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505A - 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505A
KR20170117505A KR1020177025674A KR20177025674A KR20170117505A KR 20170117505 A KR20170117505 A KR 20170117505A KR 1020177025674 A KR1020177025674 A KR 1020177025674A KR 20177025674 A KR20177025674 A KR 20177025674A KR 20170117505 A KR20170117505 A KR 2017011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support
support member
footprint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병-철 전
흥-철 신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4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tank furn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3/00Land vehicles, waterborne vessels, or aircraft, adapted or modified to travel on air cushions
    • B60V3/02Land vehicles, e.g. road vehicles
    • B60V3/025Land vehicles, e.g. road vehicles co-operating with a flat surface, e.g. transporting loads on plat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59Construction elements of a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2001/0079Means to assemble at least two parts of a furnace or of any device or accessory associated to its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노를 처리하는 방법은 장착 영역의 범위 너머 전역에 걸치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로 노를 지지하는 단계(I)를 포함한다. 풋프린트 밖의 지지 표면은 노가 장착 영역 위에 매달리도록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말단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유체 쿠션 상에 지지 표면을 통해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을 공중에 뜨게하는 단계(II)와,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가 유체 쿠션으로 지지 표면을 통해 공중에 떠있으면서 지지 표면에 대해 지지 부재와 함께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III)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 처리 방법
본 출원은 35 U.S.C. §120 하에서, 2015년 2월 13일에 제출된 미국 출원 번호 14/62191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체가 참조로써 본원에 필요하며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 표면에 대해 노를 지지 부재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괄 처리 재료를 수용하고 일괄 처리 재료를 유리 용융 처리하도록 구성된 용융 용기(melting vessel)를 포함할 수 있는 노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일부 예시에서, 용융 유리는 추후 복수의 유리 시트로 분리하기 위해 유리 리본으로 추가 가공될 수 있다.
다음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일부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노(furnace)를 처리하는 방법은 장착 영역의 풋프린트(footprint) 너머 전반에 걸쳐있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로 노를 지지하는 단계(I)를 포함한다. 풋프린트 밖의 지지 표면은 노가 장착 영역 위에 떠있도록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말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유체 쿠션에서 지지 표면 위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를 공중에 뜨게하는 단계(II), 및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가 유체 쿠션으로 지지 표면 위로 공중에 떠있는 동안 노와 지지 부재를 함께 지지 표면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III)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단계(I) 중, 노는 장착 영역 위에 떠있도록 풋프린트 내에 위치된다. 하나의 특정 예시에서, 단계(III)는 풋프린트 밖의 위치로 노를 이동시킨다. 다른 특정 예시에서, 단계(III) 이후, 방법은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에서,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노를 지지 부재에서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예시에서, 단계(III) 이후, 방법은 노를 정비(service)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III)는 노가 장착 영역 위로 떠있도록 풋프린트 밖의 위치로부터 풋프린트 안의 위치로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시에서, 단계(III) 이후, 방법은 지지 부재를 제거하고 이후 장착 영역 내에서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예시에서, 노는 유리 용융 노를 포함하며 방법은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하는 단계 이후 유리 용융 노를 하류의 유리 제조 장치에 작동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지지 부재로부터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노를 배치하는 단계는 지지 구조로 노를 내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예시에서, 노를 내리는 단계는 노를 잭(jack)으로 들어올리고, 한 세트의 승강 스페이서(spacer)를 제거하며, 잭으로 노를 내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에서, 노는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 조립된다. 또 다른 예시에서, 노는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 정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III)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노를 안내함으로써 노를 이동시킨다. 하나의 특정 예시에서, 단계(III)는 안내 레일(guide rail)을 가진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쿠션은 공기 쿠션을 포함한다.
실시예는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노를 제거하고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리본을 인발하도록 구성된 융합 하향-인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를 위한 장착 영역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장착 영역 내의 노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노의 베이스의 발(foot)들이 지지 구조에서 이격되도록 노가 잭으로 지지 구조에서 들어올려진 도 3의 노를 나타낸다.
도 5는 베이스의 발들과 지지 구조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승강 스페이서를 가진 도 4의 들어올려진 노를 나타낸다.
도 6은 수축된 잭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잭 스페이서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승강 스페이서를 통해 지지되는 도 5의 들어올려진 노를 나타낸다.
도 7은 노의 베이스의 발들이 아래에 놓인 승강 스페이서에서 이격되도록 잭을 연장시킴으로써 도 6의 노를 추가로 들어올리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베이스의 발들과 제1 높이 스페이서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승강 스페이서를 가진 도 7의 추가로 들어올려진 노를 나타낸다.
도 9는 제1 잭 스페이서 위의 공간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잭 스페이서를 가진 도 8의 추가로 들어올려진 노를 나타낸다.
도 10은 노를 또한 추가로 들어올리고 노의 베이스의 발들 아래에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11은 제거된 잭과 잭 스페이서로 지지 부재로 내려진 도 10의 노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1의 선 12-12를 따라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노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13-13을 따라 장착 영역 위에 떠있는 노의 개략 단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잘라낸 뷰 14, 15의 확대도로서, 지지 부재의 말단부를 지지하는 장착 영역의 풋프린트 밖의 지지 표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와 유사하나, 유체 쿠션의 지지 표면 위에 지지 부재의 말단부를 공중에 뜨게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16은 안내 레일을 가진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이다.
도 17은 지지 부재를 가진 노의 측면이다.
