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078A - 전지용 적층체 - Google Patents

전지용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078A
KR20190102078A KR1020197023743A KR20197023743A KR20190102078A KR 20190102078 A KR20190102078 A KR 20190102078A KR 1020197023743 A KR1020197023743 A KR 1020197023743A KR 20197023743 A KR20197023743 A KR 20197023743A KR 20190102078 A KR20190102078 A KR 2019010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mol
ethylene
structural uni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614B1 (ko
Inventor
다카히로 마에다
요시유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8Metal shee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3Natural or synthetic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01M2/0287
    • H01M2/06
    • H01M2/0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1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4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presence of a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10Presence of inorganic materials
    • C09J2400/16Metal
    • C09J2400/163Metal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Fuel Cell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적어도 하기 (1)∼(4)를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과, 금속제 기재층을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
(1) 상기 접착제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를 40∼94중량%, 뷰텐 함유 공중합체(B)를 3∼3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3∼30중량%(단,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포함한다
(2) 상기 공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이 130℃ 이상인 중합체이고,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모든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이 4∼25몰%이다
(3) 상기 공중합체(B)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몰% 미만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다
(4) 상기 공중합체(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50∼99몰%이다.

Description

전지용 적층체
본 발명은 전지용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신규한 접착제층 및 금속제 기재층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폴리프로필렌은 강성, 내열성, 투명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비극성 재료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에틸렌·바이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극성 재료나 금속과의 접착성이 부족하여, 접착성 개량을 목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을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키는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유연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접착제로서 이용할 때는 통상, 폴리프로필렌에 연질 고무 성분을 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폴리프로필렌에 연질 고무 성분을 배합함으로써, 접착성이 개선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고(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또한, 연질 고무 성분으로서 최적화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가함으로써, 열 이력 후의 접착성도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평9-11106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4-300933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7/086425호
그러나,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가 사용되는 용도도, 고온 분위기하에서 사용되는 용도, 예를 들면 전자 정보 재료 용도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해당 접착제에는, 고온 분위기하에서도 금속과의 충분한 접착력을 나타낼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인 용도로서는 식품 포장재나 건축용 자재, 태양 전지의 전극 보호 부재, 리튬 이온 전지의 포장재나 탭 리드재, 연료 전지 셀의 실링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폴리에틸렌제 세퍼레이터의 융점인 120℃ 부근에서 셧다운시키는 기구가 있고, 보다 안전성을 높일 목적으로, 120℃에 가까운 온도에서도 높은 접착력을 유지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프로필렌계 접착제층의 유연성 향상과 그에 의한 상온에서의 접착력 향상은 달성할 수 있었지만, 그와 상반되는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력이 우수한 구성은 찾아내지 못하고 있어, 수지의 내열 온도 이상으로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접착성이 우수하고, 특히, 고온하에서도 접착성이 우수한 전지용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프로필렌계 접착제층의 조성을 골똘히 궁리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기 요건(1)∼(4)를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를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1) 상기 접착제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를 40∼94중량%,
뷰텐 함유 공중합체(B)를 3∼3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3∼30중량%(단,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포함한다
(2) 상기 공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A)이 130℃ 이상인 중합체이고,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모든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이 4∼25몰%이다
(3) 상기 공중합체(B)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몰% 미만이고,
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B)이 100℃ 이하이다
(4) 상기 공중합체(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50∼99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용 적층체는,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함과 함께,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도 우수하다. 이 때문에, 해당 적층체를 이용함으로써, 전지의 사용 상한 온도를 안전하게 넓히는 것이 가능해져, 전지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전지용 적층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용 적층체(이하 「본 적층체」라고도 한다.)는,
적어도 하기 요건(1)∼(4)를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를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이다.
(1) 상기 접착제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를 40∼94중량%,
뷰텐 함유 공중합체(B)를 3∼3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3∼30중량%(단,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포함한다
(2) 상기 공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A)이 130℃ 이상인 중합체이고,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모든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이 4∼25몰%이다
(3) 상기 공중합체(B)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몰% 미만이고,
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B)이 100℃ 이하이다
(4) 상기 공중합체(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50∼99몰%이다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는 1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되고,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B)도 1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되며,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C)도 1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를 40∼94중량%, 뷰텐 함유 공중합체(B)를 3∼30중량%,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3∼30중량%(단,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는 이들 공중합체를 특정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접착제로부터 얻어지는 접착제층은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하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A)은, 130℃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mA는, 바람직하게는 130∼160℃이다.
