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20Y1 - 조립식 파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20Y1
KR200399620Y1 KR20-2005-0021542U KR20050021542U KR200399620Y1 KR 200399620 Y1 KR200399620 Y1 KR 200399620Y1 KR 20050021542 U KR20050021542 U KR 20050021542U KR 200399620 Y1 KR200399620 Y1 KR 200399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onnector
screw
circumferential surfac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철
알. 도르퍼 악셀
Original Assignee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훼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1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파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되는 파일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외측돌기가 근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돌기는 파일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목부분으로부터 외측 단부가 확대된 폭을 형성하여 각 외측돌기의 사이에는 외측돌기와 대략 대칭 형상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파일에 여러 가지 기능의 연결구와 접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조립을 위한 구조가 특정 부위에 한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전체에 걸쳐 고른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고, 파일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되는 연속 반복적인 돌기 및 홈의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으면서 자체적으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파일{prefabricated profile}
본 고안은 각종 가구나 사무용 가구 또는 작업라인을 형성하는 조립식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틀을 임의의 구조로 배치 및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파일이라 함은 각종 틀을 형성하는 기본 단위로서의 막대를 의미하며, 특히 작업을 위한 작업라인을 형성하거나 기계나 기구 등의 받침대 또는 선반 등에서 폭 넓게 적용되는 막대를 뜻하며, 단순한 기둥에서부터 복잡한 공정의 생산라인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반 가정은 물론 각종 산업 분야에서 그 용도를 찾을 수 있는 단위 조립체로서 소위 프로파일(profile, 이하 '파일'이라함)을 말한다.
그 중에서 종래 기술의 한 예를 들면, 특정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을 함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 또는 연속적인 작업라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대는 다수의 파일을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각 방향으로의 조립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파일은 그 용도에 따라 목재나 금속재가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조립의 용이성과 가벼운 점 등으로 인하여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파일의 하나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95755호가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의 선등록 고안을 살펴보면, 그 단면이, 중앙에 통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의 외곽으로 볼트 체결용 구멍(13)이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일부가 외측으로 개구되어 양 측으로 턱(15)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조립홈(1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일(11)과 이 파일(11)을 다양한 형태로 접속하기 위한 이음매 및 마개로 이루어져서 각종 작업 라인을 임의대로 구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유압, 공압 등의 유체나 선재 등의 공급 라인을 형성할 수 있어서, 작업 라인에서 유압이나 공압 등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고, 별도의 유체 공급 라인이 필요없으므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 등록고안은 주로 작업 라인을 구축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의 통로를 이용하여 각종 유체와 선재 등의 공급 라인으로 활용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외면에 형성된 조립홈은 볼트머리 또는 너트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었고, 조립 위치의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어서 폭 넓은 조립 형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단면 구조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파일의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좁은 각을 가지는 다각형 등의 경우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일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접속위치 및 조립각도 등에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어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이 임의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의 가구는 물론, 사무용 가구나 각종 표지판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부분 적용할 수 있으면서 그 구성 형태를 임의대로 설정하여 배치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가지는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을 위한 구조가 특정 부위에 한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전체에 걸쳐 고른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디자인을 가지는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일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되는 연속 반복적인 돌기 및 홈의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으면서 자체적으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어느 부위에서도 추가적인 연결이 가능토록 된 조립식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단면을 가지는 파일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기가 근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는 파일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목부분으로부터 외측 단부가 확대된 폭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이루고, 각 돌기의 사이에는 돌기와 대략 대칭 형상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돌기와 레일홈은 파일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으며 파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돌기와 레일홈의 크기는 일정한 형태로 되어 