제어하거나의 2개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는 카운터 케이스(5)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h)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는 릴 본체(1)의 상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가 배치되는 면은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도 되고, 곡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은 전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엄지의 요동에 맞추어 좌우나 경사 방향으로 배치해도 된다.
(i)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를 단일의 요동 조작구를 사용하여 조작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j) 상기 실시형태에서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는 압압력의 하한값과 상한값의 범위 내를 임의의 단계로 분할할 때는, 그 범위를 균등하게 분할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압압력이 작을 경우, 즉 모터 출력 단계의 증가수 및 감소수가 낮은 단계에 대응하는 압압력의 범위를 높은 단계의 범위에 비해 크게 해도 된다.
(k)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센서(11a, 12a)가 검출하는 압압력의 하한값과 상한값(예를 들면, 하한값 30그램, 상한값 2킬로그램)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나, 하한값이나 상한값, 즉 압압력의 임계값을 낚시꾼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때, 모터(3)가 정지 상태로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가 소정 이상의 압압력으로 조작되면 압압력의 임계값을 설정하는 압압력 설정 모드로 이행하도록 해도 된다.
(l)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압압 조작부(11)의 조작의 유무에 이어 제2 압압 조작부(12)의 조작의 유무를 판정하었으나, 제1 및 제2 압압 조작부(11, 12)의 양쪽의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출력이 큰 쪽, 즉 압압력이 큰 쪽을 유효한 압압 조작으로 판단해도 된다.
1: 릴 본체
2: 스풀
3: 모터
11: 제1 압압 조작부
12: 제2 압압 조작부
13: 조작 스위치(조작부의 일례)
100: 전동 릴

Claims (7)

  1.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압압 조작부,
    상기 압압 조작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변화 시키는 제1 제어 모드, 및 상기 제1 제어 모드와는 상이한 변화율로 상기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상기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수단,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수단,
    을 구비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제어 모드 및 상기 제2 제어 모드에서, 상기 압압 조작부의 압압을 정지했을 때의 모터 출력을 유지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인,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은, 상기 모터의 토크(torque)인,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수단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상기 압압 조작부와는 별도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전환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수단은, 상기 압압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동시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전환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7.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로서,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압압 조작부,
    상기 압압 조작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드, 및 상기 압압력에 따른 상기 모터의 출력이 상기 제1 제어 모드와 상이한 제2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상기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수단,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에서 다른 제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상기 압압 조작부가 압압되는 동안만큼만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3 제어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 수단은,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모터 제어 수단의 제어 모드를 상기 제3 제어 모드로 전환 가능한,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0180125791A 2017-10-31 2018-10-22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638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10883 2017-10-31
JP2017210883A JP7065590B2 (ja) 2017-10-31 2017-10-31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470A KR20190049470A (ko) 2019-05-09
KR102638428B1 true KR102638428B1 (ko) 2024-02-19

Family

ID=66294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791A KR102638428B1 (ko) 2017-10-31 2018-10-22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65590B2 (ko)
KR (1) KR102638428B1 (ko)
CN (1) CN109717160A (ko)
TW (1) TWI7915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0001B2 (ja) * 2019-07-17 2023-08-21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566A (ja)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176702A (ja) 2003-12-18 2005-07-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7189150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9733A (ja) * 1988-10-31 1990-05-07 Ryobi Ltd 電動リール
JP3519962B2 (ja) * 1998-11-20 2004-04-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3809093B2 (ja) * 2001-10-30 2006-08-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5134990B2 (ja) * 2008-01-31 2013-01-30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5707074B2 (ja) * 2010-09-17 2015-04-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US9060500B2 (en) * 2012-04-18 2015-06-23 Paul Lauzon Monomanuel electric fishing rod and reel
JP6758074B2 (ja) * 2016-04-15 2020-09-23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566A (ja)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176702A (ja) 2003-12-18 2005-07-0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7189150A (ja) * 2016-04-15 2017-10-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17160A (zh) 2019-05-07
TW201918171A (zh) 2019-05-16
TWI791548B (zh) 2023-02-11
KR20190049470A (ko) 2019-05-09
JP2019080540A (ja) 2019-05-30
JP7065590B2 (ja)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0001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0316437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KR102638428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TWI731089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JP5798808B2 (ja) 電動リール
JP2019080540A5 (ko)
KR102628496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KR102628497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7227877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7189151A5 (ko)
KR102638474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7189150A5 (ko)
JP6726513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502158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2420826B1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19080539A5 (ko)
JP2017192319A5 (ko)
KR20230122965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30122966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JP2004290067A (ja) 両軸受リール
JP2006129774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