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840B1 -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840B1
KR102161840B1 KR1020190169271A KR20190169271A KR102161840B1 KR 102161840 B1 KR102161840 B1 KR 102161840B1 KR 1020190169271 A KR1020190169271 A KR 1020190169271A KR 20190169271 A KR20190169271 A KR 20190169271A KR 102161840 B1 KR102161840 B1 KR 102161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late
hook
eleva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성신메카텍(주)
김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메카텍(주), 김영춘 filed Critical 성신메카텍(주)
Priority to KR102019016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42Storage devices mechanical for elong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ectilinear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각각에 원호형상의 후크가이드가 형성되는 한 쌍의 캠플레이트와, 곡선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상기 후크가이드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캠블럭이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승강시키는 후킹실린더와, 상기 후크의 상측에 승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와 함께 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와, 상기 후킹실린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퍼를 승강시키는 클램핑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킹실린더와 후크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후킹실린더의 로드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암이 구비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후방에 걸린 상태로 거치되어 외력으로 인해 자세의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후킹실린더와 클램핑실린더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안전사고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Hooking device for transferring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봉이나 파이프 타입의 소재를 걸어 필요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화물이 보관되는 물류 창고는 효율적으로 관리될수록 물류 유통의 활성화와 재고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점에서 각 사업장뿐만 아니라, 전체 산업의 골격을 이루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물류 창고 내부에서 효율적인 화물 이송과 적재적소에의 신속한 화물 출입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은 시장 상황의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물류창고 내부에서의 화물 이송에 지게차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지게차의 경우 지게차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류창고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지게차로 화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화물이 지게차를 운전하는 작업자의 시야를 가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빠르게 화물을 분류 및 입출입 하기 위한 물류 자동 분류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나, 아직 이러한 자동 분류 시스템에 최적화된 이송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자동 분류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고자 아래 선행기술과 같이 '파이프 이송장치'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이송장치의 갠트리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피이송물인 파이프를 일정거리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파이프를 파지하여 이송장치에 올리거나, 타 공정으로 수직이동시키는 갠트리 리프트(100)로 구성된 파이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인데, 상기 갠트리 리프트는 "지지대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일측면부에 체결되며, 리프트 지지대 역할을 하며, 내부 일측면부에 후크패드(53)의 이송방향을 안내하는 후크 가이드(61)와 브라켓 핀(57)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수직가이드(63)와, 내측 측면부에 아암(52)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측면가이드(62)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유격된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위치하며, 가공물을 파지하는 한개 이상의 후크(55)를 포함하는 후크 어셈블리(50)와; 상기 후크 어셈블리(50)를 수직 왕복 운동하게 하는 후크 작동 실린더(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갠트리 리프트의 경우 원형, 봉 형태 및 가공물을 쉽게 파지하거나 이송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해 작업속도가 매우 빠르고 작업효율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후크가 이송물 아래로 삽입되어 파지하므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파이프 구경에 구애없이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갠트리 리프트의 경우 후크가이드와 측면가이드 및 수직가이드가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원활한 작동을 보장하기 어려웠다.
그리고 장비에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질 때 장비를 스탑시킬 수 있는 안전수단이 없었다. 그래서 장비에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또 갠트리 리프트 자체는 이동이 불가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소재를 이송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94604(2015.2.27.)"파이프 이송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4398(2005.10.20.)"갠트리로봇 이송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크의 작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하나의 후크가이드만 형성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장비에 갑작스럽게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사고방지수단이 구비된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좁은 공간에서 수평이송,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소재를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각각에 원호형상의 후크가이드가 형성되는 한 쌍의 캠플레이트와, 곡선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상기 후크가이드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캠블럭이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승강시키는 후킹실린더와, 상기 후크의 상측에 승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와 함께 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와, 상기 후킹실린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퍼를 승강시키는 클램핑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킹실린더와 후크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후킹실린더의 로드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암이 구비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후방에 걸린 상태로 거치되어 외력으로 인해 자세의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후킹실린더와 클램핑실린더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안전사고방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사고방지수단은, 상기 캠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고 하단에 걸림홀이 형성되는 백플레이트와,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캠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의 후방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상단 양측에 장공 형상의 거치홀이 형성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거치홀에 삽입, 거치되는 거치바와,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 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바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면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근접센서에 근접 배치되는 센서도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각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는 하부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수평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라이더블록이 이격 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는 각각 락킹핀이 구비된 락킹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기 조절홀에 락킹시킴으로써 두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열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지지대의 상단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상기 승강수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더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이송지지바와, 상기 이송지지바에 각각 배설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되어 수평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지지바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이송랙과, 상기 이송랙에 연동되는 이송피니언과,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수직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승강지지대와, 상기 승강지지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상단을 둘러싸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승강레일에 안착되는 승강슬라이더가 부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승강랙과, 상기 승강랙에 연동되는 승강피니언과, 상기 승강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승강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베어링과, 상기 하단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지지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이송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후크가이드 1개와 링크암만으로 정확하게 후크를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의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안전사고방지수단이 구비되므로 장비에 갑작스럽게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좁은 공간에서 수평이송,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소재를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고, 공간활용성이 매우 높다.