도 18은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잭을 가진 도 17의 지지 부재를 가진 노의 개략 측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측면도로서 노가 유체 지지 베어링 위로 내려져 있다.
도 20은 도 19의 노로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 표면 위에서 유체 쿠션의 유체 지지 베어링에 의해 공중에 뜨게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21은 유체 지지 베어링이 제거될 수 있도록 원하는 위치에서 유체 지지 베어링으로부터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나타낸다.
도 22는 노의 건조 또는 정비를 위해 유체 지지 베어링이 제거되고 노가 내려지며 이후 원하는 위치에 지지 표면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 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능한 경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 전체에 걸쳐 사용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노는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를 가열하는 매우 많은 분야에 제공될 수 있다. 단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노는 일괄 재료(batch material)를 용융 유리로 녹이도록 구성된 유리 용융 노를 참고로 기재되지만 추가 예시에서 다른 타입의 노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가 고체 상태(예, 일괄 재료)를 액체(예, 용융 유리)로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노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노가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 사이의 상변화 없이 또는 오직 부분적인 상변화만을 포함하여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를 단순 가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노는 예컨대, 허니컴 생소지를 허니컴 세라믹 기재로, 생소지(green body)를 세라믹으로 소결시키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노는 제품의 열처리를 수행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은 제품의 미세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는 다른 구조에 대해 노를 이동시킴으로써 처리될 수 있다(예, 장착 영역 내에서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하는 단계, 장착 영역 내에서 지지 구조로부터 노를 제거하는 단계, 지지 표면에 대해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 등). 추가 예시에서, 노는 노를 조립하는 단계에 의해, 노를 정비하는 단계를 통해(예, 노를 수리하고, 노를 재건하며, 정기 보수를 수행하는 것 등), 노를 재배치하는 단계, 노를 작동하는 단계(예,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를 가열하기 위해 노를 이용하는 것), 또는 다른 처리 기술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용기(예, 용융 용기)를 가진 노를 처리할 수 있다. 용융 용기(106)에 더해, 유리 용융 노(105)는 가열 요소(예, 버너)와 같은 고체의 일괄 재료를 용융 유리로 변환시키기 위해 일괄 재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유리 용융 노(105)는 용융 용기 부근으로부터 손실되는 열을 줄이도록 구성된 열 관리 장치(예, 단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추가 예시에서, 유리 용융 노(105)는 고체의 일괄 재료를 용융 유리로 녹이는 단계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기 장치 및/도는 전기기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유리 용융 노(105)는 지지 구조(예, 지지 섀시(chassis), 지지 부재 등)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유리 용융 노는 유리 리본을 제작하도록 구성된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지만 유리 용융 노는 추가 예시에서 다른 유리 제조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본 발명의 유리 용융 노는 슬롯 인발 장치, 플로트 바스(float bath) 장치, 하향-인발 장치, 상향-인발 장치, 압축-압연 장치 또는 다른 유리 리본 제조 장치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의 방식으로써, 도 1은 유리 시트(104)로의 추후 처리를 위해 유리 리본(103)을 융합 인발하기 위한 융합 하향-인발 장치(101)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유리 용융 노(105)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유리 제조 장치(예, 융합 하향-인발 장치(101))는 유리 용융 노(105)에 대해 상류에 배치된,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일부 또는 전체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는 유리 용융 노(105)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 나타난 것처럼,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는 저장고(109), 일괄 이송 장치(111) 및 모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09)는 화살표(117)로 나타낸 것처럼, 유리 용융 노(105)의 용융 용기(106)로 공급될 수 있는 다량의 일괄 재료(107)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일괄 이송 장치(111)는 저장고(109)에서 용융 용기(106)로 미리 정해진 양의 일괄 재료(107)를 이송하도록 구성된 모터(113)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모터(113)는 용융 용기(106)로부터 하류의 용융 유리의 감지된 수준을 기반으로 제어된 속도로 일괄 재료(107)를 도입하기 위해 일괄 이송 장치(111)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용융 용기(106) 내의 일괄 재료(107)는 이후 용융 유리(121)를 형성하도록 가열될 수 있다.
