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962A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962A
KR20080039962A KR1020087005068A KR20087005068A KR20080039962A KR 20080039962 A KR20080039962 A KR 20080039962A KR 1020087005068 A KR1020087005068 A KR 1020087005068A KR 20087005068 A KR20087005068 A KR 20087005068A KR 20080039962 A KR20080039962 A KR 20080039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film
propylene
layer
polyprop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히데 이노우에
다카유키 구로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9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성형성이 양호하고, 우수한 투명성, 열밀봉성을 갖는 필름 또는 시트가 얻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이 150℃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A) 1 내지 50중량%, 융점(Tm)이 100℃ 이상 150℃ 미만인 프로필렌 공중합체(B) 10 내지 90중량%,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중 어느 한쪽을 (a) 50몰% 이상과, (b) 상기 구성단위 (a) 이외이고,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50몰% 이하(여기에서 (a)와 (b)의 합계는 100몰%)로 이루어지고, 융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올레핀 공중합체(C) 1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다. 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은 식품 등의 포장용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 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SUCH FILM OR SHEET, MULTILAYER BODY,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SUCH MULTILAYER BODY}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 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에 관한 것이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인장강도·강성·표면경도·내충격강도·내한성 등의 기계 특성, 광택성,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 또는 무독성, 무취성 등의 식품 위생성 등이 우수하여, 특히 식품 포장의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열밀봉성(heat sealing property)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같은 저융점의 폴리프로필렌을 열밀봉층으로 한 다층 내지는 단층 필름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공 제1986-42626호 공보에는, 열밀봉층에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열밀봉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1996-238733호 공보에는, 더욱 융점이 낮은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더하층의 저온 열밀봉화가 가능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저융점의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저온 밀봉성을 얻을 수 있지만, 필름 또는 시트로 성형할 때에 롤에 대한 달라붙음이 발생하거나, 얻어지는 필름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공 제1986-4262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제1996-238733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필름 또는 시트를 성형할 때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온 열밀봉성,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를 얻을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 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특정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이 150℃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A) 1 내지 50중량%, 융점(Tm)이 100℃ 이상 150℃ 미만인 프로필렌 공중합체(B) 10 내지 90중량%,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중 어느 한쪽을 (a) 50몰% 이상과, (b) 상기 구성단위 (a) 이외이고,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 50몰% 이하(여기에서 (a)와 (b)의 합계는 100몰%)로 이루어지고, 융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올레핀 공중합체(C) 1 내지 80중량%(여기에서 (A), (B), (C)의 합계는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X)로부터 형성되는 필름 또는 시트이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시트는 두께가 0.1 내지 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이 적어도 편면 상에 적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최외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상기의 적층체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되어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필름 또는 시트를 성형할 때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온 열밀봉성, 투명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태양인 (C) 올레핀계 공중합체가 프로필렌·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공중합체일 경우에는, 필름 또는 시트를 성형할 때의 성형성이 우수하고, 얻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는 저온 열밀봉성, 투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또한 내블로킹성도 비교적 양호하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 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은 저온 열밀봉성, 투명성이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이 150℃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A) 1 내지 50중량%, 융점(Tm)이 100℃ 이상 150℃ 미만인 프로필렌 공중합체(B) 10 내지 90중량%,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중 어느 한쪽을 (a) 50몰% 이상과, (b) 상기 구성단위 (a) 이외이고,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50몰% 이하(여기에서 (a)와 (b)의 합계는 100몰%)로 이루어지고, 융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올레핀 공중합체(C) 1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다.
[프로필렌 중합체(A)]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Tm)이 15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 중합체(A)는 아이소택틱(isotactic)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가 공중합체일 경우에 사용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뷰텐, 1-펜텐이다.
프로필렌 중합체(A)의 ASTM D-1238에 준하여 230℃, 2.16kg 하중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이하, MFR로 약기)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g/10분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B)]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B)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Tm)이 100℃ 이상 1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48℃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5℃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의 랜덤 공중합체이다.
상기 공중합체(B)에 사용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1-뷰텐, 1-펜텐이다. 프로필렌 공중합체(B) 중의 α-올레핀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몰%이다.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MFR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g/10분이다.
