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8955A -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955A
KR20170108955A KR1020177019969A KR20177019969A KR20170108955A KR 20170108955 A KR20170108955 A KR 20170108955A KR 1020177019969 A KR1020177019969 A KR 1020177019969A KR 20177019969 A KR20177019969 A KR 20177019969A KR 20170108955 A KR20170108955 A KR 2017010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olefin
decorative sheet
res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991B1 (ko
Inventor
마사시 구라타
Original Assignee
다이아플러스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플러스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아플러스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9J7/0275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Abstract

[해결 과제] 엠보싱 가공성이 양호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Description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FILM FOR POLYOLEFIN DECORATIVE SHEE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를 제작할 때에, 안정된 인쇄와 엠보싱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의 기재 필름 및 그것을 이용한 화장 시트 및 건축 내장용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가구류나 건축 내장재 등에 이용되는 화장 합판과 같은 화장재는 합판 등의 목재나 강판 등의 하지(下地)재에, 인쇄·착색을 실시한 화장 시트를 첩부한 것이 잘 알려져 있고, 이 화장 시트의 소재로서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화장 시트용 플라스틱 필름의 소재로서는, 의장성이나 접착성이 우수한 염화바이닐계 수지가 사용되는 예가 많다. 그러나 근년이 되어, 용도가 끝난 후 등의 소각 처분 시에 발생하는 염화수소 가스의 처리나 이에 이용하는 소각로의 노재의 선택 등의 문제로 인해,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기초하는 화장 시트가 이용되도록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필름에 기초하는 화장 시트는 강성과 유연성의 밸런스가 양호하기 때문에, 화장 시트용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소재를 이용한 것이 많아져 오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평10-36590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평11-172017호 공보) 등이 있고, 강성이 높아, 절곡(折曲) 백화가 일어나기 어려운 화장 시트의 기술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화장 시트에는, 나뭇결 도관홈, 부조 모양(연륜(年輪)의 요철 모양), 헤어라인, 사목(砂目), 배지(梨地) 등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고, 이들에 원하는 텍스처를 부여하기 위해,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용도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한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화장 시트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충분한 성능을 갖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싱 가공이 충분해질 때까지의 온도에서 가공한 경우, 필름이 가공 온도에 견디지 못하고 가공 중에 파단된다는 문제가 있고, 한편 필름이 가공 중에 파단되지 않는 온도에서 가공하면 엠보싱 가공이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있어, 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사용한 화장 시트의 가공성으로서는, 아직 불충분한 것이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10-365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1-172017호 공보
본 발명은 엠보싱 가공성이 양호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바, 고온 영역과 저온 영역에 있어서의 결정 융해 열량의 밸런스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엠보싱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2] 상기 결정 융해 열량(A)의 상기 결정 융해 열량(B)에 대한 비율은 0.1 이상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3] 상기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이 적어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4]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5]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
[6] [5]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의 기재 필름측의 면을 피착재에 첩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용 화장재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엠보싱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인 것이 중요하고, 7∼50J/g인 것이 바람직하고, 8∼40J/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30J/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정 융해 열량(A)를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화장 시트용 필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안정된 엠보싱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것이 중요하고, 20∼80J/g인 것이 바람직하고, 20∼70J/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60J/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정 융해 열량(B)를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화장 시트용 필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해당 화장 시트용 필름이 엠보싱 가공하는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정된 엠보싱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정 융해 열량(A)를 상기 결정 융해 열량(B)로 나눈 수치, 즉 상기 결정 융해 열량(A)의 상기 결정 융해 열량(B)에 대한 비율이 0.1 이상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이상 0.9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이상 0.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결정 융해 열량(A)의 결정 융해 열량(B)에 대한 비율을 상기의 범위로 함으로써, 화장 시트용 필름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공정에 있어서, 엠보싱 가공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공할 수 있고, 또한 엠보싱 가공 시에, 해당 화장 시트용 필름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엠보싱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결정 융해 열량이란, JIS K7122에 준거하여 측정한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2℃/분으로 25℃에서 230℃까지 승온했을 때에 있어서의, DSC 차트상의 결정 피크 면적으로부터 계산한 값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적어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상기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와 다른 중합체의 혼합물(폴리머 블렌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해당 공중합체로서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다른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공중합체를 줄기 폴리머로 한 