TmA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TmA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중합체(A)로서는,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서, TmA가 130℃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A)는 하기 공중합체(C) 및 변성 폴리올레핀(D)와는 상이한 중합체이다.
또한, 이들 공중합체의 합성 시에, 프로필렌 또는 α-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여도 된다.
해당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2, 4∼2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 4∼10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다. 해당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2∼45몰%이다.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α-올레핀은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이고,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며,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 더 바람직하고, 1-뷰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해당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45∼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85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5∼80몰%이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2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2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0몰%이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3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28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28몰%이다.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모든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이하 「에틸렌 함량 Z」라고도 한다.)은, 4∼25몰%이고, 바람직하게는 5∼2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몰%이다.
에틸렌 함량 Z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에틸렌 함량 Z는,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가 1종인 경우에는, 해당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인 것을 말한다.
즉, 상기 접착제의 원료로서, 1종의 공중합체(A)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공중합체로서는, 해당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4∼25몰%인 공중합체를 이용한다. 해당 공중합체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에틸렌 함량 Z와 마찬가지의 범위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가 2종인 경우(접착제가 a중량%의 공중합체 A-1[해당 공중합체 A-1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 m몰%], 및 b중량%의 공중합체 A-2[해당 공중합체 A-2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 n몰%]를 포함하는 경우), 에틸렌 함량 Z(몰%)는 하기 식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에틸렌 함량 Z=m×a/(a+b)+n×b/(a+b)
상기 접착제의 원료로서, 2종의 공중합체(A)를 이용하는 경우, 각각의 공중합체로서는, 해당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4∼25몰%인 공중합체를 이용해도 되고, 해당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4∼25몰%를 벗어나는 공중합체를 이용해도 된다.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4∼25몰%를 벗어나는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식으로 산출되는 에틸렌 함량 Z가 4∼25몰%가 되도록, 이용하는 공중합체(A)의 사용 비율을 조절하거나, 이용하는 공중합체(A)로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소정의 값인 공중합체(A)를 이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가 3종 이상인 경우도, 에틸렌 함량 Z는 상기 2종의 공중합체(A)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산출된다.
공중합체(A)의 멜트 플로 레이트(MFR)〔ASTM D 1238(온도: 230℃, 하중: 2.16kg)〕는, 바람직하게는 0.1∼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보다 접착력이 높은 접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A)의 JIS K7112에 기초하여 측정한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6∼0.91g/cm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7∼0.91g/cm3이다.
공중합체(A)의 분자량 분포(Mw/Mn)는, 바람직하게는 1.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4.0이다.
분자량 분포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중합체(A)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에 있어서의 공중합체(A)의 함량은,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 100중량%에 대하여, 40∼94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0∼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0중량%이다.
공중합체(A)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 100중량%에 대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70중량%이다.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뷰텐 함유 공중합체(B)]
상기 뷰텐 함유 공중합체(B)는, 뷰텐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몰% 미만인 공중합체이지만, 프로필렌·뷰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B)는 하기 변성 폴리올레핀(D)와는 상이한 중합체이다.
공중합체(B)의 뷰텐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3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28몰%이다.
공중합체(B)의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70∼9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2∼88몰%이다.
공중합체(B)의 DSC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TmB)은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00℃이다.
TmB가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적층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TmB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중합체(B)의 MFR〔ASTM D 1238(온도: 230℃, 하중: 2.16kg)〕은, 바람직하게는 0.1∼5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보다 접착력이 높은 접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B)의 JIS K7112에 기초하여 측정한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6∼0.90g/cm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7∼0.90g/cm3이다.
공중합체(B)의 분자량 분포(Mw/Mn)는, 바람직하게는 1.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4.0이다.
공중합체(B)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에 있어서의 공중합체(B)의 함량은,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 100중량%에 대하여, 3∼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중량%이다.
공중합체(B)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50∼99몰%인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C)는 하기 변성 폴리올레핀(D)와는 상이한 중합체이다.
