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883A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883A
KR20170107883A KR1020160164250A KR20160164250A KR20170107883A KR 20170107883 A KR20170107883 A KR 20170107883A KR 1020160164250 A KR1020160164250 A KR 1020160164250A KR 20160164250 A KR20160164250 A KR 20160164250A KR 20170107883 A KR20170107883 A KR 2017010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portion
holding
rod
portions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961B1 (ko
Inventor
미노루 고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아 인터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아 인터 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아 인터 시스템
Publication of KR2017010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봉형체를 병행 상태, 교차 상태를 불문하고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는, 봉형체에 끼워맞추어 상기 봉형체를 유지하는 유지부(2)를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개수와 같은 개수 가지고, 또한 각 상기 유지부(2)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2)로서,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1 유지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제2 유지부(2B)와, 인접하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중간 유지부가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상기 중간 유지부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쪽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비연결로 함으로써, 3개 이상의 봉형체를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구{FIXING TOOL}
본 발명은, 원예용 지주(支柱)나 텐트의 지주 등의 복수의 봉형체를 교차하여 결속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2개의 봉형체(棒形體)를 교차하여 결속하는 고정구로서, 하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기지의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2의 고정구는, 모두 봉형체의 주위면에 끼워맞추는 한 쌍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유지부를 서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가지고, 한쪽의 봉형체에 대하여 다른 쪽의 봉형체를 원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2개의 봉형체를 교차하여 결속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1, 2의 고정구는 모두 3개 이상의 봉형체를 동시에 결속하는 것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당연히 3개의 봉형체를 교차하여 결속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3개의 봉형체를 결속할 수 있는 고정구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기지의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3의 고정구는, 정삼각기둥과 상기 정삼각기둥의 세 개의 외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3개의 유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각 유지부를 3개의 봉형체의 각각의 주위면에 끼워맞춤으로써, 원하는 교차 상태로 3개의 봉형체를 결속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422369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6-6790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제2003-325058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허문헌 1, 2의 고정구와 같이, 동시에 2개의 봉형체의 결속 밖에 할 수 없는 고정구는, 당연히 3개 이상의 봉형체를 교차하여 결속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의 고정구는 3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정삼각기둥의 각각의 외면에 유지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필수로 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4개나 5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는, 전술한 종래의 고정구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유효하게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며, 3개 이상의 봉형체를 병행 상태, 교차 상태를 불문하고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다.
요약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는, 3개 이상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로서, 봉형체에 끼워맞추어 상기 봉형체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개수와 같은 개수 구비하고, 각 상기 유지부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로서, 제1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제2 유지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 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중간 유지부가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상기 중간 유지부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쪽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비연결로 