유리 제조 장치(예, 융합 하향-인발 장치(101))는 또한 유리 용융 노(105)에 대해 하류에 배치된,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의 일부분은 유리 용융 노(105)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설명된 제1 연결관(129), 또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의 다른 부분은 유리 용융 노(105)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는 용융 용기(106)로부터 하류에 위치하고 상기 참고한 제1 연결관(129)을 통해 용융 용기에 연결된 청징 용기(127, fining vessel)와 같은 제1 컨디셔닝 스테이션(conditioning st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용융 유리(121)는 제1 연결관(129)을 통해 용융 용기(106)에서 청징 용기(127)로 중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용융 용기(106)로부터 청징 용기(127)로 제1 연결관(129)의 내부 경로를 통과해 지나가도록 용융 유리(121)를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청징 용기(127) 내에서, 거품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 용융 유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는 청징 용기(127)로부터 하류에 위치할 수 있는 유리 용융 교반 챔버(131)와 같은 제2 컨디셔닝 스테이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용융 교반 챔버(131)는 균일한 유리 용융 조성을 제공하여, 그렇지 않으면 청징 용기를 나가는 정제된 용융 유리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이질성 코드(cord)를 줄이거나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청징 용기(127)는 제2 연결관(135)을 통해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용융 유리(121)는 제2 연결관(135)을 통해 청징 용기(127)에서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청징 용기(127)에서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로 제2 연결관(135)의 내부 경로를 통해 지나가기 위해 용융 유리(121)를 유도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는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로부터 하류에 위치 할 수 있는 이송 용기(133)와 같은 다른 컨디셔닝 스테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용기(133)는 성형 장치로 공급될 용융 유리(121)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용기(133)는 성형 용기(143)로의 용융 유리(121)의 일정한 흐름을 조정 및 제공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및/또는 흐름 조절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는 제3 연결관(137)을 통해 이송 용기(133)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용융 유리(121)는 제3 연결관(137)을 통해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에서 이송 용기(133)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용융 유리 교반 챔버(131)에서 이송 용기(133)로 제3 연결관(137)의 내부 경로를 통해 지나가기 위해 용융 유리(121)를 유도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는 하향관(139, downcomer) 및 상기 참고한 성형 용기(14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향관(139)은 용융 유리(121)를 이송 용기(133)에서 성형 용기(143)의 유입구(141)로 이송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유리 리본(103)은 성형 용기(143)의 성형 웨지(147, wedge)의 루트(145, root)에서 융합 인발되고 이후 유리 분리 장치(미도시)에 의해 유리 시트(104)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융합 하향-인발 장치(101)의 구성요소로서 포함되는 유리 용융 노(105)를 나타낸다. 유리 용융 노(105)는 용융 용기(106)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201,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201)는 용융 용기(106)에 장착된 분리 구조일 수 있지만 베이스(201)는 추가 예시에서 용융 용기(106)의 통합 구성요소로서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201)는 장착 영역(205) 내에 지지 구조(203)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01)는 용융 용기(106)를 지지할 수 있어서 용융 용기(106) 내의 용융된 유리 및/또는 일괄 재료의 무게는 베이스(201)와 아래의 지지 구조(20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구조(203)는 도 3에 도시된 예시의 지지 빔(203a, 203b, beam)과 같은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구조(203)는 유리 용융 노(105)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유리 용융 노(105)의 베이스(201)는 지지 구조(203)에 배치되고, 장착도 된다. 지지 구조(203)는 유리 용융 노(105)의 무게만이 아니라, 작동 중 용융 용기(106) 내의 일괄 재료 및/또는 용융 유리의 무게까지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지지 구조(203)는 빌딩의 기초 또는 적재된 유리 용융 노(105)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다른 장착대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구조(203)는 장착 영역(205)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인접한 지지 표면(221) 아래의 높이로 선택적으로 리세스(recessed)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추가 예시에서, 장착 영역(205)은 지지 표면(221)에 또는 지지 표면(221) 위로 상승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3은 지지 표면(22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된 지지 구조(203)의 상부 표면(213)을 나타내지만, 추가 예시에서, 상부 표면(213)은 지지 표면(221)과 동일 평면에 있거나 지지 표면(221)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에서, 지지 표면(221)은 장착 영역(205)에 인접한 바닥의 표면(예, 클린룸)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표면(221)은 일괄 재료 및/또는 용융 유리로 적재되지 않은 유리 용융 노(105)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반면 장착 영역(205) 내의 지지 구조(203)는 유리 용융 노(105)의 무게에 더해 유리 용융 노(105)의 작동 중 용융 용기(106)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일괄 재료 및/또는 용융 유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201)는 광범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베이스(201)는 일괄 재료 및/또는 용융 유리가 적재된 용융 용기(106)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 또는 다른 구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201)는 지지 구조(203)에 대해 베이스(201)의 상부 부분(209)에 공간을 두도록 설계된 다수의 발(207, foot)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로, 일부 예시에서, 상부 부분(209)은 지지 구조(203)의 상부 표면(213)과 상부 부분의 하부 표면(215) 사이에 개구부(211)를 형성하도록 발(207)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 영역(205)은 중력 "G"의 방향에 수직한 평면 "P"를 따라 연장된 영역 "A"(도 12 참고)를 가진 풋프린트(217, footprint)(파선으로 나타냄)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 "A" 및 풋프린트(217)는 도 16의 상부 평면도에 도시되며 또한, 도 12의 상부 평면에서 숨겨져 있으며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1의 선 12-12에 의해 나타나듯이, 풋프린트(217)는 풋프린트(217)의 영역 "A"의 평면도는 도 12 및 16에 도시되는 중력 "G"의 방향으로 보여질 수 있다.
풋프린트(217)의 영역 "A"는 지지 구조(203)에 배치될 지지 표면(221) 아래에 베이스(201)가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풋프린트(217)의 영역 "A"는 지지 표면(221)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발들(207)의 하부 표면(219)을 위치시키기 위해 추가로 베이스(201)가 지지 구조(203)에서 수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게 한다. 풋프린트(217)는 지지 표면(221)의 개구부(223)의 주변으로 국한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일부 예시에서, 풋프린트(217)는 선택적으로 길이 "L"(도 2, 12 및 16 참고) 및 폭 "W"(도 3, 12, 13 및 16 참고)를 가진 직사각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각형 풋프린트(217)의 영역 "A"는 길이 "L" 및 폭 "W"의 제품(즉, A=LxW)일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노의 적용 분야 및/또는 구조에 따라, 범위는 다른 형태, 예컨대 3개 이상의 면을 가진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및/또는 다른 곡선으로 형성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 노(10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통해 노를 처리하고자 할 수 있다.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의 노의 이동은 도 1에 화살표(155)로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움직이게 되면, 화살표(155)로 나타낸 것처럼, 노는 정비될 수 있다(예, 참조 번호(157)로 나타낸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정비하는). 노를 수리하고, 노를 재건하고, 정기 보수를 수행, 또는 노를 정비하기 위해 정비는 수행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정비는 노를 교체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 노(105)를 이동시키는 것은 정비 처리의 복잡함을 충분히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노를 정비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결국, 노동 비용 및/또는 노(105)의 정비의 처리로 야기된 생산성 손실은 노를 정비하기 위해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 노(10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통해 충분히 줄어들 수 있다.
