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60A -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60A
KR20230113160A KR1020230006439A KR20230006439A KR20230113160A KR 20230113160 A KR20230113160 A KR 20230113160A KR 1020230006439 A KR1020230006439 A KR 1020230006439A KR 20230006439 A KR20230006439 A KR 20230006439A KR 20230113160 A KR20230113160 A KR 2023011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air
coupled
hold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박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욱 filed Critical 박상욱
Publication of KR2023011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7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relative to mast
    • B66F9/148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sid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홀더로 드럼을 클램핑하고, 리프트유닛과 이동유닛으로 드럼 홀더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유닛으로 특정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럼 크기의 제한 없이 다양한 크기의 드럼을 운반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럼을 파렛트 위나 아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동력과 시간이 절감되고, 드럼 운반 시 발생할 수 있는 드럼의 손상과 안전사고를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Drum transport device after drum lift using drum holder}
본 발명은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럼은 각종 내용물을 저장 및 수송하기 위한 대용량의 용기이다. 드럼은 통상적으로 200리터 용량이 많이 사용되지만 이보다 더 큰 400리터 용량 등 다양한 크기의 드럼도 사용되고 있다.
현재 드럼운반시스템은 파렛트 위에 드럼을 적재한 상태에서 파렛트를 운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기존의 드럼 리프트는 바닥에 놓여 있는 드럼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파렛트 위에서 드럼을 잡을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파렛트 위로 드럼을 올리거나 내릴 수가 없었다. 또한 기존의 드럼 리프트로 드럼을 운반할 때는 특정 규격의 200리터 드럼만 운반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럼을 운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드럼을 파렛트 위에 직접 적재 또는 하역하거나 지게차로 드럼을 파렛트 위에 적재 또는 하역하였다. 이러한 작업방식은 노동력과 시간이 많이 들고, 드럼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10-093206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는,
리프트유닛의 승강에 의해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거나 클랭핑 해제하는 드럼 홀더;
상기 드럼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홀더를 승강시켜 상기 드럼 홀더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드럼 홀더의 클램핑 동작을 작동시키는 리프트유닛;
상기 리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홀더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리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유닛을 구동시키고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홀더로 드럼을 클램핑하고, 리프트유닛과 이동유닛으로 드럼 홀더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유닛으로 특정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럼 크기의 제한 없이 다양한 크기의 드럼을 운반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드럼을 파렛트 위나 아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동력과 시간이 절감되고, 드럼 운반 시 발생할 수 있는 드럼의 손상과 안전사고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드럼 홀더가 리프트유닛의 승강에 의해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거나 클램핑 해제하고, 리프트유닛이 드럼 홀더를 승강시켜 드럼 홀더의 높이를 조절하고 드럼 홀더의 클램핑 동작을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리프트유닛과 드럼 홀더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드럼의 클램핑과 동시에 드럼의 리프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드럼 홀더와 리프트유닛을 발췌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드럼 홀더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 5는 드럼 홀더의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중 하나를 제거한 내부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드럼 홀더가 드럼의 림으로 접근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드럼 홀더가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드럼 홀더가 드럼의 림을 클램핑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는 드럼 홀더(100), 리프트유닛(200), 이동유닛(300), 구동유닛(400)으로 구성된다.
[드럼 홀더(100)]
드럼 홀더(100)는 리프트유닛(200)의 승강에 의해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거나 클랭핑 해제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홀더(100)는 슬라이더(110), 연결블록(120),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상부죠(140), 하부죠(150), 스페이서(160), 드럼 지지부재(170)로 구성된다.
슬라이더(110)
슬라이더(110)는 리프트유닛(200)에 결합되며, 리프트유닛(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10)는 리프트유닛(200)의 한 쌍의 수직레일(210) 사이에 배치되는 사각 형상의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양쪽 단부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결되는 측벽(112)과, 측벽(112)에 결합되며 리프트유닛(200)의 수직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롤러(113)와, 베이스판(111)의 후면에 결합되며 리프트유닛(200)의 체인(260)이 결합되는 체인결합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연결블록(120)
연결블록(120)은 슬라이더(110)의 베이스판(111)에 결합되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결블록(12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이 형성되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이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에 삽입되는 핀(P)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블록(120)은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의 길이만큼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다.
클램핑 안내판(130)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은 연결블록(120)의 양쪽 측면에 연결블록(120)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각각은 연결블록(120)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31)과, 수직판(131)에서 절곡 연장되며 슬라이더(110)의 베이스판(111)에 지지되는 수평판(132)으로 구성된다.