공중합체(C)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60∼9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0몰%이다.
상기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 보다 바람직하며, 프로필렌 또는 뷰텐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C)의 α-올레핀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4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몰%이다.
상기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공중합체(C)의 MFR〔ASTM D 1238(온도: 230℃, 하중: 2.16kg)〕은, 바람직하게는 0.1∼7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0g/10분이다.
MFR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유연성과 기계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고, 보다 접착력이 높은 접착제층을 얻을 수 있다.
공중합체(C)의 JIS K7112에 기초하여 측정한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5∼0.90g/cm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89g/cm3이다.
공중합체(C)의 분자량 분포(Mw/Mn)는, 바람직하게는 1.5∼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4.0이다.
공중합체(C)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에 있어서의 공중합체(C)의 함량은,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 100중량%에 대하여, 3∼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2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5중량%이다.
공중합체(C)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상온하 및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균형 있게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D)]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는, 얻어지는 접착제층과 금속제 기재층의 접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접착제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D)는 1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변성 폴리올레핀(D)는, 폴리올레핀(이하 「줄기(幹) 중합체」라고도 한다. 해당 줄기 중합체는, 변성 폴리올레핀(D)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제외한 구조 단위이기도 하다.)을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로 변성시켜 얻어지고, 해당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한다.
변성 폴리올레핀(D)에서는, 줄기 중합체를 2종 이상 이용해도 된다.
상기 줄기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d1),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d2)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d3)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d1)은, 예를 들면,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또한, 몇 가지의 상이한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해당 α-올레핀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및 탄소수 4∼20의 α-올레핀을 들 수 있고, 이들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틸렌 및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 및 탄소수 4∼8의 α-올레핀이 보다 적합하다. 여기에서,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적어도 50몰% 이상이고 100% 미만이다.
폴리프로필렌(d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d1)로서는, 결정성의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공중합체의 경우에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d2)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45∼89몰%,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25몰%, 탄소수 4∼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1∼30몰% 함유한다.
해당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4∼10의 α-올레핀이 바람직하다. 해당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공중합체(d2)에 있어서,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22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몰%이고,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0∼8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0몰%이며,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5∼2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8몰%이다.
공중합체(d2)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d2)로서는, 랜덤 공중합체여도,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성형성을 만족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d3)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50∼99몰%, 탄소수 3∼20의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를 1∼50몰% 함유한다.
해당 α-올레핀으로서는, 탄소수 3∼10의 α-올레핀이 보다 적합하다. 해당 α-올레핀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공중합체(d3)에 있어서,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55∼98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95몰%이고,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45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5∼40몰%이다.
공중합체(d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의 주지의 촉매를 이용한 주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d3)으로서는, 결정성의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랜덤 공중합체여도,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성형성이 우수하고, 얻어지는 적층체가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입체 규칙성이나 분자량에 특단의 제한은 없다.
시판되는 수지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줄기 중합체 중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90∼10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5∼100몰%이다.
상기 줄기 중합체 중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내열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카복실산기를 1개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카복실산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과 알킬 알코올의 에스터, 무수 카복실산기를 1개 이상 갖는 불포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기로서는, 바이닐기, 바이닐렌기, 불포화 환상 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불포화 다이카복실산 또는 그의 산 무수물이 적합하고, 특히 말레산, 나딕산 또는 이들의 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변성 폴리올레핀(D)에 있어서의,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은, 상기 줄기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3.5중량부이다.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성형성과 접착성의 균형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줄기 중합체를 변성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줄기 중합체와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이용한 그래프트 중합이 바람직하다.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그래프트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액법, 용융 혼련법 등, 종래 공지의 그래프트 중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줄기 중합체를 용융시키고, 거기에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첨가하여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 줄기 중합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으로 하고, 거기에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첨가하여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D)는, 소량의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를 그래프트한 후, 불포화 카복실산 및/또는 그의 유도체 유래의 구조를 추가로 다이아민, 카보다이이미드 등으로 수식해도 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에 있어서의 변성 폴리올레핀(D)의 함량은,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15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3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12중량부이다.