도 1은 종래 파이프 이송장치의 갠트리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사고방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세부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긴 봉 형상이나 파이프 형상의 소재를 거치 또는 파지하여 필요한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지지플레이트(10), 캠플레이트(20), 후크(30), 후킹실린더(40), 클램퍼(50), 클램핑실린더(60), 링크암(70) 및 안전사고방지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지플레이트(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상기 캠플레이트(20), 후크(30), 후킹실린더(40), 클램퍼(50), 클램핑실린더(60), 링크암(70) 및 안전사고방지수단(80)이 모두 설치되도록 지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캠플레이트(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면의 양단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구성이다.
상기 캠플레이트(20)는 한 쌍이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각각에 원호형상의 후크가이드(21)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가이드(21)는 장공(long hole) 형상이거나 장홈(long groove)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캠플레이트(20)에 형성되는 각 후크가이드(21)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후크(30)의 작동 경로를 안내한다.
참고로 상기 캠플레이트(20)는 상기 후킹실린더(40)와 후크(30)를 내부에 수용해야 하므로 상기 후킹실린더(40)와 후크(30)의 길이를 합친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후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또는 원호형상의 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크(30)는 실제 소재의 하부를 거치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오목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30)의 양측면에는 캠블럭(31)이 형성된다. 상기 캠블럭(31)은 상기 후크(30)의 양측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후크가이드(21)에 맞춤,삽입된다.
이때, 상기 캠블럭(31)의 곡률은 상기 후크가이드(21)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서 상기 캠블럭(31)이 상기 후크가이드(21)의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후크(30)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패드(32)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32)는 플렉시블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재가 손상없이 안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후킹실린더(40)는 상기 후크(30)의 상측에 위치하고 로드(42)가 상기 후크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몸체(41)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종래에는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몸체(41)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몸체(41)는 스윙이 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로드(42)와 상기 후크(30)는 바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상기 링크암(7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암(70)은 대략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로드(42)와 결합,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후크(3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로드(42)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링크암(70)도 전진하고 상기 링크암(70)에 연결된 상기 후크(30)가 하강하는데, 하강하는 상기 후크(30)는 캠블럭(31)이 상기 후크가이드(2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후크가이드(21)의 경로를 따라 원호의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후크(30)의 단부는 하강하면서 상기 캠플레이트(20)의 전방으로 돌출하게 되어 소재를 거치하기 용이한 자세를 취한다.
이때,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로드(42)도 상기 후크가이드(21)의 궤적을 따라가므로 몸체(41)는 스윙하게 된다.
종래에는 3개의 가이드(후크가이드, 측면가이드, 수직가이드)가 형성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졌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 후크가이드(21)만으로 상기 후크(30)를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클램퍼(50) 및 클램핑실린더(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클램퍼(50)는 상기 후크(30)가 전방으로 돌출되었을 때 상기 후크(30)의 상측에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클램퍼(50)는 상기 후크(30)에 거치 또는 파지된 소재나 가공물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부면에 'V'형상의 가압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램퍼(50)는 클램핑실린더(60)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상기 클램핑실린더(60)는 상기 후킹실린더(40)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기 클램핑실린더(60)의 로드(62)가 상기 클램퍼(50)와 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후킹실린더(40)와 클램핑실린더(60)를 지지하기 위한 실린더받침대(22)가 상기 캠플레이트(20) 사이에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사항인 안전사고방지수단(8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사고방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안전사고방지수단(80)은 예기치 못하거나 갑작스런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과 같은 외력이 장비에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자 모든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안전사고방지수단(80)은 크게 백플레이트(81), 커버프레임(82), 거치바(83), 걸림바(84), 근접센서(85), 센서도그(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81)는 상기 캠플레이트(20)와 비슷한 길이를 가지는 평판 형상의 구성으로서, 상기 캠플레이트(2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후크(30)와 후킹실린더(4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캠플레이트(20)의 하단에는 관통된 걸림홀(8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82)은 양단이 절곡되어 횡단면이 대략 'ㄷ'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플레이트(20) 및 백플레이트(81)의 후방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프레임(82)의 상단에 절곡된 양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거치홀(82a)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홀(82a)은 상협하광(上挾下廣), 다시 말해서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형상의 홀이다.