노(105)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용융 용기(106)로부터 충분한 양의 용융 유리(121)를 제거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용융 유리(121)는 용융 용기(106)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융 용기(106)의 내부는 노(105)에 충분한 무게를 더할 수 있는 고체 및/또는 액체가 실질적으로 없을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노(105)는 또한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 및/또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와 같은 다른 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제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괄 이송 장치(111)는 노(105)로부터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를 분리시키기 위해 노(10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노(105)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지지 구조(203)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들어올리는 것은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윈치(lifting winch)는 지지 구조(203)에서 노(105)를 들어올리기 위해 베이스(201)의 리프팅 구멍에 부착된 리프팅 부재(예, 리프팅 케이블)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리프팅 부재(예, 리프팅 포크(lifting forks))는 지지 구조(203)에서 노(105)를 들어올리기 위해 베이스(201) 아래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들어올리는 것은 잭(jack)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기계 잭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된 부재들이 지지 구조(203)에서 노(105)를 들어올리기 위해 서로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비압축성 유체(예, 중유)를 이용하는 유압 잭이 지지 구조(203)에서 노(105)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다수의 공압 잭(225)은 각각의 개구부(2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6개의 공압 잭(225)은 각각의 지지 빔(203a, 203b)과 관련된 3개의 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임의 수량의 잭은 대안 구조의 넓은 범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구조(203)에서 노(105)를 들어올리는 방법은 공압 잭(225)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201)는 발(207)의 하부 표면(219)과 지지 구조(203)의 상부 표면(213) 사이에 공간(401)이 제공되도록 상승된다.
일부 예시에서, 잭의 단일 리프팅 행정이 원하는 높이로 노(105)를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공압 잭(225)의 단일 행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노(105)를 추가로 들어올리길 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를 추가로 들어올리는데 다중 잭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초기에 도 5를 참고로 언급한 것처럼, 동일한 세트의 잭(225)은 공압 잭(225)의 단일 행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노(105)를 추가로 들어올리기 위해 잭 스페이서 및 승강 스페이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다수의 승강 스페이서(501)는 각각의 발(207)의 하부 표면(219)과 지지 구조(203)의 상부 표면(213) 사이의 각각의 공간(401) 내에 제1 승강 스페이서 적층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시된 것처럼, 단일 제1 승강 스페이서(503)는 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공간(401)을 채우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일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은 공간(401)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지만, 다수의 스페이서는 공간(401)의 실제 높이와 유효 스페이서 높이를 더욱 정확하게 맞춰서, 공압 잭(225)의 단일 리프팅 행정에 의해 달성된 최대 높이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노(105)의 무게가 제1 승강 스페이서(501, 503)에 의해 지지되도록 공기가 빠질 수 있다. 이후, 제1 세트의 잭 스페이서(예, 다수의 잭 스페이서(601) 및/또는 단일 잭 스페이서(603))는 개구부(211) 내에서 공기가 빠진 공압 잭(225)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베이스(201)가 공압 잭(225)의 제2 행정에 의해 승강되도록 다시 팽창될 수 있다. 공압 잭(225)의 제2 행정은 각 발(207)의 하부 표면(219)과 각각의 제1 승강 스페이서(501, 503)의 상부 표면(703) 사이의 다른 공간(701)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 잭의 2번의 리프팅 행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까지도 노를 추가로 들어올리길 바랄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동일한 잭으로 노의 추가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승강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제2 승강 스페이서(801)는 발(207)의 하부 표면(219)과 제1 승강 스페이서(501, 503)의 상부 표면(703) 사이의 공간(701)을 채우는 제2 승강 스페이서 적층을 형성하도록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도시된 것처럼, 단일 제2 승강 스페이서(803)는 일부분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공간(701)을 채우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노(105)의 무게가 제1 승강 스페이서(501, 503)와 제2 승강 스페이서(801, 803)에 의해 지지되도록 공기가 빠질 수 있다. 이후, 제2 세트의 잭 스페이서(예, 다수의 제2 잭 스페이서(901) 및/또는 단일 잭 스페이서(903))는 제1 세트의 잭 스페이서(601, 603)의 상부 표면(905)과 상부 부분(209)의 하부 표면(215) 사이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베이스(201)가 공압 잭(225)의 제3 행정에 의해 승강되도록 다시 팽창될 수 있다. 공압 잭(225)의 제3 행정은 발(207)의 하부 표면(219)이 지지 표면(221)의 높이 이상의 간격 D1이 되도록 추가 높이를 제공한다. 도 10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제1 승강 스페이서(501, 503)와 제2 승강 스페이서(801,803)는 제거될 수 있고 다수의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와 같은 지지 부재로 교체될 수 있다. 4개의 별개의 지지 부재가 도시되었지만, 지지 부재는 추가 예시에서 단일 또는 임의 수량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가 별개의 지지 빔으로 도시되었지만, 지지 부재는 서로 연결된(예, 통합으로 연결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지지 부재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도시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는 I-빔, 즉 도 10-11에 도시된 것처럼 "I" 형태의 단면을 가진 빔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 부재는 관형 빔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강철 또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부재의 구성 및 재질은 노를 지지하는 것과 관련된 응력을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지 부재의 구성에 대해, 지지 부재는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너머 전역에 걸쳐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는 풋프린트의 크기보다 더 큰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를 통해, 각각의 도시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는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너머 전역에 걸쳐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2 및 1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하나의 예시는 길이 "Ls"를 가진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길이 "Ls"는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의 폭 "W"보다 더 커서 각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는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너머 전역에 걸쳐있다.