수직판(131)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이 형성된다.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은 상부죠(14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상부죠(140)의 후단의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상부죠(140)의 후단은 각 수직판(131)의 안내판용 원호장공(A2)에 삽입된 핀(P)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죠(140)는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수평판(132)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판용 수직장공(A3)이 형성되며, 수평판(132)은 안내판용 수직장공(A3)에 삽입되는 핀으로 슬라이더(110)의 베이스판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10)는 안내판용 수직장공(A3)의 길이만큼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다.
상부죠(140)
상부죠(140)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에서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블록(120)에 지지되어 연결블록(120)의 승강에 의해 회전한다.
상부죠(140)는 새부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죠(140)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부죠(140)의 절곡영역이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핀(P)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죠(140)의 후단은 안내판용 원호장공(A2)에 배치되며,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관통하는 핀(P)에 결합되어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관통하는 핀에는 클램핑 안내판(130)에 후단이 결합된 탄성스프링(S)의 전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핀에 결합된 상부죠(140)의 후단은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잡아당겨져 연결블록(120)에 상시 지지된다. 따라서 연결블록(120)이 상승하면 상부죠(140)의 후단이 연결블록(120)에 의해 밀려올라가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따라 이동한다.
상부죠(140)의 전단은 후단이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따라 상승하면 하부죠(150) 방향으로 하강하여 하부죠(150)와 함께 드럼의 림을 클램핑한다. 상부죠(140)의 전단은 드럼의 림과의 접촉면을 보강하는 팁(141)이 구비된다. 팁(141)은 쇠와 같은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파손과 마모를 방지한다.
하부죠(150)
하부죠(150)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에서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결합되며, 상부죠(140)와의 상호작용으로 드럼의 림을 클램핑한다.
하부죠(150)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에 고정되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과 함께 이동한다. 상부죠(140)와 마찬가지로,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는 하부죠(150)의 단부는 드럼의 림과의 접촉면을 보강하는 팁(151)이 구비된다.
스페이서(160)
스페이서(160)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에서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결합되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사이의 유격을 유지한다. 스페이서(160)는 하부죠(150) 아래에 위치하여 하부죠(150)의 쳐짐을 방지한다. 스페이서(160)는 연결블록(120)의 승강 길이를 고려하여 연결블록(120)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드럼 지지부재(170)
드럼 지지부재(170)는 슬라이더(110)의 베이스판(111)에 결합되며 드럼의 측면을 지지한다.
드럼 지지부재(170)는 슬라이더(110)의 베이스판(111)에 결합되는 브라켓(171)과, 브라켓(171)에 연결되며 드럼의 측면을 둘러싸 지지하는 받침대(172)로 구성된다. 브라켓(171)은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 아래에 배치된다. 브라켓(171)은 슬라이더(110)의 높이별로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171)은 받침대(172)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받침대(172)가 결합되는 볼트공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받침대(172)는 원통형의 드럼을 둘러쌀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리프트유닛(200)]
리프트유닛(200)은 드럼 홀더(100)에 결합되며, 드럼 홀더(100)를 승강시켜 드럼 홀더(100)의 높이를 조절하고 드럼 홀더(100)의 클램핑 동작을 작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유닛(200)은 수직레일(210), 레일 고정부재(220), 레일 지지대(230), 유압 실린더(240), 풀리(250), 체인(260), 손잡이(270)로 구성된다.
수직레일(210)은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수직레일(210)은 이동유닛(300)의 수평이동부(34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다. 수직레일(210)은 C형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수직레일(210) 사이에서 드럼 홀더(100)의 슬라이더(110)가 배치된다. C형강 형상의 내부공간에 슬라이더(110)의 롤러(113)가 삽입되어 수직레일(2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일 고정부재(220)는 한 쌍의 수직레일(2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레일(210)이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다.
레일 지지대(230)는 한 쌍의 수직레일(210)의 하부를 지지한다.
유압 실린더(240)는 한 쌍의 수직레일(210) 사이에서 레일 지지대(230)에 결합된다.
풀리(25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유압 실린더(240)의 피스톤 상부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체인(260)은 드럼 홀더(100)의 슬라이더(110), 이동유닛(300)의 수평이동부(340), 풀리(250)에 결합되며, 유압 실린더(240)의 작동에 의해 드럼 홀더(100)를 승강시킨다.