호환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 파일은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 삼각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르게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태로 될 수도 있으며, 외곽 및 내곽의 형상이 평면과 곡면을 임의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의 내주면에도 상기 돌기와 유사한 형태의 돌기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일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는 모두 하나의 중심점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파일의 내부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공간의 내주면에 돌기가 형성될 경우에도 각 공간 내에서 하나의 중심점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두 개 이상의 파일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으로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고 일측 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개방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배치하는 한 쌍의 연결편과; 상기 한 쌍의 연결편을 서로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홈에 걸어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나사구멍에 결합하여 한 쌍의 연결편을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의해, 각 연결편의 마주하는 훅크부는 하나의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게 되며, 타단부는 다른 파일의 내측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나사를 조임으로써 두 개의 파일을 연결 고정토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특징은, 다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훅크부가 적어도 두 변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 일단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사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편이 서로 마주하여 나사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연결구에 의해, 각 연결편의 한 변에서 마주하는 훅크부가 하나의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게 되며, 다른 변에서 마주하는 훅크부는 다른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어서 상기 나사를 조임으로써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 고정토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과 일반 평면을 가지는 평면부재와를 접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 이상이 평면으로 되고 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그 양 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나사구멍을 가지는 연결대를 구비하여, 이 연결대를 나사에 의해 평면부재의 해당 위치에 조립 고정하고, 이 연결대의 상기 걸림턱에 연결구를 연결하여 파일과 접속토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파일의 일단에 고정하여 다른 물건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는 기본적으로 파일의 레일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나 파일의 돌기에 걸기 위한 훅크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여러 형태의 파일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단면의 파일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는 정사각형 단면의 파일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은 직사각형 단면의 파일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원 고안에 따른 파일(P)은 동일 단면의 연속된 긴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 등의 단면을 가지는 파일(P)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이하, '외측돌기'라함)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각 외측돌기(101)는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파일(P)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외측돌기(101)는 파일(P)의 외면에서 연장된 목부분(102)이 구비되고, 이 목부분(102)으로부터 외측으로 폭이 확장된 단부로서의 걸림턱(103)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각 외측돌기(101)는 서로의 사이에 길게 레일홈(104)을 형성하게 되며, 이 레일홈(104)은 외측돌기(101)의 단면과 대략 유사한 대칭 형상을 이루게 되고, 외측돌기(101)의 확장된 단부로서의 걸림턱(103)으로 인하여 각 레일홈(104)의 입구는 홈 내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03)의 내측면 즉, 목 부분(102)과의 연결면은 경사면으로 되어 걸림턱(103)은 외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걸림턱(103)의 외측면도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파일(P)의 내주면에도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돌기(;이하, '내측돌기'라함)가 형성되어 있는데, 파일의 내주면에서 연장된 목부분(112)이 구비되고, 이 목부분(112)으로부터 외측으로 폭이 확장된 단부로서의 걸림턱(113)이 형성되는 등, 각 내측돌기(111)는 외측돌기(10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외측돌기(101)와 같이 근접 형성되어 그 사이에 레일홈을 이루지는 않는다.
대신에, 내측돌기(11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이 갖추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내측돌기(111)가 형성될 경우에는 동일 공간 내에서의 각 내측돌기(111)는 모두 하나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을 보면, 파일(P)의 외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레일홈(104)을 형성할 수 있는 두 개 이상의 외측돌기(101)가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기본 단위인데 비하여, 파일(P)의 내면에는 내측돌기(111)가 한 개 이상이 임의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측돌기(111)도 외측돌기(101)와 마찬가지로, 그 단부가 확장된 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있으며, 걸림턱(113)의 내측면은 역시 경사면을 이루어 걸림턱(113)이 외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며, 필요에 따라 외측면도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돌기(111)는 목 부분(112)의 뿌리 부분 즉, 파일(P)의 외면과 접하는 목 부분(112)에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연결구의 긴밀한 접속을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측돌기(111)는 필요에 따라 목 부분(112)을 길게 형성하여 이 목 부분(112)의 중간에 확대된 턱(114)이 양 측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마주하는 내측돌기(11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턱(114)은 파일의 접속에 사용되는 