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373A -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 Google Patents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373A
KR20170117373A KR1020177017676A KR20177017676A KR20170117373A KR 20170117373 A KR20170117373 A KR 20170117373A KR 1020177017676 A KR1020177017676 A KR 1020177017676A KR 20177017676 A KR20177017676 A KR 20177017676A KR 20170117373 A KR20170117373 A KR 2017011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metal plate
shaft
pad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468B1 (ko
Inventor
미노루 타시로
마코토 타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분리
Publication of KR2017011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4/44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iltering bands, e.g. movable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pervious for filtering with endless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여과 장치의 컨베이어(13)를 구동하는 체인 구동부(14)에, 실질적으로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축 본체(60)와, 한 쌍의 금속판 스프로켓(61, 62)과, 용접 비드로 이루어지는 제 1 패딩부(71) 및 제 2 패딩부(72)를 갖추고 있다. 제 1 패딩부(71)는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양측면(61b, 61c)과 축 본체(60)가 이루는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패딩부(71)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패딩부(72)는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양측면(62b, 62c)과 축 본체(60)가 이루는 각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2 패딩부(72)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축 본체(60)에 입력된 토크는 패딩부(71, 72)를 통하여 금속판 스프로켓(61, 62)에 전달된다.

Description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DRIVE SHAFT WITH DIRECT-MOUNTED SPROCKETS FOR FILT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여과 장치의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부에 사용되는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 중에 포함되는 금속 혹은 비금속의 미립자나 절삭 부스러기, 혹은 슬러지 등의 제거 대상물을 제거하여 액을 정화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여과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여과 장치는, 여과조와, 스크레이퍼 콘베이어 등을 갖추고 있다. 스크레이퍼 콘베이어는 한 쌍의 체인과, 체인에 소정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스크레이퍼를 가지고 있다. 체인은 각각, 체인 구동부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된다. 스프로켓은 구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여과 장치에 사용되고 있던 표준 스프로켓은, 주조 혹은 단조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표준 스프로켓은 치부(齒部)를 가지는 스프로켓 본체부와, 스프로켓 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보스부를 가지고 있다. 이 보스부에 구동축이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스프로켓의 보스부의 내면과 구동축에는, 각각 키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키 홈에 삽입된 키를 통하여 토크가 전달된다. 또한 종래의 구동축에는, 스냅링을 결합시키기 위한 스냅링 홈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 스냅링 홈에, 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지는 C형 스냅링을 결합시킴에 의해, 구동축에 대한 스프로켓의 축선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2904334호 공보 일본 특허 제3389126호 공보 일본 특허 제4830043호 공보
종래의 구동축은 스냅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가 파손의 기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스냅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의 직경이 실질적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유효직경이 된다. 이 때문에, 스냅링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축은, 입력할 수 있는 토크의 크기가 스냅링 홈에 의해 제약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는 스프로켓의 보스부의 내면과 구동축에 각각 키 홈이 필요하며, 게다가 구동축에 스냅링 홈이 필요한 등, 기계 가공에 필요로 하는 수고가 많다. 또한, 구동축이나 스프로켓 이외에 키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은 등, 대단히 비경제적이고, 여과 장치의 비용에 영향을 주고 있다.