변성 폴리올레핀(D)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금속제 기재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상기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강성을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프로필렌 단독공중합체, 상기 중합체(A)∼(D) 이외의 공중합체, 또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등을 적절히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성형성을 조정하는 등의 목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나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을 적절히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중화제, 조핵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안티블로킹제, 활제, 점착 부여제, 취기(臭氣) 흡착제, 항균제, 안료, 무기질 및 유기질의 충전제, 여러 가지의 합성 수지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접착제에는, 특히, 점착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이른바 점착 부여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 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및 이들의 수소화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는, 수소화 테르펜 수지, 수소화 석유 수지가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제의 배합량은, 접착제 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2∼30중량%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
상기 접착제는, 상기 공중합체(A)∼(C), 및 필요에 따라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D) 및 상기 그 밖의 성분을,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헨셸 믹서, V 블렌더, 리본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는 방법,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등으로 용융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으로 얻어진 혼합물이나 용융 혼련으로 얻어진 용융 혼련물을 조립(造粒) 또는 분쇄해도 된다.
상기 접착제의 ASTM D 1238(온도: 230℃, 하중: 2.16kg)에 기초하는 MF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층(I)의 성형성이 우수한 접착제가 되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100g/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g/10분이다.
상기 접착제의 JIS K7112에 기초하여 측정한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85∼0.91g/cm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6∼0.90g/cm3이다.
<전지용 적층체>
본 적층체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를 가지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다른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적층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는 등의 점에서, 상기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는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층이고,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층체는 전지에 사용되지만, 해당 전지로서는, 태양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및 연료 전지가 바람직하다.
본 적층체의 구체적인 용도로서는, 태양 전지의 봉지재(유리와 셀 사이의 봉지재)나 알루미늄 프레임의 고정재, 색소 증감 태양 전지의 활물질끼리를 고정하는 바인더나 투명 전극과 활물질을 고정하는 접착층, 리튬 이온 전지의 포장재(알루미늄과 실란트 PP 사이의 접착층), 탭 리드재(알루미늄이나 구리와 실란트 PP 사이의 접착층), 연료 전지 셀의 세퍼레이터(타이타늄이나 스테인리스 등)끼리의 접착층, 연료 전지 셀의 세퍼레이터와 각종 개스킷 사이의 접착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적층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5μm∼1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50mm이다.
본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의 접착력(180° 필(peel)법, 인장 시험기, 23℃, 크로스헤드 스피드: 200mm/min)은, 바람직하게는 50∼500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300N/20mm이다.
해당 접착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적층체는 상온하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라고 할 수 있다.
본 적층체에 있어서의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의 접착력(180° 필법, 인장 시험기, 110℃, 크로스헤드 스피드: 200mm/min)은, 바람직하게는 50∼500N/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300N/20mm이다.
해당 접착력이 상기 범위에 있는 적층체는 고온 분위기하에서의 접착성이 우수한 적층체라고 할 수 있다.
본 적층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를 용융시키고, 용융 상태에서 금속제 기재층(II)와 적층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용융 상태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를 금속 필름, 금속판, 금속관 등의 금속제 기재층(II)의 표면 상에 코팅하는 방법이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로부터 미리 필름 또는 시트상 등으로 성형한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해당 접착제층과 금속제 기재층(II)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해당 접착제층을 용융시킴으로써 적층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의 접착제층을 용융시키는 데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는 공지의 수단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히트 프레스, 버너, 고주파 가열, 레이저 가열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충분한 접착성을 갖는 전지용 적층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5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0μm이다.
[금속제 기재층(II)]
상기 금속제 기재층(II)는, 금, 구리, 철, 크로뮴, 아연, 코발트, 알루미늄, 타이타늄, 주석, 인듐, 마그네슘,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및 규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제 기재층(II)는, 이들 중 1개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이나 금속박, 이들 중 2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판이나 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원소로서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타이타늄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제 기재층(II)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μm∼1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μm∼50mm이다.
[다른 층]
상기 다른 층으로서는, 무기물층, 열가소성 수지층, 가스 배리어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물층으로서는, 금속제 기재층(II)의 표면을 피복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무기물층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금속제 기재층(II)를 구성하는 원소로서 들었던 금속 원소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산화물, 질화물, 질산화물, 황화물, 인화물, 인산화물, 인질화물 및 인질산화물 등의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다.