또 상기 거치홀(82a)에 대응하여 상기 백플레이트(81)의 상부에는 거치바(83)가 결합된다.
상기 거치바(83)는 상기 백플레이트(81)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거치홀(82a)에 각각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거치바(83)의 단부는 단이 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바(83)의 폭은 상기 거치홀(82a)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홀(82a)을 통과하지 않으나, 상기 거치바(83)의 단부에 형성된 단부의 폭은 상기 거치홀(82a)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관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82)의 하부에는 걸림바(84)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바(84)는 상기 커버프레임(8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플레이트(81)의 걸림홀(81a)에 삽입된 상태로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프레임(82)은 상단이 상기 거치바(83)에 거치되고, 하단이 상기 걸림홀(81a)에 걸린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백플레이트(81)의 하부에는 근접센서(85)가 설치된다. 상기 근접센서(85)는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거나 근접한 물체가 멀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서 기계적 접촉없이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자기형, 고주파발진형, 차동코일형, 정전용량형, 적외선형 등 공지된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프레임(82)의 내측면에 센서도그(86)가 부착, 구비된다.
상기 센서도그(86)는 대략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이 상기 커버프레임(82)에 부착되고 타측의 단부는 상기 근접센서(85)의 상측에 아주 근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프레임(82)의 자세가 변하여 상기 센서도그(86)와 근접센서(85)가 일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상기 후킹실린더(40)나 클램핑실린더(60)와 같은 장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여기서, 커버프레임은 외력에 의해 자세가 변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후킹실린더(40)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링크암(70)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링크암(7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캠블럭(31)은 힘을 받아 상기 후크가이드(21)의 궤적을 따라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캠블럭(31)의 이동에 의해 상기 후크(30)도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는데, 상기 캠블럭(31)이 맨 하단에 이르면 상기 후크(30)의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재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클램핑실린더(60)의 로드(42)가 전진하면 상기 클램퍼(50)가 하강하여 소재를 클램핑하게 된다. 즉, 상기 후크(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소재를 상기 클램퍼(50)가 가압하면서 소재는 상기 후크(30)와 클램퍼(50) 사이에 수용되어 클램핑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으로 인해 상기 커버프레임(82)의 자세가 변경되면 상기 센서도그(86)와 근접센서(85)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되어 감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후킹실린더(40), 클램핑실린더(60)를 포함한 장비 전체의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술한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가 동일한 것이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 장치는 서로 수평이동 가능하여 간격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지지플레이트(10)의 상측에는 각각 슬라이딩플레이트(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는 마치 썰매와 같이 하부면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91)이 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록(11)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블록(11)은 상기 가이드레일(91)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이 이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0)는 각각 좌우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즉, 각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는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할 수 있다.
또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조절홀(9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락킹플레이트(12)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락킹플레이트(12)에는 락킹핀(1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핀(13)은 전후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락킹핀(13)을 전진시켜 상기 조절홀(92)에 삽입되게 한 후 고정함으로써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간격이 고정된다.
만일,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락킹핀(13)을 다른 조절홀(92)에 삽입시킨 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락킹핀(13)을 고정하는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에 달린 한 쌍의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전체를 수평이송,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먼저, 수평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이송수단(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수평이송수단(100)은 이송지지바(110), 이송레일(120), 이송플레이트(130), 이송랙(140), 이송피니언(150), 이송모터(16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지지바(110)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의 상측에 한 쌍이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지지바(110)의 상부면에 각각 이송레일(120)이 배설된다.
또 상기 이송레일(120)의 상부에는 이송플레이트(130)가 안착되어 상기 이송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된다. 상기 이송플레이트(130)의 하부면에는 이송슬라이더(131)가 부착되고 상기 이송슬라이더(131)가 상기 이송레일(120)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이송지지바(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는 이송랙(14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이송랙(140)에는 이송피니언(150)이 연동되어 회전 구동된다.