상기의 프로필렌 중합체(A)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B)는 전형적으로는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와 유기 금속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촉매,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을 촉매의 1성분으로서 사용한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을 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C)]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 공중합체(C)는 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이 40℃ 이상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 공중합체(C)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중 어느 하나를 (a) 50몰% 이상과, (b) 상기 구성단위 (a) 이외이고,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50몰% 이하(여기에서 (a)와 (b)의 합계는 100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올레핀 공중합체(C)로서는, 예컨대 (a) 성분이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며, (b) 성분이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공중합체(C1)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b) 성분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올레핀 공중합체(C)로서, 예컨대 (a) 성분이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이며, (b) 성분이 1-뷰텐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공중합체(C2)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b) 성분에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C)는 공지의 입체 규칙성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공중합 된 것이 성형체의 달라붙음이 적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부터 얻어지는 분자량 분포가 1 내지 3의 범위를 나타낸다.
올레핀 공중합체(C)가 상기 공중합체(C1)일 경우, 프로필렌과 함께 공중합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1-뷰텐, 1-펜텐을 비롯한 적어도 1종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이지만, 바람직하게는 1-뷰텐 또는 1-뷰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C1) 중의 프로필렌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량으로서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합계를 100몰%로 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몰%의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예컨대 국제공개 2004/087775호 팸플릿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촉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이 융점(Tm)(℃)과 13C-NMR 스펙트럼 측정에서 구해지는 코모노머 구성단위 함량(M)(몰%)이
146exp(-0.022M)≥Tm≥125exp(-0.032M)
의 범위에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C1)의, ASTM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g/10분)의 범위에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C)가 상기 공중합체(C2)일 경우, 1-뷰텐과 함께 공중합되는 α-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펜텐을 비롯한 적어도 1종 이상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공중합체(C2) 중의 1-뷰텐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에 유래하는 구성단위의 함량으로서는 1-뷰텐과, 1-뷰텐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의 합계를 100몰%로 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몰%인 것이 사용된다. 특히 1-뷰텐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이 에틸렌일 경우에는,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는 1 내지 3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몰%이다.
또, 특히 1-뷰텐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이 탄소수 3 내지 20의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α-올레핀일 경우에는, 당해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는 3 내지 4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몰%이다.
이러한 1-뷰텐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C2)는 시판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2000-129051호 공보의 [0007] 내지 [000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1-뷰텐과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C2)의, ASTM 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하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10분의 범위에 있다.
올레핀 공중합체(C) 성분에서는, (a)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며, (b)가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올레핀 공중합체(C1-1), 또는 (a)가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올레핀 공중합체(C2-1)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C) 성분이 (a)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인 올레핀 공중합체(C1-2)이거나, (a)가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에틸렌 유래의 구성단위인 올레핀 중합체(C2-2)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올레핀계 중합체(C) 중에서는, 상기한 프로필렌과 프로필렌을 제외한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C1)가 성형성이 우수하고, 얻어진 필름의 열밀봉성도 우수하며, 또 필름 블로킹성도 비교적 양호한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A) 1 내지 50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B) 10 내지 90중량%, 올레핀 공중합체(C) 1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A)가 3 내지 40중량%, (B)가 20 내지 85중량%, (C)가 3 내지 7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A)가 3 내지 30중량%, (B)가 25 내지 80중량%, (C)가 5 내지 60중량%이다(여기에서 (A), (B), (C)의 합계는 100중량%). 각 성분이 이러한 비율에 있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을 사용함으로써, 성형성이 양호하고, 투명성, 열밀봉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가 얻어진다. 또, 프로필렌 중합체(A)의 상기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 100중량%에 대한 존재 비율을 P(A)(중량%)로 하고, 프로필렌 공중합체(B)의 상기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합계 100중량%에 대한 존재 비율을 P(B)(중량%)로 한 경우에, 저온 열밀봉성의 점에서는 P(A)/(P(A)+P(B))가 0.4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하한은 특별히 없지만, 예컨대 P(A)/(P(A)+P(B))가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다른 합성 수지나 고무, 또는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결정핵제, 안료, 염산흡수제 등의 첨가물이나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각 성분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예컨대 헨쉘 믹서, 밴버리 믹서, 텀블러 믹서 등의 혼합기로 블렌딩한 후, 1축 내지는 2축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 형상으로 만들어 시트 성형기나 사출 성형기 등의 공지의 성형기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성분을 건식 블렌딩한 상태에서 성형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성분을 블렌딩하는 방법 이외에, 중합의 단계에서 각 성분을 제조하는 소위 다단중합의 방법에 의해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필름 또는 시트, 적층체, 연신 필름]
상기의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은 통상의 폴리올레핀의 필름 또는 시트 성형에 사용되는 T-다이 성형기, 압출 라미네이션 성형기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트 또는 필름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성형성이 양호하고, 또한 투명성, 열밀봉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0.1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부터 얻어지는 50㎛의 두께를 갖는 필름의 ASTM D1003에 준하여 측정되는 헤이즈(haze)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시트를 또한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연신 필름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연신 배율은 1방향당 예컨대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연신 필름일 경우에는, 바람직한 두께는 0.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이다.
