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126A -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126A
KR20170116126A KR1020177025479A KR20177025479A KR20170116126A KR 20170116126 A KR20170116126 A KR 20170116126A KR 1020177025479 A KR1020177025479 A KR 1020177025479A KR 20177025479 A KR20177025479 A KR 20177025479A KR 20170116126 A KR20170116126 A KR 2017011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queous
heating
cor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789B1 (ko
Inventor
다이스케 이타노
히로시 아사이
고지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7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using an electrical resistance as hea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된 성능을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해충 방제 제품을 제공한다.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2㎜Hg인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 비점이 150∼30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과, 물을 함유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증산시키기 위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해충 방제 제품으로서, 수성 처방액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40 질량% 수용액으로 하고, 유성 처방액을 탄소수 14의 유동 파라핀으로 하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하부를 수성 처방액 또는 유성 처방액에 각각 침지한 경우에 있어서, 수성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승하는 속도(V1) 및 유성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승하는 속도(V2)로부터 구해지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이다.

Description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본 발명은, 비교적 증기압이 높은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함유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증산에 사용하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해충 방제 제품, 및 상기 해충 방제 제품을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기 등의 비상(飛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해충 방제 제품으로서, 살충 성분을 함유하는 약액에 흡액심지를 침지하여, 흡액된 약액을 흡액심지의 상부로 유도하고, 흡액심지를 가열함으로써 살충 성분을 대기 중에 증산시키는 방식을 채용한, 소위 「모기 퇴치 키트」가 시판되고 있다. 모기 퇴치 키트에 사용하는 약액은, 등유를 베이스로 한 유성 처방과, 물을 베이스로 한 수성 처방으로 크게 분류된다. 지금까지의 모기 퇴치 키트는 유성 처방이 주류였지만, 수성 처방은 사용 편리성이나 효능의 관점에서, 유성 처방보다 우수한 면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수성 처방의 살충제는 유성 처방의 살충제에 비하여, 화기(火氣)에 대한 위험성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이나, 해충에 대한 살충 효과를 증강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모기 퇴치 키트의 살충 성분에는, 일반적으로,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이 사용된다.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의 종류는, 종래에는 알레스린, 프랄레스린(prallethrin), 후라메스린(furamethrin) 등의 살충 성분이 주류이었지만, 최근에는 살충 활성이 우수한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등의 새로운 살충 성분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트란스플루트린이나 메토플루트린 등은, 알레스린이나 프랄레스린 등에 비하면, 증기압이 높고 물성도 상이하지만, 유성 처방의 모기 퇴치 키트이면, 종래의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에 적합한 사양의 흡액심지를 그대로 사용해도, 그다지 큰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한편, 트란스플루트린이나 메토플루트린 등을 수성 처방으로서 조제한 경우, 종래의 피레드로이드계 화합물용의 흡액심지를 사용하면, 예를 들면, 수성 처방의 흡액심지에 대한 친화성의 균형이 깨져 살충 성분 증산량이 불안정해지고, 살충 효력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1) 약액 처방의 개량, (2) 흡액심지 사양의 변경, (3) 발열체 온도의 변경·조정 등의 방책이 고려된다. 그런데, (3) 발열체 온도의 변경·조정에 대해서는, 「모기 퇴치 키트」로서 사용되는 종래의 기구가 이미 시장에 널리 퍼져 있는 현상(現狀)을 고려하면, 그다지 현실적인 방책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1) 약액 처방의 개량의 일환으로서, 특허문헌 3에는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에 고비점 용제를 배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의하면, 메토플루트린 및 티오텍(파라핀과 나프텐계 탄화수소를 대략 6:4로 배합한 혼합물)을 사용하여 가열 증산용 해충 방제액을 조제하고 있다. 그런데, 티오텍은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처방액은 당연히 수성 모기 퇴치 키트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2) 흡액심지 사양의 변경에 관해서는, 특허문헌 4에 있어서, 인(燐)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골재를 배합한 성형체를 소성(燒成)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의하면, 비표면적이 1.0∼3.0㎡/g, 흡액율이 15∼35%, 흡액 속도가 10∼25㎜/시간인 흡액심지가 얻어지고,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흡액심지는, 수성 처방의 약액에도 사용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
일본공고특허 평7-74130호 공보 일본공고특허 평7-10064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3-8172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0-103704호 공보
