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647B1 -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 Google Patents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647B1
KR100769647B1 KR1020060126227A KR20060126227A KR100769647B1 KR 100769647 B1 KR100769647 B1 KR 100769647B1 KR 1020060126227 A KR1020060126227 A KR 1020060126227A KR 20060126227 A KR20060126227 A KR 20060126227A KR 100769647 B1 KR100769647 B1 KR 10076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jaw
locking
leg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동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동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동공업
Priority to KR102006012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9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65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with an additional lock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07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 F16B23/0038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recess or the protrusion engaging the tool substantially prismatic with up to six edges, e.g.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Allen-type cross-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16B35/042Specially-shaped shafts for retention or rotation by a tool, e.g. of polygon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재는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는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며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연결부재, 머리부, 결합부, 다각형 단면형상

Description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Connect member and fastening assembly using connect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결합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킨 작동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결합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킨 작동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 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ⅩⅡ - ⅩⅡ 결합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부재와 제2부재 및 제1부재와 제3부재를 상호 고정시킨 작동모습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 체결조립체 10... 연결부재
11... 머리부 12... 결합부
13... 환형돌출부 20... 제1부재
21... 제1몸체부 22... 제2연결부
23... 걸림턱 24... 접촉면
26... 제1다리부 31...제2다리부
40... 제2부재 41... 제2몸체부
42... 제2연결부 43... 걸림부
50... 제3부재
본 발명은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 및 그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다수의 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 볼트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나사, 볼트는 각각의 부재에 마련된 구멍에 상기 나사 또는 볼트를 꽂은 후 소정의 드라이버등을 이용하여 나사 또는 볼트의 축선을 중심으로 수회 회전시킴으로서 다수의 부재들을 서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각각의 나사 또는 볼트를 수회 회전시켜야 하므로 2개의 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정된 볼트를 제거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또한, 볼트 또는 나사를 체결하기 위하여 360도 회전시켜야 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는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신속하게 다수의 부재들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한 공간적인 제약이 적은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연결부재는,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결합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위한 공구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머리부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그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는,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며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서, 상기 결합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그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위한 공구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서, 상기 제1부재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반대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을 구비한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접촉면을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서, 상기 제1부재는,
일단에 상기 걸림턱이 마련된 제1다리부; 및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마련된 제2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 및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를 한 쌍 구비하며,
상기 제1다리부, 제2다리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들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에서,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걸림턱은 각각 그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의 타단부와 제2다리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는 상기 걸림턱과 고정턱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가 상기 제2다리부에 대해 상기 걸림턱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고정턱들이 상호 접근되며,
상기 제1다리부의 고정턱과, 제2다리부의 고정턱 사이에는 상기 고정턱들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제3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들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제1다리부의 고정턱과 제2다리부의 고정턱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부재와 제3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연결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는 연결부재(10), 제1부재(20), 제2부재(40)로 구성된다.
연결부재(10)는 걸림턱(23)을 가지는 제1부재(20)와, 상기 걸림턱(23)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43)를 가지는 제2부재(4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23)과 걸림부(46)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20)와 상기 제2부재(40)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10)이다.
상기 연결부재(10)는 머리부(11)와, 결합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부(11)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12)의 회전을 위한 공구(예컨데, 렌치, 드라이버등)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a)이 마련된다. 상기 결합홈(11a)의 형상은 십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구의 선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상기 머리부(11)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12)의 외경보다 크다.
상기 결합부(12)는 머리부(1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4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결합부(12)의 단면형상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외에도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은 그 모서리가 제1부재(20)와 제2부재(40)의 사이에 공간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진 형상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12)의 둘레에는 그 결합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3)는 통상적인 나사의 나사산과 같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고리모양, 즉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3)는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돌출부(13)의 높이가 모서리와 모서리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13)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돌출부(13)들의 높이들이 결합부(12)로부터 동일한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는 결합부(12)의 단면을 잘랐을 때, 그 결합부(12)의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외주둘레까지의 거리가 회전각에 따라 변화된다. 즉, 모서리부분의 경우에는 회전중심축으로부터 외주둘레까지의 회전반경이 크고, 모서리부분들 사이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회전반경이 감소하여 모서리와 인접한 모서리의 중앙부에서 상기 회전반경이 가장 작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는 회전반경의 변화를 이용하여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서로 결합한다.