손잡이(270)는 한 쌍의 수직레일(210)에 각각 결합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유닛(30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동유닛(300)]
이동유닛(300)은 리프트유닛(200)에 결합되며, 드럼 홀더(10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300)은 캐스터프레임(310), 수직프레임(320), 수평프레임(330), 수평이동부(340)로 구성된다.
캐스터프레임(310)은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캐스터프레임(31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캐스터프레임(310)의 전방 단부에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캐스터(311)가 부착되고, 후방 단부에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회전캐스터(312)가 부착된다. 한 쌍의 캐스터프레임(310)의 간격은 파렛트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프레임(320)은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의 일단부가 한 쌍의 캐스터프레임(310)에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320)에는 작업자의 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수직프레임(320) 사이를 연결하는 손잡이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330)은 한 쌍이 구비되며,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수평프레임(330) 각각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320) 사이에 각각 결합된다. 한 개는 수직프레임(320)의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한 개는 하부의 수평프레임(33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에 배치된다. 드럼운반장치가 파렛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부에 배치된 수평프레임(330)은 파렛트 두께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이동부(340)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수평이동부(340) 각각은 한 쌍의 수평프레임(330) 각각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리프트유닛(200)의 수직레일(210)에 각각 결합된다. 수평이동부(340)는 볼베어링구조로 형성되며, 조작레버에 의해 수평프레임(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유닛(400)]
구동유닛(400)은 리프트유닛(200)에 결합되며, 리프트유닛(200)을 구동시키고 제어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400)은 리프트유닛(200)의 수직레일(210)에 결합된다. 구동유닛(400)은 리프트유닛(200)의 유압 실린더(240)를 작동시킨다. 구동유닛(400)은 유압탱크, 배터리, 유압 파워장치, 제어기,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클램핑 해제 상태에서 이동]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해제 상태에서, 연결블록(120)의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에 삽입된 핀(P)은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의 상단에 위치하고,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130)의 수평판(132)에 형성된 안내판용 수직장공(A3)에 삽입된 핀(P)은 안내판용 수직장공(A3)의 하단에 위치한다. 상부죠(140)의 후단은 탄성스프링(S)에 의해 잡아당겨져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의 하단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상부죠(140)의 전단이 상승하여 하부죠(150)의 전단으로부터 멀어져 있다.
작업자가 리프트유닛(200)의 손잡이(270)를 잡고 밀어서 드럼 홀더(100)를 드럼(D)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유닛(300)의 회전캐스터(312)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이동유닛(300)의 수평이동부(340)를 수평프레임(330)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드럼 홀더(100)의 수평 위치를 조정한다. 드럼 홀더(100)의 드럼 지지부재(170)가 드럼(D) 측면을 감싸도록 드럼 홀더(100)를 드럼(D) 쪽으로 접근시킨다.
드럼 홀더(100)의 하부죠(150)가 드럼(D)의 림(R)에 닿을 때까지 리프트유닛(200)을 상승시킨다. 드럼 홀더(100)는 드럼 홀더(100)의 하부죠(150)가 드럼(D)의 림(R)에 닿을 때까지는 리프트유닛(200)과 함께 상승한다.
[클램핑 및 리프팅]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홀더(100)의 하부죠(150)가 드럼(D)의 림(R)에 닿으면, 서로 결합된 하부죠(150), 스페이서(160), 클램핑 안내판(130)의 이동이 정지된다.
하부죠(150), 스페이서(160), 클램핑 안내판(130)이 정지된 상태에서 리프트유닛(200)이 계속 상승하면, 리프트유닛(200)에 결합된 슬라이더(110)와 슬라이더(110)에 결합된 연결블록(120)이 정지된 하부죠(150), 스페이서(160), 클램핑 안내판(130)에 대해 상승한다. 슬라이더(110)는 클램핑 안내판(130)에 형성된 안내판용 수직장공(A3)에 핀(P)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안내판용 수직장공(A3)의 길이만큼 상승할 수 있고, 연결블록(120)은 클램핑 안내판(130)에 형성된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에 핀(P)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의 길이만큼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10)와 연결블록(120)이 정지된 하부죠(150), 스페이서(160), 클램핑 안내판(130)에 대해 상승하면, 연결블록(120)에 지지된 상부죠(140)의 후단이 안내판용 원호장공(A2)을 따라서 상승한다. 이때 상부죠(140)의 후단에 연결된 탄성스프링(S)은 늘어난다. 상부죠(140)의 후단이 상승하면 상부죠(140)의 전단이 하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10)와 연결블록(120)이 상승함에 따라 안내판용 수직장공(A3)에 삽입된 핀(P)이 안내판용 수직장공(A3)의 상단으로 이동하고,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에 삽입된 핀(P)이 연결블록용 수직장공(A1)의 하단으로 이동한다. 상부죠(140)의 전단은 하강하여 하부죠(150)와 함께 드럼(D)의 림(R)을 클램핑한다.