해충 기피 효과를 지속하면서 약액을 공기 중에 안정되게 휘산시키기 위해서는, 휘산 중에 약액의 성분 밸런스를 적절한 상태로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특히, 수성 처방의 약액을 사용하는 경우는, 살충 성분, 계면활성제 및 물의 세 성분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증산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약액의 조성에 더하여, 흡액심지 중에서의 약액의 거동을 충분히 파악해 놓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약액의 배합 성분의 하나인 계면활성제에 착안한 기술이며, 약액의 휘산성과 흡액심지의 물성의 관계에 대하여 고려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3은 고비점 용제를 배합함으로써, 약액을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휘산시키고자 하는 기술이지만, 흡액심지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다공질재를 사용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고, 충분히 연구된 것이 아니다. 특허문헌 4는, 흡액심지의 물성에 대하여 검토한 기술이지만, 해당 기술은 실제로는 유성 처방에 사용되는 dl·d-T80-알레스린, 바이오알레스린, d·d-T80-프랄레스린 등으로의 적용을 의도한 것으로서, 종래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는 물성이 상이한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등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의 적용은 의도되어 있지 않다.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등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 계면활성제, 및 물의 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사용한 수성 모기 퇴치 키트를 개발함에 있어서는, 살충제 조성물의 처방뿐만 아니라, 흡액심지 중에 있어서의 살충제 조성물의 거동에 대해서도 검토할 필요가 있지만, 지금까지의 기술에서는, 그러한 검토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았던 것이 현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비교적 증기압이 높은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함유하는 약액의 증산에 사용 가능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해충 방제 제품에 있어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 중에서의 약액의 거동에 착안하고, 장시간에 걸쳐 안정된 성능을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해충 방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해충 방제 제품을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해충 방제 제품의 특징 구성은,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 2㎜Hg인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 비점이 150∼30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과, 물을 함유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증산시키기 위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해충 방제 제품으로서, 수성 처방액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40 질량% 수용액으로 하고, 유성 처방액을 탄소수 14의 유동 파라핀으로 하고,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하부를 상기 수성 처방액 또는 상기 유성 처방액에 각각 침지한 경우에, 상기 수성 처방액이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따라 상승하는 속도(V1), 및 상기 유성 처방액이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따라 상승하는 속도(V2)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인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해충 방제 제품에 있어서, 상기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60∼0.8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해충 방제 제품에 있어서, 상기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은,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해충 방제 제품에 있어서,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소성 심지 또는 브레이드(braid) 심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성 심지인 경우, 원재료로서 무기질 분체와, 무기질 점결제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브레이드 심지인 경우,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초재(sheath material)를 가지고, 상기 초재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무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해충 방제 제품에 의하면, 수성 살충제 조성물이 적절한 성분을 함유하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가 적절한 구성을 갖추고 있고, 또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적절한 비율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로부터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증산시킬 때, 장시간에 걸쳐 안정된 증산 성능과 높은 살충 효력을 양립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해충 방제 방법의 특징 구성은, 상기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해충 방제 제품을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기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침지하여, 흡액된 상기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상부로 유도하고, 60∼130℃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대기 중에 증산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구성의 해충 방제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을 사용하여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가열 증산을 행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안정된 증산 성능과 높은 살충 효력을 양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에 적용 가능한 수성 모기 퇴치 키트용 살충제 조성물(이하, 단지 「수성 살충제 조성물」이라고 함)은,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2㎜Hg인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함유한다.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은 예를 들면,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프로플루트린, 엠펜스린, 테랄레스린(terallethrin), 4-메톡시메틸-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크리산테메이트, 및 4-메톡시메틸-2,3,5,6-테트라플루오로벤질-2,2-디메틸-3-(2-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비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가열 증산성, 살충 효력, 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 프로플루트린이 바람직하고, 트란스플루트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에 있어서, 산 부분이나 알코올 부분에 부제탄소에 기초하는 광학이성체나 기하이성체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도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에 포함된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 중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의 함유량은, 0.1∼3.0 질량%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0.1 질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살충 효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함유량이 3.0 질량%를 초과하면,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성상(性狀)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수성 처방액으로서 조제된다. 