후술하는 연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턱(114)도 목 부분으로부터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외주면의 일부는 외측돌기(101)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서 깨끗한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5는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외측돌기(101)와 레일홈(104)의 간격은 파일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마주하는 서로의 내측돌기(111)의 간격은 역시 파일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는데, 이는 파일을 접속하는 연결구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파일의 형상이 특이한 경우 즉, 내측돌기의 마주하는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없을 정도로 일부가 길거나 또는 파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파일의 내부를 여러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각기 구획된 공간에서 별도로 내측돌기를 배열함으로서 역시 연결구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 실시예로서 도 6과 7은 사각형의 내부를 구획한 것을 나타내고, 도 8은 타원형의 내부를 여러개로 구획한 것을 나타내며, 도 9는 크기가 큰 원의 내부를 구획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P)의 내부는 내측돌기(111)의 적절한 배열을 위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된 공간마다 별도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른 파일과의 접속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5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을 서로 접속하는 연결구(이하, '제1연결구'라함)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두 개의 파일을 주로 직각 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10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파일을 수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연결구(20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1연결구는 장방형의 연결편(201a,201b)이 서로 마주하여 조립됨으로서 하나의 제1연결구(20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편(201a,201b)은 장방형으로 되어 일측 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훅크부(202a,20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일단에는 나사구멍(203)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스프링홈(2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가장자리에는 내측 및 양 단부가 개방된 조립홈(205)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편(201a,201b) 두 개가 마주 접한 상태에서 스프링(207)을 각 연결편(201a,201b)의 외측면에 형성된 스프링홈(204)에 끼워서 한 쌍의 연결편(201a,201b)을 탄성적으로 결합하게 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훅크부(202a,202b)가 마주하여 절곡된 상태로 되어 걸림부(202)를 이루며, 조립홈(205)은 서로 마주하여 전·후로 개방된 형태가 되고, 나사구멍(203)에는 나사(S)가 조립된다.
상기 연결편(201a,201b)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고, 스프링(207)은 철사의 양 측을 역시 마주하는 대칭 구조로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홈(204)에 안착됨으로써 연결편(201a,201b)을 서로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결구(201)는 걸림부(202)가 하나의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측돌기에 걸리도록 하고, 타측 단부를 다른 파일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끼워넣어서 연결하는 형태를 취하게 되며, 따라서 한 쌍의 연결편으로 조합된 하나의 제1연결구(201)는 파일(P)의 내부에 적절히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규격화되고, 파일(P)의 내부에 끼워질 때 파일(P)의 내측돌기의 걸림턱이 제1연결구(201)의 조립홈(205)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제1연결구(201)를 이용하여 사각 단면의 파일(P1,P2)들을 접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는 상기 도 10에서의 제1연결구에 의한 파일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제1연결구에 의한 파일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고, 도 14는 그 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하나의 제1파일(P1)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돌기(101a)의 걸림턱(103a)에 제1연결구(201)의 걸림부(202)의 각 훅크부(202a,202b)를 마주 걸고, 제1연결구(201)의 타단부를 다른 제2파일(P2)의 내측으로 끼워넣게 되는데, 이 때, 제1연결구(201)는 나사(S)를 조이지 않은 상태로서 마주하는 연결편(201a,201b)이 스프링(207)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제1연결구(201)의 타단부가 제2파일(P2)의 내측으로 끼워질 때, 내측돌기(111b)의 걸림턱(113b)이 제1연결구(201)의 상·하 조립홈(205)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구(201)는 유동됨이 없이 제2파일(P2)의 내부에 끼워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연결구(201) 측면의 나사(S)를 조이면 마주하는 연결편(201a,201b)이 서로 조여지면서 마주하는 훅크부(202a,202b)가 그 사이에 있는 제1파일(P1)의 외측돌기(101a)들을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하게 되고, 동시에 제1연결구(201)의 조립홈(205)에 끼워진 제2파일(P2)의 내측돌기(111b)들을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하게 됨으로써 두 개의 파일(P1 ,P2)이 제1연결구(201)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파일(P2)은 제1연결구(201) 전체가 감추어지도록 끼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파일(P2)의 외측면에 나사(S)를 조이기 위한 구멍을 별도로 뚫어주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제1연결구(201)의 측단면과 파일의 측단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연결구(201)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파일의 입구 일부가 드러난 상태가 되는데, 외관의 깨끗한 정리와 안정적인 접속을 위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제2파일(P2)의 단부에 합성수지제의 마개(121)를 끼우게 되고, 이 마개(121)에는 제1연결구(201)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22)이 제1연결구(201)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마개(121)의 외측면은 파일의 외측면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서 일체감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개(121)는 그 형상이 임의대로 선택되어질 수 있으며,제2파일(P2)에 끼워지기 위하여, 제2파일(P2)의 내측돌기(111b) 사이에 압박되면서 끼워지는 접속돌기(123)가 파일의 형태에 따라 구성되어진다.