함으로써, 3개 이상의 봉형체를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유지부를 환형으로 배치」란 하나의 유지부에 2개의 다른 유지부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전체로서 3개 이상의 유지부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부를 주위벽에 절결부(切缺部)를 가지는 단면(斷面)이 C자형인 통체(筒體) 또는 원통체 또는 각통체로 구성하고, 결속 대상인 봉형체를 그 부분 길이에 걸쳐 확실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단면이 C자형」이란 주위벽의 일부에 절결부를 가지는 통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통체」는 삼각통체, 사각통체 등의 단면 다각형의 모든 통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는 유지부간의 연결에 있어서는, 적어도 한쪽의 유지부의 상기 절결부와 대향하는 주위벽에서 연결하여, 유지부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모든 유지부를 상기 단면이 C자형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유지부로 구성하고, 각 상기 유지부가 가지는 절결부를 등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결속 대상의 봉형체와 각 유지부의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에 의하면, 3개 이상의 봉형체를 병행 상태, 교차 상태를 불문하고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다. 특히, 교차 상태의 경우에는 결속 대상의 봉형체 개개를 원하는 각도로 교차시키면서 결속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관한 고정구에 의해 3개의 봉형체를 교차 상태로 결속 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고정구의 연결예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유지부를 단면이 C자형인 환상체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단차를 두고 설치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A)는 사시도, 도 6의 (B)는 평면도, 도 6의 (C)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관한 고정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관한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관한 고정구에 의해 4개의 봉형체를 교차 상태로 결속 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지부에 직경 조정 수단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 유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도 10에 예시된 유지부의 평면도, 도 11의 (B)는 도 10에 예시된 유지부와 대경(大徑)의 봉형체의 끼워맞춤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의 (C)는 도 10에 예시된 유지부와 소경(小徑)의 봉형체의 끼워맞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유지부를 5개 이상 가지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의 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기본 구성>
도 1, 도 7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는, 3개 이상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로서, 봉형체에 끼워맞추어 상기 봉형체를 유지하는 유지부(2)를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개수와 같은 개수 구비하고, 각 상기 유지부(2)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즉, 도 2, 도 8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한 개의 유지부(2)에 2개의 다른 유지부(2)를 인접하여 설치하고, 전체로서 3개 이상의 유지부(2)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각 실시예의 유지부의 연결 구성>
또한, 도 2,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지부(2)로서,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1 유지부(2A)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제2 유지부(2B)와, 인접하는 상기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유지부(2B)와 상기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중간 유지부(2C)가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상기 중간 유지부(2C)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을 가진다. 다른 쪽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2 유지부(2B)를 비연결, 즉 연결하지 않은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회동」이란 결속 대상의 봉형체의 각각이 교차하기 위해, 경사지게 하기 위한 회동을 말하며, 상기 회동에 의해 각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봉형체가 교차하여, 예를 들면, 3개의 봉형체가 삼각 상태로 되도록 상부간을 교차하고, 그 교차한 상부간을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로 결속한다.