따라서,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용매에는 물이 사용된다. 수성 처방액으로 함으로써, 유성 처방액에 비하여 화기에 대한 위험성을 경감할 수 있고, 해충에 대한 살충 효과를 증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수성 처방액은 물에,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 함께, 비점이 150∼300℃, 바람직하게는 200∼26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을 배합하여 조제된다.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은, (1)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가용화하고, (2) 가열 증산성을 향상시키고, (3)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 물 사이에 개재하여 세 성분을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여 가열 증산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은, 피레드로이드 감수성의 해충에 대하여 「효력 증강제」로서도 작용하고, 감수성이 저하된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경우라도 살충 효력의 저하 정도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인정된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 중의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10∼70 질량%가 바람직하다. 함유량이 10 질량% 미만이면, 수성 제제화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효력 증강제로서의 작용 및 살충 효력의 저하 정도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부족해진다. 한편, 함유량이 70 질량%를 초과해도 살충 효과가 한계점으로 될 뿐 아니라, 화기에 대한 위험성이 증대하게 되어, 수성 처방으로서의 메리트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비점: 202℃),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비점: 207℃, 이후 DEMIP),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비점: 231℃, 이후 DEMB),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비점: 220℃, 이후 DEMIB),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비점: 259℃, 이후 DEMH), 디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실에테르(비점: 272℃), 디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비점: 283℃),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249℃), 프로필렌 글리콜모노-tert-부틸에테르(비점: 151℃),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 188℃),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비점: 210℃, 이후 DPMP), 3-메톡시-1,2-프로판디올(비점: 22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이소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가 바람직하고,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는 그 외에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EET, 테르펜계 화합물, 천연 정유 및 향료와 같은 기피 성분,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파라히드록시벤조산메틸과 같은 안정화제, pH 조정제, 착색제, 차 추출물이나 차 건류액 등의 탈취제 등을 적당히 배합해도 되고, 또한,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조제함에 있어서, 수성 처방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물 이외에, 에탄올,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에스테르계 또는 에테르계 용제, 등유(케로신), 가용화제, 분산제를 적절히 사용해도 상관없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제된 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용기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충전되어,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수성 모기 퇴치 키트)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은,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적절한 범위가 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란, 다음과 같이 규정되는 흡액심지로부터의 약제의 증산성에 관한 파라미터이다. 먼저, 수성 처방액으로서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40 질량% 수용액, 유성 처방액으로서 탄소수 14의 유동 파라핀을 각각 조제한다. 다음에, 수성 처방액 또는 유성 처방액을 적절한 용기에 각각 15㎜의 높이까지 주입하고, 용기 바닥면에 전체길이 약 70㎜의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직립 상태로 올려놓음으로써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하부를 각 처방액에 침지한다. 상기 상태로 소정 시간 정치(靜置)하고, 각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흡수되어 상승한 도달 거리(㎜)를 계측한다. 도달 거리(㎜)의 측정은,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높이 20∼60㎜의 범위에서, 적어도 3개소를 선택하여 경시적으로 실시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있어서의 처방액의 도달 거리의 계측에 있어서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높이가 25∼60㎜ 정도인 위치가 관찰하기 용이하고, 또한 흡액 속도가 안정되어 있으므로, 도달 거리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소재에 따라 적어도 3개소를 경시적으로 설정하면 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소재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무기질 분체에 유기 물질 및 무기질 점결제를 첨가한 혼합물을 600∼2000℃에서 소성하여 이루어지는 소성 심지인 경우는 3∼15시간 정도, 보유재(심재)의 외주면에 처방액을 흡액 휘산시키기 위한 섬유 집합체(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또는 폴리아미드계 섬유)(초재)를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브레이드 심지인 경우는 5∼15분 정도 사이에서 적어도 3개소의 측정점을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측정이 종료되면, 세로축을 도달 거리(㎜)라고 하고, 횡축을 경과 시간(분 또는 시간)으로 한 그래프에 실측 데이터를 플로팅하고, 각 처방액에 대하여 최소제곱법 등에 의한 피팅 직선을 긋는다. 그리고, 수성 처방액의 피팅 직선의 구배[즉, 수성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승하는 속도(V1)], 및 유성 처방액의 피팅 직선의 구배[즉, 유성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승하는 속도(V2)]를 각각 구하고, 양자의 비율(V1/V2)을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로 정의한다.