상기 이송피니언(150)은 이송모터(160)에 의해 구동되는데, 상기 이송모터(16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모터(160)가 이송피니언(150)을 정회전시키면, 상기 이송피니언(150)이 회전하고, 상기 이송피니언(150)이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랙(140)을 따라 회전 이동하므로 상기 이송플레이트(130)는 상기 이송레일(120)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즉, 상기 이송플레이트(130)와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전체가 수평 이송된다.
만일, 상기 이송모터(160)가 상기 이송피니언(150)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이송플레이트(130)는 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하로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크게, 승강지지대(210), 승강레일(220), 승강프레임(230), 승강랙(240), 승강피니언(250) 및 승강모터(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지지대(210)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입설된다. 이때, 상기 승강지지대(21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며,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지대(210)의 양측면에는 승강레일(220)이 부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는 승강프레임(230)이 결합, 고정된다.
상기 승강프레임(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지지대(210)의 상단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내측면에 승강슬라이더(231)가 부착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231)는 상기 승강레일(220)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 승강지지대(210)의 일측면에는 승강랙이 수직으로 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랙(240)도 상기 이송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또 상기 승강랙(240)에는 승강피니언(250)이 연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피니언(250)은 승강모터(26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상기 승강모터(26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130)에 설치되고 모터축에 상기 승강피니언(250)이 축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260)의 구동으로 상기 승강피니언(250)이 정회전하면 상기 승강피니언(250)에 연동된 상기 승강랙(240)이 상승하고 상기 승강랙(240)이 상승함으로써 상기 승강지지대(210) 및 상기 승강지지대(210)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가 상승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에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전체가 상승하게 된다.
만일, 상기 승강모터(260)가 상기 승강피니언(250)을 역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는 하강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수단(300)은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크게 회전베어링(310), 회전축(320), 회전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어링(310)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와 승강지지대(2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대(210)에 대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에는 상기 회전축(320)의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20)이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320)은 중공형상의 상기 승강지지대(210)를 관통하여 상단이 상기 승강지지대(2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된 상기 회전축(320)의 상단에는 회전기어(34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기어(340)는 회전모터(330)가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3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도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90)에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지지플레이트 11 : 슬라이더블록
12 : 락킹플레이트 13 : 락킹핀
20 : 캠플레이트
21 : 후크가이드 22 : 실린더받침대
30 : 후크
31 : 캠블럭 32 : 패드
40 : 후킹실린더
41 : 몸체 42 : 로드
50 : 클램퍼 51 : 가압홈
60 : 클램핑실린더
61 : 몸체 62 : 로드
70 : 링크암
80 : 안전사고방지수단
81 : 백플레이트 81a : 걸림홀
82 : 커버프레임 82a : 거치홀
83 : 거치바 84 : 걸림바
85 : 근접센서 86 : 센서도그
90 : 슬라이딩플레이트
91 : 가이드레일 92 : 조절홀
100 : 수평이송수단 110 : 이송지지바
120 : 이송레일 130 : 이송플레이트
131 : 이송슬라이더 140 : 이송랙
150 : 이송피니언 160 : 이송모터
200 : 승강수단 210 : 승강지지대
220 : 승강레일 230 : 승강프레임
231 : 승강슬라이더 240 : 승강랙
250 : 승강피니언 260 : 승강모터
300 : 회전수단
310 : 회전베어링 320 : 회전축
330 : 회전모터 340 : 회전기어
s : 소재

Claims (7)

  1.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수직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각각에 원호형상의 후크가이드가 형성되는 한 쌍의 캠플레이트와, 곡선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상기 후크가이드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캠블럭이 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를 승강시키는 후킹실린더와, 상기 후크의 상측에 승강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후크와 함께 소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퍼와, 상기 후킹실린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클램퍼를 승강시키는 클램핑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킹실린더와 후크 사이에는 일단이 상기 후킹실린더의 로드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크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암이 구비되고, 상기 캠플레이트의 후방에 걸린 상태로 거치되어 외력으로 인해 자세의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후킹실린더와 클램핑실린더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안전사고방지수단이 더 구비되되,
    상기 안전사고방지수단은,