프로필렌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프로필렌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 원자수가 4∼12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4-메틸-1-펜텐, 1-데센 등을 들 수 있고, 그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α-올레핀의 혼합 비율은 프로필렌에 대해서 1∼10중량%, 특히 2∼6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프로필렌의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줄기 폴리머용의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뷰텐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고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폴리머 블렌드를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프렌 고무, 뷰타다이엔 고무, 뷰틸 고무, 프로필렌-뷰타다이엔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아이소프렌 고무 등의 다이엔계 고무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비공액 다이엔 고무, 에틸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고무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계나 스타이렌-아이소프렌계 등의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올레핀계 수지 100질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8질량% 이하의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를 7∼60J/g의 범위로 하기 쉬워지고,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보관 시에, 용융 성분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2차 가공 시의 인쇄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도, 용융 성분의 용출이나 열화 등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특히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물의 중량비로서는, 10:90∼60:40이 바람직하고, 20:80∼55:45가 보다 바람직하며, 22:78∼50:50이 더 바람직하다.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비를 상기로 함으로써,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를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를 10∼90J/g의 범위로 하기 쉽게 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수지 전체로서 상용성이 좋은 재료의 조합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안정된 수지의 성능을 장기간 보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멜트 플로 레이트는 230℃, 2.16kgf의 조건에서 0.1∼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 이상이면 성형하기 쉽고, 평활한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멜트 플로 레이트가 30 이하이면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일이 없어, 필름으로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없다.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에틸렌과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메탈로센계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해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등), 또는 상기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와 다른 공중합체의 혼합물(폴리머 블렌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단독중합체 및/또는 공중합체와 혼합하여 폴리머 블렌드를 제공할 수 있는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이소프렌 고무, 뷰타다이엔 고무, 뷰틸 고무, 프로필렌-뷰타다이엔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 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아이소프렌 고무 등의 다이엔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비공액 다이엔 고무, 에틸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 고무 등의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스타이렌-뷰타다이엔계나 스타이렌-아이소프렌계 등의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 이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멜트 플로 레이트는 190℃, 2.16kgf의 조건에서 0.1∼3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 이상이면 성형하기 쉽고, 평활한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멜트 플로 레이트가 30 이하이면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일이 없어, 필름으로의 성형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필름의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와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이면,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이라는 특성을 갖지 않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단독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당해 혼합물 중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모두가 상기 결정 융해 열량의 특성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당해 혼합물 전체로서 상기 결정 융해 열량의 특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예를 들어, 115∼150℃의 온도 범위에 결정 융해 열량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수지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115∼150℃의 온도 범위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를 7∼60J/g이 되도록 배합하고, 또한 150∼180℃의 온도 범위에 결정 융해 열량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수지를 혼합하는 것에 의해, 150∼180℃의 온도 범위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를 10∼90J/g이 되도록 배합하고, 이들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더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다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표층과 기재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이어도 되고, 적어도 표층, 중간층, 이(裏)층을 구비한 3층 구성이어도 되고, 표층과 중간층 사이, 이층과 중간층 사이에는, 추가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표층과 중간층 사이, 이층과 중간층 사이에는, 접착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3층 구성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체의 두께에 대한 중간층의 두께의 비율을 70%∼99.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5%∼95%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이 안료를 포함하고, 다층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중간층에서의 안료의 함유량이 표층, 이층에서의 안료의 함유량보다도 많거나, 또는 중간층에만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의 중간층에 안료를 많이 포함하고, 표층, 이층의 안료의 첨가량을 가능한 한 줄이거나, 또는 첨가하지 않는다는 적층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안료의 양을 많게 하더라도 제막 시에 찌꺼기가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우위로 방지할 수 있다.