모기 퇴치 키트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처방액인 살충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흡액된 살충제 조성물을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상부로 유도하고, 60∼130℃로 가열함으로써 살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대기 중에 증산시켜 해충을 방제하는 것이다. 모기 퇴치 키트의 처방액으로서 수성 살충제 조성물(수성 처방액)을 사용한 경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수성 처방액에 침지하면, 살충 성분, 계면활성제 및 물의 세 성분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수성 처방액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승하여,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상부부터 공중으로 증산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수성 처방액의 주성분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는, 유성 처방액의 주성분인 탄소수 14의 유동 파라핀과 비교하여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로의 침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수성 처방액에 포함되는 각 성분간에서 침투 속도에 차이가 생기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상부에서는 침투 속도가 빠른 성분이 일반적으로 고농도로 존재하게 되고, 그 성분의 조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가는 것이 상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현상은,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재질,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와 처방액의 친화성, 각 성분의 특성(증산성, 점성, 친수성 등) 등에 좌우되어,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서는 특히 생기기 쉽다.
이러한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이 추가의 검토를 행한 바,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서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 2㎜Hg인 화합물을 선택하고, 또한 비점이 150∼30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가열 증산을 행한 경우, 앞서 정의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60∼0.85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증산 성능과 실용적인 살충 효력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과,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조합하여 해충 방제 제품을 구성하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 분명해졌다.
그런데, 모기 퇴치 키트의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일반적인 구분에 의하면, 소성 심지, 브레이드 심지, 점결 심지로 대별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소성 심지 또는 브레이드 심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로서 소성 심지 또는 브레이드 심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리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 소재는,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대하여 안정적이며, 또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수용액을 흡액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소성 심지는 (a) 무기질 분체, (b) 무기질 점결제 및 (c)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600∼2000℃에서 소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지만, (b) 및 (c)의 배합량이 적고, 거의 무기질 분체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세라믹 심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무기질 분체는 예를 들면, 마이카, 알루미나, 실리카, 탈크, 뮬라이트, 코디에라이트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마이카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비교적 균일한 미세공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재료이다. 상기의 무기질 분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있어서의 무기질 분체의 함유량은, 10∼90 질량%가 바람직하고, 30∼7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질 분체의 형상은 외관, 흡액성, 강도 등의 물성의 면에서, 50메쉬 이하의 미세 분상(粉狀)이 바람직하다. 단,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분쇄 처리를 수반하는 경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질 점결제는 예를 들면, 클레이(카올린 클레이), 벤토나이트, 할로이사이트 등의 각종 점토, 타르 피치, 물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클레이는 점결 작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재료이다. 상기의 무기질 점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있어서의 무기질 점결제의 함유량은, 5∼50 질량%가 바람직하고, 10∼4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질 점결제는, 상온에서는 점결 작용은 부족하지만, 600∼2000℃에서 소성함으로써 충분한 점결 작용을 나타내게 되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해진다.
유기 물질은 흑연, 카본블랙, 활성탄, 목탄 및 코크스 등의 탄소질 분체,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아크릴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의 유기질 점결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중, 흑연은 비교적 형상이 균일하고 불순물이 적기 때문에 바람직한 재료이다. 흑연 등의 탄소질 분체를 배합하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외관, 색조, 흡액성, 강도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의 탄소질 분체 또는 유기질 점결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혼합한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 있어서의 유기 물질의 함유량은, 5∼40 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소성하는 과정에서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에 의해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 중에 연속 기공이 생성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액 성능을 나타내는 데에 충분한 다공질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에는 상기 물질 이외에, 방부제, 4,4'-메틸렌비스(2-메틸-6-t-부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산화 방지제를 적절하게 첨가해도 된다.