해당 금속 원소로서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타이타늄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는, 하기 배리어층 이외의 여러 가지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 폴리유레테인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그래프트 변성되어 있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층, 열가소성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층, 폴리에스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은, 해당 층을 형성하는 원료의 조성을 조정하여, 인쇄성이나 용이접착성, 증착성을 부여한 층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이소프탈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등의 다이카복실산이나 옥시카복실산(예: p-옥시벤조산)과, 에틸렌 글라이콜, 프로필렌 글라이콜, 뷰테인다이올,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네오펜틸 글라이콜 등의 지방족 글라이콜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이카복실산, 옥시카복실산 및 지방족 글라이콜은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계 수지의 대표예로서는, 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다이카복실레이트(PEN), 폴리뷰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를 들 수 있다. 또한, 해당 수지는, 호모폴리머 외에, 30몰% 이하의 제 3 성분을 함유하는 코폴리머여도 된다.
상기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여러 가지 공지의 수지,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 비누화물(EVOH), 폴리아마이드 수지(PA), 폴리염화 바이닐리덴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배리어성이 우수한 수지를 이용한 배리어 수지층을 들 수 있다.
상기 EVOH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함유율 15∼70몰%의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비누화도 90∼100%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PA로서는, 예를 들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2, 나일론 11, MXD 나일론, 어모퍼스 나일론, 공중합 나일론을 들 수 있다.
본 적층체가 상기 다른 층을 갖는 경우의 구성예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기재층(II)/접착제층(I)/배리어층; 기재층(II)/접착제층(I)/배리어층/접착제층(I)/기재층(II); 기재층(II)/접착제층(I)/배리어층/접착제층(I)/열가소성 수지층 등의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예로 전혀 제약되지 않는다.
[MFR]
ASTM D1238에 따라, 230℃, 2.16kg 하중하, MFR을 측정했다.
[밀도]
JIS K7112에 준거하여 밀도를 측정했다.
[융점(Tm)]
하기 방법에 의해 시차 주사 열량 측정함으로써, 하기 접착제의 원료로서 이용한 공중합체의 Tm을 측정했다.
시료 5mg 정도를 전용 알루미늄 팬에 채우고, (주)퍼킨엘머제 DSCPyris1 또는 DSC7을 이용하여, 30℃로부터 200℃까지 320℃/min으로 승온하고, 20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200℃로부터 30℃까지 10℃/min으로 강온하고, 30℃에서 5분간 더 유지하고, 이어서 10℃/min으로 승온할 때의 흡열 곡선으로부터 융점을 구했다.
측정 시에, 복수의 피크가 검출된 경우는, 가장 고온측에서 검출되는 피크 온도를 융점(Tm)이라고 정의했다.
[폴리머의 조성]
하기 접착제의 원료로서 이용한 공중합체 중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 에틸렌 유래의 구조 단위 및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은, 13C-NMR에 의해 이하의 장치 및 조건에서 측정했다.
프로필렌, 에틸렌 및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의 정량화는, 니혼전자(주)제 JECX400P형 핵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하고, 용매로서 중오쏘다이클로로벤젠/중벤젠(80/20용량%) 혼합 용매를 이용하고, 시료 농도를 60mg/0.6mL, 측정 온도를 120℃, 관측 핵을 13C(100MHz), 시퀀스를 싱글 펄스 프로톤 디커플링, 펄스 폭을 4.62μ초(45° 펄스), 반복 시간을 5.5초, 적산 횟수를 8000회, 29.73ppm을 케미컬 시프트의 기준값으로 하는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에틸렌 함량 Z]
하기 접착제에 이용한 공중합체(A)의 사용량과, 상기 폴리머의 조성에서 측정한 해당 공중합체(A) 중의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으로부터, 상기 식에 기초하여,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에틸렌 함량 Z)을 산출했다.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양(그래프트량)은, 적외선 흡수 분석 장치에 의해, 해당 구조 단위에서 유래하는 피크(무수 말레산을 이용한 경우는 1790cm- 1)의 강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정량했다.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분자량 분포(Mw/Mn)]
하기 접착제의 원료로서 이용한 공중합체의 Mw 및 Mw/Mn은, 도소(주)제 TSKgelGMH6-HT×2개 및 TSKgelGMH6-HTL×2개(칼럼 사이즈는 모두 직경 7.5mm, 길이 300mm)를 직렬 접속한 칼럼을 이용하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Waters사제, Alliance/GPC2000형)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이동상 매체는 0.025중량%의 산화 방지제(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 다케다약품공업(주)제) 함유 o-다이클로로벤젠을 이용하고, 시료 농도를 0.15%(V/W), 유속을 1.0mL/분, 온도를 140℃로 하는 조건하에서 측정을 행했다. 표준 폴리스타이렌은, 분자량이 500∼20,600,000인 경우에 대해서는 도소(주)제를 이용했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은 Waters사제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 Empower2를 이용하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표준 폴리스타이렌 샘플을 사용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수 평균 분자량(Mn), Mw 및 Mw/Mn을 산출했다.
