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641Y1 -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641Y1
KR200481641Y1 KR2020150005118U KR20150005118U KR200481641Y1 KR 200481641 Y1 KR200481641 Y1 KR 200481641Y1 KR 2020150005118 U KR2020150005118 U KR 2020150005118U KR 20150005118 U KR20150005118 U KR 20150005118U KR 200481641 Y1 KR200481641 Y1 KR 200481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wire rope
hing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황희
Original Assignee
유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황희 filed Critical 유황희
Priority to KR2020150005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6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는, 와이어 로프(7)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체(5); 상기 로프 고정체(5)와 결합되는 조임 연결관체(4); 중앙에 축 방향을 따라서 나사못(6)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된 마개볼트(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관통구멍(2e)이 형성되어 있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양 단부들 중 제1단부에는 상기 마개볼트(20)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단부에 반대되는 제2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구멍(2e)의 내경이 좁아져서 이루어진 볼 수용부(2b)가 형성된 연결소켓(2); 및 수나사부(3c)가 형성된 막대부(3d)와 상기 막대부(3d)의 끝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 힌지(3a)로 구성된 경첩볼트(3);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못(6)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구조물, 목재,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의 직경은 상기 막대부(3d)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의 내경보다는 작아서, 상기 막대부(3d)와 볼 힌지(3a) 모두가 상기 연결소켓(2)의 제1단부를 통해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볼 힌지(3a)가 상기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에 걸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Wire rope clamping fixture}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 로프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부분에서는 렌치볼트를 이용해서 와이어 로프의 끝 부분을 물어 단단히 조이고, 벽체 등의 고정 대상물에는 나사못을 박아서 고정시키며, 상기 나사못에 연결된 부분과 와이어 로프의 고정 부분 사이에서는 또 다른 연결관체와 경첩볼트가 암수나사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관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 로프의 긴장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와 벽체 사이 또는 벽체와 또 다른 구조물 사이에 와이어 로프, 철사, 케이블 등의 줄을 설치할 때에는 직접 벽체에 앙카볼트 등을 박고 그 앙카볼트에 와이어 로프 등의 줄의 양쪽 끝을 각각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혹은 나무나 기둥 등에 줄을 감아서 매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줄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이 어려워 줄에 물건을 매달거나 전시하면 줄이 처짐이 생기는 일이 발생한다.
기존에 밧줄, 철사, 체인 등을 당겨 죄기 위한 도구로서 죔기구인 턴버클(turnbuckle)을 사용하였는데, 턴버클은 두 점 사이에 연결된 강삭(鋼索) 등을 죄는 사용하는 죔기구로서, 좌우에 수나사 막대들이 있고 수나사 막대들의 나사부가 공통 너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턴버클의 수나사 막대들 중 한쪽의 수나사는 오른나사이고, 다른 쪽의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서, 암나사가 있는 부분, 즉 공통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게 되어 있다. 이러한 턴버클은 2개의 강삭 등이 각각 고정대상물에 고정된 후에 그 강삭들을 서로 연결하는 도구로서 턴버클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강삭들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기존의 턴버클은 특허공보 제913521호(2009. 9. 16.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6243호(2012. 1. 18. 공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1064호(2002. 4. 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600호(2003. 2. 26. 공고) 등의 선행 문헌들에 잘 나타나 있다.
우선, 특허공보 제913521호(발명의 명칭: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에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턴버클을 회전시키지 않고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유압장비 등에 의해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이 소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6243호(발명의 명칭: '무대장치의 흔들림 방지용 턴버클')에는 공통 너트의 역할을 하는 슬리브의 장착홀에 추가적인 베어링과 너트를 설치하여 턴버클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이 소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71064호(고안의 명칭: '육각 턴버클')에는 몸체를 육각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써 턴버클의 제조비용을 줄이고 미관을 유려하게 보이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5600호(고안의 명칭: '턴버클')에는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는 보강돌출부를 가진 턴버클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턴버클들은 모두 서로 분리된 2개의 강삭들을 각각 수나사가 잇는 로드(rod)에 걸어 고정시킨 것을 전제로 하여 그 로드들을 공통너트로 죄어서 강삭들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턴버클들은 로프의 장력 조절기능 자체는 우수하지만, 로프를 벽체, 콘크리트 구조물,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에 고정하는 작업 자체는 별도의 앙카볼트를 박아서 수행해야 하므로 이런 작업을 수행하는데 꽤 많은 수고가 드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턴버클들은 교량의 케이블과 같이 대형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만, 간단한 장식품 등을 전시하기 위해 얇은 두께의 와이어 로프를 가설하는데 사용하기에는 너무 과다한 규모라서 부적당하다고 할 수 있었다.