이렇게 마개(121)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연결구(201)의 나사(S)를 조이기 위한 구멍(125)을 마개(121)의 측면에 형성하게 된다.
도 15는 상기 제1연결구를 이용한 두 개의 사각 파일을 연결하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열한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연결구(201)를 비스듬히 하여 일측의 훅크부(202a,202b)를 제1파일(P1)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돌기(101a)의 일단의 걸림턱에 걸고, 다시 다른 훅크부(202a,202b)를 다른 외측돌기의 걸림턱에 건 다음, 제1연결구(201)의 타단부로 제2파일(P2)을 끼워서 제2파일(P2)의 내측돌기(111b)가 제1연결구(201)의 조립홈(205)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마개(121)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125)을 통해 렌치 등의 공구(d)를 넣어서 제1연결구(201)의 나사(S)를 조임으로써 두 개의 파일이 견고하게 접속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립에 의해 두 개의 파일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1연결구는 일측은 제1파일의 외측돌기에 걸어서 고정하고, 타측은 제2파일의 내부에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제1연결구(201)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조립 상태가 매우 미려하고 조립 위치에 제한없이 간편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의 실시예에 도시한 사각 파일 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타원, 또는 여러 형태로 구획된 단면을 가지는 각종 파일에 모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연결구(이하, '제2연결구'라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제2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그 조립 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연결구(211)는 상기 도 10에서의 제1연결구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파일을 직각으로 연결하게 되며, 특히 수평으로 연결되는 파일의 하중을 더욱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제2연결구(211) 또한 동일한 형태의 두 연결편(211a,211b)이 마주하여 나사(S)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하나의 연결구를 이루게 되며, 연결편(211a,211b)은 삼각 형태로 되어 있고, 외측면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훅크부(212a,212b)를 형성하고 있어서 조립된 제2연결구(211)는 외주면에 마주하는 훅크부로서의 걸림부(212)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제2연결구(211)의 일측 수직면과 타측 수평면에 각기 다른 파일들을 연결하게 되는데, 제1파일(P1)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돌기(101a)의 걸림턱에 제2연결구(211)의 수직측면의 각 걸림부(212)를 마주하여 걸고, 다른 제2파일(P2)의 외면에 형성된 외측돌기(101b)의 걸림턱에 제2연결구(211)의 수평측면의 걸림부(212)를 마주하여 건 다음, 나사(S)를 조임으로써 각 훅크부(212a,212b)가 각 파일(P)의 외측돌기(101a,101b)들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17은 상기 제2연결구(21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각 파일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P1) 및 제2파일(P2)의 외측돌기(101a,101b)에 제2연결구(211)의 외측 걸림부(212)를 걸고, 공구(d)에 의해 나사(S)를 조임으로써 간단히 두 개의 파일(P1,P2)을 수직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 18은 상기 제2연결구(21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각 파일(P1,P2)을 다른 각도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로서 제2연결구(211)의 다른 두 변을 이용하여 직각이 아닌 각도로도 파일을 접속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연결구(211)는 파일의 외측면에 조립하게 되어 조립 작업이 더욱 간편하며, 수직으로 접속되는 두 파일의 직각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9 내지 도 21은 상기 제2연결구의 다른 형태의 연결구(이하, '제3연결구'라함)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제3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제3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측면도로서, 역시 동일 형태의 한 쌍의 