(사용한 폴리올레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사용한 폴리올레핀을 이하에 나타낸다. 한편, 특별히 부정하지 않는 한, 이들 폴리올레핀은 모두 통상적 방법에 따라 중합을 행하여 조제했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
· PP: 랜덤 폴리프로필렌
(MFR=7.0g/10분, 밀도=0.90g/cm3, 에틸렌 함량=3mol%, 프로필렌 함량=96mol%, 뷰텐 함량=1mol%, 융점=140℃)
· PBER: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MFR=7.0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13mol%, 프로필렌 함량=68mol%, 뷰텐 함량=19mol%, 융점=140℃, Mw/Mn=2.1)
[뷰텐 함유 공중합체(B)]
· PBR-1: 프로필렌·뷰텐 랜덤 공중합체
(MFR=7.0g/10분, 밀도=0.88g/cm3, 프로필렌 함량=74mol%, 뷰텐 함량=26mol%, 융점=75℃, Mw/Mn=2.1)
· PBR-2: 프로필렌·뷰텐 랜덤 공중합체
(MFR=7.0g/10분, 밀도=0.89g/cm3, 프로필렌 함량=85mol%, 뷰텐 함량=15mol%, 융점=98℃, Mw/Mn=2.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
· EPR: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FR=8.0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80mol%, 프로필렌 함량=20mol%, Mw/Mn=2.1)
· EBR: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MFR=8.0g/10분, 밀도=0.87g/cm3, 에틸렌 함량=85mol%, 뷰텐 함량=15mol%, Mw/Mn=2.1)
[변성 폴리올레핀(D)]
· 변성 PP: 변성 아이소택틱 호모폴리프로필렌
(MFR=100g/10분, 밀도 0.90g/cm3, 무수 말레산 그래프트량=3.0wt%)
[실시예 1]
<프로필렌계 접착제의 제조>
PP(45중량%)와, PBER(20중량%)과, PBR-1(10중량%)과, EPR(20중량%)과, 변성 PP(5중량%)를, 일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30℃에서 용융 혼련하여, 프로필렌계 접착제를 얻었다. 얻어진 프로필렌계 접착제의 MFR은 8.2g/10분이고, 밀도는 0.89g/cm3였다.