종래와 같이 키와 스냅링에 의해 스프로켓이 구동축에 고정되는 경우, 신품일 때는 구동축과 스프로켓과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없다. 그러나 장치가 사용됨에 따라서, 점차 키와 키 홈과의 결합부 혹은 스냅링과 스냅링 홈과의 결합부가 마모된다. 결합부가 마모되면, 구동축과 스프로켓과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생겨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이 된다. 또한 체인 구동부를 조립할 때에, 공구를 사용하여 스냅링을 넓히면서 스냅링 홈에 결합시키는 작업도 간단하지 않다. 만약 작업 중에 잘못하여 스냅링을 여과조 내에 떨어뜨려 버리면, 스냅링을 찾아 회수하기 위해서 적지 않은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토크에 견딜 수 있고, 튼튼하고 경제 효과가 큰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여과 장치의 체인 구동부에 사용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으로서, 외경이 일정한 원주형의 스트레이트부와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에 모터의 토크가 입력되는 축 본체와, 상기 축 본체의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상기 제 1 단부 부근의 위치에 배치된 제 1 금속판 스프로켓과, 상기 축 본체의 상기 스트레이트부의 상기 제 2 단부 부근의 위치에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 2 금속판 스프로켓과, 제 1패딩부와, 제 2 패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은, 제 1 치부와 양측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 금속판 스프로켓은, 상기 제 1 치부와 동일한 치 수로 또한 상기 제 1 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치부와 양측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패딩부는,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의 상기 양측면과 상기 축 본체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된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패딩부는, 상기 제 2 금속판 스프로켓의 상기 양측면과 상기 축 본체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된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 본체의 상기 제 1 단부에 모터 유니트의 출력축과 결합하기 위한 키를 삽입하는 키 홈이 그 축 본체의 축선을 따라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치부와 상기 제 2 치부의 위치가 상기 키 홈을 따르는 선상에서 서로 일치하며,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이 상기 제 1 패딩부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트부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2 금속판 스프로켓이 상기 제 2 패딩부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트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딩부와 제 2 패딩부가 각각 상기 축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패딩부와 제 2 패딩부가, 서로 상기 축 본체의 원주 방향의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축 본체는, 상기 제 1 패딩부와 상기 제 2 패딩부와의 사이의 전장에 걸쳐서 외경이 일정한 스트레이트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치부와 상기 제 2 치부의 두께가, 각각에 맞물리는 체인 링크의 내폭의 절반 이하라도 좋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에 따르면, 종래의 구동축에 형성되어 있던 스냅링 홈이 불필요하고, 구동축이 꺽이는 원인의 하나(스냅링 홈)가 없어졌다. 이에 의해, 종래의 구동축과 동등 이하의 직경의 축 본체를 이용하여, 종래와 동등 이상의 토크를 스프로켓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은, 스프로켓을 고정하기 위한 키 홈이나 스냅링 홈이 불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구동축과 비교해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수도 적은 등, 경제 효과가 크다.
종래의 구동축은 키 홈에 삽입된 키를 통하여 토크를 스프로켓에 전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키와 키 홈과의 결합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덜거덕거림이 생기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은, 축 본체와 각 스프로켓을 결합하는 패딩부를 통하여, 토크가 구동축부터 스프로켓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축 본체와 스프로켓과의 사이에 덜거덕거림이 생길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지관리가 불필요하면서, 진동이나 소음의 원인을 줄일 수가 있다.
도 1은 여과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F2-F2선에 따른 여과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하나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을 갖춘 체인 구동부를 분해한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의 일부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F6-F6선에 따른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의 단면도.
이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을 갖춘 여과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액(Q1)중의 제거 대상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 장치(10)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여과 장치(10)의 일 예는 여과해야 할 액(Q1)을 수용하는 여과조(11)와, 여과조(11)에 배치된 컨베이어(13)와, 컨베이어(13)을 구동하는 체인 구동부(14) 등을 가지고 있다.
여과조(11)의 단부에 긁어올림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긁어올림부(25)는 여과조(11)의 액면(Q3)의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여과조(11)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긁어올림부(25)의 상단에 배출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부(26)는, 액면(Q3)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배출부(26)의 근방에,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체인 구동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13)는 여과조(11)의 저부(11a)로부터, 긁어올림부(25) 및 배출부(26)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13)는 한 쌍의 체인(31, 32)과, 체인(31, 32)에 설치된 복수의 스크레이퍼(33)를 가지고 있다. 스크레이퍼(33)는 체인(31, 32)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체인(31, 32)은 여과조(11)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5, 36)(도 2에 나타냄)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컨베이어(13)는 체인 구동부(14)에 의해, 도 1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컨베이어(13)는, 저부(11a)를 따라서 이동하는 하측 부분(13a)과, 하측 부분(13a)의 상방에서 하측 부분(13a)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측 부분(13b)을 포함하고 있다.