실내의 액자, 전시품 등의 장식물을 와이어 로프 줄에 매달고자 할 때 간편한 방식으로 쉽게 벽체 등의 고정대상물에 와이어 로프의 양쪽 끝들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죔 기구에 의해서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점차적으로 팽팽하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와이어 로프 설치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 로프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결합되되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부분에서는 렌치볼트를 이용해서 와이어 로프의 끝 부분을 물어 단단히 조이고, 벽체 등의 고정 대상물에는 나사못을 박아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나사못에 연결된 부분과 와이어 로프의 고정 부분 사이에서는 경첩볼트와 조임 연결관체가 암수나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임 연결관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와이어 로프의 장력 상태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는, 와이어 로프(7)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체(5); 상기 로프 고정체(5)와 결합되는 조임 연결관체(4); 중앙에 축 방향을 따라서 나사못(6)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된 마개볼트(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관통구멍(2e)이 형성되어 있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양 단부들 중 제1단부에는 상기 마개볼트(20)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단부에 반대되는 제2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구멍(2e)의 내경이 좁아져서 이루어진 볼 수용부(2b)가 형성된 연결소켓(2); 및 수나사부(3c)가 형성된 막대부(3d)와 상기 막대부(3d)의 끝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 힌지(ball hinge, 3a)로 구성된 경첩볼트(3);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못(6)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구조물, 목재,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의 직경은 상기 막대부(3d)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의 내경보다는 작아서, 상기 막대부(3d)와 볼 힌지(3a) 모두가 상기 연결소켓(2)의 제1단부를 통해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볼 힌지(3a)가 상기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에 걸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는,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부분에서는 렌치볼트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의 끝 부분을 물어 단단히 조이며, 벽체 등의 고정 대상물에는 나사못을 박아서 쉽고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나사못에 연결된 부분과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킨 부분을 경첩나사와 조임 연결관체의 결합관계를 이용해서 쉽게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건물, 나무,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들의 사이를 가로질러 와이어 로프 줄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는 경첩볼트와 조임 연결관체 간의 암수나사 결합 관계를 이용해서 조임 연결관체를 회전시키는 작업에 의해 와이어 로프의 장력 상태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1차적인 와이어 로프의 가설 후에 조임 연결관체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7)를 이용해서 구성한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도시한다.
도2는 도1의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일부를 분리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각 구성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전동드릴공구(70)를 이용해서 벽체에 구멍(76)을 뚫는 장면(그림<a>)과 그렇게 뚫은 구멍(76)에다가 칼브럭(8)을 삽입해서 끼우고 나사못(6)을 체결하는 장면들(그림<b> 내지 <d>)을 순서적으로 도시한다.
도5는 벽체(75)에 뚫은 구멍에다가 칼브럭(8)을 넣은 삽입한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나사못(6)과 연결소켓(2) 및 경첩볼트(3)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다.
도6 및 도7은 벽체(75)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못(6)이 삽입되고, 연결소켓(2)과 경첩볼트(3)가 결합되는 장면을 나타난 도면들로서, 이 중 도6은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7은 이를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도6 및 도7의 작업에 의해서 연결소켓(2)이 벽체(75)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9 및 도10은 연결소켓(2)에 의해서 벽체(7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경첩볼트(3)에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하는데, 이 중 도9는 상기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에 무두볼트들(4b, 5a, 5b)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는 상기 무두볼트들(4b, 5a, 5b)이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가 벽체(75)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 조임 연결관체(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임 연결관체(4)가 벽체(75)쪽으로 더 전진하여 경첩볼트(3)와의 결합관계가 더 깊어짐으로써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작업에 의해서 조임 연결관체(4)의 회전 작업이 완료되어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이 충분히 높아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7)를 구비한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서로 이격된 벽체들(75)을 가로질러 각각 설치함으로써, 벽체들(75)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 줄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도1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건축물(700)의 벽체들(75) 사이를 가로질러 와이어 로프 줄을 설치하고, 그 와이어 로프 줄에 사찰의 연등(90)과 헌금 기부자의 소원 및 이름 등을 기재한 종이(91)를 건 것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7)를 이용해서 구성한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도시한다.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는 로프 고정체(5)에서 와이어 로프(7)의 일단을 고정하며, 상기 로프 고정체(5)에는 조임 연결관체(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조임 연결관체(4)에는 경첩볼트(3)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경첩볼트(3)의 끝에 달린 볼 힌지(3a)는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 도5 참조)의 공간 안에 끼워져서 걸려 있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2)의 한쪽 단부(제2단부)에는 일부 표면 부분이 절개되어 오픈되어 있는데, 이렇게 일부 표면이 오픈된 부분의 안쪽 공간은 볼 수용부(2b, 도3 참조)로서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가 걸려 있으며, 타측 단부에는 마개볼트(20, 도2 참조)가 체결되고, 마개볼트(20)에 나사못(6)이 끼워져 있다. 상기 나사못(6)은 마개볼트(20)의 관통공(22, 도3 참조)에 완전히 빡빡하게 끼워질 필요는 없고, 마개볼트(20)의 관통공(22)을 나사못(6)이 통과해서 걸쳐질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상기 연결볼트(2)의 양단부들 중 마개볼트(20)와 결합되는 단부 쪽을 제1단부라 칭하고, 그 반대편의 볼 수용부(2b)가 형성된 쪽을 제2단부라고 칭한다.