상기 기본 구성 및 상기 연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에 대하여, 단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는 구성의 고정구(1)를 「실시예 1」로서, 복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는 구성의 고정구(1)를 「실시예 2」로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고정구(1)는 전술한 기본 구성 및 유지부(2)의 연결 구성을 가지고 있고, 3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3개의 유지부(2), 구체적으로는 단수의 제1 유지부(2A), 단수의 제2 유지부(2B) 및 단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2 유지부(2B)와 상기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쪽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2 유지부(2B)를 비연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모든 유지부(2)[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중간 유지부(2C)]는, 주위벽의 일부에 절결부(3)를 가지는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결부(3)로부터 결속 대상인 봉형체를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유지부(2)의 내주면을 봉형체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고 또한 봉형체의 부분 길이에 걸쳐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어, 정확하게 봉형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C자형인 환상체로 유지부(2)를 구성하는 것도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결부(3)의 에지부로부터 안내편(案內片)(5)을 연장하고, 상기 안내편(5)에 의해 봉형체의 주위면을 유지부(2) 내에 유도하여 상기 유지부(2)의 내주면과 봉형체의 외주면을 끼워맞추기 용이해진다.
이어서,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의 연결 및 상기 중간 유지부(2C)와 제2 유지부(2B)의 연결, 및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2 유지부(2B)의 비연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의 연결은, 제1 유지부(2A)의 주위벽과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을 맞대어, 상기 맞닿은 주위벽간의 접선 상에서 상기 주위벽간을 코킹(caulking)용 핀, 블라인드 리벳 등의 연결핀(4)에 의해 회전축같이 지지하여 연결한다. 이로써,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핀(4)에 의한 연결을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의 높이 방향의 중앙의 레벨에서 행하고, 상기 상호 회동을 원활하게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한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의 양쪽의 주위벽과 제2 유지부(2B)의 주위벽이 접하도록 상기 제2 유지부(2B)를 배치하고, 상기 제2 유지부(2B)의 주위벽과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의 접선 상에서 상기 주위벽간을 상기 연결핀(4)에 의해 회전축같이 지지하여 연결하고, 제2 유지부(2B)와 중간 유지부(2C)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이 연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연결핀(4)에 의한 연결을 제2 유지부(2B)와 중간 유지부(2C)의 높이 방향의 중앙의 레벨에서 행하고, 상기 상호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도 1 중의 도면부호 "2a"는 각 유지부(2)[제1 유지부(2A)·제2 유지부(2B)·중간 유지부(2C)]에 형성한 연결용 구멍이며, 각 상기 유지부(2)의 연결용구멍(2a)에 상기 연결핀(4)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상기 연결핀(4)의 축부 선단을 코킹하여 확경(擴徑)하고 상기 연결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는 유지부(2)간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한쪽의 유지부(2)의 절결부(3)와 대향하는 주위면에서 연결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의 연결에 있어서는, 제1 유지부(2A)의 절결부(3)와 대향하는 주위벽과, 중간 유지부(2C)의 절결부(3)와 대향하는 주위벽을 맞대어 연결하고, 제2 유지부(2B)와 중간 유지부(2C)의 연결에 있어서는, 한쪽의 유지부(2)인 제2 유지부(2B)의 절결부(3)와 대향하는 주위벽과 이에 대향하는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을 맞대어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는, 상기 연결 구성과는 상이하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유지부(2)가 가지는 절결부(3)를 등간격으로 환형으로 배치함으로써,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각각을 각 유지부(2) 내로 유도하기 용이하게 하고, 각 봉형체와 각 유지부(2)의 끼워맞춤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와 중간 유지부(2C)를 연결하고, 상기 중간 유지부(2C)와 제2 유지부(2B)를 연결함으로써, 3개의 유지부(2), 즉 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중간 유지부(2C)를 환형으로 배치하면서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 사이만을 비연결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2 유지부(2B)를 중간 유지부(2C)에 의해 환형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구(1)에 의해 결속 대상인 3개의 봉형체(S1, S2, S3)를 교차 상태로 결속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봉형체(S1)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2A)와 봉형체(S3)를 유지하는 중간 유지부(2C)가 상호 회동하여 상기 봉형체(S1)와 상기 봉형체(S3)를 정확하게 교차시켜 결속하고, 또한 봉형체(S2)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2B)와 봉형체(S3)를 유지하는 중간 유지부(2C)가 상호 회동하여 상기 봉형체(S2)와 상기 봉형체(S3)를 정확하게 교차시켜 결속한다. 