안료로서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모두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산화타이타늄, 카본 블랙, 산화철, 아조계 화합물, 프탈로사이아닌계 화합물, 산화타이타늄·산화안티모니·산화니켈 고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안료의 함유량으로서는, 화장 시트로서 요구되는 은폐성에도 의존하지만,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1∼6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는,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각각의 층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당 0.01∼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0.05∼5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중량부 이상이면, 갈색·열화의 방지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10중량부 이하이면, 배합량에 알맞은 효과가 얻어지며, 또한 블리드를 일으킬 우려도 없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 이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도메틸)-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분자량 388),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다이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라이아졸(분자량 448),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뷰틸-6-(2H-벤조트라이아졸-2-일)페놀](분자량 659) 등의 벤조트라이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및 2,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2'-다이하이드록시-4-다이메톡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하이드록시-5-벤조일페닐)메테인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도 벤조트라이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는 것이 제품의 착색을 적게 함에 있어서 적합하고, 나아가 그의 분자량이 380∼1000의 범위에 있는 것, 바람직하게는 400∼80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적합하다. 분자량을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블룸(bloom) 방지 효과가 보다 커진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의 배합량은 각각의 층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당 0.0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중량부 이상이면, 안정화 효과가 얻어지기 쉽고, 10중량부 이하이면, 배합량에 알맞은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블룸을 일으킬 우려도 없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2-(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n-뷰틸말론산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석신산 다이메틸-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및 폴리[{6-(1,1,3,3-테트라메틸뷰틸)아미노-1,3,5-트라이아진-2,4-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등의 힌더드 아민계의 광안정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에는, 다른 합성 수지나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슬립제, 착색제, 충전제, 핵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해도 된다. 또한, 이들 첨가제에 대해서는, 미리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것(마스터배치)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T 다이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및 캘린더 성형법 등의 일반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의 성형 방법을 이용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0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μm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두께를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엠보싱 가공이나 인쇄 가공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용 필름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두께는 JIS B 7503에 의한 눈금 0.001mm의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하여 필름의 두께를 측정한 평균값이고,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개소, 샘플수로 측정한 산술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태양은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화장 시트이다.
이와 같은 화장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표층측에 인쇄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투명한 표면층을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염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한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이 처리된 시트 상에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나뭇결조(調)의 인쇄를 행하고, 추가로 투명 시트를 첩합하여 엠보싱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 시트의 표면에는, 화장재의 내후성, 내마모성, 내찰상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층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유레테인계 수지 등을 적층 또는 코팅하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표면층에 엠보싱을 실시해도 된다.
인쇄층은 안료 등을 분산시킨 잉크를 이용하여, 그라비어 인쇄, 옵셋 인쇄, 옵셋 그라비어 인쇄,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를 하여 형성하는 방법 외에, 전사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이 인쇄층과 화장재용 기재 시트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를 실시하는 화장재용 기재 시트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시트와 인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마련하면 양자의 접착성이 더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이 프라이머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소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필요에 따라 충전제를 첨가한 용액을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기재 필름 상에 도포 등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층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태양은, 상기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의 기재 필름에 있어서의 이면을 피착재에 첩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용 화장재이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층 구성에 갖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해당 내장용 화장재에 대한 첩부성이 좋아지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가 벗겨지기 어려운 장기 성능이 우수한 건축 내장용 화장재로서 우수한 것을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한 재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1: 프라임폴리머사제 「F327BV」(랜덤 PP)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2: 스미토모화학사제 「FLX80E4」(호모 PP)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A-3: 니혼폴리프로사제 「노바텍 BC3HF」(블록 PP)
·폴리에틸렌계 수지 B-1: 니혼폴리에틸렌사제 「LC500」
·폴리에틸렌계 수지 B-2: 프라임폴리머사제 「SP0540」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C-1: 프라임폴리머사제 「F3900」
<실시예 1∼4, 비교예 1∼6>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제작
표 1에 나타내는 배합을 이용하여, 50mmφ의 압출기 1대와 35mmφ의 압출기 2대의 T 다이 압출기(T 다이: 650mm 폭)를 이용하여, 다이 온도 230℃의 조건에서 수지를 압출하고, 냉각수를 통과시킨 금속제 성형 롤과 고무제 성형 롤로 닙 성형을 행하여, 두께 60μm의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행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1) 결정 융해 열량의 측정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메트라·토레도제 DSC823e)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폴리올레핀계 수지(2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혼합물)로부터 얻어진 화장 시트용 필름의 시료 약 5mg을, 승온 속도 2℃/분으로 25℃에서 230℃까지 승온했을 때에 측정된 DSC 차트상의 결정 피크 면적으로부터, 표 1에 규정한 각 온도 범위의 면적을 계산했다.