체인 구동부(14)는 체인(31, 32)을 구동하기 위한 토크를 발생하는 감속기 장착 모터 유니트(40)(도 1에 나타냄)를 갖추고 있다. 도 3은 체인 구동부(14)의 일부를 분해한 단면도이다. 체인 구동부(14)는 한 쌍의 베어링(41, 42)과, 커버(43)와,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 등을 포함하고 있다.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축 본체(60)와,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과,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를 갖추고 있다.
체인 구동부(14)의 커버(43)는 한 쌍의 측판(43a, 43b)과, 상판(43c)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측판(43a)에, 제 1 베어링(41)이 볼트(4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베어링(41)은 축 본체(60)의 제 1 단부(60a) 부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커버(43)의 제 2 측판(43b)에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을 수평 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크기의 개구(5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0)의 내경은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의 외경보다 크다. 개구(50)는 뚜껑(51)에 의해 막혀진다. 뚜껑(51)에 제 2 베어링(42)이 볼트(52)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뚜껑(51)은 볼트(53)에 의해 제 2 측판(43b)에 고정된다. 제 2 베어링(42)은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의 축 본체(60)의 제 2 단부(60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개구(50)를 통해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을 커버(43)에 삽입하고, 축 본체(60)의 제 1 단부(60a)를 제 1 베어링(41)에 삽입한다. 게다가 축 본체(60)의 제 2 단부(60b)에 제 2 베어링(42)을 결합시키는 것과 함께, 뚜껑(51)을 볼트(53)에 의해 제 2 측판(43b)에 고정한다.
도 4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축 본체(60)와,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과, 복수의 제 1 패딩부(71)와, 복수의 제 2 패딩부(72)를 포함하고 있다. 축 본체(60)는 곧은 금속봉으로 이루어진다.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은 각각 두께가 예를 들면 6 mm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축 본체(60)는 모터의 토크가 입력되는 제 1 단부(60a)와, 제 1 단부(60a)와는 반대측의 제 2 단부(60b)를 가지고 있다. 이 축 본체(60)는, 원주형의 스트레이트부(60c)를 포함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부(60c)는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를 포함한 영역의 전장에 걸쳐서 외경이 일정하다. 이 스트레이트부(60c)에는, 종래의 구동축의 스프로켓 장착부에서 볼 수 있는 것 같은 키 홈이나 스냅링 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60c)의 외경은 모터 유니트(40)의 토크를 전달하는 유효직경이 된다.
축 본체(60)의 제 1 단부(60a)에 모터 유니트(40)의 토크(모터의 토크)가 입력된다. 이 때문에 제 1 단부(60a)에는, 모터 유니트(40)에 내장된 중공의 출력축과 결합하기 위해서, 키가 삽입되는 키 홈(60d)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키 홈(60d)은 축 본체(60)의 축선(X1)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은 축 본체(60)의 스트레이트부(60c)의 전장 중에 제 1 단부(60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은 제 1 치부(61a)와, 양측면(61b, 61c)을 가지고 있다.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축 본체(60)의 스트레이트부(60c)의 전장 중에 제 2 단부(60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제 2 치부(62a)와, 양측면(62b, 62c)을 가지고 있다. 제 2 치부(62a)의 치 수(齒數)는 제 1 치부(61a)의 치 수와 같다. 따라서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의 외경은 서로 동일하다.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치부(61a)의 위치(회전 방향의 위치)와,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치부(62a)의 위치(회전 방향의 위치)는, 축선(X1)을 따르는 선(L1), 즉 키 홈(60d)을 따르는 선(L1)상에서 서로 일치하고 있다.