상기 연결소켓(2)의 전체적인 외형은 원통형의 관체로 제작되며, 표면을 빙 둘러서 제1표면거칠기(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소켓(2)의 표면 일부에 제1표면거칠기(2a)를 마련한 이유는, 이후에서 설명하듯이 사람이 연결소켓(2)을 손으로 쥐고 회전시켜 가면서 마개볼트(20)와 연결소켓(2)을 서로 결합시킬 때에 손가락의 힘을 연결소켓(2)에 보다 잘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6 및 도7 참조).
상기 경첩볼트(3)는 막대부(3d, 도2 참조)의 한쪽 끝에는 둥근 볼 형상의 볼 힌지(3a)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고, 막대부(3d)에는 수나사부(3c, 도2 참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임 연결관체(4)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4c, 도2 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 연결관체(4)의 외주면에는 제2표면거칠기(4a)가 빙 둘러서 형성되어 있으며, 로프 고정체(5)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무두 렌치볼트(4b)가 체결된다. 상기 제1무두 렌치볼트(4b)는 로프 고정체(5)를 조임 연결관체(4)에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로프 고정체(5)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와이어 로프(7)가 들어갈 수 있으며, 로프 고정체(5)의 내부 구멍 안으로 들어간 와이어 로프(7)는 제2 및 제3 무두 렌치볼트들(5a, 5b)에 의해서 눌려져 압박됨으로써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소켓(2), 경첩볼트(3), 조임연결관체(4) 및 로프 고정체(5)의 결합체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와이어 로프(7)의 양쪽 끝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 로프(7)의 양쪽 끝에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들이 결합된 것을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사용해서 서로 이격된 벽체 또는 고정 대상물들에 각각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들을 설치하고 그 사이를 와이어 로프(7)가 연결되도록 하면 공중에 와이어 로프(7)를 가설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가설된 와이어 로프(7)에는 액자, 간판, 연등, 판넬 등의 다양한 물건들을 매달아서 전시할 수 있다. 또는 정원수 등의 나무를 식재한 다음에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때에도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사용하면 손쉽게 나무 등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일부를 분리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경첩볼트(3)는 연결소켓(2)의 제1단부(왼쪽 부분)의 구멍을 통해서 들어간 다음 볼 힌지(3b) 부분이 제2단부(오른쪽 부분)의 볼 수용부(2b, 도3)에 걸려서 고정된다. 이때 경첩볼트(3)는 수나사부(3c)가 형성된 부분을 연결소켓(2)의 왼쪽에 있는 입구 구멍을 통해서 넣어 밀면, 수나사부(3c)는 볼 수용부(2b)를 지나서 빠져 나가고 수나사부(3c) 보다 큰 직경을 가진 볼 힌지(3a) 부분만이 볼 수용부(2b)에 걸리게 된다. 상기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는 볼 수용부(2b) 안에서 회전이 가능하므로, 경첩볼트(3)는 연결소켓(2)에 끼워진 채로 그 자세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2)의 제1단부의 입구 쪽의 내벽면에는 암나사부(2c, 도3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소켓(2)의 제1단부의 내벽면에는 마개볼트(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개볼트(20)는 외주면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22, 도3 참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22)안으로 나사못(6)이 통과하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연결관체(4)의 제1단부(그림에서 왼쪽)의 내벽면에 암나사부(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나사부(4c)는 경첩볼트(3)의 막대부(3d)에 형성된 수나사부(3c)와 결합 가능하다. 따라서 경첩볼트(3c)를 조임 연결관체(4)의 제1단부의 제1관통구멍(2e, 도5)에 끼운 다음에 경첩볼트(3)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조임 연결관체(4)를 회전시키면 조임 연결관체(4)에 경첩볼트(3)를 체결시킬 수 있다.