또,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금속박과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고, 그 경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어도 1층 사용되어 있으면 된다. 적층되는 다른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그 연신 필름이나, 이들 필름에 알루미늄이나 규소 화합물을 증착한 금속 증착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 층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는, 공지의 공압출법 또는 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의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시트, 또는 그 연신 필름에, 직접 알루미늄이나 규소 화합물을 증착하고, 금속 증착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들도 본 발명의 적층체의 1태양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X층, 다른 수지나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Y층으로 하면, 예컨대 X층/Y층, X층/Y층/X층의 조합 등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Y층은 2층 이상의 적층일 수도 있다. 또한 X층과 Y층 사이는 직접 접촉하고 있을 수도 있고,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체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1층당 0.1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이다. 또, 상기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나 금속박의 층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1층당 0.1 내지 2000㎛이다.
또, 적층체를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한 연신 필름일 경우에는, 당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1층당 0.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이다.
또, 상기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나 금속박의 두께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1층당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정도이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본 발명의 적층체, 이 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은 투명성, 열밀봉성이 요망되는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야채, 과자, 빵 등의 식품이나 섬유 등의 포장용 필름, 또는 화장품 시트 등의 투명 케이스로서도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시트가 적층체일 경우에는, 최외층 중 적어도 1개가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체이면,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열밀봉 가능한 밀봉재(sealant)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이용예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의 적어도 편면에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을 적층한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이렇게 함에 따라, 투명성, 강성, 열밀봉성이 우수한 적층체로 된다.
적층체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으로서는 필름용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아이소택틱·인덱스 I.I(비등 n-헵테인 불용성분)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9%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의 밀도는 0.89 내지 0.92g/cm3, MFR(230℃)이 0.1 내지 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으로서는, 통상,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소량, 예컨대 5몰%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 내지 20인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은 종래 공지의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 촉매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에는 내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과, 상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을 공압출하는 방법, 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를 용융압출하여 얻어진 필름(기재층) 상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을 용융압출하여 적층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층당 통상 0.1 내지 2000㎛ 정도이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층당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정도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적층체를 종축 또는 횡축 방향으로 1축 연신하거나, 또는 종축, 횡축 방향으로 각각 또는 동시에 2축 연신할 수도 있다.
연신 배율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1방향당 통상 1.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본 발명의 적층체에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의 보다 바람직한 두께는 1층당 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1층당 0.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이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된 것일 경우에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의 보다 바람직한 두께는 1층당 5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1층당 0.1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적층체는 열밀봉성이 우수하다. 특히, 저온에서도 열밀봉 가능하고, 광범위한 온도에서 열밀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열밀봉 강도도 우수하다. 또한, 이 필름은 장기간 보관한 경우에도, 그 열밀봉 온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아, 안정된 열밀봉 작업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 또는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된 적층체는 최외층 중 적어도 1개가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체이면, 상기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열밀봉 가능한 밀봉재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 또는 연신된 적층체는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등에도 우수하여, 고속 포장할 수 있으며, 식품 포장, 충전 포장, 섬유 포장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장용 재료]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이하 「필름, 시트(1)」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체, (이하 「적층체(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필름, 시트(1)」 또는 「적층체(2)」를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이하 「연신 필름(3)」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을 상기한 바와 같은 포장용 재료로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포장용 재료로서는 시트 형상의 재료, 용기 형상의 재료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용기 형상의 재료로서는 자루 형상의 재료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포장용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이 밀봉재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필름, 시트(1)」, 「적층체(2)」 및 「연신 필름(3)」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재료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끼리를 마주 대하도록 하여 중첩하고, 이 중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열밀봉하여 얻어지는 포장용 재료.
상기 「필름, 시트(1)」, 「적층체(2)」 및 「연신 필름(3)」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 이상의 재료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끼리를 마주 대하도록 하여 중첩하고, 이 중첩 부분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열밀봉하여 얻어지는 포장용 재료.