상기 제1부재(20)는, 제1몸체부(21)와 제1연결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21)는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벽체 등이 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제2부재(40)와 결합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그 제1몸체부(21)의 재료로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연결부(22)는 상기 제1몸체부(2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일면에 걸림턱(23)이 구비되고, 그 걸림턱(23)의 반대면에는 상기 연결부재(10)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24)을 구비한다.
상기 제1연결부(22)의 소재로도 상기 제1몸체부(21)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40)는 제2몸체부(41)와, 제2연결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41)는 상기 제1부재(20)와 결합될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 연결수단 등이 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제2부재(40)와 결합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그 제2몸체부(41)의 재료로는 제2부재(40)와 동일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종류의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연결부(42)는, 제2몸체부(41)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턱(23)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4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42)에는 연결부재(10)가 회전하였을 때 접촉될 수 있는 제1면(44)과 제2면(45)이 마련된다.
상기 제2연결부(42)와 제1연결부(22)는 상기 걸림턱(23)과 걸림부(4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연결부(42)와 제2연결부(42)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그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1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공간은 연결부재(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유사한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공간의 크기는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가 쉽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가진다.
먼저, 결합부(12)가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재(10)를 준비한다. 이후,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를 위하여 제1부재(20)의 걸림턱(23)과 제2부재(40)의 걸림부(43)를 서로 걸어맞춘다. 제1부재(20)와 제2부재(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제1연결부(22)와 제2연결부(42)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상기 연결부재(1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는 머리부(11)를 제외한 결합부(12)가 모두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드라이버 또는 렌치와 같은 공구의 선단을 상기 머리부(11)의 결합홈(11a)에 끼워맞춘다. 이후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10)를 60°정도 회전시켜 연결부재(10)의 3개의 모서리부분이 접촉면(24), 제1면(44), 제2면(45)에 각각 근접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환형돌출부(13)가 접촉면(24), 제1면(44), 제2면(45)에 파고들어 감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0)가 제1연결부(22)와, 제2연결부(42)에 결합되어 결합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는 제1면(44) 및 제2면(45)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면(24)을 상기 걸림부(43)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23)이 상기 걸림부(43)에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는 상호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 및 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는 상기 연결부재(10)를 공간 내에 삽입한 후, 60°정도만 회전시킴으로서,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나사 또는 볼트에 비하여 공구를 복수회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단시간내에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한 회전반경도 줄어들어 좁은 공간에서도 고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2)의 형상이 삼각형인 것을 언급하였으나, 사각형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10)를 45°회전함으로써,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이상의 다각형인 경우에는 보다 적은 각도만 회전시켜도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서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조립체의 제2실시예>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연결부재(10)를 회전시켜 제1부재(20) 및 제2부재(40)를 상호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는 연결부재(10)와,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0)는 상술한 바와 상기 연결부재(10)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부재(20)는 제1다리부(26)와 제2다리부(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다리부(26)는 일단에 걸림턱(27)이 마련되며, 타단측에는 제2다리부(31)를 끼워회전시킬 수 있는 수용홈(28)이 마련된다.
상기 제2다리부(31)는 일단에 상기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이 마련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걸림턱(32)을 마련한다. 상기 제2다리부(31)의 걸림턱(32)은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다리부(31)의 타단은 상기 제1다리부(26)의 수용홈(28)에 끼워져 회전될 수 있는 돌기부(33)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33)가 상기 수용홈(28)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다리부(31)는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40)는 상기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 및 제2다리부(31)의 걸림턱(32)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한 쌍의 걸림부(46)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46)는 걸림턱(27)을 수용할 수 있는 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46)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는 연결부재(10)가 제1부재(20) 및 제2부재(40)내에 수용되어 회전하면서 각각의 표면을 파고들어 갈 수 있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소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의 작용을 기술하겠다.