연결편(221a,221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면서 약간 긴 막대형으로 되어 양 단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끼리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두 파일을 직각으로 연결할 경우 두 파일의 접촉 지점으로부터 보다 먼 지점에서 파일을 접속하여 수평 방향의 파일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연결구(221)의 평행한 양 측면으로 두 개의 파일을 연결할 경우에는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파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데, 도 21은 제3연결구(22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각 파일을 평행하게 접속하는 상태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파일(P1)과 제2파일(P2)의 외측돌기(101a,101b)를 제3연결구(221)의 평행한 두 측면의 걸림부(222)에 걸어서 공구(d)를 이용하여 나사(S)를 조임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2 및 도 23은 상기 제3연결구와 유사한 또 다른 연결구(이하, '제4연결구'라함)를 제시하고 있는데, 제4연결구(231)의 외형은 상기 제3연결구(221)와 유사하며, 단지 중앙 측면으로 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어서 두 개의 파일을 수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통공(235)에 별도의 연결관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23은 제4연결구(231)를 이용하여 두 개의 사각 파일을 접속하는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으며, 파일의 견고한 접속을 위하여 우선 제1연결구(201)를 이용하여 제1파일(P1)과 제2파일(P2)을 직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다시 제4연결구(231)를 제1파일(P1)과 제2파일(P2)의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받침 형식으로 조립함으로써 견고한 조립 상태를 형성한 다음, 제4연결구(231)의 통공(235)으로 연결관(236)을 끼우고, 이 연결관(236)의 타단부를 다른 제4연결구 등에 연결하여 또 다른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구(211) 내지 제4연결구(231)에서 한 쌍을 이루는 연결편의 내측면이 마주하여 접촉하는 형태는 평면을 비롯하여 어떠한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나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면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요철(凹凸)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두 개의 파일을 평행한 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보다 간단한 연결구로서 도 24의 제5연결구(241)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제5연결구(241) 또한, 동일 형태의 연결편(241a,241b)이 마주하여 나사(S)에 의해 조립되어 있으며, 각 연결편(241a,241b)의 외측 가장자리에 내측으로 절곡된 훅크부(242a,242b)가 형성되어 이 훅크부(242a,242b)가 서로 마주함으로써 걸림부(242)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양 측의 걸림부(242)를 제1파일(P1)과 제2파일(P2)의 각 외측돌기(101a,101b)에 걸어서 나사(S)를 조이면 제1파일(P1)과 제2파일(P2)이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5연결구(241) 역시 연결편(241a,241b)의 내측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 제시된 제1연결구 내지 제5연결구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파일의 외측돌기나 내측돌기에 결합될 수 있는 걸림부 또는 조립홈을 구비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은 외측돌기 또는 내측돌기가 형성된 파일끼리만이 아닌 평면을 가지는 일반적인 막대나 판재 등과도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술한 제1연결구 내지 제5연결구를 접속하기 위한 연결대가 구비되는데, 도 25는 그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연결대(251)의 일측면은 평면으로 되고 타측면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외측돌기 또는 내측돌기의 확장된 걸림턱과 마찬가지로 양 측으로 걸림턱(2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에 나사구멍(254)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26은 상기 도 25에서의 연결대(251)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렇게 상기 연결대(251)는 그 길이를 필요에 따라 임의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251)를 