각 지지 부재는 풋프린트(217) 너머 전역에 걸쳐있을 수 있으므로, 각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대향 말단부(1201, 1203)는 지지 표면(221)너머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유체 지지 베어링(예, 공기 지지 베어링, 액체 지지 베어링, 증기 지지 베어링 등)은 각각의 지지 부재의 각 대향 말단부(1201, 1203)와 풋프린트(217) 밖의 지지 표면(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그리고 도 12에 숨은 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제1 말단부(1201)는 각각의 제1 말단부(1201)와 풋프린트(217) 밖의 지지 표면(221)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유체 지지 베어링(1005a, 1007a, 1009a, 1011a)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에 숨은선으로 또한 도시된 것처럼,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 각각의 제2 말단부(1203)은 각각의 제2 말단부(1203)과 풋프린트(217) 밖의 지지 표면(221) 사이에 배치된 각각의 유체 지지 베어링(1005b, 1007b, 1009b, 1011b)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12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지지 베어링은 지지 표면(221)에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105)는 발(207)의 하부 표면(219)이 지지 표면(221)으로부터 제1 간격 "D1"으로 배치되는 높이로 올려질 수 있다. 제1 간격 "D1"은 지지 부재와 유체 지지 베어링의 결합 높이 "H"보다 더 클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는 서로에 대해 및/또는 노(105)에 대해 적소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실제로, 노(105)의 무게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지지 부재의 상부 표면(1002)과 하부 표면(219) 사이에 공간(1003)이 존재한다.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동안, 지지 부재가 노의 무게를 지지하지 않기 때문에 지지 부재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노에 대해 쉽게 움직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는 서로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지향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지지 부재는 추가 예시에서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지지 부재는 서로에게 동일간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지만 노의 무게 분배를 기반으로 한 대안의 간격 배열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2를 참고로, 지지 부재는 제1 말단부(1201)가 제1 선형 정렬 축(1205a)을 따라 서로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제2 말단부(1203) 또한 제2 선형 정렬 축(1205b)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선형 정렬 축(1205a, 1205b)을 따라 말단부을 정렬시키는 것은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처럼 노의 미리 정해진 움직임을 안내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는 노(105)에 대해 원하는 소정의 위치로 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지지 부재의 길이 "Ls"는 노(105)의 폭 "W"를 따라 중심에 놓여질 수 있다. 실제로, 도시된 예시에서, 노(105)의 중심축(1207)은 선형 정렬 축(1205a, 1205b)들 사이를 중심으로 놓여질 수 있으므로 각 정렬 축(1205a, 1205b)은 중심축(1207)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지지 부재를 중심에 두는 것은 각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1201, 1203) 사이에서 균일한 하중 분배를 도울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길이 "Ls"를 따른 지지 부재(예, 하나, 다수, 또는 지지 부재 전체)의 기다란 축은 노(105)의 중심 축(1207)에 수직할 수 있다. 지지 부재가 대안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지만, 지지 부재의 기다란 축이 중심축(1207)에 수직이 되게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것은 노의 이동 중 지지 부재를 안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서로에 대해 및/또는 노에 대해 지지 부재의 의도치않은 재배치의 기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가 서로에 대해 및/또는 노(105)에 대해 적절하게 배치되면, 공압 잭(225)은 공기가 빠지고 잭 스페이서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공기가 빠지면, 노(105)는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는 노(105)의 무게를 지지한다. 실제로,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발(207)의 하부 표면(219)은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상부 표면(1002)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발(207)의 하부 표면(219)에서 지지 표면(221)으로의 간격 "D2"는 지지 부재와 유체 지지 베어링의 결합된 높이 "H"와 같다.
도 13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듯이, 잭(225)이 공기가 빠지고 제거되면, 노가 장착 영역(205) 위에 떠있는 동안 지지 부재는 노(105)의 무게를 지지한다. 실제로, 풋프린트(217) 밖에 위치한 지지 표면(221)에 각각의 유체 지지 베어링(예, 도 13에 도시된 (1011a, 1011b))에 의해 대향 말단부(1201, 1203)에서 지지되는 노(105)의 무게로 지지 부재의 길이 "Ls"의 중심부는 하중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 중 어느 것은 장착 영역(205)의 범위 너머 전역에 걸쳐있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예,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로 노(105)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105)(예, 유리 용융 노 등)를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풋프린트(217) 밖의 지지 표면(221)은 노(105)가 장착 영역(205) 위에 떠있도록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말단부(1201, 120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노(105)가 장착 영역(205) 위에 떠 있도록 노는 풋프린트(217) 내에 배치된다. 실제로, 적어도 노(105)의 일부분은 풋프린트(217)의 수직 투영 내에 배치되므로 수직 범위 내에 배치된다.