2) 엠보싱 가공성
얻어진 화장 시트용 필름을 적외선 비접촉 방식의 히터로 가열 연화시킨 후, 요철을 갖는 엠보싱판으로 가압하여, 부형(賦形)했다. 엠보싱의 가공성에 대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필름이 파단되는 일 없이, 균일하게 엠보싱 가공이 가능
×: 필름이 파단되거나 또는 균일하게 엠보싱 가공을 할 수 없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실시예 1∼4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결정 융해 열량을 갖고 있어, 엠보싱 가공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된다. 특히, 실시예 1은 엠보싱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여, 가공하기 쉽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2∼6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이 작기 때문에, 엠보싱 가공을 안정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어려워, 엠보싱의 가공성이 뒤떨어져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150℃∼180℃의 결정 융해 열량이 작기 때문에, 엠보싱 가공하는 온도에 의해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의 강도가 불안정해져, 안정적으로 가공하는 성능이 뒤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은 엠보싱 가공성이 매우 우수한 화장 시트용 필름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15∼15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A)가 7∼60J/g, 또한 150∼180℃에서의 결정 융해 열량(B)가 10∼90J/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융해 열량(A)의 상기 결정 융해 열량(B)에 대한 비율은 0.1 이상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이 적어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
제 5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의 기재 필름측의 면을 피착재에 첩착하여 이루어지는 건축 내장용 화장재.
KR1020177019969A 2015-02-03 2015-12-14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KR102422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9536 2015-02-03
JP2015019536 2015-02-03
PCT/JP2015/084901 WO2016125395A1 (ja) 2015-02-03 2015-12-14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955A true KR20170108955A (ko) 2017-09-27
KR102422991B1 KR102422991B1 (ko) 2022-07-19

Family

ID=5656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969A KR102422991B1 (ko) 2015-02-03 2015-12-14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55096A4 (ko)
JP (2) JP6002866B1 (ko)
KR (1) KR102422991B1 (ko)
CN (1) CN107207801B (ko)
WO (1) WO2016125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5034B2 (ja) * 2018-09-19 2023-01-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多孔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590A (ja) 1996-07-18 1998-02-10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
JPH11172017A (ja) 1997-12-15 1999-06-29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KR20070116790A (ko) * 2005-02-01 2007-12-11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화장 시트용 수지 재료 및 화장 시트
KR20080039962A (ko) * 2005-08-02 2008-05-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KR20080104050A (ko) * 2004-11-25 2008-11-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327B2 (ja) * 1996-06-14 2000-08-07 アキレス株式会社 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JPH11152345A (ja) * 1997-11-21 1999-06-08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3842926B2 (ja) * 1998-07-21 2006-11-08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シート及び樹脂被覆金属板
JP2001288314A (ja) * 2000-04-05 2001-10-16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WO2014103935A1 (ja) * 2012-12-25 2014-07-03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WO2014155876A1 (ja) * 2013-03-28 2014-10-02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590A (ja) 1996-07-18 1998-02-10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
JPH11172017A (ja) 1997-12-15 1999-06-29 Mitsubishi Chem Mkv Co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KR20080104050A (ko) * 2004-11-25 2008-11-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KR20070116790A (ko) * 2005-02-01 2007-12-11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화장 시트용 수지 재료 및 화장 시트
KR20080039962A (ko) * 2005-08-02 2008-05-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16743A (ja) 2016-12-22
JPWO2016125395A1 (ja) 2017-04-27
CN107207801B (zh) 2021-08-27
KR102422991B1 (ko) 2022-07-19
JP6002866B1 (ja) 2016-10-05
EP3255096A1 (en) 2017-12-13
CN107207801A (zh) 2017-09-26
EP3255096A4 (en) 2018-07-18
WO2016125395A1 (ja)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7704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2017066373A (ja) 加飾用シートおよび加飾用積層シート
JP2015006793A (ja) 押出コーティングによる多層印刷メディアの製造方法
JPH1067080A (ja) 化粧シート
US11660836B2 (en) Decorative sheet
KR20170108955A (ko)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JP622948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6846898B2 (ja) 加飾用シートおよび加飾用積層シート
JP2015217620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系化粧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化粧シート及び建築内装用化粧材
US20030072956A1 (en) Laminate
JPH11152343A (ja)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2017105889A (ja) ポリ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用基材フィルム
JP3911804B2 (ja) 化粧シート用積層フィルム
US11890845B2 (en) Decorative sheet
JP2001114946A (ja)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6564666B2 (ja) 加飾用シートおよび加飾用積層シート
JP2008290391A (ja) 金属被覆用意匠性積層シートおよび意匠性積層シート被覆金属板
JP2001270950A (ja)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JP2016085403A (ja) 透光性光拡散シート
JP4475290B2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433046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体
JP200430631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合成紙
JP200529729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積層発泡シート、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