이용한 접속 상태가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연결대(251)에 제5연결구(241)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우선 연결대(251)의 평면 부분을 나사(S)에 의해 평면을 가지는 조립부재(T)의 조립 위치에 고정한 다음, 일측이 파일(P)의 일단에 접속되는 제5연결구(241)의 다른 쪽 걸림부(242)를 상기 연결대(251)의 걸림턱(253)에 걸고 제5연결구(241)의 나사(S)를 조임으로써 파일(P)과 평면을 가지는 조립부재(T)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립부재(T)는 테이블이나 선반 또는 책상 등 다양한 형태의 대상물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8은 상기 연결대(251)를 이용한 다른 형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평면을 가지는 조립부재(T)의 해당 면에 연결대(251)를 나사에 의해 고정하고, 이 연결대(251)에 제1연결구(201)의 훅크부(202a,202b)를 걸고 제1연결구(201)의 후방으로 파일(P)을 끼운 다음 나사(S)를 조임으로써 조립부재(T)와 파일(P)을 접속 고정한 다음, 제3연결구(221)를 이용하여 조립부재(T)의 연결대(251)와 파일(P)을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대(251)는 걸림부를 가지는 모든 연결구가 접속될 수 있으며, 이 연결대에 의해 거의 모든 형태의 조립부재를 본원 파일과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파일에는 상기한 연결구에 의한 연결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의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파일과 대상물을 직접 연결하여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 및 도 30은 판재를 파일의 측방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재(이하, '접속부재1'이라함)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9는 접속부재1의 사시도이며, 도 30은 그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일측 단부의 양측으로 확장된 삽입돌부(263)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일단에는 나사구멍(264)이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재1(261)의 상기 삽입돌부(263)을 파일(P)의 레일홈(104)에 끼워서 외측돌기(101)의 걸림턱(103)에 삽입돌부(263)가 맞물리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나사구멍(264)을 통해 판재(B)를 나사 조립하여 고정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돌부(263)는 파일(P)의 레일홈(104)의 단면과 대략 일치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1은 판재를 파일과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재(이하, '접속부재2'라함)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연결구와 마찬가지로 반원형의 동일한 연결편(271a,271b)이 마주 결합하여 측면 중간에서 나사(S)에 의해 조립되어 원통형의 접속부재2(271)를 형성하고, 일단에는 마주하는 훅크부로 되는 걸림부(272)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나사홈(274)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상기 걸림부(272)를 파일(P)의 외측돌기(101)에 마주 걸고 나사(S)를 조임으로써 접속부재2(271)가 레일홈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조립하고자 하는 판재(B)를 접속부재2(271)의 외측면에 접촉한 다음 나사홈(274)을 이용하여 나사(S)에 의해 판재(B)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2(271)는 판재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부속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32의 분리사시도 및 도 33의 결합상태 단면도는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제1장공(276)을 가지는 평면부와 제2장공(277)을 가지는 곡면부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브라켓(275)이 구비되어 이 브라켓(275)의 제1장공(276)을 통해 파일(P)의 외면에 조립 고정된 접속부재2(271)의 외측 나사홈(274)에 나사(S)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제2장공(277)을 통해 브라켓(275)의 곡면부 외측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물, 예를 들면 도면에서와 같은 판재(B)를 나사(S)에 의해 연결하게 되면, 상기 브라켓(275)의 곡면부에 형성된 제2장공(277)에 안내되어 서로 일정 구간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의 내측으로는 와셔(278)를 대고 나사 조립하게 되며, 도 34와 같이 브라켓(275)의 방향을 바꾸어도 관계없다.