축 본체(60)와,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서로 공통의 화학 성분의 기계 구조용 탄소강(예를 들면 JIS에 준거하는 S45C)으로 이루어진다. S45C의 화학 성분(중량%)은 C:0.42-0.48, Si:0.15-0.35, Mn:0.60-0.90, P:0.030 이하, S:0.035 이하, 나머지가 Fe이다.
제 1 패딩부(71)는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진다. 제 1 패딩부(71)는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양측면(61b, 61c)과 축 본체(60)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1 패딩부(71)를 대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패딩부(71)는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한 쪽의 측면(61b)과 다른 쪽의 측면(61c)에, 각각 2개소씩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1 패딩부(71)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한 쪽의 측면(61b)과 다른 쪽의 측면(61c)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패딩부(71)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90도씩, 서로 엇갈리게 위치를 바꾸어 동일 피치로 합계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패딩부(72)는 제 1 패딩부(7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패딩부(72)는 제 1 패딩부(71)과 동일하게,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진다. 제 2 패딩부(72)는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양측면(62b, 62c)과 축 본체(60)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패딩부(72)는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한 쪽의 측면(62b)과 다른 쪽의 측면(62c)에, 각각 2개소씩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 2 패딩부(72)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한 쪽의 측면(62b)과 다른 쪽의 측면(62c)에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패딩부(72)는 제 1 패딩부(71)와 동일하게,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90도씩, 서로 엇갈리게 위치를 바꾸어 동일 피치로 합계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은 제 1 패딩부(71)에 의해 축 본체(60)의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은 제 2 패딩부(72)에 의해 축 본체(60)의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을 축 본체(60)에 아크 용접할 때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치부(61a)의 위치와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치부(62a)의 위치가, 키 홈(60d)을 따르는 선(L1)상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지그에 의해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치부(61a)와 제 2 치부(62a)의 각각의 이빨의 위치(축 본체(60)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서로 일치시킨다. 즉 제 1 치부(61a)와 제 2 치부(62a)의 위치를, 키 홈(60d)을 따르는 선(L1)상에서 서로 일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이 제 1 패딩부(71)에 의해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되고, 또한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이 제 2 패딩부(72)에 의해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된다.
도 6에 나타난 제 1 패딩부(71)의 일 예에서는,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각 패딩부(71)가 각각, 원주 방향으로 90도보다도 약간 긴 각도 범위(θ)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패딩부(71)의 원주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서로 겹쳐 있다. 제 2 패딩부(72)도 마찬가지로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각 패딩부(72)가 각각, 원주 방향으로 90도보다도 약간 긴 각도 범위(θ)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패딩부(72)의 원주 방향의 단부의 위치가 서로 겹쳐 있다. 게다가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는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응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의 형상이나 위치의 편차를, 눈으로 보고 비교적 용이하게 관리할 수가 있다.
제 1 패딩부(71)는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스프로켓(61)의 양측면(61b, 61c)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패딩부(72)도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스프로켓(62)의 양측면(62b, 62c)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 본체(60)의 축선(X1)(도 3, 도 4, 도 5에 나타냄)에 대한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의 수직도(α)가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축 본체(60)에 입력된 모터 유니트(40)의 토크는 제 1 및 제 2 패딩부(71, 72)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1, 62)에 전달된다. 제 1 및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1, 62)에 축 본체(60)와 일체로 회전함에 의해, 체인(31, 32)이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에 의하면, 축 본체(60)에 종래의 구동축과 같은 스프로켓 설치용의 키 홈과 스냅링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축 본체(60)의 스트레이트부(60c)에 파손의 기점이 되는 것 같은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축 본체(60)는 입력되는 토크에 대해서 큰 강도를 발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축보다도 직경이 작은 축 본체(60)로도 큰 출력의 모터의 토크에 견딜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구동축과 같은 스프로켓 설치용의 키 홈과 스냅링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이들 홈의 가공에 필요로 하는 수고 및 설비가 생략되어 경제 효과가 크다.