브레이드 심지는, 심재의 외주면에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흡액하여 휘산시키기 위한 초재를 피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재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무기 섬유로부터 선택되는 일종 이상의 섬유 집합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브레이드 심지에 있어서, 심재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형상 보유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 재질로서는, 반드시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흡액하는 기능을 갖출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130℃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형상 보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심재의 보강재로서, 유리 섬유, 세라믹 섬유, 탄소 섬유 등의 섬유상 보강재나, 유리 분체, 무기 필러라불리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티탄 등의 분체상 보강재 등에 의해 열가소성 및/또는 열경화성의 합성 수지를 보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초재는 통상 섬유 집합체로서 형성되고, 이것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목화 등의 천연 섬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나일론, 아라미드 등의 합성 섬유,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 등의 무기 섬유 등의 일종 이상을 들 수 있지만, 그 내열 온도가 13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라미드 등의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섬유 집합체는, 블레이드, 직포, 편지(編地), 펠트, 혹은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 소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 섬유 소재에 계면활성제 처리를 실시하여 흡액 속도를 조절하거나, 또한, 초재의 표면을 바니쉬 등을 이용하여 더 피복하거나, 친수 가공 등의 기능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통하여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가열 증산시키는 방식의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수성 모기 퇴치 키트)에 적용된다. 즉,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등의 플라스틱제 약액 용기에 수용하고, 내부 마개를 통하여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수성 살충제 조성물 중에 침지시킨다. 그렇게 하면, 용기 내의 수성 살충제 조성물은 흡액심지 상부로 유도되고, 그 주위에 설치된 링 형의 발열체에 의해 60∼130℃로 가열되어 대기 중에 증산된다.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발열체와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있으므로, 흡액심지 상부의 원하는 표면 온도(예를 들면, 60∼130℃)는, 발열체의 온도를 그보다 높게(예를 들면, 80∼150℃)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가열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수성 살충제 조성물이 조기에 증산되거나,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열분해나 중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표면에 고비점 물질이 생성되고, 이것이 축적되어 막힘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편, 가열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면, 수성 살충제 조성물이 증산되기 어려워져, 충분한 방충 성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은, 전술한 발열체에 더하여, 종래의 장치에 준하여 여러가지 기능이나 부재가 부설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발열체의 상부에는 안전상 보호 캡이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지만, 그 크기, 형상은 증산되는 처방액이 과도하게 보호 캡이나 기체에 응축, 부착되지 않는 한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내경(內徑) 10∼30㎜의 원통형 증산통을 개구부 부근으로부터 수하(垂下)시키는 것은 유효하며, 이 경우, 증산통 부분의 내열성이나 증산 성능의 면으로부터, 증산통 하단과 발열체 표면의 거리는 통상 1∼5㎜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발열체와 접속하는 전원 코드, 온-오프 조작 스위치, 파일럿 램프 등이 적절히 부설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을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에 의하면, 리빙룸이나 거실, 침실 등의 실내에서, 피레드로이드 감수성 계통은 물론, 감수성이 저하된 홍모기, 작은빨간집모기, 열대집모기, 지하집모기 등의 집모기류, 열대숲모기, 흰줄숲모기 등의 각다귀류, 깔따구류 등의 모기류 및 집파리류, 나방파리류, 벼룩파리류, 등에류, 파리매류, 등에모기류 등의 다른 유해 비상성 곤충에 대해서도 실용적인 살충 효력을 나타내므로 지극히 유용성이 높다. 또한, 그 외의 포복(匍匐) 해충으로서 바퀴벌레, 벼룩, 빈대(bedbug)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유용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그 다음에,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트란스플루트린을 0.9 질량%,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DEMB)를 50 질량%, 안정제로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을 0.1 질량% 및 정제수를 49 질량% 배합하여,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무기질 분체로서 마이카 분말을 55 질량%, 무기질 점결제로서 클레이 분말을 30 질량%, 유기 물질로서 흑연을 10 질량%, 유기질 점결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3 질량%, 전분을 2 질량% 포함하는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혼련물을 가압하면서 압출하고, 풍건(風乾)한 후 1000℃에서 소성하여,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지름 7㎜, 길이 66㎜의 둥근 봉)를 얻었다.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은 0.63이었다.