한편,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성(비연결 구성)인 것에 의해, 상기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에 대하여 중간 유지부(2C)가 회동하고, 상기 회동한 중간 유지부(2C)에 대하여 제2 유지부(2B)가 회동할 수 있고, 3개의 봉형체(S1, S2, S3)를 원하는 각도로 교차시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중간 유지부(2C)의 모두를 평행하게 하면, 3개의 봉형체(S1, S2, S3)를 평행 상태로 묶어 결속할 수 있고, 또한 그 상태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유지부(2)를 회동시키면, 도 3에 나타낸 교차 상태에서의 결속으로 용이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유지부(2C)를 높은 높이로 형성하고, 또한 제1 유지부(2A) 및 제2 유지부(2B)를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도 6의 (A),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높은 높이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 상부와 상기 낮은 높이의 제1 유지부(2A)의 주위벽을 연결하고, 상기 높은 높이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 하부와 상기 낮은 높이의 제2 유지부(2B)의 주위벽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이 구성의 경우도, 평면에서 볼 때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중간 유지부(2C)를 각각 인접하면서 환형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고, 특히 인접하는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관한 고정구(1)는 전술한 기본 구성 및 유지부(2)의 연결 구성을 가지고 있고, 4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4개의 유지부(2), 구체적으로는 단수의 제1 유지부(2A), 단수의 제2 유지부(2B) 및 한 쌍(복수)의 중간 유지부(2C)를 가지고, 제1 유지부(2A)와 한쪽의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 유지부(2B)와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를 비연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모든 유지부(2)[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중간 유지부(2C)]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봉형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외주면 형상에 따라 각통체, 예를 들면, 삼각통체나 사각통체, 오각통체 등의 다각통체로 유지부(2)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의 주위벽과 한쪽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을 맞대고, 상기 맞닿은 주위벽간의 접선 상에서 상기 주위벽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연결핀(4)에 의해 회전축같이 지지하여 연결하고, 제1 유지부(2A)와 한쪽의 중간 유지부(2C)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제1 유지부(2A)에 인접하는 제2 유지부(2B)의 주위벽과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을 맞대고, 상기 맞닿은 주위벽간의 접선 상에서 상기 주위벽간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연결핀(4)에 의해 회전축같이 지지하여 연결하고, 제2 유지부(2B)와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상기 유지부(2)의 연결용 구멍(2a)에 상기 연결핀(4)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상기 연결핀(4)의 축부 선단을 코킹하여 확경하고 상기 연결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와 연결한 한쪽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과,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유지부(2B)와 연결한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의 주위벽을 맞대어, 이들 주위벽을 연결핀(4)으로 연결하고,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간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유지부(2)간의 연결은 각 유지부(2)의 높이 방향의 중앙의 레벨에서 행하고, 상기 각 상호 회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와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의 한쪽을 연결하고, 제2 유지부(2B)와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의 다른 쪽을 연결하고, 또한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간을 연결함으로써, 4개의 유지부(2), 즉 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를 환형으로 배치하면서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 사이만을 비연결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를 인접하여 배치하고, 상기 제1 유지부(2A)와 상기 제2 유지부(2B)를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에 의해 환형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명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 관한 고정구(1)에 의해 결속 대상인 4개의 봉형체(S1, S2, S3, S4)를 교차 상태로 결속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봉형체(S1)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2A)와 봉형체(S4)를 유지하는 한쪽의 중간 유지부(2C)가 상호 회동하여 상기 봉형체(S1)와 상기 봉형체(S4)를 정확하게 교차시켜 결속하고, 상기 한쪽의 중간 유지부(2C)와 봉형체(S3)를 유지하는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가 상호 회동하여 상기 봉형체(S4)와 상기 봉형체(S3)를 정확하게 교차시켜 결속한다. 덧붙여, 상기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와 봉형체(S2)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2B)가 상호 회동하여 상기 봉형체(S3)와 상기 봉형체(S2)를 정확하게 교차시켜 결속한다.