상기 「필름, 시트(1)」, 「적층체(2)」 및 「연신 필름(3)」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면이 안쪽으로 오도록 접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끼리를 마주 대하게 하여 중첩하고, 이 중첩 부분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열밀봉하여 얻어지는 포장용 재료.
최외층의 한쪽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최외층의 또 다른 한쪽이 상기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으로 이루어지는 층인 본 발명의 적층체(「적층체(2)」)의, 당해 한쪽의 최외층과 당해 또 다른 한쪽 최외층이 겹치도록 하고, 겹침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열밀봉하여 얻어지는 포장용 재료.
상기 「필름, 시트(1)」, 「적층체(2)」 및 「연신 필름(3)」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덮개재의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과, 컵 형상물이 열밀봉되어 이루어지는 포장용 재료. 이 경우, 상기 컵 형상물에서, 상기 덮개재와 열밀봉되는 표층은, 예컨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 형상물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종래 공지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지만, 아이소택틱·인덱스 I.I(비등 n-헵테인 불용 성분)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9%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컵 형상물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밀도는 0.89 내지 0.92g/cm3, MFR(230℃)이 0.1 내지 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통상,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소량, 예컨대 5몰%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헥사데센,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 내지 20인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다.
상기 컵 형상물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종래 공지의 고체상 타이타늄 촉매 성분 또는 메탈로센 화합물 촉매 성분을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 컵 형상물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는, 내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대전방지제 등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수지,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 중합체(A), 프로필렌 공중합체(B), 올레핀 공중합체(C)의 물성 측정]
(1) 에틸렌 함량, 프로필렌 함량, 1-뷰텐 함량은 13C-NMR를 이용하여 구했다.
(2) 분자량 분포(Mw/Mn)
분자량 분포(Mw/Mn)는 밀리포어사제 GPC-150C를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즉, 직경 27mm, 길이 600mm의 분리 컬럼(TSK GNH HT)을 사용하고, 컬럼 온도 를 140℃로 하고, 이동상에는 o-다이클로로벤젠(와코쥰야쿠 공업) 및 산화방지제로서 BHT(다케다 약품) 0.025중량%를 사용하여 1.0ml/분으로 이동시키고, 시료 농도는 0.1중량%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500μl로 하고, 검출기로서 시차 굴절계를 사용했다.
(3) 융점(Tm)
퍼킨엘머사제 DSC-7형 장치(시차 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즉, 시료 약 5mg을 알루미늄 팬에 채워넣고 (1) 200℃까지 승온하고,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2) 10℃/분으로 -40℃까지 냉각하고, -4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3) 10℃/분으로 승온할 때의 (3)에서 얻어지는 흡열곡선으로부터 구했다.
(4)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프로필렌 중합체(A), 프로필렌 공중합체(B), 프로필렌·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프로필렌을 제외함) 공중합체(C1)에 대해서는, ASTMD-1238에 준거하여, 230℃, 2.16kg 하중으로 측정했다.
또, 1-뷰텐·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1-뷰텐을 제외함) 공중합체(C2)에 대해서는, ASTMD-1238에 준거하여, 190℃, 2.16kg 하중으로 측정했다.
[필름의 물성 측정]
(1) 헤이즈
ASTM D1003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2) 블로킹성
ASTM D1893에 준하여, 필름을 50℃에서 3일간 유지하고, 방냉한 후, 측정했다.
(3) 열밀봉성
필름의 밀봉층 끼리를 마주 대하고, 소정의 온도에서, 압력 0.2MPa, 밀봉 시간 1.0초의 조건에서 열밀봉을 행했다. 그 후, 15mm의 스트립 모양으로 재단한 시험편의 층 사이를 180도 방향으로 300mm/분의 속도로 박리시키고, 그때의 박리강도를 측정하여, 그 값을 열밀봉 강도(N/15mm)로 했다.
[성형성]
수지 조성물을 T-다이 시트를 사용하여 성형할 때의 칠 롤(chill roll)에 대한 달라붙음 상태를 관찰하고, 양호한 것을 ○, 달라붙음이 관찰된 것을 ×로 했다.