<전지용 적층체의 제조와 접착력>
T 다이 부착 압출 성형기에 의해,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접착제로부터 두께 50μm의 필름을 성형했다. 얻어진 필름을 두께 300μm의 2매의 알루미늄박으로 협지하고, 히트 실러로 160℃, 0.1MPa의 조건에서 5초간 히트 실링했다. 얻어진 다층 필름을 20mm 폭으로 자르고, 알루미늄박과 접착제층의 접착력(단위: N/20mm)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180° 필법으로, 실온 23℃하 또는 110℃하에서 측정했다. 크로스헤드 스피드는 200mm/min으로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4, 비교예 1∼3]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에 따라서 프로필렌계 접착제를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접착제를 조제하고, 얻어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여, 그 접착력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12)

  1. 적어도 하기 요건(1)∼(4)를 만족시키는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층(I)과, 금속제 기재층(II)를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
    (1) 상기 접착제가, 프로필렌계 공중합체(A), 뷰텐 함유 공중합체(B)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C)를 포함하고, 이들의 합계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공중합체(A)를 40∼94중량%,
    상기 공중합체(B)를 3∼30중량%,
    상기 공중합체(C)를 3∼30중량% 포함한다
    (2) 상기 공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이 130℃ 이상인 중합체이고,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모든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구조 단위의 총합 100몰%에 대한,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의 총합이 4∼25몰%이다
    (3) 상기 공중합체(B)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1몰% 미만이고,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되는 융점이 100℃ 이하이다
    (4) 상기 공중합체(C)는,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량이 50∼99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접착제가, 상기 공중합체(A), (B) 및 (C)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변성된 변성 폴리올레핀(D)를 0.1∼15중량부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A)가, 상기 접착제에 포함되는 공중합체(A) 100중량%에 대하여,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10중량% 이상 포함하고, 해당 α-올레핀의 탄소수는 4 이상인, 전지용 적층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인, 전지용 적층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D)가,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제외한 구조 단위 100중량부에 대하여,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0.01∼5중량부 함유하고,
    또한, 변성 폴리올레핀(D)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의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제외한 구조 단위에 있어서의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이 90∼100몰%인,
    전지용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A)가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고,
    해당 α-올레핀의 탄소수가 2, 4∼20이며,
    상기 공중합체(A)는, 해당 α-올레핀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량이 1∼55몰%이고, ASTM D 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50g/10분인,
    전지용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B)는, 뷰텐 유래의 구조 단위를 10∼30몰%, 프로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90∼70몰% 함유하고, ASTM D 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50g/10분인,
    전지용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C)의 ASTM D 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한 멜트 플로 레이트가 0.1∼70g/10분인,
    전지용 적층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태양 전지인, 전지용 적층체.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리튬 이온 전지인, 전지용 적층체.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가 연료 전지인, 전지용 적층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기재층(II)가, 금, 구리, 철, 크로뮴, 아연, 코발트, 알루미늄, 타이타늄, 주석, 인듐, 마그네슘, 몰리브데넘, 망가니즈 및 규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하는, 전지용 적층체.
KR1020197023743A 2017-03-29 2018-03-01 전지용 적층체 KR102277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5000 2017-03-29
JP2017065000 2017-03-29
PCT/JP2018/007746 WO2018180165A1 (ja) 2017-03-29 2018-03-01 電池用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078A true KR20190102078A (ko) 2019-09-02
KR102277614B1 KR102277614B1 (ko) 2021-07-15

Family

ID=6367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43A KR102277614B1 (ko) 2017-03-29 2018-03-01 전지용 적층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85843B2 (ko)
EP (1) EP3604472B1 (ko)
JP (1) JP6776442B2 (ko)
KR (1) KR102277614B1 (ko)
CN (1) CN110300783B (ko)
TW (1) TWI758446B (ko)
WO (1) WO2018180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4853B2 (ja) * 2018-12-11 2022-09-12 三井化学株式会社 組成物層および金属層を有する複合体
WO2022172984A1 (ja) * 2021-02-10 2022-08-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ガスケット部材、ガスケット部材付き電極-電解質膜積層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WO2022196220A1 (ko) * 2021-03-15 2022-09-22
KR20240026502A (ko) * 2021-08-18 2024-02-28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성 수지 조성물 및 필름
WO2023249043A1 (ja) * 2022-06-22 2023-12-28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ならびに単層および多層フィル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933A (ja) 1991-03-28 1992-10-23 Mitsui Petrochem Ind Ltd 重合体組成物
JPH09111069A (ja) 1995-08-15 1997-04-28 Mitsui Petrochem Ind Ltd 接着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積層構造物
WO2007086425A1 (ja) 2006-01-26 2007-08-02 Mitsui Chemicals, Inc.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080039962A (ko) * 2005-08-02 2008-05-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KR20090029300A (ko) * 2006-07-13 2009-03-2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적층체, 해당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시켜 이루어지는물품, 및 물품의 표면 보호 방법