한편,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성(비연결 구성)인 것에 의해, 상기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이동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에 대하여 한쪽의 중간 유지부(2C)가 회동하고, 상기 회동한 한쪽의 중간 유지부(2C)에 대하여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가 회동하고, 또한, 상기 회동한 다른 쪽의 중간 유지부(2C)에 대하여 제2 유지부(2B)가 회동할 수 있어, 4개의 봉형체(S1, S2, S3, S4)를 원하는 각도로 교차시켜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7, 도 8에 나타낸 상태와 같이, 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및 한 쌍의 중간 유지부(2C)의 모두를 평행하게 하면, 4개의 봉형체(S1, S2, S3, S4)를 평행 상태로 묶어 결속할 수 있고, 또한 그 상태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유지부(2)를 회동시키면, 도 8에 나타낸 교차 상태에서의 결속으로 용이하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 대상인 봉형체(S)의 외주면에 적절히 끼워맞추기 위하여, 유지부(2)에 단면이 L자형인 가압편(6)과 압압용(押壓用) 볼트(9)로 이루어지는 직경 조정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나사홈 형성용 판(8)을 통하여 압압용 볼트(9)를 장착한다. 즉, 나사홈 형성용 판(8)을 상기 나사홈 형성용 판(8)에 형성한 고정용 구멍(8a)과 유지부(2)의 주위벽에 형성한 고정용 구멍(2c)에 관통하여 삽입한 고정핀(10)의 축부 선단을 코킹하고 확경하여 유지부(2)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한 나사홈 형성용 판(8)에 설치한 나사구멍(8b)에 압압용 볼트(9)의 축부(9a)를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홈 형성용 판(8)은 유지부(2)의 주위벽이 두꺼워, 상기 주위벽에 직접 압압용 볼트(9)의 축부(9a)와 나사결합하는 나사구멍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이어서, 단면이 L자형인 가압편(6)을 압압용 볼트(9)의 축부(9a)의 선단부에 장착한다. 즉, 압압용 볼트(9)의 축부(9a) 선단부에서 개구되는 나사구멍(9b)에 가압편(6)의 코너부의 산쪽을 맞닿게 하고, 상기 가압편(6)의 코너부의 골쪽으로부터 상기 코너부에 뚫어설치된 고정용 구멍(6a)을 통하여 고정 나사(7)의 축부(7a)를 삽입하고 상기 축부(7a)를 상기 나사구멍(9b)에 나사결합하여,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편(6)을 상기 압압용 볼트(9)의 축부(9a) 선단부에 장착한다. 이로써, 압압용 볼트(9)를 진퇴 이동시켜 상기 압압용 볼트(9)에 장착한 가압편(6)을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직경 조정 수단을 설치한 유지부(2)에 있어서는, 도 11의 (B),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봉형체(S)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기 직경 조정 수단을 통하여 적절히 끼워맞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에 의하면, 3개 이상의 봉형체를 교차 상태, 평행 상태를 불문하고,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결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고정구(1)를 원예용 지주의 결속이나, 텐트 등의 아웃도어 용품의 지주 등의 결속에 이용하면, 신속하게 3개 이상의 봉형체를 교차 상태로 하여 세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평행 상태로 하여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3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1)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는 4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연히 5개 이상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1)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를 4개의 중간 유지부(2C)에 의해 환형으로 연결하여 6개의 봉형체를 결속하는 고정구(1)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제1 유지부(2A)와 제2 유지부(2B)는 비연결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부(2)[제1 유지부(2A), 제2 유지부(2B), 중간 유지부(2C)]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로 성형하여, 확실한 보형(保刑)을 도모하고, 건전하게 봉형체에 끼워맞출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유지부(2)가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는 구성, 모든 유지부(2)가 원통형의 통체로 이루어지는 구성, 모든 유지부(2)가 각기둥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 유지부(2)의 기둥 형상을 각각 상이하게 하는 구성 또는 일부의 유지부(2)만을 상이한 기둥 형상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실시에 따라 임의이다. 또한, 모든 유지부(2)를 환상체(단면 C자형 또는 단면 환형)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유지부(2)간의 연결은, 연결하는 양 유지부(2)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연결할 수 있으면, 연결핀(4)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등의 다른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전에 유지부(2)의 주위벽에 60도 간격으로 3개의 연결용 구멍(2a)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60도 간격의 3개의 연결용 구멍(2a)의 한가운데의 구멍을 기준으로 하여 90도 간격으로 2개의 연결용 구멍(2a)을 형성하여, 합계 5개의 연결용 구멍(2a)을 형성해 놓으면, 상기 유지부(2)를 3개의 유지부(2)로 고정구(1)를 구성하는 경우, 4개의 유지부(2)로 고정구(1)를 구성하는 경우, 또는 6개의 유지부(2)로 고정구(1)를 구성하는 경우의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의 개수, 예를 들면, 5개, 7개 등의 유지부(2)로 고정구(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정오각형, 정칠각형 등의 내각을 계산하여, 연결용 구멍(2a)을 형성한다.
1 : 고정구
2 : 유지부
2a : 연결용 구멍
2b : 볼트 삽입 통과용 구멍
2c : 고정용 구멍
2A : 제1 유지부
2B : 제2 유지부
2C : 중간 유지부
3 : 절결부
4 : 연결핀
5 : 안내편
6 :가압편
6a : 고정용 구멍
7 : 고정 나사
7a :축부
8 : 나사홈 형성용 판
8a : 고정용 구멍
8b : 나사구멍
9 : 압압용 볼트
9a : 축부
9b : 나사구멍
10 : 고정핀
S, S1, S2, S3, S4 : 결속 대상인 봉형체.