종래의 구동축의 스프로켓 장착부는 키와 키 홈과의 결합부에 덜거덕거림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그러한 부분(키와 키 홈과의 결합부)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제 1 치부(61a)와 제 2 치부(62a)의 위치가 완전하게 갖추어진 상태에서,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이 서로 동기하여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실질적으로 유지관리가 불필요하면서, 컨베이어(13)의 진동이나 소음도 작게 할 수가 있다.
체인(31, 32)의 구성 요소인 체인 링크(31a, 32a)의 각각의 내폭(W1)(도 3에 한 쪽을 나타냄)의 일 예는, 12.7 mm이다. 종래의 표준적인 스프로켓은, 스프로켓의 치부의 두께가 11.9 mm이며, 체인 링크의 내면과 치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종래는 체인 링크의 내면과 치부와의 사이에 슬러지가 축적하여, 체인의 맞물림에 악영향을 주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슬러지를 방출하기 위한 모따기부를 치부에 형성하고 있었지만, 그 때문의 기계 가공에 극히 수고가 들었었다.
이에 반하여,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의 제 1 및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1, 62)의 두께(T1)(도 3에 나타냄)의 일 예는, 6.0 mm이다. 즉 치부(61a, 62a)의 두께가 체인 링크(31a, 32a)의 각각의 내폭(W1)의 절반 이하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체인 링크(31a, 32a)의 내면과 치부(61a, 62a)의 측면과의 사이에, 슬러지를 방출하는데 충분한 틈새가 확보되어 있다.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은 종래의 치부에 형성되어 있던 슬러지 방출용의 모따기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치부(61a, 62a)에 슬러지가 축적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체인 구동부(14)의 유지관리 불필요에 한 역할을 하고 있다.
여과조(11)의 저부(11a)에 가라앉아 있는 제거 대상물(S)은 컨베이어(13)의 스크레이퍼(33)에 의해, 긁어올림부(25)를 거쳐 배출부(26)을 향해 반송된다. 컨베이어(13)의 체인(31, 32)은 체인 구동부(14)의 모터 유니트(40)가 회전 함에 의해 이동한다. 컨베이어(13)에 의해 배출부(26)에 운반된 제거 대상물(S)은 회수 박스(80)를 향해 낙하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여과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비롯하여, 체인 구동부에 배치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의 축 본체나 제 1 및 제 2 금속판 스프로켓, 패딩부의 형상이나 위치 및 수 등이 구체적인 태양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 : 여과 장치 11 : 여과조
13 : 컨베이어 14 : 체인 구동부
26 : 배출부 31, 32 : 체인
31a, 32a : 체인 링크 33 : 스크레이퍼
40 : 모터 유니트 41, 42 : 베어링
43 : 커버 55 :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60 : 축 본체 60a : 제 1단부
60b : 제 2단부 60c : 스트레이트부
61 : 제 1 금속판 스프로켓 61a : 치부
61b, 61c : 측면 62 : 제 2 금속판 스프로켓
62 a : 치부 62b, 62c : 측면
71 : 제 1패딩부 72 : 제 2 패딩부.