도3은 도2의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각 구성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볼트(20)는 연결소켓(2)의 제1단부에서 제1관통구멍(2e, 도5 참조)의 안쪽 면에 체결될 수 있으며, 마개볼트(2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22)에는 나사못(6)이 끼워진다. 나사못(6)은 나사머리(6b)를 제외한 몸체 부분에 수나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경첩볼트(3)는 막대부(3d)의 한쪽 끝 부분에 수나사부(3c)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 부분에는 둥근 형상을 가진 볼 힌지(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 힌지(3a)는 경첩볼트(3)의 막대부(3d) 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연결소켓(2) 안으로 들어갔을 때 볼 수용부(2b)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볼 힌지(3a)에는 관통공(3b)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공(3b)은 그 안에 핀(pin, 30, 도10 참조)을 꽂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며, 관통공(3b)에 핀을 꽂아서 경첩볼트(3)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를 만들면, 이후 조임 연결관체(4)를 돌려가면서 경첩볼트(3)와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조임 연결관체(4)를 보다 쉽게 경첩볼트(3)와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소켓(2)은 마개볼트(20)가 결합되는 쪽(제1단부)로부터 반대되는 편(제2단부)에 볼 수용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 수용부(2b)는 서로 대향하여 마련된 제1귀(201)와 제2귀(202)의 내부면이 라운드 처리되어서 볼 힌지(3a)를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으며, 상기 제1귀(201)와 제2귀(202)의 사이의 면적 부분은 제거되어서 절개부(2d)를 형성한다.
조임 연결관체(4)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길게 뚫려 있으며, 암나사부(4c)가 형성된 쪽의 입구로는 상기 경첩볼트(3)의 수나사부(3c)가 끼워져 체결되고, 타측의 구멍으로는 로프 고정체(5)의 걸림봉(53)이 삽입된다. 조임 연결관체(4)의 내부공간 안으로 상기 로프 고정체(5)의 걸림봉(53)이 끼워졌을 때 걸림봉(53)의 네크부(neck part, 53b)가 위치하게 되는 조임 연결관체(4)의 대응 위치에는 제1볼트 체결공(4d)이 천공되며, 상기 제1볼트 체결공(4d)에 제1무두 렌치볼트(4b)가 결합된다. 상기 제1무두 렌치볼트(4b)는 머리가 없는 육각 렌치용 볼트이며, 머리가 있을 자리(상부)에는 육각렌치를 끼울 수 있는 렌치 홈(4b-1)이 마련되어 있고, 외부에는 수나사부(4b-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연결관체(4)의 제1볼트 체결공(4d)에는 암나사부(4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무두 렌치볼트(4b)가 제1볼트 체결공(4b)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로프 고정체(5)는 전체적으로 관체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려 있고, 그 구멍 안으로 와이어 로프(7)의 일단이 들어갈 수 있다. 로프 고정체(5)에는 와이어 로프(7)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렌치볼트들이 결합될 자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은 로프 고정체(5)에 2개의 무두 렌치 볼트들(5a, 5b)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들 2개의 무두 렌치볼트들, 즉 제2 및 제3무두 렌치볼트들(5a, 5b)의 조이는 힘에 의해서 와이어 로프(7)가 로프 고정체(5)와 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프 고정체(5)에는 2개의 볼트체결공들, 즉 제2 및 제3 볼트 체결공들(51, 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볼트 체결공들(51, 52)에는 각각 암나사부들(51a, 52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무두 렌치볼트들(5a, 5b)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로프 고정체(5)는 상기 와이어 로프(7)가 끼워지는 쪽으로부터 반대되는 쪽에 걸림봉(53)이 일체로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봉(53)은 베이스 턱(53a)과 엔드 턱(53c) 및 그 사이에 있는 네크부(53b)로 구성되는데, 중간에 위치한 네크부(53b)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봉(53)이 조임 연결관체(4)의 내부구멍 안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제1무두 렌치볼트(4b)를 채우면, 상기 제1무두 렌치볼트(4b)가 걸림봉(53)의 네크부(53b)에 위치하게 되어서 엔드턱(53c)과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로프 고정체(5)와 조임연결관체(4)간의 결합이 안전하게 확보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를 벽체 등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4는 전동드릴공구(70)를 이용해서 벽체에 구멍(76)을 뚫는 장면(그림<a>)과 그렇게 뚫은 구멍(76)에다가 칼브럭(8)을 삽입해서 끼우고 나사못(6)을 체결하는 장면들(그림<b> 내지 <d>)을 순서적으로 도시한다.
건물의 벽체(75)가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있을 때에는 그러한 단단한 벽체(75)에 구멍을 뚫기 위해서 전동 드릴공구(70)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4의 그림<a>는 전동 드릴공구(70)를 이용해서 벽체(75)에 구멍을 내는 장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도면부호 71은 전동 드릴공구(70)의 스핀들(71)이며, 72는 드릴(73)을 고정하는 척(chuck)을 가리킨다.