노(105)를 지지 표면(221) 위의 지지 부재와 함께 이동시키기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예시에서, 도 16을 참고하여, 노(105)를 지지 표면(221)을 따른 방향으로 지지 구조와 함께 이동시키려는 바람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작동 유체로서 공기를 이용하는 에어 베어링일 수 있는 유체 지지 베어링은 지지 표면(221)과의 미끄럼 마찰을 줄이거나 제거에 도움을 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은 공기와 같은 유체 쿠션 상에 지지 표면(221) 위의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대향 말단부(1201, 1203)를 공중에 뜨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및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예시의 유체 지지 베어링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예시의 유체 지지 베어링은 공기 베어링일 수 있지만, 다른 타입의 유체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서, 유체 지지 베어링(1011a)은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조가 다른 모든 또는 임의의 유체 지지 베어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점을 포함해서 하기에 설명된다. 도시된 것처럼, 유체 매니폴드(1403, manifold)는 유체 지지 베어링(1011a)과 유체 연통하는 가압된 유체의 공급원(1401)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401)은 공기 압축기 또는 다른 압축 유체의 공급원과 같은, 펌프, 실린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405)는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수준의 가압 유체를 유체 지지 베어링(1011a)에 제공하기 위해 가압 유체의 공급원(1401) 및/또는 유체 매니폴드(1403)를 작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활성화되면, 유체의 가압된 스트림은 지지 표면(22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유체 지지 베어링(1011a)의 바닥 표면 및/또는 지지 부재(1001a)의 상응하는 말단부(1201)를 공중에 뜨게하는 유체(1501)의 쿠션을 발생한다. 간격(1503)은 약 1mm에서 약 4mm의 내에, 예컨대, 약 1mm에서 약 3mm, 예컨대, 약 2mm에서 약 3mm일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노(105)를 처리하는 방법은 유체의 쿠션 상에 지지 표면 위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을 공중에 뜨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의 쿠션은 지지 표면(221)에 대해 노와 지지 부재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지지 표면(221)과의 마찰력을 줄이거나 방지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는 바퀴달린 장치 또는 어떤 다른 형태의 롤러 또는 롤러들 상에 대향 말단부를 배치함으로써 지지 표면 위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는 지지 표면 상에 배치된 레일 위로 굴러가도록 구성된 바퀴달린 트럭 위에 대향 말단부를 배치함으로써 지지 표면 위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노(105)를 처리하는 방법은 또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1201, 1203)가 유체 쿠션(1501)으로 지지 표면(221) 위로 공중에 떠있는 동안 지지 표면(221)에 대해 지지 부재(예, 지지 부재 (1001a, 1001b, 1001c, 1001d))와 함께 노(10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조작자는 노(105) 또는 지지 부재를 방향(1601)으로의 노의 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해 방향(1601)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자는 수공으로 노를 밀거나 당길 수 있으며 또는 노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재료 취급 차량 또는 다른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6에 또한 볼 수 있듯이, 방법은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 노(10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노는 지지 표면(221)의 개구부(223)에서 멀리 이동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노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촉 붙임 메커니즘(tongue and groove mechanism)과 같은 안내 메커니즘과, 안내 채널 또는 다른 구조가 안내 메커니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안내 메커니즘은 방향 (1601)을 따라 연장되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안내 레일(1607a, 1607b)을 포함한다. 안내 레일은 방향 (1601)을 따른 노(105)의 미리정해진 이동을 안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각각의 정렬 축(1205a, 1205b)(도 12에 대해 전술된)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 베어링 표면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안내 레일(1607a, 1607b)의 베어링 표면은 안내 경로를 방황하지 않고 방향(1601)으로 경로를 따라 노(105)를 안내하기 위해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대향 말단부(1201, 1203)의 바깥쪽 말단부(1603a, 1603b)와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안내 레일(1607a, 1607b) 사이의 간격은 노(105)를 위한 충분한 더욱 정확한 이송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 부재의 길이 "Ls"에 근사하도록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조절 나사(1609)는 지지 표면(221)에 고정되는 장착 브라켓(1605a, 1605b)에 조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안내 레일(1607a, 1607b) 사이의 상대적인 간격은 조절 나사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노(105)가 풋프린트(217) 밖에 배치되면, 방법은 노를 정비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노를 선택적으로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노는 노를 수리하고, 노를 교체하고, 노를 재건하며, 정기 보수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정비 기술을 수행함으로써 정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정비 단계 전에, 방법은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지지 구조(203)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관련하여 논의된 리프팅 구조는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노(105)의 리프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예시에서, 공압 잭(225)은 단독으로(미도시) 또는 잭 스페이서와 조합으로 공간(170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후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발(207)의 하부 표면(219)과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상부 표면(1002) 사이의 공간(1801)을 제공하기 위해 공간(1701) 내에서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노(105)를 들어올린 후, 공압 잭(225)과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 모두는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의 공기를 빼고 제거하기 전에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노는 이후 노를 수리하고, 노를 재건하고, 노를 교체하고, 정기 보수를 수행하거나 다른 정비 기술을 수행함으로써 정비될 수 있다.