Claims (4)

  1. 여과 장치(10)의 체인 구동부(14)에 사용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55)으로서,
    외경이 일정한 원주형의 스트레이트부(60c)와 제 1 단부(60a)와 제 2 단부(60b)를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60a)에 모터의 토크가 입력되는 축 본체(60)와,
    상기 축 본체(60)의 상기 스트레이트부(60c)의 상기 제 1 단부(60a) 부근의 위치에 배치되며, 제 1 치부(61a) 및 양측면(61b, 61c)을 가진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상기 축 본체(60)의 상기 스트레이트부(60c)의 상기 제 2 단부(60b) 부근의 위치에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치부(61a)와 동일한 치 수로 또한 상기 제 1 치부(61a)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치부(62a) 및 양측면(62b, 62c)을 가진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과,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의 상기 양측면(61b, 61c)과 상기 축 본체(60)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된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 1 패딩부(71)와,
    상기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의 상기 양측면(62b, 62c)과 상기 축 본체(60)가 이루는 코너부에 마련된 필렛 용접의 용접 비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위치를 바꾸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 2 패딩부(72)를 가지며,
    상기 축 본체(60)의 상기 제 1 단부(60a)에 모터 유니트(40)의 출력축과 결합하기 위한 키를 삽입하는 키 홈(60d)이 그 축 본체(60)의 축선(X1)을 따라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치부(61a)와 상기 제 2 치부(62a)의 위치가 상기 키 홈(60d)을 따르는 선(L1) 상에서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 1 금속판 스프로켓(61)이 상기 제 1 패딩부(71)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제 2 금속판 스프로켓(62)이 상기 제 2 패딩부(72)에 의해 상기 스트레이트부(60c)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가 각각 상기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딩부(71)와 제 2 패딩부(72)가, 서로 상기 축 본체(60)의 원주 방향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치부(61a)와 상기 제 2 치부(62a)의 두께(T1)가, 각각 맞물리는 체인 링크(31a, 32a)의 내폭(W1)의 절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KR1020177017676A 2014-11-27 2015-10-16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KR101878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0127A JP5771733B1 (ja) 2014-11-27 2014-11-27 濾過装置のためのスプロケット直付け駆動軸
JPJP-P-2014-240127 2014-11-27
PCT/JP2015/079356 WO2016084516A1 (ja) 2014-11-27 2015-10-16 濾過装置のためのスプロケット直付け駆動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373A true KR20170117373A (ko) 2017-10-23
KR101878468B1 KR101878468B1 (ko) 2018-07-13

Family

ID=5418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676A KR101878468B1 (ko) 2014-11-27 2015-10-16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259194A1 (ko)
EP (1) EP3225882A4 (ko)
JP (1) JP5771733B1 (ko)
KR (1) KR101878468B1 (ko)
CN (1) CN107208772A (ko)
PH (1) PH12017550019A1 (ko)
SG (1) SG11201704335UA (ko)
WO (1) WO2016084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309B1 (ja) 2015-12-25 2016-10-12 株式会社ブンリ 濾過装置
DE102018113804A1 (de) * 2018-06-11 2019-12-12 Voith Patent Gmbh Scheibenfilt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1719A (en) * 1920-07-29 1921-09-27 William B Conyngham Sectional gear-wheel
US2862372A (en) * 1957-04-25 1958-12-02 Joy Mfg Co Shaft assembly
US3167175A (en) * 1961-08-14 1965-01-26 Kools Brothers Inc Self-cleaning conveyor mechanism
US3225620A (en) * 1962-10-05 1965-12-28 Dubin Sol Multiple ratio steering system
US3461738A (en) * 1968-02-07 1969-08-19 Pandjiris Weldment Co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3483766A (en) * 1968-10-04 1969-12-16 Textron Inc Snowmobile belt drive sprocket wheel construction