JP2016143615A (ja) * 2015-02-04 2016-08-08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92B1 (ko) 1995-08-15 2004-11-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성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및이를사용한다층적층체
JP2006193643A (ja) * 2005-01-14 2006-07-27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US7989083B2 (en) * 2005-04-28 2011-08-0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cid-modified polypropylene res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sin composition using same
EP1887026B1 (en) * 2005-06-03 2017-07-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queous resin dispers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coating material, and multilayer body
US8211568B2 (en) * 2007-03-30 2012-07-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ckaging material for flat electrochemical cell
EP2426177A1 (de) 2010-09-07 2012-03-07 Cognis IP Management GmbH Entschäumende Netzmittel für wässrige Beschichtungssysteme
US9109143B2 (en) 2010-10-15 2015-08-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based adhesive compositions
WO2014046834A1 (en) 2012-09-19 2014-03-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dhesive compositions of propylene-based and ethylene-based polymers
US9605186B2 (en) 2012-09-19 2017-03-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dhesive compositions of ethylene-based and propylene-based polymers
WO2014069356A1 (ja) * 2012-11-05 2014-05-08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用粘着テープ
EP2938687B1 (en) * 2012-12-28 2017-12-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dhesive compositions of ethylene-based and propylene-based polymers
CN105518897B (zh) 2013-09-03 2019-04-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电池用包装材料的密封层用树脂组合物
CN107210391B (zh) * 2015-02-04 2021-11-23 凸版印刷株式会社 蓄电装置用封装材料
EP3124567A1 (en) * 2015-07-30 2017-02-01 Borealis AG Polypropylene based hot-melt adhesive composition
JPWO2020218574A1 (ko) * 2019-04-25 2020-10-29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0933A (ja) 1991-03-28 1992-10-23 Mitsui Petrochem Ind Ltd 重合体組成物
JPH09111069A (ja) 1995-08-15 1997-04-28 Mitsui Petrochem Ind Ltd 接着性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積層構造物
KR20080039962A (ko) * 2005-08-02 2008-05-0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필름 또는 시트, 이 필름 또는시트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적층체 및 이적층체로부터 얻어지는 연신 필름
WO2007086425A1 (ja) 2006-01-26 2007-08-02 Mitsui Chemicals, Inc. 接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KR20080088657A (ko) * 2006-01-26 2008-10-0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제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KR20090029300A (ko) * 2006-07-13 2009-03-2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적층체, 해당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점착시켜 이루어지는물품, 및 물품의 표면 보호 방법
JP2016143615A (ja) * 2015-02-04 2016-08-08 凸版印刷株式会社 蓄電装置用外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0806A (zh) 2019-01-01
JPWO2018180165A1 (ja) 2020-05-14
US11685843B2 (en) 2023-06-27
EP3604472A1 (en) 2020-02-05
JP6776442B2 (ja) 2020-10-28
US20200002577A1 (en) 2020-01-02
TWI758446B (zh) 2022-03-21
WO2018180165A1 (ja) 2018-10-04
CN110300783B (zh) 2021-01-12
CN110300783A (zh) 2019-10-01
KR102277614B1 (ko) 2021-07-15
EP3604472A4 (en) 2021-01-06
EP3604472B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614B1 (ko) 전지용 적층체
CN102575135B (zh) 改进的粘合剂组合物
US9650548B2 (en) Polyolefin-based compositions, adhesives, and related multi-layered structures prepared therefrom
WO2008007575A1 (fr) Composé de type résine thermoplastique, stratifié multicouches à base de celui-ci, article obtenu en y faisant adhérer le composé de type résine thermoplastique et procédé de protection de la surface de l'article
KR20230052300A (ko) 적층 필름
WO2007074838A1 (ja) ポリプロピレン系単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20158763A (ja) 樹脂組成物および蓋材用フィルム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21169194A (ja) 蒸着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TWI613243B (zh) 丙烯系樹脂組成物及其薄膜
JP5301479B2 (ja) 液晶ポリマー用ヒートシール性樹脂組成物、液晶ポリマー用ヒートシール材、蓋材
EP3603959B1 (en)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EP4316830A1 (en)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 having layer comprising said resin composition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JP7256581B2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これらの用途
EP4317298A1 (en) Olefin-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film
EP4310143A1 (en) Resin composition, film including said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6582461B2 (ja) 樹脂組成物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EP3702430A1 (en) Sealing material for flexible organic device, and use thereof
WO2023171155A1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多層フィルム、および、シーラン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21143283A (ja) 接着性樹脂組成物、接着性樹脂成形体、接着性樹脂積層体、及び筐体封止材
JP2022123573A (ja) バイオマス由来原料を含む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