(칠 롤의 온도: 30℃)
[ 실시예 1 ]
융점 161℃, MFR 7.0g/10분의 호모 폴리프로필렌 10중량%, 융점 138℃, MFR 7.0g/10분의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랜덤 폴리프로필렌) 60중량%, MFR 7.0g/10분, 융점 75℃, 1-뷰텐 함량 23몰%의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프 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30중량%로 이루어지는 원료를 용융 혼련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밀봉층 수지로 하고, 융점 161℃, MFR 3.0g/10분의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코어층 수지로서 사용하고, 30mmφ 및 25mmφ의 압출기를 구비한 다이 폭 200mm의 2종 2층 T-다이 성형기로 두께 1mm의 다층 시트를 얻었다. 여기에서, 밀봉층 두께는 0.1mm, 코어층 두께는 0.9mm로 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시트를 2축 연신기를 사용하여, 160℃, 인장속도 10m/분의 속도로, 종방향으로 5배, 횡방향으로 10배로 종, 횡의 순으로 차례차례 연신함으로써, 두께 20㎛의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낸다.
[ 실시예 2, 3, 4, 비교예 1, 2, 3]
수지 조성을 표 1에 기재한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5130316-PCT00001
h-PP; 융점 161℃, MFR 7.0g/10min, 호모 폴리프로필렌
r-PP; 융점 138℃, MFR 7.0g/10min, 랜덤 폴리프로필렌
m-PBR; 융점 75℃, MFR 7.0g/10min,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함량 23몰%, 분자량 분포(Mw/Mn) 2.1
Figure 112008015130316-PCT00002
h-PP; 융점 161℃, MFR 7.0g/10min, 호모 폴리프로필렌
r-PP; 융점 138℃, MFR 7.0g/10min, 랜덤 폴리프로필렌
m-PBR; 융점 75℃, MFR 7.0g/10min,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함량 23몰%, 분자량 분포(Mw/Mn) 2.1
[ 실시예 5, 6, 비교예 4, 5]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대신에,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미쓰이 화학 주식회사제 뷰론(BEAULON)(등록상표) BL3450), 이하 BER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를 1성분으로 하고, BER과 h-PP와 r-PP를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사용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15130316-PCT00003
h-PP; 융점 161℃, MFR 7.0g/10min, 호모 폴리프로필렌
r-PP; 융점 138℃, MFR 7.0g/10min, 랜덤 폴리프로필렌
BER; 융점 104℃, MFR 4.0g/10min,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5몰%, 분자량 분포(Mw/Mn) 4.9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은 투명성, 열밀봉성이 우수하고, 식품 등의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사용에 적합하여, 그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극히 높다.

Claims (10)

  1. 시차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이 150℃ 이상의 프로필렌 중합체(A) 1 내지 50중량%, 융점(Tm)이 100℃ 이상 150℃ 미만인 프로필렌 공중합체(B) 10 내지 90중량%,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 또는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 중 어느 한쪽을 (a) 50몰% 이상과, (b) 상기 구성단위 (a) 이외이고,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을 50몰% 이하(여기에서 (a)와 (b)의 합계는 100몰%)로 이루어지고, 융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올레핀 공중합체(C) 1 내지 80중량%(여기에서 (A), (B), (C)의 합계는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C)에서 (a)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올레핀 공중합체(C1-1), 또는 (a)가 1-뷰텐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올레핀 공중합체(C2-1)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C)에서 (a)가 프로필렌 유래의 구성단위이고, (b)가 탄소수 4 내지 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성단위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인 올레핀 공중합체(C1-1)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부터 형성되는 필름 또는 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가 0.1 내지 2000㎛인 필름 또는 시트.
  6. 제 4 항에 따른 필름 또는 시트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되어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적층체.