    상기 캠플레이트 사이에 결합되고 하단에 걸림홀이 형성되는 백플레이트와,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캠플레이트 및 백플레이트의 후방을 감싸면서 배치되고 상단 양측에 장공 형상의 거치홀이 형성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백플레이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결합되고 양단이 상기 거치홀에 삽입, 거치되는 거치바와,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부 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바와, 상기 백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상기 커버프레임의 내면에 돌출, 결합되고 상기 근접센서에 근접 배치되는 센서도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각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는 하부면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수평 배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라이더블록이 이격 고정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는 각각 락킹핀이 구비된 락킹플레이트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락킹핀을 상기 조절홀에 락킹시킴으로써 두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열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수평이송수단과,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지지대의 상단이 상기 이송플레이트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상기 승강수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측에 수평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이송지지바와, 상기 이송지지바에 각각 배설되는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레일에 안착되어 수평 이송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지지바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이송랙과, 상기 이송랙에 연동되는 이송피니언과,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수직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승강지지대와, 상기 승강지지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승강레일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상단을 둘러싸면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승강레일에 안착되는 승강슬라이더가 부착된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지지대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승강랙과, 상기 승강랙에 연동되는 승강피니언과, 상기 승강피니언을 회전 구동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승강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베어링과, 상기 하단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승강지지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이송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KR1020190169271A 2019-12-17 2019-12-17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KR102161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1A KR102161840B1 (ko) 2019-12-17 2019-12-17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271A KR102161840B1 (ko) 2019-12-17 2019-12-17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840B1 true KR102161840B1 (ko) 2020-10-05

Family

ID=7280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271A KR102161840B1 (ko) 2019-12-17 2019-12-17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8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8274A (zh) * 2021-05-10 2021-06-18 青海省水利水电工程局有限责任公司 一种斜槽钢管滑动控制装置
CN114227726A (zh) * 2021-11-29 2022-03-25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沟盖板抓取夹具
CN115258661A (zh) * 2022-07-29 2022-11-01 珠海恒格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抓手装置及其物料移送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398B1 (ko) 2002-11-21 2005-10-28 조창제 갠트리로봇 이송장치
KR20100008534A (ko) * 2008-07-16 2010-01-26 안정선 운반기구의 안전장치
KR101494604B1 (ko) 2013-07-19 2015-03-09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398B1 (ko) 2002-11-21 2005-10-28 조창제 갠트리로봇 이송장치
KR20100008534A (ko) * 2008-07-16 2010-01-26 안정선 운반기구의 안전장치
KR101494604B1 (ko) 2013-07-19 2015-03-09 에스에스에이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8274A (zh) * 2021-05-10 2021-06-18 青海省水利水电工程局有限责任公司 一种斜槽钢管滑动控制装置
CN114227726A (zh) * 2021-11-29 2022-03-25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沟盖板抓取夹具
CN114227726B (zh) * 2021-11-29 2023-12-19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沟盖板抓取夹具
CN115258661A (zh) * 2022-07-29 2022-11-01 珠海恒格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抓手装置及其物料移送系统
CN115258661B (zh) * 2022-07-29 2024-03-19 珠海恒格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抓手装置及其物料移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840B1 (ko) 소재 이송용 후킹장치
JP5234328B2 (ja) 物品収納設備
US20100172729A1 (en) Device for handling a load such as a sheet iron coil
CN113247559A (zh) 一种重力积放链系统
CN108724150B (zh) 机器人装置
CA2297631C (en) A vertical lift having an actuator capable of combined latch actuation and carrier movement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101404636B1 (ko) 그립퍼장치의 수직 승하강이 가능한 양팔 회전암 타입 소재이송용 갠트리장치
JPH1045210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KR100977722B1 (ko) 적재기
JPH085935Y2 (ja) 重量物昇降装置の吊持鋼索部材のたるみ取り構造とこれを利用した重量物搬送車
JP4427740B2 (ja) 物品搬送装置
JPH0356230B2 (ko)
JPH06298483A (ja) 搬送装置
JP3593588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およびこのスタッカクレーンを用いた自動倉庫
JP3761012B2 (ja) 物品保管設備
JPH0649540Y2 (ja) 物品の搬送装置
JP3786346B2 (ja) スリーウェイスタッカクレーンを備えた自動倉庫
JPH0630351Y2 (ja) 部品組付け装置
JPH0623938U (ja) タイヤのハンガー装置
JP4716403B2 (ja) 移載装置
KR20230113160A (ko)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JP2003002409A (ja) 自動倉庫
JPH0624519A (ja) 重量物搬送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