US3668944A (en) * 1970-07-29 1972-06-13 Universal Railway Devices Co Sealed non-spin hand brake arrangement
US3654814A (en) * 1970-09-08 1972-04-11 Moscow K Richmond Sprocket
US3677388A (en) * 1970-11-23 1972-07-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dular drive unit for a conveyor
JPS55124654U (ko) * 1979-02-27 1980-09-04
JPS5912701B2 (ja) * 1979-03-19 1984-03-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トの製法
JPS6033302A (ja) * 1983-08-03 1985-02-20 Nippon Piston Ring Co Ltd カムシャフトの製造方法
US5131890A (en) * 1989-04-13 1992-07-21 Envirex Inc. Reduced friction spool bea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35681A (en) * 1989-04-13 1991-07-30 Envirex Inc. Reduced friction sprocket assembly for use in corrosive environments
JPH04182074A (ja) * 1990-11-14 1992-06-29 Nkk Corp 隅肉継手の仮付方法及び仮付装置
JP2550509Y2 (ja) * 1993-08-27 1997-10-15 株式会社大同機械製作所 ドラム型クーラント液ろ過装置
US5460727A (en) * 1994-06-27 1995-10-24 Oritex Corporation Water and waste treatment systems
JP2904334B2 (ja) * 1995-02-14 1999-06-14 株式会社シスト 濾過装置
US5806658A (en) * 1996-04-29 1998-09-15 Polychem Corporation Composite non-metallic and metallic chain for water treatment systems
US6279752B1 (en) * 2000-04-14 2001-08-28 Polychem Corporation Wide rectangular clarifiers
JP2002013616A (ja) * 2000-06-30 2002-01-18 Tsubakimoto Sprocket Co 歯部を硬化した溶接構造スプロケット
US6766899B1 (en) * 2000-12-29 2004-07-27 Habasit Ag Sprocket with combined hinge/center drive
US6739678B2 (en) * 2002-07-23 2004-05-25 Caterpillar Inc Isolated idler assembly
US20040147348A1 (en) * 2003-01-24 2004-07-29 David Yiu Split sprocket drive mechanism for transmitting rotary motion of a shaft to an encoder
US9751029B2 (en) * 2012-08-09 2017-09-05 Evoqua Water Technologies Llc Headshaft
KR102003068B1 (ko) * 2012-12-26 2019-07-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스프로킷
JP6071706B2 (ja) * 2013-04-01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非常用制動装置およびエスカ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4335UA (en) 2017-06-29
WO2016084516A1 (ja) 2016-06-02
JP2016102519A (ja) 2016-06-02
US20170259194A1 (en) 2017-09-14
PH12017550019A1 (en) 2017-10-18
KR101878468B1 (ko) 2018-07-13
EP3225882A1 (en) 2017-10-04
JP5771733B1 (ja) 2015-09-02
EP3225882A4 (en) 2018-08-01
CN107208772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468B1 (ko) 여과 장치를 위한 스프로켓 직접 장착 구동축
DE112013002152B4 (de) Synchrones, statisch unbestimmtes Maschenbalkenanregungs-Großschwingsieb
US10981728B2 (en) Chain conveyor
JP2002031214A (ja) 汚泥掻寄機のスプロケット、チェーンおよび掻寄板送り装置
JP2008143631A (ja) チェーンコンベヤ
JP5789313B2 (ja) 建設機械のためのドライブシャフトモジュール
CN102265065A (zh) 齿轮和滚筒驱动装置
JP4687896B2 (ja) 汚泥濃縮装置
US9862546B2 (en) Chain drive for link chains of mining conveyors or mining extraction machines
EP2347148B1 (de) Zahnrad und trommelantrieb
JP6451526B2 (ja) チェーンの駆動に用いるスプロケット
JP2010202027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JP2010202098A (ja) 搬送台車の駆動装置
JP2009090311A (ja) 圧延ロール
CN203453318U (zh) 鼓形滚柱式联轴器
KR100612966B1 (ko) 컨베이어용 스프로켓
CN105422661A (zh) 十字轴式万向联轴器
JP5513478B2 (ja) 付着物除去装置
JP2015214387A (ja) コンベヤ装置
CN210417994U (zh) 一种带止偏结构的双孔板链
CN218627765U (zh) 一种用于管材坯料装料机驱动装置的可拆卸箱体
JP5591750B2 (ja) 汚泥掻寄機
KR102347930B1 (ko) 체인 커플링장치
CN104196908A (zh) 用于推钢机的万向轴
JP3166072U (ja) スラット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