이렇게 해서 벽체(75)에 구멍을 낸 다음에는 그 구멍 안으로 칼브럭(8)이라는 플라스틱 재질의 물건을 박아 넣는데, 칼브럭(8)은 콘크리트 재질로 된 대상물에 나사못을 고정시킬 때 나사못을 둘러싸서 나사못이 콘크리트 대상물에 잘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4의 그림<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브럭(8)을 벽체(75)의 구멍(76) 안으로 박아 넣으면 된다. 이때 도면부호 8a는 칼브럭(8)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못 삽입구멍을 가리킨다. 이렇게 칼브럭(8)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나사못(6)에 마개볼트(20)를 걸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나사못(6)을 칼브럭(8)의 나사못 삽입구멍(8a)안으로 결합시킨다.
도5는 벽체(75)에 뚫은 구멍에다가 칼브럭(8)을 넣은 삽입한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의 나사못(6)과 연결소켓(2) 및 경첩볼트(3)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먼저 벽체(75)에 구멍을 내고 칼브럭(8)을 삽입한 다음, 나사못(6)을 마개볼트(20)에 끼운 상태대로 상기 칼브럭(8)의 내부의 나사못 삽입구멍(8a)안에 결합시킨다. 나사못(6)을 칼브럭(8)과 단단히 채우면 나사머리(6b)가 마개볼트(20)를 압박하게 되므로, 마개볼트(20)는 벽체(75)와 나사머리(6b)의 사이에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마개볼트(20)를 벽체에 우선 고정시킨 후에는, 경첩볼트(3)를 연결소켓(2)에 끼워서 볼 힌지(3a)가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에 걸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소켓(2)을 회전시켜 마개볼트(20)와 결합시킨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2)은 그 중심축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관통구멍(2e)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데, 마개볼트(20)와 결합되는 제1단부 쪽에는 암나사부(2c)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의 제2단부 쪽에는 제1귀(201)와 제2귀(202)가 안쪽으로 오므려져서 볼 수용부(2b)를 형성한다.
도6 및 도7은 벽체(75)에 형성한 구멍에 나사못(6)이 삽입되고, 연결소켓(2)과 경첩볼트(3)가 결합되는 장면을 나타난 도면들로서, 이 중 도6은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고, 도7은 이를 사시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6)의 나사머리(6b)에 의해서 마개볼트(20)가 압박되어 있으므로, 마개볼트(20)는 회전하지 않으며, 이 상태에서 연결소켓(2)을 결합하고 회전시키면 연결소켓(2)과 마개볼트(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8은 도6 및 도7의 작업에 의해서 연결소켓(2)이 벽체(75)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는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안에 회전가능하게 걸쳐진 상태이므로, 경첩볼트(3)는 사람이 조작하는 바에 따라서 원하는 방향으로 향해질 수 있다.
도9 및 도10은 연결소켓(2)에 의해서 벽체(7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경첩볼트(3)에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가 결합되는 관계를 도시하는데, 이 중 도9는 상기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에 무두볼트들(4b, 5a, 5b)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10는 상기 무두볼트들(4b, 5a, 5b)이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9를 참고하면, 조임연결관체(4)의 내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경첩볼트(3)의 수나사부(3c)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부(4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임연결관체(4)의 반대쪽 단부에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볼트 체결공들(4d)이 형성되어 있어서 무두볼트들(4b)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무두볼트들(4b)은 그 머리 부분에 육각렌치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육각렌치(40)를 이용해서 제1무두볼트들(4b)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제1무두볼트들(4b)이 제1볼트체결공들(4d)에 마련된 암나사부(4e)를 따라 조임연결관체(4)의 내부공간(4f)속으로 진입함에 따라 그 하단부가 로프 고정체(5)의 걸림봉(53)의 네크부(53b)와 접촉하게 되며, 그 결과 걸림봉(53)이 제1무두볼트들(4b)에 걸려서, 조임연결관체(4)와 로프고정체(5)는 서로 결합된다. 본 고안의 도9와 도10은 조임연결관체(4)의 둘레 면에 2개의 제1볼트체결공들(4d)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1볼트체결공들(4d)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1개를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2개 이상의 개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로프고정체(5)는 전체적으로 봉(奉) 형상을 가지되, 그 내부의 중심축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로프삽입공(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삽입공(50)에는 와이어 로프(7)의 한쪽 끝이 들어가서 제2 및 제3무두볼트들(5b)에 의해 조여진다. 로프 고정체(5)의 둘레 면에 형성된 제2볼트체결공(51)과 제3볼트체결공(52)은 상기 조임연결관체(4)의 제1볼트체결공(4d)과 구조가 동일하며, 각각 암나사부(51a, 52a, 도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제2볼트체결공(51)과 제3볼트체결공(52)에는 각각 제2 및 제3무두볼트들(5a, 5b)이 체결되며, 제2볼트체결공(51)과 제3볼트체결공(52)의 하단부들이 와이어 로프(7)를 조임에 의해서 로프 고정체(5)에 와이어 로프(7)의 한쪽 끝이 단단히 결합된다.