상부죠(140)와 하부죠(150)가 드럼(D)의 림(R)을 클램핑한 상태에서는 리프트유닛(200)이 상승하더라도 연결블록(120)이 더 이상 상부죠(140)를 밀어 올릴 수 없으므로, 이때부터는 리프트유닛(200)이 상승하면 드럼(D)을 클램핑한 드럼 홀더(100) 전체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드럼(D)이 바닥으로부터 리프팅되면 리프트유닛(200)의 상승을 멈추고 손잡이(270)를 밀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다.
드럼(D)을 파렛트 위에 내리고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해서 리프트유닛(200)을 하강시킨다.
100: 드럼 홀드 110: 슬라이더
120: 연결블록 130: 클램핑 안내판
140: 상부죠 150: 하부죠
160: 스페이서 170: 드럼 지지부재
200: 리프트유닛 210: 수직레일
220: 레일 고정부재 230: 레일 지지대
240: 유압 실린더 250: 풀리
260: 체인 270: 손잡이
300: 이동유닛 310: 캐스터프레임
320: 수직프레임 330: 수평프레임
340: 수평이동부 400: 구동유닛
A1: 연결블록용 수직장공 A2: 안내판용 원호장공
A3: 안내판용 수직장공 D: 드럼

Claims (5)

  1. 리프트유닛의 승강에 의해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거나 클랭핑 해제하는 드럼 홀더;
    상기 드럼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홀더를 승강시켜 상기 드럼 홀더의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드럼 홀더의 클램핑 동작을 작동시키는 리프트유닛;
    상기 리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 홀더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리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유닛을 구동시키고 제어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홀더는,
    상기 리프트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리프트유닛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양쪽 측면에 상기 연결블록이 상대이동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블록에 지지되어 상기 연결블록의 승강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죠;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죠와 상호작용으로 상기 드럼의 림을 클램핑하는 하부죠;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드럼의 측면을 지지하는 드럼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블록용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이 상기 연결블록용 장공에 삽입된 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블록이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핑 안내판 각각은,
    상기 연결블록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지지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원호 형상의 안내용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죠의 후단이 상기 안내용 장공에 삽입된 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죠가 상기 안내용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수평판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램핑용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이 상기 클램핑용 장공에 삽입된 핀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클램핑 안내판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KR1020230006439A 2022-01-21 2023-01-17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KR202301131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414 2022-01-21
KR20220009414 2022-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60A true KR20230113160A (ko) 2023-07-28

Family

ID=8742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439A KR20230113160A (ko) 2022-01-21 2023-01-17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1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62B1 (ko) 2009-08-20 2009-12-15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062B1 (ko) 2009-08-20 2009-12-15 박영진 드럼통 운반용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KR101728739B1 (ko) 탱크 용접용 이동식 작업대
KR100940889B1 (ko)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EP0425167A1 (en) Load handling apparatus
US5372469A (en) Parcel cart for coil-shaped objects
KR102161840B1 (ko)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CN113247559A (zh) 一种重力积放链系统
KR101276052B1 (ko) 대형 압력 용기의 헤드 용접용 틸팅 장치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KR20230113160A (ko)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US7198452B2 (en) Bar stock loading table and apparatus
JP2018193187A (ja) 柱状材支持装置
KR101002615B1 (ko) 볼트랜스퍼를 이용한 운반장치
CN114572901A (zh) 物料提升装置
KR20080040838A (ko) 아파트용 유로폼 인양기
CN212050400U (zh) 辊轴搬运设备
CN110834169B (zh) 一种变压器油箱焊接用上下料装置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CN115872276A (zh) 一种铁板吊装工具及其使用方法
CN112499280A (zh) 托盘拆垛装置
JPH05149005A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JP2882637B2 (ja) 建設用揚重装置
CN107601351B (zh) 一种随行夹具转移台装置
CN219729577U (zh) 一种盘扣管料上料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