수성 살충제 조성물 45mL을 플라스틱제 용기에 충전하고, 내부 마개를 통하여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장전하고, 이것을 가열 증산 장치(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2926172호 등에 기재된 장치, 흡액심지 상부의 주위에 설치한 링형 발열체의 설정온도는 130℃)에 장착하여 해충 방제 제품(수성 모기 퇴치 키트)을 구성하였다. 해충 방제 제품을 6다다미의 방(25㎥)의 중앙에 두고, 1일당 12시간 통전하여 사용한 바, 60일간(약 700시간)에 걸쳐 모기에게 물리는 일이 없었다.
[실시예 2∼실시예 10, 비교예 1∼비교예 6]
실시예 2∼실시예 10에 관한 수성 살충제 조성물 및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실시예 1에 준하여 조제하고, 이들을 가열 증산 장치에 장전하여 각각의 해충 방제 제품을 구성하고, 효력 확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해, 비교예 1∼비교예 6에 관한 수성 살충제 조성물 및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사용한 해충 방제 제품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력 확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수성 살충제 조성물의 조성 및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배합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 글리콜에테르A :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124℃)
* 글리콜에테르B : 디에틸렌글리콜모노벤질에테르(비점:302℃)
<증산 성능>
6다다미의 방(25㎥)의 중앙에 공시(供試) 해충 방제 제품을 두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통전 가열함으로써 훈증하였다. 소정 시간마다 실리카겔 충전 컬럼으로 포획하고, 아세톤으로 살충 성분을 추출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살충 성분의 시간당 증산량을 구하였다.
<효력 확정 시험>
내경 20cm, 높이 43cm의 플라스틱제 원통을 2단으로 겹치고, 그 위에 16메쉬의 철망으로 상하를 칸막이한 내경 20cm, 높이 20cm의 원통(공시 곤충을 넣는 장소)을 고무 패킹을 끼워 얹고, 그 위에 동일 직경으로 높이 20cm의 원통을 더 얹었다. 상기 4단 겹침 원통을 받침에 얹은 원판 상에 고무 패킹을 협지하여 놓았다. 원판 중앙에는 5cm의 둥근 구멍이 있고, 상기 둥근 구멍의 위에 해충 방제 제품을 설치하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통전 가열함으로써 훈증하였다. 통전 4시간 후, 상부 원통에 공시 곤충인 홍모기 암컷 성충 약 20마리를 풀어놓고, 시간 경과에 따라 넉다운된 공시 곤충을 카운팅하여, KT50값을 구하였다. 또한, 폭로 20분 후에 전체 공시 곤충을 회수하여 24시간 후에 이들의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02
시험의 결과, 실시예 1∼실시예 10의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 2㎜Hg인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과, 비점이 150∼30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과, 물을 배합한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적용되고,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이므로, 소성 심지 또는 브레이드 심지 중 어느 것이라도 안정된 증산 성능과 우수한 살충 효력을 나타내고, 비상 해충, 특히 모기류를 방제하는 데에 지극히 유효한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으로서 트란스플루트린, 메토플루트린, 및/또는 프로플루트린을 포함하는 실시예 1∼실시예 9는, 사용 초기부터 사용 후기에 걸쳐 100%의 치사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이, 소정의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이나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를 만족시키지 않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인 경우, 초기의 살충 성분 증산량은 높지만, 그 후, 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하는 충분한 살충 효력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와 같이,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의 비점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나, 비교예 5 및 비교예 6과 같이,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의 증기압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서는,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의 규정을 만족시켰다고 해도, 유효한 증산 성능 및 살충 효력을 나타낼 수 없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은, 인체나 애완동물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 가능한 것이지만, 그 외의 용도로서 예를 들면, 살충, 진드기 제거, 살균, 항균, 냄새 제거 및 방취의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7)

  1. 30℃에서의 증기압이 2×10-4∼1×10- 2㎜Hg인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 비점이 150∼300℃인 글리콜에테르계 화합물, 및 물을 함유하는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증산시키기 위한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포함한 해충 방제 제품으로서,
    수성 처방액을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40 질량% 수용액으로 하고, 유성 처방액을 탄소수 14의 유동 파라핀으로 하고,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하부를 상기 수성 처방액 또는 상기 유성 처방액에 각각 침지한 경우에,
    상기 수성 처방액이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따라 상승하는 속도(V1) 및 상기 유성 처방액이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따라 상승하는 속도(V2)로부터 구해지는,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55∼1.0의 범위인,
    해충 방제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유성 흡액 비율(V1/V2)이 0.60∼0.85의 범위인, 해충 방제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은 트란스플루트린(transfluthrin), 메토플루트린(metofluthrin) 및 프로플루트린(profluthr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인, 해충 방제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는 소성(燒成) 심지 또는 브레이드(braid) 심지인, 해충 방제 제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심지는, 원재료로서 무기질 분체, 무기질 점결제 및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 제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 심지는, 심재와 상기 심재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초재(sheath material)를 가지고,
    상기 초재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무기 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섬유를 포함하는, 해충 방제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충 방제 제품을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으로서,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를 상기 수성 살충제 조성물에 침지하고, 흡액된 상기 수성 살충제 조성물을 상기 가열 증산용 흡액심지의 상부로 유도하고, 60∼130℃로 가열함으로써 상기 피레드로이드계 살충 성분을 대기 중에 증산시키는,
    해충 방제 방법.