도10에는 상기 로프고정체(5)와 조임연결관체(4)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렇게 결합된 상태를 이룬 로프고정체(5)와 조임연결관체(4)를 경첩볼트(3)에 체결하는 장면이 나타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를 벽체(75) 등의 대상물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벽체(75) 등의 대상물에 마개볼트(20)를 끼운 나사못(6)을 먼저 설치하고(도4 참조), 경첩볼트(3)를 끼운 연결소켓(2)을 상기 마개볼트(20)와 체결하며(도5 내지 도8 참조), 이때 사전에 먼저 결합상태로 만들어 놓은 상기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를 손에 쥐고서 조임 연결관체(4)를 손으로 돌려가며 상기 경첩볼트(3)에 체결하면 된다(도10 참조).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로프 고정체(5)에 와이어 로프(7) 고정을 위한 무두볼트들(5a, 5b)을 2개 설치하는 것으로 도면을 작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무두볼트들(5a, 5b)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무두볼트들(5a, 5b)을 로프 고정체(5)의 둘레면에 한 개를 체결할 수도 있고, 혹은 3개 이상의 무두볼트들을 체결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가 벽체(75)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는데, 이때 조임 연결관체(4)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조임 연결관체(4)가 벽체(75)쪽으로 더 전진하여 경첩볼트(3)와의 결합관계가 더 깊어짐으로써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작업에 의해서 조임 연결관체(4)의 회전 작업이 완료되어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이 충분히 높아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첩볼트(3)와 조임 연결관체(4)간의 체결정도에 따라 와이어 로프(7)에 미치는 장력이 달라진다. 즉, 경첩볼트(3)와 조임 연결관체(4)간의 결합이 덜 이루어진 경우(도11)에는 와이어 로프(7)에 미치는 장력이 크지 않아서 와이어 로프(7)가 덜 팽팽하게 되며, 경첩볼트(3)와 조임 연결관체(4)를 더 결합시킴에 따라 조임 연결관체(4)와 로프 고정체(5)가 벽체(75) 쪽으로 더 가깝게 가게 되므로,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은 더 팽팽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는 벽체(75) 등의 고정 대상물에 먼저 나사못을 설치한 다음 경첩볼트(3)와 조임연결관체(4)를 결합시킴에 의해 와이어 로프(7)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1차적으로는 와이어 로프(7)의 길이를 적당히 예상해서 조절해 놓은 다음에 2차적으로는 조임 연결관체(4)를 회전시켜 가면서 와이어 로프(7)의 장력 정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중을 가로질러 와이어 로프를 설치하는 작업에 있어 그 와이어 로프의 장력을 원하는 정도로 팽팽하게 유지하는 일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7)를 구비한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서로 이격된 벽체들(75)을 가로질러 각각 설치함으로써, 벽체들(75)간을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 줄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는 서로 이격된 벽체들(75) 사이에서 공중에 와이어 로프 줄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와이어 로프들을 복수 개 나란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종횡의 방향들에서 교차하도록 하여 격자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는 정원의 나무 등을 식재한 다음에 잘 서 있도록 여러 방향에서 와이어 로프를 연결해 지지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13에서는 벽체(75)를 예시하여 그 벽체들(75)에 각각 나사못(6)을 박고 로프 고정체(5)에 와이어 로프(7)를 고정시켜서 공중에 와이어 로프(7)를 거치시킨 것을 도시하였지만, 벽체(75) 이외에 나무, 기둥 등에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를 고정시킬 수도 있고, 건물, 도로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는 서로 이격된 대상물들 간을 와이어 로프(7)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어느 장소이든 어느 물건이든 다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1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와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건축물(700)의 벽체들(75) 사이를 가로질러 와이어 로프 줄을 설치하고, 그 와이어 로프 줄에 사찰의 연등(90)과 헌금 기부자의 소원 및 이름 등을 기재한 종이(91)를 건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월초파일에는 사찰에서 건물과 건물 사이 혹은, 나무, 기둥 등의 또 다른 구조물과 건물 사이에 줄을 설치하고 그 줄에 연등(90)과 신자들의 소원을 기재한 종이(91)를 매달아 전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일일이 줄을 팽팽하게 설치하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고정세트(10)를 이용하면 건물(700)의 벽체(75)와 벽체(75) 사이에 혹은 건물과 나무, 기둥 등의 다른 구조물 사이에 와이어 로프(7)를 쉽게 가설할 수 있고, 그 와이어 로프(7)의 장력을 팽팽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 용이하며, 그 결과 연등(90) 등의 물건들을 와이어 로프(7)에 다수 매달더라도 와이어 로프(7)가 보기 흉하게 처지는 일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가 고정 대상물에 나사못(6)에 의해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7)에 물건을 매단 것에 의해 와이어 로프(7)가 처진다든가 혹은 나사못(6)이 빠지는 일이 원천적으로 예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1)는 고정 대상물에 나사 구멍을 천공하고 나사못을 결합시킨 후에 연결소켓(2)을 체결하고, 로프 고정체(5)와 조임연결관체(4)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조임연결관체(4)를 경첩볼트(3)에 대해 결합시키는 정도를 조절함에 의해서 손쉽게 와이어 로프를 고정 대상물 사이의 공중에 가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건물의 벽체, 나무, 콘크리트 바닥면 등의 장소에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 와이어로프 조임 고정구 2: 연결소켓