  8. 제 7 항에 있어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Z)층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층이 적어도 편면 상에 적층된 적층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최외층 중 적어도 1층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X)로 이루어지는 층인 적층체.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체가 적어도 1축 방향으로 1.5배 이상 연신되어서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
KR1020087005068A 2005-08-02 2006-07-27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KR20080039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23536 2005-08-02
JPJP-P-2005-00223536 2005-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962A true KR20080039962A (ko) 2008-05-07

Family

ID=3770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068A KR20080039962A (ko) 2005-08-02 2006-07-27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68221A1 (ko)
EP (1) EP1911803A4 (ko)
JP (1) JP5276323B2 (ko)
KR (1) KR20080039962A (ko)
CN (1) CN101233185A (ko)
AU (1) AU2006276538A1 (ko)
CA (1) CA2617251A1 (ko)
TW (1) TW200714655A (ko)
WO (1) WO20070154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7036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KR20170108955A (ko) * 2015-02-03 2017-09-27 다이아플러스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KR20190102078A (ko) * 2017-03-29 2019-09-0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전지용 적층체
KR20190111902A (ko) * 2017-02-07 2019-10-0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2036B2 (ja) * 2008-05-23 2012-10-31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KR100951769B1 (ko) * 2009-10-09 2010-04-09 주식회사 젠켐 도료용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지 성형품
US9566770B2 (en) 2010-11-10 2017-02-14 Mitsui Chemicals, Inc. Polyolefin composite film
US8173748B1 (en) 2010-12-17 2012-05-08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eat-seal resin and package formed therefrom
EP2540499B1 (en) * 2011-06-27 2014-02-26 Borealis AG Multi-layer biaxially oriented polymer film
EP2586824B1 (en) 2011-10-31 2016-09-14 Borealis AG Polypropylene blend with improved balance between SIT and melting point
JP6090137B2 (ja) * 2013-12-05 2017-03-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6600636B2 (ja) * 2014-09-30 2019-10-30 三井化学株式会社 延伸積層フィルム
KR102460745B1 (ko) * 2015-01-16 2022-10-28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적층체, 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적층체 원료용 시트
JP6943044B2 (ja) * 2016-08-02 2021-09-2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8140625A (ja) * 2017-02-24 2018-09-13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1666A (ja) * 2017-12-21 2019-07-11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11727A (ja) * 2017-12-22 2019-07-11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8006662U1 (de) 2018-04-10 2021-11-29 Enzpire Industry Co., Ltd. Nicht extrahierbarer und faserfreier lebensmittelölentfernender Film
US11370901B2 (en) 2018-04-10 2022-06-28 Enzpire Industry Company Limited Non-extractable and fiber-free food oil removing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W202037489A (zh) * 2019-01-29 2020-10-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聚丙烯系樹脂多層膜以及包裝體
WO2022102706A1 (ja) * 2020-11-13 2022-05-19 株式会社エフピコ ポリプロピレン多層シート
CA3199705A1 (en) * 2020-11-24 2022-06-02 Masafumi Asano Lid material for ptp and ptp body
CN113580705B (zh) * 2021-07-29 2023-03-17 海南赛诺实业有限公司 一种超低温热封耐磨型bopp薄膜及其制备方法
CN115991036B (zh) * 2021-10-20 2024-09-17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电磁屏蔽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202327892A (zh) * 2021-11-12 2023-07-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包裝材料用樹脂積層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1B2 (ja) * 1986-07-11 1995-01-11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イルム
US4786562A (en) * 1986-07-11 1988-11-22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multi-layer film
US5910539A (en) * 1995-09-14 1999-06-08 Mitsui Chemicals, Inc. Polyolef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JP3910429B2 (ja) * 2001-12-06 2007-04-25 東セロ株式会社 オーバーラップ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4675629B2 (ja) * 2003-03-28 2011-04-27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用途
DE102004039453B4 (de) * 2003-08-20 2021-08-19 Sumitomo Chemical Co. Ltd. Polymerzusammensetzung und Folie dara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955A (ko) * 2015-02-03 2017-09-27 다이아플러스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올레핀계 화장 시트용 필름
KR20170067036A (ko) * 2015-12-07 2017-06-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KR20190111902A (ko) * 2017-02-07 2019-10-0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90102078A (ko) * 2017-03-29 2019-09-0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전지용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1803A1 (en) 2008-04-16
EP1911803A4 (en) 2009-07-15
WO2007015415A1 (ja) 2007-02-08
US20080268221A1 (en) 2008-10-30
TW200714655A (en) 2007-04-16
CN101233185A (zh) 2008-07-30
JP5276323B2 (ja) 2013-08-28
AU2006276538A1 (en) 2007-02-08
JPWO2007015415A1 (ja) 2009-02-19
CA2617251A1 (en)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9962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KR100491456B1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수축 필름
KR101452147B1 (ko) 폴리올레핀 복합 필름
JP2013112736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23073314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525543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成形体、シート、および容器
JP2019006461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2023010777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TW202235285A (zh) 積層膜
JP5766206B2 (ja) 二軸延伸エチレン系重合体多層フィルム
KR20080089611A (ko) 폴리프로필렌계 단층 필름 및 그 용도
JP6717639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19006463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4892784B2 (ja) レトルト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4611149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フィルム
JP4574462B2 (ja) ポリプロピレン多層延伸フィルム
JP3900688B2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のシーラント層用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JP6639306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JP2024110525A (ja) レトルト包装用積層体
JP2019006460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