KR1020177025479A 2015-04-14 2016-04-11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KR102053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2119 2015-04-14
JPJP-P-2015-082119 2015-04-14
PCT/JP2016/061670 WO2016167209A1 (ja) 2015-04-14 2016-04-11 害虫防除製品、及び害虫防除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30A Division KR20190066091A (ko) 2015-04-14 2016-04-11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126A true KR20170116126A (ko) 2017-10-18
KR102053789B1 KR102053789B1 (ko) 2019-12-09

Family

ID=571258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479A KR102053789B1 (ko) 2015-04-14 2016-04-11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KR1020197016430A KR20190066091A (ko) 2015-04-14 2016-04-11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430A KR20190066091A (ko) 2015-04-14 2016-04-11 해충 방제 제품, 및 해충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485228B2 (ko)
EP (1) EP3284345B1 (ko)
JP (2) JPWO2016167209A1 (ko)
KR (2) KR102053789B1 (ko)
CN (1) CN107404871B (ko)
AU (2) AU2016248706A1 (ko)
BR (1) BR112017022048B1 (ko)
ES (1) ES2759932T3 (ko)
MX (1) MX2017013220A (ko)
TW (1) TWI586274B (ko)
WO (1) WO2016167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7130921A1 (ja) * 2016-01-25 2018-09-27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害虫防除製品、及び害虫防除方法
TWI664906B (zh) * 2017-01-06 2019-07-11 日商大日本除蟲菊股份有限公司 害蟲防除製品及害蟲防除方法
US10736309B1 (en) * 2018-11-27 2020-08-11 Thomas Paul Cogley Bed bug detector syste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130A (ja) 1993-05-27 1995-03-17 Siemens Ag ウェハからチップを個別化する方法
JPH07100641A (ja) 1993-10-06 1995-04-18 Nippon Steel Corp ガス切断方法
JP2000103704A (ja) 1998-09-29 2000-04-11 Earth Chem Corp Ltd 加熱蒸散用吸液芯
JP2002000158A (ja) * 2000-06-28 2002-01-08 Teijin Ltd 吸液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81720A (ja) 2001-09-13 2003-03-19 Sumitomo Chem Co Ltd 加熱蒸散用害虫防除液及び害虫防除方法
JP2005095107A (ja) * 2003-09-26 2005-04-14 Dainippon Jochugiku Co Ltd 加熱蒸散装置
KR20100084958A (ko) * 2009-01-19 2010-07-28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포복 해충 기피 성분의 냄새 옮김을 방지하는 방법
JP2012176947A (ja) * 2011-02-04 2012-09-13 Sumitomo Chemical Co Ltd 加熱蒸散用害虫防除材及び加熱蒸散害虫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22712C (en) * 1988-10-28 1993-10-05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Stabilized thiocarbonate solutions
CN1017026B (zh) * 1989-04-28 1992-06-17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药剂蒸散装置以及药剂蒸散方法
JP2731789B2 (ja) * 1990-01-17 1998-03-25 大日本除蟲菊株式會社 吸液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薬剤蒸散方法
JP2602782B2 (ja) 1994-06-22 1997-04-23 孝王 野寺 陶材歯冠の製造方法
JPH08310907A (ja) 1995-05-18 1996-11-26 Dainippon Jochugiku Co Ltd 加熱蒸散用水性殺虫剤および殺虫方法
DE19626469A1 (de) 1996-07-02 1998-01-08 Bayer Ag Neue insektizide Formulierungen