2a: 제1표면거칠기 2b: 볼 수용부
2c: 암나사부 2d: 절개부
2e: 제1관통구멍 3: 경첩볼트
3a: 볼 힌지(ball hinge) 3b: 관통공
3c: 수나사부 3d: 막대부
4: 조임 연결관체
4a: 제2표면거칠기 4b: 제1무두 렌치볼트
4b-1: 렌치 홈 4b-2: 수나사부
4c: 암나사부 4d: 제1볼트체결공
4e: 암나사부 4f: 제2관통구멍
5: 로프 고정체 5a: 제2무두 렌치볼트
5b: 제3무두 렌치볼트 6: 나사못
6a: 수나사부 6b: 나사 머리
7: 와이어 로프(wire rope) 8: 칼브럭
8a: 나사못 삽입구멍 10: 와이어로프 고정세트
20: 마개볼트 21: 수나사부
22: 관통공 30: 핀(pin)
40: 렌치 51: 제2볼트체결공
52: 제3볼트체결공 51a, 52a: 암나사부
53: 걸림봉 53a: 베이스 턱(base sill)
53b: 네크부(neck part) 53c: 엔드 턱(end sill)
60: 나사못 설치부분 70: 드릴공구
71: 스핀들 72: 척(chuck)
73: 드릴 75: 벽체
76: 구멍 77: 지면
90: 연등 91: 종이
201: 제1귀 202: 제2귀
700: 건물

Claims (4)

  1. 와이어 로프(7)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체(5);
    상기 로프 고정체(5)와 결합되는 조임 연결관체(4);
    중앙에 축 방향을 따라서 나사못(6)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21)가 형성된 마개볼트(20);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관통구멍(2e)이 형성되어 있고 양 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양 단부들 중 제1단부에는 상기 마개볼트(20)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단부에 반대되는 제2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구멍(2e)의 내경이 좁아져서 이루어진 볼 수용부(2b)가 형성된 연결소켓(2); 및
    수나사부(3c)가 형성된 막대부(3d)와 상기 막대부(3d)의 끝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볼 힌지(ball hinge, 3a)로 구성된 경첩볼트(3);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못(6)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구조물, 목재,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의 직경은 상기 막대부(3d)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의 내경보다는 작아서, 상기 막대부(3d)와 볼 힌지(3a) 모두가 상기 연결소켓(2)의 제1단부를 통해 연결소켓(2)의 제1관통구멍(2e) 안으로 들어가며, 상기 볼 힌지(3a)가 상기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에 걸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못(6)은 수나사부(6a)가 형성된 몸체(shank)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머리(6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못(6)은 건물의 벽체, 콘크리트 구조물, 목재, 기둥 등의 고정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 대상물의 구멍에는 칼브럭(8)을 먼저 삽입하고, 상기 칼브럭(8)의 나사못 삽입구멍(8a)에 상기 나사못(6)이 결합되고,
    이때 상기 나사못(6)의 몸체에 상기 마개볼트(20)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나사못(6)을 상기 칼브럭(8)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마개볼트(20)가 고정 대상물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2)은 제1관통구멍(2e)의 내벽면에 상기 마개볼트(20)의 수나사부(21)에 대응되게 형성된 암나사부(2c)와, 상기 연결소켓(2)의 제2단부에서 표면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 절개부(2d)를 포함하고;
    상기 경첩볼트(3)의 볼 힌지(3a)는 막대부(3d)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공(3b)이 형성되며,
    상기 경첩볼트(3)가 상기 연결소켓(2)과 결합되었을 때, 경첩볼트(3)의 막대부(3d)는 연결소켓(2)의 외부에 위치하고, 볼 힌지(3a)만이 연결소켓(2)의 볼 수용부(2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걸려진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연결관체(4)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관통구멍(4f), 상기 경첩볼트(3)의 수나사부(3c)에 대응되게 상기 제2관통구멍(4f)에 형성된 암나사부(4c), 및 상기 조임 연결관체(4)의 둘레면에 적어도 1개 이상 천공되어 형성된 제1볼트 체결공(4d)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볼트 체결공(4d)의 벽면에는 암나사부(4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볼트 체결공들(4d)에는 제1무두볼트(4b)가 체결되며,