도 35는 본원 파일에 유리와 같은 판재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부재(이하, '접속부재3'이라함)를 일례로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6은 상기 도 3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합성수지로 되는 접속부재3(281)은 길게 형성되어 그 단면이 일단에는 마주하는 훅크편(282a,282b)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28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마주하여 평행하게 연장된 협지부(2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재3(281)은 연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협지부(283)는 각각의 두께가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82)는 각 훅크편(282a,282b)을 젖혀서 파일(P)의 외측돌기(101)에 걸어서 고정시키게 되고, 유리판재(G)를 상기 협지부(283)에 끼워서 파일(P)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7은 상기 접속부재3(281)의 다른 형태로서 걸림부(282)에 형성된 각 훅크부(282a,282b)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역시 파일의 레일홈에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도 38 및 도 39는 클립 형태의 접속부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판 형태의 접속부재4(291)가 중간이 절곡되어 두 개의 면으로 접혀진 클립 형태로 되며 양 단부에는 각각 내측으로 훅크부(292a,292b)를 형성하고 일측의 외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외측돌기(29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의 내측으로 나사홈(294)가 형성되어 타측면의 외측으로부터 나사(S)가 결합되도록 되어서, 절곡된 두 면을 적당한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각 훅크부(292a,292b)를 파일(P)의 외측돌기(101)에 걸어서 나사(S)에 의해 고정한 다음, 접속부재4(291)의 외측돌기(293)에 다시 별도의 접속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토록 된 것이다.
도 40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이 각종 구조물의 기둥이나 다리 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의 마감 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것으로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패킹(302) 등이 부착된 받침부재(301)가 파일(P)의 하단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41은 역시 각종 구조물의 기둥이나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에, 파일(P)의 하단에 너트부재(312)를 끼우되 이 너트부재(312)의 외주면에는 파일(P)의 내측돌기(111)가 끼워지는 안내홈(313)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이 너트부재(312)에 볼트(315)가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받침부재(311)를 조립하여 지면과의 안정적인 접촉과 더불어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42 또한, 각종 구조물의 기둥이나 다리 역할을 하는 경우이며, 파일(P)의 하단에 바퀴에 의한 구름이나 회전이 가능하도록 캐스터(321)가 부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예시한 접속부재 외에도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접속부재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연결은 수 많은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3의 표지판이나 도 44의 테이블은 단순한 예를 보여준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설명일 뿐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파일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접속위치 및 조립각도 등에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어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이 임의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의 가구는 물론, 사무용 가구나 각종 표지판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대부분 적용할 수 있으면서 그 구성 형태를 임의대로 설정하여 배치할 수 있는 호환성을 아울러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의 파일은 조립을 위한 구조가 특정 부위에 한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전체에 걸쳐 고른 형태를 취하고 있어서 그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디자인을 제공하게 되고, 파일의 외면 및 내면에 형성되는 연속 반복적인 돌기 및 홈의 구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으면서 자체적으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파일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의 여러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연결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12는 제1연결구와 파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3은 제1연결구와 파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14는 제1연결구와 파일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제1연결구를 이용한 파일의 조립 순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연결구의 사시도
도 17은 제2연결구와 파일의 조립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제2연결구의 다른 조립 상태도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연결구의 사시도
도 20은 제3연결구와 파일의 조립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측면도
도 21은 제3연결구의 다른 조립 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제4연결구의 사시도
도 23은 제4연결구의 조립 상태를 일례로 나타낸 순서도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연결구의 조립 상태도
도 25 및 도 2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대의 사시도
도 27 및 도 28은 연결대를 이용한 파일의 조립 상태 순서도
도 29 내지 도 4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부재의 여러 실시예도
도 43 및 도 4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일에 의한 구조물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파일 S ; 나사
101 ; 외측돌기 102 ; 목부분
103 ; 걸림턱 104 ; 레일홈
111 ; 내측돌기 201 ; 제1연결구
202 ; 걸림부 204 ; 스프링홈
205 ; 조립홈 207 ; 스프링
211 ; 제2연결구 221 ; 제3연결구
231 ; 제4연결구 241 ; 제5연결구
251 ; 연결대 261 ; 접속부재1
271 ; 접속부재2 281 ; 접속부재3
291 ; 접속부재4 301 ; 받침부재

Claims (16)