CN1051805C (zh) * 1996-12-18 2000-04-26 水口山矿务局第六冶炼厂 用硅铍钇矿制取工业氧化铍及混合稀土氢氧化物的方法
JPH10182306A (ja) * 1996-12-24 1998-07-07 Sumitomo Chem Co Ltd 加熱蒸散用殺虫液
JP4306019B2 (ja) 1998-07-29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加熱蒸散用水性殺虫液
CN1309896A (zh) * 2001-02-15 2001-08-29 胜田纯郎 杀苍蝇用点燃·加热熏散杀虫剂
JP4878352B2 (ja) 2008-03-26 2012-02-15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水性消臭剤組成物の加熱蒸散方法
TW201041510A (en) * 2009-04-30 2010-12-01 Dow Agrosciences Llc Pesticide compositions exhibiting enhanced activity
JP2012175947A (ja) * 2011-02-28 2012-09-13 Toshihiko Izumi 猫の爪切り用保定具
CN102742572B (zh) * 2012-07-27 2014-04-16 广州立白企业集团有限公司 一种水基电热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CN103766389A (zh) * 2012-10-24 2014-05-07 成都彩虹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热蝇香液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130A (ja) 1993-05-27 1995-03-17 Siemens Ag ウェハからチップを個別化する方法
JPH07100641A (ja) 1993-10-06 1995-04-18 Nippon Steel Corp ガス切断方法
JP2000103704A (ja) 1998-09-29 2000-04-11 Earth Chem Corp Ltd 加熱蒸散用吸液芯
JP2002000158A (ja) * 2000-06-28 2002-01-08 Teijin Ltd 吸液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81720A (ja) 2001-09-13 2003-03-19 Sumitomo Chem Co Ltd 加熱蒸散用害虫防除液及び害虫防除方法
JP2005095107A (ja) * 2003-09-26 2005-04-14 Dainippon Jochugiku Co Ltd 加熱蒸散装置
KR20100084958A (ko) * 2009-01-19 2010-07-28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포복 해충 기피 성분의 냄새 옮김을 방지하는 방법
JP2012176947A (ja) * 2011-02-04 2012-09-13 Sumitomo Chemical Co Ltd 加熱蒸散用害虫防除材及び加熱蒸散害虫防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2048A2 (pt) 2018-07-03
JPWO2016167209A1 (ja) 2018-01-25
JP2020002173A (ja) 2020-01-09
MX2017013220A (es) 2018-07-06
US10485228B2 (en) 2019-11-26
TW201642743A (zh) 2016-12-16
KR102053789B1 (ko) 2019-12-09
AU2019250232B2 (en) 2020-07-23
CN107404871A (zh) 2017-11-28
KR20190066091A (ko) 2019-06-12
EP3284345B1 (en) 2019-11-06
AU2016248706A1 (en) 2017-11-09
BR112017022048B1 (pt) 2022-08-16
TWI586274B (zh) 2017-06-11
US20180070576A1 (en) 2018-03-15
EP3284345A4 (en) 2018-12-19
CN107404871B (zh) 2021-04-23
ES2759932T3 (es) 2020-05-12
EP3284345A1 (en) 2018-02-21
AU2019250232A1 (en) 2019-11-07
WO2016167209A1 (ja)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5394B2 (ja) 害虫防除製品、及び害虫防除方法
AU2019250232B2 (en) Insect pest control product and insect pest control method
JP6905122B2 (ja) 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用吸液芯、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当該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用吸液芯を用いた水性処方薬液加熱蒸散方法
TWI830684B (zh) 殺蟲效力增強劑、害蟲防除方法及加熱蒸散用水性殺蟲劑組成物
JP2023014145A (ja) 害虫侵入阻止製品、及び害虫侵入阻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9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07

Effective date: 2019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