먼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결합부(12)가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연결부재(10)를 준비한다. 제1부재(20)의 제1다리부(26)와 제2다리부(31)를 서로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제1다리부(26)의 수용홈(28)에 제2다리부(31)의 돌기부(33)를 끼워넣는다. 이후, 제1부재(20)를 제2부재(40)에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제2다리부(31)의 걸림턱(32)을 제2부재(40)의 걸림부(46)에 결합시킨다.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제1다리부(26), 제2다리부(31), 제2부재(4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부재(10)를 삽입한다. 상기 연결부재(10)가 삽입되는 공간의 형상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10)의 결합부(12)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이 완료되면,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0)를 60°회전시킨다. 회전된 연결부재(10)의 모서리는 제1다리부(26), 제2다리부(31), 제2부재(40)에 각각 근접하게 된다. 또한, 그 모서리로부터 돌출된 환형돌출부(13)는 제1다리부(26), 제2다리부(31), 제2부재(40)의 표면에 홈을 형성한다. 또한, 연결부재(10)는 상기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제2다리부(31)의 걸림턱(32)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들(27, 32)이 상기 걸림부(46)에 걸어맞추어진 상태 를 유지됨으로써, 제1부재(20)와 제2부재(40)가 상호 고정된다.
<체결조립체의 제3실시예>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조립체가 각각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ⅩⅡ - ⅩⅡ 결합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는 연결부재(10)가 공간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제1다리부(26) 및 제2다리부(3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부재(20) 및 제2부재(4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다리부 및 제2다리부에 고정턱(34)을 더 구비하여, 제1부재(20)와 제3부재(50)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조립체(1)는 연결부재(10), 제1부재(20), 제2부재(40), 제3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0)와 제2부재(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상기 제1부재(20)는 제1다리부(26)와, 제2다리부(31)로 구성된다.
상기 제1다리부(26)는 일단부에 걸림턱(27)이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고정턱(29)이 마련된다.
상기 제2다리부(31)는 일단부에 상기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대응하 는 걸림턱(32)이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다리부(26)의 고정턱(29)과 대응되는 고정턱(34)이 더 마련된다.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는 상기 걸림턱과 고정턱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가 상기 제2다리부에 대해 상기 걸림턱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고정턱들이 상호 접근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다리부(26)의 걸림턱(27)과 고정턱(29)사이에 수용홈(30)이 마련되고, 상기 제2다리부(31)의 걸림턱(32)과 고정턱(34)사이에는 상기 수용홈(30)에 끼워져서 상기 제1다리부(26)와 제2다리부(31)를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돌기부(35)가 마련된다.
제3부재(50)는 상기 고정턱들(29, 34)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11에서는 I형 빔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를 이용한 체결조립체(1)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1부재(20) 및 제2부재(40)를 서로 결합한다. 이와 동시에, 제3부재(50)를 제1부재(20)의 고정턱들 사이에 끼워넣음으로서 제1부재(20)와 제3부재(50)를 동시에 결합한다. 결합이 완료되면, 제1다리부(26), 제2다리부(31), 제2부재(40)사이의 공간으로 연결부재(10)를 삽입하여 회전함에 따라 제1부재(20)와 제2부재(40)를 상호 고정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다리부(26)의 고정턱(29)과 제2다리부(31)의 고정턱(34)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 압되어 제1부재(20)와 제3부재(50)를 상호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연결부재(10)를 회전시킴으로서, 제1부재(20)와 제2부재(40) 및 제1부재(20)와 제3부재(50)를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에 환형돌출부를 형성한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환형돌출부가 구비되지 않아도 각 모서리가 제1부재, 제2부재등에 마련된 각각의 걸림턱, 걸림부들이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환형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머리부와 결합부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기술하였으나, 머리부와 결합부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는, 신속하게 다수의 부재들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을 위한 공간적인 제약이 적은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와,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가지는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다각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위한 공구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외경은 상기 결합부의 외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그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
  6. 걸림턱을 가지는 제1부재;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 및