  1.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되는 파일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기가 근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는 파일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목부분으로부터 외측 단부가 확대된 폭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이루고, 각 돌기의 사이에는 돌기와 대략 대칭 형상의 레일홈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내주면에도 상기 돌기와 유사한 형태의 돌기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모두 하나의 중심점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목 부분이 길게 형성되어 이 목 부분의 중간 양 측으로 확대된 턱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목 부분으로부터 외측 단부의 확대되는 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외주면이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외주면이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내주면이 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내주면이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내부는 분리된 공간을 확보하고 각 분리된 공간의 내주면에 돌기가 각 공간의 하나의 중심점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상기 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고 일측 단부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훅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 가장자리에는 내측으로 개방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배치하는 한 쌍의 연결편과;
    상기 한 쌍의 연결편을 서로 내측면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홈에 걸어서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나사구멍에 결합하여 한 쌍의 연결편을 조이거나 풀도록 하는 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구비되어,
    각 연결편의 마주하는 상기 훅크부는 하나의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게 되며, 타단부는 다른 파일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 파일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조립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나사를 조임으로써 두 개의 파일을 연결 고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상기 파일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그 외주면에 내측을 향해 절곡된 훅크부가 적어도 두 변 이상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편이 서로 마주하여 나사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연결구가 구비되어,
    각 연결편의 한 변에서 마주하는 상기 훅크부가 하나의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게 되며, 다른 변에서 마주하는 훅크부는 다른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어서 상기 나사를 조임으로써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 고정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의 내측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마주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과 일반 평면을 가지는 평면부재와를 접속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 이상이 평면으로 되고 타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그 양 측으로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나사구멍을 가지는 연결대를 구비하여, 이 연결대를 나사에 의해 평면부재의 해당 위치에 조립 고정하고, 이 연결대의 상기 걸림턱에 연결구를 연결하여 상기 파일과 접속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레일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훅크부로 이루어진 삽입돌부가 구비되고, 타측 일단에는 나사구멍을 가지는 접속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부를 상기 파일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구멍에 다른 물품을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기 파일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걸어서 고정하도록 내측으로 마주하는 훅크부로 이루어진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일단에는 나사홈을 가지는 접속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를 상기 파일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홈에 다른 물품을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파일.
KR20-2005-0021542U 2005-07-25 2005-07-25 조립식 파일 KR200399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42U KR200399620Y1 (ko) 2005-07-25 2005-07-25 조립식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542U KR200399620Y1 (ko) 2005-07-25 2005-07-25 조립식 파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141A Division KR100627224B1 (ko) 2005-07-25 2005-07-25 조립식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20Y1 true KR200399620Y1 (ko) 2005-10-27

Family

ID=4370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42U KR200399620Y1 (ko) 2005-07-25 2005-07-25 조립식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36B1 (ko) * 2016-01-21 2016-09-13 (주) 휴코스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36B1 (ko) * 2016-01-21 2016-09-13 (주) 휴코스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209A (en) Rack
KR100627224B1 (ko) 조립식 파일
US6382109B1 (en) Self-leveling modular table and method of forming a level modular table
US6505453B1 (en) T-link between two profile bars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JP6982900B2 (ja) フェンス装置
KR200399620Y1 (ko) 조립식 파일
KR102186586B1 (ko) 무볼트 프레임가구
DE102014202555A1 (de) Klemmverbindung in einem Gestell beziehungsweise Rohraufbau
KR101155954B1 (ko) 파티션 고정구
JP4358598B2 (ja) テーブルの天板上への仕切板の取付構造
GB2372198A (en) Shelf or stand for use against a wall
KR200211404Y1 (ko) 조인트 수단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0187816Y1 (ko) 파이프 연결구
KR0133372Y1 (ko) 결합장치
KR940003967Y1 (ko) 조립가구용 신축지주
WO2009103170A1 (de) Aufhängevorrichtung zur warenpräsentation mit einem horizontal angeordneten profilbalken
KR200211407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다단선반
JP2023062827A (ja) 組立式ラック
JP4017486B2 (ja) 間仕切り
KR200187274Y1 (ko) 이젤
KR0129572Y1 (ko) 보강대를 일체로 형성한 가구용 다리
JP4413894B2 (ja) 組み立てラックの組み立て素子アセンブリ
JP7334998B2 (ja)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