    상기 로프 고정체(5)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로프 삽입공(50), 상기 로프 삽입공과 연통되게 천공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볼트 체결공, 상기 제2볼트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로프 삽입공(50) 안에서 와이어 로프(7)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제2무두볼트, 및 상기 조임 연결관체(4)의 제2관통구멍(4f)안에 삽입되어 상기 제1무두볼트(4b)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기 조임 연결관체(4)와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봉(53)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걸림봉(53)은 상기 로프 고정체(5)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조임 연결관체(4)의 제2관통구멍(4f)에 끼워짐이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베이스 턱(base sill, 53a), 상기 베이스 턱(53a)으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턱(53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네크부(53b) 및 상기 네크부(53b)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제2관통구멍(4f)에 끼워짐이 가능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엔드 턱(end sill, 5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KR2020150005118U 2015-07-30 2015-07-30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KR200481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18U KR200481641Y1 (ko) 2015-07-30 2015-07-30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18U KR200481641Y1 (ko) 2015-07-30 2015-07-30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641Y1 true KR200481641Y1 (ko) 2016-11-09

Family

ID=5748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18U KR200481641Y1 (ko) 2015-07-30 2015-07-30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6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042A (zh) * 2020-08-10 2020-10-2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便于大棚钢丝框架搭建的辅助器
CN113090016A (zh) * 2021-04-02 2021-07-09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支模竖向连接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082A (ja) * 1998-03-02 1999-09-14 Arakawa Giken Kogyo Kk ワイヤ張装具
JP2002227421A (ja) * 2001-02-02 2002-08-14 Yasuo Matsuda ターンバックル型のワイヤ緊張装置
KR100913521B1 (ko) * 2007-07-23 2009-09-16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
KR101095174B1 (ko) * 2010-07-30 2011-12-16 인천항만공사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7082A (ja) * 1998-03-02 1999-09-14 Arakawa Giken Kogyo Kk ワイヤ張装具
JP2002227421A (ja) * 2001-02-02 2002-08-14 Yasuo Matsuda ターンバックル型のワイヤ緊張装置
KR100913521B1 (ko) * 2007-07-23 2009-09-16 한우물중공업(주) 케이블 장력조절용 턴버클
KR101095174B1 (ko) * 2010-07-30 2011-12-16 인천항만공사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042A (zh) * 2020-08-10 2020-10-27 重庆市农业科学院 一种便于大棚钢丝框架搭建的辅助器
CN113090016A (zh) * 2021-04-02 2021-07-09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高支模竖向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651B1 (en) Mounting device for flagpoles
US9261122B2 (en) Tube connector for facilitating a covered connection between two or more tubes
US20130075540A1 (en) Multiple position pipe hanger clamp
KR200481641Y1 (ko) 와이어 로프 조임 고정구
CN105518236A (zh) 固定夹以及使用固定夹的方法
US20030053858A1 (en) Connectors
WO1996002710A1 (fr) Structure de fixation entre des points d&#39;ancrage pour etresillons generant une pretension
US20210140459A1 (en) Substrate anchoring device
CN101198750A (zh) 用于将排水管组件连接到管子附件的系统和方法
US6019233A (en) Shower curtain suspension device
DE202006000388U1 (de) Befestigungsvorrichtung
JPS6112845Y2 (ko)
KR101906961B1 (ko) 고정구
US20030052460A1 (en) Connectors
DE202006011204U1 (de) Spannvorrichtung für Drahtseile zur Montage eines Spannseils
JP2018099754A (ja) 吊りボルト取付装置
JPH0142684Y2 (ko)
JP3628793B2 (ja) 手すり
GB2426948A (en) Clamp with adjustable mounting means
AU653849B2 (en) A connecting element for a strut
KR200351538Y1 (ko) 인장케이블 턴버클 유니트
KR20090008724A (ko) 파이프 조리개 클램프
DE202017104523U1 (de) Masthalter
KR20040066657A (ko) 와이어 연결구 조립체
US20240138535A1 (en) Shade canopy tension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