    외부로 노출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며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부의 둘레에는 그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환형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위한 공구의 선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며 일면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반대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면을 구비한 제1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접촉면을 상기 걸림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걸림턱이 마련된 제1다리부; 및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다리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턱이 마련된 제2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 및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이 각각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를 한 쌍 구비하며,
    상기 제1다리부, 제2다리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들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걸림턱은 각각 그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의 타단부와 제2다리부의 타단부에는 각각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는 상기 걸림턱과 고정턱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가 상기 제2다리부에 대해 상기 걸림턱들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고정턱들이 상호 접근되며,
    상기 제1다리부의 고정턱과, 제2다리부의 고정턱 사이에는 상기 고정턱들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는 제3부재가 더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다리부와 제2다리부와 상기 제2부재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다리부의 걸림턱과 상기 제2다리부의 걸림턱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들이 상기 걸림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를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상호 고정시키고, 상기 제1다리부의 고정턱과 제2다리부의 고정턱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부재와 제3부재를 상호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KR1020060126227A 2006-12-12 2006-12-12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KR100769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27A KR100769647B1 (ko) 2006-12-12 2006-12-12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227A KR100769647B1 (ko) 2006-12-12 2006-12-12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9647B1 true KR100769647B1 (ko) 2007-10-23

Family

ID=3881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227A KR100769647B1 (ko) 2006-12-12 2006-12-12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96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15A (ja) * 1995-03-13 1996-09-24 Nikken Kogyo Kk 管状体固定装置
JPH10252718A (ja) 1997-03-14 1998-09-22 Togo Seisakusho Corp ヒンジ構造
JPH11287215A (ja) 1998-04-02 1999-10-19 Showa Alum Corp 押出形材の縁部同士の結合装置
KR20040033928A (ko) * 2002-10-16 2004-04-28 한일이화주식회사 부품장착용 클립 및 부품장착용 클립이 일체로 성형된 부품
JP2005147261A (ja) 2003-11-14 2005-06-09 Imao Corporation:Kk フレームの接続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15A (ja) * 1995-03-13 1996-09-24 Nikken Kogyo Kk 管状体固定装置
JPH10252718A (ja) 1997-03-14 1998-09-22 Togo Seisakusho Corp ヒンジ構造
JPH11287215A (ja) 1998-04-02 1999-10-19 Showa Alum Corp 押出形材の縁部同士の結合装置
KR20040033928A (ko) * 2002-10-16 2004-04-28 한일이화주식회사 부품장착용 클립 및 부품장착용 클립이 일체로 성형된 부품
JP2005147261A (ja) 2003-11-14 2005-06-09 Imao Corporation:Kk フレームの接続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767B1 (ko) 프로파일 연결 브라켓 구조
CA2809884C (en) Fastener head and complementary driver
JPH11114844A (ja) 内側多角形構造を有する固定具特にねじのための操作工具
JP2006068891A (ja) ファスナとファスナドライバとの組み合わせ、ファスナ、及びファスナドライバ
KR100769647B1 (ko)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체결조립체
CA2897525C (en) Structure for cabinet
CA2290323C (en) Multi-socket wrench
US20170014925A1 (en) Rethreader die
JP2009063070A (ja) 分割ナット
JP6803058B2 (ja) 締結具
JP4663576B2 (ja) 結合構造
JP2016008647A (ja) 締結固定機構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の筐体
KR20190119403A (ko) 길이 연장형 양방향 체결 볼트
JP2021161811A (ja) ドアハンドル
US5833419A (en) Angularly accessible head for threaded connector
JP4141900B2 (ja) 複合ナット及び複合ナットを用いた支持板の支持方法
EP2713063B1 (en) Mechanical joint for reversible coupling of two or more elements and joining
KR20180107615A (ko) 프레임 체결체
JP7321002B2 (ja) 連結部材および枠連結構造
JP2000074035A (ja) 連れ廻り防止機能付座金
JPS6339014Y2 (ko)
JP3098274U (ja) 複合ナット
JPS63195407A (ja) 板体の組立方法
KR20050112880A (ko) 다각머리 볼트
JPH094628A (ja) くさび内蔵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