Claims (4)

  1. 3개 이상의 봉형체(棒形體)를 결속하는 고정구로서,
    봉형체에 끼워맞추어 상기 봉형체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결속 대상인 봉형체의 개수와 같은 개수 가지고, 또한 각 상기 유지부를 환형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로서, 제1 유지부, 상기 제1 유지부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제2 유지부, 및 인접하는 상기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환형으로 연결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 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유지부와 상기 중간 유지부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또한 상기 중간 유지부가 복수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상기 중간 유지부간을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다른 쪽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비연결로 하는,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주위벽에 절결부를 가지는 단면이 C자형인 통체(筒體) 또는 원통체 또는 각통체로 이루어지는,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는 유지부간의 연결은, 적어도 한쪽의 유지부의 상기 절결부와 대향하는 주위벽에서 행하는, 고정구.
  4.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유지부를 상기 단면이 C자형인 통체로 이루어지는 유지부로 구성하고, 각 상기 유지부가 가지는 절결부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고정구.
KR1020160164250A 2016-03-16 2016-12-05 고정구 KR101906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2885A JP6050539B1 (ja) 2016-03-16 2016-03-16 留め具
JPJP-P-2016-052885 2016-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883A true KR20170107883A (ko) 2017-09-26
KR101906961B1 KR101906961B1 (ko) 2018-10-11

Family

ID=57572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250A KR101906961B1 (ko) 2016-03-16 2016-12-05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50539B1 (ko)
KR (1) KR101906961B1 (ko)
TW (1) TWI6397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351A1 (it) * 2018-11-15 2020-05-15 Carretta Tessitura S N C Di Carretta Gian Mario & C Sistema di collegamento particolarmente adatto per reti di protezione ad uso agricolo e copertura di protezione utilizzante tale sistema di collegamento
CN113356908B (zh) * 2021-06-03 2024-04-16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增强锚固抗浮型锚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605U (ja) * 1984-05-09 1985-11-27 株式会社 和光製作所 支柱の連結具
JP4223695B2 (ja) 2000-03-31 2009-02-12 積水樹脂株式会社 園芸支柱用交差留め具
JP2001349310A (ja) * 2000-06-07 2001-12-21 Yukio Harada パイプ用結合装置
JP2003178605A (ja) * 2001-12-12 2003-06-27 Victor Co Of Japan Ltd 無電極放電ランプを用いた光源装置
JP2003325058A (ja) 2002-05-14 2003-11-18 Kazuhiro Kurokawa 支柱留具
JP2004033075A (ja) 2002-07-02 2004-02-05 Toshio Fukazawa 農園芸用支持枠及び該支持枠における連結具
JP2006067905A (ja) 2004-09-02 2006-03-16 Tomeo Yano 保持具
CN201650954U (zh) * 2010-04-19 2010-11-24 李书峰 一种旋转扣件
JP2011239514A (ja) 2010-05-07 2011-11-2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固定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9779B (zh) 2018-11-01
KR101906961B1 (ko) 2018-10-11
TW201734323A (zh) 2017-10-01
JP6050539B1 (ja) 2016-12-21
JP2017163910A (ja)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8874B2 (en) Connector system for structural framework
US9261122B2 (en) Tube connector for facilitating a covered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tubes
KR101906961B1 (ko) 고정구
US5102254A (en) Construction of pipe fittings
CA1299846C (en) Connector arrangement
JP2021139262A (ja) フェンス装置
US5671579A (en) Display having modular element structure
US2166258A (en) Reversible top for camera stands
JP2008185173A (ja) パイプ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構造体
KR100627224B1 (ko) 조립식 파일
KR200481641Y1 (ko)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WO2018026340A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мебе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меб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WO2004088054A1 (en) A modular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elongate elements
US20050207832A1 (en) Framework construction
KR200341681Y1 (ko) 구조물용 커넥터
KR200399620Y1 (ko) 조립식 파일
CN208702006U (zh) 续接器及具有所述续接器的连接组件
JP3110749U (ja) 家具類の固定具
JP2002285734A (ja) 免震用ダンパーの高さ保持具
JPH10156735A (ja) 締め付け工具
KR100769647B1 (ko)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JPH0538162Y2 (ko)
KR100851554B1 (ko) 지주 받침대
JP2530392Y2 (ja) フェンス等の脚体連繋固定金具
JP2024017820A (ja) 柱脚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