대안으로, 노(105)의 추가 이동이 필요한 경우,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가 제거될 수 있고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은 노가 정비되기 전 발(207) 아래에 직접 재배치될 수 있다. 공압 잭(225)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이후 공기가 빠지고 제거될 수 있으며, 베이스(201)의 발(207)은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에 의해 직접 지지된다. 노(105)를 추가로 이동시키기 전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제거하는 것은 노(105)를 이동시킬 때 노(105)가 장애물에 대해 기동할 필요가 있는 적용 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 없이, 노(105)는 다른 방으로 출입구를 통과해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유체 지지 베어링으로 추가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 지지 베어링은 유체 지지 베어링과 지지 표면(221) 사이에 유체 쿠션(2001)을 생성하여 유체 지지 베어링과 지지 표면(221) 사이의 마찰을 줄이거나 방지하도록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조작자는 이후 방향(2003)으로 노(105)의 이동을 야기하기 위한 힘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노(105)는 정비 룸, 클린 룸, 또는 다른 위치와 같이 원하는 위치(2101)에 결국 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이후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를 제거할 수 있도록 팽창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이후 베이스(201)의 발(207)이 노(105)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 표면(221)과 직접 맞물리도록 공기가 빠지고 제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로서, 방법은 예컨대, 정비 기술자(2201)에 의해, 노를 정비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노를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노는 노를 수리하고, 노를 재건하며, 노를 교체하고, 정기 보수를 수행하거나 다른 정비 기술을 수행함으로써 정비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노(105)를 처리하는 방법은 풋프린트(217) 밖에 있는 위치에서 노를 조립한 후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105)는 원래 풋프린트(217) 밖에 있는 위치에서(예, 위치 (2101))새로운 노로서 조립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방법은 사용된 노를 수리하고, 사용된 노를 재건하고, 사용된 노를 교체하고,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예, 위치 (2101))에서 사용된 노에 정기 보수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정비 기술을 수행하는 것과 같이, 사용된 노를 정비하는 단계 이후 노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새로운 노를 조립하거나 사용된 노를 정비하는 단계 이후, 방법은 도 1의 화살표(159)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지지 구조(도 2의 (203) 참고)에 균등하게 배치되도록 노를 이동시킴으로써 노를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장착하는 방법은 전술한 단계의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의 순서를 역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먼저 도 22를 참고하여, 정비 내지 조립 단계 이후, 방법은 스페이서(2203) 내에 앞서 참고된 공압 잭을 배치하는 단계(도 22에는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노(105)를 들어올리기 위해 팽창될 수 있다.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은 이후 베이스(201)의 각 발(20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 지지 베어링은 이후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로 노를 이동시키면서 노(105)를 들어올리고 유체 쿠션(2001)에서 노를 지지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8에 추가로 도시된 것처럼, 방법은 지지 부재의 각 제1 및 제2 말단부(1201, 1203) 아래에 유체 지지 베어링(1005a,b, 1007a,b, 1009a,b, 및 1011a,b)을 가진 베이스의 각 발(207) 아래에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삽입하기 위해 공압 잭(225)으로 노(105)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공압 잭(225)은 노(105)의 무게가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에 의해 지지되도록 공기가 빠질 수 있다.
그러므로, 노를 처리하는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서,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 너머 전역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예, 지지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로 노(105)를 지지하는 단계(도 16 및 17에 도시된 풋프린트(217) 밖의 위치에서)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6 및 17에 도시된 위치에서, 풋프린트(217) 밖의 지지 표면(221)은 노(105)가 추후 장착 영역(205) 위에 매달릴 수 있도록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대향 말단부(1201, 120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유체 쿠션(예, 공기 쿠션(1501)) 상에서 지지 표면(221) 위에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의 대향 말단부(1201, 1203)을 공중에 뜨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1201, 1203)가 유체 쿠션(1501)으로 지지 표면(221) 위로 공중에 떠있는 동안 지지 표면(221)에 대해 지지 부재와 함께 노(105)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계는 노(105)가 도 12 및 13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 영역(205) 위에 떠있도록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도 16, 17 참고) 풋프린트(217) 내의 위치로(즉, 풋프린트(217)의 수직 투영 내로)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범위 내의 위치로 노(105)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노를 안내함으로써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처럼, 방법은 안내 레일(1607a, 1607b)로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노를 안내하는 단계는 장착 영역(205)의 풋프린트(217)와 베이스(201)를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방법은 지지 부재(예, 지지 부재(1001a, 1001b, 1001c, 1001d))를 제거하고 이후 장착 영역(205) 내에서 지지 구조(203)에 노(105)를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리프팅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지지 구조(203)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 리프팅 기술 중 임의의 것은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들어올리는 단계는 잭(예, 공압 잭) 및/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페이서와 조합된 잭으로 노(105)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시에서, 지지 구조(203)에 노를 배치하는 것은 지지 구조에 노(105)를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노를 내려놓는 단계는 예를 들어, 역순으로 도 2-10의 방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잭(예, 공압 잭)으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와, 한 세트의 승강 스페이서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잭(예, 공압 잭)으로 노를 내려놓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노는 유리 용융 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방법은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한 후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로 유리 용융 노를 작동하게 연결하고 및/또는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로 유리 용융 노를 작동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괄 이송 장치(111)는 노(105)와 상류 유리 제조 장치(151)를 결합하기 위해 노(105)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나타낸 것처럼, 제1 연결관(129)은 하류 유리 제조 장치(153)를 노(105)와 결합하기 위해 노(105)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노를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은 또한 노를 작동하는 단계(예,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를 가열하기 위한 노를 이용하여), 또는 다른 처리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처럼, 유리 용융 노를 처리하는 방법은 유리 리본(103)으로 균일하게 인발되어 유리 시트(104)로 분리되는 용융 유리(121)를 생성하기 위해 일괄 재료를 가열하는데 노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I) 장착 영역의 풋프린트(footprint) 너머 전반에 걸쳐있도록 구성된 지지 부재로 노를 지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풋프린트 밖의 지지 표면은 노가 장착 영역 위에 떠있도록 지지 부재의 적어도 한 쌍의 대향 말단부를 지지하는 단계;
    (II) 지지 표면 위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를 지지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가 지지되는 동안 지지 표면에 대해 지지 부재와 함께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를 처리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는 유체 쿠션에서 지지 표면 위로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를 공중으로 뜨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상기 지지 부재의 대향 말단부가 유체 쿠션으로 지지 표면 위로 공중에 떠있는 동안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는 상기 노가 장착 영역 위에 떠있도록 풋프린트 내에 노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상기 풋프린트 밖의 위치로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 이후, 상기 노를 정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III)는 노가 장착 영역 위에 떠있도록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 풋프린트 내의 위치로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상기 지지 부재를 제거하고 이후 장착 영역 내의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는 유리 용융 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지지 구조에 노를 배치한 이후 하류 유리 제조 장치로 유리 용융 노를 작동하게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 부재에서 노를 들어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노를 배치하는 단계는 지지 구조로 노를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노를 내리는 단계는 잭(jack)으로 노를 들어올리고, 한 세트의 승강 스페이서(spacer)를 제거하고, 잭으로 노를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는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 조립되는,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노는 풋프린트 밖의 위치에서 정비되는,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상기 노를 안내함으로써 노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는 안내 레일(rail)로 상기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 쿠션은 공기 쿠션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25674A 2015-02-13 2016-02-10 노 처리 방법 KR201701175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21,917 2015-02-13
US14/621,917 US20160238279A1 (en) 2015-02-13 2015-02-13 Methods of processing a furnace
PCT/US2016/017233 WO2016130606A1 (en) 2015-02-13 2016-02-10 Methods of processing a furn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505A true KR20170117505A (ko) 2017-10-23

Family

ID=5661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674A KR20170117505A (ko) 2015-02-13 2016-02-10 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238279A1 (ko)
JP (1) JP2018506695A (ko)
KR (1) KR20170117505A (ko)
CN (1) CN107428580A (ko)
TW (1) TW201638545A (ko)
WO (1) WO2016130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793A (ko) * 2017-11-20 2019-05-2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5847610B (zh) * 2022-10-12 2023-07-11 中建材科创新技术研究院(山东)有限公司 一种高温窑炉用气凝胶保温砂浆制备设备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9052A (en) * 1933-11-10 1936-01-28 Corning Glass Works Furnace
US3791535A (en) * 1973-01-02 1974-02-12 Rolair Syst Inc Furnace moving system
US3825093A (en) * 1973-01-02 1974-07-23 Rolair Syst Inc Modular air cushion transporting system
NO147647C (no) * 1980-02-27 1983-06-01 Elkem As Anordning ved rotasjon av ovnspotter for smelte- eller reduksjonsovner.
DE3615276A1 (de) * 1986-05-06 1987-11-19 Sorg Gmbh & Co Kg Arbeitswanne eines glasschmelzofens
US5058654A (en) * 1990-07-06 1991-10-22 Outboard Marin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portable furnaces
US7318330B2 (en) * 2003-06-27 2008-01-15 Schott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lass
DE102008031959B4 (de) * 2008-03-20 2012-03-29 Uwe Geib Verfahren und Vorrrichtung für Schmelzöfen zur Optimierung einer Ofenreise
US8973406B2 (en) * 2012-10-26 2015-03-10 Corning Incorporated Melters for glass forming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8580A (zh) 2017-12-01
TW201638545A (zh) 2016-11-01
US20160238279A1 (en) 2016-08-18
JP2018506695A (ja) 2018-03-08
WO2016130606A1 (en)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3343C (fi) Menetelmä ja laite lasilevyjen kuljettamiseksi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KR100807793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판재 이송장치
RU20835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 отпуска стеклянных листов
KR20170117505A (ko) 노 처리 방법
KR101368819B1 (ko) 기판 이송장치
CN110155687B (zh) 一种换向机及其换向方法
CN109436417B (zh) 一种新型管材自动套管设备
CN116101118A (zh) 重卡换电电池总成的电池包更换机构及其方法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CN111842030A (zh) 作业台和具有其的点胶机
KR102243762B1 (ko) 상부 블록 보수 장치 및 상부 블록 보수 방법
KR102373142B1 (ko) 페이퍼 롤 자동 교체장치
CN111908367B (zh) 一种大板提升机
CN219859441U (zh) 转运装置及玻璃生产系统
CN219278863U (zh) 一种空心砖搬运堆垛装置
KR101266508B1 (ko) 동조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리프트 승강장치
KR100979298B1 (ko) 고하중물 구조체의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CN109336377B (zh) 下成型玻璃板的接片方法及装置
CN210126218U (zh) 一种平板硫化机
KR100774401B1 (ko)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FI11504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lasin taivutuskarkaisemiseksi
CN206936601U (zh) 一种轴管摩擦焊接上料装置
KR20230113160A (ko)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CN118145542A (zh) 一种有限空间高压电容器快速更换辅助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